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054B1 - 의료기구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의료기구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054B1
KR102123054B1 KR1020170109300A KR20170109300A KR102123054B1 KR 102123054 B1 KR102123054 B1 KR 102123054B1 KR 1020170109300 A KR1020170109300 A KR 1020170109300A KR 20170109300 A KR20170109300 A KR 20170109300A KR 102123054 B1 KR102123054 B1 KR 102123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est tube
moving plate
cartrid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476A (ko
Inventor
이관행
Original Assignee
신진메딕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메딕스(주) filed Critical 신진메딕스(주)
Priority to KR1020170109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05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 등이 완료된 세척시험관 내부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의료기구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에 소정면적을 갖는 평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평탄부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 상면에 고정 설치되되 의료검사가 실행되는 세척시험관이 이웃하게 수납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본체에 구비된 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세척시험관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함과 동시에 흡입하여 상기 세척시험관을 세척하는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부재와 관 연결되어 상기 세척시험관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재와, 상기 세척부재와 관 연결되어 상기 세척시험관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본체, 세척부재, 상기 공급부재, 상기 수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되 상기 카트리지를 인식하여 상기 이동판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평탄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그부재 및 상기 지그부재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척시험관이 수납되는 몸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기구 세척장치{Washer for medical equipment}
본 발명은 검사 등이 완료된 세척시험관 내부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의료기구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험관은 의료시약검사, 화학실험, 유기물 또는 미생물실험과 같이 병원이나 실험실, 연구실에서 꼭 필요한 시험용기이다. 그외 시험용기에는 비커, 플라스크, 샬레 등이 있으며, 대부분 화학성분이나 용액 등을 담아 사용한다.
대부분 시험용기는 시험이 끝난 후 세척을 해야 하고 그리하여 다음 시험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험용기는 대부분 세척이 편리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반면 시험관은 매우 좁게 형성되어 있어 세척이 쉽지 않다. 특히 좁게 될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시험관 내부 안쪽에 있는 고형 이물질들이 용액이 마르면서 시험관 내벽에 붙게 되면 이를 제거하기가 곤란한 실정이다.
그런데, 시험용기는 길이와 직경이 상이하므로 각 시험관의 크기에 맞는 세척솔로 변경하여 세척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한 번의 실험에 사용되는 시험관의 개수가 최소 50~500개에 달하므로 시험자가 시험관의 세척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시험자가 시험용기를 세척하더라도 수동작업이므로 시험관 내벽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들을 깨끗하게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국내공개특허 제10-2015-82830호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하부에 세척브러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축을 회전시키는 축구동부와 상기 축구동부와 상기 승강축을 승강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승강축을 하부로 노출시키는 승강공이 관통형성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축구동부의 구동을 입력받는 입력부가 구비된 본체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축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좌우 측면에 수직하게 구비된 한 쌍의 이동레일과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 상에 결합되는 모터지지축과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판면에 상기 승강축이 관통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승강축지지바와 상기 이동레일의 상부에 배치된 상부스토퍼 및 하부에 배치된 하부스토퍼와 상기 모터지지축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스토퍼와 상기 하부스토퍼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축이 회전되면 상기 결합공의 암나사산과 상기 수나산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승강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모터지지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가 정역회전되며 상기 모터지지축이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여 시험용기를 세척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시험용기 내부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쉬에 의해 용이하게 세척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세척브러쉬 외면에 시험용기 내부를 일일이 인입시켜 세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그로 인한 세척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세척하고자 하는 시험용기를 일일이 실험대(미도시)에서 분리한 이후에 개별로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실험이나 검사에 사용된 시약 등이 작업자의 피부에 묻을 위험은 물론, 시험용지 내부에 세척에 필요한 세척액을 일일이 주입해야 세척브러쉬를 통한 세척 효과가 나타나는 문제점이 그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세척장치는 시험용기를 실험대에서 분리하지 않고 바로 세척하되 세척에 필요한 세척액이 자동으로 주입되며, 세척이 완료된 이후, 폐기되어야 하는 세척액은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세척장치는 전방에 소정면적을 갖는 평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평탄부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 상면에 고정 설치되되 의료검사가 실행되는 세척시험관이 이웃하게 수납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본체에 구비된 실린더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세척시험관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함과 동시에 흡입하여 상기 세척시험관을 세척하는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부재와 관 연결되어 상기 세척시험관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재와, 상기 세척부재와 관 연결되어 상기 세척시험관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본체, 세척부재, 상기 공급부재, 상기 