KR102126245B1 -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피부 손상 치료제 - Google Patents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피부 손상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245B1
KR102126245B1 KR1020197020839A KR20197020839A KR102126245B1 KR 102126245 B1 KR102126245 B1 KR 102126245B1 KR 1020197020839 A KR1020197020839 A KR 1020197020839A KR 20197020839 A KR20197020839 A KR 20197020839A KR 102126245 B1 KR102126245 B1 KR 10212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worm
water
skin damage
treatmen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575A (ko
Inventor
요이치 이시이
다케시 오카모토
사야카 마키노
Original Assignee
웰 스톤 유겐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 스톤 유겐가이샤 filed Critical 웰 스톤 유겐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욕창(bed sores) 등의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에 적합한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피부 손상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지렁이의 분토(糞土)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 공정, 및 상기 혼합 공정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생기는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액체를 얻는 회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피부 손상 치료제이다. 상기 혼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의 분토 및 상기 물과 함께, 유기물을 더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피부 손상 치료제
본 발명은, 욕창(bed sores) 등의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에 적합한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피부 손상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욕창 등의 피부의 손상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치료제로서 다양하게 연구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일반론으로서, 대상에 따라서는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운 점 등으로 인해, 종래와는 상이한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특허 3779735호 공보 일본특허 4961131호 공보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욕창 등의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에 적합한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피부 손상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지렁이의 분토(糞土)와 물을 혼합할 때 생기는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얻은 액체가, 욕창 등의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에 적합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은, 지렁이의 분토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 공정, 및 상기 혼합 공정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생기는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액체를 얻는 회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의 분토 및 상기 물과 함께, 유기물을 더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유기물이 목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은, 상기 회수 공정에 있어서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얻어진 액체를, 물로 희석하는 희석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는, 상기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는, 미스트(mist)상(狀)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는, 욕창의 치료 또는 예방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욕창을 치료하는 방법은, 상기 피부 손상 치료제를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는, 욕창의 치료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욕창 등의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에 적합한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피부 손상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은, 지렁이의 분토와 물을 혼합하는 혼합 공정, 및 상기 혼합 공정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생기는 기화된 물을 회수하는 회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지렁이의 분토 및 상기 물과 함께, 유기물을 더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지만, 지렁이의 분토에 포함되는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이, 지렁이의 분토에 포함되는 유기물이나 별도로 혼합한 유기물을 분해 발효하는 것에 기인하여,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얻어진 액체가 욕창 등의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피부 손상 치료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혼합 공정)
혼합 공정은, 지렁이의 분토와 물을 혼합하는 공정이다.
지렁이의 분토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룸브리쿠스 루벨루스(Lumbricus rubellus), 룸브리쿠스 테레스트리스(Lumbricus terrestris), 아이시니아 페티다(Eisenia foetida), 알롤로보포라 칼리기노사(Allolobophora caliginosa), 덴드로배나 옥태드라(Dendrobaena octaedra), 알롤로보포라 자포니카 미카엘센(Allolobophora japonica Michaelsen), 드라위다 핫타미미즈 하타이(Drawida hattamimizu Hatai), 페레티마 디버젠스 미카엘센(Pheretima divergens Michaelsen), 페레티마 콤뮤니시마(Pheretima communissima), 페레티마 아그레스티스(Pheretima agrestis), 페레티마 시볼디 호르스트(Pheretima sieboldi Horst), 페레티마 힐겐도르피(Pheretima hilgendorfi), 폰토드릴루스 마쯔시멘시스 이이즈카(Pontodrilus matsushimensis Iizuka), 투비펙스 핫타이 노무라(Tubifex hattai Nomura), 림노드릴루스 고토이 하타이[Limnodrilus gotoi Hatai=L. SocialisStephenson] 등의 분토를 사용할 수 있다.
지렁이의 분토와 혼합하는 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도수(水道水)나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은, 여재(濾材), 역삼투막 등을 사용하여 정수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의 제거의 관점에서, 미세공(微細孔)의 여재나 역삼투막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SPG(Shirasu Porous Glass)(시라스 다공질 유리) 투과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렁이의 분토와 물의 혼합비는, 지렁이의 분토 1kg당, 물을 바람직하게는 0.05∼20 L,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 L,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L, 특히 바람직하게는 0.5∼2 L이다.
