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652B1 -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제제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제제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652B1
KR102122652B1 KR1020180106933A KR20180106933A KR102122652B1 KR 102122652 B1 KR102122652 B1 KR 102122652B1 KR 1020180106933 A KR1020180106933 A KR 1020180106933A KR 20180106933 A KR20180106933 A KR 20180106933A KR 102122652 B1 KR102122652 B1 KR 10212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iment
skin
composition
group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627A (ko
Inventor
강상모
석지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6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3Reuteri
    • A23Y2220/7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락토바실러스에 의한 장관 면역 기능 개선을 통한 피부 면역 증진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또는 식품으로 제형화되어 이를 섭취하여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제제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using Lactobacillus reuteri preparation}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제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노화는 유전적, 환경적인 다양한 요인들에 의한 자극과 손상이 축적되어 세포와 조직, 기관의 기능이 소실되는 것으로(Vina et al ., 2007), 피부는 그 기능 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 생체적인 노화정도를 가늠하는 대표적인 지표가 된다(홍재기, 2009).
피부노화는 주로 호르몬 변화와 면역력 저하 등의 내재적 요인과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 등의 외재적 요인에 의해 피부의 산성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소거능력 감소,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의 활성증가가 나타나게 되는데(서진영 등, 2001a), 이러한 노화 현상에 따른 피부상태 변화는 주름(wrinkle), 기미(melasma), 안면홍반(facial erythema) 및 수분손실(water loss) 등이 대표적이다(이상선, 2009; 이정희 등, 2013). 특히 피부노화를 경험하게 되는 30-40대 여성들은 신체 및 호르몬 변화로 인해 피부면역 기능이 감소되어 피부 민감도 및 피부질환의 위험성이 증가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강수경, 2004).
최근 피부건강을 유지하고 아름다움을 갖추기 위해서 신체의 안과 밖에서 충분한 영양공급이 되어야 한다는 이너뷰티(inner beauty) 개념이 주목받으면서 몸 속 면역균형을 통해 피부 속 건강을 관리하려는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조유경, 정재윤, 2012; 황인혜, 2013).
이러한 피부건강 및 노화관리 목적의 이너뷰티 소재 중 대표적인 것이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이며, 유산균은 피부노화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에서 주요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김기숙, 강상모, 2016). 관련 논문으로는 Lactobacillus rhamnosus의 섭취에 따른 멜라닌 생성 촉진 억제 및 보습효과(이자복, 2018), L. rhamnosus와 Lactobacillus paracasei 복합배양의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효과(김남영, 이현용, 2015), Lactobacillus plantarum 경구 투여에 따른 주름개선 효과(Kim et al ., 2014) 등 유산균이 향장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L. plantarum HY7714는 피부 보습 및 자외선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고(식품의약품안전처, 2015), L. plantarum CJLP133은 면역 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에 도움을 주는 개별인정 유산균으로 인정받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락토바실러스는 아미노산을 분해하여 유기산을 생성하는 비운동성 그람 양성 무포자 간균으로서, 이에 속하는 유산균 중 특히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는 인간의 모유에서 최초로 분리되었으며 인체 내 면역 조절과 강력한 항균 물질인 루테린(reuterin)을 생성하여 넓은 항균력과 항염작용이 우수한 것이 특징으로, 그동안 의학치료 및 식품산업에 적용하려는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어 왔다(염은미 등, 2005; Hsieh et al., 2013; Koch et al ., 2014; Thomas et al ., 2012). 유산균은 발효형식에 따라 젖산만을 만드는 정상(homo) 발효와 젖산 이외 초산, 에틸알콜, 탄산가스 등을 생성하는 이상(hetero) 발효의 두 종류로 대별된다(문홍석, 2001).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는 젖산 이외에도 여러 대사물질을 생성하는 이상발효 유산균이며, 강력한 항균물질인 루테린을 생산하는 유일한 유산균이다.