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164B1 - 가변 저항기 - Google Patents

가변 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164B1
KR102125164B1 KR1020187036257A KR20187036257A KR102125164B1 KR 102125164 B1 KR102125164 B1 KR 102125164B1 KR 1020187036257 A KR1020187036257 A KR 1020187036257A KR 20187036257 A KR20187036257 A KR 20187036257A KR 102125164 B1 KR102125164 B1 KR 102125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resistor
pattern
variabl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001A (ko
Inventor
기미히로 요코야마
쥰이치 가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과제) 생산성이 높고, 접속 대상 장치와의 접촉에 의한 접속에 있어서, 바람직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변 저항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는, 조작체 (23) 와, 저항체 기판 (21) 과, 슬라이더 (22) 와, 전극부 (21d/21e/21f) 와, 접속 단자 (51) 와, 중계 단자 (31) 를 구비한다. 저항체 기판은, 저항체 패턴 (21c) 과 집전체 패턴 (21b) 을 갖는다. 슬라이더는, 조작체가 조작됨으로써 저항체 패턴 및 집전체 패턴을 슬라이딩한다. 전극부는, 저항체 기판에 형성되어, 저항체 패턴 또는 집전체 패턴 중 어느 것에 접속된다. 접속 단자는 전극부와 도통된다. 중계 단자는,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접속부 (31a) 와,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접속부 (31c) 를 갖고, 제 1 접속부가 전극부에 접속되고, 제 2 접속부가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제 1 접속부가 전극부에, 코킹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변 저항기
본 발명은, 가변 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부품, 예를 들어 축의 회전량에 기초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가변 저항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여러 가지 장착 형태, 예를 들어 단자가 접속 대상 장치측의 커넥터상의 접속 부분과 직접 접속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도 실용화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94802호
상기와 같이 접속 대상 장치의 커넥터상의 접속 부분과 직접 접속 가능하게 형성된 가변 저항기의 단자에는, 높은 위치 정밀도로 고정될 것이 요구된다. 또, 가변 저항기의 단자는, 가변 저항기의 저항체 부분 및 집전체 부분과 강고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가변 저항기의 단자와 저항체 부분 및 집전체 부분과 고정에는, 생산성이 높을 것이 요구된다. 반면, 가변 저항기의 단자에는, 접속 대상 장치의 접속 부분과의 접속에 있어서 바람직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할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가변 저항기의 단자와 저항체 부분 및 집전체 부분의 고정 방법에 있어서, 생산성에 영향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생산성을 우선한 경우, 가변 저항기의 단자의 특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가변 저항기의 단자의 특성을 확보한 경우,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생산성이 높고, 접속 대상 장치의 접속 부분과의 접속에 있어서 바람직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변 저항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관련된 가변 저항기는, 조작체와, 저항체 기판과, 슬라이더와, 전극부와, 접속 단자와, 중계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저항체 기판은, 저항체 패턴과 집전체 패턴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조작체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저항체 패턴 및 상기 집전체 패턴을 슬라이딩한다.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저항체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저항체 패턴 또는 상기 집전체 패턴 중 어느 것에 접속된다.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전극부와 도통된다. 상기 중계 단자는,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접속부와,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1 접속부가 상기 전극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속부가 상기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접속부가 상기 전극부에, 코킹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변 저항기는, 생산성이 높고, 접속 대상 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바람직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이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이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가변 저항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이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이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가변 저항 유닛의 고정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1 이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의 가변 저항 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가변 저항기 (1) 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이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 (1) 를, 중심축 (O1) 을 중심으로 하여 적층 방향으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 는, 도 1 이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 (1) 의 가변 저항 유닛 (20) 과 접속 단자 (51) 의 접속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이 나타내는 가변 저항기 (1) 의 중심축 (O1) 과 1 개의 접속 단자 (51) 를 포함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 ∼ 도 4 에 의해 가변 저항기 (1) 의 개략을 설명한다.
