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597B1 - 자동 청소기 - Google Patents

자동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597B1
KR102116597B1 KR1020167016792A KR20167016792A KR102116597B1 KR 102116597 B1 KR102116597 B1 KR 102116597B1 KR 1020167016792 A KR1020167016792 A KR 1020167016792A KR 20167016792 A KR20167016792 A KR 20167016792A KR 102116597 B1 KR102116597 B1 KR 102116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dust
disposed
brush roll
clea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980A (ko
Inventor
마그누스 베네르스트룀
Original Assignee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filed Critical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Publication of KR2016010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4Floor-sweep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캐비티(90)가 정의되는 청소기 몸체(11); 및 캐비티(90)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며 먼지통, 먼지통 공기 및 쓰레기 입구(27)와, 공기 유동이 먼지통(25)을 통과하도록 하는 공기 출구(28), 및 먼지통 쓰레기용 먼지 구획실을 포함하는 먼지통(25)을 포함하며, 먼지 구획실(32) 체적 및 청소기 몸체(11) 체적 사이의 비율은 0.1 내지 0.2의 범위 이내인, 자동 청소기(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청소기{AUTONOMOUS CLEANER}
본 발명은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타입의 빌딩 구조의 바닥 영역의 진공 청소와 연관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동 진공 청소기가 얼마 전부터 시판되었다. 이러한 자동 청소기는 사람의 개입 없이 바닥 영역을 청소하기 위해 바닥 위에서 여러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한다. 청소기는 진로 안내 시스템이 장애물을 검출하거나 청소기가 일부 장애물과 부딪혀 선회할 때까지 바닥 위에서 무작위로 또는 기 설정 패턴에 따라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제한된 높이 및 폭을 갖는 청소기는 가구의 아래 및 주위의 영역 또는 근접한 코너 영역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므로, 청소기의 크기 및 디자인은 청소기가 바닥에서 가능한 한 넓은 영역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확보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자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상이한 부품들을 포함하는 청소기 몸체와, 몸체를 지지하여 청소기가 바닥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휠을 구비한다. 청소기 몸체에는, 청소기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 모터가 적어도 2개의 휠과 함께 배치된다. 먼지, 모래 등과 같은 파티클이 브러시 롤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수집되어 롤에 인접한 통로를 경유하여 몸체 내에 배치된 먼지통으로 진행한다. 청소 결과를 더 개선하기 위해, 롤이 파티클을 통로 및 먼지통 내로 흡입하도록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 팬과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가 의도된 대로 작업하도록 하여 양호한 청소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부품이 청소기 몸체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청소기가 바닥면에서 가능한 한 넓은 영역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청소기 몸체의 원하는 작은 외부 치수에 모순된다. 청소기의 내부 디자인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디자인은 결과적으로 상이한 부품의 원하는 기능, 청소기 몸체의 원하는 제한된 크기, 및 먼지통을 자주 비울 필요 없이 가능한 한 넓은 영역을 청소할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에 극히 중요하다.
종래 기술에 다수의 자동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청소기의 일 예가 WO 2013/105431에 예시되어 있다. 개시된 청소기는 청소기의 상이한 부품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청소기 몸체를 갖는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다수의 상이한 부품이 청소기 몸체 내에 끼워져, 청소기의 원하는 작은 외부 크기와 함께 상이한 부품용 공간을 제한한다. 청소기 몸체 내의 제한된 공간은 개시된 청소기에서 일부 심각한 단점을 갖는다. 이들 중 하나는 먼지통이 매우 작은 체적을 갖는다는 것이다. 작은 체적으로 인해, 용기가 수동으로 비워져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강력한 청소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용기가 보다 자주 비워져야 한다. 또한, 먼지통의 복잡한 디자인 및 청소기 몸체의 주위 구조로 인해, 청소기 몸체에서 먼지통을 제거하고 끼우는 것이 복잡해진다.
