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442A - 전선 직선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직선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442A
KR20210026442A KR1020190107229A KR20190107229A KR20210026442A KR 20210026442 A KR20210026442 A KR 20210026442A KR 1020190107229 A KR1020190107229 A KR 1020190107229A KR 20190107229 A KR20190107229 A KR 20190107229A KR 20210026442 A KR20210026442 A KR 20210026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ner diameter
connection device
outer diameter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식
김상봉
오기대
김영성
이병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0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6442A/ko
Publication of KR20210026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직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구되는 내부홀을 구비하고, 원통 형상이며,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내부홀의 중간부에 일정 구간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내경 균일 압착부와 상기 내경 균일 압착부와 연결되며 양단 방향으로 일정 구간 내경을 증가시켜 형성한 내경 증가 압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압착시 강한 압착력으로 전선과 직선연결장치가 빠지지 않도록 하고 전선의 과압축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선로의 안전 신뢰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선 직선연결장치{WIRE STRAIGHT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 직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 상태의 전선을 직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활선)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이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배전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기구를 사용하여 전선에 접촉하지 않고 작업하는 간접 활선을 본격운영하고 있다.
한편, 배전선로의 전선과 전선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접속 개소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접속하는데, 이는 압착도구를 사용하여 전선과 전선을 접속한 슬리브를 압착하는 외부 압착, 슬리브에 볼트를 조이거나 쐐기 등을 이용하여 조이는 조임 방법으로 작업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슬리브의 외부 압착 및 볼트나 쐐기를 이용한 조임 방법은 과압축 또는 부분 과압축으로 인해 전선이 손상되어 강도가 저하되거나 강도 발현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원통 형상의 슬리브를 적용하는 경우 압착이 부족하여 전선이 슬리브에서 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09787호(1998.04.30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시 전선의 과도한 압축을 줄여 전선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선을 지지하는 강도를 향상시키며, 전선 빠짐 현상이 방지되는 구조의전선 직선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구되는 내부홀을 구비하고, 원통 형상이며,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내부홀의 중간부에 일정 구간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내경 균일 압착부와 상기 내경 균일 압착부와 연결되며 양단 방향으로 일정 구간 내경을 증가시켜 형성한 내경 증가 압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경 균일 압착부와 상기 내경 증가 압착부의 길이는 대응된다.
전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내부홀은 입구에 내경 확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내부홀은 길이방향 중앙이 분리턱에 의해 막혀있다.
상기 분리턱을 기준으로 양측 내부홀에 전선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전선 고정부를 형성한다.
상기 전선 고정부는 상기 내경 균일 압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분리턱 방향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내경 축소부와 상기 내경 축소부에 연결되고 상기 분리턱 방향으로 내경이 전선 직격에 대응되는 직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경 균일 압착부 및 상기 내경 증가 압착부는 상기 분리턱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경 증가 압착부에 압착시 마찰력 증가를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경 증가 압착부를 상기 몸체의 외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는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 구간 양단 방향으로 외경을 감소시켜 형성한 외경 축소 압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구리, 구리합금, 알루미늄 재질, 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직선연결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하고 전선을 삽입하는 내부홀의 내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인장강도 증가에 영향을 주는 내경 균일 압착부와 내경 증가 압착부를 구성하여, 내경 균일 압착부가 압착시 강한 압착력으로 전선과 직선연결장치가 빠지지 않도록 하여 전선 인장강도의 95% 이상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발현하도록 하고, 내경 증가 압착부가 전선의 과압축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전선 직선연결장치로 연결한 전선에 비해 장기강도(피로파괴강도)가 높게 함으로써 선로의 안전 신뢰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직선연결장치는 몸체의 양단 내부홀에 각각 전선을 삽입하고, 몸체를 압착시 상기 내경 증가 압착부의 압축률 감소원리를 외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내부홀의 내경은 동일하게 형성하고 외경에 일정 구간 양단 방향으로 외경을 감소시킨 외경 축소 압착부를 형성하여 전선의 과압축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직선연결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직선연결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직선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와 같이 전선을 연결한 전선 직선연결장치를 압착기로 압착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직선연결장치에 대한 인장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기존의 전선 직선연결장치와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직선연결장치의 인장시험을 수행한 결과로 (a)58sq 파괴형상, (b)95sq 파괴형상, (c)160sq 파괴형상을 보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전선 직선연결장치(100)(이하 '직선연결장치')는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구되는 내부홀(120)을 구비하고, 원통 형상이며,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몸체(110)를 포함한다.
