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643B1 -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이를 이용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창상피복재 - Google Patents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이를 이용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창상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643B1
KR102117643B1 KR1020180086890A KR20180086890A KR102117643B1 KR 102117643 B1 KR102117643 B1 KR 102117643B1 KR 1020180086890 A KR1020180086890 A KR 1020180086890A KR 20180086890 A KR20180086890 A KR 20180086890A KR 102117643 B1 KR102117643 B1 KR 102117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in
nanofiber
collagen
chitosa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080A (ko
Inventor
조석형
나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팜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팜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팜메드
Priority to KR102018008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6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8Polysaccharides or their derivatives
    • A61F13/000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2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made of natural material, e.g. cellulose-, protein-, collagen-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0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 A61F13/020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ith fluid retention members with absorbent fibrous layers, e.g. woven or non-woven absorbent pads 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specially adapted to be resorbable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60Materials for use in artificial sk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2Wound dres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이용하여 탈칼슘 처리, 탈단백을 거쳐 고순도 키틴을 제조하고, 상기 고순도 키틴의 표면을 키토산화한 후, 표면 키토산화 키틴으로부터 제조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와,
상기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와, 생선비늘, 껍질, 어태반으로부터 제조된 콜라겐을 혼합하여 분산시킨 분산용액으로부터 키틴 나노화이버를 제조하고, 상기 키틴 나노화이버를 방사하여 원단으로 제조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과,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점착시트에 합지시켜 제조된 생체 흡수성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창상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이를 이용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창상피복재{MANUFACTURING METHOD FOR CHITIN NANOFIBER HAVING SURFACE MODIFIED WITH CHITOSAN, THE CHITIN NANOFIBER HAVING SURFACE MODIFIED WITH CHITOSAN MADE THEREFROM, CHITIN-COLLAGEN NANOFIBER MADE THEREFROM AND WOUND DRESSING MATERIALS USING THIS}
본 발명은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이용하여 탈칼슘 처리, 탈단백을 거쳐 고순도 키틴을 제조하고, 상기 고순도 키틴의 표면을 키토산화한 후, 표면 키토산화 키틴으로부터 제조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와,
상기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와, 생선비늘, 껍질, 어태반으로부터 제조된 콜라겐을 혼합하여 분산시킨 분산용액으로부터 키틴 나노화이버를 제조하고, 상기 키틴 나노화이버를 방사하여 원단으로 제조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과,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점착시트에 합지시켜 제조된 생체 흡수성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창상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상처는 상처부위의 세포에 의해 생산, 분비, 조절되는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 염증반응, 증식 및 육아조직 형성, 조직의 성숙 및 재구성 등의 단계를 거쳐 치유된다.
기존의 상처치유는 상처피복의 역할을 하는 생체재료와 항생제와 같은 약제가 각기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제까지의 창상피복재는 적절한 생체재료를 이용하여 삼출물을 흡수하고 보호하는 물리적인 역할을 할 뿐, 체내에서 이루어지는 상처치유의 과정에서 세포의 증식을 향상시킨다거나 세포 외 기질의 생성을 촉진하는 등의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없었다.
심각하게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거나 흉터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세포와 생체 재료의 유기적인 관계에 의해 보다 적극적으로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창상피복재의 개발이 필요한다.