혼합 공정에 있어서는, 지렁이의 분토와 물과 함께, 유기물을 더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물을 혼합하면, 피부 손상의 치료 또는 증상의 치료 또는 예방의 효과가 우수한 피부 손상 치료제가 얻어지고, 또한, 피부 손상 치료제의 pH도 조정할 수 있다. 유기물은, 지렁이의 분토와 혼합하여 분해되는 유기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동물, 식물, 균류, 원생동물 등의 생물 유래의 유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식물 유래의 유기물로서는, 예를 들면, 목재 칩, 톱밥, 왕겨 등의 목재나, 버섯의 재배에 사용되는 균상(菌床) 등이 있다. 유기물로서 목재를 혼합하면, 회수 공정에 있어서 무취의 액체를 회수하기 쉬우므로 바람직하다. 목재로서는 목재 칩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목류, 비자나무, 노송나무, 나한송, 삼목, 금송, 소나무, 미송, 가문비나무, 전나무, 솔송나무, 세쿼이아(sequoia) 등의 침엽수라도 되고, 벚나무, 졸참나무, 느티나무, 너도밤나무, 자작나무, 모밀잣밤나무, 단풍나무, 오리나무, 참피나무, 일본 서어나무(carpinus japonica), 버섯 등의 활엽수라도 된다. 목재 중에서도, 소나무목의 목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노송나무과의 목재,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목 아과(亞科)의 목재, 특히 바람직하게는 삼목속의 목재를 사용할 수 있다.
지렁이의 분토와 유기물의 혼합비는, 지렁이의 분토 1kg당, 유기물을 바람직하게는 0.05∼2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0 kg,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kg, 특히 바람직하게는 0.5∼2 kg이다.
혼합 공정에서의 혼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교반 등을 행함으로써 혼합물을 충분히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하는 순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기에 지렁이의 분토와 유기물을 넣은 후에 물을 가할 수도 있고, 또한, 용기에 유기물을 넣고 물을 가한 후에, 지렁이의 분토를 가할 수도 있다.
각 성분의 전량을 한번에 모아서 혼합할 필요는 없으며, 물, 지렁이의 분토 및/또는 유기물을 첨가하여 복수회로 나누어 혼합할 수도 있다. 첨가함으로써, 증발하여 감소한 물이나 분해하여 감소한 지렁이의 분토나 유기물을 보충하면서, 기화된 물을 연속하여 회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최초의 혼합으로부터 시간이 경과하면 발효가 보다 안정되므로, 예를 들면, 1일 정도 시간을 경과시키고 나서, 기화된 물을 회수하면,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의 보다 효과가 우수한 액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관점에서도, 첨가하여 연속하여, 기화된 물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에는 지렁이의 분토나 별도로 첨가한 유기물의 발효에 의해 열이 생기지만, 기온에 따라서는, 가온하면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온할 때는, 예를 들면, 30∼50 ℃로 가온하면 된다.
(회수 공정)
회수 공정에서는, 혼합 공정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생기는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액체(이하, 「유기물 분해수」라고도 함)를 얻는 공정이다. 혼합 공정을 행하면서, 회수 공정을 행할 수도 있다.
회수 공정에서는, 혼합물의 발효에 의해 생기는 발효열(반응열)에 의해 상승하는 온도 영역에서 발생하는 기화된 물을 회수하면 되고, 비점(沸點)까지 가열할 필요는 없다. 기온에 따라서는, 가온하면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온할 때는, 예를 들면, 30∼50 ℃로 가온하면 된다.
회수하는 방법은, 기화된 물을 회수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화된 물을 제습기를 사용하여 회수하면 된다. 제습기로서는, 예를 들면, 냉각 방식이나 압축 방식의 제습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을 비등(沸騰)시키지 않고 기화된 물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수한 기화된 물을 액체로 만드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습기를 사용하여 회수하면, 유기물 분해수를 얻을 수 있다. 제습기로서는, 기화된 물을 액체로 회수할 수 있는 제습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냉각 방식이나 압축 방식의 제습기를 사용할 수 있다.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얻은 액체의 pH는, 바람직하게는 5∼9,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더욱 바람직하게는 6.5∼7.5이다.
(희석 공정)
기화된 물을 회수 공정에서 회수하여 얻어지는 유기물 분해수를 그대로 피부 손상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물을 사용하면 되고, 수도수나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희석에 사용하는 물은, 여재, 역삼투막등을 사용하여 정수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박테리아 등의 미생물의 제거 관점에서, 미세공의 여재나 역삼투막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SPG(시라스 다공질 유리) 투과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희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1.5∼10 배, 바람직하게는 4∼6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5.5 배로 희석하면 된다.
