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235Y1 - 전선 퓨즈 압착기 - Google Patents

전선 퓨즈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235Y1
KR200373235Y1 KR20-2004-0030639U KR20040030639U KR200373235Y1 KR 200373235 Y1 KR200373235 Y1 KR 200373235Y1 KR 20040030639 U KR20040030639 U KR 20040030639U KR 200373235 Y1 KR200373235 Y1 KR 200373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wire
fixed
wire fuse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선
Original Assignee
장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선 filed Critical 장근선
Priority to KR20-2004-0030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기전선에 전선퓨즈를 연결하는 압착과정에서 전선퓨즈를 전선의 빠짐이 없고, 전기의 흐름을 좋게 하고, 부하가 없게 6면각 다이스를 구비하고, 이를 조립하여 압축하게 한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로,
충전용 배터리, 스위치레버, 구동부와, 피스톤부, 다이스가 조립되는 헤드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일측에 걸림턱을 형성하면서 고정다이스조립공을 뚫어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은 동작다이스조립공을 형성한 피스톤 축이 전,후진하게 뚫은 피스톤축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스는 헤드부의 고정다이스 조립공에 삽입축핀으로 고정되면서 걸림턱에 걸려 조립되는 고정측 다이스와, 상기 피스톤축의 동작다이스 조립공에 삽입축핀으로 조립 장착되는 작동측 다이스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를 제공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선 퓨즈 압착기 {compression tool for electric wire fuse }
본 고안은 전선퓨즈 압착기용 다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퓨즈 압착기에 고정측과 작동측 다이스가 마주할 때 6각면을 형성하게 하여 전선퓨즈와 분기전선의 연결을 견고하게 한 전선퓨즈 압착기용 다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설비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전기는 메인 전선으로부터 각 가정 및 공장 등으로 분기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전선(10)의 중간부에는 과전류 공급 및 단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선퓨즈(20)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전선퓨즈(2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전선(10)에 단자캡(12)을 미리 삽입하고, 일정길이에 걸쳐 피복을 벗겨내어 인입선(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인입선(14)을 전선퓨즈(20)의 양측 압축단자(22)에 삽입후 도시생략한 펜치, 유압식압축기 등의 퓨즈압착기로 눌러 고정시킨후 단자캡(12)을 전선퓨즈(20)의 양측에서 억지 결합하면 전선퓨즈(20)의 압축단자(22)를 은폐시켜 마감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퓨즈의 압축단자를 퓨즈압착기로 누름에 있어 압축플라이어의 헤드부 이빨을 통해 완력으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제대로 압축되지 않아 후일 시공불량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전선퓨즈의 압축단자를 누름에 있어 원형 다이스를 이용 눌러줌에 따라 전선 빠짐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며, 또 이에 따라 전기흐름이 불량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선퓨즈의 압축단자를 찍어 내리는 식으로 연결함에 따라 부하가 발생하며 전선의 손상과 빠짐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고안의 목적은 고정측과 작동측 다이스가 마주할 때 6각면을 형성하게 하여 전선퓨즈와 분기전선의 연결을 견고하게 한 전선퓨즈 압착기용 다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기술로 전선퓨즈가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기술로 전선퓨즈가 설치됨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퓨즈 압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퓨즈 압착기용 다이스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퓨즈 압착기용 다이스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전선 퓨즈 압착기 42:충전용 배터리
