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098B1 - 전자부품 픽업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픽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098B1
KR102116098B1 KR1020140172374A KR20140172374A KR102116098B1 KR 102116098 B1 KR102116098 B1 KR 102116098B1 KR 1020140172374 A KR1020140172374 A KR 1020140172374A KR 20140172374 A KR20140172374 A KR 20140172374A KR 102116098 B1 KR102116098 B1 KR 102116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guide
unit
ta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934A (ko
Inventor
홍혜선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0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픽업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안착된 테이프가 배치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외부로 일부가 인출되며, 승하강 운동 및 선형 운동하면서 전자부품을 상기 테이프로부터 이탈시키는 전자부품이격부와,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부품 픽업 장치{Electric parts pick up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부품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은 전자부품 픽업 장치에 이송된 후 픽업되어 다른 전자기기들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이퍼 상의 반도체 칩은 외부로부터 전자부품 픽업 장치로 이송된 후 픽업되어 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부품 픽업 장치는 전자부품을 필름 등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이젝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이젝터는 승하강 운동을 함으로써 전자푸품을 필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이젝터는 복수개의 핀 형태로 형성되어 승하강 운동함으로써 전자부품을 필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이젝터가 상승하는 경우 필름을 가력함으로써 전자부품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젝터가 전자부품을 손상시킴으로써 픽업 후 실장된 전자부품이 오작동할 수 있다. 또한, 이젝터가 필름을 손상시킴으로써 필름을 재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부품 픽업 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0091704호(발명의 명칭 : 반도체 칩 픽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칩 픽업 방법, 출원인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0091704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부품 픽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부품이 안착된 테이프가 배치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외부로 일부가 인출되며, 승하강 운동 및 선형 운동하면서 전자부품을 상기 테이프로부터 이탈시키는 전자부품이격부와,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픽업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이격부는, 상가 가이드부에서 운동하는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함께 운동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와 함께 운동하면서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테이프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가이드롤러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곡선 형태의 장공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선형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없이 픽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픽업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젝터부의 제1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젝터부의 제2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젝터부의 제3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픽업 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젝터부의 제1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젝터부의 제2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젝터부의 제3 동작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전자부품 픽업 장치(100)는 안착부(110), 전자부품이격부(120), 가이드부(130), 슬라이딩부(140), 구동부(150) 및 헤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0)는 스테이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10)의 표면에는 전자부품(D)이 안착된 테이프(T)의 일면을 흡착하도록 진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진공홀(111)은 안착부(110)의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테이프(T)를 흡착할 수 있다.
안착부(110)의 표면에는 전자부품이격부(120)가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통과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통과홀(112)은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과홀(112)은 전자부품(D)의 일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자부품이격부(120)는 안착부(110)의 통과홀(112)을 통하여 안착부(110)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자부품이격부(120)가 통과홀(112)을 통하여 안착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는 테이프(T) 상의 전자부품(D)의 일방향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부품이격부(120)의 일부가 통과홀(112)을 통하여 안착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는 전자부품(D)의 세로 길이 또는 가로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자부품이격부(120)는 안착부(110)의 내부에서 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부품이격부(120)는 안착부(11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이격부(120)는 