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646B1 -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646B1
KR102125646B1 KR1020190062548A KR20190062548A KR102125646B1 KR 102125646 B1 KR102125646 B1 KR 102125646B1 KR 1020190062548 A KR1020190062548 A KR 1020190062548A KR 20190062548 A KR20190062548 A KR 20190062548A KR 102125646 B1 KR102125646 B1 KR 10212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mounting opening
oes
chamb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일
최용섭
김영우
김종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주) 예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주) 예스티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6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646B1/ko
Priority to JP2021570250A priority patent/JP7162940B2/ja
Priority to PCT/KR2020/006887 priority patent/WO2020242207A1/ko
Priority to US17/595,928 priority patent/US20220230858A1/en
Priority to CN202080039512.2A priority patent/CN11389216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917Plasma diagnostics
    • H01J37/32935Monitoring and controlling tubes by information coming from the object and/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917Plasma diagno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917Plasma diagnostics
    • H01J37/32935Monitoring and controlling tubes by information coming from the object and/or discharge
    • H01J37/32972Spectral ana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244Detectors; Associated components or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798Further details of plasma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J37/3244 - H01J37/32788; special provision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 H01J37/32807Construction (includes replacing part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10Nuclear fu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가 개시된다. 상기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는 양측에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사이의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플라즈마 챔버로부터의 플라즈마의 빛이 노출되는 개구에 대향되는 장착개구; 상기 장착개구의 반대편의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개구와 동축을 이뤄서 상기 플라즈마의 빛이 투과되며, OES 장치의 수광부와 연결되는 견시창 개구; 상기 하우징 내 견시창 개구의 내측에 위치하는 견시창;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각각에 설치된 와인더 및 리와인더; 및 상기 하우징 내 상기 장착개구의 내측을 커버하면서 상기 리와인더에서 상기 와인더로 롤투롤 되도록 구성되는 투명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장치{WINDOW FOR PLASMA OES DIAGNOSTIC AND PLASMA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즈마 진단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라즈마 빛을 수광하는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로부터 실행할 수 있는 공정으로는 건식 식각(dry etching) 공정이나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정들은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플라즈마를 발생할 수 있는 플라즈마 챔버를 이용한다. 따라서, 반도체 기판을 플라즈마 챔버 내의 기판 지지대에 올려 놓고, 플라즈마 챔버 내부를 소정의 반응조건으로 조성한 후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식각 공정 및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을 진행한다.
한편, 플라즈마 공정 조건에 이상이 생기거나, 플라즈마 장비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 예컨데 매스플로우 콘트롤러(Mass Flow Controller), RF 소스(Radio Frequency Source) 또는 바이어스 파워(Bias Power) 등에 이상(Anomaly)이 생길 경우 플라즈마 상태가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증착 또는 식각 특성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공정의 질 (Quality)과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되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플라즈마 상태를 엄격히 감시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플라즈마 상태를 감시하는 기술로서 OES(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센서를 이용하는 기술이 있다. OES 센서를 이용하는 플라즈마 공정 진단장치로서 특허출원 제10-2013-0090637호가 있다. 