직선연결장치(100)는 배전선로 및 설비의 유지관리 작업을 무정전 상태에서 하기 위한 것이며, 활선 상태의 전선의 우회작업(By-pass)을 위하여 전선의 일부를 절단하고 다시 직선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직선연결장치(100)는 배전선로의 두 전선의 피복을 제거한 도체부를 내부홀(120)에 삽입하고 압착하여 두 전선을 연결한다. 두 전선을 전기가 통할 수 있게 연결하는 직선연결장치(100)는 전선 자체의 인장강도 이상에도 견딜 수 있고 압착시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된다.
직선연결장치(100)의 성능은 내부홀(120)에 전선을 삽입하여 압착하고 인장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전선 인장강도의 95% 이상의 하중에도 전선이 빠지거나, 전선이 끊어지거나, 직선연결장치(100)가 끊어지거나 하지 않아야 한다. 전선이 빠지는 경우는 직선연결장치(100)의 압착 상태가 부족한 경우이고, 전선이 끊어지는 경우는 직선연결장치(100)의 압착이 과다하여 전선이 눌려 단면이 축소되고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이며, 직선연결장치가 끊어지는 경우는 직선연결장치의 단면이 부족하거나 손상이 있어 강도 발현이 되지 않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직선연결장치(100)는 전선을 연결하여 전선이 인장하중을 받는 조건에서 전선 인장강도의 95% 이상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으면서, 전선을 삽입하여 압착기로 압착시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된다.
전선을 직선연결장치(100)로 연결하여 전선 인장강도의 95% 이상의 하중에 견디려면 전선을 구성하는 재료가 균일하게 하중을 부담하여 전선 인장강도의 95% 이상의 목표 하중이 되어도 인장강도 저하현상이 없어야 한다. 직선연결장치(100)의 강도저하 현상은 외부 압착시 전선 구성 재료의 과압축에 의한 전선 단면 축소로 조기 파괴되거나 부압착에 의한 마찰력 저하로 인한 전선 빠짐 현상 등이 나타나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이며,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몸체(110)를 포함하고, 몸체(110)에 전선을 삽입하는 내부홀(120)을 아래와 같이 형성한다.
몸체(110)는 양질의 전기를 송전할 수 있도록 전기적 접속을 고려하여 도전성이 높은 구리, 구리합금, 알루미늄 재질, 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연결장치(100)는 원통 형상이며,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몸체(110)를 포함한다. 몸체(110)의 외경과 내부홀(120)의 내경 형상은 외부 압착시 압축률 감소 효과를 발현하여 전선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형상이다.
내부홀(120)은 내경 균일 압착부(121), 내경 증가 압착부(123), 내경 확장부(125), 전선 고정부(127) 및 분리턱(129)을 포함한다.
내경 균일 압착부(121)는 내부홀(120)의 중간부에 일정 구간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부분이다. 내경 균일 압착부(121)는 압착시 강한 압착력으로 전선을 압착하여 전선이 직선연결장치(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내경 증가 압착부(123)는 내경 균일 압착부(121)와 연결되며 양단 방향으로 일정 구간 내경을 증가시켜 형성한 부분이다. 내경 증가 압착부(123)는 압착시 전선의 과도한 압착을 줄여줌으써 전선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내경 균일 압착부(121)와 내경 증가 압착부(123)의 길이는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경 증가 압착부(123)에는 압착시 마찰력 증가를 위한 미세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내경 확장부(125)는 전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내부홀(120)의 입구에 형성한 부분이다. 내경 확장부(125)는 내부홀(120)의 양 끝단을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선을 삽입할 때 전선이 원활하게 내부홀(120)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전선 고정부(127)는 내부홀(120)에 전선을 삽입하면 전선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전선의 직경과 내부홀(120)의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부분을 포함한다.
전선 고정부(127)는 내경 축소부(127a)와 직선부(127b)로 구분할 수 있다. 내경 축소부(127a)는 내경 균일 압착부(121)에 연결되며 후술할 분리턱(129) 방향으로 내경이 축소되어 전선이 직선부(127b)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직선부(127b)는 내경 축소부(127a)에 연결되고 분리턱(129) 방향으로 내경이 균일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선의 도체부의 직경에 대응된다.
내부홀(120)은 길이방향 중앙이 분리턱(129)에 의해 막혀있다. 내부홀(120)에서 중앙의 분리턱(129)은 내부홀(120)의 양단에서 전선이 동일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선(10,20)이 동일한 깊이로 삽입되어야 전선 자체의 인장강도를 견디는 힘이 균일하고 전선의 접속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분리턱(129)은 내부홀(120)의 길이방향 중앙을 막는 형상으로 형성되나 일부만 막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경 균일 압착부(121) 및 내경 증가 압착부(123)는 분리턱(129)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분리턱(129)을 기준으로 양쪽에 직선부(127b), 내경 축소부(127a), 내경 균일 압착부(121), 내경 증가 압착부(123) 및 내경 확장부(125)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대칭된다.
