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936A -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936A
KR20120075936A KR1020100137852A KR20100137852A KR20120075936A KR 20120075936 A KR20120075936 A KR 20120075936A KR 1020100137852 A KR1020100137852 A KR 1020100137852A KR 20100137852 A KR20100137852 A KR 20100137852A KR 20120075936 A KR20120075936 A KR 20120075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bacillus
composition
strai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충민
양정욱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936A/ko
Publication of KR20120075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2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05Amino acids other than alpha- or beta amino acids, e.g. gamma amino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32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병 방제 효과 또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증진 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PB25 균주,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2-아미노벤조산(2-aminobenzoic acid), 3-아미노벤조산 및 4-아미노벤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Bacillus sp. PB25 strain isolated from soil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병 방제 효과 또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증진 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PB25 균주,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2-아미노벤조산(2-aminobenzoic acid), 3-아미노벤조산 및 4-아미노벤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외의 경우 미생물에 의한 식물 전신유도저항성(ISR, induced systemic resistance) 관련 연구는 1991년 미국 Auburn University의 Dr. Joseph W. Kloepper와 Utrech 대학의 Dr. Kees Van Loon 그룹에서 거의 동시에 발표되었으며, Kloepper 박사의 경우 이러한 기술을 농업에 이용하기 위해 온실 실험과 포장실험들을 거쳐 안정화된 기술을 확보하였고, 상기 기술을 이용하여 포장상태에서 발생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선충, 심지어 곤충에 의한 피해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또한 Utrech University에서는 세균에 의한 식물의 ISR 반응과 세균의 ISR 결정인자(determinants)에 대한 연구에 주력하여 기존에 알려진 유도 저항성(systemic acquired resistance, SAR)과는 달리, 살리실산(salicylic acid)이 요구되지 않고 곤충 저항성에 주로 이용되는 자스몬산에 의한 신호전달에 의존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의 경우는 1990년대 후반부터 농업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미생물(주로 세균)에 의한 전신유도저항성(ISR, Induced systemic resistance)에 대한 기술이 소개되었고, 미생물의 ISR 유도 물질을 보고한 바 있으며, 2000년 초반부터는 1~2곳의 대학 및 연구소에서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면서 이러한 미생물이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뿐만 아니라 환경 스트레스인 가뭄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보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아직 국내의 기술 수준은 초보적인 단계로 실험을 할 수 있는 기본 인프라 조직은 갖추어져 있는 상황이지만 그 외 기술 축적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팀들이 식물 실험모델인 애기장대를 이용하여 실험에 임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대상 식물인 벼에서 ISR을 이용한 병 방제 기술 개발 및 그 기작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국내에서 ISR을 이용한 미생물 살균제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된 EXTN-1 (Bacillus vallismortis) 미생물을 이용한 제품이 상업화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기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 제제의 전체 시장은 전체 농약시장의 1% 수준이나 차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며 유도저항성 미생물 제제의 시장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27352호에는 바실러스 메가테리움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868901호에는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토양으로부터 741개의 바실러스 속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 전신유도저항성을 유도하여 식물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균주를 선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물병 방제 효과 또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증진 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PB25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아미노벤조산(2-aminobenzoic acid), 3-아미노벤조산 및 4-아미노벤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실러스 속(Bacillus sp.) PB25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 및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PB25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은 작물의 생산력 향상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ISR 실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BS101 균주 및 바실러스 속 (Bacillus sp.) PB25 균주의 ISR 효과를 ISR 유도 바실러스 속 균주와 비교하여 확인한 것이다. BS101 균주 및 PB25 균주는 수집되었고, 토양에서 관주되기 전에 108 cfu/ml (OD600 = 1.0)의 최종 밀도로 10 mM 황산 마그네슘에 재현탁되었다. 양성 대조군 식물은 0.5 mM BTH로 처리되었다. ISR의 표지자로서 질병 심각도(0 ~ 5)는 병원균 접종 후 7일째에 측정되었다. 0: 증상 없음, 5: 심한 괴사.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도 3은 처리 3주 후에 ISR 및 식물 생장에 대한 바실러스 세레우스 BS101 및 바실러스 속 PB25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 사진은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X. axonopodis pv. vesicatoria, 105 cfu/ml)의 분사-접종 후 12일째에 촬영되었다. 바실러스 세레우스 BS101 및 바실러스 속 PB25 균주는 수집되었고, 토양에서 관주되기 전에 108 cfu/ml(OD600= 1.0)의 최종 밀도로 10 mM 황산 마그네슘에 재현탁되었다. 양성 대조군 식물은 0.5 mM BTH로 처리되었다. B) ISR의 표지자로서 질병 심각도(0 ~ 5)는 병원균 접종 후 7일째에 측정되었다. 0: 증상 없음, 5: 심한 괴사. C) 식물 지상부의 초장(회색 막대) 및 식물 지상부의 생중량(흑색 막대)은 BS101 또는 PB25 균주를 고추 식물에 접종 후 3주째에 측정되었다. a, b 및 c는 음성 대조군 식물(물 처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도 4는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X. axonopodis pv. vesicatoria)에 대한 바실러스 속 PB25-유도 ISR을 확인하기 위해 이온-누출(ion-leakage)을 이용하여 세포 사멸을 평가한 결과이다. 각 식물의 3개 잎이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의 접종 후 0, 2 및 4일째에 샘플링되었다.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도 5는 BS101 및 PB25 균주의 뿌리 정착 능력을 평가한 결과이다. 바실러스 세레우스 BS101 및 바실러스 속 PB25는 수집되었고, 토양에서 관주되기 전에 108 cfu/ml(OD600= 1.0)의 최종 밀도로 10 mM 황산 마그네슘에 재현탁되었다. 고추 뿌리에 관주 처리 후 20일 동안 세균 집단의 수(log cfu/g 뿌리)를 측정하였다.
도 6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의 동정 결과를 나타낸다. A)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 anthracis)와 비교한 PB25 및 BS101에서의 병원성 유전자 발현 검출 및 B) 용혈 시험. C) MEGA 4.0 프로그램을 이용한 16S rDNA 서열 분석에 의한 PB25의 계통수. D) PB25, 바실러스 튜린겐시스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에서 바실러스 특이적 유전자의 발현.
도 7은 BS101 및 PB25에 의한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가를 나타낸 것이다. A) 및 B) 건조 스트레스. C) 및 D) 저온 스트레스.
도 8은 올리고-마이크로어레이(oligo-microarray)에 의해 선별된 프라이밍(priming) 유전자의 RT-PCR 및 qRT-PCR에 의한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A)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 접종 전 바실러스 속 PB25 균주에 의한 PR 유전자의 발현. (B)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 접종 후 바실러스 속 PB25 균주에 의한 PR 유전자의 발현. (C)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 접종 후 바실러스 속 PB25 균주에 의한 PR 유전자의 qRT-PCR을 통한 정량 분석.
도 9는 바실러스 속 PB25에 의한 유도저항성 경로를 찾기 위해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RT-PCR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0은 처리 후 80일째에 자연적으로 발생한 A) 세균성 점무늬병 및 B) 바이러스 병(CMV, cucumber mosaic virus)에서 ISR에 대한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BTH 및 BABA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바실러스 속 PB25는 수집되었고, 토양에서 관주되기 전에 108 cfu/ml(OD600= 1.0)의 최종 밀도로 10 mM 황산 마그네슘에 재현탁되었다. C) 사진은 80일째에 촬영되었다. 양성 대조군 식물은 0.5 mM BTH 및 BABA로 처리되었다. ISR의 표지자로서 질병 심각도(0 ~ 5)는 이식 후 80일째에 측정되었다. 0: 증상 없음, 5: 심한 괴사. 다른 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도 11은 병원균 접종 후 고추에서 바실러스 속 PB25 균주에 의한 방어-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것이다. A) 방어 신호전달 관련-유전자(CaPR1 , CaPR4 Tin1)의 발현은 RT-PCR에 의해 분석되었다. 증폭 산물은 겔 전기영동에 의해 분리되었고 에티디움 브로마이드 염색에 의해 시각화되었다. B) CaPR1 및 C) CaPR4 의 발현은 qRT-PCR에 의해 분석되었다. 상대적 발현은 CaActin의 발현을 100%로 하여 표준화한 다음, 계산되었다. 샘플은 병원균 접종 후 0 및 24시간째에 수집되었다. 양성 대조군 식물은 BTH 및 BABA로 처리되었다.
도 12는 처리 후 80일 동안 식물 생장에 대한 바실러스 속 PB25, BABA 및 BTH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바실러스 속 PB25는 수집되었고, 토양에서 관주되기 전에 108 cfu/ml(OD600= 1.0)의 최종 밀도로 10 mM 황산 마그네슘에 재현탁되었다. 양성 대조군 식물은 0.5 mM BTH로 처리되었다. A) 초기 단계 및 B) 후기 단계의 열매 수확량은 PB25 균주를 고추 뿌리에 접종 후 50일 및 80일째에 평가되었다. a, b 및 c는 음성 대조군 식물(물 처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도 13은 PB25 균주로부터 분리된 2-아미노벤조산의 LC Q-TOF MS 총 이온 크로마토그램(A) 및 스펙트럼(B)을 나타낸 것이다. 화살표는 2-아미노벤조산의 피크를 나타낸다.
