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761B1 -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 Google Patents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761B1
KR102341761B1 KR1020210089622A KR20210089622A KR102341761B1 KR 102341761 B1 KR102341761 B1 KR 102341761B1 KR 1020210089622 A KR1020210089622 A KR 1020210089622A KR 20210089622 A KR20210089622 A KR 20210089622A KR 102341761 B1 KR102341761 B1 KR 102341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groove
oblique
pair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준희
Original Assignee
도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준희 filed Critical 도준희
Priority to KR1020210089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착단자나 자동차용 부품 등을 육각 형태로 가압하여 전선 또는 호스 등과 결속시키되, 가압을 위한 복수 개의 압착날이 일체로 형성하는 육각 형상의 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육각 형상의 홀에 대한 전선 등의 진입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압착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일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개방홀이 형성되며, 중공으로 압착기의 로드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되, 몸체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형태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에 회전축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잠금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진입홀을 통해 로드가 진입하는 거리에 따라 개방홀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벌의 제1 압착날, 제1 압착날과 연동화된 상태로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압착날 및, 제1 압착날과 연동화된 상태로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압착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Compression head with open structure}
본 발명은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착단자나 자동차용 부품 등을 육각 형태로 가압하여 전선 또는 호스 등과 결속시키되, 가압을 위한 복수 개의 압착날이 일체로 형성하는 육각 형상의 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육각 형상의 홀에 대한 전선 등의 진입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압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또는 배전 등을 위한 작업 중에는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한 압착단자 등의 단자용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압착단자 등의 단자용 제품은 피복된 전선의 말단부가 내입된 상태로 압착기에 의해 압착되어 전선과 강하게 결속됨으로써 전선과 전선의 연결 또는 전선과 단자대의 연결이 간편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압착단자 등의 단자용 제품을 이용하여 결선하는 방식은 납땜을 이용하거나 전선끼리 권취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작업속도의 향상에 유리하고, 균일한 작업성이 보장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호스에는 그 말단에 다른 호스 등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연결구 또한 압착기에 의해 압착되어 호스와 강하게 결속됨으로써 오일의 누수, 호스 간의 분리 등 다양한 문제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된 압착기에 관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235호의 “전선 퓨즈 압착기”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292호의 “전선 압착단자 가압용 압착날”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235호에는 6면의 형상으로 압착단자를 압축하여 전선을 파손없이 고르게 압축할 수 있고, 다양한 규격으로 구성되어 전선퓨즈의 용량 또는 규격에 맞는 제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설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292호에는 전선다발을 감싸는 걸림부의 내부구조에 의해 전선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선의 비노출식 구조를 통해 압착단자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6694호에는 고정측 압착날를 헤드에 결합 고정하고 이동측 압착날는 피스톤에 결합 고정하여, 절연단자의 압착할 때 압착날를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고, 고정측 압착날의 압착홈부에 전선의 인출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절연단자를 전선과 압착단자의 결합부위에 정확히 압착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단자나 퓨즈 등의 단자용 제품을 압착하는 압착날 등의 압착수단이 단자용 제품을 양방향에서만 압착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불충분한 압착으로 인한 결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자용 제품의 방향을 조정하며 추가 압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며, 다양한 크기의 단자용 제품을 압착하기 위해서는 압착날 등의 압착수단을 다른 크기의 제품으로 교체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여 결속 불량으로 인한 누전, 효율 저하, 누유 등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단자용 제품 또는 연결구를 압착수단의 교체 없이도 간편하게 압착할 수 있는 압착기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5883호의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가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5883호의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는 외형을 구성하는 본체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전선의 단말 처리는 가능하나, 단말끼리의 결속 등 전선의 형태 또는 위치에 따라서는 단자용 제품에 대한 가압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235호(2005. 01. 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2292호(2009. 10. 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5883호(2020. 05. 21.)