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에 의해 glycerol이 대사되면 1,3-propane-dial 및 β-hydroxypropionic acid와 함께 루테린이 생성되는데(Talarico & Dobrogoze, 1989), 타 유산균의 항균물질과는 달리 그 구조가 폴리펩타이드가 아닌 알데하이드이기 때문에 장관 내 pH 또는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광범위한 항균력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권남훈 등, 2001b; 염은미 등, 2005).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는 생체 내 환경에서도 항균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장 세포의 부착능이 우수하며 장기간 생존하여 건강 지향 효과가 있는 토착균으로 평가받고 있다(Jacobsen et al., 1999).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의 장관 내 면역개선에 따른 다양한 기전들을 바탕으로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의 섭취가 장관 면역과 피부면역 및 피부 생리활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코스메틱 푸드(cosmetic food)로 적용 가능한 제제에 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출원 제10-2005-0041572호 특허출원 제10-2015-0164712호
Erdman & Poutahidis, 2014; Prince et al., 2012; Rosenfeldt et al ., 2003; Thomas et al .,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특히 피부 노화 방지 효과 및 피부 유분량 증가, 수분량 증가, 경피수분손실량(TEWL) 감소, 피부 거칠기 감소, 피부 함몰도 및 피부 주름 감소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생균 또는 사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또는 일반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에 의한 장관 면역 기능 개선을 통한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 식품 또는 식품으로서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제제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파라프로바이오틱스 투여 후 피부 수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파라프로바이오틱스 투여 후 피부 유분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파라프로바이오틱스 투여 후 경피수분손실도(TEWL)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파라프로바이오틱스 투여 후 피부 거칠기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상기 피부 거칠기 변화를 3D 이미지로 촬영한 사진 및 이미지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파라프로바이오틱스 투여 후 피부 함몰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8은 상기 피부 함몰도를 3D 이미지로 촬영한 사진 및 이에 대한 육안 평가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파라프로바이오틱스 투여 후 피부 주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은 상기 피부 주름 변화를 3D 이미지로 촬영한 사진 및 이에 대한 육안 평가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특히 건강기능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는 생균 또는 사균 형태로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고, 프로바이오틱스 또는 파라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로 제제화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가지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균주는 장내 소화기관에서 분비되는 여러 가지 물질들을 견딜 수 있는 내산성 또는 내담즙성 특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생균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사균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과 유사한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다. 파라프로바이오틱스는 일반적으로 발효를 통해 얻어진 생균과 대사산물을 UV, 열처리, 방사선 조사, 초음파 분쇄 또는 압력 조절 등을 통해 균의 성장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한 형태로서, 세포질(cytoplasm), 세포벽(cell wall), 박테로이신(bacteriocin) 등의 항균물질, 다당류(polysaccharide) 및 유기산 등의 구성성분이 모두 공존하는 제형이다. 파라프로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보관이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도 프로바이오틱스와 마찬가지로 피부 개선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개선” 은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를 좋게 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서, 특히 피부 노화 방지 및 다양한 측면에서의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피부 개선 효과는 특히 피부 유분량 증가, 피부 수분량 증가, 경피수분손실량(TEWL) 감소, 피부 거칠기 감소, 피부 함몰도 및 피부 주름 감소 등의 효과를 포함하며, 이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의 섭취에 의한 장관 면역 증진을 통해 얻어지는 효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였을 때, 장을 통해 유효 성분이 흡수되어 장관 면역이 개선되며, 그 결과로서 다양한 측면에서의 피부 상태가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가지는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피부 수분량, 유분량, 경피수분손실도(TEWL), 피부 거칠기, 피부 함몰도 또는 피부 주름 변화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그 정도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됨을 확인함으로써 증명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사용 목적 또는 양상에 따라서 건강기능 식품 또는 식품, 식품 첨가제 등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주의 함량 또한 조성물의 구체적인 형태, 사용 목적 내지 양상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 식품 또는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외에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실험재료 및 방법