결과적으로, 개선된 먼지통 및 상술한 단점을 줄이는 자동 청소기 디자인이 요구된다.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은 적어도 어느 정도는 상술한 요구를 실현하는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내부에 캐비티가 정의되는 청소기 몸체; 및
캐비티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는 먼지통을 포함하되, 상기 먼지통은 공기 및 쓰레기 입구와, 공기 유동이 먼지통을 통과하도록 하는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먼지통은 쓰레기용 먼지 구획실을 포함하는 먼지통을 포함하며,
먼지 구획실 체적 및 청소기 몸체 체적 사이의 비율은 0.1 내지 0.2의 범위 이내이다.
먼지 구획실 체적은 파티클, 쓰레기 및 먼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먼지통의 체적 및 청소기 몸체의 체적으로 정의되며, 먼지통의 체적을 갖는 청소기 몸체 내의 체적은 청소기 몸체 체적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몸체의 체적에 대한 먼지통의 체적이 알려진 청소기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먼지통을 비우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넓은 바닥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효율적인 자동 청소기를 제공한다. 증가된 먼지통 체적은 청소기 몸체 내에 배치된 상이한 부품들, 자동 청소기가 의도된 대로 작업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이한 부품들의 내부 구성 및 레이아웃을 최적화하는 광범위한 작업의 결과이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서, 먼지통은 먼지통 내에 배치되는 용기 벽 및 필터를 더 포함하며, 먼지통 내의 먼지 구획실은 용기 벽 및 필터에 의해 형성된다. 필터는, 용기 벽과 함께, 먼지 구획실, 즉, 먼지통에 수용되는 쓰레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먼지 구획실을 형성한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 몸체는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이며, 케이싱에 의해 정의되는 청소기 몸체의 체적은 4 내지 6 리터 범위 이내이다. 케이싱은 청소기 몸체 내에 배치된 상이한 부품들을 보호하며, 특정 체적은 제한된 외부 치수를 갖는 청소기 몸체를 확보하여, 청소기가 이와 다른 경우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는 영역을 보다 용이하게 청소하도록 한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 몸체 내의 상이한 부품들 및/또는 상이한 구조적 요소들의 수를 줄여 청소기 몸체 내의 먼지통 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먼지통은 청소기 케이싱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면을 포함한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서, 입구는 제1 측에 배치되고, 출구는 먼지통의 제2 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는 입구 및 출구 사이에서 먼지통 전체를 횡단하여 연장되고, 필터의 입구 측에서의 먼지 구획실의 체적은 적어도 0.6 리터이다. 먼지통 내에 필터를 갖는 정의된 용기 디자인은, 먼지통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필터를 통과하여 연장될 것이라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는 또한 공기의 유동이 필터를 통과하도록 넓은 필터 면적을 갖는 필터를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 몸체는 바닥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하측과, 내부에 캐비티가 정의되는 상측과, 전방단 및 후미단을 갖는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단 및 제2 단을 갖는 세장형 브러시 롤이 청소기 몸체의 하측의 요홈 내에 배치되며, 상기 브러시 롤은 청소기의 종방향을 실질적으로 횡단하여 연장된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는 브러시 롤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브러시 롤의 후방에서 종방향 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브러시 롤 엔진과, 엔진으로부터 구동 트랜스미션이 배치되는 브러시 롤의 일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세장형 구동 샤프트를 더 포함한다. 브러시 롤 엔진 및 구동 샤프트의 정의된 위치 및 디자인은 청소기 몸체 내의 위치에 엔진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이 청소기 몸체의 바닥 구조에 가깝게 먼지통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먼지통의 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는 휠과 휠에 동력을 공급하는 엔진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브러시 롤의 제1 단 및 제 2단에 인접하게 브러시 롤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브러시 엔진은 제1 및 제2 구동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 2개의 별도로 배치된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것은, 각각의 휠이 각각의 휠에 직접 연결된 전용의 작은 전기 엔진을 가지므로,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의 엔진은 청소기 몸체 내에 서로 별도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배터리 팩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 전기 엔진이다. 전기 엔진은 작고, 신뢰할 수 있으며 효율적이다. 또한, 2개의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것은 각각의 배터리 팩의 전체 크기를 줄여 배터리 팩을 청소기 몸체에 보다 용이하게 끼우도록 하며, 각각의 배터리 팩이 소정의 기간 동안 개별적으로 청소기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므로 청소기로의 신뢰할 수 있는 동력 공급을 확보한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서, 각 구동 유닛은 휠 샤프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휠 서스펜션을 더 포함한다. 휠 서스펜션은 바닥 구조가 거칠고 장애물이 바닥면에 배치되는 영역으로 청소기가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한다.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 몸체는 후미단에 비하여 보다 넓은 전방단을 갖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형상을 가진다. 브러시 롤은 전방단에 배치되고, 먼지통은 청소기 몸체의 중앙에 배치된다. 삼각형 형상은 청소기가 이와 다른 경우 도달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접근할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는 물론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고 수정될 수 있다.
