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356B1 -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 - Google Patents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356B1
KR102597356B1 KR1020180114792A KR20180114792A KR102597356B1 KR 102597356 B1 KR102597356 B1 KR 102597356B1 KR 1020180114792 A KR1020180114792 A KR 1020180114792A KR 20180114792 A KR20180114792 A KR 20180114792A KR 102597356 B1 KR102597356 B1 KR 10259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conductor connection
connection pip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583A (ko
Inventor
박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1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3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8Power-driven hand crim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는, 접속관에 삽입된 도체에 접속되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로서, 상기 접속관에 천공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양분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STRUCTURE FOR CONNECTING CONDUCTOR AND PRESSURE DEVICE THEREOR}
본 발명은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 방식을 이용하되 접속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도체를 압착함으로써 도체 케이블의 접속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시공하는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장치가 필요하다. 접속장치는 도체를 연결하고 절연체로 도체를 감싸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체 접속 방식은 전도체인 알루미늄 관으로 도체 연결부를 겹쳐 감싸고 알루미늄 관을 압착하여 도체를 구조 및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압착 접속 방식은 도체의 강성이 약한 재질을 사용할 경우에, 압착으로 인해 도체 부분도 변형되어 단면적이 줄어들거나 절단되어 구조적으로 약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압착 방식은 전기적으로 저항이 커져서 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불량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압착 접속 방식의 접속 불량은 구리 대신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한 지중케이블을 활용하기 때문에 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압착 접속 방식을 대체하는 볼트 타입 접속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볼트 타입 접속 방식은 전기 도체의 관에 나사가 가공된 홀이 같은 면에 길이 방향으로 2개 이상 천공되어 도체를 관 양쪽에 끼우고 홀에 볼트를 끼워 각 도체를 나사의 힘으로 눌러서 구조/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더욱이, 토크 쉬어볼트 타입 접속 방식은 도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적당한 힘으로 눌러서 구조적인 인장력에 문제가 없고 전기적으로도 저항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토크 쉬어볼트 타입 접속 방식은 적절한 조임정도를 볼트에 가공한 단면적의 차이를 이용한 위치에서 최적의 조임시 자동으로 절단되는 방식이다.
또한, 토크 쉬어볼트 타입 접속 방식은 볼트의 선단 도체를 압착하는 부분에 볼트와 같이 회전하지 않는 미끄럼판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는 볼트의 앞부분이 도체를 누르기 위하여 볼트를 회전시킬 때, 볼트와 같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도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런데, 토크 쉬어볼트 타입 접속 방식은 볼트의 회전력를 이용하여 도체를 누르기 때문에, 압착된 도체 부분이 회전식 또는 SICON 방식의 마찰 없이 누르기만 해도 부분적인 손상이 불가피하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은 볼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스패너를 이용하여 회전시켜야 하므로 인력에 의한 힘이 필요하다. 또한, 도체연결부는 케이블의 중간에서 케이블만으로 지지되어 조임시 반력을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따로 접속부를 지지하는 장치가 있어야 하므로 조임 작업이 복잡하다는 한계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989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2576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압착 방식을 이용하되 접속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도체를 압착함으로써 도체 케이블의 접속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용 구조체는, 접속관에 삽입된 단면이 원형인 도체 케이블의 도체에 접속되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로서, 상기 접속관에 천공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양분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몸체는, 몸체 상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몸체 하부면이 상기 도체의 표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몸체의 수평 방향 단면인 원의 지름을 지나가고, 상기 몸체 하부면부터 상기 몸체 상부면 아래의 소정 지점까지 양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몸체 상부면 아래의 소정 지점은, 상기 관통홀의 형상과 상기 절개부의 벌어짐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형상은, 상기 접속관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벌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몸체 상부면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도체의 폭 방향으로 벌어져 쐐기 형태의 틈새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몸체 하부면에 형성된 곡면의 단면은, 상기 도체의 단면보다 같거나 큰 원호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몸체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의 연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에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발생된 힘을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재; 상기 힘 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누르는 힘이 전달될 때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는, 접속관에 삽입된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관에 천공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양분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힘 전달부재는,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에 누르는 힘을 전달하기 용이한 돌출형 구조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가 삽입되는 중앙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착 방식을 이용하되 접속관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도체를 압착함으로써 도체 케이블의 접속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크 렌치를 이용하여 조이지 않으므로 좁은 공간에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체 단면이 크면, 토크렌치를 조이기 위해 접속관을 고정시켜야 하나 접속관을 따로 고정시키지 않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도체 단면을 넓은 면적으로 누르므로 단면 손상이 최소화되어 전기적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가 삽입된 접속관에 도체 접속용 구조체를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에서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형상 변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체 접속용 구조체가 삽입되기 이전 접속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가 삽입된 이후 접속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가 삽입된 접속관에 도체 접속용 구조체를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형상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수평 방향으로 도체(3)가 삽입된 접속관(1)에 수직 방향으로 천공된 관통홀(2)을 통해 삽입된다.