이 특허는 공정챔버 내에서 방출되는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뷰 포트 및 뷰 포트에 광케이블로 접속된 다수의 OES 센서들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 특허는 다수의 뷰 포트가 공정챔버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므로 뷰 포트가 쉽게 오염되는 문제가 있고, 뷰 포트의 오염에 따라 정확한 플라즈마 진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라즈마 빛을 수광하는 견시창의 오염을 방지하고, 항시 플라즈마 빛의 강도의 저하 없이 플라즈마 빛을 수광하여 플라즈마의 상태 진단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플라즈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는 양측에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사이의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플라즈마 챔버로부터의 플라즈마의 빛이 노출되는 개구에 대향되는 장착개구; 상기 장착개구의 반대편의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개구와 동축을 이뤄서 상기 플라즈마의 빛이 투과되며, OES 장치의 수광부와 연결되는 견시창 개구; 상기 하우징 내 견시창 개구의 내측에 위치하는 견시창;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각각에 설치된 와인더 및 리와인더; 및 상기 하우징 내 상기 장착개구의 내측을 커버하면서 상기 리와인더에서 상기 와인더로 롤투롤 되도록 구성되는 투명필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개구에 노출된 투명필름의 오염도를 확인하는 오염도 확인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염도 확인 수단으로 확인된 오염도가 미리 정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인더와 상기 리와인더를 구동하여 미리 정한 길이 만큼 투명 필름을 롤투롤 하는 롤투롤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장착개구를 둘러싸면서 연장된 장착개구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개구측벽에 삽입되고, 관통홀을 포함하는 장착개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홀은 1 내지 5mm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필름이 상기 장착개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롤투롤 되도록, 상기 장축개구의 양측에 위치하는 텐션 롤러(tension 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견시창 개구의 외측에 설치된 OES 센서의 광섬유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필름은 내열 및 내화학성 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장치는 상기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를 이용하면 플라즈마 상태 진단을 위해 플라즈마 빛을 수광하는 견시창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고, 항시 플라즈마 빛의 강도의 저하 없이 플라즈마 빛을 수광하여 플라즈마의 상태 진단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는 하우징(110), 장착개구(111), 견시창 개구(112), 견시창(120), 와인더(131) 및 리와인더(132), 투명필름(140), 텐션 롤러(160), 오염도 확인 수단(미도시), 롤투롤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양측에 제1 챔버(113) 및 제2 챔버(114)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하우징(110)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장착개구(111)는 하우징(110)의 일면에서 제1 챔버(113) 및 제2 챔버(114)의 사이에 위치하며, 플라즈마 챔버(10)로부터의 플라즈마의 빛이 노출되는 개구(11)에 대향되어서 개구(11)를 통해 노출되는 플라즈마의 빛이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플라즈마 챔버(1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반도체 기판의 박막증착, 식각 등의 공정을 위한 반응 공간을 제공하는 공정 챔버(process chamber)이다. 공정 챔버에는 플라즈마 생성을 위한 캐리어 가스 및 공정 가스가 공급된다.
견시창 개구(112)는 장착개구(111)의 반대편의 하우징(110)의 타면에 형성된다. 이때, 견시창 개구(112)는 장착개구(111)와 동축을 이루며, 이에 의해 장착개구(111)로 유입되는 플라즈마 빛이 투과된다. 견시창 개구(112)는 OES 장치의 수광부와 연결된다.
견시창(120)은 하우징(110) 내 견시창 개구(112)의 내측에 위치한다. 견시창(120)은 플라즈마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견시창(120)은 쿼츠(Quartz) 재질일 수 있다.
와인더(131) 및 리와인더(132)는 제1 챔버(113) 및 제2 챔버(114)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다. 일 예로, 리와인더(132)는 제1 챔버(113) 내에 설치되고, 와인더(131)는 제2 챔버(114)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리와인더(132)에는 투명필름(140)이 권취되어 있고, 와인더(131)는 리와인더(132)에 권취되어 있는 투명필름(140)을 당겨서 권취할 수 있다.
투명필름(140)은 하우징(110) 내에서 리와인더(132)에서 와인더(131)로 롤투롤 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하우징(110) 내에서 장착개구(111)의 내측을 커버하면서 롤투롤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 내에는 장착개구(111)의 양측에 위치하는 텐션 롤러(160)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 롤러(160)는 장착개구(111)에 대향하는 투명필름(140)의 일면의 이면에서 투명필름(140)을 지지하여 투명필름(140)이 장착개구(111) 방향에 수직하는 면 형태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투명필름(140)은 내열 및 내화학성 필름이다. 예를 들어, PE, PP, PI 등의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오염도 확인 수단(미도시)은 장착개구(111)에 노출된 투명필름(140)의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염도 확인 수단은 투명필름(140)의 오염도에 대해 미리 정한 값, 즉 투명필름(140)의 오염도 상한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오염도 확인 수단은 비전(Vision)검사장치일 수 있다.