먼지통 및 자동 청소기의 일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자동 청소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자동 청소기의 종방향 단면도로서 자동 청소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먼지통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상부로부터의 자동 청소기의 내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자동 청소기의 상이한 부품들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자동 청소기(10)가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된다. 청소기는 모든 청소기 부품이 배치되는 청소기 몸체(11)를 갖는다. 청소기 몸체는 청소기 몸체 내에 배치된 상이한 부품들을 감싸는 청소기 케이싱(12)에 의해 둘러싸인다. 청소기 케이싱(12)은 케이싱에 의해 둘러싸이는 필요한 부품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청소기에 원하는 매력적인 외관을 부여하도록 설계된다. 형상 및 색깔은 여러 가지의 상이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도시된 청소기(10)는 전방단(13) 및 후미단(14)과, 청소기 몸체의 중앙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종방향 축(L)을 갖는다. 청소기 케이싱(12)은 약간 만곡되는 전방측(15)을 가지는 한편, 청소기의 폭은 둥근 후미단(14)으로 갈수록 감소되어 둥근 코너를 갖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형상이 된다. 둥근 코너를 갖는 청소기의 형상은 청소기가 좁은 통로 또는 바닥 영역에 접근할 수 있고 그 내부에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확보하는 데에 중요하다.
청소기(10)의 전방측(15)에는, 청소기의 진로 안내 수단(16)이 배치된다. 또한, 청소기 케이싱(12)의 전방 부분은 청소기 케이싱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되는 전방부(17)로 형성된다. 전방부(17)는 청소기가 장애물에 부딪혔는지를 알려주는 검출 수단을 갖는 범퍼로서 설계된다. 진로 안내 수단(16) 및 검출 수단은 청소기 몸체(11) 내에 배치되는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 제어 유닛, 청소기의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제어 유닛은, 정보를 처리하고 자동 청소기의 작동 및 청소기의 상이한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청소기 몸체의 전방단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80)을 포함한다. 케이싱(12)은 또한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측(18)을 포함한다.
도 2에는 청소기(10)의 종방향 축(L)을 통과하는 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4에서는 자동 청소기의 내부 및 청소기 몸체에 끼워지는 상이한 부품들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케이싱의 부분이 배제되었다. 도 5는 자동 청소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청소기 몸체의 전방단(13)에는, 세장형 브러시 롤(19)이 자동 청소기의 하측의 대응하는 요홈에 배치된다. 브러시 롤(19)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가지며, 청소기가 바닥면 상에서 이동할 때 가능한 한 넓은 바닥 영역을 커버하도록 종방향 축(L)에 수직으로 청소기의 실질적으로 전체 전방단을 횡단하여 연장된다. 브러시 롤은, 브러시 롤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또는 브러시 롤 주위로 나선형으로 롤(22)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20) 및/또는 탄성 리브(21)를 구비한다. 청소기 몸체의 전방단에서의 브러시 롤은 바닥면으로부터 파티클을 들어올려 수집하고 이를 먼지 통로(24)를 통하여 청소기 몸체(11)의 중앙에 배치된 먼지통(25)으로 이송하고자 한 것이다. 브러시 롤(19)의 후방에는, 브러시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엔진(81)이 배치된다. 엔진은 브러시 롤(19)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동 샤프트(82)를 가지면서 종방향 축(L)에 가깝게 배치된다. 구동 샤프트(82)는 상시 구동 샤프트가 구동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브러시 롤(19)을 회전시키는 브러시 롤 단부 중 하나로 연장된다. 엔진은 엔진의 후방 상측에서 청소기 몸체 내의 청소기 자유 공간의 바닥 구조(83)에 가깝게 배치된다. 엔진은 바람직하게는 청소기 몸체의 후미에서 청소기 케이싱(12)의 내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2개의 배터리 팩(84)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 전기 엔진이다. 2개의 작은 배터리 팩은 하나의 큰 배터리에 비하여 청소기 몸체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지며, 후미에서의 배터리 팩의 위치는 먼지통(25)을 위한 청소기 몸체의 중앙에서의 공간을 증가시킨다.