수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되 상기 카트리지를 인식하여 상기 이동판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평탄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그부재 및 상기 지그부재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척시험관이 수납되는 몸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탄부는 상기 이동판이 이동시에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바가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되 상기 이동판 일측은 상기 본체에 형성된 인입공 내부로 인입되어 이동하며, 상기 인입공에는 상기 이동판 외면과 면 접촉하여 상기 이동판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구비되고, 전면에는 상기 세척부재가 승강할 수 있는 승강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판 상면에는 상기 이동판이 이동시에 상기 카트리지가 유동 없이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게 돌출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본체가 삽입되되 상기 이동판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이동판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 및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 내부로 일측이 삽입된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된 상기 이동판 일측에 형성된 이동공과 서로 치(齒)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판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는 소정길이를 갖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도록 상기 세척시험관이 형상맞춤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몸체와, 각각의 상기 삽입공 내면과 연통되게 상기 몸체에 다수 천공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세척시험관 내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통공과, 상기 몸체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끼움구 및 상기 끼움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식별수단이 외면에 구비된 'U'자 형상의 클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그부재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는 상기 평탄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부는 상기 몸체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그체 및 상기 지그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지그체 상부에 안착한 상기 몸체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고정안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안착수단은 상기 몸체부재 일측과 끼움 결합하는 제1고정돌출부, 상기 몸체부재 하면 중앙부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출부, 상기 몸체부재 타측이 지지되는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카트리지 상부에 위치하되 일측이 상기 실린더와 고정 결합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바 및 상기 승강바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어느 하나는 상기 공급부재와 연결되어 세척액을 상기 세척시험관에 주입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수용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시험관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액을 흡입하는 니들을 포함하되, 상기 공급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니들은 상기 수용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니들보다 그 수직길이가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평탄부에 구비된 상기 카트리지를 인식하되 그 인식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여 상기 이동판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다수의 세척시험관을 카트리지에서 분리하지 않고, 왕복으로 이동가능한 이동판 상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세척부재인 한 쌍의 니들이 세척액을 주입하여 그 압력에 의해 세척을 실시하고, 세척이 완료된 세척액은 흡입하여 세척시험관 외부로 자동배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그 세척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세척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세척장치의 평탄부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세척장치의 몸체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세척장치의 지그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6은 도 5에 대한 저면도.
도 7은 도 5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세척장치의 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구 세척장치(이하, 간략하게 '세척기'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1)는 크게 카트리지(100), 본체(200), 이동판(300), 세척부재(400), 공급부재(500), 수용부재(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카트리지(10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이동판(300)에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세척시험관(T) 내부에 세척액이 주입 및 흡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부재(110) 및 지그부재(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몸체부재(110)는 세척시험관(T)이 수납되는 몸체(111) 및 환자정보(이름, 병명, 성별 등)나 검사정보 등이 기재되는 클립(119)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111)는 소정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부에는 하부방향으로 이어져 그 몸체(11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며, 다수의 세척시험관(T)이 각각 수납되는 삽입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공(112)의 개수는 본체부(200)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몸체(111)는 장기간의 보관에 용이하거나 그 하중에 의해 평탄부(210)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금속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몸체(111) 전면이나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는 삽입공(112)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113)이 천공형성되어 세척중인 세척시험관(T) 내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통공(113)은 각각의 삽입공(112)에 삽입된 세척시험관(T)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공(112)의 개수와 동일하게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의 관통공(113)을 통해 각각의 삽입공(112)에 삽입된 세척시험관(T) 전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몸체(111)에 형성된 관통공(113)은 외부에서 세척시험관(T) 내부에 어느 정도까지 세척이 완료되었는지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천공형성되어 상기 세척시험관(T)의 세척 정도를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한다.