가변 저항기 (1) 는, 케이싱 (10), 가변 저항 유닛 (20), 중계 접속부 (전극부 혹은 접속 단자부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30) 및 커버 (40) 를 갖는다. 중계 접속부 (30) 는, 단자부 (50) 의 복수의 접속 단자 (51) 와 가변 저항 유닛 (20) 의 소정의 단자가 접속된다. 도 2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10), 단자부 (50) 의 개개의 접속 단자 (51) 가 접속된 중계 접속부 (30) 가 접속된 가변 저항 유닛 (20) 및 커버 (40) 를, 중심축 (O1) 을 중심으로 하여 순서대로 조립함으로써, 도 1 로 나타낸 가변 저항기 (1) 가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 (1) 에 구비된 접속 단자 (51) 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속 대상 장치의 암형 커넥터 등에 삽입됨으로써 접속된다.
케이싱 (10) 은, 중심축 (O1) 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도시되지 않은 축 부재가 관통하는 중심공 (10a), 가변 저항 유닛 (20) 의 주요한 부분을 수용하는 제 1 오목부 (10b) 및 가변 저항 유닛 (20) 과 접속하는 중계 접속부 (30) 의 주요한 부분을 수용하는 제 2 오목부 (10c) 를 갖고, 각각을 유지한다.
가변 저항 유닛 (20) 은, 기재 (21), 슬라이더 (22) 및 회전자 (로터 혹은 조작체 혹은 회전 기판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23) 를 갖는다. 기재 (21), 슬라이더 (22) 및 회전자 (23) 의 각각은, 중심축 (O1) 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도시되지 않은 축 부재가 관통하는 중심공 (21a, 22a 및 23a) 을 갖는다.
기재 (21) 는, 중심축 (O1) 과 직교하는 평면 내의 소정의 위치에, 중심공 (21a) 의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되는 집전체 패턴 (21b) 및 저항체 패턴 (21c) 을 갖는다. 집전체 패턴 (21b) 은, 예를 들어 도전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기재 (21) 는 또, 저항체 패턴 (21c) 의 양단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단자 (21e 및 21f), 및 집전체 패턴 (21b) 으로부터 저항체 패턴 (21c) 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출력되는 제 3 단자 (21d) 를 갖는다. 제 1 단자 (21e), 제 2 단자 (21f) 및 제 3 단자 (21d) 의 각각, 혹은 적어도 하나는, 후단에 설명하는 중계 단자 (31) 와의 접속을 위해 이용 가능한 개구 (구멍) 를 가져도 된다.
집전체 패턴 (21b) 은, 실질적으로 원환상으로 형성된다. 집전체 패턴 (21b) 은, 도전 패턴 (21g) 을 개재하여 제 3 단자 (21d)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저항체 패턴 (21c) 은, 집전체 패턴 (21b) 의 외주에, 도전 패턴 (21g) 과 전기적으로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도전 영역 (21h 및 21i) 을 확보한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저항체 패턴 (21c) 의 일단은, 도전 패턴 (21j) 을 개재하여 제 1 단자 (21e)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저항체 패턴 (21c) 의 다른 일단은, 도전 패턴 (21k) 을 개재하여 제 2 단자 (21f)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집전체 패턴 (21b), 제 1 및 제 2 단자 (21e 및 21f), 및 제 3 단자 (21d), 도전 패턴 (21g, 21j 및 21k) 은, 예를 들어 도전성을 갖는 페이스트를 기재 (21) 의 소정의 위치에 인쇄하고, 그것을 고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저항체 패턴 (21c) 은, 예를 들어 소정량의 카본을 함유한 저항성 잉크를, 기재 (21) 의 소정의 위치에 인쇄하고, 그것을 고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집전체 패턴 (21b), 저항체 패턴 (21c), 제 1 및 제 2 단자 (21e 및 21f), 및 제 3 단자 (21d), 도전 패턴 (21g, 21j 및 21k) 은, 예를 들어 임프린트법에 의해 기재 (21) 의 성형시에 기재 (21) 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집전체 패턴 (21b) 의 폭 및 저항체 패턴 (21c) 의 폭은, 슬라이더 (22) 가 집전체 패턴 (21b) 및 저항체 패턴 (21c) 과 접하는 지점 (위치) 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 (22) 는, 중심공 (22a) 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 1 집전부 (22b) 및 제 1 집전부 (22b) 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 2 집전부 (22c) 를 갖는다. 제 1 집전부 (22b) 는, 회전자 (23) 와 함께 가변 저항기 (1) 로서 조립되어, 회전자 (23) 가 회전함으로써, 집전체 패턴 (21b) 이 제공하는 원환의 임의의 위치를 슬라이딩한다. 제 2 집전부 (22c) 는, 회전자 (23) 와 함께 가변 저항기 (1) 로서 조립되어, 회전자 (23) 가 회전함으로써, 저항체 패턴 (21c) 이 제공하는 원호의 임의의 위치를 슬라이딩한다.