브러시 롤(19)의 바로 후방에 그리고 브러시 롤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구동 유닛(85)이 배치된다. 각 구동 유닛(85)은 청소기를 바닥면 상에 지지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제어되며 동력을 공급받는 휠(86)과, 청소기의 전동 및 조향을 위한 전기 엔진(87)과, 청소기가 거친 바닥 구조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휠 서스펜션(88)을 포함한다. 청소기는 또한 제3 후미 휠(89)에 의해 바닥면에 지지된다.
청소기 몸체의 중앙에서, 브러시 롤, 브러시 롤 엔진 및 구동 유닛의 후방에는, 먼지통용 캐비티(90)가 형성된다. 먼지통(45)의 끼움 및 청소기 몸체(11)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캐비티는 청소기 케이싱의 상면(18)을 향하여 개방된다.
자동 청소기는 또한 브러시 롤 단부 중 하나에 가깝게 배치되는 사이드 브러시 유닛(91)을 포함한다. 사이드 브러시 유닛은 먼지 및 파티클을 브러시 롤(19)을 향하여 쓸어 코너 가까이에서의 청소 또는 예를 들면 벽 구조 또는 가구 가까이에서의 청소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이드 브러시(92)를 포함한다. 사이드 브러시는 수직 샤프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작은 전기 엔진(93)에 의해 회전된다.
먼지 통로(24)는 공기 및 쓰레기가 브러시 롤로부터 먼지통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며, 브러시 롤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과, 브러시 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방 개구(23)를 가져, 수집된 파티클이 용이하게 개구(23)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통로(24)는 약간 만곡되며, 파티클을 브러시 롤로부터 먼지통(25)으로 후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먼지통(25)의 대응하는 입구 개구(27)와 접촉하게 배치되는 후미 개구(26)로 종결된다. 용기(25)는 도 3에 별도로 도시되며, 아래의 설명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청소기(10)의 후미단에는, 청소기(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생성하기 위해 팬(50) 및 팬에 동력을 공급하는 전기 엔진(51)이 배치된다. 공기는 먼지 통로(24)의 전방 개구(23)로 흡입되며, 먼지 통로(24)를 통하여 먼지통(25)으로 계속 진행하여, 바닥면 및 브러시 롤로부터 먼지 및 파티클을 흡입하는 것에 의해 브러시 롤을 도우며, 먼지 및 파티클을 먼지통(25)으로 유도한다. 공기는 계속하여 먼지 구획실(32)을 경유하여 입구 개구 상측에서 먼지통(25) 내에 배치된 필터(30)를 통과하여, 공기가 계속하여 먼지통(25)의 후미단의 출구 개구(28)로 진행하여 청소기 케이싱의 후미단(14)의 출구 통로(31)를 통하여 청소기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먼지 및 파티클이 먼지통 내에 잔류하는 것을 확보한다. 청소기(10)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이 도 2에 다수의 작은 화살표(A)로 도시된다.