[피부 손상 치료제]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는,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는,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고, 욕창 등의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상(液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의 피부 손상 치료제를 미스트상으로 분무또는 증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부형제(賦形劑) 등과 혼합하여, 겔상, 분상(粉狀), 입상(粒狀), 시트형 등의 고형으로 가공된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에 있어서는,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담체로서는,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유동화제, 활택제, 코팅제, 현탁화제, 착색제, 감미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공지의 방법에 따라 일반적인 의약 제제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치료·예방 성분이나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 중의 상기 회수 공정에서 회수한 액체의 배합량은 그 목적에 맞추어서 효과적인 양을 배합하면 된다. 적절한 배합량은, 목적, 형태, 제조 조건 등의 다양한 인자에 의존하지만, 예를 들면, 액상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경우, 상기 회수 공정에서 회수한 액체의 배합량은 5체적% 이상이면 되고, 5∼50 체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40 체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30 체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사용량도 또한, 그 목적에 맞추어서 효과적인 양을 사용하면 된다. 적절한 사용량은, 목적, 형태, 제조 조건 등의 다양한 인자에 의존하지만, 예를 들면, 액상의 피부 손상 치료제를 환부에 미스트상으로 산포하여 사용한 경우, 피부 표면의 습한 정도에 따라, 1일당 5∼6 회, 1일당 10∼15 mL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는,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의 손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욕창의 치료 또는 예방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유효 성분이나, 피부 손상 치료제에 사용되는 공지 관용(慣用)의 첨가제, 예를 들면, 착색제, 향료,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점도조정제, pH조 정제, 증점제(增粘劑), 소포제(消泡劑), 방부제, 살균·항균제, 분산제, 유기용매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손상 치료제에는, 지렁이의 건조 분말, 마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배합할 수도 있다. 지렁이의 건조 분말, 마쇄물 및/또는 추출물을 배합함으로써,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액체를 얻을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므로, 지렁이의 추출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렁이의 추출물로서는, 예를 들면, 지렁이의 건조 분말로부터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원료에 사용되는 지렁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룸브리쿠스 루벨루스(Lumbricus rubellus), 룸브리쿠스 테레스트리스(Lumbricus terrestris), 아이시니아 페티다(Eisenia foetida), 알롤로보포라 칼리기노사(Allolobophora caliginosa), 덴드로배나 옥태드라(Dendrobaena octaedra), 알롤로보포라 자포니카 미카엘센(Allolobophora japonica Michaelsen), 드라위다 핫타미미즈 하타이(Drawida hattamimizu Hatai), 페레티마 디버젠스 미카엘센(Pheretima divergens Michaelsen), 페레티마 콤뮤니시마(Pheretima communissima), 페레티마 아그레스티스(Pheretima agrestis), 페레티마 시볼디 호르스트(Pheretima sieboldi Horst), 페레티마 힐겐도르피(Pheretima hilgendorfi), 폰토드릴루스 마쯔시멘시스 이이즈카(Pontodrilus matsushimensis Iizuka), 투비펙스 핫타이 노무라(Tubifex hattai Nomura), 림노드릴루스 고토이 하타이[Limnodrilus gotoi Hatai=L. SocialisStephenso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렁이의 건조 분말이란, 처리되지 않은 또는 전처리(前處理)를 한 지렁이의 마쇄물 또는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의미한다. 또한, 지렁이의 마쇄물이란, 처리되지 않은 또는 전처리를 한 지렁이를 마쇄한 액상 내지 페이스트상의 것이다. 지렁이의 추출물이란, 처리되지 않은 또는 전처리를 한 지렁이 또는 그 마쇄물을, 물 또는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불용성 획분을 제거 또는 분리하여 얻어진 엑기스를 의미한다. 상기 전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오물 등의 제거 처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지렁이의 건조 분말, 마쇄물 및 추출물은 후처리가 되어 있어도 되며, 후처리로서는 조립(造粒), 여과, 정제, 농축, 희석 및 pH 조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지렁이의 마쇄물을 얻기 위한 마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호모지나이저, 블렌더(blender), 호모 믹서, 뢰궤기, 가압형 세포 파괴 장치 등을 사용하여 마쇄할 수 있다.
지렁이의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렁이의 건조 분말 또는 마쇄물을 추출 용매에 용해하고, 불용성 획분을 제거 또는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서는, 물, 수용액 및 에탄올, 아세톤 및 아세트산 에틸 등의 유기용매를 들 수 있고,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물,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지렁이의 건조물을 얻기 위한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동결 건조, 가열 건조 및 분무 건조 등의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동결 건조가 바람직하다.