도 14는 EI(A) 및 CI(B) 모드에서 PB25 균주로부터 분리된 2-아미노벤조산의 GC 질량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2-아미노벤조산은 합성 표준물과 비교한 잔류시간 및 특징적 MS/MS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동정되었다.
도 15는 바실러스 속 PB25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2-아미노벤조산과 이의 유사체인 3-아미노벤조산 및 4-아미노벤조산의 화학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세균성 마름병균(E. carotovora subsp. carotovora) 및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X. axonopodis pv. vesicatoria)에 대한 2-, 3- 및 4-아미노벤조산의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PB25 균주에서 분리된 2-아미노벤조산과 이의 이성질체인 3- 및 4-아미노벤조산을 처리한 담배 유묘의 질병 심각도를 나타낸 것이다. A) 24 멀티-웰에서의 실험 결과. B) 하우스에서의 실험 결과. 질병 심각도(%)는 세균성 무름병균(E. carotovora subsp. carotovorum SCC1) 접종 후 1일째에 평가되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PB25 균주 배양액과 0.5 mM BTH를 사용하였다. 3번의 독립적 실험이 처리 당 12개의 유묘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a, b 및 c는 음성 대조군 식물(물 처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도 18은 PB25 균주에서 분리된 2-아미노벤조산(A)과 이의 이성질체인 3-(B) 및 4-아미노벤조산(C)을 처리한 고추 유묘의 질병 심각도를 하우스에서 검증한 결과이다. 질병 심각도(%)는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X. axonopodis pv. vesicatoria) 접종 후 5일째에 평가되었다. 양성 대조군으로 PB25 균주 배양액과 0.5 mM BTH를 사용하였다. 3번의 독립적 실험이 처리 당 10개의 유묘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a, b 및 c는 음성 대조군 식물(물 처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P = 0.05).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를 나타낸다.
도 19는 담배에서 병원균 접종 후 2-아미노벤조산에 의한 방어-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것이다. 병원균 접종 전(dpi)과 후(hpi)에서, 방어 신호전달 관련-유전자(PR1a, PR1b, PR1c, PR2, PR4, PR5, PR6, JAZ-jim 및 SAR8.2)의 발현이 RT-PCR에 의해 분석되었다. 증폭 산물은 겔 전기영동에 의해 분리되었고, 에티디움 브로마이드 염색에 의해 시각화되었다. 양성 대조군 식물은 0.5 mM BTH로 처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병 방제 효과 또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증진 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PB25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바실러스 속(Bacillus sp.) PB25 균주는 토양에서 분리한 741개의 바실러스 속 균주 중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에 대해 전신유도저항성을 유도하는 균주를 선발한 것이다. 상기 바실러스 속 PB25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2010년 11월 23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8203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병은 세균성 병 또는 바이러스성 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균성 병은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러스성 병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직접 분사가능한 용액, 분말 및 현탁액의 형태 또는 고농축 수성, 유성 또는 다른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유성 분산액, 페이스트, 분진, 흩뿌림 물질 또는 과립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예를 들어 용매 및/또는 담체를 첨가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종종, 비활성 첨가제 및 표면-활성 물질, 예를 들어 유화제 또는 분산제를 제제에 혼합한다. 적합한 표면-활성 물질은 방향족 술폰산(예를 들어 리그노술폰산, 페놀-술폰산, 나프탈렌- 및 디부틸나프탈렌술폰산), 지방산, 알킬-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라우릴 에테르, 지방 알코올 술페이트의 알칼리 금속, 알카라인 토금속, 암모늄염, 술페이트화 헥사-, 헵타- 및 옥타데칸올, 지방 알코올 글리콜 에테르의 염,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및 이의 유도체,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나프탈렌 또는 나프탈렌술폰산,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옥틸 페놀 에테르, 에톡실화 이소옥틸-, 옥틸- 또는 노닐페놀, 알킬페닐 또는 트리부틸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폴리에테르 알코올,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지방 알코올/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에톡실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테이트, 소르비톨 에스테르, 리그닌-술파이트 폐액 또는 메틸셀룰로오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고형 담체 물질은 원칙적으로, 모두 다공성이고,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를 들어 광물토류(예컨대 실리카, 실리카 겔, 실리케이트, 활석, 고령토, 석회암, 석회, 초크, 보울, 황토, 점토류, 백운석, 규조 토류, 황산칼슘, 황산 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분쇄 합성물질), 비료(예컨대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우레아), 식물성 제품(예컨대 곡물 가루, 나무 껍질 가루, 목분(wood meal) 및 견과 껍질 가루) 또는 셀룰로오스 분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고형 담체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관주용, 침지용, 엽면 살포용, 종자 소독용 또는 농기구 소독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PB25 균주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다른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성 물질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작물체 흡수 및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확산제 및 침투제, 또는 계면활성제와도 혼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induced systemic resistance)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병은 세균성 병 또는 바이러스성 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균성 병은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러스성 병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방법은 분사, 분무, 살포, 흩뿌림 또는 붓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 형태는 의도한 목적에 의존하는데, 모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분포가 가능한 한 미세하고 균일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는 건조 또는 저온 스트레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조성물의 제제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 담체 또는 보조제 등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는 건조 또는 저온 스트레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2-아미노벤조산(2-aminobenzoic acid), 3-아미노벤조산(3-aminobenzoic acid) 및 4-아미노벤조산(4-aminobenz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아미노벤조산은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유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병은 세균성 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균성 병은 담배 세균성 마름병 또는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조성물의 제제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 담체 또는 보조제 등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induced systemic resistance)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병은 세균성 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균성 병은 담배 세균성 마름병 또는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방법
ISR 유도 균주의 분리 및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 검증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에 대한 ISR 검정 및 유용 바실러스 속( Bacillus sp .) 선발
대한민국의 다양한 장소의 토양에서 분리된 그람 양성 바실러스 속(Bacillus sp.) 741개의 균주를 이용하여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에 대한 ISR을 유도하는 균주를 선별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741개의 그람 양성 바실러스 속 균주는 모두 고추의 뿌리를 열처리 후 내열성 세균을 중심으로 분리하였다. 그 방법을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채집한 고추의 뿌리에서 흙을 최대한 털어내고, 고추의 뿌리 일부를 막자와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마쇄한 후 1.5 ml 튜브에 넣고, 80℃ 가열 블록(heating block)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였다. 상기 열처리로 인해 세포벽 구조가 얇은 그람 음성 세균은 사멸하게 되며 그람 양성 세균 중에서도 포자(spore)를 형성하는 균주는 살아남게 된다. 이 후 열처리한 고추의 뿌리 용액에서 일부를 취하여 1/10 TSA (tryptic soy agar) 배지에 고르게 도말하고 2일 동안 30℃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 후 TSA 배지에서 자라나온 세균의 단일 콜로니를 계대 배양하여 단일 종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총 4차례의 선별 과정을 걸쳐 단일 콜로니를 선별하였고, 이 중 바실러스 속으로 판단되는 균주를 선택하여 고추에서 ISR을 유도하는 균주의 선별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ISR 실험을 위한 고추의 준비와 배양
ISR을 유도하는 바실러스 속 균주를 선별하기 위한 식물재료로 고추(Capsicum annuum L.)를 선택하고, 부강 품종를 사용하였다. 부강 종자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고추 EST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에 사용된 품종으로 고추 ISR 유도 실험시 분자적 수준에서 관찰하기에 좋은 재료이다. ISR 유도 실험을 위해서 먼저 고추의 종자를 표면 살균하였다. 표면 살균은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락스)에 10분간 침지 후 멸균된 물로 5~6 차례 씻어낸다. 잘 씻어낸 고추의 종자는 MS 식물배양 배지에 골고루 흩어 뿌린 후, 오염이 되지 않도록 밀봉하여 호일로 감싸고 발아가 되어 떡잎이 나올 때까지 23℃ 식물배양기에서 배양한다. 발아된 고추 종자를 멸균된 상토가 담겨진 50개의 구멍이 있는 화분에 이식하여 25℃ 항온실에서 2주간 배양하였다.