롤투롤 구동부(150)는 와인더(131) 및 리와인더(132)를 구동시킨다. 롤투롤 구동부(150)는 리와인더(13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롤투롤 구동부(150)는 오염도 확인 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오염도 확인 수단으로 확인된 투명필름(140)의 오염도가 오염도 상한값인 경우 와인더(131) 및 리와인더(132)를 구동시켜서 미리 정한 길이만큼 투명필름(140)을 롤투롤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미러 정한 길이는 상기 텐션롤러(160)에 지지되는 투명필름(140)의 길이 이상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는 장착개구측벽(170) 및 장착개구 블록(180)을 더 포함한다.
장착개구측벽(170)은 장착개구(111)로부터 외측으로 장착개구(111)를 둘러싸면서 연장된다. 즉, 장착개구측벽(170)은 하우징(110)의 장착개구(111)가 위치하는 면으로부터 장착개구(111)를 둘러싸는 관 형태로 연장되며, 장착개구측벽(170)의 말단은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를 둘러싸도록 플라즈마 챔버(10)에 연결된다. 장착개구측벽(170)은 플라즈마 챔버(10)와의 연결을 위해 말단의 둘레에 플랜지부(171)가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부(171)가 플라즈마 챔버(1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어 하우징(110)이 플라즈마 챔버(1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장착개구 블록(180)은 장착개구측벽(170)에 삽입되고, 관통홀(181)을 포함한다. 장착개구 블록(180)의 단면 형상은 장착개구측벽(17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된다. 관통홀(181)은 장착개구측벽(170)의 길이방향에 평행하여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에 소통된다. 관통홀(181)은 1 내지 5mm의 내경을 갖는다. 일 예로, 관통홀(181)은 4mm의 직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개구 블록(180)은 불투명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흡수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평의 직진하는 플라즈마 빛을 견시창(120) 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개구측벽(170) 및 장착개구 블록(180)은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로부터 노출되는 플라즈마 빛이 견시창(120)을 향해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한다. 즉, 장착개구 블록(180)은 빛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콜리메이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개구 블록(180)의 관통홀(181)은 플라즈마 빛이 견시창(120)을 향해 직진하는 직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플라즈마의 컨피던스(Conductance)를 낮춘다.
이러한 장착개구측벽(170) 및 장착개구 블록(18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텐션롤러(160)는 관통홀(181)의 양측에 위치하여 관통홀(181)에 대향하는 투명필름(140)의 일면이 장착개구 블록(180)에 밀착하여 대응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는 광섬유 연결부(190)를 더 포함한다.
광섬유 연결부(190)는 플라즈마의 OES 진단을 위한 OES(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센서의 광섬유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견시창 개구(112)의 외측에 설치되되 견시창(120)에 밀착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일 예로, 광섬유 연결부(190)는 환형의 하우징연결부(191) 및 하우징연결부(191)로부터 연장되는 광섬유연결포트(1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연결부(191)는 견시창(120)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하우징(11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에서 플라즈마 빛이 수광되어 OES 센서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플라즈마 챔버(10) 내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의 플라즈마 빛은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로부터 노출되어서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에 마주하는 장착개구 블록(180) 방향으로 진행된다.
노출된 플라즈마 빛은 장착개구 블록(180)의 관통홀(181)로 진입하여 관통홀(181)을 따라 투명필름(140)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때, 플라즈마 빛은 좁은 관통홀(181)을 지나면서 직진성이 향상된다.
관통홀(181)을 통과하는 플라즈마 빛은 투명필름(140)에 투과되고, 투명필름(140)을 투과한 플라즈마 빛은 견시창 개구(112) 방향으로 진행한다.
견시창 개구(112)로 진행하는 플라즈마 빛은 견시창 개구(112)로 진입한 후 견시창(120)에 투과되며, 견시창(120)을 투과한 플라즈마 빛은 광섬유 연결부(190)의 내측으로 진입한다.