1-1. 실험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건국대학교 기관윤리위원회(IRB)의 심의를 거쳐(IRB 심의번호 7001355- 201705-HR-180)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선정기준은 특정 질병이나 약물을 복용하지 아니한 자, 최근 6개월 이내에 유산균을 복용하지 않은 자, 최근 3개월 이내에 피부과 시술을 받지 않은 자 또는 피부관리를 받지 않은 자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 한 후 선정에 부합되는 대상자만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실험의 목적, 방법, 대상물질에 대한 사전 설명을 진행하였으며, 대상자의 자율적 의사에 따라 연구 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연구동의서를 받아 2017년 6월 - 9월까지 12주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총 30명으로 대조군(Cont) 10명, L. reuteri 생균제제인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군(Pro) 10명, L. reuteri 사균제제인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섭취군(Para) 10명으로 각각 구분하여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특정 연령대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였으며, 기타 임상시험 시 사용하는 기초화장품(클렌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영양크림, 자외선 차단제/ K사)을 제공하여 임상기간 동안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하는 등 피부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1-2. 실험에 사용된 균주 및 제제화
실험에 사용된 L. reuteri KCTC 3594는 생물자원센터(The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 KCTC, 전북 정읍)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분양받은 종균은 각각의 배지에서 활성화시킨 후, 40% glycerol 용액과 활성화된 배양액을 1 : 1 (v/v)로 섞어 균질화하여 본 실험에서 스타트 종균으로 사용하기 전 -70℃의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먹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L. reuteri는 생균인 프로바이오틱스 제형과 사균인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제형을 준비하였으며,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제형은 이승훈 등(2014)이 고안한 틴달화(tyndallization) 공법으로 제조하였다.
L. reuteri KCTC 3594 균원시료를 10% (v/v) 되게 탈지분유 5%, 포도당 1%가 함유된 SB 배지 4 L를 7.5 L 규모의 소용량 발효조에서 멸균 후, L. reuteri 종균을 접종하여 37℃, 24시간동안 batch culture 형식의 발효를 진행하였다. 생균제제의 생산을 위해 배양액 2 L를 10,000 rpm,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균체와 상등액을 각각 회수한 후, 이를 10% (w/v) 탈지분유 용액에 현탁시키고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L. reuteri 프로바이오틱스 제형을 준비하였다.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제형은 원심분리 후 회수한 L. reuteri 생균 무게와 동일한 양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105℃에서 5분간 열처리하여 사멸시켰다. 그리고 열처리 사균체를 감압 농축시킨 10배 농축액에 혼합, 현탁시킨 후 121℃에서 5분, 1.2기압으로 가압열처리 한 후 30℃ 냉각, 110℃에서 10분, 0.8기압으로 가압열처리 한 후 30℃ 냉각, 80℃에서 30분간 열처리 한 후 30℃로 최종 냉각 후 동결건조, 분말화하여 L. reuteri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제형을 준비하였다. 상기 과정을 도 1에 도시하였다.
1-3. 식이 제제 구성
실험군인 Pro군과 Para군은 각각 프로바이오틱스 제제와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준비하였고, 유산균을 섭취하지 않은 Cont군은 유산균 대신 옥수수 전분과 유당으로 구성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섭취하도록 하였다. 유산균 제제는 캡슐 당 기준균수를 100억 단위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시료는 육안으로는 구분이 어렵도록 제작하였다.
유산균의 일일 섭취량은 건강기능 식품공전에 고시된 일일 섭취량 기준인 1×1010 CFU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로 산정하였으며, 각 연구 대상자는 1일, 1회, 1 capsule 기준으로 오전 아침 식사 전, 물과 함께 임상 샘플을 섭취하도록 하고 임상기간 중 4℃, 냉장상태로 보관하였다. 그리고 음식 섭취로 인한 오차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임상기간 동안 연구대상자들의 식이를 평소와 동일하게 시행하도록 하였다.