제 1 집전부 (22b) 및 제 2 집전부 (22c) 는, 예를 들어 타발 가공 및/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판상의 금속 부재, 즉, 소정의 두께의 금속판으로부터 중심공 (22a) 을 갖는 슬라이더 (22) 와 일체로 형성된다. 슬라이더 (22) 는, 예를 들어 인청동, 혹은 황동 혹은 구리 등의 탄성 (스프링성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을 나타내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회전자 (23) 는, 슬라이더 (22) 를, 중심축 (O1) 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기재 (21) 의 집전체 패턴 (21b) 상을 제 1 집전부 (22b) 가, 기재 (21) 의 제 2 집전부 (22c) 가 저항체 패턴 (21c) 상을, 각각 슬라이딩하도록 회전시킨다. 회전자 (23) 는 또, 슬라이더 (22) 를, 기재 (21) 의 집전체 패턴 (21b) 및 저항체 패턴 (21c) 에, 소정의 압력으로 누른다.
커버 (40) 는, 회전자 (23) 가 장착된 상태의 슬라이더 (22) 및 기재 (21), 즉 가변 저항 유닛 (20) 을 커버한다.
이하, 중계 접속부 (30) 의 중계 단자 (31) 와 단자부 (50) 의 접속 단자 (51) 의 기계적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접속부 (30) 는, 중계 단자 (31) 를 개재하여 가변 저항 유닛 (20) 의 제 1 단자 (21e), 제 2 단자 (21f) 및 제 3 단자 (21d) 의 각각과 단자부 (50) 의 제 1, 제 2 및 제 3 접속 단자 (51) 를 접속한다. 개개의 접속 단자 (51) 는, 컨택트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접속 단자 (51) 는, 실시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다. 중계 단자 (31) 도, 실시형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접속 단자 (51) 및 중계 단자 (31) 를 동일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부품 관리 등에 있어서의 비용의 저감을 기대할 수 있다.
중계 단자 (31) 의 일단측에는, 제 1 접속부 (31a)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부 (31a) 는, 바람직하게는 중계 단자 (31) 의 제 1 면으로부터 그 이면이 되는 제 2 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통상 돌기 (원통상부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31b) 를 갖는다. 제 1 접속부 (31a) 의 통상 돌기 (31b) 는, 중계 단자 (31) 의 프레스 가공 혹은 타발 가공시에, 예를 들어 버링 가공에 의해 중계 단자 (31) 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접속부 (31a) 는, 예를 들어 「코킹」에 의해 통상 돌기 (31b) 가 변형되어, 가변 저항 유닛 (20) 의 제 1 단자 (21e), 제 2 단자 (21f) 및 제 3 단자 (21d) 중 어느 것과 접속된다. 즉, 제 1 단자 (21e), 제 2 단자 (21f) 및 제 3 단자 (21d) 중 어느 것과 중계 단자 (31) 의 제 1 접속부 (31a) 가 각각 고정된다.