상술한 직선연결장치(100)는 몸체(110)의 양단 내부홀(120)에 각각 전선(10,20)의 도체부(11,21)를 삽입하고, 몸체(110)를 압착하여 양단 내부홀(120)에 삽입된 전선(10,20)을 고정한다.
직선연결장치(100)는 원통 형상으로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하고 전선을 삽입하는 내부홀(120)의 내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간부에 일정 구간은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내경 균일 압착부(121)를 두어 압착후 강한 압착력으로 전선(10,20)이 직선연결장치(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내경 균일 압착부(121)에 연결되어 양단 방향으로 내경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형성한 내경 증가 압착부(123)를 추가로 형성하여 전선의 과도한 압착을 줄여줌으로써 전선의 손상을 작게 함으로써 강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선연결장치를 이용하여 두 전선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20)은 직선연결장치(100)의 양단을 통해 내부홀(120)에 삽입되고 서로 연결된다.
예컨데, 직선연결장치(100)의 몸체(110)를 1번 작업자가 핸드스틱(미도시) 등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2번 작업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두 전선(10,20) 중 한 전선(20)의 일단을 피복한 도체부(21)를 몸체(110)의 일단 내부홀(120)에 삽입한다.
이때, 전선(20)의 도체부(21)는 내경 확장부(125)를 통해 원활하게 내부홀(120)로 유도될 수 있으며, 내경 증가 압착부(123)를 통해 내경 균일 압착부(121)까지 삽입된 후, 전선 고정부(127)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전선 고정부(127)에서 전선(20)의 도체부(21)는 내경 축소부(127a)를 통해 안내되어 도체부(21)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직선부(127b)에 끼워지므로 자연스럽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즉, 내부홀(120)이 내경 확장부(125), 내경 증가 압착부(123), 내경 균일 압착부(121), 내경 축소부(127a), 직선부(127b)의 순서로 내경이 작아지고, 내경이 작아지는 부분은 경사로 연결되므로 전선(20)의 도체부(21)를 직선부(127b)까지 원활하게 삽입하여 끼움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내부홀(120)의 중앙에 분리턱(129)이 있어 도체부(21)가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두 전선(10,20) 중 한 전선(20)의 일단을 피복한 도체부(21)를 몸체(110)의 일단 내부홀(120)에 삽입하면, 2번 작업자가 대기한 상태에서 3번 작업자가 전선(20)이 삽입된 몸체(110)의 외경을 압착기 헤드(200)로 가압한다. 그 방법은 압착기 헤드(200)가 몸체(110)의 외경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압착기 헤드(200)와 연결된 스틱의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압착기 헤드(200)가 몸체(110)의 외경을 압착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압착기 헤드(200)는 도 5에 도시된 형상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압착기 헤드(200)를 채용할 수 있다.
전선(20)이 삽입된 몸체(110)의 외경을 압착기 헤드(200)로 압착하여 압착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2번 작업자가 다른 한 전선(10)의 일단을 피복한 도체부(11)를 몸체(110)의 타단 내부홀(120)에 삽입한다.
이 과정에서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홀(120)이 내경 확장부(125), 내경 증가 압착부(123), 내경 균일 압착부(121), 내경 축소부(127a), 직선부(127b)의 순서로 내경이 작아지고, 내경이 작아지는 부분은 경사로 연결되므로 전선(20)의 도체부(21)를 직선부(127b)까지 원활하게 삽입하여 끼움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두 전선(10,20) 중 다른 한 전선(10)의 일단을 피복한 도체부(11)를 몸체(110)의 타단 내부홀(120)에 삽입하면, 2번 작업자가 대기한 상태에서 다시 3번 작업자가 전선(10)이 삽입된 몸체(110)의 외경을 압착기 헤드(200)로 가압한다.
그 방법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압착기 헤드(200)가 몸체(110)의 외경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압착기 헤드(200)와 연결된 스틱의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압착기 헤드(200)가 몸체(110)의 외경을 압착하도록 한다.