광섬유 연결부(190)로 진입된 플라즈마 빛은 광섬유 연결부(190)에 연결된 광섬유를 통해 OES 센서로 전달되며, OES 센서는 전달된 플라즈마 빛의 분석을 통해 플라즈마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중에 오염도 확인 수단은 투명필름(140)의 오염도를 확인한다. 이때, 투명필름(140)의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오염도 상한값인 경우 이에 대한 신호를 롤투롤 구동부(150)로 전달한다.
롤투롤 구동부(150)는 오염도 확인 수단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와인더(131) 및 리와인더(132)를 구동시켜서 현재 장착개구 블록(180)의 관통홀(181)에 대응된 투명필름(140)의 일부 길이가 관통홀(181)로부터 이격되도록 투명필름(140)을 일정 길이만큼, 예를 들면, 텐션롤러(160)에 지지되는 투명필름(140)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와인더(131) 방향으로 감는다. 이에 따라, 오염된 투명필름(140)의 일부 길이는 관통홀(181)로부터 이격된 후 오염되지 않은 투명필름(140)의 일정 길이가 관통홀(181)에 대응된다.
이러한 투명필름(140)의 롤투롤 구동에 의한 투명필름(140)의 구간 교체 과정에서도 오염도 확인 수단은 지속하여 투명필름(140)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는 플라즈마 챔버(10) 상에 직접 견시창(120)이 설치되지 않고 하우징(110)을 통해 별도의 견시창(120) 설치 공간이 제공되므로 플라즈마 빛을 수광하는 견시창(120)이 플라즈마 챔버(10)로부터 먼거리로 이격된다.
뿐만 아니라,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 챔버(113) 및 제2 챔버(114)를 통해 수용되며 와인더(131) 및 리와인더(132)를 통해 롤투롤되는 투명필름(140)이 구비되고, 그 투명필름(140)은 플라즈마 챔버(10)의 플라즈마 빛이 노출되는 개구(11)에 대응하는 장착개구(111)의 내측을 커버하므로 투명필름(140)을 통해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로부터 플라즈마 빛과 함께 노출되는 캐리어 가스 및 공정 가스가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며, 이에 따라 견시창(120)은 상기 가스들로부터의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투명필름(140)은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로부터 노출되는 가스들에 의해 오염되지만 투명필름(140)은 롤투롤 구조로 구비되므로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에 대응되는 일부 구간이 오염도 확인 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오염도 상한값까지 오염되면 오염되지 않은 다른 구간을 새롭게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에 대향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라즈마 빛이 투과되는 투명필름(140)을 항시 깨끗한 상태 또는 오염도가 적은 상태로 교체 및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투명필름(140)을 투과하여 견시창(120)으로 진행되는 플라즈마 빛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 없이 견시창(120)에 수광될 수 있고, 따라서 플라즈마 빛을 통한 플라즈마의 상태의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과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 사이에는 장착개구 측벽(170) 및 장착개구 측벽(170) 내에 구비되며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에 대응되는 관통홀(181)을 갖는 장착개구 블록(180)이 구비되므로 플라즈마 챔버(10)의 개구(11)로부터 노출되어 견시창(120)을 향해 진행하는 플라즈마 빛이 작은 직경의 관통홀(181)을 통과하면서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라즈마 빛이 플라즈마 챔버(10)로부터 멀리 위치한 견시창(120)까지 용이하게 진행되어서 플라즈마 빛이 손실 없이 견시창(120)에 수광될 수 있고, 이는 플라즈마의 상태의 정확한 진단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를 이용하면 플라즈마 상태 진단을 위해 플라즈마 빛을 수광하는 견시창(120)의 오염을 차단할 수 있고, 항시 플라즈마 빛의 강도의 저하 없이 플라즈마 빛을 수광하여 플라즈마의 상태 진단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는 플라즈마 장치에 이용 가능하며, 따라서 이러한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가 설치된 플라즈마 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그 플라즈마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에 의한 효과를 가져서 반도체 기판 등의 플라즈마 처리 및 플라즈마 상태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양측에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의 사이의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플라즈마 챔버로부터의 플라즈마의 빛이 노출되는 개구에 대향되는 장착개구;
    상기 장착개구의 반대편의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개구와 동축을 이뤄서 상기 플라즈마의 빛이 투과되며, OES 장치의 수광부와 연결되는 견시창 개구;
    상기 하우징 내 견시창 개구의 내측에 위치하는 견시창;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 각각에 설치된 와인더 및 리와인더; 및