44:스위치레버 46:구동부
48:피스톤부 50:다이스
52:헤드부 54:걸림턱
56:고정다이스조립공 58:동작다이스조립공
60:피스톤 축 62:피스톤축공
64:삽입축핀 66:고정측 다이스
68:작동측 다이스 70:블럭체
72:체결링홈 74:3면각홈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충전용 배터리, 스위치레버, 구동부와, 피스톤부, 다이스가 조립되는 헤드부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일측에 걸림턱을 형성하면서 고정다이스조립공을 뚫어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은 동작다이스조립공을 형성한 피스톤 축이 전,후진하게 뚫은 피스톤축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스는 헤드부의 고정다이스 조립공에 삽입축핀으로 고정되면서 걸림턱에 걸려 조립되는 고정측 다이스와, 상기 피스톤축의 동작다이스 조립공에 삽입축핀으로 조립 장착되는 작동측 다이스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고정측 다이스와 작동측 다이스는 정육면체 형상의 블럭체와, 이 블럭체의 일측에 체결링홈을 형성한 삽입축핀과, 이 삽입축핀의 타측에 3면각홈을 형성하여 마주할 때 6각면을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 퓨즈 압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퓨즈 압착기용 다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퓨즈 압착기의 다이스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1,2와 동일부분에 대한 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한다.
상기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40)는 충전용 배터리(42), 스위치레버(44), 구동부(46)와, 피스톤부(48), 다이스(50)가 조립되는 헤드부(52)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헤드부(52)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일측에 걸림턱(54)을 형성하면서 고정다이스조립공(56)을 뚫어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은 동작다이스조립공(58)을 형성한 피스톤 축(60)이 전,후진하게 뚫은 피스톤축공(6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스(50)는 헤드부(52)의 고정다이스 조립공(56)에 삽입축핀(64)으로 고정되면서 걸림턱(54)에 걸려 조립되는 고정측 다이스(66)와, 상기 피스톤축(60)의 동작다이스 조립공(58)에 삽입축핀(64)으로 조립 장착되는 작동측 다이스(68)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고정측 다이스(66)와 작동측 다이스(68)는 정육면체 형상의 블럭체(70)와, 이 블럭체(70)의 일측에 체결링홈(72)을 삽입축핀(64)에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삽입축핀(64)의 타측에 3면각홈(74)을 형성하여 마주할 때 6각면을 형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전선퓨즈(20)의 압축단자(22)에 피복이 벗겨진 분기전선(10)의 끝단 부분을 삽입시킨 후 전선퓨즈압착기(40)의 헤드부(52) 일측에 형성된 고정다이스 조립공(56)에 다이스(50)의 삽입축핀(64)을 이용 삽입하고, 블럭체(70)가 걸림턱(54)에 걸리도록 조립시켜 둠으로서 3면각홈(74)이 후향하게 두어 고정측 다이스(66)를 형성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측 다이스(66)의 타측인 동작다이스 조립공(58)을 전,후진하게 조립된 피스톤부(48)의 피스톤축(60)에 형성된 피스톤축공(62)에 삽입축핀(64)을 조립하여 블럭체(70)의 자세를 잡아줘서 3면각홈(74)이 고정측 다이스(66)의 3면각홈(74)과 대칭을 이루게 한다.
상기한 다이스(50)는 전선퓨즈의 압축단자(22) 치수에 맞게 구비되고 있어필요시 교환하여 바꿔 끼울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충전배터리(42)에 충전상태인 전선퓨즈압착기(40)의 스위치레버(44)를 온 조작하면 구동부(46)가 피스톤부(48)를 구동시켜 동작다이스 조립공(58)에 의해 안내되는 피스톤축(60)을 전진시켜 피스톤축공(62)에 조립된 작동측 다이스(68)를 전시키게 된다.
상기 전선퓨즈압착기(40)의 작동측 다이스(68)가 전진하게 되면 헤드부(52)의 다이스(50) 각각의 3면각홈(74)사이에 놓인 전선퓨즈(20)의 압축단자(22)를 압착하여 다이스(50)는 6각면을 형성하게 되므로서 압착단자(22)의 압착 모양을 6면으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은 압착단자의 압축시 6면으로 형성하게 압착하므로서 전선의 파손없이 전선을 고르게 압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이스는 전선퓨즈의 용량이나 규격에 따라 다양한 치수의 제품을 제공하여 사용시 작업 상황에 따라 교환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선을 고르게 압축하게 되므로서 부하가 걸리지 않고 전기흐름이 좋아짐은 물론 확실하게 전선을 연결시켜 주어 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전선시공 공구 산업상 유용한 기술이다.

