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456B1 -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456B1
KR102125456B1 KR1020180063538A KR20180063538A KR102125456B1 KR 102125456 B1 KR102125456 B1 KR 102125456B1 KR 1020180063538 A KR1020180063538 A KR 1020180063538A KR 20180063538 A KR20180063538 A KR 20180063538A KR 102125456 B1 KR102125456 B1 KR 10212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lant
resistance
chinese cabbage
cab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484A (ko
Inventor
상미경
송재경
원항연
신다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ublication of KR2019004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C12R1/0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신규 바실러스 시아멘시스(Bacillus siamensis) H30-3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 및 저항성 증진 방법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이용하여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식물 생장이 불리한 환경 하에서도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Bacillus siamensis strain promoting resistance of plants against biotic and abiotic stres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신규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식물은 생존 과정에서 직면하는 여러 종류의 환경 스트레스를 회피하는 능력이 동물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므로, 저온, 고온, 염, 또는 건조 등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는 식물의 생존 및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환경 스트레스는 농가의 작물 생산을 크게 저하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며, 또한 식물병의 발병과 같은 생물적 스트레스도 작물의 재배에 크게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저온성 채소이며, 생육기에 고온이 되면 여러가지 식물병 또는 해충들에 의해 피해를 입는다. 이들 가운데 배추무름병은 배추의 생육기간 동안에 발생하며, 뿌리 근처의 표토로부터 식물의 표피를 뚫고 직접 침투하여 지하부 또는 배추 포기 전체로 퍼져 배춧잎을 흐물흐물하게 썩게하여 배추밭 전체에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배추무름병은 여름 배추의 생산에 있어서 가장 큰 제한 요인으로서, 수송, 판매 및 저장 중에도 큰 피해를 입히며, 배추뿐만 아니라 양배추, 샐러리, 무우, 담배, 양파, 토마토, 당근, 감자, 양상추 또는 고추냉이 등의 각종 주요 채소류에도 피해를 끼치는 심각한 병이다. 또한, 배추무름병은 세균성 및 토양성 식물병으로서, 세균성의 병은 약제의 방제 효과가 대단히 낮아 대량의 약제를 예방적으로 살포하지 않으면 방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한편, 농약의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약제 방제가 어려운 각종 병해를 대상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 방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을 갖는 미생물이 이용되거나, 병에 대한 저항성을 작물체에 유도할 목적으로 미생물을 미리 작물체에 선접종하므로서 작물체내에 저항성 반응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생물학적 방제 방법들은 환경오염, 약해, 잔류독성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으며, 방제 효과도 오래 지속되므로 바람직한 방제 방법으로 평가된다.
현재 국내의 많은 농가에서는 고온 건조와 같은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또는 예를 들어 배추무름병과 같은 생물적 스트레스에 의해 작물 생산이 저해되어 막심한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켜 작물의 생산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신규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신규 균주를 이용하여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켜 불안정한 환경에서 작물 재배를 원활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 균주인 바실러스 시아멘시스(Bacillus siamensis) H30-3 균주(기탁번호: KACC 92187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신규 균주를 발굴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새롭게 발견하고, 상기 H30-3 균주가 식물병 또는 고온 건조 환경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는 2017년 8월 21일자로 농업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되었으며, 수탁번호 KACC 92187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균주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의 16S rRN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의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 균체, 포자, 균주의 배양액, 농축 배양액, 배양액의 건조물, 배양액의 추출물, 또는 세포외다당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육모 환경, 대상 식물의 종류 또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물체에 처리될 때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식물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균체’는 균주의 파쇄된 세포벽 분획, 사균, 또는 건조균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배양액 중의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농축된 균체만을 회수하기 위해 원심분리 또는 여과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농축된 균체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냉동하거나 냉동 건조하여 그 활성을 잃지 않도록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배양물의 추출물’은 배양물을 다양한 유기용매를 이용해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도록 추출한 것을 의미하며, C1-4 알코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 아세톤,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추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는 통상적인 바실러스 속 미생물의 배양법에 의해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다. 