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883B1 -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 Google Patents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883B1
KR102115883B1 KR1020200001771A KR20200001771A KR102115883B1 KR 102115883 B1 KR102115883 B1 KR 102115883B1 KR 1020200001771 A KR1020200001771 A KR 1020200001771A KR 20200001771 A KR20200001771 A KR 20200001771A KR 102115883 B1 KR102115883 B1 KR 10211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diagonal
groove
terminal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준희
Original Assignee
도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준희 filed Critical 도준희
Priority to KR102020000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883B1/ko
Priority to PCT/KR2020/019255 priority patent/WO20211413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2Maintenance of line connector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16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erminal blocks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착단자나 자동차용 부품 등을 육각 형태로 가압하여 전선 등과 결속시키되, 가압을 위한 복수 개의 압착날이 일체로 형성하는 육각 형상의 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압착단자나 자동차용 부품 등을 간편하게 압착할 수 있는 압착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을 개방하는 한 쌍의 개방홀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중공으로 압착기의 로드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는 본체부, 진입홀을 통해 로드가 진입하는 거리에 따라 개방홀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벌의 제1 압착날, 제1 압착날과 연동화된 상태로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압착날 및, 제1 압착날과 연동화된 상태로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압착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compression head used in presser}
본 발명은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착단자나 자동차용 부품 등을 육각 형태로 가압하여 전선 또는 호스 등과 결속시키되, 가압을 위한 복수 개의 압착날이 일체로 형성하는 육각 형상의 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압착단자나 자동차용 부품 등을 간편하게 압착할 수 있는 압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또는 배전 등을 위한 작업 중에는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한 압착단자 등의 단자용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압착단자 등의 단자용 제품은 피복된 전선의 말단부가 내입된 상태로 압착기에 의해 압착되어 전선과 강하게 결속됨으로써 전선과 전선의 연결 또는 전선과 단자대의 연결이 간편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압착단자 등의 단자용 제품을 이용하여 결선하는 방식은 납땜을 이용하거나 전선끼리 권취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작업속도의 향상에 유리하고, 균일한 작업성이 보장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호스에는 그 말단에 다른 호스 등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연결구 또한 압착기에 의해 압착되어 호스와 강하게 결속됨으로써 오일의 누수, 호스 간의 분리 등 다양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압착기에 관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235호의 “전선 퓨즈 압착기”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292호의 “전선 압착단자 가압용 압착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6694호의 “단자 압착기”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1160호의 “전선 결속용 단지 압착장치”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235호에는 6면의 형상으로 압착단자를 압축하여 전선을 파손없이 고르게 압축할 수 있고, 다양한 규격으로 구성되어 전선퓨즈의 용량 또는 규격에 맞는 제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설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292호에는 전선다발을 감싸는 걸림부의 내부구조에 의해 전선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선의 비노출식 구조를 통해 압착단자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6694호에는 고정측 압착날를 헤드에 결합 고정하고 이동측 압착날는 피스톤에 결합 고정하여, 절연단자의 압착할 때 압착날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고정측 압착날의 압착홈부에 전선의 인출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절연단자를 전선과 압착단자의 결합부위에 정확히 압착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1160호에는 기계 동력에 의해 전선과 단자를 간편하게 결속할 수 있고, 전선 및 단자를 향해 서로 맞물려 압착되는 요철부를 구비하여 안정적인 작업을 도모할 수 있으며, 요철부의 요철 크기를 다양하게 구비하여, 요철부의 교체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전선 및 단자를 결속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은 단자나 퓨즈 등의 단자용 제품을 압착하는 압착날 등의 압착수단이 단자용 제품을 양방향에서만 압착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불충분한 압착으로 인한 결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단자용 제품의 방향을 조정하며 추가 압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며, 다양한 크기의 단자용 제품을 압착하기 위해서는 압착날 등의 압착수단을 다른 크기의 제품으로 교체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압착날 등의 압착수단에 다양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종래 발명의 경우에도 압착수단에 형성 가능한 홈의 개수에 한정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여 결속 불량으로 인한 누전, 효율 저하, 누유 등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단자용 제품 또는 연결구를 압착수단의 교체 없이도 간편하게 압착할 수 있는 압착기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235호(2005. 01. 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292호(2009. 10. 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6694호(2012. 06. 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1160호(2015. 06. 18)