지렁이의 소화관 내에 잔류하는 소화물, 체피에 부착되는 오물등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렁이 생체를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과 같은 알칼리염의 수용액 중에 침지하고, 소화관 내의 황토를 배설시키는 방법(일본공개특허 평 1-4771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 1-47719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 1-47720호 공보 및 일본공개특허 평 1-268639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지렁이 생체를 6∼26 ℃로 유지한 산수용액 중에 0.1∼5 시간 방치하여 소화관 내의 분토를 제거하는 방법(일본공개특허 평 3-7242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거 방법으로서, 하기 금속의 염화물 및/또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 지렁이를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의 염화물은,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화물이다. 즉,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및 염화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또한, 이들의 혼합물이라도 되고, 이들과, 식품으로의 첨가가 가능한 다른 무해한 성분의 혼합물이라도 된다. 이러한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식염, 암염, 천일염이 있다. 상기 금속의 염화물은, 분말형을 생지렁이에 뿌리는 것에 의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지렁이와 금속의 염화물의 접촉이 일어난다.
생지렁이에 상기 금속의 염화물을 접촉시킨 후, 생지렁이와 하기와 같이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의 염화물과의 접촉을 시키지 않고, 하기와 같이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 지렁이의 접촉을 행할 수도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의 접촉에 대해서도, 분말형의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을 생지렁이에 뿌리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pH 2∼5의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수용액 중에 침지해도 된다. 금속의 염화물과의 접촉을 거친 후에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의 접촉을 하는 경우에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의 접촉은, 상기 금속의 염화물과의 접촉 후에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지렁이와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을 접촉시키기 전에, 지렁이를 수세(水洗)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세에 의해 상기 금속의 염화물를 제거하고 나서 지렁이와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을 접촉시키면 효소 활성이 높은 지렁이 건조 분말이 얻어진다.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의 접촉 전에 수세를 행하는 경우에는, 금속의 염화물과의 접촉 개시 후, 바람직하게는 3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분 이내에 수세를 행한다. 수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생지렁이를 장시간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분말과 접촉시켜 두면 사멸하고, 생활 기능을 소실하고, 소화관 내의 소화물을 배설하지 않게 되므로, 가급적이면 신속하게, 바람직하게는 30초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초 이내에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을 물로 희석하여, pH를 2∼5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은 지렁이에 있어서 불쾌 생활 환경을 형성하므로, 생지렁이는, 자기 보존 본능에 의해 체액, 배설물을 방출하여 생활 환경을 개선하려고 한다. 또한,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은 살균성을 가지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소화기 내에 잔류하는 소화물 등의 배설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지렁이에 부착된 잡균을 살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결정형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은, 사용 조건 하에서 결정형체를 나타낸 것이면, 그 하이드록시기수 또는 카르복실기수와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즉, 모노하이드록시모노카르복시산, 모노하이드록시폴리카르복시산, 폴리하이드록시모노카르복시산, 폴리하이드록시폴리카르복시산 중 어느 하나이면 된다.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콜산, 락트산, 아세트산, β-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 α-하이드록시-n-부티르산, β-하이드록시-n-부티르산, α-하이드록시-n-발레르산, β-하이드록시-n-발레르산, 말산, α-메틸말산, α-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 β-하이드록시글루타르산, 시트르산, 말론산 및 숙신산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식품에 대하여 사용 가능하며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락트산, 아세트산, 말산, 시트르산, 말론산 및 숙신산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생지렁이의 조직의 65%는 수분이다. 생지렁이의 보신 기능이 작용하는 시간으로서는, 어느 정도 여유는 있지만, 생지렁이가 사멸하게 되면 효소가 작용하므로, 불쾌 생활 환경 하에 두는 시간의 제어는 신중하게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시간은, 조건에 따라 좌우되지만, 통상은 3∼180 분의 범위이다.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으로 처리한 지렁이 생체는, 물로 세정한 후, 마쇄하여 액상 내지 페이스트상의 마쇄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은 바람직하게는 순수로 한다. 세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수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마쇄 전의 처리 공정의 합계 시간, 즉 생지렁이에 금속의 염화물을 뿌리고 나서,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의 물에 의한 세정을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은, 합계 240분 이내가 바람직하다.
상기 마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호모지나이저, 블렌더, 호모 믹서, 뢰궤기, 가압형 세포 파괴 장치를 사용하여, 통상 1∼25 ℃에서 행해진다. 지렁이 구성 성분의 분해 억제의 관점에서 저온 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15 ℃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지렁이의 마쇄에 의해 얻어진 마쇄물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제 트레이에 수용되어, 동결 건조에 제공된다. 이 때, 지렁이 생체에 포함되는 효소는, 생세포에는 작용하지 않지만 사세포에 대해서는 순간적으로 작용하므로, 부패성 가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순간적으로 -18℃∼-35℃에서 급냉·동결하여 효소의 작용을 억제한 후에, 동결 건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지렁이 본래의 약리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말화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단시간에 동결시키면 지렁이 페이스트의 주성분인 단백질과 함께 존재하는 불순물이 스폿형의 부동결 부분을 형성하여,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과도하게 급속한 동결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동결은 바람직하게는 -18℃∼-35℃의 저온에서 20∼240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70 시간을 소요하여 행한다.