제 1 접속부 (31a) 를 코킹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가변 저항 유닛 (20) 의 제 1 단자 (21e), 제 2 단자 (21f) 및 제 3 단자 (21d) 의 각각과, 대응하는 중계 단자 (31) 의 제 1 접속부 (31a) 와의 접속을 간단한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제 1 접속부 (31a) 는, 예를 들어 개구 (구멍) 에 형성되어, 제 1 내지 제 3 단자 (21d, 21e 혹은 21f) 에 형성되는 개구 (구멍) 와, 예를 들어 「아일렛」와 같은 접속 부재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중계 단자 (31) 의 다른 일단은, 제 2 접속부 (31c) 이고, 예를 들어 용접 혹은 솔더링 (브레이징) 에 의해, 접속 단자 (51) 의 일단측의 접속부 (51a) 와 접속한다. 이로써, 중계 단자 (31) 의 제 2 접속부 (31c) 에, 접속 단자 (51) 의 접속부 (51a) 가 고정된다.
제 1 접속 단자 (51) 는, 중계 단자 (31) 를 개재하여 가변 저항 유닛 (20) 의 제 3 단자 (21e) 와 접속되고, 집전체 패턴 (21b) 으로부터의 저항체 패턴 (21c) 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출력한다. 제 2 접속 단자 (51) 및 제 3 접속 단자 (51) 는, 각각, 중계 단자 (31) 를 개재하여 제 1 단자 (21e) 및 제 2 단자 (21f) 와 접속되어, 저항체 패턴 (21c) 의 양단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중계 단자 (31) 의 제 2 접속부 (31c) 에 있어서도,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단자 (31) 와 일체의 통상 돌기 (원통상부) (31e) 를 형성하고, 코킹에 의해 접속 단자 (51) 의 접속부 (51a) 와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은, 코킹에 의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통상 돌기를, 중계 단자 (31) 측에 형성하고, 접속 단자 (51) 측을 구멍 (개구)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 접속부 (31c) 나 코킹에 의해 접속한 경우, 제 1 접속부 (31a) 에 있어서의 접속과 동일하게 중계 단자 (31) 의 제 2 접속부 (31c) 와 접속 단자 (51) 의 접속부 (51a) 의 접속을 간단한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중계 단자 (31) 는 또, 중계 단자 (31) 의 프레스 가공 혹은 타발 가공시에, 중계 단자 (3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계 단자 (31) 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 1 접속부 (31a) 와 제 2 접속부 (31c) 사이에 폭이 좁혀진 협폭부 (31d) 를 갖는다. 협폭부 (31d) 는, 제 1 접속부 (31a) 의 폭 및 또는 제 2 접속부 (31c) 의 폭과 비교하여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폭이 저감되어 있는 영역이고, 중계 단자 (31) 의 변형 (휨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을 발생시킨다. 협폭부 (31d) 는, 변형 (휨) 용이부라고 칭해져도 된다.