고추에서 BTH 사용농도의 결정
ISR 실험에 진행하기 전에 이미 많은 참고문헌에서 입증된 바 있는 BTH (benzothiadiazole; 양성 대조군)의 적정 농도 확인 및 사용농도를 결정하고자, BTH 사용 농도에 따른 병징의 정도와 성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BTH의 농도는 각각 10 mM, 5 mM, 1 mM, 0.5 mM, 0.1mM, 0.05 mM 및 0.01 mM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멸균된 물을 사용하였다. 고추에서 BTH에 의한 약해 반응을 줄이고 고추 전체에 저항성을 유도하는 적정 농도를 알아내기 위하여 몇 번의 실험을 수행하여 사용 범위를 좁혀 나갔다. 첫 번째 사용 범위를 10 mM 시작하여 10배 단위로 줄여가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후 좀 더 명확한 농도를 찾기 위하여 5 mM, 0.5 mM 및 0.05 mM을 추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농도의 BTH를 고추의 뿌리에 관주 후 일별로 고추의 줄기 길이를 측정하여 생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BTH의 유도 저항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TH 처리 7일 후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 Xav)을 접종하였다. Xav 접종 후, 일별로 병징의 정도를 관찰하며 유도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고추에서 ISR 을 유도한 바실러스 속 균주의 선별
일차 균주 선별 과정에서 분리한 총 741개의 바실러스 속 균주를 대상으로 고추에서 ISR을 유도하는 균주를 선별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별과정은 5번의 선별과정을 걸쳐 진행되었다. 1, 2 및 3차 선별 과정은 741개 균주에서 ISR 유도 가능성 있는 균주를 선별하는 과정이며, 4 및 5차 선별 과정은 3차에 선별된 균주에서 정확한 ISR 효과를 지닌 균주를 선택하는 과정이다. 본 실험에 사용된 741개의 균주는 그람 양성 세균으로 형태학적으로 바실러스 균주로 보여지는 것을 사용하였으며, 대상 식물로는 고추를 대상으로 했으며 품종은 부강 고추를 사용하였다. 선별방법은 하기 제시 방법에 근거하여 실험에 임하였다. 대조군으로 기존에 다양한 식물체에서 ISR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aenibacillus polymixa) E681 균주와 전신획득저항성 반응(Systemic Acquired Resistance; SAR)을 유도하는 화학 물질인 살리실산의 유사물질인 0.5 mM BTH (benzothiadiazole carbothioc acid)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는 멸균수를 사용하였다. 741개의 균주와 대조군으로 사용된 패니바실러스 폴리믹사(P. polymixa) E681 균주의 배양은 TSA 고체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TSA 고체 배지에 배양한 균주를 모아서 최종 OD600 = 1.0 (108 CFU/mL) 되도록 멸균수에 풀고, 본엽이 4~5엽 정도로 자란 고추 뿌리에 5 ㎖씩 관주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BTH는 0.5 mM (0.2 ㎎/mL) 농도로 동일한 양을 사용했다.
ISR 유도 균주와 선별한 바실러스 속 균주의 ISR 능력 검증
기존에 ISR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는 바실러스 속 균주와 비교하여 본 실험에서 선별한 균주의 ISR 능력 정도를 검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B0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INR7,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N937a 및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SE34는 기존에 ISR 유도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균주로써, 본 실험에서 분리한 BS101 및 PB25 균주를 위의 이미 알려진 균주들과 비교하여 ISR 효능을 검증하였다. ISR 효능 검증에 대한 실험은 ISR 유도 균주 선별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병징 정도를 수치로 환산한 후 통계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검정했다.
선별된 균주의 ISR 능력과 식물 생장 촉진 능력 측정
ISR 유도능력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BS101 및 PB25 균주의 ISR 유도능을 재확인하고 식물 생장촉진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균주 접종에 의한 식물의 길이 및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배양한 고추의 본엽이 4~5개가 나오면, 각 화분에 OD600=1.0 (108 CFU/mL) 농도의 두 균주와 0.5 mM BTH를 각각 5 mL씩 뿌리에 관주를 한다. 7일 후,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 Xav)을 OD600 = 0.001 (105 CFU/mL)로 맞춘 후, 바늘을 제거한 1 mL 주사기를 이용하여 팽압에 의한 방법으로 고추의 3, 4 및 5번째 본엽에 Xav를 접종한다. 접종 5일 후부터 잎에 나타나는 병징을 관찰하고, 병 관찰이 끝난 후 고추 유묘의 길이와 무게를 측정하였다.
선별된 두 균주의 뿌리의 정착 능력
ISR을 유도하는 BS101 및 PB25 균주의 뿌리정착 능력을 관찰하기 위하여 두 균주를 일정한 농도 (108 CFU/mL)로 뿌리에 관주하고, 관주 당일과 5, 10, 15 및 20일 후 각각 뿌리를 취하여 뿌리 1 g당 존재하는 균주의 수를 측정하였다.
선별된 PB25 균주의 16S rDNA 및 균주 동정
선별된 PB25 균주의 최종 동정을 위하여 16S rDNA 분석, 지질 분석(MIDI analysis) 및 특정 유전자 패턴 분석을 수행하였다. 16S rDNA 분석은 (주)Bioneer에 시퀀싱을 의뢰하였으며, 시퀀싱 결과를 MEGA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바실러스 튜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중 서열이 잘 알려진 대표 균주를 선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16S rDNA 서열은 MEGA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근연 종의 서열과 비교하였고,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 균주와 구분하기 위해 용혈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PCR을 통해 병원성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다. MIDI 분석을 통하여 PB25 균주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으며, 바실러스 튜린겐시스와 바실러스 세레우스가 지니고 있는 특정 병원성 유전자를 PCR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BS101 PB25 균주에 의한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관찰
BS101 및 PB25에 처리에 의한 저온 내성 및 건조 내성 증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엽이 4~5개 나오기 시작한 고추 유묘에 BS101 및 PB25 균주를 108 CFU/mL 농도로 뿌리에 관주하고, 4℃에서 3일 동안 배양 후 생존하는 개체수를 관찰하는 것으로 저온 내성을 측정하였으며, 7일간 물을 주지 않았다가 다시 물을 준 뒤 생존하는 개체수를 관찰하는 것으로 건조 내성을 측정하였다.
고추 포장에서의 ISR 유도 실험
고추 포장에서 ISR 유도 실험을 위한 고추 준비 및 포장 설계
고추 포장에서 ISR 유도 실험을 하기 위하여 표면 살균한 고추 종자를 28℃ 하우스에서 6 ~ 8엽이 될 때까지 3주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고추 유묘를 포장에 이식하기 전에, OD600 = 1.0 (108 CFU/mL) 농도의 PB25 균주 배양액, 0.5 mM BTH, 60 mM BABA (β-aminobutyric acid), PB25/BTH 및 PB25/BABA 혼합 용액에 고추 유묘의 뿌리를 한 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상기 침지한 고추 유묘를 무작위적으로 계획한 고추 포장에 정식 하였다.
고추 뿌리에 정착한 PB25 집단 조사
고추 뿌리에 침지한 PB25 균주의 정착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추 근권에 존재하는 PB25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PB25만을 선별하기 위하여 균주를 리팜피신(rifampicin)에 저항성을 지닐 수 있도록 자연돌연변이체(spontaneous mutant)를 제작하였다. 리팜피신 저항성 PB25 균주는 리팜피신 100 ㎍/ml이 들어간 TS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TSA 배지에서 자란 PB25를 모은 후 멸균된 물에 풀어 균의 농도가 OD600 = 1.0 (108 CFU/mL)가 되도록 만들었다. 만들어진 PB25 균액에 고추 유묘의 뿌리를 침지한 후 1시간 뒤 고추를 포장에 이식하였다. BTH 및 BABA도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 후 이식하였다. 이식 후 1시간이 지나 고추의 뿌리를 취하여 고추 뿌리에 붙어 있는 토양을 제거하였다. 토양을 제거한 고추의 뿌리를 0.1 mM 황산 마그네슘(MgSO4) 완충액에 담구어 진탕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시간 동안 배양한 고추 뿌리 상등액을 1 ml 취하여 적절한 비율로 희석하고 리팜피신(100㎍/ml)이 들어간 TSA 배지에 도말하였다. 또한 토양내에 존재하는 다른 세균들의 개체수를 관찰하기 위하여 리팜피신이 들어가지 않은 TSA 배지도 동일하게 도말 하였다. PB25 균주가 고추 뿌리 내부로 유입되어 생존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고추 뿌리 내의 세균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이 실험을 위하여 황산 마그네슘 완충액에 담구어 1시간 동안 진탕 배양기에서 배양한 고추의 뿌리를 5%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으로 30분 동안 표면 살균하고, 70% 에탄올로 30초 동안 표면 살균을 하였다. 이후 멸균된 물로 5차례 걸쳐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에탄올을 씻어내었다. 표면 살균된 고추의 뿌리 1g을 멸균된 막자와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곱게 갈아 희석한 후 리팜피신(100 ㎍/ml)이 들어간 TSA 배지에 도말하였다. 도말된 배지를 30℃의 배양기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콜로니가 형성된 배지를 꺼내어 콜로니 수를 계수한 후, 희석 배율을 곱하여 뿌리 1g에 존재하는 PB25 균주 및 전체 세균의 수를 측정하였다.
포장에서 PB25에 의한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 대한 ISR 조사
고추 포장에서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에 대한 PB25의 ISR 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추 정식 후 10일 후부터 고추의 세균성 점무늬병 유발균(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 Xav)을 접종하였다. Xav의 농도를 OD600 = 1.0 (106 CFU/mL)로 희석하고 바늘이 없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고추 잎의 뒷면에 접종하였다. 접종한 고추의 잎은 5일 뒤에 병징을 관찰하였다. 병징은 질병 색인을 참고하여 병의 심각도를 0 ~ 5로 나누어 환산하고 통계 프로그램인 JMP software version 5.0 (SAS Institute Inc., Cary, NC)을 사용하여 각 처리별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PB25 균주 및 화학물질의 침지 후 10일, 20일, 30일 및 40일 총 4차례 걸쳐 실험을 수행하였다.