먼지통(25)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 벽(31)을 포함한다. 용기 벽(31)은 먼지통(25)의 중앙에 형성되는 수집된 먼지 및 파티클용 먼지 구획실(32)을 둘러싼다. 먼지 구획실(32)은 주위의 먼지통 벽(31)과, 넓은 필터 면적을 확보하고 공기가 모두 필터를 통과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입구로부터 출구로 전체 경로를 횡단하도록 먼지통 내에서 연장되는 필터에 의해서 형성된다. 자동 청소기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먼지 구획실은 0.6 내지 0.8 리터 범위 내의 체적을 갖는다. 먼지통(25)은 용기의 전방단에 배치되어 먼지 통로(24)의 후미단 및 브러시 롤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측(33)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측(33)은 먼지 통로의 후미단에 대응하도록 약간 각이 진다. 그러나, 먼지 통로(24)의 후미단 및 먼지통(25)의 제1 측(33)이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함께 끼워진다면, 변형예가 가능하다. 제1 측에는, 먼지 챔버(32)로의 입구 개구(27)가 형성된다. 넓은 입구 면적을 제공하고 먼지 챔버 내로의 공기, 파티클 및 먼지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입구 개구(27)는 세장형이다.
먼지통(25)은 또한 제1 측(33)에 대향하게 배치되며 제1 측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34)을 포함한다. 제2 측(34)은, 먼지통(25)의 후미단에 배치되고,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청소기(10)의 종방향 축(L)을 실질적으로 횡단하여 배치된다. 출구 개구(28)는 용기(25)의 제2 측(34)에 형성된다.
용기의 제1 및 제2 측은 먼지 챔버(32)를 감싸도록 제1 및 제2 측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면(35)과, 실질적으로 평탄한 바닥면(40)에 의해 연결된다. 측면(35)은 약간 만곡된 형상을 가지지만, 먼지통이 청소기 몸체 내에 제공된 공간에 끼워진다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도시된 먼지통은 청소기 몸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즉, 가능한 한 큰 먼지통 체적을 제공하도록 넓은 전방단 및 보다 좁은 후미단을 갖는다. 먼지통 내에 수집된 먼지 및 파티클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먼지통(25)이 상부(36) 및 하부(37)로 구획된다. 상부(37)는 먼지통을 개폐하는 데에 사용되는 뚜껑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부 및 하부는 상부 및 하부의 대응하는 측면 중 하나를 따라 배치되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힌지(38)에 의해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용기 벽의 상부는, 상측을 향하며 먼지통이 청소기에 정확하게 끼워질 때 청소기 케이싱의 외측 상면부를 구성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41)을 포함한다. 먼지통의 상측(41)이 청소기 케이싱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은, 청소기 몸체 및 청소기 케이싱의 공간을 절약하고 구조를 단순화시켜, 먼지통 체적을 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다음으로 먼지통을 비우는 것이 요구될 때까지의 시간이 증가한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입구 개구(27)는 하부(37)에 배치되는 한편, 출구 개구는 상부(36)에 배치된다. 먼지통(25)은 또한 상부 및 하부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부 및/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해제 가능 고정 수단(39)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39)은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에서의 도시되지 않은 요홈을 파지하여 2개의 부분을 함께 고정하는 탄력성 후크(42)로서 구현된다. 고정 수단은, 탄력성 후크(42)를 가압하여 요홈을 계합 해제하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탄력성 후크는 청소기 케이싱의 상측의 개구를 통하여 접근 가능하다.
먼지통(25) 내에는, 필터(30)가 배치된다. 필터(30)는 먼지통의 상부(36)에 배치되며 먼지통이 개방될 때 상부와 함께 이동한다. 필터는 먼지통 내의 공간을 필터의 일측의 먼지 구획실 및 필터의 대향측의 출구 구획실로 구획한다. 먼지통 내의 전체 체적에 대한 먼지 구획실의 체적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으로 먼지통을 비울 때까지의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가능한 한 커야 한다. 필터는, 공기의 유동이 필터(30)를 통과하도록, 입구 개구(27) 및 출구 개구(28) 사이에서 상부의 수평 평면에 대하여 약간 각이 지게 배치된다. 필터(30)는 의도된 필터 위치에서 먼지통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필터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먼지 챔버의 전체 단면을 횡단하여 연장된다. 필터는, 원하는 필터 특성이 달성된다면, 연질 또는 경질의 임의의 알려진 필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필터 재료는 폐기 재료를 줄이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세척 가능하며 재사용 가능하다.