이러한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볼트 타입이 아닌 압착 타입으로 도체(3)에 접속되되, 접속관(1)의 외부에서 압착되는 것이 아니라 관통홀(2)에 삽입된 상태로 압착된다.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나사선이 가공되어 있는 원통형의 몸체(11)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접속관(1)의 관통홀(2)은 나사선이 가공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몸체(11)는 편의상 원통형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일 수도 있다.
그리고,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몸체 상부면(11a)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개부가 벌어질 때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몸체 하부면(11b)에 형성된 곡면의 단면은 도체(3)의 단면보다 같거나 큰 원호를 가진다.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의 몸체 하부면(11b)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은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의 몸체 상부면(11a)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도체 접속용 구조체(10)가 도체(3)를 누를 때 도체(3)의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그런데,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원통형으로 몸체(11)를 형성하므로, 접속관(1)의 관통홀(2)에 누르는 힘(즉, 압착력)에 의해 삽입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거나 케이블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 반대 방향의 힘에 의해 쉽게 빠져나올 수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몸체(11)를 수직 방향으로 양분시키는 절개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절개부(11c)는 몸체(11)의 수평 방향 단면인 원의 지름을 지나가고, 몸체(11)를 완전히 양분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 하부면(11b)에서 몸체 상부면(11a) 아래의 소정 지점(예를 들어, 1/3, 1/4 지점)까지 양분한다.
구체적으로, 절개부(11c)는 몸체 상부면(11a)에 압력이 가해지면, 몸체 하부면(11b)이 도체(3)를 누르는 힘의 작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양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의 몸체(11)는 접속관(1)의 관통홀(2)에 삽입하기 전 사각형 형태이나, 접속관(1)의 관통홀(2)에 삽입된 후 몸체 측면이 소정의 각도(θ°)로 벌어져 사다리꼴 형태로 변형된다. 다시 말해, 절개부(11c)는 몸체(1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몸체(11)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이때, 몸체(11)는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형상 변형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변형이 용이한 재질(예, 구리, 알루미늄 등)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1)의 변형된 형상(즉, 사다리꼴)은 접속관(1)에 형성된 관통홀(2)의 형상에 대응된다. 즉, 접속관(1)에 형성된 관통홀(2)은 접속관(1)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벌어지는 형태를 나타낸다(후술할 도 3 참조).
이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10)가 접속관(1)의 관통홀(2)에 삽입되어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접속관(1)에 형성된 관통홀(2)에 더욱 밀착된다(후술할 도 4 참조). 이로써,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접속관(1)의 관통홀(2)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는다.
또한, 몸체 상부면(11a) 아래의 소정 지점 즉, 절개부(11c)의 끝점은 관통홀(2)의 형상과 절개부(11c)의 벌어짐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1)에 형성된 나사선은 접속관(1)의 관통홀(2)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관통홀(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데 도움을 준다.