본 발명에 의한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종래의 발명들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 다이스 등의 압착수단이 단자용 제품을 양방향에서만 압착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불충분한 압착으로 인한 결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단자용 제품을 압착하기 위해서는 다이스 등의 압착수단을 다른 크기의 제품으로 교체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종래의 발명은 외형을 구성하는 본체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단말끼리의 결속 등 전선의 형태 또는 위치에 따라서는 단자용 제품에 대한 가압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일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압착기의 로드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되, 몸체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형태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에 회전축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잠금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진입홀을 통해 로드가 진입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개방홀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벌의 제1 압착날; 상기 제1 압착날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압착날; 및, 상기 제1 압착날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압착날;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1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사선홈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경사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가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은 상기 제1 사선홈에 내입된 제2 압착날의 돌출 가이드가 내입되는 제1 사선형 가이드홈이 제1 사선홈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홈에 내입된 제3 압착날의 보조 가이드가 내입되는 제1 경사형 가이드홈이 제1 경사홈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가압부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보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2 지지부,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사선홈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경사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가압부와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가압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은 상기 제2 사선홈에 내입된 제2 압착날의 돌출 가이드가 내입되는 제2 사선형 가이드홈이 제2 사선홈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홈에 내입된 제3 압착날의 보조 가이드가 내입되는 제2 경사형 가이드홈이 제2 경사홈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압부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보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는,
한 벌의 제1 압착날, 한 쌍의 제2 압착날 그리고 한 쌍의 제3 압착날를 이용하여 본체부의 내부로 내입된 압착단자 또는 연결구를 육각 형태로 압착함으로써, 불충분한 압착으로 인한 결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제2 압착날 및 제3 압착날와 연동화되는 제1 압착날 중 이동 가압부와 이동 보조부의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압착단자 또는 연결구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압착날 등의 압착수단을 단자용 제품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의 제품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며,
외형을 구성하는 본체부의 일측에 힌지 구조가 구비되고 타측에 분리 구조가 구비되어 몸체의 일부가 분리되며 축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선의 형태 또는 위치에 따라 단자용 제품에 대한 가압이 불가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가 압착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가 압착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부의 일부가 축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체부의 내부에 한 벌의 제1 압착날을 구성하는 고정 가압부 및 이동 가압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체부의 내부에 한 벌의 제1 압착날을 구성하는 고정 보조부 및 이동 보조부가 설치된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체부의 내부에 한 쌍의 제2 압착날을 구성하는 제1 수평 가압부와 제2 수평 가압부가 설치된 상태로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체부의 내부에 한 쌍의 제3 압착날을 구성하는 제1 경사 가압부와 제2 경사 가압부가 설치된 상태로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제1 압착날, 제2 압착날 및 제3 압착날이 서로 연동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착단자나 자동차용 부품 등을 육각 형태로 가압하여 전선 또는 호스 등과 결속시키되, 가압을 위한 복수 개의 압착날이 일체로 형성하는 육각 형상의 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 육각 형상의 홀에 대한 전선 등의 진입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압착 헤드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일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개방홀(110)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압착기(10)의 로드(21)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되, 몸체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형태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에 회전축부(111)가 구비되고, 타측에 잠금부(112)가 구비되는 본체부(100); 상기 진입홀을 통해 로드(21)가 진입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개방홀(110)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벌의 제1 압착날(200);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200)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선의 단말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착단자 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압착단자 등의 단자용 제품(이하에서는 ‘압착단자’로 통합하여 지칭하기로 한다.)을 전선과 함께 압착하여 결속하는 압착기(10)에 장착되는 케이스형의 물품으로써, 내부에는 상기 제1 압착날(200), 상기 제2 압착날(300) 그리고 상기 제3 압착날(400)이 내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일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개방홀(110)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압착기(10)의 로드(21)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가 장착되는 압착기(10)는 압착단자를 전선과 함께 압착하여 결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압착기(10) 중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21)를 포함하는 실린더(20)가 구비되는 압착기(10)로 그 종류를 한정할 수 있으나, 압착기(10)에 구비되는 실린더(20)는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에어 실린더 그리고 전동 실린더 등 공지의 실린더 중 어떠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단자를 전선과 함께 압착하여 결속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압착기(10)의 전체 구성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압착기(10)에 장착되는 본체부(100)와 그 본체부(100) 내부에 내입되는 제1 내지 제3 압착날(200, 300, 400)들로 구성되는 압착 