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154B1 - 분리막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분리막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154B1
KR102120154B1 KR1020190027398A KR20190027398A KR102120154B1 KR 102120154 B1 KR102120154 B1 KR 102120154B1 KR 1020190027398 A KR1020190027398 A KR 1020190027398A KR 20190027398 A KR20190027398 A KR 20190027398A KR 102120154 B1 KR102120154 B1 KR 10212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membrane
lift
mounting portion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철
Original Assignee
김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철 filed Critical 김규철
Priority to KR102019002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2Handling web roll by circumferential portion, e.g. rolling on circumference
    • B65H2301/41722Handling web roll by circumferential portion, e.g. rolling on circumference by acting on outer surface, e.g. gripping 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막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끝단에 새로운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시작단을 연결하기 위한 원단 연결장치에 분리막이 권취된 새로운 롤을 자동으로 공급하되, 복수 개의 새로운 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리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끝단에 새로운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시작단을 연결하기 위한 원단 연결장치에 분리막이 권취된 새로운 롤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리막 공급장치에 있어서, 분리막이 권취된 롤이 올려지도록 상단에 거치 홈이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거치된 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기 위한 복수 개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에 의해 들어 올려지지 않고, 거치부에 거치된 롤을 다음 리프트의 상부까지 수평하게 이송시킨 후 리프트가 롤을 들어올리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거치부 중 마지막에 위치한 거치부에 거치되어 이송된 롤을 상향으로 이송시켜 원단 연결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막 공급장치{membrane feeder}
본 발명은 분리막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끝단에 새로운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시작단을 연결하기 위한 원단 연결장치에 분리막이 권취된 새로운 롤을 자동으로 공급하되, 복수 개의 새로운 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리막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름 형태 원단을 가공하는 롤 투 롤 시스템은 롤을 회전시켜 원단을 풀어주는 언와인딩 장치를 통해 롤에 권취된 원단이 일정한 속도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언와인딩 장치는 사용하던 구(Old) 원단이 전부 소모되면, 새로공급되는 신(New) 원단을 구 원단에 접합함으로써, 원단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
반면, 구 원단에 신 원단을 연결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실시할 경우, 원단 연결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크게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705191호 "맞대기 이음 방식의 원단 자동연결장치"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어, 구 원단에 신 원단을 자동으로 연결함으로써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이면서, 연결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원단 자동연결장치는 구 원단의 소모 완료시간에 맞춰 신 원단을 공급하여 원단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구 원단의 소모 완료시간을 예상하여 상주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구 원단이 권취되었던 롤을 제거하고, 신 원단을 설치함에 따라, 롤 교체시간이 필요하며, 교체시간동안 롤 투 롤 시스템 전체의 가동을 중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구 원단이 권취되었던 롤의 배출과 새로운 원단이 권취된 롤의 공급을 자동으로 실시하고, 새로운 원단이 권취된 롤을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5191호 "맞대기 이음 방식의 원단 자동연결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새로운 원단이 권취된 롤의 공급을 위해 작업자가 상주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분리막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된 롤의 배출과 새로운 롤의 공급을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실시하기 위한 분리막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는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끝단에 새로운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시작단을 연결하기 위한 원단 연결장치에 분리막이 권취된 새로운 롤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리막 공급장치에 있어서, 분리막이 권취된 롤이 올려지도록 상단에 거치 홈이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거치된 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기 위한 복수 개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에 의해 들어 올려지지 않고, 거치부에 거치된 롤을 다음 리프트의 상부까지 수평하게 이송시킨 후 리프트가 롤을 들어올리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거치부 중 마지막에 위치한 거치부에 거치되어 이송된 롤을 상향으로 이송시켜 원단 연결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롤의 일단이 올려지도록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거치부와 롤의 타단이 올려지도록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거치부와 상기 제1 거치부와 제2 거치부 사이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는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 중 처음 롤이 올려지는 거치부의 양측에는 롤의 양단의 위치를 정렬시켜주기 위한 경사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원단 연결장치로부터 배출된 사용 완료된 롤이 올려지면, 하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였을 때, 사용 완료된 롤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사용 완료된 롤이 올려지는 경사진 배출 슬라이드를 더 포함하며, 배출 슬라이드에 올려진 사용 완료된 롤은 배출 슬라이드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에 의하면, 새로운 원단이 권취된 복수 개의 롤을 순차적으로 거치시켜 작업자의 상주 없이도 거치된 롤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에 의하면, 원단 연결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사용된 롤을 자동으로 배출시킨 후 새로운 롤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의 거치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의 승강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의 거치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의 승강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는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끝단에 새로운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시작단을 연결하기 위한 원단 연결장치에 분리막이 권취된 새로운 롤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써, 분리막이 권취된 롤(1)이 올려지도록 상단에 오목한 형태의 거치 홈이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거치부(2a, 2b)와 상기 거치부(2a, 2b)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거치부(2a, 2b)에 거치된 롤(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기 위한 복수 개의 리프트(3)와 상기 리프트(3)에 의해 들어 올려지지 않고, 거치부(2a, 2b)에 거치된 롤(1)을 다음 리프트의 상부까지 수평하게 이송시킨 후 이송된 롤을 다음 리프트가 들어올리면, 거치부(2a, 2b)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이송부(4a, 4b)와 상기 거치부(2a, 2b) 중 마지막에 위치한 거치부에 거치되어 이송된 롤을 상향으로 이송시켜 원단 연결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승강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거치부(2a, 2b), 리프트(3), 이송부(4a, 4b), 승강부(5)는 프레임(33)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33)은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대(31)의 상부에서 이송 레일(32)을 따라 수평하게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4a, 4b)는 상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거치부(2a, 2b)를 통해 각 리프트(3)의 상부에 위치한 롤(1)을 다음 리프트의 상부로 이송시키며, 이송부(4a, 4b)에 의해 이송이 완료된 롤(1)은 각 리프트(3)의 상승에 의해 롤(1)이 각 거치부(2a, 2b)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즉, 이전 리프트(3)의 하부에 이송부(4a, 4b)의 각 거치부(2a, 2b)가 위치하도록 이송된다.