1-4. 측정기기 및 측정방법
본 연구에서 피부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총 5대의 피부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부표면 수분량을 측정하는 Cornemeter® (CM 825, Courage+Khazaka electronic, Germany), 피부표면 유분량을 측정하는 Sebumeter® (SM 810, Courage+Khazaka electronic, Germany), 피부 멜라닌 색소와 홍반량을 측정하는 Mexameter (MX 18, Courage+Khazaka electronic, Germany), 경피수분손실량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는 Vapometer (Delfin, Finland), 거칠기 및 함몰도, 주름을 측정하는 Antera 3D (Miravex, Ireland)를 사용하여 피부상태의 지표가 되는 총 8개의 항목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실내온도 20-25℃, 상대습도 40-60%로 최적 항온, 항습 조건을 유지한 측정실에서 측정하였으며(소병화, 2006), 동일한 세안제로 클렌징 작업을 하고 30분간 안정을 취한 후 피부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부위는 김미경(2016)의 연구에서 지정한 부위와 동일한 부위로, 이마 (미간 위 3 cm 지점), 오른쪽 눈가(오른쪽 눈꼬리 옆 2 cm 지점), 오른쪽 볼(오른쪽 콧망울 옆 3 cm 지점), 턱(아랫입술 중앙 아래 1.5 cm 지점) 등 총 4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임상 전후 총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측정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험이 진행되는 12주 동안 동일인이 동일한 부위를 3번 연속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단, 유분측정은 피부 피지막(skin lipid film) 형성 시간이 필요하므로 연속 측정을 피하고 시간 간격을 두거나 그 부근을 측정해야 한다고 보고된 바(주여진, 2012), 측정 시 측정부위와 측정부위 부근을 지정한 후 3번 측정하여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1-5. 통계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수준 p<.05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안면 피부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검정을 시행하였다. 둘째, 집단 간 안면 피부의 실험 전과 실험 후 피부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시행하였다
2. 실험 결과
2-1. 수분 함량 변화
피부 수분량의 실험 전후 변화는 표 1 및 도 2과 같다. Cont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67.46±9.09에서 실험 후 64.83±7.80으로 3.9%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69.69±8.07에서 실험 후 66.98±6.13으로 3.9% 감소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74.29±5.62에서 실험 후 72.79±3.54로 2.0% 감소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61.71±7.22에서 실험 후 59.90±6.57로 2.9% 감소 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64.17±10.26에서 실험 후 59.64±6.25로 7.0%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Cont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 안면의 모든 부위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차이는 유의미하였다(p<.05).
Pro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59.08±11.85에서 실험 후 73.40±8.99로 24.2%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Cont군 대비 28.2% 증가하였다. 부위별로 이마에서 실험 전 58.86±7.76에서 실험 후 77.64±7.21로 31.9% 증가하였고(p<.001), 눈가에서 실험 전 67.08±11.10에서 실험 후 79.01±6.45로 17.8% 증가하였다(p<.01). 볼에서 실험 전 55.97±16.60에서 실험 후 68.53±10.00으로 22.5% 증가하였고(p<.01), 턱에서 실험 전 54.40±6.88에서 실험 후 68.41±7.05로 25.8% 증가하였다(p<.001). 이에 따라 안면의 모든 부위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수분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ra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64.08±9.35에서 실험 후 77.96±6.15로 21.7%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Cont군 대비 25.6% 증가하였다. 부위별로 이마에서 실험 전 66.87±9.55에서 실험 후 79.52±5.40로 18.9% 증가하였고(p<.01), 눈가에서 실험 전 71.44±6.78에서 실험 후 80.23±7.91로 12.3% 증가하였다(p<.001). 볼에서 실험 전 56.46±8.31에서 실험 후 77.21±5.44로 36.8% 증가하였고(p<.001), 턱에서 실험 전 61.54±5.84에서 실험 후 74.86±4.89로 21.6% 증가하였다(p<.001). 이에 따라 안면의 모든 부위에서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수분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수분 함량의 변화는 Cont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Pro군과 Para군의 모든 부위에서 Cont군 대비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01), 특히 다른 항목에 비해 증가양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8089056775-pat00001
(약어) Cont: control group; Pro: probiotics group; Para: paraprobiotics group.