포장에서 발생하는 자연 발생적인 병에 대한 ISR 능력 조사
PB25에 의해 유도되는 ISR 반응이 자연발생적인 병에 대해서도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PB25를 침지 후 80일 뒤에 포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병 중 심각하게 발생된 병을 대상으로 병징 조사를 수행하였다. 각 그룹별 각각의 개체마다 병의 발생 정도를 질병 색인과 동일하게 병의 심각도에 따라 0(병이 발생하지 않음)부터 5(병이 심하게 발생)까지 단계를 두어 점수를 두었다. 각 처리별 병 정도를 점수로 환산하고 JMP software version 5.0 (SAS Institute Inc., Cary, NC)를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고추 포장에서 PB25에 의해 유도되는 ISR 반응시 프라이밍 유전자 발현 조사
포장에서 PB25에 의해서 ISR 반응이 유도될 때 식물체내의 저항성 유전자들의 발현과 프라이밍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병 접종 후 0, 3 및 6 시간째에 잎을 샘플링하여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액체 질소에 보관된 잎을 막자와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곱게 간 후 트리졸(Trizol)을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총 RNA를 대상으로 역전사 반응을 하여 cDNA를 합성하였고,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을 수행하기 위한 프라이머는 CaPR1: 5'-ACTTGCAATTATGATCCACC-3'(서열번호 1) 및 5'-ACTCCAGTTACTGCACCATT-3'(서열번호 2), CaPR4: 5'-AACTGGGATTTGAGAACTGCCAGC-3'(서열번호 3) 및 5'-ATCCAAGGTACATATAGAGCTTCC-3'(서열번호 4), 그리고 CaTin-1: 5'-TGGGCTTATGGGCAGTGGTTAC-3'(서열번호 5) 및 5'- GCATCGTTTGTGTTCTCCTGTGG-3'(서열번호 6)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CaActin 프라이머(5'-TTGGACTCTGGTGATGGTGTG-3'(서열번호 7) 및 5'-AACATGGTTGAGCCACCACTG-3'(서열번호 8))를 사용하였다. PCR은 95℃에서 30초, 55℃에서 30초 및 72℃에서 1분의 조건으로 각각 29 주기로 수행하였다.
qRT-PCR을 수행하기 위해서 Chromo4 real-time PCR system (BIO-RAD)을 사용하였고, 각 처리군 마다 세 번씩 반복 수행을 하였으며, 각 튜브마다 1 × Brilliant SYBR Green QPCR master mix를 첨가하고 전체 부피가 20 ㎕가 되도록 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qRT-PCR의 수행조건은 하기와 같다. 95℃에서 10분 동안의 변성 과정, 그리고 95℃에서 60초, 55℃에서 30초, 72℃에서 30초의 조건으로 40 주기를 각 처리군 마다 3 반복씩 수행하였다.
PB25 에 의한 생육 변화 조사
포장에서 PB25에 의한 ISR 반응에 대한 실험을 진행함과 동시에 PB25 균주에 의한 식물 생장 촉진 능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두 차례에 걸쳐 고추 열매 총량을 조사하여 PB25, BTH 및 BABA 처리에 의한 생산량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생산량 측정은 고추 유묘 정식 후 60일 후에, 두 번째 생산량 측정은 고추 유묘 정식 후 100 일째에 수행하였다. 생산량 산출은 각 개체에서 고추 열매를 수확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무게를 각 처리별 개체 수를 나누어 한 개체당 생산되는 평균 생산량을 조사하였다.
PB25 로부터 ISR 유도 대사물질의 분리
ISR 유도 대사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PB25를 리팜피신이 포함된 TSB (tryptic soy broth)에서 2일 동안 배양하였다. 균주 배양액을 20분 동안 10,000 g로 원심 분리를 수행하여 세포 제거 후 상등액만 회수하였다. 이후 상등액에 두 배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을 처리하여 물질을 추출하였다. 유기상(organic phase)의 물질은 증발기를 이용하여 40℃에서 건조시킨 뒤, 80% 클로로포름과 20% 메탄올 혼합 용액에 녹였다. 80% 클로로포름과 20% 메탄올로 슬러리-팩킹(slurry-packing)된 실리카겔이 들어 있는 유리 컬럼(길이: 15 mm 또는 300 mm)에 2배 부피의 용매를 넣고 씻어내었다. 각 단계마다 5%(v/v)의 메탄올의 비율을 높여 진행하였다. 각 단계에서 분리된 물질들을 증발기를 이용하여 다시 40℃에서 건조시켰고, 상기 물질을 이용하여 ISR 생물검정을 수행하였다. ISR 활성 물질이 포함된 분획은 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Sephadex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얻은 물질로 다시 ISR 실험을 수행하였다. ISR 활성이 나온 분획은 reversed phase-prep-HPLC (Dionex P680 dual pump, USA) 및 NMR을 수행하여 구조를 밝혔다.
바실러스 PB25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ISR 유도 물질을 이용한 생물검정
PB25로부터 분리된 2-아미노벤조산(2-aminobenzoic acid)의 ISR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물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24 멀티-웰 시스템(multi-well system)과 담배(Nicotiana tabacum cv. Xanthi NC)를 도입하였다. 또한 2-아미노벤조산의 유사체인 3-아미노벤조산 및 4- 아미노벤조산도 같은 방법으로 생물검정을 수행하였다. MS 영양 한천이 들어 있는 24 멀티-웰에 표면 살균하여 발아된 담배 종자를 이식하여 2주 동안 배양하였다. 2주 후 2-아미노벤조산, 3-아미노벤조산 및 4-아미노벤조산을 10 nM, 10 μM 및 1 mM의 농도로 담배 뿌리에 관주하였다. 일주일 후, 담배의 병원균인 세균성 무름병균(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을 106 CFU/mL의 농도로 담배 잎에 접종하였다. 이후 24시간 이내에 병징을 질병 색인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0.5 mM BTH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병징 조사를 수행하였다.
하우스 실험의 PB25에서 분리된 2- 아미노벤조산에 의한 고추 및 담배에서의 ISR 반응
하우스 실험의 PB25에서 분리된 2-아미노벤조산과 이성질체인 3-아미노벤조산 및 4-아미노벤조산의 ISR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담배 및 고추를 이용하여 ISR 실험을 수행하였다. 고추 및 담배는 하우스에서 2주간 배양한 개체를 사용하였으며, 담배는 각 물질별로 100 nM, 10 μM 및 1 mM을 뿌리에 5 ml씩 접종하였으며, 고추는 각 물질별로 10 μM, 50 μM, 100 μM, 500 μM, 1 mM 및 10 mM을 5 ml씩 관주하였다. 대조군으로 PB25 균주 배양액과 0.5 mM BTH를 사용하였다. 각 물질을 뿌리에 관주 후 1주일 뒤, 담배에는 세균성 무름병균(E. carotovora subsp. carotovorum SCC1)을, 고추에는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X. axonopodis pv. vesicatoria)을 OD600 = 0.01로 접종하였다. 그 후, 상기 ISR 병징 관찰과 동일하게 질병 색인을 참고로 하여 ISR 유무를 관찰하였다.
2- 아미노벤조산에 의한 ISR 반응 동안 일어나는 유전자의 발현 조사
담배에서 PB25에 의해서 ISR 반응이 유도될 때 식물체 내의 저항성 유전자들의 발현 정도와 프라이밍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아미노벤조산 처리 및 병원균 접종 후 0시간, 3시간 및 6시간째에 잎을 샘플링하여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액체 질소에 보관된 잎을 막자와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곱게 간 후 트리졸을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총 RNA를 역전사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고,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을 수행하기 위한 프라이머는 PR1a-F; 5'-AAT ATC CCA CTC TTG CCG-3'(서열번호 9) 및 PR1a-R; 5'-CCT GGA GGA TCA TAG TTG-3'(서열번호 10), PR1b; 5'-ATC TCA CTC TTC TCA TGC-3'(서열번호 11) 및 5'-TAC CTG GAG GAT CAT AGT-3'(서열번호 12), PR1c; 5'-CTT GTC TCT ACG CTT CTC-3'(서열번호 13) 및 5'-AAC ACG AAC CGA GTT ACG-3'(서열번호 14), PR2; 5'-ACCATCAGA CCAAGATGT-3'(서열번호 15) 및 5'-TGGCTAAGAGTGGAAGGT-3'(서열번호 16), PR4; 5`-ATGGTTGGAACTTCCGGA-3'(서열번호 17) 및 5'TCCTGATCTCTCTGCTAC-3'(서열번호 18), PR5; 5'-ATGAGAAAGACCCACGTC-3'(서열번호 19) 및 5'-ATGCCTTCTTTGCAGCAG-3'(서열번호 20), PR6; 5`-ATGCCACAATCTCAACCA-3'(서열번호 21) 및 5'-ACCTAATGCAGCCCGAAT-3'(서열번호 22), SAR8.2; 5`-CCTTGCCTTTCTTTGGCT-3'(서열번호 23) 및 5'-GACATTTAGGACATTTGCTGC-3'(서열번호 24)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 Actin 프라이머(5'-TGGACTCTGGTGATGGTGTC-3'(서열번호 25) 및 5'-CCTCCAATCCAAACACTGTA-3'(서열번호 26))를 사용하였다. PCR은 95℃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1분의 조건으로 각각 29주기로 수행하였다. PCR 산물의 확인은 2% 아가로스 겔에서 수행하였다.