협폭부 (31d) 는, 도 5 를 사용하여 후단에 설명하지만, 케이싱 (10) 의 제 1 오목부 (10b) 내의 가변 저항 유닛 (20) 측의 위치의 제한과 제 2 오목부 (10c) 내의 접속 단자 (51) 의 위치의 제한에서 기인하는 영향을 해소할 수 있다. 협폭부 (31d) 의 폭은, 중계 단자 (31) 로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폭이면 되고, 도 1 ∼ 도 4, 도 6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구멍 (개구) 상으로 정의된다. 협폭부 (31d) 는,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계 단자 (31) 에 있어서, 제 1 접속부 (31a) 와 제 2 접속부 (31c) 를 잇는 영역의 폭이 소정의 폭 (굵기) 으로 제한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협폭부 (31d) 에 있어서 정의하는 폭은, 중계 단자 (31) 에 있어서 가장 폭이 넓은 부분의 단면으로 비교한 경우에, 면적이 가장 폭이 넓은 부분의 단면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형상은 임의이며, 예를 들어 펀칭에 의해 복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된 형상이나, 망상이어도 된다. 또한, 협폭부 (31d) 에 있어서는, 제 1 접속부 (31a) 와 상기 제 2 접속부 (31c) 를 잇는 방향의 길이가 상기 서술한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단자 (51) 의 재질은, 접촉 접속에 있어서, 전기적 접촉 저항이 적은 재질이며, 스프링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단자 (51) 는, 예를 들어 황동 혹은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주석 도금, 혹은 금 도금을 실시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단자 (51) 가 스프링성을 가짐으로써 접속 대상 장치측의 커넥터에 발생하는 약간의 위치 어긋남 등을 흡수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중계 단자 (31) 는, 예를 들어 철계의 재질 등이며, 「코킹」등의 고정 방법을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도, 시즌 크랙 등이 잘 발생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계 단자 (31) 는, 접속 단자 (51) 보다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계 단자 (31) 를 가공성이 양호한 철계의 금속 재료로 형성함과 함께, 접속 단자 (51) 를, 황동 혹은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접속 대상 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전기적인 접속 특성으로서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생산성이 높고, 접속 대상 장치의 접속 부분과의 접속에 있어서 바람직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속 단자 (51) 를 케이싱 (10) 과의 기계적 접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21) 의 집전체 패턴 (21b) 및 저항체 패턴 (21c) 의 각각에 접속 단자 (51) 가 중계 접속부 (30) 의 중계 단자 (31) 를 개재하여 접속된 상태의 가변 저항 유닛 (20) 은, 케이싱 (10) 의 제 1 오목부 (10b) 에 중심공 (10a) 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이로써, 각각의 접속 단자 (51) 는, 중계 단자 (31) 를 개재하여 제 1 및 제 2 단자 (21e 및 21f), 및 제 3 단자 (21d) 의 각각과 접속된 상태에서, 케이싱 (10) 의 제 2 오목부 (10c) 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때, 각각의 접속 단자 (51) 의 비고정단, 즉, 컨택트부 (51b) 는, 반드시 접속 대상 장치와의 접속에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정렬된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 중계 단자 (31) 는, 도 5 에 의해 후단에 설명하지만, 가변 저항 유닛 (20) 의 기재 (21) 의 저항체 패턴 (21c) 및 집전체 패턴 (21b) 이 확장되는 면과 접속 단자 (51) 의 컨택트부 (51b) 가 확장되는 면 사이의 축 (O1) 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차를 흡수할 수 있다.
케이싱 (10) 의 제 2 오목부 (10c) 는, 각각의 접속 단자 (51) 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보스부 (10d) 를 갖는다. 케이싱 (10) 의 제 2 오목부 (10c) 는 또, 각각의 접속 단자 (51)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각각 1 쌍의 지지부 (10e 및 10f, 10g 및 10h, 10i 및 10j) 를 갖는다.
보스부 (10d) 는, 각각의 접속 단자 (51) 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길이 방향 위치 결정공 (51c) 을 받아들인다. 길이 방향 위치 결정공 (51c) 은, 접속 단자 (51) 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보스부 (10d) 의 직경과 비교하여 긴 장공이며, 접속 단자 (51) 를 보스부 (10d) 에 장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익하다.