*p<.05, ***p<.001
2-2. 유분 함량 변화
피부 유분량의 실험 전후 변화는 표 2 및 도 3과 같다. Cont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4.50±15.08에서 실험 후 19.42±13.34로 33.9% 증가 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22.33±18.28에서 실험 후 25.11±13.27로 12.4% 증가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2.11±15.96에서 실험 후 16.33±12.05로 34.9% 증가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5.89±5.80에서 실험 후 11.00±9.25로 86.8% 증가 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17.67±14.20에서 실험 후 25.22±14.37로 42.8% 증가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Cont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 모든 부위에서 유분량의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Pro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3.58±12.06에서 실험 후 19.58±12.81로 44.2%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Cont군 대비 10.3% 증가하였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9.44±9.30에서 실험 후 24.22±8.51로 24.6% 증가 경향을 보였고, 눈가에서 실험 전 8.33±8.50에서 실험 후 9.11±6.07로 9.3% 증가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6.22±6.10에서 실험 후 11.33±6.84로 82.1% 증가 하였고(p<.05), 턱에서 실험 전 20.33±16.08에서 실험 후 33.67±10.71로 65.6% 증가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볼 부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5), 볼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도 증가 경향을 보여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피부의 유분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ra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7.00±15.82에서 실험 후 21.81±16.31 로 28.3%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Cont군 대비 5.6% 낮았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22.67±14.87에서 실험 후 23.44±14.30으로 3.4% 증가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2.33±11.98에서 실험 후 15.00±8.34로 21.6% 증가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13.67±15.72에서 실험 후 13.89±8.87로 1.6% 증가 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32.78±23.28에서 실험 후 38.44±19.11로 17.3% 증가하였다(p<.05). 이에 따라 턱 부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5), 턱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도 증가 경향을 보여 파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피부의 유분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분량의 변화는 Pro군과 Para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1, p<.001), 부위별로 보면 눈가에 비해 볼과 턱 부위에서 변화 양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112018089056775-pat00002
(약어) Cont: control group; Pro: probiotics group; Para: paraprobiotics group.
*p<.01, ***p<.001
2-3. TEWL ( 경피수분손실도 ) 변화
피부 TEWL의 실험 전후 변화는 표 3 및 도 4와 같다. Cont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5.91±4.18에서 실험 후 15.81±4.59로 0.6%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5.53±3.58에서 실험 후 15.93±5.94로 2.5% 증가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4.06±3.44에서 실험 후 14.93±5.60으로 6.2% 증가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15.81±4.29에서 실험 후 14.94±3.53으로 5.5% 감소 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18.23±4.83 에서 실험 후 17.46±2.86으로 4.3%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Cont군은 안면의 모든 부위에서 실험 전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ro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5.90±4.68에서 실험 후 13.44±3.48로 15.5%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Cont군 대비 14.9% 낮았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5.16±5.53에서 실험 후 13.30±3.85로 12.2% 감소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4.34±4.71에서 실험 후 11.86±2.49로 17.4% 감소하였다(p<05). 볼은 실험 전 17.86±4.49에서 실험 후 14.17±3.84로 20.7% 감소하였고(p<.05), 턱은 실험 전 16.23±3.88에서 실험 후 14.43±3.56으로 11.1%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눈가, 볼 부위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p<.05), 이마와 턱 부위에서도 감소 경향을 보여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TEWL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ra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4.35±3.10에서 실험 후 12.94±2.86으로 9.8% 감소하였고(p<.05), Cont군 대비 9.2% 낮았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4.00±2.86에서 실험 후 11.71±1.75로 16.3% 감소하였고(p<.05), 눈가는 실험 전 13.01±3.09에서 실험 후 11.02±2.09로 15.2% 감소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14.48±2.31에서 실험 후 13.24±3.05로 8.5% 감소 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15.90±3.75에서 실험 후 15.77±2.04로 0.8%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실험 전보다 실험 후에 이마 부위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p<.05), 이마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감소 경향을 보여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TEWL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TEWL 변화는 Cont군에서 차이가 없는 반면, Pro군과 Para군은 부위별 차이는 있었으나 각각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p<.001, p<.05).
Figure 112018089056775-pat00003
(약어) Cont: control group; Pro: probiotics group; Para: paraprobiotics group.