본 발명에 의한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종래의 발명들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 다이스 등의 압착수단이 단자용 제품을 양방향에서만 압착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불충분한 압착으로 인한 결속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단자용 제품을 압착하기 위해서는 다이스 등의 압착수단을 다른 크기의 제품으로 교체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개방하는 한 쌍의 개방홀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압착기의 로드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진입홀을 통해 로드가 진입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개방홀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벌의 제1 압착날; 상기 제1 압착날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압착날; 및, 상기 제1 압착날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압착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압착기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가 연장되는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 가능한 제어부가 구비되는 고정형 압착기 또는 휴대형 압착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1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사선홈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경사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가압부; 상기 제1 사선홈에 내입된 제2 압착날의 돌출 가이드가 내입되는 제1 사선형 가이드홈이 제1 사선홈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홈에 내입된 제3 압착날의 보조 가이드가 내입되는 제1 경사형 가이드홈이 제1 경사홈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가압부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보조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2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사선홈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경사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가압부와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가압부; 및, 상기 제2 사선홈에 내입된 제2 압착날의 돌출 가이드가 내입되는 제2 사선형 가이드홈이 제2 사선홈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홈에 내입된 제3 압착날의 보조 가이드가 내입되는 제2 경사형 가이드홈이 제2 경사홈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압부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보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는,
한 벌의 제1 압착날, 한 쌍의 제2 압착날 그리고 한 쌍의 제3 압착날를 이용하여 본체부의 내부로 내입된 압착단자 또는 연결구를 육각 형태로 압착함으로써, 불충분한 압착으로 인한 결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제2 압착날 및 제3 압착날와 연동화되는 제1 압착날 중 이동 가압부와 이동 보조부의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압착단자 또는 연결구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압착날 등의 압착수단을 단자용 제품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의 제품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가 압착기에 장착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체부의 내부에 한 벌의 제1 압착날을 구성하는 고정 가압부 및 이동 가압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체부의 내부에 한 벌의 제1 압착날을 구성하는 고정 보조부 및 이동 보조부가 설치된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체부의 내부에 한 쌍의 제2 압착날을 구성하는 제1 수평 가압부와 제2 수평 가압부가 설치된 상태로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체부의 내부에 한 쌍의 제3 압착날을 구성하는 제1 경사 가압부와 제2 경사 가압부가 설치된 상태로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제1 압착날, 제2 압착날 및 제3 압착날이 서로 연동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착단자나 자동차용 부품 등을 육각 형태로 가압하여 전선 또는 호스 등과 결속시키되, 가압을 위한 복수 개의 압착날이 일체로 형성하는 육각 형상의 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압착단자 등을 간편하게 압착할 수 있는 압착 헤드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개방하는 한 쌍의 개방홀(110)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압착기(10)의 로드(21)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진입홀을 통해 로드(21)가 진입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개방홀(110)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벌의 제1 압착날(200);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200)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착단자 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압착단자 등의 단자용 제품(이하에서는 ‘압착단자’로 통합하여 지칭하기로 한다.)을 전선과 함께 압착하여 결속하는 압착기(10)에 장착되는 케이스형의 물품으로써, 내부에는 상기 제1 압착날(200), 상기 제2 압착날(300) 그리고 상기 제3 압착날(400)이 내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압착단자의 압착을 위해 상기 중공을 개방하는 한 쌍의 개방홀(110)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압착기(10)의 로드(21)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가 장착되는 압착기(10)는 압착단자를 전선과 함께 압착하여 결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압착기(10) 중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21)를 포함하는 실린더(20)가 구비되는 압착기(10)로 그 종류를 한정할 수 있으나, 압착기(10)에 구비되는 실린더(20)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에어 실린더 그리고 전동 실린더 등 공지의 실린더 중 어떠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단자를 전선과 함께 압착하여 결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압착기(10)의 전체 구성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압착기(10)에 장착되는 본체부(100)와 그 본체부(100) 내부에 내입되는 제1 내지 제3 압착날(200, 300, 400)들로 구성되는 압착 헤드만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21)를 포함하는 실린더(20)가 구비되는 고정형 압착기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의 휴대형 압착기에도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개방홀(110)의 