이송부(4a, 4b)의 복귀동작이 완료되면, 각 리프트(3)는 들어올려진 롤(1)을 각 거치부(2a, 2b)의 상부에 내려놓게되며, 이송부(4a, 4b)는 각 거치부(2a, 2b)의 롤(1)을 다음 리프트(3)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을 비롯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롤(1)은 순차적으로 각 리프트(3)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3)는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이 마지막 리프트(3)의 상부에 올려지면, 마지막 리프트(3)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이 이송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다음 리프트(3)가 먼저 공급된 롤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을 때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이 마지막 리프트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경우, 그 이전의 리프트의 상부에 다음 롤이 위치할 경우, 그 이전의 리프트도 다음 롤을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여 다음 롤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다만, 원단 연결장치에 새로운 롤을 공급할 시점에는 마지막 리프트(3)가 하강하여 이송부(4a, 4b)의 마지막 거치부에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을 내려놓게되며, 상기 이송부(4a, 4b)는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을 승강부(5)의 상부까지 이송시키고, 승강부(5)는 원단 연결장치에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을 공급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 아래에서 도 4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2a, 2b)는 롤(1)의 일단이 올려지도록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거치부(2a)와 롤(1)의 타단이 올려지도록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거치부(2b)와 상기 제1 거치부(2a)와 제2 거치부(2b) 사이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거치부(2)가 배치된 이송부(4)는 거치 프레임(10)의 상부에서 횡으로 이송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10)에 각 리프트(3)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 프레임(10)은 롤(1)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마주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간격조절부(13)에 의해 사이 간격이 조절하능하게 구성된다.
즉, 거치 프레임(10)의 사이 간격 조절을 통해 양측의 거치부(2) 사이 간격 및 양측의 리프트(3) 사이 간격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부(2) 중 가장 처음에 위치한 거치부(2)에는 작업자가 새로운 롤(1)을 올려놓기 쉽도록 양측에 가이드(20)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거치부(2) 중 작업자에 의해 처음 롤(1)이 올려지는 거치부(2)의 양측에는 롤(1)의 양단의 위치를 정렬시켜주기 위한 경사진 가이드(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공급장치의 승강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승강부는 5b와 같이 상승하여 원단 연결장치로부터 배출된 사용 완료된 롤(코어, 1d)이 올려지면, 5c와 같이 배출부(6)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가 하강함으로써, 사용 완료된 롤(1d)은 배출부(6)에 올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6)는 사용 완료된 롤(1d)이 올려지는 경사진 배출 슬라이드(도 1 또는 도 2의 7 참조)를 더 포함하며, 배출 슬라이드에 올려진 사용 완료된 롤(1d)은 배출 슬라이드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 배출(도 1 또는 도 2의 1e 참조)된다.