상기 배양을 위한 배지는 NA(Nutrient Agar) 또는 TSA(Tryptic Soy Agar) 등과 같은 고체 배지, 또는 NB(Nutrient Broth), KB(King’s medium B Broth), PSB(Peptone Sucrose Broth) 또는 TSB(Tryptic Soy Broth) 등과 같은 액체 배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의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은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생물 스트레스는 식물병원균 등으로 인한 식물병의 발생을 포함하며, 비생물적 스트레스는 건조, 고온, 저온, 염류, pH, 및 영양 부족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환경 스트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처리될 수 있는 식물은 나무, 허브, 관목, 목초, 덩굴, 양치식물, 이끼, 녹조류, 단자엽 식물 및 쌍자엽 식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배추에 처리될 때 배추무름병 또는 고온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가 식물체에 저항성을 부여하는 대상 식물병원균은 검은곰팡이병균(Alternaria alternata), 고추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고추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고추탄저병균(Colletotrichum acutatum), 및 배추무름병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pv. carotovorum)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가 식물에 저항성을 부여하는 대상 식물병은 배추무름병일 수 있으며, H30-3 균주를 식물에 처리할 때 배추무름병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이 현저하게 증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제 포장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안정적인 제제화를 목적으로 생화학 농약으로 사용가능한 계면활성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수화제, 입상수화제, 액상수화제, 액제, 수용제, 수용성입제, 또는 캡슐화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스트레스, 바람직하게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식물의 종자, 뿌리, 줄기, 잎 및 식물체 전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식물 번식기 중의 식물체의 조직에 처리, 또는 식물 파종이나 식수 전후에 병해 방제용 매체에 H30-3 균주를 포함시켜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식물 내지 식물 주변 토양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또는 식물 주변 토양에의 처리는 접종, 살포, 도포, 관주, 인필트레이션, 분무, 코팅, 더스팅 또는 침지 등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의 배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특정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시아멘시스(Aspergillus terreus) H30-3 균주(기탁예정)는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현저하게 증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 및 저항성 증진 방법은 상기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이용하여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의 저항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식물 생장이 불리한 환경 하에서도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다른 바실러스 균주와 비교한 계통분석도이다.
도 2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가 생성하는 휘발성 물질에 의한 항균활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3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 처리 시 배추무름병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 처리 시 고온 건조 스트레스에서 식물의 생존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5은 고온 건조 조건에서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를 처리한 식물 주변의 토양 수분과 엽록소양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의 세포외다당류 처리 시 고온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생존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7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의 휘발성물질에 의한 고온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생존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8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 배양액의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고온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생존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의 선별 및 동정
H30-3 균주는 2004년 충청남도 공주시 오이 재배농가에서 오이 비근권 부분의 토양을 샘플링하여 1/10 TSA에서 희석평판하여 분리하였다. 검정에 사용한 균주는 TSB에서 25℃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 균주를 수확하였다. 이후, 10mM MgSO4로 균주 현탁액을 만들고, 흡광도 A600=0.2로 맞추어 접종원으로 균일하게 사용하였다.
H30-3균 균주의 분류 동정을 위해 Qiagen genomnic tip kip을 사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으며, fD1 (5'-GAG TTT GAT CCT GGC TCA-3’) 및 rP2 (5'-ACG GCT AAC TTG TTA CGA CT-3’)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통해 16S rRNA 부분을 증폭하였다. PCR 조건은 95℃에서 4분, 58℃에서 1분, 72℃에서 2분으로 35회 반복하였으며 이후 72℃에서 8분 동안 유지하였다. 증폭된 PCR 부분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EZ BioCloud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이 유사한 type 종을 확인하였다.
계통분석 결과 H30-3은 16S rRNA 염기서열(1381bp)에서 바실러스 시아멘시스KCTC13613T(type 균주)와 99.93% 유사성을 갖기 때문에 H30-3을 바실러스 시아멘시스로 동정하였다(도 1). 상기 H30-3의 16S rRNA 정보를 서열목록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H30-3 균주의 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저항성 유도 효과
H30-3의 휘발성 물질에 의한 항균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I-plate의 한쪽에는 TSA, 다른 쪽에는 PDA를 만들어 TSA에는 H30-3균주(200μl)를 도말하였다. PDA에는 각각 Alternaria alternata,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또는 Colletotrichum acutatum을 배양하여 대조구에 비하여 균사 생장이 억제되는지 평가하였다. 이때 대조구로는 10mM MgSO4 buffer와 항균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Bacillus vallismortis BS07M 균주를 사용하였다. 시험한 4균주의 곰팡이 중에서 Alternaria alternataColletotrichum acutatum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H30-3의 휘발성물질에 의해 각각 13.7% 및 20.3%로 균사 생장이 억제되었다(도 2).