헤드만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21)를 포함하는 실린더(20)가 구비되는 고정형 압착기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의 휴대형 압착기에도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몸체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형태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몸체의 일부와 다른 일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부(111)가 일측에 구비되고, 몸체의 일부와 다른 일부가 서로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부(112)가 타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개방홀(110)에 의해 일측면과 타측면이 동시에 관통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그 개방홀(110)을 기준으로 하여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회전축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잠금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외형을 구성하는 본체부(1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전선의 단말 처리는 가능하나 전선이 연결된 형태이거나 위치에 따라서는 단자용 제품에 대한 가압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에 의해 개방홀(110)이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일체형에서는 처리가 불가한 상태인 단자용 제품이 그 개방홀(110)의 내부에 내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사각의 형상이나 네모꼴로 구성되는 개방홀(110)의 코너측으로부터 개방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공간이 협소하게 형성되는 등 접근이 까다로운 위치에 위치한 단자용 제품에 대한 가압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회전축부(111)와 잠금부(112)가 서로 비대칭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111)는 힌지체결 방식이 아닌 축체결 방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100) 몸체의 일부와 다른 일부의 견고한 결합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112)는 상기 본체부(100)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과 본체부(100) 몸체의 다른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다른 고정홀이 서로 간섭하지 아니하고 일렬로 정렬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일렬로 정렬된 복수 개의 고정홀 모두에 고정축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 외주연의 일측에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고정축에 대응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말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축이 구비됨으로써 복수 개의 고정홀 모두에 삽입된 상태인 고정축의 자연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작업자 등은 상기 잠금부(112)의 복수 개의 고정홀을 일렬로 정렬하고, 그 복수 개의 고정홀 모두에 고정축을 삽입하며, 고정축의 삽입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인 삽입홀과 삽입홈에 삽입축을 삽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용을 위한 상기 본체부(100)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방홀(110)의 내부에 내입된 단자용 제품을 가압하기 위해서는 잠금 부를 이용한 체결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를 다시 일체형으로 구성하여야 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내입되는 제1 내지 제3 압착날(200, 300, 400)을 이용한 압착단자의 압착에 필요한 로드(21)가 상기 실린더(20)로부터 연장되는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 가능한 제어부(30)가 상기 압착기(1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30)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압착날 등의 압착수단을 압착단자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의 제품으로 교체하며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종래의 압착기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단일의 본체부(100)만으로도 다양한 크기의 압착단자를 압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과 함께 압착단자를 육각 형태로 압착하는 틀을 구성하는 물품으로써, 상기 진입홀을 통해 진입하는 로드(21)에 의해 이동하며 상기 개방홀(110)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1 지지부(211),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사선홈(212)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경사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가압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면상으로는 상기 제1 사선홈(212)과 상기 제1 경사홈(213)이 모두 점선으로 도시되어 명확히 구분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제2 압착날(300)과 상기 제3 압착날(400)이 내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범위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제1 사선홈(212)의 일부와 제1 경사홈(213)의 일부가 중복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의 돌출 가이드(311)가 내입되는 제1 사선형 가이드홈(221)이 제1 사선홈(21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의 보조 가이드(411)가 내입되는 제1 경사형 가이드홈(222)이 제1 경사홈(213)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보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2 지지부(231),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사선홈(232)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경사홈(2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21)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가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면상으로는 상기 제2 사선홈(232)과 상기 제2 경사홈(233)이 모두 점선으로 도시되어 명확히 구분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제2 압착날(300)과 상기 제3 압착날(400)이 내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범위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로는 제2 사선홈(232)의 일부와 제2 경사홈(233)의 일부가 중복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의 돌출 가이드(321)가 내입되는 제2 사선형 가이드홈(241)이 제2 사선홈(23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의 보조 가이드(421)가 내입되는 제2 경사형 가이드홈(242)이 제2 경사홈(233)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압부(230)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21)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보조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211)와 상기 제2 지지부(231)는 서로 대응되고, 상기 제1 사선홈(212)과 상기 제2 사선홈(232)은 서로 대응되며, 상기 제1 경사홈(213)은 상기 제2 경사홈(233)과 서로 대응되므로,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상기 이동 가압부(2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공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선형 가이드홈(221)은 상기 제2 사선형 가이드홈(241)과 서로 대응되고, 상기 제1 경사형 가이드홈(222)은 상기 제2 경사형 가이드홈(242)과 서로 대응되므로, 상기 고정 보조부(220)와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공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고정 가압부(210) 및 상기 고정 보조부(220)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것에 