일측을 통한 진입이 어려운 상태인 압착단자 또는 연결구 등을 개방홀(110)의 내부에 내입시킬 수 있도록 상단 또는 하단의 중단이 벌어질 수 있는 힌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내입되는 제1 내지 제3 압착날(200, 300, 400)을 이용한 압착단자의 압착에 필요한 로드(21)가 상기 실린더(20)로부터 연장되는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 가능한 제어부(30)가 상기 압착기(1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30)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압착날 등의 압착수단을 압착단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의 제품으로 교체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종래의 압착기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단일의 본체부(100)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의 압착단자를 압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과 함께 압착단자를 육각 형태로 압착하는 틀을 구성하는 물품으로써, 상기 진입홀을 통해 진입하는 로드(21)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개방홀(110)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1 지지부(211),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사선홈(212)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경사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가압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면상으로는 상기 제1 사선홈(212)과 상기 제1 경사홈(213)이 모두 점선으로 도시되어 명확히 구분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제2 압착날(300)과 상기 제3 압착날(400)이 내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범위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제1 사선홈(212)의 일부와 제1 경사홈(213)의 일부가 중복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의 돌출 가이드(311)가 내입되는 제1 사선형 가이드홈(221)이 제1 사선홈(21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의 보조 가이드(411)가 내입되는 제1 경사형 가이드홈(222)이 제1 경사홈(213)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보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2 지지부(231),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사선홈(232)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경사홈(2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21)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가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면상으로는 상기 제2 사선홈(232)과 상기 제2 경사홈(233)이 모두 점선으로 도시되어 명확히 구분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제2 압착날(300)과 상기 제3 압착날(400)이 내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범위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제2 사선홈(232)의 일부와 제2 경사홈(233)의 일부가 중복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의 돌출 가이드(321)가 내입되는 제2 사선형 가이드홈(241)이 제2 사선홈(23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의 보조 가이드(421)가 내입되는 제2 경사형 가이드홈(242)이 제2 경사홈(233)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압부(230)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21)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보조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211)와 상기 제2 지지부(231)는 서로 대응되고, 상기 제1 사선홈(212)과 상기 제2 사선홈(232)은 서로 대응되며, 상기 제1 경사홈(213)은 상기 제2 경사홈(233)과 서로 대응되므로,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상기 이동 가압부(2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공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선형 가이드홈(221)은 상기 제2 사선형 가이드홈(241)과 서로 대응되고, 상기 제1 경사형 가이드홈(222)은 상기 제2 경사형 가이드홈(242)과 서로 대응되므로, 상기 고정 보조부(220)와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공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고정 가압부(210) 및 상기 고정 보조부(220)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것에 반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가압부(230) 및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상기 로드(21)와 연동되어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고정 가압부(210) 측으로 수평 이동하는 상기 이동 가압부(23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내입된 상태인 압착단자의 좌측 사선면과 우측 사선면이 압축될 수 있으며, 이동 가압부(230)가 수평 이동함에 따라 아래와 같이 상기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3 압착날(400)이 이에 연동되며 압착단자의 다른 일부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보조부(220)는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나란한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이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고정 가압부(210) 측으로 수평 이동하는 상기 이동 가압부(230)와 나란한 형태를 유지하며 고정 보조부(220) 측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이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 보조부(220)는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을 각각 지지하기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개방홀(110)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직접 압착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 및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과 함께 압착단자를 육각 형태로 압착하는 틀을 구성하는 물품으로써,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은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상태로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 또는 하방에서 압착하여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3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수평 가압부(310) 및,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의 하방 또는 상방에 다른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32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수평 가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평 가압부(310)와 상기 제2 수평 가압부(320)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공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1 수평 가압부(310)가 사선 방향으로만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반해, 상기 제2 수평 가압부(320)는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도 양 구성은 명백히 구분될 수 있는 차이를 가진다.