나아가 센서(218)에 의해 감지 가능한 몸체(111) 외면에는 코드정보(115)가 형성되어 상기 코드정보(115)의 인식을 통해 카트리지(100)의 존재 여부를 제어부(700)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코드정보(115)는 바코드, QR 코드 및 광 코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11) 일측 또는 양측에는 클립(119)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끼움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끼움구(116)는 클립(119)의 탈착이 용이하게 곡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구(116)의 상/하 끝단에는 턱부가 형성되어 클립(119)이 끼움 결합한 이후에 상기 클립(119)이 몸체(11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트리지(100)가 이동시에 클립(119)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몸체(111)는 후술하는 지그체(121)에 안정적으로 안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 하부에는 끼움홈(117)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1) 하면에는 지그체(121)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홈(118)이 형성되어 상기 지그체(121)에 안착한 몸체(111)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서로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클립(119)은 그 외면에 작업자에 의해 기재 가능한 식별수단(119a)이 구비되되 상기 식별수단(119a)은 몸체(111)에 수납된 세척시험관(T)의 검사종목, 검사완료한 종목, 샘플제공대상, 검사날짜, 검사경과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사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몸체(111)에 수납된 세척하고자 하는 다수의 세척시험관(T)이 어느 어떤 시약을 통해 검사를 진행했는지에 대한 내용 등을 기재된 식별번호(114)를 통해 작업자가 확인하여 세척액을 선별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한다.
또한 클립(119)은 상술한 끼움구(116)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갖되 서로 바라보는 한 쌍의 끝단은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끼움구(116)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식별수단(119a)은 클립(119) 외면에 편집 가능한 문자나 작업자가 직접 필기할 수 있는 백지상태로 인쇄지의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연결고리(미도시) 등을 통해 클립(119)과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그부재(120)는 상술한 몸체부재(1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본체부(200)에 장착시,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세척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지그체(121) 및 고정안착수단(12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지그체(121)는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111)가 안착하며, 그 하부는 평탄부(2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지그체(121) 일측에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손잡이(122)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121c)이 형성되어 평탄부(210)에 형성된 결합돌기(320)에 삽입설치됨으로써, 상기 지그체(121)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그체(121) 상면에는 표시번호(123)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표시번호(123)는 지그체(121) 상면에 안착한 몸체(111)의 개수 등을 파악하여 작업자가 굳이 헤아려보지 않아도 몇 개의 세척시험관(T)이 하나의 지그체(121)에 장착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그 개수는 물론, 해당 위치에 따라 니들(430)이 동작할 수 있는 스위치(440)의 온/오프 여부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해당 스위치(440)의 온/오프 여부는 몸체(111)에 형성된 식별번호(114)를 통해서도 결정 가능하다.
또한 고정안착수단(124)은 지그체(121) 상면에 안착한 몸체(111)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그체(121)가 세척중에 안착한 몸체(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시험관(T)의 파손은 물론, 세척중인 세척액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고정돌출부(125), 제2고정돌출부(127) 및 지지돌출부(12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고정돌출부(125)는 지그체(121) 상면 일측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되 그 외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몸체(111)에 형성된 끼움홈(117)에 삽입되기 위한 끼움돌기(126)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끼움돌기(126) 상부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끼움홈(117)에 상기 끼움돌기(126)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지그체(121) 상면에 몸체(111)가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돌출부(127)는 제1고정돌출부(125)와 소정거리 이웃하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그체(121) 전체면적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몸체(111)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118)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돌출부(128)는 제2고정돌출부(127)와 소정거리 이웃하게 지그체(121) 상면 타측에 돌출형성되되 상술한 제1 및 제2고정돌출부(125,127)에 의해 상기 지그체(121) 상면에 안착한 몸체(111) 외면과 접촉하여 상기 몸체(1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다.