    상기 하우징 내 상기 장착개구의 내측을 커버하면서 상기 리와인더에서 상기 와인더로 롤투롤 되도록 구성되는 투명필름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개구에 노출된 투명필름의 오염도를 확인하는 오염도 확인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 확인 수단으로 확인된 오염도가 미리 정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와인더와 상기 리와인더를 구동하여 미리 정한 길이 만큼 투명 필름을 롤투롤 하는 롤투롤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개구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장착개구를 둘러싸면서 연장된 장착개구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개구측벽에 삽입되고, 관통홀을 포함하는 장착개구 블록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1 내지 5mm의 내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이 상기 장착개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롤투롤 되도록, 상기 장착개구의 양측에 위치하는 텐션 롤러(tension roller)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시창 개구의 외측에 설치된 OES 센서의 광섬유 연결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은 내열 및 내화학성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항의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가 설치된 플라즈마 장치.
KR1020190062548A 2019-05-28 2019-05-28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장치 KR10212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548A KR102125646B1 (ko) 2019-05-28 2019-05-28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장치
JP2021570250A JP7162940B2 (ja) 2019-05-28 2020-05-28 プラズマoes診断用ウィンドウ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プラズマ装置
PCT/KR2020/006887 WO2020242207A1 (ko) 2019-05-28 2020-05-28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장치
US17/595,928 US20220230858A1 (en) 2019-05-28 2020-05-28 Window for plasma oes diagnosis, and plasma apparatus using same
CN202080039512.2A CN113892164B (zh) 2019-05-28 2020-05-28 等离子体光学发射光谱诊断用窗口以及等离子体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548A KR102125646B1 (ko) 2019-05-28 2019-05-28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646B1 true KR102125646B1 (ko) 2020-06-23

Family

ID=7113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548A KR102125646B1 (ko) 2019-05-28 2019-05-28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30858A1 (ko)
JP (1) JP7162940B2 (ko)
KR (1) KR102125646B1 (ko)
CN (1) CN113892164B (ko)
WO (1) WO20202422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227A (ko) 2022-07-25 2024-02-01 한국기계연구원 일체형 플라즈마 진단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058A (ko) * 1998-08-17 2000-03-06 윤종용 식각 종점 검출 장치
KR20090121222A (ko) * 2008-05-20 2009-11-2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형성 장치, 및 그 도전성 패턴을 갖는 기판
KR101347928B1 (ko) * 2012-08-23 2014-0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종료점 검출 포트 및 이를 갖는 종료점 검출 장치
KR20160058490A (ko) * 2014-11-17 201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뷰 포트(view port)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공정 설비
KR20160134267A (ko) * 2015-05-15 2016-11-23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착시스템
KR20180007174A (ko) * 2016-07-12 2018-01-22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롤투롤 시스템을 이용한 플렉서블 기판상 저온폴리실리콘 박막의 형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1771A (ja) * 1985-03-05 1986-09-06 Mitsubishi Electric Corp 蒸着装置
US6258408B1 (en) * 1999-07-06 2001-07-10 Arun Madan Semiconductor vacuum deposi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a reel-to-reel substrate cassette
KR100347928B1 (ko) * 2000-07-27 2002-08-09 엘지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팬축 이음 장치
JP2006501620A (ja) * 2002-09-30 2006-01-1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システムとともに光学系を使用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6104497A (ja) * 2004-10-01 2006-04-20 Hitachi Zosen Corp 蒸着装置
US20080099450A1 (en) * 2006-10-30 2008-05-01 Applied Materials, Inc. Mask etch plasma reactor with backside optical sensors and multiple frequency control of etch distribution