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가압부(210) 및 상기 고정 보조부(2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므로, 상기 제1 수평 가압부(310)는 상기 제1 사선홈(212)의 내부에서만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상기 이동 가압부(230) 및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2 수평 가압부(320)는 상기 제2 사선홈(232)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동 가압부(23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 및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과 함께 압착단자를 육각 형태로 압착하는 틀을 구성하는 물품으로써,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200)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은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되, 상기 압착단자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삽입되는 보조 가이드(4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경사 가압부(410) 및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다른 사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삽입되는 보조 가이드(42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경사 가압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경사 가압부(410)와 상기 제2 경사 가압부(4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공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1 경사 가압부(410)가 사선 방향으로만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반해, 상기 제2 경사 가압부(420)는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도 양 구성은 명백히 구분될 수 있는 차이를 가진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가압부(210) 및 상기 고정 보조부(2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므로, 상기 제1 경사 가압부(410)는 상기 제1 경사홈(213)의 내부에서만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상기 이동 가압부(230) 및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2 경사 가압부(420)는 상기 제2 사선홈(232)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동 가압부(230) 및 이동 보조부(24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선홈(212)의 일부와 상기 제1 경사홈(213)의 일부가 중복되고, 상기 제2 사선홈(232)의 일부와 상기 제2 경사홈(233)의 일부가 중복되므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과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은 제1 사선홈(212)과 제1 경사홈(213), 제2 사선홈(232)과 제2 경사홈(233)의 내부에서 서로 간의 간섭이 없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 : 압착기 20 : 실린더
21 : 로드 30 : 제어부
100 : 본체부 110 : 개방홀
200 : 제1 압착날
210 : 고정 가압부
211 : 제1 지지부
212 : 제1 사선홈
213 : 제1 경사홈
220 : 고정 보조부
221 : 제1 사선형 가이드홈
222 : 제1 경사형 가이드홈
230 : 이동 가압부
231 : 제2 지지부
232 : 제2 사선홈
233 : 제2 경사홈
240 : 이동 보조부
241 : 제2 사선형 가이드홈
242 : 제2 경사형 가이드홈
300 : 제2 압착날
310 : 제1 수평 가압부
320 : 제2 수평 가압부
311, 321 : 돌출 가이드
400 : 제3 압착날
410 : 제1 경사 가압부
420 : 제2 경사 가압부
411, 421 : 보조 가이드

Claims (5)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개방하는 한 쌍의 개방홀(110)이 일측면과 타측면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압착기(10)의 로드(21)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는 본체부(100);
    상기 진입홀을 통해 로드(21)가 진입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개방홀(110)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벌의 제1 압착날(200);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200)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1 지지부(211),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사선홈(212)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경사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가압부(210);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의 돌출 가이드(311)가 내입되는 제1 사선형 가이드홈(221)이 제1 사선홈(21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의 보조 가이드(411)가 내입되는 제1 경사형 가이드홈(222)이 제1 경사홈(213)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보조부(220);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2 지지부(231),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사선홈(232)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경사홈(2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21)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가압부(230); 및,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의 돌출 가이드(321)가 내입되는 제2 사선형 가이드홈(241)이 제2 사선홈(23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의 보조 가이드(421)가 내입되는 제2 경사형 가이드홈(242)이 제2 경사홈(233)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압부(230)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21)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보조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사선홈(212)의 일부와 상기 제1 경사홈(213)의 일부가 중복되고, 상기 제2 사선홈(232)의 일부와 상기 제2 경사홈(233)의 일부가 중복되어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과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은 