배추무름병은 배추 불암품종으로 시험하였으며, 병원균으로 Pectobacterium carotovorum pv. carotovorum 21 균주를 사용하였다. 배추는 부농상토가 담긴 지름 9cm 비닐포트에서 2주 재배하였고, H30-3균주 세균 현탁액 20ml을 관주처리하였다. 상기 세균 현탁액은 먼저 H30-3 균주를 TSA에서 28℃에서 24 시간동안 배양한 후 단일 콜로니를 100ml TSB에 28℃에서 150rpm으로 48 시간동안 진탕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물을 원심분리(5,000rpm, 5분)하고 상청액은 제거한 후 침전된 세균만 10mM MgSO4 용액으로 수확하고, 107 cells/㎖의 세균 현탁액으로 맞추어 사용하였다. 세균 관주처리 7일 후 배추무름병원균(107 cells/㎖)을 mineral oil과 10% 혼합하여 20ml씩 관주처리하여 접종하였다. 접종 7일 후 병 피해도(%)를 평가하였다. 본엽으로 2엽이 나올 때 세균 현탁액 107 cells/㎖을 20㎖ 관주처리한 후, 7일 동안 재배한 후, 고온건조 스트레스 처리를 하였다. 대조구로 10mM MgSO4와 식물에 저항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는 BTH(0.1mM)를 사용하였다. H30-3 균주를 처리한 배추에서는 세균성 무름병의 발명이 대조구 대비하여 44.4% 감소하였다(도 3).
실시예 3: H30-3 균주의 고온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저항성 유도 효과
온실 조건에서 H30-3 균주 및 대조구(10mM MgSO4)를 관주처리한 후, 배추에 고온건조 스트레스를 처리하고 배추 생장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배추 종자(품종: 불암, 력광)를 상토가 담긴 9cm 플라스틱 포트에 파종한 후 온실에서 2주 동안 재배하였다. 세균 현탁액은 먼저 상기 균주를 TSA에서 28℃로 24 시간동안 배양한 후, 단일 콜로니를 100ml TSB에 28℃에서 150rpm으로 48시간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물을 원심분리(5,000rpm, 5분)하고 상청액은 제거하고 침전한 세균만 10mM MgSO4 용액으로 수확하여, 107 cells/㎖의 세균 현탁액으로 맞추어 사용하였다. 본엽으로 2엽이 나올 때 107 cells/㎖의 세균 현탁액을 20㎖ 관주처리하고, 7일 동안 재배한 후 고온 건조 스트레스 처리를 하였다.
고온 건조 스트레스는 배추 생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35℃에서 물을 주지 않아 건조 조건을 5~7일 동안 유지하여 주었다. 이 후 식물 생존 정도(Plant survival index)를 0(완전 죽음)~5(살아남)으로 평가하였으며, 고온 건조 스트레스 조건 이후에 다시 물을 40㎖/포트에 주어 1일 후 회복되는 정도를 생존 정도(0~5)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고온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5~7일 후 력광 품종에서는 대조군(Control)은 식물의 생존 정도가 1.9인데 비하여, H30-3은 2.7로 현저하게 높았다. 다시 물을 준 후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H30-3의 생물중은 9.6% 증가하였다(도 4). 불암 품종에서는 고온 건조 후 식물 생존 정도가 대조구에서 1.65인데 비하여, H30-3은 2.5정도로 현저하게 높았으며, 생물중은 대조구 대비 28.0% 증가하였다(도 4).
온실조건에서 력광 품종의 경우 토양 수분이 대조구가 4.5%인데 비하여, H30-3은 5.2%로 더 높았다. 엽록소 함량을 측정하는 SPAD value는 대조구가 48.4일 때, H30-3은 47.8로 큰 차이가 없었다. 불암 품종의 경우 토양 수분이 대조구가 2.1%일 때 H30-3은 2.9%로 더 높았으며,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가 34.4일 때 H30-3은 49.0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도 5).
실시예 4: H30-3 균주의 세포외다당류(EPS)에 의한 고온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저항성 유도 효과
상기에 기술한 고온 건조 스트레스와 동일한 온실 조건에서 력광과 불암 품종을 파종하여 재배하고, H30-3 균주의 세포외다당류(exopolysaccharide)를 처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고온 건조 스트레스를 주었으며, 이 때 배추의 생존 정도를 0-5로 평가하였다. 평가한 후 40㎖/포트로 물을 주어 1일 동안 회복시킨 후 생존 정도와 생물중을 평가하였다.