한편, 지그체(1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몸체(111)가 그 상면에 안정적으로 정렬하여 안착하도록 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또 다른 지그체(121)가 그 외면에 고정결합하여 다수의 몸체(111)가 이동판(300)에 의해 이동하면서 세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지그체(121) 외면에는 다른 지그체(121)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121a) 및 연결홈(121b)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는 도 1, 도 9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이동판(300), 세척부재(400), 공급부재(500), 수용부재(600) 및 제어부(700)가 각각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본체(20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공급탱크(510) 및 수용탱크(610)가 세척부재(400)와 관 연결되어 세척액을 주입 또는 흡입할 수 있도록 관 연결된다.
아울러 본체(200) 상부에는 이동판(300)이 왕복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한 평탄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210)에는 상기 이동판(300)이 이동시에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300) 하부에 형성된 안내홈(330)에 삽입되는 안내바(220)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된다.
이때, 본체(200) 전면에는 이동판(300) 일측이 삽입되는 인입공(230)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이동시에 상기 이동판(300)을 건드려도 해당 이동판(300)이 안내바(220)에서 이탈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며, 상기 인입공(230) 내부에는 삽입된 이동판(300) 외면과 면 접촉하는 베어링(240)이 더 구비되어 이동판(3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체(200) 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천공형성되어 승강바(420)가 승강할 수 있게 승강홈(2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30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세척하기 위한 카트리지(100)가 상부에 수납되며, 상기 카트리지(100)의 수납 개수에 따라 그 위치를 달리하기 위해 평탄부(210)에서 왕복으로 이동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동모터(310), 결합돌기(320) 및 이동공(3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결합돌기(320)는 지그체(121)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21c)과 대향되게 이동판(300) 상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21c)과 형상 맞춤으로 서로 끼움 결합하여 지그체(121)가 이동판(300)에서 이동시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세척액을 주입하거나 흡입시에 발생하는 충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공(340)은 인입공(230)을 통해 본체(200) 내부로 삽입되는 이동판(300)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본체(200)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310)와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이동판(300)이 평탄부(210)에서 왕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이동공(340)은 베어링(240)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동모터(310)와 서로 치 결합하여 상기 이동판(300)의 이동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재(400)는 본체(20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이동판(300)에 삽입된 카트리지(100)의 세척시험관(T)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 및 흡입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실린더(410), 승강바(420) 및 복수의 니들(430)을 포함한다.
예컨대 실린더(410)는 본체(20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후술하는 승강바(420)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승강바(420)가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승강바(420)는 소정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하부에는 한 쌍의 니들(430)이 일체로 교체가능한 모듈로 결합하며, 그 내부는 공급관(530) 및 흡입관(630)과 관 연결되어 세척액이 니들(430)을 통해 공급과 동시에 흡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승강바(420) 외면에는 별도의 스위치(440)가 구비되어 세척하고자 하는 세척시험관(T)의 수납위치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니들(430)을 통해 세척액이 공급 및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승강바(420)와 이동판(300) 사이에는 본체(200)와 이어지되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승강바(420) 하면이 안착하는 지지대가 설치되며, 해당 지지대는 세척시험관 내부에 세척액이 소정압력으로 주입시에 그 압력에 의해 상기 세척시험관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니들(430)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한 쌍이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져 승강바(420) 하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한 쌍의 니들(430) 중 하나인 주입니들(431)은 공급부재(500)와 관 연결되어 세척시험관(T)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하며, 다른 하나인 흡입니들(433)은 수용부재(600)와 관 연결되어 상기 주입니들(431)을 통해 세척시험관(T)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액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흡입니들(433)의 하단부는 세척시험관(T) 바닥면과 근접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하되 주입니들(431)은 상기 흡입니들(433) 보다는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재(500)는 세척시험관(T)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공급탱크(510), 공급펌프(520) 및 공급관(530)을 포함한다.