2-, 3- 및 4- 아미노벤조산의 항균 활성
2-, 3- 및 4-아미노벤조산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의 측정은 LB (Luria Bertani) 한천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방법으로는 지름 1 cm 디스크 위에 10 mM, 1 mM, 10 μM 및 100 nM의 2-, 3- 및 4-아미노벤조산을 각각 떨어뜨렸다. 이후 디스크를 충분히 말린 다음, 담배 및 고추의 병원균인 세균성 마름병균(E. carotovora subsp. carotovorum SCC1) 및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X. axonopodis pv. vesicatoria)이 도말된 LB 한천 플레이트 위에 디스크를 올려놓고 30℃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디스크 주변에 클리어 존(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 대한 ISR 유도 능력 검정 및 유용 바실러스 속 균주 선발
고추에서 ISR 유도 능력을 가진 균주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국의 고추 배양지에서 병이 발생하지 않은 고추 뿌리를 취하여 균주 분리를 수행하였다. 고추의 뿌리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분포하고 있다. 이중 곰팡이를 제외한 세균만을 선별하였으며, 세균 중에서도 그람 음성 세균을 제외한 그람 양성 세균만을 선별하였다. 기존에 ISR 유도 능력을 지닌 세균으로는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p.)과 바실러스 계열의 균주가 보고되었다. 특히 바실러스 계열의 균주는 내생포자(endospore)를 만들기 때문에 여러 극한 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고 상품성으로 가치가 뛰어나 본 실험에서는 바실러스 계열의 세균만을 선별하였다. 바실러스 계열의 균주를 구분하기 위해, 열처리를 통하여 그람 음성 세균을 제거하였으며, 나머지 그람 양성 세균 중 바실러스 계열만을 분리하기 위해 몇 차례의 단일 콜로니 분리과정을 거쳐 총 741개의 균주를 1차 선별했다.
실시예 2: ISR 유도 실험을 위한 고추의 준비와 배양
ISR을 유도하는 바실러스 속 균주를 선별하기 위한 식물 재료로 부강 고추(Capsicum annuum L. cv. Bukang)를 사용하였다. 소독된 종자를 MS 식물배양 배지에서 발아시켜 상토에 이식 후, 25℃ 항온실에서 2주간 배양하였다. 고추의 본엽이 4~5개가 나오면, 각 화분에 OD600 = 1.0 (108 CFU/mL) 농도의 균주 741종을 각각 5 mL 씩 뿌리에 관주하였다. 7일 후,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을 유발하는 세균인 Xav (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를 105 CFU/mL 농도로 고추의 3, 4 및 5번째 본엽에 바늘을 제거한 1mL 주사기를 이용하여 팽압에 의한 방법으로 접종하였다. 접종 5일 후부터 잎에 나타나는 병징을 관찰하고 병이 나타나는 정도를 수치로 환산하여 통계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ISR 반응을 유도하는 균주를 선별했다 (도 1).
실시예 3: BS101 PB25 균주의 ISR 유도 능력 비교 및 검증
기존의 ISR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는 바실러스 속 세균과 본 연구에서 새롭게 분리한 세균의 ISR 유도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B0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acillus subtilis) INR7,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IN937a 및 바실러스 푸밀러스(Bacillus pumilus) SE34를 선택하여 선별과정과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새롭게 분리된 BS101 및 PB25 균주는 0.5 mM BTH 보다는 ISR 유도 효과가 떨어지나 다른 알려진 세균과는 유사한 정도로 ISR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실시예 4: BS101 및 PB25의 ISR 유도 능력과 식물 생장 촉진 능력 확인
새롭게 분리한 BS101 및 PB25의 ISR 유도 능력과 고추의 생장 촉진 능력을 동시에 관찰하기 위하여, 두 균주를 OD600 = 1.0 (108 CFU/mL) 농도로 식물에 처리 하고, 7일 뒤 병원균인 Xav를 처리하였다. 이후 시간에 따라 병 발생을 관찰한 결과, BS101 및 PB25는 여전히 식물의 ISR을 유도하여 병 발생을 줄였다(도 3). 두 세균이 유도한 ISR이 식물 생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식물의 생중량과 길이 생장을 관찰한 결과, BS101 및 PB25를 처리한 고추의 무게는 평균 0.8 g 과 1.8 g을 각각 나타내었고, BTH 처리군은 평균 1 g, 물 처리한 고추의 무게는 평균 1.5 g 을 나타내었다. 고추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BS101은 평균 9 cm, PB25는 평균 14 cm, BTH 처리는 평균 12 cm, 물 처리는 평균 12 cm를 나타내었다(도 3). 위 결과를 종합할 때, BS101은 ISR을 강력히 유도하지만 식물생장은 억제하는 반면 PB25는 강한 ISR을 유도함과 동시에 식물의 생장도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B25의 ISR 유도 능력을 좀 더 확고히 하기 위해, 병원균에 의한 세포사멸 정도를 이온 누출(ion leakage)을 측정함으로써 비교하였다. 병원균인 Xav를 처리한 첫날 이온 누출을 측정한 결과 PB25 처리군, 양성 대조군인 0.5mM BTH 처리군 및 물 처리군 모두에서 거의 같은 수준의 이온 누출을 관찰했다. 병원균 처리 2일 후 0.5 mM BTH 처리군에서 다른 두 처리군에 비해 적은 양의 이온 누출이 나타났으며, 4일째에는 PB25 처리군의 이온 누출이 70%, 0.5 mM BTH 처리군은 60%, 물 처리군은 82%로 나타나 PB25 처리에 의해 세포 사멸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실시예 5: BS101 및 PB25의 뿌리 정착 능력
ISR 유도능을 가지고 있는 BS101 및 PB25의 뿌리 정착 능력을 관찰하기 위하여 두 균주를 OD600 = 1.0 (108 CFU/mL) 농도로 뿌리에 관주하고 1시간 후, 그리고 5, 10, 15 및 20일 후 각각 뿌리를 취하여 뿌리 1 g 당 존재하는 균주의 수를 측정하였다. BS101 및 PB25 두 균주 모두 첫날 106 CFU/mL 농도의 세균이 존재했으며, 이후 5일 간격으로 20일 동안 관찰한 결과 20일이 지난 이후에도 105 CFU/mL 농도의 세균이 계속 유지되었다(도 5).
실시예 6: PB25 균주의 동정
식물의 ISR을 유도하며 생장을 촉진하는 PB25를 동정하기 위해, 우선 16S rDNA 서열을 분석하고 MEGA 4.0을 이용하여 진화적 위치를 확인해 보았다. PB25는 바실러스 튜린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WS2626과 진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이며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등과도 근연 종인 것으로 드러났다(도 6C).
또한 PB25의 이 후 실험과정이나 응용시 안정성을 위하여 병원성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PB25 유전체 내에 병원성 바실러스에 속하는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가 가지고 있는 병원성 유전자(pXO1 플라스미드의 paq, cya 및 lef 유전자)가 존재하는지 PCR을 통해 확인했다. 도 6A에서 볼 수 있듯이 본 연구에서 분리한 PB25 및 BS101의 유전체에서는 특정 병원성 유전자가 증폭되지 않았다. PB25의 비병원성을 좀 더 확고히 하기 위해 한양대학교 채영규 박사님께 의뢰하여 일반적으로 바실러스 안트라시스의 특징이 되는 용혈 시험을 수행하였다. PB25의 경우 바실러스 안트라시스와 달리 용혈을 관찰할 수 없었다(도 6B). 병원성 유전자 유무 검증과 용혈 시험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분리한 PB25의 병원성 위험도는 매우 낮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PB25 균주의 좀 더 정확한 학명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방산 분석을 시도하였다. MIDI 분석을 통하여 지방산 분석 결과 PB25 균주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서브그룹(Bacillus cererus subgroup) 혹은 바실러스 마이코이데스(Bacillus mycoides)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바실러스 세레우스 서브그룹은 바실러스 튜린겐시스, 바실러스 세레우스 및 바실러스 안트라시스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바실러스 안트라시스를 제외하고 다른 두 세균의 특징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했다. 바실러스 튜린겐시스는 일반적인 바실러스 배양 배지인 TSA나 NA (Nutrient agar)에서 결정을 형성하는데 반해, PB25는 결정을 만들지 못했다. 또한 바실러스 세레우스와 바실러스 튜린겐시스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특정 유전자를 선택하여 PB25 균주, 바실러스 튜린겐시스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의 유전체를 대상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B25에서는 바실러스 속과 동일한 패턴으로 PCR 산물의 밴드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6D). 상기 모든 특징을 고려할 때 PB25는 바실러스 튜린겐시스의 특징과 일치하는 부분이 가장 많으므로, 바실러스 튜린겐시스에 속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7: BS101 및 PB25 균주에 의한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가
BS101 및 PB25에 의해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증가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저온 및 건조 조건에서 방치 후 회복되는 양상을 관찰했다. BS101 및 PB25 모두 건조 내성을 증가시켰으며(도 7A 및 7B), 저온의 경우 BS101은 식물의 내성을 양성 대조군인 앱시스산(abcisic acid, ABA) 정도로 증가시켰으나 PB25는 큰 효과가 없었다(도 7C 및 7D).