H30-3 균주의 세포외다당류를 얻기 위하여 H30-3 균주를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배양하였다. 배양물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수거한 후, 차가운 100% 에탄올을 2.5배 추가하여 overnight으로 침전시켰다. 이후 원심분리(6,000g, 30분)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침전된 세포외다당류를 동결건조하였다. 동결건조 후 세포외다당류의 무게를 측정하여 10ppm으로 맞추었다. 세포외다당류 20ml을 관주처리하고 7일 후, 실시예 3과 같이 고온 건조 스트레스를 주고, 식물의 생존 정도 및 생체중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력광 품종에서는 식물 생존 정도가 차이가 없었으나, 재관수후 생체중은 H30-3의 세포외다당류를 처리할 경우에 대조구 대비 43.5% 증가하였다. 불암 품종에서는 식물 생존 정도가 대조구가 1,25일 때 H30-3의 세포외다당류(10ppm) 처리 시 2.25로 현저히 높았으며, 재관수하였을 때 생체중도 251%로 현저히 증가하였다(도 6).
실시예 5: H30-3 균주의 휘발성 물질에 의한 고온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저항성 유도 효과
상기에 기술한 고온 건조 스트레스와 동일한 온실 조건에서 력광 및 불암 품종을 파종하여 재배하고, H30-3 균주의 휘발성 물질에 의한 고온 건조 스트레스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팔각형의 상하단이 구분된 새싹채소 용기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멸균된 상토를 상하단에 서로 닿지 않게 채워주었다. 하단에는 H30-3 균주의 세균 현탁액 40ml를 관주처리하였으며, 상단에는 배추 종자를 파종하여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H30-3의 휘발성 물질에 의한 내성 유도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으로 고온 건조 스트레스를 주었으며, 이 때 배추의 생존 정도를 0-5로 평가하였다. 평가한 후 40㎖/포트로 물을 주어 1일 동안 회복시킨 후 생존 정도 및 생물중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력광 품종에서는 식물 생존 정도가 대조구에 비하여 H30-3 균주의 휘발성 물질을 처리한 경우 1.3에서 3.4로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재관수후에도 1.9에서 3.4로 증가하였다. 불암 품종에서도 식물 생존 정도는 대조구가 1.0일 때 2.1로 증가하였고, 재관수 후에는 대조구가 1.1일 때 H30-3 균주의 휘발성 물질 처리구는 1.9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생물중은 력광 품종에서 대조구가 0.6일 때 0.8로 증가하고 불암 품종에서 대조구 0.4일 때 0.5로 다소 증가하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도 7).
실시예 6: H30-3 균주의 배양 농축액에 의한 고온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식물 저항성 유도 효과
상기에 기술한 고온 건조 스트레스와 동일한 온실 조건에서 력광 및 불암 품종을 파종하여 재배하고, H30-3 균주의 배양 농축액에 의한 고온 건조 스트레스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균 현탁액은 상기 기술한 것과 동일하게 배양하고, 배양액을 원심분리후 배양 상등액을 수거하여 n-butanol(1:1, v/v)로 분획한 후 50℃에서 농축하였다. 최종 농축액은 methanol을 용매로하여 1, 10, 100ppm으로 준비하였다. 력광 또는 불암 품종의 종자를 H30-3 균주의 배양 농축액(1, 10, 100ppm)에 3시간 침지한 후 파종하였다. 파종 3주 후 상기 실시예 3과 같이 고온 건조 스트레스를 처리하고 식물 생존 정도 및 식물 지상부의 생체중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력광 품종에서는 고온 건조 스트레스 및 재관수 후 H30-3 균주의 배양 농축액 1, 10, 100ppm 처리 모두에서 식물 생존 정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식물 지상부 생체중은 배양 농축액 10ppm 종자처리하였을 때, 대조구대비 145.3% 증가하였다(도 8). 불암 품종에서도 식물 생존 정도는 고온 건조 스트레스 및 재관수 후 H30-3 균주의 배양 농축액 1, 10, 100ppm 처리에 의해 모두 현저히 증가하였고, 식물 지상부 생체중은 100ppm을 처리하였을 때 재관수 후 34.5% 증가하였다(도 8).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2187P 20170821
삭제

Claims (12)

  1. 삭제
  2.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KACC 92187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35℃에서 물을 주지 않고 5 내지 7일 동안 유지하는 건조 조건 하에서 배추의 고온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하는, 배추의 고온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의 농축 배양액, 및 세포외다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추의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용 조성물.
  8.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KACC 92187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배추무름병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pv. carotovorum)에 의한 배추무름병 억제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KACC 92187P)를 배추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35℃에서 물을 주지 않고 5 내지 7일 동안 유지하는 건조 조건 하에서 배추의 고온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하는, 배추의 고온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증진 방법.