예컨대 공급탱크(510)는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200) 내부에 수납되며, 내부에는 세척액이 수용된다.
공급펌프(520)는 공급탱크(510) 외면 또는 외부에 상기 공급탱크(510)와 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의 제어를 통해 세척액을 세척시험관(T)에 공급한다.
공급관(530)은 일단이 공급펌프(520)와 연결되되 타단은 승강바(420)를 통해 각각의 주입니들(431)과 연결되어 공급탱크(510) 내에 수용된 세척액을 세척시험관(T)에 공급하여 세척을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600)는 세척이 완료된 세척시험관(T)의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액을 흡입하여 상기 세척시험관(T)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용탱크(610), 흡입펌프(620) 및 흡입관(630)을 포함한다.
예컨대 수용탱크(610)는 속이 빈 함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술한 공급탱크(510)와 근접하게 본체(200) 내부에 수납되며, 세척이 완료된 세척액이 수용된다.
흡입펌프(620)는 수용탱크(610) 외면 또는 외부에 상기 수용탱크(610)와 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의 제어를 통해 세척시험관(T) 내에서 세척이 이루어진 세척액을 흡입하여 수용탱크(6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관(630)은 일단이 수용탱크(610)와 관 연결되되 타단은 승강바(420)를 통해 각각의 흡입니들(433)과 연결되어 세척시험관(T)의 세척액이 수용탱크(6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술한 구동모터(310), 실린더(410), 공급펌프(520) 및 흡입펌프(620)를 제어하며, 이동판(300)에 구비된 카트리지(100)를 인지하여 이동판(300)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센서(710)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어부(700)는 본체(200) 전면에서 작업자가 조작가능한 조작판의 형식으로 설치되어 제어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단말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제어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센서(710)는 본체(200) 전면 즉, 세척시험관(T)이 수납되는 몸체(111)에 형성된 코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인식된 상기 코드정보(115)를 제어부(700)에 전달하여 이동판(300)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센서(710)는 제1 및 제2센서(711,713)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센서(711)의 인식을 통해 이동판(300)의 이동 및 세척부재(40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게 하고, 제2센서(713)의 인식을 통해 이동판(300)의 이동 여부를 제어부(700)가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부(700)는 제1 및 제2센서(711,713)를 통해 이동판(300) 상부에 수납된 카트리지(100)를 인식하게 되는데, 세척이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2센서(713)에 의한 인식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센서(711)를 통해 인식된 카트리지(100)의 세척이 마감되면 다른 세척하고자 하는 카트리지(100)는 없다고 판단하여 세척부재(4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다수의 세척시험관(T)을 카트리지(100)에서 분리하지 않고, 왕복으로 이동가능한 이동판(300) 상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세척부재(400)인 한 쌍의 니들(430)이 세척액을 주입하여 그 압력에 의해 세척을 실시하고, 세척이 완료된 세척액은 흡입하여 세척시험관(T) 외부로 자동배출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그 세척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시약 공급이 용이한 자동분주기
100: 카트리지 110: 몸체부재
111: 몸체 112: 삽입공
113: 관통공 114: 식별번호
115: 코드정보 116: 끼움구
117: 끼움홈 118: 걸림홈
119: 클립 120: 지그부재
121: 지그체 122: 손잡이
123: 표시번호 124: 고정안착수단
125: 제1고정돌출부 126: 끼움돌기
127: 제2고정돌출부 128: 지지돌출부
200: 본체 210: 평탄부
220: 안내바 230: 인입공
240: 베어링 250: 승강홈
300: 이동판 310: 구동모터
320: 결합돌기 330: 안내홈
340: 이동공 400: 세척부재
410: 실린더 420: 승강바
430: 니들 431: 주입니들
433: 흡입니들 440: 스위치
500: 공급부재 510: 공급탱크
520: 공급펌프 530: 공급관
600: 수용부재 610: 수용탱크
620: 흡입펌프 630: 흡입관
700: 제어부 710: 센서
711: 제1센서 713: 제2센서
T: 세척시험관

Claims (7)

  1. 전방에 소정면적을 갖는 평탄부(210)가 형성된 본체(200);
    상기 평탄부(210)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200)에 구비된 구동모터(310)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판(300);
    상기 이동판(300) 상면에 고정 설치되되 의료검사가 실행되는 세척시험관(T)이 이웃하게 수납되는 카트리지(100);
    상기 카트리지(100)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본체(200)에 구비된 실린더(410)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세척시험관(T) 내부에 세척액을 주입함과 동시에 흡입하여 상기 세척시험관(T)을 세척하는 세척부재(400);
    상기 세척부재(400)와 관 연결되어 상기 세척시험관(T)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액을 공급하는 공급부재(500);
    상기 세척부재(400)와 관 연결되어 상기 세척시험관(T)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액이 수용되는 수용부재(600); 및