실시예 8: PB25 에 의한 고추에서 병 저항성 신호전달체계 수립
PB25를 처리하고 이후 병원성 세균인 Xav를 접종 후 0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째에 고추잎을 채취하여 RNA를 추출한 후 올리고-마이크로어레이(oligo-microarray) 분석을 통해 선별된 프라이밍(priming) 유전자 중 일부 유전자를 대상으로 RT-PCR을 수행하였다. 특히, SCP 도메인을 포함하는 방어-관련 단백질(defense-related protein containing SCP domain)을 암호화하고 있는 PEPPERS0010160은 PR 단백질이 암호화하고 있는 SCP 도메인과 블라스트 검색(blast search) 결과 100% 일치하고 있었으며, 터펜 합성효소 패밀리(terpene synthase family)를 암호화하고 있는 PEPPERS0010704의 경우에도 애기장대의 터펜 합성효소 유전자와 상당히 높은 유사성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두 유전자를 포함하여 방어 기작에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PR 유전자의 RT-PCR 수행 결과,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PR10을 제외한 PR4 유전자가 프라이밍된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특히 PR1과 PR4 유전자의 경우 병원성 세균이 침입하기 전에는 발현이 되지 않거나 아주 낮은 수준으로 발현되어 있다가 병원균의 침입과 동시에 아주 빠르고 강력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평상시에는 발현되지 않다가 병원체가 침입할 경우에만 강하고 빠르게 발현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좀 더 명확한 발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R1과 PR4 유전자를 대상으로 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였다(도 8C). 그 결과 PR1의 경우 BTH를 처리한 고추잎에서는 RT-PCR 결과와 유사하게 항상 높게 발현이 되었으며, 바실러스 속 PB25 균주를 처리한 잎에서만 0시간에 비하여 24시간에서는 12배 이상 높게 발현되었으며, PR4 유전자의 경우 PB25 균주를 처리한 경우 0시간에 비하여 24시간에서 3배 이상 발현이 되었고, BTH 처리한 잎에서도 2배 정도 증폭되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물 처리에서는 0시간과 24시간에서도 발현 양의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상기 실험에서 바실러스 속 PB25가 고추 병원성 세균인 Xav에 대하여 저항성을 유도함을 확인하였고, 또한 프라이밍 유전자 발현도 RT-PCR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바실러스 속 PB25에 의한 병 저항성 신호전달 체계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고추에서 선행 연구된 여러 문헌을 조사하여 17개의 유전자를 병 저항성 신호 전달 체계를 밝히는 지표 유전자로 사용하였다. 식물의 방어 기작에는 크게 3가지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첫째는 살리실산(salicylic acid; SA) 의존적 경로, 두번째는 자스몬산(jasmonic acid; JA) 의존적 경로, 세 번째는 에틸렌(ethylene; ET) 의존적 경로가 있다. 상기 3가지 경로에 반응하는 유전자들이 바실러스 속 PB25의 처리 시 발현되는 패턴을 분석하여 병 저항성 신호 전달 체계를 분석하였다. 상기 유전자들은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SA 및 ET에 동시에 반응하는 유전자 그룹이고, 두 번째는 JA 및 ET에 동시 반응하는 유전자 그룹, 세 번째는 방어 반응에 있어 항시 발현되는 유전자 그룹이다. 상기 유전자들을 RT-PCR을 통해 분석을 해 본 결과, 도 9에서와 같이 PR4, Tin1 및 Tin1-2 유전자의 발현이 PB25 처리에 의해 강하게 나타났고, cyp 유전자도 약하지만 차이를 나타냈다. 상기 도 8에서 확인된 일부 유전자들의 발현 패턴을 조합하여 볼 때, 바실러스 속 PB25에 의해 유도된 저항성은 ET 및 JA 의존적 유전자들이 빠르고 강하게 발현되고, ET 및 SA에 반응하는 유전자들의 발현도 현저한 것으로 보아, ET 의존적 방어 기작이 주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9: 포장에서 PB25 에 의한 유도 저항성 실험
하우스 실험에서 ISR 유도 효과가 입증된 PB25가 포장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포장에서 고추를 대상으로 ISR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째로, 처리한 PB25와 원래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과 관계, 그리고 PB25가 고추와 상호 관계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지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108 CFU/mL으로 처리한 PB25는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균 침지 후 1시간 뒤에 취한 고추의 근권에 정착한 에피파이트(epiphyte) PB25의 개체수가 106 CFU/ml 이었다. 동시에 전체 토양내의 균주의 개체수는 107 CFU/ml 이었다. PB25와 함께 BTH를 처리한 고추와 PB25균주와 BABA를 함께 처리한 고추의 뿌리에서도 PB25 단독 처리한 것과 동일하게 에피파이트 PB25 개체수는 106 CFU/ml, 전체 토양내의 균주의 개체수는 107 CFU/ml 이었다. 또한 PB25를 처리하지 않고 BTH, BABA 및 물 처리에서의 전체 토양내의 균주 수는 107 CFU/ml로 동일했다. 이로써 초기 PB25 균주가 고추의 뿌리 부위에 정착할 때 토양내 원래 존재하는 다른 균주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B25가 식물 내생 균주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고추 뿌리 내부의 개체수를 측정해 본 결과, 식물 내부에서 PB25를 발견하지 못하였고 PB25는 내생 균주가 아닌 것으로 결론지었다. PB25 침지 후 40일 동안 10일 간격으로 균주의 개체수를 측정하였는데, 침지 10일 후 PB25와 토양 내 전체 균 수를 측정해 본 결과 균주를 침지한 당일에 측정한 결과에 비하여 PB25 균주를 처리한 처리군에서 토양의 전체 균 수가 약간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B25를 단독으로 처리한 것에서는 101 CFU/mL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PB25/BTH나 PB25/BABA 복합 처리한 것에도 101 CFU/ml 보다는 적지만 약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표 1).
실험이 진행된 40일 동안 PB25, PB25/BTH 및 PB25/BABA 처리군에서 PB25의 정착능력을 관찰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균수가 106 CFU/mL 수준에서 조금씩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으나 최종 105 CFU/mL 수준 정도로 유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동시에 내생 균주 수를 함께 측정해 본 결과 내생 균주는 발견할 수 없었다(표 1). 따라서 PB25는 식물체 내에서 정착하여 살아가는 능력은 없다고 생각한다.
뿌리에 콜로니화된 세균의 집단
처리 집단
처리된 세균 (cfu/g)
에피파이트 엔도파이트 총 세균수(cfu/g)
0일
바실러스 속 PB25 6.51 ± 0.12 a ND 7.40 ± 0.11 a
바실러스 속 PB25/BTH 6.46 ± 0.04 a ND 7.28 ± 0.18 a
바실러스 속 PB25/BABA 6.43 ± 0.11 a ND 7.38 ± 0.09 a
BTH NT NT 7.43 ± 0.11 a
BABA NT NT 7.29 ± 0.05 a
대조군 NT NT 7.42 ± 0.11 a
10일
바실러스 속 PB25 7.42 ± 0.29 a ND 8.06 ± 0.10 ab
바실러스 속 PB25/BTH 6.96 ± 0.06 a ND 8.80 ± 0.27 a
바실러스 속 PB25/BABA 6.76 ± 0.27a ND 8.14 ± 0.41 ab
BTH NT NT 7.96 ± 0.10 ab
BABA NT NT 7.80 ± 0.32 b
대조군 NT NT 7.95 ± 0.07 ab
20일
바실러스 속 PB25 6.47 ± 0.42 a ND 8.31 ± 0.16 abc
바실러스 속 PB25/BTH 5.04 ± 0.16 ab ND 7.59 ± 0.10 c
바실러스 속 PB25/BABA 5.09 ± 0.10 ab ND 7.87 ± 0.11 bc
BTH NT NT 8.13 ± 0.27 abc
BABA NT NT 8.15 ± 0.09 abc
대조군 NT NT 8.21 ± 0.05 abc
30일
바실러스 속 PB25 6.29 ± 0.18 b ND 7.90 ± 0.18 abc
바실러스 속 PB25/BTH 7.09 ± 0.14a ND 7.70 ± 0.30 bc
바실러스 속 PB25/BABA 5.80 ± 0.15 c ND 7.73 ± 0.11 bc
BTH NT NT 7.78 ± 0.14 abc
BABA NT NT 7.74 ± 0.18 bc
대조군 NT NT 7.67 ± 0.08 c
40일
바실러스 속 PB25 5.27 ± 0.11a ND 7.29 ± 0.17a
바실러스 속 PB25/BTH 4.95 ± 0.15a ND 7.75 ± 0.15a
바실러스 속 PB25/BABA 4.64 ± 0.08a ND 7.89 ± 0.24a
BTH NT NT 7.44 ± 0.47a
BABA NT NT 7.21 ± 0.22a
대조군 NT NT 7.82 ± 0.25a
ND : 미검출, NT : 검사되지 않음.