케이싱 (10) 의 제 2 오목부 (10c) 에 있어서, 접속 단자 (51) 는, 접속 단자 (51) 의 연장 방향을 따른 일방의 지지부 (10f, 10h 및 10j) 에는 타방의 지지부 (10e, 10g 및 10i) 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접속 단자 (51) 는, 돌기부와 타방의 지지부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즉, 지지부 (10e 및 10f, 10g 및 10h, 10i 및 10j) 의 각각은, 보스부 (10d) 에 의해 제 2 오목부 (10c) 내의 대략적인 위치가 규정된 접속 단자 (51) 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규정한다. 지지부 (10e, 10g 및 10i) 의 각각은, 접속 단자 (51) 의 좌우 방향의 위치의 기준부 (당) 이며, 보스부 (10d) 에 의해 대략적으로 규정된 접속 단자 (51) 의 좌우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지지부 (10f, 10h 및 10j) 의 각각은, 각각 대응하는 1 쌍의 지지부 (10e, 10g 및 10i) 를 향하여 접속 단자 (51) 를 누르는 것이 가능한 돌기부를 갖고, 지지부 (10e, 10g 및 10i) 와 협동하여 접속 단자 (51) 를 끼워 넣고, 접속 단자 (51) 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설정한다.
지지부 (10f, 10h 및 10j) 는, 예를 들어 크러쉬 리브라고 칭해지며, 접속 단자 (51) 가, 지지부 (10e 와 10f) 와의 사이, 지지부 (10g 와 10h) 와의 사이, 및 지지부 (10i 와 10j) 와의 사이에 삽입될 때에 돌기부의 선단을 약간 눌러 찌부러뜨림으로써, 대응하는 지지부 (10e, 10g 및 10i) 를 향하여 접속 단자 (51) 를 누른다. 즉, 지지부 (10f, 10h 및 10j) 를, 지지부 (10e, 10g 및 10i) 와 1 쌍으로 한 것에 의해, 접속 단자 (51) 의 위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 단자 (51) 의 길이 방향 위치 결정공 (51c) 과 보스부 (10d) 의 조합 및 지지부 (10e 및 10f, 10g 및 10h, 10i 및 10j) 의 각각에 의한 접속 단자 (51) 의 좌우 방향의 위치의 위치 결정에 의해, 컨택트 부분 (51b) 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보스부 (10d) 는, 접속 단자 (51) 의 삽입 후, 정상부가 눌려 찌부러진다. 따라서, 접속 단자 (51) 가 부상하는 (축 (O1)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가변 저항 유닛 (20) 과 케이싱 (10) 의 중심공 (10a) 사이의, 혹은 개개의 접속 단자 (51) 와 케이싱 (10) 의 보스부 (10d), 지지부 (10e 및 10f, 10g 및 10h, 10i 및 10j) 의 각각의 사이의 가공 치수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 는, 케이싱 (10) 내에 있어서의 중계 단자 (31) 의 변형의 정도, 즉 제 2 오목부 (10c) 와 제 1 오목부 (10b) 사이의 케이싱 (10) 의 공간부 (10k) 에 있어서의 중계 단자 (31)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중계 단자 (3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변 저항 유닛 (20) 의 집전체 패턴 (21b) 및 저항체 패턴 (21c) 의 각각과 접속 단자 (51) 를, 협폭부 (31d) 가 변형된 상태에서 접속한다.
도 5 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전체 패턴 (21b) 과 접속 단자 (51) 및 저항체 패턴 (21c) 과 접속 단자 (51) 가, 중계 단자 (31) 를 개재하여 접속된 가변 저항 유닛 (20) 은, 케이싱 (10) 의 제 1 오목부 (10b) 에, 중심공 (10a) 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접속 단자 (51) 는, 보스부 (10d) 와, 지지부 (10e 및 10f, 10g 및 10h, 10i 및 10j) 의 각각에 의해, 케이싱 (10) 의 제 2 오목부 (10c) 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중계 단자 (31) 를, 케이싱 (10) 의 공간부 (10k) 내에 있어서 임의로 변형된 상태로 위치시킴으로써, 제 1 오목부 (10b) 내의 가변 저항 유닛 (20) 측의 위치의 제한과 제 2 오목부 (10c) 내의 접속 단자 (51) 의 위치의 제한에서 기인하는 영향을 해소하고 있다.