본 발명에서는 섬유부직포 및 폼 단독의 제품에 비해 욕창, 정맥성 궤양, 당뇨성 궤양, 화상과 같은 삼출물이 다량 발생하는 상처에도 적용 가능하고 삼출물 흡수 후에도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상처면으로부터 드레싱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상처면에 생분해 흡수되어 외상을 최소화하며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 피부조직 재생기능을 갖는 창상피복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종래 습윤 드레싱제는 상처부위의 삼출물에 의한 용해로 잔유물이 잔존하게 되고, 항균성이 미흡하여 감염 우려가 있으며, 접히는 부분 등의 밀착성이 미흡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종래 하이드로 화이버형은 치료 후 잔존물질이 그대로 남으며, 혐기성 세균상처 폐쇄 드레싱에 부적합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8421(등록일자 2013.10.08) '지혈 및 상처치유용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폼 및 그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2494(등록일자 2007.10.26) '방사선 조사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수화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1849(공개일자 2013.10.11) '양막 추출물을 함유하는 이중층 하이드로겔 습윤드레싱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개시된 기술들은 욕창, 정맥성 궤양, 당뇨성 궤양, 화상과 같은 삼출물이 다량 발생하는 상처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침출물 흡수 후에도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상처면으로 부터 드레싱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상처면에 생분해 흡수되어 외상을 최소화하며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 피부조직 재생기능을 갖는 창상피복재를 개발함으로써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8421(등록일자 2013.10.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2494(등록일자 2007.10.26)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1849(공개일자 2013.10.11)
본 발명은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이용하여 탈칼슘 처리, 탈단백을 거쳐 고순도 키틴을 제조하고, 상기 고순도 키틴의 표면을 키토산화한 후, 표면 키토산화 키틴으로부터 제조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와,
상기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와, 생선비늘, 껍질, 어태반으로부터 제조된 콜라겐을 혼합하여 분산시킨 분산용액으로부터 키틴 나노화이버를 제조하고, 상기 키틴 나노화이버를 방사하여 원단으로 제조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과,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점착시트에 합지시켜 제조된 생체 흡수성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창상피복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2도 이상의 화상, 만성궤양 부위 등 피부조직이 완전히 손상된 심한 상처에도 적용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창상피복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3 ~ 5 w/w %의 염산 용액에 침적시키되, 상온에서 1 ~ 2 시간 동안 침적시켜 칼슘을 제거하는 탈칼슘 처리과정과,
탈칼슘 처리한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6 ~ 10 w/w %의 가성소다(NaOH) 용액에 첨적시키되, 80 ~ 100 ℃에서 2 ~ 4 시간 동안 침적시켜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단백 처리과정과,
탈단백 처리한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철분이 없고 경도 10 이하의 순수한 물로 세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고순도 키틴 제조단계(S10);
전 단계(S10)에서 제조된 고순도 키틴을 15 ~ 30 w/w %의 가성소다(NaOH) 용액에 침적시키되, 60 ~ 80 ℃에서 30 분 ~ 2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순수한 물로 세척하여 표면을 키토산화한 키틴을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표면을 키토산화한 키틴에 염산을 첨가하여 pH 6 ~ 5로 조절한 후, 볼밀 또는 비드 밀(bead mill)를 사용하여 1,300 ~ 2,000 rpm으로 상온에서 1 ~ 3 시간 동안 밀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나노화이버 제조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를 제공한다.
또한, 생선비늘, 껍질 또는 어태반으로부터 제조된 콜라겐 1.0 ~ 4.0 wt%를 물(Water) 96.0 ~ 99.0 wt%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제1혼합물을 조성하고,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3.0 ~ 7.0 wt%를 상기 제1혼합물 93.0 ~ 97.0 wt%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조성하고,
상기 분산용액을 필터프레스로 필터처리하여, 상기 콜라겐이 상기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의 표면에 결합된 구조의 키틴 나노화이버를 제조하고,
상기 키틴 나노화이버를 전기방사 또는 원심력 방사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점착시트에 합지시켜 제조된 생체 흡수성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창상피복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피복재는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나노섬유의 복합화를 통하여 개별 소재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면서 장점을 극대화한 새로운 형태의 드레싱 제품으로서, 세포외 기질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물질을 복합화하여 2도 이상 화상, 만성궤양 부위 등 피부조직이 완전히 손상된 심한 상처에도 적용 가능하다.
둘째. 섬유부직포 또는 폼 단독의 제품에 비해 욕창, 정맥성 궤양, 당뇨성 궤양, 화상과 같은 삼출물이 다량 발생하는 상처에도 적용 가능하다.
셋째. 생체 흡수성 나노화이버로 이루어져 있어 상처보호와 삼출물의 빠른 흡수가 이루어짐에 따른 상처치료 촉진효과가 뛰어나고, 치료 후 생체흡수에 의한 잔존물이 없다.
넷째. 삼출물 흡수 후에도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상처면에 생분해 흡수되어 상처면으로 부터 드레싱 제거할 필요가 없고, 외상을 최소화하며,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 피부조직 재생기능을 갖는다.