동결 건조 시에는, 수분과 함께 불순분이 잔류하지 않도록 제거할 수 있는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압력 50Pa 이하, -60℃∼+90℃의 온도에 있어서, 온도를 단계적으로 높이면서 10∼60 시간의 범위에서 제어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결 건조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마쇄물을 -18℃∼-35℃의 온도에서 20∼240 시간을 소요하여 동결한 후, -60℃∼+90℃의 온도에 있어서, 수단계로 나누어서 승온(昇溫)하고, 압력 25∼40 Pa에 있어서, 수단계로 나누어서 감압하면서, 10∼60 시간 동결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무균 상태의 담황색 지렁이 건조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쇄물을 동결 건조한 것을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하고, 불용성 획분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용성 획분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공정은,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방치에 의한 침전, 원심분리, 여과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하는 공정은, 교반 내지 진동하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로의 용해에 요하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120 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80 분간이다. 에탄올 수용액의 에탄올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70 %(v/v),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 %이다.
지렁이 추출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한 것의상청액을, 그대로 수용액의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수분을 제거하여 농축액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건조시켜 분말형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청액을 건조하여 분말형으로 한 것을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렁이 페이스트를 동결 건조한 분말을,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거 방법으로서는, 생지렁이를 불쾌 환경 하에 두는 처리 전, 즉 상기한 생지렁이를 금속의 염화물 또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에 접촉시키기에 앞서, 생지렁이를 빵상자와 같은 평평한 상자로 옮기고, 명소(明所)에서 10∼50 시간 방치하여, 체피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소에서의 방치 시간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4 시간이다. 이때의 수용량으로서는, 지렁이가 30∼60 mm, 바람직하게는 40∼50 mm의 두께로 중첩되는 정도의 양이 바람직하다. 이 평평한 상자 내에는, 모래, 진흙과 같은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지렁이는 야행성이며 암소에서는 생활 활동이 활발하게 되어, 체력을 소모할 우려가 있으므로, 야간은 전조(電照) 배양 방식 등에 의해 밝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처치에 의해 생지렁이는, 자기 방어 본능을 발휘하여, 소화관 내에 잔류하는 소화물을 배설하고, 이 배설물로 전신을 덮어,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생활 환경을 유지하려고 하므로, 이 덮여 있는 오물 즉 배설물을 적절한 수단으로 떼어내는 것을 반복하면, 최종적으로 소화관 내의 소화물 및 체피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지렁이의 체피에 부착된 오물을 떼어내는 것은, 예를 들면, 부직포로 생지렁이를 피복하고, 오물을 그것에 흡착시켜 행할 수 있다. 이 명소에서의 방치 및 체피에 부착된 오물의 제거와, 상기한 금속의 염화물 및/또는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의 접촉을 조합함으로써, 지렁이 체내의 유독물의 배출, 제거를 더 한층 기대할 수 있다.
지렁이의 건조 분말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건조 분말의 저장 안정성 관점에서, 하기 방법이 바람직하다.
(A-1) 생지렁이를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화물과 접촉시키고,
그 후, 분말형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 생지렁이를 접촉시키고, 물로 희석하여 pH 2∼5로 조정하고, 3∼180 분간 유지한 후, 생지렁이를 수세하고, 마쇄하고, 얻어진 마쇄물을 동결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렁이의 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
(A-2) 생지렁이를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화물과 접촉시키고,
그 후, 생지렁이를 pH 2∼5로 조정된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수용액 중에 침지하고, 3∼180 분간 유지한 후, 생지렁이를 수세하고, 마쇄하고, 얻어진 마쇄물을 동결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렁이의 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
(A-3) 상기 (A-1) 또는 (A-2)에 있어서, 상기 마쇄물을 동결 건조한 것을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하고, 불용성 획분을 제거 또는 분리한 후, 더욱 동결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렁이의 건조 분말의 제조 방법.