반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가압부(230) 및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상기 로드(21)와 연동되어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도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고정 가압부(210) 측으로 수평 이동하는 상기 이동 가압부(23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내입된 상태인 압착단자의 좌측 사선면과 우측 사선면이 압축될 수 있으며, 이동 가압부(230)가 수평 이동함에 따라 아래와 같이 상기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3 압착날(400)이 이에 연동되며 압착단자의 다른 일부를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보조부(220)는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나란한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이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고정 가압부(210) 측으로 수평 이동하는 상기 이동 가압부(230)와 나란한 형태를 유지하며 고정 보조부(220) 측으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이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 보조부(220)는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을 각각 지지하기 용도로 사용되고,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개방홀(110)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직접 압착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 및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과 함께 압착단자를 육각 형태로 압착하는 틀을 구성하는 물품으로써,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은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상태로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 또는 하방에서 압착하여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3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수평 가압부(310) 및,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의 하방 또는 상방에 다른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32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수평 가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평 가압부(310)와 상기 제2 수평 가압부(320)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공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1 수평 가압부(310)가 사선 방향으로만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반해, 상기 제2 수평 가압부(320)는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도 양 구성은 명백히 구분될 수 있는 차이를 가진다.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가압부(210) 및 상기 고정 보조부(2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므로, 상기 제1 수평 가압부(310)는 상기 제1 사선홈(212)의 내부에서만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상기 이동 가압부(230) 및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2 수평 가압부(320)는 상기 제2 사선홈(232)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동 가압부(23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 및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과 함께 압착단자를 육각 형태로 압착하는 틀을 구성하는 물품으로써,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200)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은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되, 상기 압착단자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삽입되는 보조 가이드(4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경사 가압부(410) 및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다른 사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삽입되는 보조 가이드(42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경사 가압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경사 가압부(410)와 상기 제2 경사 가압부(4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중공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1 경사 가압부(410)가 사선 방향으로만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반해, 상기 제2 경사 가압부(420)는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도 양 구성은 명백히 구분될 수 있는 차이를 가진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가압부(210) 및 상기 고정 보조부(2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므로, 상기 제1 경사 가압부(410)는 상기 제1 경사홈(213)의 내부에서만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상기 이동 가압부(230) 및 상기 이동 보조부(24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제2 경사 가압부(420)는 상기 제2 사선홈(232)의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이동 가압부(230) 및 이동 보조부(240)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도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선홈(212)의 일부와 상기 제1 경사홈(213)의 일부가 중복되고, 상기 제2 사선홈(232)의 일부와 상기 제2 경사홈(233)의 일부가 중복되므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과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은 제1 사선홈(212)과 제1 경사홈(213), 제2 사선홈(232)과 제2 경사홈(233)의 내부에서 서로 간의 간섭이 없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 : 압착기 20 : 실린더
21 : 로드 30 : 제어부
100 : 본체부 110 : 개방홀
111 : 회전축부 112 : 잠금부
200 : 제1 압착날
210 : 고정 가압부
211 : 제1 지지부
212 : 제1 사선홈
213 : 제1 경사홈
220 : 고정 보조부
221 : 제1 사선형 가이드홈
222 : 제1 경사형 가이드홈
230 : 이동 가압부
231 : 제2 지지부
232 : 제2 사선홈
233 : 제2 경사홈
240 : 이동 보조부
241 : 제2 사선형 가이드홈
242 : 제2 경사형 가이드홈
300 : 제2 압착날
310 : 제1 수평 가압부
320 : 제2 수평 가압부
311, 321 : 돌출 가이드
400 : 제3 압착날
410 : 제1 경사 가압부
420 : 제2 경사 가압부
411, 421 : 보조 가이드

Claims (4)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일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개방홀(110)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으로 압착기(10)의 로드(21)가 진입하는 진입홀이 일측 말단에 형성되되, 몸체의 일부가 다른 일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형태로 축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에 회전축부(111)가 구비되고, 타측에 잠금부(112)가 구비되는 본체부(100);
    상기 진입홀을 통해 로드(21)가 진입하는 거리에 따라 상기 개방홀(110)을 통해 내입된 압착단자를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벌의 제1 압착날(200);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과 하방에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및,