실시예 10: 자연발생적 병에 대한 ISR
자연발생적 병에 대하여 여러 처리군에서의 ISR 반응을 관찰하였다. 본 포장에서는 CMV (cucumber mosaic virus)에 의한 바이러스병과 세균성 점무늬병이 전반적으로 발생하였다. PB25, BTH, BABA 침지 후 80일째에 발생한 두 병징에 대하여 각 개체별로 병징을 조사한 결과, PB25 처리에 의한 세균성 점무늬병의 병징은 2를 나타내었고 PB25/BABA, PB25/BTH, BABA 및 BTH 처리에 대한 병징은 각각 1.5, 1.5, 2 및 1.5를 나타내었다(도 10A). 반면, 물 처리는 3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커다란 병징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통계학적 분석에 따르면 PB25, BTH 및 BABA 처리에 따른 유도 저항성 능력은 물 처리에 비하여 높게 발생하였다. 또한 CMV 병징에 대한 저항성 유도 반응은 물 처리에서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PB25, PB25/BTH, PB25/BABA, BABA 및 BTH 처리는 각각 1.5, 1,2, 2, 1.8 및 1.5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하여 물 처리는 3을 나타내어 다른 PB25, BTH 및 BABA 처리가 저항성 반응을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도 10B).
실시예 11: PB25에 의한 ISR 이 유도되는 동안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 조사
하우스 실험에서 PB25 균주에 의해 발현되는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이 포장실험에서도 발현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CaPR1 , CaPR4 Tin -1 유전자를 대상으로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하우스의 실험과 동일하게 PB25에 의하여 ISR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특정 저항성 유전자의 프라이밍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병 접종 후 초기 시간인 0, 3 및 6시간째에 샘플링한 고추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침지 10일 뒤 CaPR1 유전자의 발현이 병 접종 3시간 및 6시간 후에 PB25, PB25/BTH 및 PB25/BABA 처리에서 강하게 발현이 되었다. 반면, BTH 및 BABA 단독 처리에서는 3시간 및 6시간 후에도 물 처리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자스몬산/에틸렌 의존적으로 발현되는 CaPR4 유전자의 경우 PB25, PB25/BTH 및 BTH 처리에 의해 강하게 발현되었다. 병 접종 직후인 0시간째에도 PB25/BTH 및 BTH 처리군에서 CaPR4 유전자의 발현은 물 처리에 비하여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강하게 발현되었다. 또한 PB25 단독 처리군의 경우에서는 3시간 후부터 물 처리에 비하여 강하게 발현이 되었다. 반면 PB25/BABA 및 BABA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강한 발현을 관찰할 수 없었다. 에틸렌 의존적인 Tin-1 유전자의 경우 PB25 및 PB25/BABA 처리에서 3시간째부터 물 처리에 비하여 강하게 발현이 되었으며, PB25/BTH 및 BTH 처리에서는 6시간째부터 물 처리에 비하여 강하게 발현이 되었다(도 11A). 이와 같은 실험을 침지 20일 및 40일 후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샘플링하여 RT-PCR을 통한 유전자의 발현 패턴 분석과 저항성 유전자의 프라이밍 효과를 관찰해보았으나 뚜렷한 프라이밍을 관찰할 수 없었으며, 이 결과는 앞서 알아본 병징 관찰 결과와 일치한다. 병이 적게 발생한 처리군에서 저항성 관련 유전자인 CaPR1 , CaPR4 Tin -1의 발현이 높게 발현이 되었고, 병징 관찰이 어려웠던 침지 20일 및 40일째의 결과는 각 처리별로 물 처리와 비교하여 차이가 나지 않았다.
침지 후 10일째에서 PB25에 의한 뚜렷한 ISR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므로, 이 결과를 좀더 확고히 하고자 CaPR1 , CaPR4 Tin -1 유전자를 대상으로 qRT-PCR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RT-PCR로 확인했던 결과와 차이를 나타내는 부분은 CaPR1 유전자의 발현이었는데, 이 전에는 PB25 및 BTH 처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발현 양이 많은 것으로 보였으나 qRT-PCR 결과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도 11B). 반면, CaPR4 유전자의 발현은 PB25 처리에서 물 처리에 비하여 2배 정도 높게 발현이 되었으며, PB25/BTH, BTH 및 BABA 처리에서는 물 처리에 비하여 각각 8배, 8배 및 4배 높게 발현이 되었다(도 11C). 즉, PB25를 포함한 BTH 및 BABA에 의하여 CaPR4 유전자가 6시간째에 프라이밍 되어졌다고 판단된다.
하우스에서 이뤄진 실험과 달리 포장에서 이뤄진 ISR 실험과 유전자 발현은 분명한 차이를 보여준다. 하우스 실험에서 프라이밍 효과를 보여주던 CaPR1과 Tin-1 유전자의 프라이밍 효과는 포장실험에서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CaPR4 유전자는 하우스나 포장실험에서 동일하게 프라이밍 효과를 찾을 수 있었으며 다른 유전자에 비하여 강하게 발현되었다. 하우스 실험과 달리 BTH에 의한 프라이밍 효과도 상당히 강하게 발현이 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제어된 하우스 실험과 각종 다양한 환경 변수가 있는 포장 실험에서의 차이로 여겨진다. 그러나 PB25에 의한 CaPR4 유전자의 발현이 하우스나 포장에서 동일하게 프라이밍된 효과를 나타내므로 CaPR4 유전자를 프라이밍 마커 유전자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12: 포장에서 PB25에 의한 식물 생장 측정
ISR 반응이 일어날 때 일부 식물체에 저항성을 유도하는 ISR 유도 균주는 저항성 반응만을 유도하는 균주가 있고 또한 저항성 반응과 식물 생장 반응을 동시에 유도하는 균주가 존재한다. 본 실험에 사용된 PB25는 하우스 실험을 통해 저항성 유도와 동시에 식물 생장 촉진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PB25가 포장실험에서도 하우스 실험과 동일하게 식물 생장과 ISR 반응을 동시에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번에 걸쳐 고추의 생육 조사를 수행하였는데, 고추 열매가 열리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 및 고추 열매가 한창 열리는 후기 단계에 각 처리별 고추 수확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초기 단계에서의 고추 수확량은 PB25/BTH 및 BTH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물 처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물 처리를 포함한 PB25 및 BABA 처리에서는 각 개체당 100g의 수확량을 보였으나 PB25/BTH 및 BTH 처리에서는 그 절반인 50g의 수확량을 보여주었다(도 12A). 후기 단계에서 수확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TH 또한, 물 처리나 PB25와 비교하여도 동일하게 평균값을 보여주었다(도 12B). 따라서, PB25 처리는 하우스 실험과는 달리, 포장에서 식물 생장 촉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PB25에서 ISR 반응 유도 인자의 발견
PB25 균주는 하우스와 포장실험을 통하여 고추에 ISR 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ISR을 유도함에 있어서 PB25 균주가 지닌 ISR 유도 인자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물질 분석을 진행하였다. PB25 배양 배지에서 PB25 세포를 제거한 상등액을 이용하여 몇 단계의 분리 작업을 진행하였다. Q-TOF MS 분석에서 (M-H)+ 136.0390 특정 위치에서 피크가 확인되었다(도 13). 분리된 대사 물질을 GC/MS 분석을 통하여 분석을 하였다. EI 분석에서 137 위치에서 M+ 피크가 나왔고, CI 분석에서는 138 위치에서 (M+H)+ 피크가 나왔다(도 14). 그 후 질량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2-아미노벤조산과 98% 상동성이 있음을 밝혀내었다. 1H NMR 분석을 통하여 표 2와 같은 프로톤(proton)을 분석하였으며, 다른 벤젠 프로톤의 위치를 δ 7.86 (1H, dd), δ 7.31 (1H, td), δ 6.85 (1H, dd) 및 δ 6.73 (1H, td)으로 확인하였다. 모든 분석을 통하여 2-아미노벤조산임을 정확히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4: PB25로부터 분리된 2- 아미노벤조산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PB25로부터 분리된 2-아미노벤조산이 병원성 세균에 대해 직접적인 저해 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추의 병원성 세균인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과 담배의 병원성 세균인 세균성 마름병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2-아미노벤조산의 유사 물질인 3-아미노벤조산 및 4-아미노벤조산(도 15)을 포함하여 항균 활성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2-, 3- 및 4-아미노벤조산의 항균 활성은 상기 두 가지 병원성 세균에 대하여 직접적인 저해능이 없었다(도 16). 이 결과를 토대로 ISR 실험을 진행함에 있어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2-, 3- 및 4- 아미노벤조산에 의한 고추 및 담배에서의 ISR
PB25에서 선별된 2-아미노벤조산과 3- 및 4-아미노벤조산을 이용하여 고추와 담배에서 각각 ISR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담배를 이용하여 하우스와 실험실내에서 ISR 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하우스에서 배양된 담배 유묘에 2-, 3- 및 4- 아미노벤조산을 농도별로 처리 후 세균성 마름병균을 접종하여 병원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우스 실험에서는 10 μM 이상의 2-아미노벤조산을 적용시 ISR 유도 효과가 나타났으며 3- 및 4-아미노벤조산 적용시에는 농도와 상관없이 ISR 유도 반응이 일어났다. 24 멀티-웰 시스템을 이용한 ISR 실험에서는 하우스 실험과는 달리 세 물질 처리군 모두에서 농도와 상관없이 ISR 반응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7).