*p<.05, ***p<.001
2-4. 거칠기 변화
피부 거칠기의 실험 전후 변화는 표 4 및 도 5와 같다. Cont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1.69±2.95에서 실험 후 12.17±2.85로 4.1%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3.82±3.44에서 실험 후 14.13±3.10으로 2.2% 증가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0.61±1.55에서 실험 후 10.90±1.54로 2.7% 증가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10.64±2.70에서 실험 후 11.02±2.25로 3.5% 증가 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11.68±2.99에서 실험 후 12.67±3.29로 8.4% 증가하였다(p<.05). 이에 따라 Cont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 턱 부위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p<.05), 턱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도 증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Pro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3.81±3.67에서 실험 후 11.99±3.00으로 13.2%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Cont군 대비 17.2% 낮았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5.88±3.65에서 실험 후 14.38±3.09로 9.4% 감소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2.39±2.83에서 실험 후 10.84±1.89로 12.5% 감소하였다(p<.01). 볼은 실험 전 12.36±2.54에서 실험 후 11.62±2.39로 6.0% 감소하였고(p<.05), 턱은 실험 전 14.60±4.58에서 실험 후 11.11±3.40으로 23.9% 감소하였다(p<.05). 이에 따라 실험 전보다 실험 후 이마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5, p<.01),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거칠기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ra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1.95±2.42에서 실험 후 11.13±2.34로 6.8%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1), Cont군 대비 10.9% 낮았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4.04±2.87에서 실험 후 13.62±2.81로 3.0% 감소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1.02±1.88에서 실험 후 10.00±1.51로 9.3% 감소하였다(p<.01). 볼은 실험 전 11.43±1.86에서 실험 후 10.29±1.53로 10.0% 감소하였고(p<.05), 턱은 실험 전 11.31±1.92에서 실험 후 10.62±1.39로 6.0%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실험 전보다 실험 후 눈가와 볼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1, p<.05), 이마와 턱 부위에서도 감소 경향을 보여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거칠기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피부 거칠기는 Cont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p<.05), Pro군 및 Para군에서 부위별 차이는 있었으나 각각 유의적 감소를 보였다(p<.001, p<.01). 또한, Pro군과 Para군의 실험 전후 피부 거칠기 변화 차이는 이미지로 확인이 가능하였다(도 6). Antera 3D로 촬영한 이미지 분석 결과 각 군에서 육안평가로 뚜렷이 구분이 되는 예를 보면, Cont군은 실험 전 12.5에서 실험 후 13.7로 증가하였고, Pro군은 실험 전 14.6에서 실험 후 11.9로 감소하였으며, Para군은 실험 전 11.4에서 실험 후 9.0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Pro군과 Para군에서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거칠기가 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8089056775-pat00004
(약어) Cont: control group; Pro: probiotics group; Para: paraprobiotics group.
*p<.05, **p<.01, ***p<.001
2-5. 피부 함몰도 변화
피부 함몰도의 실험 전후 변화는 표 5 및 도 7과 같다. Cont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2.41±2.39에서 실험 후 2.95±2.50으로 22.5% 증가 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4.60±3.33에서 실험 후 4.91±3.04로 6.6% 증가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66±1.03에서 실험 후 1.51±1.08로 8.7% 감소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1.63±1.72에서 실험 후 1.91±1.36으로 17.1% 증가 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1.76±1.62에서 실험 후 3.49±2.64로 98.2% 증가하였다(p<.05). 이에 따라 Cont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 턱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ro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4.18±3.54에서 실험 후 3.14±2.80으로 24.8%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1), Cont군 대비 47.3% 낮았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6.95±4.42에서 실험 후 4.88±3.32로 29.8% 감소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3.15±2.55에서 실험 후 1.79±1.08로 43.4% 감소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2.56±1.85에서 실험 후 2.02±1.51로 21.3% 감소하였고(p<.05), 턱은 실험 전 4.05±3.56에서 실험 후 3.88±3.50으로 4.2%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실험 전보다 실험 후 볼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5), 볼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감소 경향을 보여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함몰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ra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3.12±2.71에서 실험 후 2.42±2.41으로 22.5%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Cont군 대비 44.9% 낮았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5.04±3.55에서 실험 후 4.13±3.02로 18.1% 감소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3.25±2.75에서 실험 후 2.65±2.84로 18.4% 감소하였다(p<.05). 볼은 실험 전 1.99±1.51에서 실험 후 1.60±1.30으로 19.6% 감소 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2.21±1.79에서 실험 후 1.31±0.99로 40.9%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실험 전보다 실험 후 눈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5), 눈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감소 경향을 보여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함몰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피부 함몰도 변화는 Cont군에서 차이가 없는 반면, Pro군 및 Para군에서 부위별 차이는 있었으나 각각 유의적 감소를 확인하였다(p<.01, p<.05).