    상기 본체(200), 세척부재(400), 상기 공급부재(500), 상기 수용부재(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되 상기 카트리지(100)를 인식하여 상기 이동판(3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100)는 상기 평탄부(2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그부재(120) 및 상기 지그부재(120)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척시험관(T)이 수납되는 몸체부재(11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재(110)는 소정길이를 갖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웃하도록 상기 세척시험관(T)이 형상맞춤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공(112)이 형성된 몸체(111); 각각의 상기 삽입공(112) 내면과 연통되게 상기 몸체(111)에 다수 천공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12)에 삽입된 상기 세척시험관(T) 내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관통공(113); 상기 몸체(111)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끼움구(116); 및 상기 끼움구(116)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식별수단(119a)이 외면에 구비된 'U'자 형상의 클립(119);을 포함하되,
    상기 식별수단(119a)은 상기 몸체(111)에 수납된 세척시험관(T)의 검사종목, 검사완료한 종목, 샘플제공대상, 검사날짜, 검사경과시간 중 하나 이상의 검사정보가 기재되고,
    상기 이동판(300) 상면에는 상기 이동판(300)이 이동시에 상기 카트리지(100)가 유동 없이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카트리지(100)가 삽입될 수 있게 돌출형성된 결합돌기(320)가 구비되고,
    상기 지그부재(12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20)와 형상 맞춤으로 끼워지는 결합홈(121c)이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몸체부재(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그체(121); 및
    상기 지그체(121)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지그체(121) 상부에 안착한 상기 몸체부재(11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고정안착수단(124);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안착수단(124)은 상기 몸체부재(110) 일측과 끼움 결합하는 제1고정돌출부(125), 상기 몸체부재(110) 하면 중앙부에 삽입되는 제2고정돌출부(127), 상기 몸체부재(110) 타측이 지지되는 지지돌출부(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210)는
    상기 이동판(300)이 이동시에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바(220)가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되 상기 이동판(300) 일측은 상기 본체(200)에 형성된 인입공(230) 내부로 인입되어 이동하며, 상기 인입공(230)에는 상기 이동판(300) 외면과 면 접촉하여 상기 이동판(300)을 지지하는 베어링(240)이 구비되고, 전면에는 상기 세척부재(400)가 승강할 수 있는 승강홈(2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300)은 상기 본체(200)가 삽입되되 상기 이동판(300)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이동판(300)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330); 및
    상기 본체(2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200) 내부로 일측이 삽입된 상기 이동판(300)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31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모터(310)는 상기 본체(200) 내부로 삽입된 상기 이동판(300) 일측에 형성된 이동공(340)과 서로 치(齒) 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판(300)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세척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400)는
    상기 본체(200)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410);
    상기 카트리지(100) 상부에 위치하되 일측이 상기 실린더(410)와 고정 결합하여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바(420); 및
    상기 승강바(420) 하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어느 하나는 상기 공급부재(500)와 연결되어 세척액을 상기 세척시험관(T)에 주입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수용부재(600)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시험관(T)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액을 흡입하는 니들(430);을 포함하되,
    상기 공급부재(500)와 연결되는 상기 니들(430)은 상기 수용부재(600)와 연결되는 상기 니들(430)보다 그 수직길이가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세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본체(200)에 설치되는 센서(7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710)는 상기 평탄부(210)에 구비된 상기 카트리지(100)를 인식하되 그 인식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에 전송하여 상기 이동판(300)의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구 세척장치.