  12.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H30-3 균주(KACC 92187P)를 배추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추무름병균(Pectobacterium carotovorum pv. carotovorum)에 의한 배추무름병 억제 방법.
KR1020180063538A 2017-10-20 2018-06-01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25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6728 2017-10-20
KR1020170136728 2017-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484A KR20190044484A (ko) 2019-04-30
KR102125456B1 true KR102125456B1 (ko) 2020-07-08

Family

ID=6628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538A KR102125456B1 (ko) 2017-10-20 2018-06-01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4714A (zh) * 2020-07-27 2020-11-17 天津农学院 一种红掌内生暹罗芽孢杆菌hzy-54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2828B (zh) * 2019-06-21 2021-05-07 华中农业大学 一株产石杉碱甲的蛇足石杉内生宁博炭疽菌
CN110272829B (zh) * 2019-06-21 2021-07-27 华中农业大学 一株抗核盘菌的蛇足石杉内生真菌及其应用
KR102366786B1 (ko) * 2020-04-03 2022-02-2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jc-18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2511152B1 (ko) * 2020-12-15 2023-03-17 대한민국 세균성 풋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les120 균주
CN112646745B (zh) * 2020-12-28 2022-04-12 中国林业科学研究院森林生态环境与保护研究所 一种暹罗芽孢杆菌、菌剂及其应用
CN112940991B (zh) * 2021-04-21 2022-04-05 安徽农业大学 一株暹罗芽孢杆菌的抗菌活性及应用
KR102525964B1 (ko) * 2021-06-14 2023-04-28 대한민국 토마토 시들음병 및 궤양병을 유발하는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 아종 미시가넨시스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k203 및 이의 용도
KR102567095B1 (ko) * 2021-09-15 2023-08-16 대한민국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936A (ko) * 2010-12-29 2012-07-0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4714A (zh) * 2020-07-27 2020-11-17 天津农学院 一种红掌内生暹罗芽孢杆菌hzy-54及其应用
CN111944714B (zh) * 2020-07-27 2021-04-27 天津农学院 一种红掌内生暹罗芽孢杆菌hzy-54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484A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456B1 (ko)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EP3288361A1 (en) Isolated complex endophy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plant traits
CN111763629B (zh)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其应用
CN114085793B (zh) 一种防治植物真菌病害的皮氏类芽孢杆菌菌剂的生产方法及其应用
TW201923067A (zh) 含有生黑孢鏈黴菌agl225的組成物於控制植物疾病的用途
Hagh-Doust et al. Symbiotic fungi as biotechnological tools: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relative benefit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KR10152465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2411304B1 (ko)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잔톡실리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6754529B (zh) 一株拮抗枸杞根腐病的解淀粉芽孢杆菌及其应用
JP2023513563A (ja) 様々な植物に抵抗性を誘導するバシラスサチリスjck-1398菌株、これを用いたマツ材線虫病防除用組成物及び防除方法
KR102150118B1 (ko) 식물의 기능성 성분 증진용 바실러스 아리아바타이 h19-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182020B1 (ko) 토양근권세균 크라이세오박테리움 인돌로제네스 균주 ise14를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방제용 및 성숙촉진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탄저병 방제방법
CN109055265B (zh) 一种生防菌及其在农作物蔓枯病防治方面的应用
KR102449909B1 (ko) 일펙스 라테우스 에이엠003 균주 및 이에 의한 농작물 병해 제어효과 및 농산업 응용
CN108559716B (zh) 一株防治辣椒疫病的高效生防菌株及其应用
CN113930371B (zh) 一种使用多粘类芽孢杆菌af01促进蔬菜生长和抗病的方法
Omonova et al. Methods of fight against temperature diseases in natural damages
KR20190086947A (ko)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얼위니아 게런덴시스(Erwinia gerundensis) KUDC9201 균주 및 이의 이용
KR101953835B1 (ko) 식물의 병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아스페르질루스 테레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73584B1 (ko) 토양근권세균 츠카무렐라 티로시노솔벤스 균주 yjr102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및 식물 생장촉진용 조성물
KR101107373B1 (ko) 토양근권세균 슈도모나스 코루가타 균주 ccr80을 포함하는 식물 탄저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저병 방제방법
CN111838190A (zh) 一种防治茎基腐病和流胶病的生防菌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799036B (zh) 火箭植物的一部分的提取物在激发植物和树木的防御中的用途及相关组合物与方法
Isina et al. Impact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on the development of moniliosis: A case study of apple orchards in the Almaty region, Kazakhstan
Bastas Vegetable bacterial diseases in Tur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