안착부(110)의 높이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특히 전자부품이격부(120)는 전자부품(D)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부품이격부(120)는 전자부품(D)의 가로 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선형 운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부품이격부(120)는 가이드부(130)를 따라 운동하는 가이드롤러부(121)와, 가이드롤러부(121)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분리롤러부(122) 및 가이드롤러부(121)와 분리롤러부(12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부(121)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롤러부(121)는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리롤러부(122)는 한쌍의 가이드롤러부(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한쌍의 가이드롤러부(121)는 분리롤러부(122)를 양측에서 지지함으로써 분리롤러부(122)의 운동 시 분리롤러부(12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23)는 가이드롤러부(121)와 분리롤러부(122)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가이드롤러부(121)의 운동 시 분리롤러부(122)도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30)에는 가이드롤러부(121)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홀(131)은 곡선 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홀(131)은 중앙 부분이 상측에 형성되고, 양단 부분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홀(131)의 중앙 부분이 양단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롤러부(121)가 가이드홀(131)의 양단에서 가이드홀(131)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하는 경우 분리롤러부(122)는 상승하고, 반대로 가이드홀(131)의 중앙 부분에서 가이드홀(131)의 양단으로 이동하는 경우 분리롤러부(122)는 하강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에는 진공홀(111)과 연결되는 연결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홀(132)은 진공홀(111) 내부의 기체를 흡입할 때 기체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부(140)는 전자부품이격부(120)와 연결되며, 전자부품이격부(120)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부(140)는 전자부품이격부(120)와 연결되는 이동부(141)와, 이동부(141)가 삽입되며, 이동부(141)의 선형 운동시 이동부(141)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가이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141)와 슬라이딩가이드(14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부(141)와 슬라이딩가이드(142)는 볼부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이동부(141)와 슬라이딩가이드(142)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이동부(141)와 슬라이딩가이드(142)는 리니어 모터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141)와 슬라이딩가이드(142)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부(141)가 선형 운동하는 경우 슬라이딩가이드(142)가 이동부(141)의 선형 운동을 가이드하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슬라이딩부(14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50)는 슬라이딩가이드(14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기어(151)와, 제1 기어(151)와 연결되는 제2 기어(152) 및 제2 기어(152)와 연결되어 제2 기어(152)를 회전시키는 모터(1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151)와 제2 기어(152)는 스퍼 기어와 헬리컬 기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구동부(150)는 슬라이딩가이드(142)와 연결되어 길이가 가변하는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헤드부(160)는 안착부(1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60)는 전자부품(D)을 흡착하는 흡착부(163)와, 흡착부(163) 주변에 설치되는 고정부(162) 및 흡착부(163)가 연결되어 흡착부(163)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착부(163)는 전자부품(D)을 진공 등을 이용하여 흡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62)는 흡착부(163)가 전자부품(D)을 흡착할 때 주변의 전자부품(D)이 딸려오는 것을 방지하돌고 다른 전자부품(D)을 누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자부품 픽업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우선 테이프(T)에 안착된 전자부품(D)이 외부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전자부품(D)은 반도체 칩(미표기)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테이프(T) 상의 전자부품(D)은 별도로 설치된 비젼부(미도시)를 통하여 촬영된 후 제어부(미도시)로 전성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원하는 위치의 전자부품(D)이 분리롤러부(122) 상에 배치되도록 테이프(T)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제공된 테이프(T)는 안착부(110)에 안착된 후 인장될 수 있다. 이때, 전자부품(D) 사이의 거리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진공홀(111)을 통하여 테이프(T)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과정이 완료되면, 구동부(150)가 작동하여 슬라이딩가이드(142)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150)는 슬라이딩가이드(142)를 도 1 및 도 2의 Y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가이드(142)가 운동하는 경우 가이드롤러부(121)도 도 1 및 도 2의 Y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러부(121)는 가이드홀(131)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홀(131)의 일단으로부터 가이드홀(131)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롤러부(121)의 위치가 도 1의 Z축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부(121)와 연결된 연결부(123) 및 연결부(123)에 연결된 분리롤러부(122)도 가이드롤러부(121)와 같이 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롤러부(122)가 상승하는 경우 분리롤러부(122)는 테이프(T)의 후면을 가력함으로써 테이프(T)로부터 전자부품(D)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롤러부(122)의 상승으로 인하여 인접하는 전자부품(D)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분리롤러부(122)가 통과홀(112)을 통하여 안착부(110) 외부로 노출되어 이동하는 거리는 전자부품(D)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롤러부(122)는 전자부품(D)의 일 방향으로 1번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분리롤러부(122)의 이동은 전자부품(D)의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리롤러부(122)가 운동한 후 전자부품(D)이 테이프(T)에서 분리되면, 이송부(161)가 하강하여 고정부(162)를 통하여 다른 전자부품(D)을 누르면서 흡착부(163)로 테이프(T)에서 분리된 전자부품(D)을 흡착할 수 있다. 