도시된 필터 장치는 필터 재료의 필터 영역(44)을 둘러싸는 프레임(43)을 포함한다. 필터 영역의 필터 재료는 규칙적으로 교체되거나 청소되어야 하며, 힘을 들이지 않고 프레임(4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프레임(43)은 청소기의 사용 중 먼지통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필터는 출구 개구와, 하부에 대면하는 상부의 주변 에지(45) 사이에 배치된다. 필터 프레임은, 상부 내의 고정 위치, 즉, 자동 청소기의 사용 중 의도된 필터 위치 및 출구 개구에 인접하는 필터 내측의 공간이 프레임 내의 필터 재료 또는 전체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대안적으로 필터 및 필터(30)에 의해 보통 때에는 폐쇄되는 상부 내의 공간을 세척할 수 있도록 접근 가능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힌지에 의해 먼지통의 상부(36)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먼지통(25) 또는 용기 몸체는 또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자동 청소기 내에 먼지통을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먼지통을 고정하는 수단은 용기 벽의 외측면에서 용기 벽에 및/또는 청소기 몸체 내에 끼워진다. 먼지통은 고정 수단에 의해 청소기 몸체 내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만, 청소기 케이싱의 외측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해제 버튼(47)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해제 버튼(47)은 청소기의 전방단에서 용기의 제1 측에 인접하게 청소기 케이싱의 상측에 위치된다. 먼지통은 해제 버튼을 누름으로써 해제된다.
실시예
발명의 내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지 구획실 체적은 파티클, 쓰레기 및 먼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먼지통의 체적 및 청소기 몸체의 체적으로 정의되며, 먼지통의 체적을 갖는 청소기 몸체 내의 체적은 청소기 몸체 체적에 포함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자동 청소기에 대하여, 아래의 수치가 결정되었다.
청소기 몸체 체적 5.15 리터
먼지 구획실 체적 0.7 리터
비율 = 먼지 구획실 체적 / 청소기 몸체 체적 = 0.7 / 5.15 = 0.136
그러나, 자동 청소기의 디자인이 수정되는 경우, 청소기 몸체 체적뿐만 아니라 먼지 구획실 체적이 변할 것이지만, 먼지통을 비우는 것이 요구되는 시간 사이의 원하는 연장된 기간 및 자동 청소기의 제한된 전체 크기를 확보하기 위해, 먼지 구획실 체적 및 청소기 몸체 체적 사이의 비율은 0.1 내지 0.2의 범위 내이어야 한다.
또한, 먼지 구획실은 바람직하게는 먼지통을 비우는 것이 요구되는 시간 사이의 원하는 연장된 기간을 확보하기 위해 0.6 리터를 초과하는 체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청소기 몸체 체적은 청소기 몸체의 전체 치수를 작게 유지하기 위해 7 리터를 초과하지 않으며, 이는 자동 청소기가 좁은 통로 또는 바닥 영역에서 선회하고 접근하도록 할 수 있는 데에 필수적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조합되고 수정될 수 있다.

Claims (12)

  1. 내부에 캐비티(90)가 정의되는 청소기 몸체(11); 및
    상기 캐비티(90)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며 먼지통, 먼지통 공기 및 쓰레기 입구(27)와, 공기 유동이 먼지통(25)을 통과하도록 하는 공기 출구(28), 먼지통 및 쓰레기용 먼지 구획실을 포함하는 먼지통(25)을 포함하며,
    상기 먼지 구획실(32) 체적 및 상기 청소기 몸체(11) 체적 사이의 비율은 0.1 내지 0.2의 범위 이내이고,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통(25) 내에 배치되는 용기 벽(31) 및 필터(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먼지통 내의 상기 먼지 구획실(32)은 상기 용기 벽(31) 및 상기 필터(3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입구(27)는 제1 측(33)에 배치되고, 상기 출구(28)는 상기 먼지통(25)의 제2 측(34)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30)는 상기 입구(27) 및 상기 출구(28) 사이에서 상기 먼지통(25) 전체를 횡단하여 연장되고, 상기 필터(30)의 입구 측에서의 상기 먼지 구획실(32)의 체적은 적어도 0.6 리터인, 자동 청소기(1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몸체(11)는 케이싱(12)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케이싱(12)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청소기 몸체(11)의 체적은 4 내지 7 리터 범위 이내인, 자동 청소기(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25)은 상기 청소기 케이싱(12)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면(18)을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10).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몸체(11)는 바닥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하측과, 내부에 상기 캐비티(90)가 정의되는 상측(12)과, 전방단(13) 및 후미단(14)을 갖는, 자동 청소기(10).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단 및 제2 단을 갖는 세장형 브러시 롤(19)이 상기 청소기 몸체(11)의 하측의 요홈 내에 배치되며, 상기 브러시 롤은 상기 청소기의 종방향(L)을 실질적으로 횡단하여 연장되는, 자동 청소기(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롤(19)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러시 롤(19)의 후방에서 상기 종방향 축(L)에 가깝게 배치되는 브러시 롤 엔진(81)과, 상기 엔진(81)으로부터 구동 트랜스미션이 배치되는 상기 브러시 롤(19)의 일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세장형 구동 샤프트(82)를 더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10).