즉, 중계 단자 (31) 는, 제 1 접속부 (31a) 의 폭 및/또는 제 2 접속부 (31c) 의 폭과 비교하여 폭이 저감되어 있는 협폭부 (31d) 를 가짐으로써, 협폭부 (31d) 의 범위에서,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된다. 또, 케이싱 (10) 에, 공간부 (10k) 를 형성함으로써, 중계 단자 (31) 가 변형된 (휜) 상태에 있어서도, 중계 단자 (31) 가 케이싱 (10) 의 공간부 (10k) 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 (10) 을 중계 단자 (31) 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한 것에 의해, 협폭부 (31d) 의 자유로운 (임의의) 변형을 방해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가변 저항 유닛 (20) 과 케이싱 (10) 의 중심공 (10a) 사이의, 혹은 개개의 접속 단자 (51) 와 케이싱 (10) 의 보스부 (10d), 지지부 (10e 및 10f, 10g 및 10h, 10i 및 10j) 중 어느 것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가공 치수의 편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가변 저항기 (1) 에 요구되는 접속 대상 장치와의 사이의 여러 가지 장착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또, 중계 단자 (31) 가, 도 5 에 나타내는 단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축 (O1) 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차를 흡수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Z」자상 혹은 「S」자상, 혹은 「L」자상임으로써, 가변 저항기 (1) 에 요구되는 접속 대상 장치와의 사이의 여러 가지 장착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변 저항기는, 조작체와, 저항체 기판과, 조작체가 조작됨으로써 저항체 패턴 및 집전체 패턴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와, 저항체 기판에 형성되고, 저항체 패턴 또는 집전체 패턴에 접속된 전극부와, 전극부와 도통되는 접속 단자와, 전극부와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중계 단자를 구비하고, 중계 단자는,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접속부와,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접속부를 갖고, 제 1 접속부가 저항체 기판의 전극부에 접속되고, 제 2 접속부가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제 1 접속부가 저항체 기판의 전극에 코킹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이다. 즉, 접속 대상 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접속시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의 접촉 저항이 적은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 단자와 저항체 기판의 전극부를 접속하는 중계 단자를 개재시킨 것에 의해, 저항체 기판의 전극부와 중계 단자의 접속을 코킹에 의해 접속한 것에 의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접속 단자를, 황동 혹은 구리를 주성분으로 한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한 것에 의해, 접속 대상 장치와의 접속에 있어서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1 : 가변 저항기
10 : 케이싱
10a : 중심공
10b : 제 1 오목부
10c : 제 2 오목부
10d : 보스부
10e : 지지부
10f : 지지부
10g : 지지부
10h : 지지부
10i : 지지부
10j : 지지부
10k : 공간부
20 : 가변 저항 유닛
21 : 기재
21a : 중심공
21b : 집전체 패턴
21c : 저항체 패턴
21d : 제 1 단자
21e : 제 2 단자
21f : 제 3 단자
21g : 도전 패턴
21h : 비도전 영역
21i : 비도전 영역
21j : 도전 패턴
21k : 도전 패턴
22 : 슬라이더
22a : 중심공
22b : 제 1 집전부
22c : 제 2 집전부
23 : 회전자
23a : 중심공
30 : 중계 접속부
31 : 중계 단자
31a : 제 1 접속부
31b : 통상 돌기
31c : 제 2 접속부
31d : 협폭부
31e : 원통상부
40 : 커버
51 : 접속 단자
51a : 접속부
51b : 컨택트 부분
51c : 길이 방향 위치 결정공

Claims (10)

  1. 조작체와,
    저항체 패턴과 집전체 패턴이 형성된 저항체 기판과,
    상기 조작체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저항체 패턴 및 상기 집전체 패턴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저항체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저항체 패턴 또는 상기 집전체 패턴 중 어느 것에 접속된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와 도통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중계 단자를 구비한 가변 저항기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자는, 일단측에 형성된 제 1 접속부와, 타단측에 형성된 제 2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제 1 접속부가 상기 전극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속부가 상기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접속부가 상기 전극부에, 코킹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중계 단자는,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 사이에 폭이 좁혀진 협폭부를 갖고,
    상기 중계 단자는, 상기 협폭부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에서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가, 상기 접속 단자에, 코킹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단자는, 상기 접속 단자의 강성보다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부는,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를 잇는 방향으로, 상기 협폭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체 기판과 상기 접속 단자를 유지하는 케이싱을 추가로 갖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케이싱이 상기 중계 단자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접속 단자를 사이에 두도록 1 쌍의 지지부가 배치되고, 상기 1 쌍의 지지부의 일방의 지지부에는 타방의 지지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돌기부와 상기 타방의 지지부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일방의 지지부의 상기 돌기부에 의해 상기 타방의 지지부를 향하는 압력을 받는 가변 저항기.