KR1020170109300A 2017-08-29 2017-08-29 의료기구 세척장치 KR102123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00A KR102123054B1 (ko) 2017-08-29 2017-08-29 의료기구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00A KR102123054B1 (ko) 2017-08-29 2017-08-29 의료기구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76A KR20190023476A (ko) 2019-03-08
KR102123054B1 true KR102123054B1 (ko) 2020-06-26

Family

ID=6580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300A KR102123054B1 (ko) 2017-08-29 2017-08-29 의료기구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6119B (zh) * 2019-05-14 2021-01-12 国家地质实验测试中心 一种环保批量自动比色管清洗设备及其清洗方法
CN110404911B (zh) * 2019-08-27 2020-04-10 冯佩青 一种实验试管清洁装置
CN110882963A (zh) * 2019-12-12 2020-03-17 杨菊秀 一种医用刀具自动清洗设备
CN112452383A (zh) * 2021-01-13 2021-03-09 广州市天河区复我弓商贸有限公司 一种具有清洁功能的试管架
CN114643128A (zh) * 2022-03-25 2022-06-21 北京唯公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试管磁分离及清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943B2 (ja) * 1992-04-16 2000-06-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ガス赤外線輻射式加熱器の温度制御方法
KR101524672B1 (ko) * 2014-07-29 2015-06-03 신진메딕스(주) 혈액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3147A (ja) * 1996-10-24 1998-05-15 Kdk Corp ラックの識別方法、ラック、および試料検査装置
JP3047943U (ja) * 1997-09-09 1998-04-28 栄研化学株式会社 収納容器
JP2008224539A (ja) * 2007-03-14 2008-09-25 Olympus Corp 洗浄装置および自動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943B2 (ja) * 1992-04-16 2000-06-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ガス赤外線輻射式加熱器の温度制御方法
KR101524672B1 (ko) * 2014-07-29 2015-06-03 신진메딕스(주) 혈액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476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054B1 (ko) 의료기구 세척장치
KR101373440B1 (ko) 임상 검사용 분석 장치 및 임상 검사용 분석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 방법
JP2008281480A (ja) ノズル洗浄方法およびノズル洗浄装置ならびに自動分析装置
JP4505547B2 (ja) 試薬を吸引し分配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101982467B1 (ko) 원단정련장치
JP3299212B2 (ja) 液の転写部材及び転写装置
CN211402409U (zh) 全自动化学发光免疫分析仪
US20090032065A1 (en) Syringe wash station for analytical applications
CN112384124A (zh) 内窥镜再生处理器具
KR101524672B1 (ko) 혈액 검사 장치
JP2005127896A (ja) 血液等の試料サンプリング装置およびサンプリング方法
JP4013202B2 (ja) 血液等の試料サンプリング機構におけるサンプリング管の洗浄方法
CN109107954A (zh) 一种可选酶标板孔位清洗的洗板装置
KR102331945B1 (ko) 다채널 혈액 점도 측정 장치
CN210438375U (zh) 气压拔塞装置
CN208840079U (zh) 一种可选酶标板孔位清洗的洗板装置
JP2006162260A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用オートサンプラ
JP2007309739A (ja) 洗浄装置
JPS62229070A (ja) 自動化学分析装置における洗浄方法
JP2001337279A (ja) サンプル処理装置及びカバーガラス搬送装置
JP6073693B2 (ja) プローブ洗浄機構および自動分析装置
JPH0322592B2 (ko)
JP2002323506A (ja) 分注装置
CN219130198U (zh) 一种糖化血红蛋白仪清除进样针外壁液体装置
CN211717913U (zh) 样本加载装置及推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