또한, 생지렁이를 마쇄하여 이루어지는 마쇄물을 동결 건조한 후, 건조물의 살균의 관점에서, 얻어진 건조물을 가열 처리할 수도 있다. 가열 처리의 온도는 110℃ 이상 13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110℃ 미만이면, 건조물의 살균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130℃ 이상이면 지렁이 건조물에 포함되는 효소가 실활하게 되어 활성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125 ℃이다. 가열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풍을 분사하는 방법, 가열 쟈켓을 사용하는 방법, 트레이 등에 탑재하고 히터로 가열하는 방법, 정온항온기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가열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초∼13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9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분∼90분이다. 가열 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살균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길면 효소의 활성이 상실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액체 중의 효소에 상기 가열 처리를 행하면, 효소 활성이 상실되므로, 가열 처리는, 지렁이의 건조 분말에 대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렁이의 마쇄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하기 방법이 바람직하다.
(B-1) 생지렁이를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화물과 접촉시키고,
그 후, 분말형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 생지렁이를 접촉시키고, 물로 희석하여 pH 2∼5로 조정하고, 3∼180분간 유지한 후, 생지렁이를 수세하고, 마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렁이의 마쇄물의 제조 방법.
(B-2) 생지렁이를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의 염화물과 접촉시키고,
그 후, 생지렁이를 pH 2∼5로 조정된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수용액 중에 침지하고, 3∼180 분간 유지한 후, 생지렁이를 수세하고, 마쇄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렁이의 마쇄물의 제조 방법.
지렁이의 추출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하기 방법이 바람직하다.
(C-1) 생지렁이를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화물과 접촉시키고,
그 후, 분말형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 생지렁이를 접촉시키고, 물로 희석하여 pH 2∼5로 조정하고, 3∼180 분간 유지한 후, 생지렁이를 수세하고, 마쇄하고, 얻어진 마쇄물을 동결 건조한 것을,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하고, 불용성 획분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렁이의 추출물의 제조 방법.
(C-2) 생지렁이를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의 염화물과 접촉시키고,
그 후, 생지렁이를 pH 2∼5로 조정된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수용액 중에 침지하고, 3∼180 분간 유지한 후, 생지렁이를 수세하고, 마쇄하고, 얻어진 마쇄물을 동결 건조한 것을,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하고, 불용성 획분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렁이의 추출물의 제조 방법.
지렁이의 건조분말, 마쇄물 및/또는 추출물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상의 피부 손상 치료제의 경우, 물로 추출한 추출물의 건조 질량 환산으로, 피부 손상 치료제 100L당, 예를 들면, 0.1∼100 mg, 바람직하게는 0.2∼50 mg,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mg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이하에 있어서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한 모두 질량 기준이다.
(유기물 분해수)
룸브리쿠스 루벨루스의 분토 40kg과 목재(삼목) 15kg(목재 칩 5kg과 톱밥이나 왕겨의 블렌딩 10kg)을 넣은 반응조에, 물 40L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기화된 물을 반응조에 장착된 제습기(나카토미사 제조, DM-30)로 약 1일에 걸쳐 회수하여, 15∼20 L의 액체를 얻었다. 반응조에 물을 10∼20 L 더 가수하고, 목재(삼목) 10kg(목재 칩 5kg과 톱밥이나 왕겨의 블렌딩 5kg)으로, 기화된 물을 동일하게 제습기로 약 1일에 걸쳐 회수하여, 15∼20 L의 액체를 얻었다. 얻어진 액체를 혼합한 40L 정도의 액체(pH 8.71)를, 유기물 분해수로서 얻었다.
그리고, 상기 유기물 분해수의 제조에 있어서, 물로서, 수도수를 SPG(시라스 다공질 유리) 투과막(SPG테크노사 제조)과 활성탄으로 정수 처리한 물을 사용했다.