다섯째.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로부터 제조된 키틴 또는 키토산 나노화이버는 인공피부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공정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제조공정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흡수성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창상피복재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상피복재를 개의 결손창상에 적용하여 치유속도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노화이버를 쥐의 창상에 도포한 후 4일째 및 8일째 확인된 조직평가 사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은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3 ~ 5 w/w %의 염산 용액에 침적시키되, 상온에서 1 ~ 2 시간 동안 침적시켜 칼슘을 제거하는 탈칼슘 처리과정과,
탈칼슘 처리한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6 ~ 10 w/w %의 가성소다(NaOH) 용액에 첨적시키되, 80 ~ 100 ℃에서 2 ~ 4 시간 동안 침적시켜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단백 처리과정과,
탈단백 처리한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철분이 없고 경도 10 이하의 순수한 물로 세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고순도 키틴 제조단계(S10);
전 단계(S10)에서 제조된 고순도 키틴을 15 ~ 30 w/w %의 가성소다(NaOH) 용액에 침적시키되, 60 ~ 80 ℃에서 30 분 ~ 2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순수한 물로 세척하여 표면을 키토산화한 키틴을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표면을 키토산화한 키틴에 염산을 첨가하여 pH 6 ~ 5로 조절한 후, 볼밀(ball mill) 또는 비드 밀(bead mill)을 사용하여 1,300 ~ 2,000 rpm으로 상온에서 1 ~ 3 시간 동안 밀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나노화이버 제조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의 실시예 1과 같다.
오징어 연골을 4 w/w % 염산 용액에 상온상태에서 2 시간 동안 침적시켜 칼슘을 제거한다.
칼슘을 제거한 탈칼슘 오징어 연골을 7 w/w % 가성소다(NaOH) 용액에 침적한 후, 90 ℃에서 3 시간 동안 처리하되, 2회 반복 수행하여 단백질을 제거한다.
단백질을 제거한 탈단백 오징어 연골을 철분이 없고 경도 10 이하의 순수한 물로 세척하여 고순도 키틴을 제조한다.
앞서 제조한 고순도 키틴을 25 w/w % 가성소다(NaOH)에 침적시켜 70 ℃에서 1 시간 동안 처리한 후, 순수한 물로 수회 세척하여 표면이 키토산화된 키틴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표면 키토산화 키틴에 염산을 첨가하여 pH 5 ~ 6로 조절하고 볼 밀(Ball mill)을 사용하여 1,500 rpm으로 2 시간 동안 상온에서 밀링하여 표면 키토산화 키틴나노화이버를 제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의 일례를 보인 것으로서, 오징어 연골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와,
생선비늘, 껍질 또는 어태반으로부터 수득한 콜라겐의 혼합물로 부터 제조된다.
더욱 상세히는, 생선비늘 또는 어태반으로부터 제조된 콜라겐 1.0 ~ 4.0 wt%를 물(Water) 96.0 ~ 99.0 wt%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제1혼합물을 조성하고,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3.0 ~ 7.0 wt%를 상기 제1혼합물 93.0 ~ 97.0 wt%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조성하고,
상기 분산용액을 필터프레스로 필터처리하여, 상기 콜라겐이 상기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의 표면에 결합된 구조의 키틴 나노화이버를 제조하고,
상기 키틴 나노화이버를 전기방사 또는 원심력 방사하여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제조한다.
상기 콜라겐은 생선비늘, 껍질 또는 어태반 10.0 ~ 20.0 wt%를 물(Water) 80.0 ~ 90.0 wt%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1혼합물을 조성하고,
효소 1.0 ~ 3.0 wt%를 상기 제1혼합물 97.0 ~ 99.0 wt%에 첨가하여 55 ~ 65 ℃의 온도조건에서 20 ~ 30 시간 동안 효소분해하고,
활성탄 0.1 ~ 1.5 wt%를 상기 효소와 제1혼합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혼합물 98.5 ~ 99.9 wt%에 첨가하여 제3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제3혼합물을 필터프레스로 필터처리 후, 분무 건조(Spray drying)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의 실시예 2와 같다.