  9. 제8항에 있어서,
    휠(86)과 상기 휠(86)에 동력을 공급하는 엔진(87)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구동 유닛(8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85)은 상기 브러시 롤(19)의 제1 단 및 제 2단에 인접하게 상기 브러시 롤(19)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브러시 롤 엔진(81)은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유닛(85) 사이에 배치되는, 자동 청소기(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85)의 상기 엔진(87)은 상기 청소기 몸체(11) 내에 서로 별도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배터리 팩(84)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 전기 엔진인, 자동 청소기(10).
  11. 제9항에 있어서,
    각 구동 유닛(85)은 휠 샤프트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휠 서스펜션(88)을 더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10).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몸체(11)는 후미단(14)에 비하여 보다 넓은 전방단(13)을 갖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브러시 롤(19)은 상기 전방단(13)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은 상기 청소기 몸체(11)의 중앙에 배치되는, 자동 청소기(10).
KR1020167016792A 2013-12-20 2013-12-20 자동 청소기 KR102116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3/077657 WO2015090437A1 (en) 2013-12-20 2013-12-20 Autonomous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980A KR20160100980A (ko) 2016-08-24
KR102116597B1 true KR102116597B1 (ko) 2020-06-05

Family

ID=4994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792A KR102116597B1 (ko) 2013-12-20 2013-12-20 자동 청소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302637A1 (ko)
EP (2) EP3357393B1 (ko)
JP (1) JP6714923B2 (ko)
KR (1) KR102116597B1 (ko)
CN (1) CN105813527A (ko)
ES (1) ES2669595T3 (ko)
WO (1) WO2015090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128B2 (en) 2016-05-20 2019-10-15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342400B2 (en) 2016-05-20 2019-07-09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342405B2 (en) 2016-05-20 2019-07-09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524628B2 (en) 2016-05-20 2020-01-07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463212B2 (en) 2016-05-20 2019-11-05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WO2017200350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481611B2 (en) 2016-05-20 2019-11-19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463221B2 (en) * 2016-05-20 2019-11-05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US10362916B2 (en) 2016-05-20 2019-07-30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EP4159101A3 (en) 2016-05-20 2023-06-07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WO2017200346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292554B2 (en) * 2016-10-28 2019-05-21 Irobot Corporation Mobile cleaning robot with a bin
US20180344116A1 (en) 2017-06-02 2018-12-06 Irobot Corporation Scheduling and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robots
US20190142233A1 (en) * 2017-11-16 2019-05-16 Irobot Corporation Washable bin for a robot vacuum cleaner
KR102021825B1 (ko) 2018-03-13 201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20200095792A1 (en) * 2018-09-25 2020-03-26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Pool Cleaner
WO2020093383A1 (zh) * 2018-11-09 2020-05-14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扫地机器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968A (ja) 2002-11-20 2004-06-17 Zojirushi Corp 自走式掃除ロボット
KR100544479B1 (ko) * 2003-07-24 2006-01-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US20060236492A1 (en) 2005-04-19 2006-10-26 Funai Electric Co., Ltd. Autonomous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US20080276407A1 (en) * 2007-05-09 2008-11-13 Irobot Corporation Compact Autonomous Coverage Robot