제1 사선홈(212)과 제1 경사홈(213), 제2 사선홈(232)과 제2 경사홈(233)의 내부에서 서로 간의 간섭이 없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기(10)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21)를 포함하는 실린더(20)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21)가 연장되는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 가능한 제어부(30)가 구비되는 고정형 압착기 또는 휴대형 압착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은,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상태로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 또는 하방에서 압착하여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3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수평 가압부(310); 및,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의 하방 또는 상방에 다른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32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수평 가압부(3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은,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되, 상기 압착단자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삽입되는 보조 가이드(4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경사 가압부(410); 및,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다른 사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홈에 삽입되는 보조 가이드(42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경사 가압부(4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KR1020200001771A 2020-01-07 2020-01-07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KR10211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771A KR102115883B1 (ko) 2020-01-07 2020-01-07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PCT/KR2020/019255 WO2021141313A1 (ko) 2020-01-07 2020-12-29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771A KR102115883B1 (ko) 2020-01-07 2020-01-07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883B1 true KR102115883B1 (ko) 2020-05-27

Family

ID=7091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771A KR102115883B1 (ko) 2020-01-07 2020-01-07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5883B1 (ko)
WO (1) WO20211413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313A1 (ko) * 2020-01-07 2021-07-15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KR102341761B1 (ko) 2021-07-08 2021-12-20 도준희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35Y1 (ko) 2004-10-29 2005-01-14 장근선 전선 퓨즈 압착기
KR100883890B1 (ko) * 2008-10-24 2009-02-17 오성국 휴대용 전동식 압착기
KR100922292B1 (ko) 2007-10-26 2009-10-15 정효진 전선 압착단자 가압용 다이스
KR101156694B1 (ko) 2010-11-15 2012-06-14 주식회사 전오전기 단자 압착기
KR101531160B1 (ko) 2013-07-29 2015-06-25 김영진 전선 결속용 단자 압착장치
KR101777241B1 (ko) * 2016-04-19 2017-09-11 김현민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17886U1 (ko) * 1992-12-31 1993-02-25 Dischler, Helmut, Dipl.-Ing., 4040 Neuss, De
JP6182367B2 (ja) * 2013-06-19 2017-08-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圧着接続構造体、ワイヤハーネス、端子圧着装置及び端子圧着方法
KR102115883B1 (ko) * 2020-01-07 2020-05-27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35Y1 (ko) 2004-10-29 2005-01-14 장근선 전선 퓨즈 압착기
KR100922292B1 (ko) 2007-10-26 2009-10-15 정효진 전선 압착단자 가압용 다이스
KR100883890B1 (ko) * 2008-10-24 2009-02-17 오성국 휴대용 전동식 압착기
KR101156694B1 (ko) 2010-11-15 2012-06-14 주식회사 전오전기 단자 압착기
KR101531160B1 (ko) 2013-07-29 2015-06-25 김영진 전선 결속용 단자 압착장치
KR101777241B1 (ko) * 2016-04-19 2017-09-11 김현민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313A1 (ko) * 2020-01-07 2021-07-15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KR102341761B1 (ko) 2021-07-08 2021-12-20 도준희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1313A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883B1 (ko)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CN101001712B (zh) 制造焊接连接的方法以及焊接连接
US10511131B2 (en) Terminal crimping device
US11331777B2 (en) Pivoting pliers jaw in a design comprising plates and crimping pliers comprising a pivoting pliers jaw
US20190027883A1 (en)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terminal crimp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CN2860660Y (zh) 一种连接管件用的环压工具
CN101227056A (zh) 端子压接设备
US5007280A (en) Tool head for use in crimping electrical connectors
KR102341761B1 (ko)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US20130098134A1 (en) Method for shaping electric wire end and mold for shaping electric wire end
KR101062047B1 (ko) 단자 절곡기능을 가지는 단자압착기
KR101928648B1 (ko) 교체형 압착체를 갖는 철근결속용 슬리브 압착 장치
CN214442637U (zh) 一种新型自动扁线机
CN206046931U (zh) 角度可调的汽车线束折弯装置
CN211858265U (zh) 一种成束电缆压紧装置
KR101564393B1 (ko) 와이어네트의 제조장치
CN208930152U (zh) 一种便携式汽车空调压管机
CN220809045U (zh) 一种汽车牵引带
KR101531160B1 (ko) 전선 결속용 단자 압착장치
CN214946089U (zh) 一种压制工装
CN209119533U (zh) 用于欧式管状端子的压接装置
CN205159752U (zh) 同轴连接器压接模具
CN2675332Y (zh) 切削中心机主轴用增压气缸的改良结构
CN219892039U (zh) 一种用于无线充电线圈的引线整形机
CN214354483U (zh) 一种包装盒粘合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