이와 같이, 원단 연결장치에서 사용 완료된 롤(1d)의 배출이 완료되어 원단 연결장치에 새로운 롤을 공급할 시점이 되면,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을 들어올리고 있던 마지막 리프트가 하강하여 이송부의 마지막 거치부에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을 내려놓게되며, 상기 이송부는 가장 먼저 공급된 롤(1a)을 1c와 같이 승강부(5)의 상부까지 이송시키고, 승강부(5c)는 5a를 거쳐 5b와 같이 상승하여 공급된 롤(1c)을 원단 연결장치로 들어올려 공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롤
2 : 거치부
2a : 제1 거치부
2b : 제2 거치부
3 : 리프트
4 : 이송부
5 : 승강부
6 : 배출부
7 : 배출 슬라이드
8 : 에어 분사부
10 : 거치 프레임
13 : 간격조절부
20 : 가이드
31 : 지지대
32 : 이송 레일
33 : 프레임

Claims (6)

  1.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끝단에 새로운 롤에 권취된 분리막의 시작단을 연결하기 위한 원단 연결장치에 분리막이 권취된 새로운 롤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리막 공급장치에 있어서,
    분리막이 권취된 롤이 올려지도록 상단에 거치 홈이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거치된 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들어올리기 위한 복수 개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에 의해 들어 올려지지 않고, 거치부에 거치된 롤을 다음 리프트의 상부까지 수평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거치부 중 마지막에 위치한 거치부에 거치되어 이송된 롤을 상향으로 이송시켜 원단 연결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롤의 일단이 올려지도록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거치부와;
    롤의 타단이 올려지도록 타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거치부와;
    상기 제1 거치부와 제2 거치부 사이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중 처음 롤이 올려지는 거치부의 양측에는 롤의 양단의 위치를 정렬시켜주기 위한 경사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원단 연결장치로부터 배출된 사용 완료된 롤이 올려지면, 하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부가 하강하였을 때, 사용 완료된 롤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사용 완료된 롤이 올려지는 경사진 배출 슬라이드를 더 포함하며,
    배출 슬라이드에 올려진 사용 완료된 롤은 배출 슬라이드의 경사면을 따라 굴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공급장치.
KR1020190027398A 2019-03-11 2019-03-11 분리막 공급장치 KR10212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398A KR102120154B1 (ko) 2019-03-11 2019-03-11 분리막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398A KR102120154B1 (ko) 2019-03-11 2019-03-11 분리막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154B1 true KR102120154B1 (ko) 2020-06-08

Family

ID=7108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398A KR102120154B1 (ko) 2019-03-11 2019-03-11 분리막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1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811B1 (ko) * 2021-01-20 2021-03-22 주식회사 늘품 원단 이송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3495A (ja) * 1991-12-27 1993-08-24 Maruishi Seisakusho:Kk コア−ストリッパ−
JP2859938B2 (ja) * 1990-07-04 1999-02-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給紙装置への巻取原反供給装置
JPH11207407A (ja) * 1998-01-27 1999-08-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3390627B2 (ja) * 1997-06-10 2003-03-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プールハンドリング装置
KR101705191B1 (ko) 2016-09-21 2017-02-10 (주) 씨오텍 맞대기 이음 방식의 원단 자동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9938B2 (ja) * 1990-07-04 1999-02-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給紙装置への巻取原反供給装置
JPH05213495A (ja) * 1991-12-27 1993-08-24 Maruishi Seisakusho:Kk コア−ストリッパ−
JP3390627B2 (ja) * 1997-06-10 2003-03-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プールハンドリング装置
JPH11207407A (ja) * 1998-01-27 1999-08-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イル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101705191B1 (ko) 2016-09-21 2017-02-10 (주) 씨오텍 맞대기 이음 방식의 원단 자동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811B1 (ko) * 2021-01-20 2021-03-22 주식회사 늘품 원단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2469B2 (ja) 基板搬送装置
KR102120154B1 (ko) 분리막 공급장치
JP4840595B2 (ja) 基板搬送機
US6453548B1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JP4835573B2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搬送方法
US10973160B2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CN110582169B (zh) 一种pcb板的烘烤设备
FI68031C (fi) Saett vid utlaeggning av stroen samt stroeutlaeggare foer utfoerande av saettet
CN105945433A (zh) 板材激光切割设备及切割方法
KR101374670B1 (ko) 카세트 이송 장치
KR100918303B1 (ko) 불량 행거 검출수단이 구비된 행거식 경화장치
KR20110131011A (ko) 스크린 프린터의 클리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프린터
JP2011042066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バキュームベルト搬送方法とその搬送装置
JP2007134734A (ja) 液晶基板の搬送装置
JPH0628278B2 (ja) 基板搬送用エレベータ
KR101320318B1 (ko) 강판 권취용 슬리브 공급장치
US6336258B2 (en) Process for can delivery and removal at a textile machine
CN219905956U (zh) 送料交接设备
KR101416978B1 (ko) 기판 상하역장치 및 인라인 증착 시스템
JP3439878B2 (ja) 帯状シート材料の端尺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20039782A (ko) 시트 가공 장치
JPH0156645B2 (ko)
KR200209303Y1 (ko) 반도체 스트립 이송장치
JP2009202954A (ja) 自動倉庫および板材加工システム
KR200295342Y1 (ko) 피시비 수평배출시스템의 피시비 연속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