생선비늘, 껍질 또는 어태반 15.0 wt%를 물(Water) 85.0 wt%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분산액을 조성한다.
단백질 분해 효소인 알카라제 2.0 wt%을 상기 분산액 98.0 wt%에 첨가하여 60 ℃에서 24 시간 동안 효소분해하여 효소분해액을 조성한다.
활성탄 0.5 wt%를 상기 효소분해액 99.5 wt%에 첨가하여 혼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필터프레스(Filter Press)를 이용하여 여과한 여액을 분무 건조(Spray drying)하여 콜라겐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앞서 제조한 콜라겐 2.0 wt%를 물(Water) 98.0 wt%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용해액을 조성한다.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5.0 wt%를 상기 용해액 95.0 wt%에 분산시켜 분산 용액을 조성한다.
상기 분산 용액을 필터프레스로 필터처리하여, 콜라겐이 상기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의 표면에 결합된 구조를 갖는 키틴 나노화이버를 제조한다.
상기 키틴 나노화이버를 전기방사 또는 원심력 방사하여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제조한다.
이때 제조된 원단은 나노화이버(nanofiber) 부직포이며, 상기 부직포는 겔화를 통한 유착방지, 상처의 습윤 환경 유지, 생분해성 및 생체 흡수성을 갖는다.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은 표면키토산화를 통해 1차 항균성이 부여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항균성 금속과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이 컴플렉스(Complex)를 통해 2차 항균성을 부여함으로써, 1차 및 2차 항균성 부여에 따른 높은 항균성을 갖는 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항균성 금속의 예로서, 은(Ag)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은(Ag)에 의한 항균성 부여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은(Ag)을 용해시킨 용액에 침적하되, 상온조건에서 5 ~ 15 분 동안 침적하여, 상기 원단이 상기 항균성 금속과 컴플렉스(Complex)시켜 항균성을 부여한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물(Water) 100 g에 질산은 0.1 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용액에,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100 g을 상온에서 10 분간 침적시킴으로써, 은(Ag)이 착물화한 항균성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피복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또는 은(Ag)이 착물화한 항균성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점착시트에 합지시킴으로써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창상피복재의 주요 성능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주요 성능지표 개요
주요 성능지표 단위 측정결과



※피부자극 PII 0.0으로 없음
1.수분함량 % 500 %
2.상처치유속도 % 2 주 후
상처면적 3.2 %로 감소
3.항균성(녹노균) % 99.9 %
4.세포독성 없음
5.피부자극성지수 PⅡ 0.0
6.흡수력 g/10㎠·24hrs 0.7
7.생분해성 Y/Y Y/Y
상기 표 1의 상처치유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의 마취는 Zoletil 50 (Virbac Laboratories, France) 50 mg/kg과 xylazine hydrochloride(Rumpun, Bayer, Korea) 5 mg/kg을 복강 주사하여 시행하였다.
마취된 개의 다리 부분의 털을 클리퍼(clipper)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베타딘(betadine)과 70 % 에탄올을 이용하여 소독한 후, 지름 5 ~ 10 cm의 전층 피부를 제거하여 결손창상을 형성시켰다(1 defect/rat).
EO(Ethylene Oxide) gas 멸균된 생체흡수성 드래싱(100 mm × 50 mm, thickness ~ 0.5 mm)을 결손창상에 적용한 결과 도 4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2주 후 창상이 치유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패치들 외에 시중에 판매 중인 멸균된 거즈(3 × 3 ㎠)를 창상면에 도입하여 대조군(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창상이 치유되는 과정을 2주까지 관찰하였다. 매 주 창상이 치유되는 양상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창상의 크기 변화를 촬영된 사진의 이미지 분석(isolution, IMT Inc. Korea)을 통해 관찰하였으며, 또한 동일한 기간 동안 쥐를 희생하여 창상면의 조직을 채취하고 이를 H&E 염색을 하여 조직학적 평가를 동시에 수행한다.