EP2182087B1 (en) 2008-10-30 2012-07-25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A vacuum vapor coating device for coating a substrate
TWI565820B (zh) * 2015-08-06 2017-01-11 行政院原子能委員會核能研究所 卷對卷模組化電漿複合製程設備
CN205038163U (zh) * 2015-09-29 2016-02-17 东莞立创华科检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发射光谱仪
KR20180110123A (ko) * 2016-02-12 2018-10-08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진공 프로세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들
US11424115B2 (en) * 2017-03-31 2022-08-23 Verity Instruments, Inc. Multimode configurable spectrometer
CN107422025B (zh) * 2017-07-17 2023-08-04 大连理工大学 一种基于等离子体表面波激发的痕量元素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058A (ko) * 1998-08-17 2000-03-06 윤종용 식각 종점 검출 장치
KR20090121222A (ko) * 2008-05-20 2009-11-2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패턴의 형성 방법 및 그 형성 장치, 및 그 도전성 패턴을 갖는 기판
KR101347928B1 (ko) * 2012-08-23 2014-0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종료점 검출 포트 및 이를 갖는 종료점 검출 장치
KR20160058490A (ko) * 2014-11-17 201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뷰 포트(view port)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공정 설비
KR20160134267A (ko) * 2015-05-15 2016-11-23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착시스템
KR20180007174A (ko) * 2016-07-12 2018-01-22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롤투롤 시스템을 이용한 플렉서블 기판상 저온폴리실리콘 박막의 형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227A (ko) 2022-07-25 2024-02-01 한국기계연구원 일체형 플라즈마 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2207A1 (ko) 2020-12-03
JP2022535350A (ja) 2022-08-08
JP7162940B2 (ja) 2022-10-31
CN113892164A (zh) 2022-01-04
CN113892164B (zh) 2023-08-29
US20220230858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19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of optical system with a plasma processing system
KR101279911B1 (ko) 오류 검출 및 처리 모니터링을 위해 사용되는 방사 분석 광학 모니터링 시스템의 보정
KR100891376B1 (ko) 셀프 플라즈마 챔버와 결합하여 플라즈마 공정장치에서공정진행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하고 이상 여부를검출하는 복합센서
US4857136A (en) Reacto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2017003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ormalizing optical emission spectra
KR200456733Y1 (ko) 센서챔버의 가스배출장치
KR102125646B1 (ko) 플라즈마 oes 진단용 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장치
US9721768B2 (en) Apparatus for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and plasma treatment apparatus
US20110090503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rcs
JP2008542780A (ja) 気体制御装置
TW201306147A (zh) 使用於基板處理裝置之處理監測裝置、處理監測方法及基板處理裝置
KR20160058490A (ko) 뷰 포트(view port)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공정 설비
US5284547A (en) Plasma-process system with batch scheme
US8902427B2 (en) System for measuring properties of test samples in fluid
TW201625940A (zh) 具有自動清潔及排淨能力的光離子偵測器的增益量測系統
KR102160211B1 (ko) Oes 장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장치 및 전극
JP2006501681A (ja) プラズマ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7258799B2 (ja) イオン源、質量分析計、イオン源制御方法
KR101410296B1 (ko) 반도체 공정용 윈도우 오염 지연 장치
JP4791543B2 (ja) 光学プラズマ分析装置を含んだ、コンテナ上の内部バリヤー層のpecvd蒸着のための装置
JPH0622217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表面処理方法
EP2320211A1 (en) Spectrometer
KR20130129690A (ko) 공정챔버 모니터링용 광학장치
KR100816736B1 (ko) 셀프 플라즈마 챔버와 결합하여 플라즈마 공정장치에서공정진행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하고 이상 여부를검출하는 플라즈마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2006245509A (ja) 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プラズマ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