Claims (3)

  1. 충전용 배터리(42), 스위치레버(44), 구동부(46), 피스톤부(48), 다이스(50)가 조립되는 헤드부(52)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52)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일측에 걸림턱(54)을 형성하면서 고정다이스조립공(56)을 뚫어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은 동작다이스조립공(58)을 형성한 피스톤 축(60)이 전,후진하게 뚫은 피스톤축공(6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이스(50)는 헤드부(52)의 고정다이스 조립공(56)에 삽입축핀(64)으로 고정되면서 걸림턱(54)에 걸려 조립되는 고정측 다이스(66)와, 상기 피스톤축(60)의 동작다이스 조립공(58)에 삽입축핀(64)으로 조립 장착되는 작동측 다이스(68)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다이스(66)와 작동측 다이스(68)는 정육면체 형상의 블럭체(70)와, 이 블럭체(70)의 일측에 체결링홈(72)을 형성한 삽입축핀(64)과, 이 삽입축핀(64)의 타측에 3면각홈(74)을 형성하여 마주할 때 6각면을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스(50)는 치수별로 고정측 다이스(66)와 작동측 다이스(68)를 한조로 구성되어 조립 교환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전선 퓨즈 압착기.
KR20-2004-0030639U 2004-10-29 2004-10-29 전선 퓨즈 압착기 KR200373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639U KR200373235Y1 (ko) 2004-10-29 2004-10-29 전선 퓨즈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639U KR200373235Y1 (ko) 2004-10-29 2004-10-29 전선 퓨즈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235Y1 true KR200373235Y1 (ko) 2005-01-14

Family

ID=4944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639U KR200373235Y1 (ko) 2004-10-29 2004-10-29 전선 퓨즈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2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90B1 (ko) 2008-10-24 2009-02-17 오성국 휴대용 전동식 압착기
KR101156694B1 (ko) * 2010-11-15 2012-06-14 주식회사 전오전기 단자 압착기
KR102115883B1 (ko) 2020-01-07 2020-05-27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KR102341761B1 (ko) 2021-07-08 2021-12-20 도준희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90B1 (ko) 2008-10-24 2009-02-17 오성국 휴대용 전동식 압착기
KR101156694B1 (ko) * 2010-11-15 2012-06-14 주식회사 전오전기 단자 압착기
KR102115883B1 (ko) 2020-01-07 2020-05-27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WO2021141313A1 (ko) * 2020-01-07 2021-07-15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KR102341761B1 (ko) 2021-07-08 2021-12-20 도준희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2602B (zh) 储能高压连接器
JP5474959B2 (ja) プレス装置のためのツールヘッド組立体
KR200373235Y1 (ko) 전선 퓨즈 압착기
CN109713466B (zh) 一种铜排快速夹紧装置
US20220102795A1 (en) Weldable aluminum terminal pads of an electrochemical cell
CN105409068A (zh) 具有可编程释放机构的摩擦锁定插座
CN214124216U (zh) 一种交流电插头脚与电线的连接结构
CN201126862Y (zh) 新型自紧式接线端子
CN201789156U (zh) 太阳能电缆连接器
CN110048249B (zh) 一种快速连接端子
CN203882923U (zh) 一种快接式断路器
CN207338191U (zh) 一种应急开关
CN220253482U (zh) 一种电缆用接线端子
CN215989441U (zh) 一种快速接线的低压软起动控制器
KR200157985Y1 (ko) 커넥터 접점과 케이블전선 연결장치
CN218677931U (zh) 一种接线钳头组件及接线钳
KR100469482B1 (ko) 직류전원잭의 플러스단자 삽입구조 및 방법
CN207368402U (zh) 端子套管接线辅助工装及电缆导体整形工装
CN216750611U (zh) 一种压线钳的钳口组件
KR200365156Y1 (ko) 커넥터 절연체의 접점 삽입 및 제거 구조
CN219477210U (zh) 一种防压偏的压接治具
CN211804714U (zh) 一种简易的车载插接件压装工装
CN212676524U (zh) 工业机器人执行器快速切换连接盘用电源模块组件
CN220066639U (zh) 一种快拆机构及带电显示的空气开关
CN220652461U (zh) 一种带可快速拆装公母对插接头的电器电源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