창상에 나노화이버를 정기적으로 도포 한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일째에 부분적 8일째에 전체적으로 상피 조직의 재생이 조직학적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진피층의 현저한 교원 섬유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창상피복재는 나노섬유의 복합화를 통하여 개별 소재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면서 장점을 극대화한 새로운 형태의 드레싱 제품으로써, 세포외 기질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물질을 복합화하여 2도 이상의 화상, 만성궤양 부위 등 피부조직이 완전히 손상된 심한 상처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섬유부직포 및 폼 단독의 제품에 비해 욕창, 정맥성 궤양, 당뇨성 궤양, 화상과 같은 삼출물이 다량 발생하는 상처에도 적용 가능하고 삼출물 흡수 후에도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며 상처면으로부터 드레싱을 제거할 필요가 없고 상처면에 생분해 흡수되어 외상을 최소화하며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는 피부조직 재생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6)

  1.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3 ~ 5 w/w %의 염산 용액에 침적시키되, 상온에서 1 ~ 2 시간 동안 침적시켜 칼슘을 제거하는 탈칼슘 처리과정과,
    탈칼슘 처리한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6 ~ 10 w/w %의 가성소다(NaOH) 용액에 첨적시키되, 80 ~ 100 ℃에서 2 ~ 4 시간 동안 침적시켜 단백질을 제거하는 탈단백 처리과정과,
    탈단백 처리한 오징어 연골 또는 게 껍질을 철분이 없고 경도 10 이하의 순수한 물로 세척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고순도 키틴 제조단계(S10);

    전 단계(S10)에서 제조된 고순도 키틴을 15 ~ 30 w/w %의 가성소다(NaOH) 용액에 침적시키되, 60 ~ 80 ℃에서 30 분 ~ 2 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순수한 물로 세척하여 표면을 키토산화한 키틴을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표면을 키토산화한 키틴에 염산을 첨가하여 pH 6 ~ 5로 조절한 후, 볼밀 또는 비드 밀(bead mill)를 사용하여 1,300 ~ 1,800 rpm으로 상온에서 1 ~ 3 시간 동안 밀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나노화이버 제조단계(S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
  2. 청구항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3. 생선비늘, 껍질 또는 어태반으로부터 제조된 콜라겐 1.0 ~ 4.0 wt%를 물(Water) 96.0 ~ 99.0 wt%에 첨가하여 용해시켜 제1혼합물을 조성하고,
    청구항 2의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3.0 ~ 7.0 wt%를 상기 제1혼합물 93.0 ~ 97.0 wt%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분산용액을 조성하고,
    상기 분산용액을 필터프레스로 필터처리하여, 상기 콜라겐이 상기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의 표면에 결합된 구조의 키틴 나노화이버를 제조하고,
    상기 키틴 나노화이버를 전기방사 또는 원심력 방사하여 원단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콜라겐은 생선비늘, 껍질 또는 어태반 10.0 ~ 20.0 wt%를 물(Water) 80.0 ~ 90.0 wt%에 첨가하여 분산시켜 제1혼합물을 조성하고,
    효소 1.0 ~ 3.0 wt%를 상기 제1혼합물 97.0 ~ 99.0 wt%에 첨가하여 55 ~ 65 ℃의 온도조건에서 20 ~ 30 시간 동안 효소분해하고,
    활성탄 0.1 ~ 1.5 wt%를 상기 효소와 제1혼합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혼합물 98.5 ~ 99.9 wt%에 첨가하여 제3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제3혼합물을 필터프레스로 필터처리 후, 분무 건조(Spray drying)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5. 청구항 3에 있어서,
    원단은 항균성 금속을 용해시킨 용액에 침적하되, 상온조건에서 5 ~ 15 분 동안 침적하여, 상기 원단을 상기 항균성 금속과 컴플렉스(Complex)시켜 항균성을 부여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을 점착시트에 합지시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흡수성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창상피복재.