(지렁이 추출물)
24시간 명소에 방치한 후, 체피에 부착된 오물을 떼어낸 살아있는 룸브리쿠스 루벨루스 30kg을 평평한 접시에 약 5cm의 두께로 펼치고, 그 위에 염화나트륨 250g을 균일하게 뿌렸다. 20분 후, 지렁이를 물로 세척했다. 그 후, 시트르산 250g을 마찬가지로 뿌린 후 15초로 순수 30리터를 가하여 희석했다. 이 때, 물을 가한 직후의 pH는 2.25이며, 완전히 희석했을 때의 pH는 2.74였다. 시트르산 분말을 뿌리면, 지렁이는 단숨에 노란 체액을 방출했다. 물로 희석한 후에, 그 상태에서 20분간 유지했다. 다음으로, 더러워진 시트르산 수용액으로부터 생지렁이를 꺼내고, 수세한 후,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하여 10℃에서 마쇄하여, 지렁이 페이스트를 조제했다. 다음으로, 이 지렁이 페이스트를 흡인 탈기(脫氣)하여,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를 제거한 후, 스테인레스강제 트레이에 옮기고, 순간적으로 -35℃까지 급냉하고, 이 온도로 50시간 유지하여 서서히 동결했다. 동결한 지렁이 페이스트를 -35℃에서 압력 0Pa를 2시간 유지한 후, 온도 25℃까지 승온하고, 40Pa로 10시간, 이어서 40℃, 압력 35Pa로 14시간, 이어서 65℃, 압력 35Pa로 12시간 건조하고, 마지막으로 온도를 80℃로 하고, 압력 25Pa에서 6시간 유지함으로써 진공 동결 건조를 행하였다. 이 처리에 의해 함수량(含水量) 8질량%의 담황색의 지렁이 건조 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지렁이 건조 분말로부터 25g 채취하고, 증류수 500mL를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 추출했다. 얻어진 추출액을 원심분리(10,000×g, 4℃, 15분간)하고, 상청액을 채취하고, 지렁이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 진공 건조기로 미분화(微粉化)하고, 30mg 채취한 후, 증류수 500mL로 희석 원액을 얻었다.
(피부 손상 치료제)
상기에서 얻은 유기물 분해수를 물로 5배 희석했다. 여기서 희석에 사용한 물로서, 수도수를 SPG(시라스 다공질 유리) 투과막(SPG 테크노사 제조)과 활성탄으로 정수 처리한 물을 사용했다.
상기에서 희석한 유기 분해수와 상기에서 얻은 지렁이 추출물의 희석 원액을, 1000:1의 비율로 혼합하고, 0.2㎛ 필터에 통과시켜, 피부 손상 치료제를 얻었다.
실시예 1
<욕창 1>
상기 에서 얻은 피부 손상 치료제를 환부에 매일, 1일당 5∼6 회, 1회당 2mL 정도를 분무에 의해, 미스트상으로 산포한 하기 피실험자의 욕창의 증상을 관찰했다.
피실험자: 남성, 75세: 병력 3년, 냄새가 강함
7일 후, 냄새, 축축함, 가려움 감소
15일 후, 냄새, 가려움은 없어짐. 축축함 경감
25일 후, 정상 피부로 되돌아감
실시예 2
<욕창 2>
상기에서 얻은 피부 손상 치료제를 환부에 매일, 1일당 5∼6 회, 1회당 2mL 정도를 분무에 의해, 미스트상으로 산포한 하기 피실험자의 욕창의 증상을 관찰했다.
피실험자: 여성, 80세: 병력 2년, 냄새가 강함
7일 후, 냄새, 축축함, 가려움 감소
10일 후, 냄새, 가려움은 없어짐. 축축함 경감
20일 후, 정상 피부로 되돌아감
실시예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렁이의 분토와 물의 혼합물로부터 생기는 기화된 물을 회수함으로써, 피부의 손상 치료 또는 예방에 적합한 피부 손상 치료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지렁이의 분토(糞土)와 물과 목재를 혼합하는 혼합 공정, 및 상기 혼합 공정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생기는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액체를 얻는 회수 공정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목재가 삼목이며,
    상기 피부 손상 치료제가, 상기 회수 공정에서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얻은 액체와 지렁이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지렁이 추출물이, 생지렁이를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염화물과 접촉시키고, 그 후, 분말형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과 생지렁이를 접촉시키고 물로 희석하여 pH 2~5로 조정하고 3~180분간 유지한 후, 또는 생지렁이를 pH 2~5로 조정한 하이드록시카르복시산 수용액 중에 침지하고 3~180분간 유지한 후,
    생지렁이를 수세하고, 마쇄하고, 얻어진 마쇄물을 동결 건조한 것을,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하고, 불용성 획분을 제거 또는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렁이 추출물 제조 방법에서 얻은 지렁이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공정에 있어서 기화된 물을 회수하여 얻은 액체를, 물로 희석하는 희석 공정을 더 포함하는,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미스트(mist)상(狀)으로 분무 또는 증발하여 사용하는,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 손상 치료제가 욕창(bed sores)의 치료 또는 예방용인,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7020839A 2017-03-21 2018-03-16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피부 손상 치료제 KR102126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54774 2017-03-21
JPJP-P-2017-054774 2017-03-21
PCT/JP2018/010581 WO2018173972A1 (ja) 2017-03-21 2018-03-16 皮膚損傷治療剤の製造方法、及び、皮膚損傷治療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575A KR20190088575A (ko) 2019-07-26
KR102126245B1 true KR102126245B1 (ko) 2020-06-24

Family