위 실시예에서는, 두 전선(10,20) 중 한 전선(20)의 도체부(21)를 몸체(110)의 일단 내부홀(120)에 삽입하고 압착한 다음, 다른 한 전선(10)의 도체부(11)를 몸체(110)의 타단 내부홀(120)에 삽입하고 압착하는 순서로 두 전선(10,20)을 직선 연결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직선연결장치(100)의 양단 내부홀(120)에 각각 전선(10,20)의 도체부(11,21)를 삽입한 상태에서 몸체(110)의 외경을 압착기 헤드(200)로 가압하여 압착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압착기 헤드(200)가 전선(20)이 삽입된 몸체(110)의 외경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서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몸체(110)의 외경을 압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압착기 헤드(200)는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몸체(110)의 외경을 수회 압착하여 몸체(110)의 외경에 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직선연결장치(100)는 내부홀(120)에 내부의 일정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내경을 증가시킨 테이퍼 형상의 내경 증가 압착부(123)에 의해, 전선(10,20)의 과압축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고, 전체 길이에 대해 내경이 균일한 종래의 직선연결장치에 비해 인장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내부홀(120)이 내경 균일 압착부(121), 내경 증가 압착부(123), 내경 확장부(125), 전선 고정부(127) 및 분리턱(129)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 인장강도 증가에 영향을 주는 내경 균일 압착부(121)와 내경 증가 압착부(123)로만 본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험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직선연결장치(100)는 원통 형상으로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하고 전선을 삽입하는 내부홀(120)의 내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중간부에 일정 구간은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내경 균일 압착부(121)를 두고, 내경 균일 압착부(121)에 연결되어 양단 방향으로 내경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형성한 내경 증가 압착부(123)를 구성하였다.
또한, 직선연결장치(100)는 양 끝단에 깔대기 형상의 내경 확장부(125)를 두고, 내경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분리턱(129)을 형성하며, 분리턱(129)의 기준으로 양쪽에 전선의 직경에 대응되는 전선 고정부(127)를 두어 전선(10,2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압착하고 상기한 구성요소를 적용한 직선연결장치에 대한 인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존의 전선 직선연결장치의 인장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도 6에 도시하였다.
기존의 전선 직선연결장치는 원통 형상으로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하고, 전선을 삽입하는 내부홀의 내경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적용한 직선연결장치(b)의 인장강도(파괴강도)가 기존의 전선 직선연결장치(a)의 인장강도에 비해 강도가 460kgf 증가하였다. 즉, 인장강도가 25%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과 같이 내부홀에 내경 균일 압착부(121)와 내경 증가 압착부(123)를 구성하는 것에서 기존 직선연결장치 대비 25% 정도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직선연결장치의 인장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7에는 표 1과 같이 인장시험을 수행한 결과, (a)58sq 파괴형상, (b)95sq 파괴형상, (c)160sq 파괴형상을 보인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대상전선 치수(mm) 압착
방향
다이스 압축률
(%)
압착
횟수
시험결과
(kgf)
하중률
(%)
파괴형상
외경 내경 길이 형상 형번
58 00.0 00.0 290 S 원형 U249 28 12 2022 106.4 슬리브
파단
95 00.0 00.0 450 S 원형 UD3 27 12 2422 102.6 강심/
소선파단
160 00.0 00.0 450 S 원형 UD3 23 12 3057 99.2 강심/
소선파단
표 1 및 도 7에 의하면, 대상 전선 58sq는 인장강도에 대한 하중률 106.4%에서 슬리브(몸체)가 파단되고, 대상 전선 95sq는 인장강도에 대한 하중률 102.6%에서 전선의 강심과 소선이 파단되었으며, 대상 전선 160sq는 인장강도에 대한 하중률 99.2%에서 전선의 강심과 소선이 파단되었다.