도 3은 도체 접속용 구조체가 삽입되기 이전 접속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가 삽입된 이후 접속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체(3)는 접속관(1)의 양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고, 접속관(1)의 상부에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관통홀(2)의 단면은 입구의 폭이 좁고, 접속관(1)의 중심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나타낸다(즉, w1<w2).
도 4를 참조하면,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접속관(1)의 관통홀(2)에 압착되어 들어가면서 도체(3)를 누르게 된다. 이때, 도체(3)는 원형 단면에서 타원형 단면으로 변형된다.
그러면,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몸체 하부면(11b)이 도체(3)를 누르는 힘의 작용에 대한 반작용에 의해 절개부(11c)가 좌우 방향으로 벌어져 쐐기 형태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때, 절개부(11c)는 도체(3)의 길이 방향이 아닌 폭 방향으로 벌어진다.
이와 같이,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관통홀(2)에 삽입되어 몸체 하부면(11b)이 벌어져 몸체 상부면(11a)보다 크게 되므로, 관통홀(2)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고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100)는, 접속관(1)의 관통홀(2)에 삽입된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에 누르는 힘을 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압착 장치(100)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에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는 본체(20), 본체(20)에서 발생된 힘을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재(30), 힘 전달부재(30)를 통해 본체(20)로부터 누르는 힘이 전달될 때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를 포함한다.
본체(20)는 힘을 발생시키는 구동모듈(미도시), 작업자의 휴대성을 제공하는 손잡이(21), 구동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 접속관(1)을 고정시키는 본체 지그(23)를 포함한다.
힘 전달부재(30)는 본체(20)의 구동모듈에 연결되어 지지부재(40)에 삽입된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에 누르는 힘을 전달하기 용이한 돌출형 구조를 구비한다. 힘 전달부재(30)는 접속관(1)과 도체(3)의 직경에 따라 크기가 정해진다.
지지부재(40)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10)가 삽입되는 중앙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40)의 중앙홈은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고, 힘 전달부재(30)의 돌출형 구조가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0)는 접속관(1)의 관통홀(2) 위치에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를 정렬시켜 도체 접속용 구조체(10)의 삽입이 용이한 상태를 만들어 준다.
그리고, 지지부재(40)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를 접속관(1)의 관통홀(2)에 삽입하는 작업 품질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즉,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지지부재(40)에 끼워 힘 전달부재(30)로 누르면, 포아송 효과(즉, 세로 방향으로 누르면, 가로 방향으로 벌어지는 효과)에 의해 지지부재(40) 안에 밀착된다. 이에,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는 힘 전달부재(30)에 의해 접속관(1)의 관통홀(2)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지지블록()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를 접속관(1)의 관통홀(2)에 완전히 삽입시켜서 작업을 종료하기 때문에 우수한 작업 품질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 지그(23)와 지지 블록()은 도체 접속용 구조체(10)를 접속관(1)의 관통홀(2)에 삽입할 때 접속관(1)이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준다. 이때, 본체 지그(23)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접속관(1)의 체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1 : 접속관 2 : 관통홀
3 : 도체 10 : 도체 접속용 구조체
11 : 몸체 11a : 몸체 상부면
11b : 몸체 하부면 11c : 절개부
20 : 본체 21 : 손잡이
22 : 배터리 23 : 본체 지그
30 : 힘 전달부재 40 : 지지부재
100 : 압착 장치

Claims (17)

  1. 접속관에 삽입된 단면이 원형인 도체 케이블의 도체에 접속되는 도체 접속용 구조체로서,
    상기 접속관에 천공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양분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몸체 상부면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도체의 폭 방향으로 벌어져 쐐기 형태의 틈새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몸체 상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체의 폭 방향으로 벌어져 쐐기 형태의 틈새가 형성됨에 따라 몸체 하부면이 상기 도체의 표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몸체의 수평 방향 단면인 원의 지름을 지나가고, 상기 몸체 하부면부터 상기 몸체 상부면 아래의 소정 지점까지 양분하는 것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
  9. 도체 접속용 구조체에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에서 발생된 힘을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에 전달하는 힘 전달부재;
    상기 힘 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누르는 힘이 전달될 때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는,