KR1020187036257A 2016-06-30 2017-03-01 가변 저항기 KR102125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0559 2016-06-30
JP2016130559 2016-06-30
PCT/JP2017/008061 WO2018003178A1 (ja) 2016-06-30 2017-03-01 可変抵抗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001A KR20190006001A (ko) 2019-01-16
KR102125164B1 true KR102125164B1 (ko) 2020-06-19

Family

ID=6078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257A KR102125164B1 (ko) 2016-06-30 2017-03-01 가변 저항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33203B2 (ko)
KR (1) KR102125164B1 (ko)
CN (1) CN109313970B (ko)
WO (1) WO2018003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2891B (zh) * 2018-03-14 2023-05-3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子部件
JP7209476B2 (ja) * 2018-05-07 2023-01-20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電子部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911A (ja) * 2006-10-25 2008-05-08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可変抵抗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3405U (ko) * 1988-08-26 1990-03-02
JPH0241404U (ko) * 1988-09-12 1990-03-22
JP2506022Y2 (ja) * 1990-10-17 1996-08-07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可変抵抗器
JPH07245203A (ja) * 1994-03-03 1995-09-19 Alps Electric Co Ltd 回転形可変抵抗器
JP2002313607A (ja) * 2001-04-09 2002-10-25 Alps Electric Co Ltd 可変抵抗器
JP4731936B2 (ja) * 2005-02-09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式可変抵抗器
JP2007294802A (ja) 2006-04-27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ポテンショメータ
JP5749499B2 (ja) * 2011-01-17 2015-07-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
CN204680495U (zh) * 2015-05-13 2015-09-30 东莞福哥电子有限公司 一种可变电阻的输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8911A (ja) * 2006-10-25 2008-05-08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可変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3203B2 (ja) 2020-01-22
CN109313970B (zh) 2020-06-09
CN109313970A (zh) 2019-02-05
KR20190006001A (ko) 2019-01-16
WO2018003178A1 (ja) 2018-01-04
JPWO2018003178A1 (ja)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437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5270480B2 (ja) コネクタ
EP2736128B1 (en) Ground terminal and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EP3537546B1 (en) Connector
US711500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silient contacts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JP3473559B2 (ja) 同軸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通信機装置
KR102125164B1 (ko) 가변 저항기
US9585263B2 (en) Pin to PCB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JP6278586B2 (ja) 同軸コネクタ
JP2014127398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5224539A (zh) 基板安装连接器
JP2013055007A (ja) コネクタ
WO2006126624A1 (ja) 接続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部品
JP2011198627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6256129B2 (ja) 圧接端子
JP6076953B2 (ja) 基板用端子
JP2021114397A (ja) コネクタ
JP6117042B2 (ja) 給電用コネクタ
JP2010192247A (ja) 電気コネクタ
CN110011097B (zh) 连接器
JP2015152577A (ja) 接続用コネクタ及び接続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
WO2019111583A1 (ja) 電気接続装置
JP2006310113A (ja) 電気コネクタ
JP2015185351A (ja) 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