위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전선 인장강도에 대한 하중율 95% 이상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직선연결장치는 강한 압착력으로 전선과 직선연결장치가 빠지지 않도록 하여 전선 인장강도의 95% 이상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발현하며, 전선의 과압축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기존의 전선 직선연결장치로 연결한 전선에 비해 장기강도(피로파괴강도)가 낮게 됨으로써 선로의 안전 신뢰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직선연결장치는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구되는 내부홀을 구비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외경에 형성되며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 구간 양단 방향으로 외경을 감소시켜 형성한 외경 축소 압착부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외경 축소 압착부는 실시예의 내경 증가 압착부의 압축률 감소원리를 몸체의 외경에 적용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홀의 내경은 균일하게 형성하고, 몸체의 외경에는 일정 구간 양단 방향으로 외경을 감소시켜 형상한 외경 축소 압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몸체의 외경에 일정 구간 양단 방향으로 외경을 감소시켜 형성한 외경 축소 압착부를 형성하고, 내부홀에 내경 균일 압착부와 내경 증가 압착부를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몸체의 외경에 외경 축소 압착부를 형성하고, 내부홀에 내경 균일 압착부와 내경 확장부 및 전선 고정부를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전선 직선연결장치 110: 몸체
120: 내부홀 121: 내경 균일 압착부
123: 내경 증가 압착부 125: 내경 확장부
127: 전선 고정부 127a: 내경 축소부
127b: 직선부 129: 분리턱
10,20: 전선 11,21: 도체부
200: 압착기 헤드(또는 압착다이스)

Claims (15)

  1.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구되는 내부홀을 구비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상기 내부홀의 중간부에 일정 구간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내경 균일 압착부; 및
    상기 내경 균일 압착부와 연결되며 양단 방향으로 일정 구간 내경을 증가시켜 형성한 내경 증가 압착부;
    를 포함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경 균일 압착부와 상기 내경 증가 압착부의 길이는 대응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내부홀은 입구에 내경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홀은 길이방향 중앙이 분리턱에 의해 막혀있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리턱을 기준으로 양측 내부홀에 전선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전선 고정부를 형성한 전선 직선연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부는
    상기 내경 균일 압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분리턱 방향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내경 축소부; 및
    상기 내경 축소부에 연결되고 상기 분리턱 방향으로 내경이 전선 직격에 대응되는 직선부;
    를 포함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경 균일 압착부 및 상기 내경 증가 압착부는 상기 분리턱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경 증가 압착부에 압착시 마찰력 증가를 위한 요철이 형성된 전선 직선연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 구간 양단 방향으로 외경을 감소시켜 형성한 외경 축소 압착부가 형성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구리, 구리합금, 알루미늄 재질, 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12.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구되는 내부홀을 구비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상기 내부홀에 양단 방향으로 일정 구간 내경을 증가시켜 형성한 내경 증가 압착부;
    를 포함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 구간 양단 방향으로 외경을 감소시켜 형성한 외경 축소 압착부가 형성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14. 전선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개구되는 내부홀을 구비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경에 형성되며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 구간 양단 방향으로 외경을 감소시켜 형성한 외경 축소 압착부;
    를 포함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내부홀의 중간부에 일정 구간 내경을 동일하게 형성한 내경 균일 압착부를 포함하는 전선 직선연결장치.
KR1020190107229A 2019-08-30 2019-08-30 전선 직선연결장치 KR20210026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29A KR20210026442A (ko) 2019-08-30 2019-08-30 전선 직선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29A KR20210026442A (ko) 2019-08-30 2019-08-30 전선 직선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442A true KR20210026442A (ko) 2021-03-10

Family

ID=7514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229A KR20210026442A (ko) 2019-08-30 2019-08-30 전선 직선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64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742B1 (ko) * 2021-09-06 2022-03-08 최홍림 전선연결용 슬리브
KR20230087057A (ko) 2021-12-09 2023-06-16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쐐기형 슬리브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87A (ko) 1996-07-25 1998-04-30 와다 아키히로 디젤 엔진용 미립자 트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87A (ko) 1996-07-25 1998-04-30 와다 아키히로 디젤 엔진용 미립자 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742B1 (ko) * 2021-09-06 2022-03-08 최홍림 전선연결용 슬리브
KR20230087057A (ko) 2021-12-09 2023-06-16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쐐기형 슬리브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8489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luminum conductor composite core (ACCC) cable
US6805596B2 (en) Compression formed connector for a composite conductor assembly used in transmission line installation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2802257A (en) Method of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US7414199B2 (en) Joined cable assembly
CA2060691C (en) Full closure h-shaped connector
KR20210026442A (ko) 전선 직선연결장치
US4890384A (en) Method of crimping an electrical connection
JP6853941B2 (ja) 圧縮接続部材の組立部品、送電線の圧縮接続構造、及び圧縮接続部材の施工方法
US6552271B2 (en) Electrical compression connector
CA2009988C (en) Electrical connector
CN101442175A (zh) 导线和电缆压接钳
US4976132A (en) Dies for crimping an electrical connection
US6486403B1 (en) Electrical compression connector
JP4976230B2 (ja) スリーブを用いた電線の接続方法
US11677203B2 (en) Decagon compression die
JPH10322828A (ja) 既設架空送電線における圧縮接続部の補修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圧縮形接続管
US10873139B2 (en) Bolted controlled grips
CN107528189B (zh) 一种适用于大截面碳纤维复合芯导线的压接方法
KR102597356B1 (ko)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
CN207368402U (zh) 端子套管接线辅助工装及电缆导体整形工装
JP5462394B2 (ja) 圧縮スリーブを用いた電線の接続方法及び当該圧縮スリーブ
CN107910670B (zh) 一种低压导线断线连接器
CN211907735U (zh) 一种免压线鼻
EP0499141A2 (en) Multipoint contact compression connector
CA246028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ends of wire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