    접속관에 삽입된 단면이 원형인 도체 케이블의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관에 천공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몸체에 수직 방향으로 양분시키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몸체 상부면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도체의 폭 방향으로 벌어져 쐐기 형태의 틈새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는,
    몸체 상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체의 폭 방향으로 벌어져 쐐기 형태의 틈새가 형성됨에 따라 몸체 하부면이 상기 도체의 표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전달부재는,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에 누르는 힘을 전달하기 용이한 돌출형 구조를 구비하는 것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도체 접속용 구조체가 삽입되는 중앙홈이 형성되는 것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
  12. 삭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몸체의 수평 방향 단면인 원의 지름을 지나가고, 상기 몸체 하부면부터 상기 몸체 상부면 아래의 소정 지점까지 양분하는 것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면 아래의 소정 지점은,
    상기 관통홀의 형상과 상기 절개부의 벌어짐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형상은,
    상기 접속관의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벌어지는 형태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
  16. 삭제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하부면에 형성된 곡면의 단면은,
    상기 도체의 단면보다 같거나 큰 원호를 가지는 것인 도체 접속용 구조체의 압착 장치.
KR1020180114792A 2018-09-27 2018-09-27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 KR102597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92A KR102597356B1 (ko) 2018-09-27 2018-09-27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92A KR102597356B1 (ko) 2018-09-27 2018-09-27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583A KR20200035583A (ko) 2020-04-06
KR102597356B1 true KR102597356B1 (ko) 2023-11-06

Family

ID=7028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92A KR102597356B1 (ko) 2018-09-27 2018-09-27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3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09Y1 (ko) * 2001-11-05 2002-09-28 박경민 절개탄성용 볼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55U (ko) * 1995-06-29 1997-01-24 내전성 체결구
JP2010198968A (ja) 2009-02-26 2010-09-09 Furukawa Denko Sangyo Densen Kk 電線接続用具
JP2010257636A (ja) 2009-04-22 2010-11-11 Furukawa Denko Sangyo Densen Kk 電線接続用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509Y1 (ko) * 2001-11-05 2002-09-28 박경민 절개탄성용 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583A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8783B2 (en) Collet-type splice and dead end for use with an aluminum conductor composite core reinforced cable
US8047420B2 (en) Method for producing a welded joint between electrical conductors by means of an ultrasonic welding method
US9287673B2 (en)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s and methods and connections including same
US20060084327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luminum conductor composite core (ACCC) cable
US7207838B2 (en) Coaxial connectors
US7414199B2 (en) Joined cable assembly
KR100468289B1 (ko) 스트레인 릴리프 및 이를 적용한 공구
US10811858B2 (en) Dead-end sho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329401B2 (en) Electrical connection bails and stirrup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ame
CN108886240B (zh) 紧线器与利用所述紧线器的活线分配工具
KR102597356B1 (ko) 도체 접속용 구조체 및 이의 압착 장치
CN108011208A (zh) 带电接j型线夹操作杆工具和接分支引线的带电作业方法
CN1280716A (zh) 电气连接器
KR20210026442A (ko) 전선 직선연결장치
KR100760811B1 (ko) 쐐기를 이용한 케이블 도체의 접속체 및 그 접속방법
US10326215B1 (en) Pin aligning crimping fixture
CN110932164A (zh) 钢芯铝绞线剪断防炸股装置
US1746879A (en) Dead-end fixture for cables
US3783487A (en) Cable splice apparatus
CN112103679B (zh) 一种可调整安装方向导线线夹
US10873139B2 (en) Bolted controlled grips
KR20070020854A (ko) 케이블 필러
GB2151086A (en) Electrical cable tap connectors
US2484144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70063755A (ko) 가공 전력 배전을 위한 스틸 코아형 알루미늄 스트랜드를접속하는데 있어서 스틸 코아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