담배와 동일하게 고추에서도 동일하게 하우스에서 ISR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물질별로 ISR 실험을 진행한 결과, 2-아미노벤조산은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균에 대하여 농도와 상관없이 병징이 3으로 나타났으며 물 처리는 4 정도로 병징이 관찰되었다. 강한 ISR 반응이 이뤄지지는 않았으나 물 처리에 비하여 ISR 효과가 입증되었다 (도 18A). 또한 2-아미노벤조산의 유사 물질인 3- 및 4-아미노벤조산을 이용하여 ISR 실험을 진행한 결과, 3-아미노벤조산은 고추에서 ISR 반응을 유도하지 못하였으며(도 18B), 4-아미노벤조산은 고추에서 10 μM 및 10 mM에서 유도저항성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8C).
실시예 16: 2- 아미노벤조산에 의한 ISR 반응 동안 유전자의 발현의 변화
실험실내에서 진행된 담배의 ISR 반응 실험 동안, 담배에서 2-아미노벤조산에 의한 저항성 관련 유전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유전자의 프라이밍에 관점을 두고 초기에 강하고 빠르게 발현되는 저항성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PR1a 유전자는 2-아미노벤조산 처리 후 1일 후부터 강하게 발현되다가 병 접종 후 3시간 후부터 물 처리에 비하여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PB25 처리에 의해서도 병 접종 후 3시간부터 물 처리에 비하여 강하게 발현되었다. PR1c 유전자는 2-아미노벤조산 처리 후 1일 후부터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병 처리 후에 약한 발현을 나타냈다. PR2 유전자는 2-아미노벤조산 처리 후 1일 후부터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병 처리 후에도 3시간 및 6시간째에 물 처리에 비하여 강하게 발현되었다. PR4 유전자는 2-아미노벤조산 및 PB25 처리 후 3일 후부터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병 접종 후 6시간째부터 강하게 발현되었다. 나머지 PR1b, PR5, PR6, JAZ 및 SAR8.2 유전자의 발현은 물 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므로 프라이밍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도 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203 20101123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Bacillus sp. PB25 strain isolated from soil and uses thereof <130> PN10234 <160> 2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PR1 primer <400> 1 acttgcaatt atgatccac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PR1 primer <400> 2 actccagtta ctgcaccatt 20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PR4 primer <400> 3 aactgggatt tgagaactgc cagc 24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PR4 primer <400> 4 atccaaggta catatagagc ttcc 24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Tin-1 primer <400> 5 tgggcttatg ggcagtggtt ac 22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Tin-1 primer <400> 6 gcatcgtttg tgttctcctg tgg 23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Actin primer <400> 7 ttggactctg gtgatggtgt g 21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aActin primer <400> 8 aacatggttg agccaccact g 21 <210> 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1a-F forward primer <400> 9 aatatcccac tcttgccg 18 <210> 1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1a-R reverse primer <400> 10 cctggaggat catagttg 18 <210> 1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1b primer <400> 11 atctcactct tctcatgc 18 <210> 1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1b primer <400> 12 tacctggagg atcatagt 18 <210> 1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1c primer <400> 13 cttgtctcta cgcttctc 18 <210> 1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1c primer <400> 14 aacacgaacc gagttacg 18 <210> 1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2 primer <400> 15 accatcagac caagatgt 18 <210> 1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2 primer <400> 16 tggctaagag tggaaggt 18 <210> 17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4 primer <400> 17 atggttggaa cttccgga 18 <210> 18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4 primer <400> 18 tcctgatctc tctgctac 18 <210> 19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5 primer <400> 19 atgagaaaga cccacgtc 18 <210> 20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5 primer <400> 20 atgccttctt tgcagcag 18 <210> 21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6 primer <400> 21 atgccacaat ctcaacca 18 <210> 2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6 primer <400> 22 acctaatgca gcccgaat 18 <210> 2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AR8.2 primer <400> 23 ccttgccttt ctttggct 18 <210> 2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AR8.2 primer <400> 24 gacatttagg acatttgctg c 21 <210> 2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tin primer <400> 25 tggactctgg tgatggtgtc 20 <210> 2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ctin primer <400> 26 cctccaatcc aaacactgta 20

Claims (21)

  1. 식물병 방제 효과 또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증진 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PB25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가 KCTC 18203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속(Bacillus sp.) PB25 균주.
  3. 제1항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세균성 병 또는 바이러스성 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병은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병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7. 제3항의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induced systemic resistance)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세균성 병 또는 바이러스성 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병은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성 병은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11. 제1항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는 건조 또는 저온 스트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 내성 조성물.
  13. 제11항의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진시키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생물적 환경 스트레스는 건조 또는 저온 스트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2-아미노벤조산(2-aminobenzoic acid), 3-아미노벤조산(3-aminobenzoic acid) 및 4-아미노벤조산(4-aminobenzo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아미노벤조산(2-aminobenzoic acid)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PB25 균주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세균성 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병은 담배 세균성 마름병 또는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19. 제15항의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여 전신유도저항성(induced systemic resistance)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세균성 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성 병은 담배 세균성 마름병 또는 고추 세균성 점무늬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KR1020100137852A 2010-12-29 2010-12-29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20075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852A KR20120075936A (ko) 2010-12-29 2010-12-29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852A KR20120075936A (ko) 2010-12-29 2010-12-29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936A true KR20120075936A (ko) 2012-07-09

Family

ID=4670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852A KR20120075936A (ko) 2010-12-29 2010-12-29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9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581A1 (ko) * 2012-11-14 2014-05-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고온 처리 바실러스 배양액의 종자 프라이밍을 통한 식물 면역반응 유도 방법
KR20180114858A (ko) 2017-04-11 2018-10-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메소나에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114794A (ko) 2017-04-11 2018-10-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아리아바타이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44484A (ko) * 2017-10-20 2019-04-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US11051518B2 (en) 2016-06-27 2021-07-06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Pseudozyma churashimaensis strain RGJ1 isolated from pepper plant and use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7581A1 (ko) * 2012-11-14 2014-05-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고온 처리 바실러스 배양액의 종자 프라이밍을 통한 식물 면역반응 유도 방법
KR101486708B1 (ko) * 2012-11-14 2015-01-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고온 처리 바실러스 배양액의 종자 프라이밍을 통한 식물 면역반응 유도 방법
US9781938B2 (en) 2012-11-14 2017-10-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Method for eliciting plant immune responses by seed priming of heat-treated Bacillus culture solution
US11051518B2 (en) 2016-06-27 2021-07-06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Pseudozyma churashimaensis strain RGJ1 isolated from pepper plant and use thereof
KR20180114858A (ko) 2017-04-11 2018-10-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메소나에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80114794A (ko) 2017-04-11 2018-10-1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아리아바타이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90044484A (ko) * 2017-10-20 2019-04-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1571B2 (en) Isolated complex endophy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plant traits
Li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Lansiumamide B to tobacco bacterial wilt (Ralstonia solanacearum)
Bhusal et al. Biological 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and growth promotion in sweet pepper by Bacillus species
Cao et al. An endophytic Streptomyces sp. strain DHV3-2 from diseased root as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against Verticillium dahliae and growth elicitor in tomato (Solanum lycopersicum)
US20200229444A1 (en) Anti-phytopathogenic compositions
JP2020535841A (ja) 植物病害の防除におけるストレプトマイセス・メラノスポロファシエンス(Streptomyces melanosporofaciens)AGL225を含む組成物の使用
Abada et al. Management Fusarium wilt of sweet pepper by Bacillus strains
CA3047865A1 (en) Biocontrol organism
EP2836612B1 (en) Novel pseudomonas fluorescens strain and uses thereof in the biological control of bacterial or fungal diseases
KR20120075936A (ko) 토양 유래 바실러스 속 pb25 균주 및 이의 용도
Hossain et al.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control of Ralstonia solanacearum from wilt of papaya by natural compounds and Bacillus subtilis: an integrated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y
Abada et al. Management of pepper Verticillium wilt by combinations of inducer chemicals for plant resistance,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Ünlü et 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thuringiensis as Bio-agents against powdery mildew (Podosphaera xanthii) disease in zucchini (Cucurbita pepo L.)
Zhai et al. Colonization by Klebsiella variicola FH-1 stimulates soybean growth and alleviates the stress of Sclerotinia sclerotiorum
AU2018267591A1 (en) An Herbicid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arthenium Weed and Strain Thereof
Abada et al.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as two tools for management of eggplant Fusarium wilt
Alharbi et al. Impact of some Bacillus spp., inducer resistant chemicals and cow’s skim milk on management of pepper powdery mildew disease in Saudi Arabia
Kamalakannan et al. Enhancing resistance to stem and stolon rot of peppermint (Mentha piperita Lin.) using biocontrol agents
Ibrahim et al. Fungi as potential biocontrol agents against Convolvulus arvensis and Portulaca oleracea infesting the agroecosystems of Egypt
ES2696982A1 (es) Hongos endófitos HTF58 Alternaria alternata y HRO8 Fusarium acuminatum de Artemisa thuscula y Artemisa austriaca como antifúngicos de uso agrícola
Ghorbani et al. Effect of plant age, temperature and humidity on virulence of Ascochyta caulina on common lambsquarters (Chenopodium album)
Kumar et al. Antagonistic potentiality of bioagents against wilt of cumin (Cuminum cyminum)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cumini
Abada et al. Potentiality of inducer resistance chemicals and bioagents in managing lettuce downy mildew
KR20120071532A (ko) 3-펜탄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Ahmed et al. RECENT APPROACHES FOR MANAGEMENT OF TOMATO FUSARIUM WI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