KR1020180086890A 2018-07-26 2018-07-26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이를 이용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창상피복재 KR10211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90A KR102117643B1 (ko) 2018-07-26 2018-07-26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이를 이용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창상피복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890A KR102117643B1 (ko) 2018-07-26 2018-07-26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이를 이용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창상피복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080A KR20200012080A (ko) 2020-02-05
KR102117643B1 true KR102117643B1 (ko) 2020-06-03

Family

ID=6951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890A KR102117643B1 (ko) 2018-07-26 2018-07-26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이를 이용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창상피복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9453A (zh) * 2021-09-26 2023-03-31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负载抗菌分子的双层抗菌敷料、制备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5979A (ja) 2003-06-20 2007-06-21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メディカル・リミテッド 抗酸化性の創傷用包帯材料
JP2012117019A (ja) 2010-12-03 2012-06-21 Tottori Univ キチンナノファイバーまたはキトサンナノファイバーを含む塗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46B1 (ko) * 2002-08-16 2004-12-03 (주)삼신크리에이션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위한방사노즐팩
KR100788997B1 (ko) * 2006-03-10 2007-12-28 김주영 은이 화학 결합된 항균성 습윤 드레싱재 제조방법 및 그습윤 드레싱재
KR100772494B1 (ko) 2006-08-09 2007-11-01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수화겔
KR101071338B1 (ko) * 2008-07-07 2011-10-07 샘표식품 주식회사 해양 생물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콜라겐 펩타이드
KR101175625B1 (ko) * 2009-12-11 2012-08-2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방지막용 나노섬유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9944A (ko) * 2011-04-24 2012-11-01 권기식 나노입자화된 키틴과 키토산을 이용하는 키토올리고당과 키토산올리고당의 효소적 제조 방법
KR101404089B1 (ko) 2012-04-02 2014-06-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양막 추출물을 함유하는 이중층 하이드로겔 습윤드레싱 및 그 제조방법
KR101318421B1 (ko) 2013-04-08 2013-1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혈 및 상처치유용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23462A (ko) *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퀸스러브 고흡수성 수지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5979A (ja) 2003-06-20 2007-06-21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メディカル・リミテッド 抗酸化性の創傷用包帯材料
JP2012117019A (ja) 2010-12-03 2012-06-21 Tottori Univ キチンナノファイバーまたはキトサンナノファイバーを含む塗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080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jjad et al. Development of modified montmorillonite-bacterial cellulose nanocomposites as a novel substitute for burn skin and tissue regeneration
Moraes et al. Bacterial cellulose/collagen hydrogel for wound healing
WO2019091150A1 (zh) 一种藻酸盐创面修复敷料及其制备方法
JP5752123B2 (ja) キトサン組織被覆材
CN101138648A (zh) 含抗菌止血中药生物敷料的制造方法
EP1696971B1 (de) Therapeutisch aktive wundauflagen,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102009036995B4 (de) Matrix auf Kollagenbasis zur Verwendung als Restaurations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CN103463668A (zh) 一种丝素-海藻酸钙生物创面多孔敷料的制备方法
CN109432481A (zh) 一种止血抗菌的聚氨酯敷料及其制备方法
KR101562604B1 (ko) 운드거즈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운드거즈
CN101564549A (zh) 一种抗菌止血中药敷料及其生产方法
CN106110383A (zh) 一种壳聚糖藻酸盐敷料及其冻干制备方法
RU2683273C2 (ru) Активный полимерный слой из производных хитин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повязок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943796A (zh) 辐照交联多孔网状脱细胞羊膜水凝胶敷料的制作方法
KR102117643B1 (ko)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표면 키토산화 키틴 나노화이버, 이를 이용한 키틴/콜라겐 나노화이버 원단 및 그 원단을 이용한 창상피복재
CN113101405A (zh) 保护性伤口敷料的制备方法
DE60030892T2 (de) Wundverband mit einem aktiven therapeutischen agens
CN109966540B (zh) 一种纳米甲壳素复合海藻酸钙医用敷料的制备方法及应用
CN111118878A (zh) 一种银离子藻酸盐创伤敷料及其制备方法
CN110917382A (zh) 一种羊膜-海绵状壳聚糖复合双层伤口敷料的制备方法
CN111557790A (zh) 一种抗菌消毒纳米纤维医用敷料
US20200306289A1 (en) Wound healing topical formulation and preparation thereof
CN113648450A (zh) 一种医用杀菌敷料及其制备方法
JP3234091U (ja) 創傷被覆材
KR20140034630A (ko) 감귤 유래의 박테리아 셀룰로오스를 주재로 하는 생분해성 및 무독성 필름 타입의 의료용 드레싱 제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