또한, Pro군과 Para군의 실험 전후 피부 함몰도의 변화 차이는 이미지로 확인이 가능하였다(도 8). Antera 3D로 촬영한 이미지 분석 결과 각 군에서 육안평가로 뚜렷이 구분이 되는 예를 보면, Cont군은 실험 전 2.4에서 실험 후 3.3으로 증가하였고, Pro군은 실험 전 3.5에서 실험 후 2.1로 감소하였으며, Para군은 실험 전 2.0에서 실험 후 1.0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Pro군과 Para군에서 실험 후 함몰도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8089056775-pat00005
(약어) Cont: control group; Pro: probiotics group; Para: paraprobiotics group.
*p<.05, **p<.01
2-6 주름 변화
피부 주름의 실험 전후 변화는 표 6 및 도 9와 같다. Cont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1.35±2.39에서 실험 후 11.88±2.56으로 4.6%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3.35±2.71에서 실험 후 13.83±2.65로 3.6% 증가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0.47±1.63에서 실험 후 10.20±1.64로 2.6% 감소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10.44±2.30에서 실험 후 10.92±2.10으로 4.5% 증가 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11.14±1.82에서 실험 후 12.58±2.32로 12.9% 증가하였다(p<.05). 이에 따라 Cont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 눈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증가 경향 및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p<.05).
Pro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3.64±3.26에서 실험 후 12.25±2.85로 10.2%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Cont군 대비 14.9% 낮았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5.31±3.29에서 실험 후 13.75±2.94로 10.2% 감소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2.51±2.71에서 실험 후 10.58±1.65로 15.5% 감소하였다(p<.01). 볼은 실험 전 12.80±1.82에서 실험 후 11.91±1.60으로 6.9% 감소하였고(p<.01), 턱은 실험 전 13.93±4.30에서 실험 후 12.71±3.85로 8.8%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실험 전보다 실험 후 눈과 볼 부위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p<.01), 이마와 턱 부위에서도 감소 경향을 보여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주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Para군의 경우 전체적으로 실험 전 11.58±2.25에서 실험 후 10.95±2.03으로 5.5%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Cont군 대비 10.1% 낮았다. 부위별로 이마는 실험 전 13.56±2.59에서 실험 후 13.00±2.58로 4.2% 감소 경향을 보였고, 눈가는 실험 전 10.37±1.57에서 실험 후 10.09±1.40으로 2.6% 감소 경향을 보였다. 볼은 실험 전 11.05±1.87에서 실험 후 10.24±1.31로 7.3% 감소경향을 보였고, 턱은 실험 전 11.35±1.73에서 실험 후 10.45±1.15로 7.9% 감소하였다(p<.05). 이에 따라 실험 전보다 실험 후 턱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를 보였고(p<.05), 턱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감소 경향을 보여 파라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주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피부 주름 변화는 Cont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p<.05), Pro군 및 Para군에서 부위별 차이는 있었으나 각각 유의적 감소를 확인하였다(p<.001, p<.05).
또한, Pro군과 Para군의 실험 전후 피부 주름의 변화 차이는 이미지로 확인이 가능하였다(도 10). Antera 3D로 촬영한 이미지 분석 결과 각 군에서 육안평가로 뚜렷이 구분이 되는 예를 보면, Cont군은 실험 전 11.8에서 실험 후 12.9로 증가하였고, Pro군은 실험 전 13.6에서 실험 후 11.2로 감소하였으며, Para군은 실험 전 11.3에서 실험 후 10.3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Pro군과 Para군에서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피부 주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8089056775-pat00006
(약어) Cont: control group; Pro: probiotics group; Para: paraprobiotics group.