이후 이송부(161)가 다시 상승하여 흡착부(163)에 흡착된 전자부품(D)을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 픽업 장치(100)는 전자부품(D)을 테이프(T)에서 분리 시 분리롤러부(122)가 회전하면서 전자부품(D)에 Z방향의 힘만을 전달함으로써 전자부품(D)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부품 픽업 장치(100)는 전자부품(D)의 한 부분에 과도한 힘을 집중시키지 않음으로써 테이프(T)로부터 전자부품(D)의 분리 시 전자부품(D)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부품 픽업 장치(100)는 하나의 구동원을 통하여 전자부품(D)의 분리에 필요한 구동을 구현함으로써 장치 자체의 설계 및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전자부품 픽업 장치
110: 안착부
120: 전자부품이격부
130: 슬라이딩가이드부
140: 슬라이딩부
150: 구동부
160: 헤드부

Claims (6)

  1. 전자부품이 안착된 테이프가 배치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외부로 일부가 인출되며, 승하강 운동 및 선형 운동하면서 전자부품을 상기 테이프로부터 이탈시키는 전자부품이격부;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자부품이격부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부품이격부는,
    상기 가이드부에서 운동하는 가이드롤러부;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부와 함께 운동하여 승하강 운동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와 함께 운동하여 승하강 운동하면서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테이프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가이드롤러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은 곡선 형태의 장공이며, 상기 가이드홀의 중앙 부분은 상기 가이드홀의 양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전자부품 픽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72374A 2014-12-03 2014-12-03 전자부품 픽업 장치 KR102116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74A KR102116098B1 (ko) 2014-12-03 2014-12-03 전자부품 픽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374A KR102116098B1 (ko) 2014-12-03 2014-12-03 전자부품 픽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34A KR20160066934A (ko) 2016-06-13
KR102116098B1 true KR102116098B1 (ko) 2020-05-27

Family

ID=5619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374A KR102116098B1 (ko) 2014-12-03 2014-12-03 전자부품 픽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0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938A (ja) * 2007-09-06 2009-03-26 Shinkawa Ltd 半導体ダイの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ピックアッ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3391B2 (ja) * 1995-03-17 2002-01-07 岩手東芝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製造装置
US8137857B2 (en) 2006-10-27 2012-03-20 Utc Power Corporation Liquid electrolyte fuel cell having an anode substrate layer thicker than the cathode substrate l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938A (ja) * 2007-09-06 2009-03-26 Shinkawa Ltd 半導体ダイの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ピックアッ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34A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5735B2 (en) Method for enhancing the yield rate of ball implanting of a substrate of an integrated circuit
JP2016171106A5 (ko)
JP5253540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1503151B1 (ko) 다이 본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이 본딩 방법
US9003644B2 (en) PNP apparatus and PNP tool head with direct bonding pressure pick-up tip
JP2006337043A (ja) 外観検査装置
KR102116098B1 (ko) 전자부품 픽업 장치
JP5775956B2 (ja) Ledチップ用蛍光フィルムピックアップ装置
CN101510500A (zh) 用于分离芯片的方法和装置
KR100988229B1 (ko) 인쇄회로기판 공급시스템
JP6130504B2 (ja) 部品実装機
KR101969555B1 (ko) 반도체 칩 분리 장치 및 반도체 칩 분리 방법
KR102656718B1 (ko) 다이 이젝팅 장치
KR102221702B1 (ko) 콜릿 공급 장치
JP5873988B2 (ja) 部品移載装置
KR10152860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이송장치
KR101519470B1 (ko) 반도체 자재 절단장치 및 반도체 자재 절단방법
CN111316769B (zh) 电子元件安装机及电子元件安装方法
KR102371543B1 (ko) 다이 픽업을 위한 정렬 좌표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다이 픽업 방법
KR102022469B1 (ko) 부품 실장기용 노즐 유닛 및 노즐 장치
KR102062278B1 (ko) 부품 실장 장치
KR100851567B1 (ko) 본딩 장비의 칩 트랜스퍼 헤드
KR100702515B1 (ko) 자화 제거부를 구비하는 전자부품 실장 장치 및 자화 제거방법
KR102177244B1 (ko) 시트고정장치,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 장치 및 시트고정방법
KR102503285B1 (ko) 다이 이젝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