    상기 제1 압착날(200)과 연동화된 상태로 상기 압착단자를 제1 압착날(200)과 교차되는 다른 사선 방향으로 압착하여 그 압착단자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한 좌우측 사선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벌의 제1 압착날(200)은,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1 지지부(211),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사선홈(212)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중 어느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1 경사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가압부(210);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의 돌출 가이드(311)가 내입되는 제1 사선형 가이드홈(221)이 제1 사선홈(21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의 보조 가이드(411)가 내입되는 제1 경사형 가이드홈(222)이 제1 경사홈(213)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보조부(220);
    사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착단자의 상부 또는 하부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는 사선형의 제2 지지부(231),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사선홈(232)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 중 다른 하나가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사선형의 제2 경사홈(2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가압부(210)와 대칭되는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21)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가압부(230); 및,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된 제2 압착날(300)의 돌출 가이드(321)가 내입되는 제2 사선형 가이드홈(241)이 제2 사선홈(232)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된 제3 압착날(400)의 보조 가이드(421)가 내입되는 제2 경사형 가이드홈(242)이 제2 경사홈(233)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압부(230)와 나란한 형태로 상기 중공의 타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로드(21)가 인출되는 거리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 보조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회전축부(111)와 상기 잠금부(112)가 서로 비대칭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112)는,
    상기 본체부(100)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홀과 상기 본체부(100) 몸체의 다른 일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다른 고정홀이 일렬로 정렬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일렬로 정렬된 상기 복수 개의 고정홀 및 복수 개의 다른 고정홀 모두에 고정축이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축 외주연의 일측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축에 대응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말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압착날(300)은,
    상기 제1 사선홈(212)에 내입된 상태로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를 상방 또는 하방에서 압착하여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3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수평 가압부(310); 및,
    상기 제2 사선홈(232)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의 하방 또는 상방에 다른 하나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홈(233)에 삽입되는 돌출 가이드(32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수평 가압부(3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3 압착날(400)은,
    상기 제1 경사홈(213)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되, 상기 압착단자의 일측을 지지하며 압착에 의한 사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경사홈(213)에 삽입되는 보조 가이드(41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경사 가압부(410); 및,
    상기 제2 경사홈(233)에 내입되어 그 내부에서 사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압착단자의 타측에 압착에 의한 다른 사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홈에 삽입되는 보조 가이드(421)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경사 가압부(4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KR1020210089622A 2021-07-08 2021-07-08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KR102341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22A KR102341761B1 (ko) 2021-07-08 2021-07-08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622A KR102341761B1 (ko) 2021-07-08 2021-07-08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761B1 true KR102341761B1 (ko) 2021-12-20

Family

ID=7903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622A KR102341761B1 (ko) 2021-07-08 2021-07-08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7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35Y1 (ko) 2004-10-29 2005-01-14 장근선 전선 퓨즈 압착기
KR100922292B1 (ko) 2007-10-26 2009-10-15 정효진 전선 압착단자 가압용 다이스
KR20170098943A (ko) * 2015-01-07 2017-08-30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전력 케이블, 또는 스트랜드 섹션의 단절을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디바이스 및 절단 디바이스
KR102115883B1 (ko) 2020-01-07 2020-05-27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35Y1 (ko) 2004-10-29 2005-01-14 장근선 전선 퓨즈 압착기
KR100922292B1 (ko) 2007-10-26 2009-10-15 정효진 전선 압착단자 가압용 다이스
KR20170098943A (ko) * 2015-01-07 2017-08-30 구스타프 클라우케 지엠비에이치 전력 케이블, 또는 스트랜드 섹션의 단절을 위한 방법, 이를 위한 디바이스 및 절단 디바이스
KR102115883B1 (ko) 2020-01-07 2020-05-27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4431B2 (en) Press bond terminal
CN101258651B (zh) 双压接工具
US6227030B1 (en) Electrical connector crimping die with over-crimp prevention surface and method
US8905799B2 (en) Press bond terminal
WO2021141313A1 (ko)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CN105556768B (zh) 用于端子压接机的压接工具
KR20110010565A (ko) 압착 단자 피팅, 압착 단자 피팅의 제조 방법 및 단자 피팅을 구비한 전선
KR102341761B1 (ko) 개방 구조를 가진 압착 헤드
US5898131A (en) Twisted H-shaped electrical connector
CN105008632A (zh) 利用液压力把钢筋耦合的装置
CN103296493B (zh) 端子配件
US5007280A (en) Tool head for use in crimping electrical connectors
JP2013196921A (ja) 圧着端子付き電線、および圧着端子を電線に圧着する方法
US20130098134A1 (en) Method for shaping electric wire end and mold for shaping electric wire end
JP3426742B2 (ja) 圧着端子と電線の圧着構造及び圧着工具
KR20210026442A (ko) 전선 직선연결장치
US5277050A (en) Electrical connector crimping tool
CN210092541U (zh) 分线机构
US9276368B2 (en) Tool for crimping a connector
JP3070389B2 (ja) 圧着金型構造
CA2061180C (en) Multipoint contact compression connector
JP6520338B2 (ja) 圧縮器
KR102256748B1 (ko) 압착 단자용 다이스
SE0200081D0 (sv) Sätt att förena ett kontaktdon med en flertrådig ledares ena ändparti och ett pressverktyg anpassat härför
CN201601229U (zh) 导线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