KR101231932B1 (ko) * 2012-04-24 2013-03-07 주식회사 모뉴엘 로봇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196B2 (ja) * 1986-11-18 1995-12-20 三洋電機株式会社 移動車の進行方向制御方式
DE4340367C2 (de) * 1993-11-26 2003-12-11 Vorwerk Co Interholding Gerät zur Bodenpflege
US6481515B1 (en) * 2000-05-30 2002-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utonomous mobile surface treating apparatus
DE50204973D1 (de) * 2001-09-14 2005-12-22 Vorwerk Co Interholding Selbsttätig verfahrbares bodenstaub-aufsammelgerät, sowie kombination eines derartigen aufsammelgerätes und einer basisstaton
DE10311299B3 (de) * 2003-03-12 2004-04-15 Royal Appliance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arbeiten einer Fläche
AU2004202836B2 (en) * 2003-07-24 2006-03-09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Receptacle of Robot Cleaner
ATE542459T1 (de) * 2005-07-08 2012-02-15 Electrolux Ab Reinigungsroboter
KR101330735B1 (ko) * 2007-10-17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KR20090076738A (ko) * 2008-01-09 2009-07-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집진용량 선택형 청소기 및 먼지통 세트
USD593265S1 (en) * 2008-12-02 2009-05-26 Bissell Homecare, Inc. Robotic vacuum cleaner
EP2316322A3 (en) * 2009-11-02 2011-06-29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8741013B2 (en) * 2010-12-30 2014-06-03 Irobot Corporation Dust bin for a robotic vacuum
GB2494446B (en) * 2011-09-09 2013-12-18 Dyson Technology Ltd Autonomous cleaning appliance
WO2013105431A1 (ja) 2012-01-13 2013-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集塵装置
JP6071251B2 (ja) * 2012-05-30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968A (ja) 2002-11-20 2004-06-17 Zojirushi Corp 自走式掃除ロボット
KR100544479B1 (ko) * 2003-07-24 2006-01-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먼지수거통, 및 이를 사용하여 집진된먼지를 처리하는 방법
US20060236492A1 (en) 2005-04-19 2006-10-26 Funai Electric Co., Ltd. Autonomous electric cleaner and electric cleaner
US20080276407A1 (en) * 2007-05-09 2008-11-13 Irobot Corporation Compact Autonomous Coverage Robot
KR101231932B1 (ko) * 2012-04-24 2013-03-07 주식회사 모뉴엘 로봇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69595T3 (es) 2018-05-28
WO2015090437A1 (en) 2015-06-25
EP3357393B1 (en) 2021-09-29
CN105813527A (zh) 2016-07-27
KR20160100980A (ko) 2016-08-24
EP3082538A1 (en) 2016-10-26
EP3357393A2 (en) 2018-08-08
EP3082538B1 (en) 2018-02-21
JP2016540549A (ja) 2016-12-28
US20160302637A1 (en) 2016-10-20
EP3357393A3 (en) 2018-12-12
JP6714923B2 (ja)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597B1 (ko) 자동 청소기
KR102116595B1 (ko) 먼지통
US11284766B2 (en)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JP6678349B2 (ja) 自律走行型掃除機
KR101496913B1 (ko) 로봇청소기와 자동배출 스테이션 및 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CA2954157C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4279295B2 (ja) コンパクトなロボット掃除機及び真空掃除機
KR101965776B1 (ko) 전기청소기
EP2522266B1 (en) Vacuum cleaner having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US20170247846A1 (en) Road Sweeping Apparatus With Disposable Bag Mounted
KR20100132893A (ko)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먼지 포집 방법
GB2489266A (en) Suction cleaner
KR102549125B1 (ko) 로봇청소기
KR102022290B1 (ko) 로봇 청소기
JP6288307B2 (ja) 電気掃除機
KR20070105125A (ko) 실내 구석 청소가 가능한 흡입 장치
KR101330729B1 (ko) 로봇청소기
KR20120032496A (ko) 로봇청소기
JP5029515B2 (ja) 電気掃除機
JP2020000562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及びこの吸込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16059639A (ja) 掃除機本体およ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