*p<.05, ***p<.001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 reuteri KCTC 3594) 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증진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유분량 증가, 수분량 증가, 경피 수분 손실량 감소, 피부 거칠기 감소, 피부 함몰도 및 주름 감소 중 1이상의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L. reuteri KCTC 3594) 는 사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또는 그 배양액을 포함하는 파라프로바이오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증진용 건강기능 식품.
  7.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1020180106933A 2018-09-07 2018-09-07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제제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KR10212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33A KR102122652B1 (ko) 2018-09-07 2018-09-07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제제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933A KR102122652B1 (ko) 2018-09-07 2018-09-07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제제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27A KR20200028627A (ko) 2020-03-17
KR102122652B1 true KR102122652B1 (ko) 2020-06-12

Family

ID=7000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933A KR102122652B1 (ko) 2018-09-07 2018-09-07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제제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802B1 (ko) * 2021-12-22 2023-12-14 (주)기호바이오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배양물 및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82773B1 (ko) * 2022-07-28 2023-09-27 한국콜마홀딩스 주식회사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CN115584333A (zh) * 2022-10-19 2023-01-10 廖梅香 罗伊氏乳杆菌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967B1 (ko) * 2008-06-10 2017-01-31 바이오가이아 에이비 락토바실루스 루테리 (Lactobacillus reuteri)의 루테린-생산 복합 절차의 제어된 활성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307839A (pt) * 2002-02-21 2004-12-07 Nestle Sa Composição fotoprotetora para a pele que pode ser administrada por via oral
KR100493698B1 (ko) 2003-10-31 2005-06-03 김위성 슬러지용 진공 탈수장치
KR101876980B1 (ko) * 2016-11-29 2018-07-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글리세롤로부터 1,3-프로판디올을 고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h53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967B1 (ko) * 2008-06-10 2017-01-31 바이오가이아 에이비 락토바실루스 루테리 (Lactobacillus reuteri)의 루테린-생산 복합 절차의 제어된 활성화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althcare 2018, 6, 40; doi10.3390/healthcare6020040
Joon Lee 외 7명, "Characteriz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Lactobacillus reuteri BM36301 and its probiotic benefits on aged mice", BMC Microbiol, Vol. 16:69, pp 1-13, 2016.04.19.(온라인 공개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27A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4828B2 (ja) 皮膚状態の改善用組成物
JP5001847B2 (ja) セロオリゴ糖含有組成物
JP5199551B2 (ja) カンジダ菌感染に基づく疾患の予防又は改善剤
KR10212265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제제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JP2009298765A (ja) 美肌用遺伝子発現促進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保湿用組成物及び美肌用組成物
JP2008088123A (ja) 美肌用組成物
JP2008291004A (ja) 美肌用組成物
JP2009256309A (ja) 脂肪代謝改善遺伝子発現促進剤および糖尿病予防関連遺伝子発現促進剤
JP2008189571A (ja) 糖尿病及び/又は肥満の治療・予防剤
WO2010096564A2 (en)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polyunsaturated omega-3 fatty acids and probiotic bacteria with potential gastrointestinal and dermatological benefits
JP2008074816A (ja) 生体内抗酸化剤
JPWO2008093678A1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2214820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220265545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JP2014114216A (ja) エストラジオール生成促進剤
JP5328158B2 (ja) カンジダ菌感染に基づく疾患の予防又は改善剤及び経口組成物
CN111818812B (zh) 皮肤状态改善用组合物
JP5048246B2 (ja) スキンケア用の内服組成物
JP6909569B2 (ja) 肌質改善剤
JP2012067082A (ja) 経口組成物
JP2009107957A (ja) 保水用組成物
JP5165803B1 (ja) 経口用むくみ改善剤
JP2011068619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遺伝子発現抑制剤及びセラミダーゼ遺伝子発現抑制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美肌用組成物
JP7130220B2 (ja) 皮膚保湿剤
WO2023079276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probiotic and postbiotic strains of bact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