ID=6358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839A KR102126245B1 (ko) 2017-03-21 2018-03-16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피부 손상 치료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1147842B2 (ko)
EP (1) EP3603653B1 (ko)
JP (1) JP6566600B2 (ko)
KR (1) KR102126245B1 (ko)
CN (1) CN110191715B (ko)
AU (1) AU2018240774B2 (ko)
TW (1) TWI748068B (ko)
WO (1) WO2018173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47B1 (ko) 2017-03-21 2019-07-10 웰 스톤 유겐가이샤 점비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점비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1131U (ko) 1972-09-04 1974-05-29
JPS55107753A (en) 1979-02-09 1980-08-19 Mitsubishi Metal Corp Titanium carbide-base cermet
JPS61411U (ja) 1984-06-05 1986-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受変電機器装置
JPH0739349B2 (ja) 1988-04-19 1995-05-01 株式会社エイメイ 血圧調節剤
JPH0788308B2 (ja) 1988-04-19 1995-09-27 株式会社エイメイ ミミズ乾燥粉末の製造法
JPH0780777B2 (ja) 1987-08-18 1995-08-30 株式会社エイメイ 抗高脂血症剤
JPH0780778B2 (ja) 1987-08-18 1995-08-30 株式会社エイメイ 糖尿病治療剤
KR900012617A (ko) 1987-10-28 1990-09-01 요오이찌 이시이 혈전증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JP3779735B2 (ja) 1993-11-15 2006-05-31 株式会社創研 米からの床ずれ防止治療剤
KR100301306B1 (ko) * 1998-12-22 2001-10-29 홍정숙 생지렁이체내로부터황색점액물질추출방법및이를이용한화장료조성물
JPWO2004028531A1 (ja) 2002-09-30 2006-01-19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褥瘡の予防剤または治療剤
JP4961131B2 (ja) 2004-10-29 2012-06-27 田辺三菱製薬株式会社 皮膚損傷治療剤
TWI339578B (en) 2004-10-29 2011-04-01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 Use of a pyridine compound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
CN102144722A (zh) 2010-01-18 2011-08-10 王景满 一种三微多元菌体活性高效动物营养液及生产工艺
JP2012197193A (ja) 2011-03-18 2012-10-18 Hotoku:Kk ミミズ糞土を用いた液体肥料の製造方法
JP2013180995A (ja) 2012-03-02 2013-09-12 Nippon Paper Group Inc ミミズ糞土のカルボン酸エステル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93818A (ja) 2013-11-14 2015-05-18 哲哉 紺一向 ミミズ糞土培養液
JP6321521B2 (ja) * 2014-11-04 2018-05-09 Well Stone 有限会社 タウ蛋白産生促進剤、タウ蛋白の欠乏に起因する疾患の治療薬・予防薬および治療用・予防用食品組成物
JP6100411B1 (ja) * 2016-02-02 2017-03-22 Well Stone 有限会社 消臭剤の製造方法、及び、消臭剤
KR101998647B1 (ko) * 2017-03-21 2019-07-10 웰 스톤 유겐가이샤 점비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점비제 조성물
JP6409151B1 (ja) * 2017-03-21 2018-10-17 Well Stone 有限会社 口腔用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3653A4 (en) 2021-01-20
AU2018240774A1 (en) 2019-10-31
JP6566600B2 (ja) 2019-08-28
TWI748068B (zh) 2021-12-01
US11147842B2 (en) 2021-10-19
US11896625B2 (en) 2024-02-13
US20240139258A1 (en) 2024-05-02
US20220000937A1 (en) 2022-01-06
WO2018173972A1 (ja) 2018-09-27
CN110191715B (zh) 2020-11-10
TW201900188A (zh) 2019-01-01
US20200093868A1 (en) 2020-03-26
CN110191715A (zh) 2019-08-30
KR20190088575A (ko) 2019-07-26
EP3603653A1 (en) 2020-02-05
EP3603653B1 (en) 2023-08-23
AU2018240774B2 (en) 2023-01-12
JPWO2018173972A1 (ja)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761B1 (ko)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구강용 조성물
US20240139258A1 (en) Method for producing therapeutic agent for skin lesions, and therapeutic agent for skin lesions
JP6860903B2 (ja) 血圧降下剤の製造方法、及び、血圧降下剤
US11642380B2 (en) Production method of nasal drop composition, and nasal drop composition
JP6913342B2 (ja) 血糖値上昇抑制剤の製造方法、及び、血糖値上昇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3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203

Effective date: 20200423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