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742B1 - 전선연결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전선연결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742B1
KR102372742B1 KR1020210118342A KR20210118342A KR102372742B1 KR 102372742 B1 KR102372742 B1 KR 102372742B1 KR 1020210118342 A KR1020210118342 A KR 1020210118342A KR 20210118342 A KR20210118342 A KR 20210118342A KR 102372742 B1 KR102372742 B1 KR 102372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pace
inlet
press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림
조재국
백순봉
Original Assignee
최홍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림 filed Critical 최홍림
Priority to KR102021011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선의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전선의 내삽 정도를 직관적으로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입구와 제2 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중앙부 내면 둘레로부터 내부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리브 본체의 내부 공간은 상기 걸림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제1 입구까지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입구까지의 제2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슬리브 본체의 제1 내면부는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제1 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넓어지도록 제1 경사각의 제1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슬리브 본체의 제2 내면부는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제2 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넓어지도록 상기 제1 경사각의 제2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연결용 슬리브{Sleeve for connecting power lines}
본 발명은 전선연결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에서 점퍼선 등과 같은 두 전선 간을 접속하여 연결하기 위한 전선연결용 슬리브 및 그 제조 장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전선은 재질에 따라서는 알루미늄(AL) 또는 동(Cu)으로 되어 있고, 그 외부를 둘러싼 절연물(PE, XLPE 등)인 피복체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절연전선의 주전선과 주전선의 접속, 주전선에서 분기되는 분기전선과 주전선의 접속, 또는 점퍼선의 접속 등을 위해서는 일측 전선과 타측 전선의 절연물을 각각 접속에 필요한 만큼 탈피한 다음, 두 전선의 탈피된 도체 부분을 슬리브의 양단에 각각 삽입한 후, 압축기로 압축하여 접속을 시행하게 된다.
슬리브의 양단에 두 전선의 탈피된 도체 부분을 삽입할 때 배전선로의 특성상(설치 위치, 고압 등) 작업자가 일정거리 떨어져서 집게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삽입하되, 전선의 탈피된 도체 부분에 대응하는 일정 길이 정도만 삽입한 후, 압축기로 압축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슬리브는 그 구조 상 양단에 두 전선의 탈피된 도체 부분을 삽입하는 작업(과정)이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으며, 또한 전선의 탈피된 도체 부분에 대응하는 길이 정도만 내삽하면 되는데 그 정도를 가늠하기 어려워 (과도 삽입되거나 덜 삽입되는 등)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25000호(2004.03.2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선의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전선의 내삽 정도를 직관적으로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연결용 슬리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선연결용 슬리브는,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입구와 제2 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중앙부 내면 둘레로부터 내부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턱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리브 본체의 내부 공간은 상기 걸림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제1 입구까지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입구까지의 제2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슬리브 본체의 제1 내면부는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제1 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넓어지도록 제1 경사각의 제1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슬리브 본체의 제2 내면부는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제2 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넓어지도록 상기 제1 경사각의 제2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제1 경사각 보다 더 큰 제2 경사각을 가진 제3 경사면 및 제4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 중 상기 제1 경사면의 공간은 전선의 탈피된 도체 부분의 직경부터 상기 제1 경사각만큼 커진 직경 범위의 직경(테이퍼링 직경)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 중 상기 제2 경사면의 공간은 전선의 탈피된 도체 부분의 직경부터 상기 제1 경사각만큼 커진 직경 범위의 직경(테이퍼링 직경)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링 직경의 최대값은 상기 절연물이 피복된 전선의 직경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선연결용 슬리브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전선연결용 슬리브의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에 각각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제1 프레스 금형 및 제2 프레스 금형을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를 통해 상기 슬리브 본체 내로 각각 압입(예를 들어, 압인: Coining)하는 프레스 가공법을 사용하여 상기 전선연결용 슬리브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전선의 삽입 작업을 아주 쉽게 성공할 수 있고, 또한 전선의 내삽 정도를 직관적으로 쉽게 가늠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기존의 절삭 가공법이 아닌 새로운 기법 즉, 프레스 가공법을 적용하여 슬리브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대비 생산 속도 및 제품 수율이 향상되고 제품 단가는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용 슬리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종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용 슬리브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용 슬리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도 5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용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종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용 슬리브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선연결용 슬리브(1)는 슬리브 본체(10) 및 걸림턱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본체(10)는 일정 길이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에는 전선의 삽입구로서의 제1 입구(11)와 제2 입구(12)가 각각 형성된다.
걸림턱부(20)는 슬리브 본체(10)의 중앙부의 내면 둘레로부터 내부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된다.
슬리브 본체(10)의 내부에는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제1 및 제2 공간(30,40)이 걸림턱부(2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데, 제1 공간(30)은 걸림턱부(20)로부터 제1 입구(11)까지 형성되고, 제2 공간(40)은 걸림턱부(20)로부터 제2 입구(12)까지 형성된다.
제1 공간(30)은 슬리브 본체(10)의 제1 내면부(31)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고, 제1 내면부(31)는 제1 경사면으로 형성되되, 제1 경사면은 걸림턱부(20)로부터 제1 입구(11) 측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넓어지도록 하는 제1 경사각을 가진다.
제2 공간(40)은 슬리브 본체(10)의 제2 내면부(41)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고, 제2 내면부(41)는 제2 경사면으로 형성되되, 제2 경사면은 걸림턱부(20)로부터 제2 입구(12) 측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넓어지도록 하는 제1 경사각을 가진다.
제1 입구(11)는 제1 경사면(31)의 제1 경사각 보다 더 큰 제2 경사각을 가진 제3 경사면(11a)으로 형성되어 제1 입구(11)의 공간이 원형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2 입구(12)도 제2 경사면(41)의 제1 경사각 보다 더 큰 제2 경사각을 가진 제4 경사면(12a)으로 형성되어 제2 입구(12)의 공간이 원형 나팔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1 공간(30) 중 제1 경사면(31)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은 전선(2)의 절연물 피복(2a)이 탈피된 도체(2b) 부분의 직경(의 크기)을 최소 직경으로 하고 그 최소 직경부터 제1 경사각만큼 점점 커진 직경의 최대 직경까지의 범위의 직경(이하, 제1 테이퍼링 직경이라 칭함)을 갖는다.
또한, 제2 공간(30) 중 제2 경사면(41)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은 전선(2)의 절연물 피복(2a)이 탈피된 도체 부분(2b)의 직경(의 크기)을 최소 직경으로 갖고 그 최소 직경부터 제1 경사각만큼 점점 커진 직경의 최대 직경까지의 범위의 직경(이하, 제2 테이퍼링 직경이라 칭함)을 갖는다.
전술한 제1 및 제2 테이퍼링 직경의 최대값은 도체(2b)에 절연물(2a)이 피복된 전선(2)의 직경보다 작도록 한다.
슬리브(1)는 알루미늄(AL) 또는 동(Cu) 합금 등의 전기를 잘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두 전선의 접속 등을 위해 일측과 타측의 전선(2)의 절연물(2a)을 각각 접속에 필요한 만큼 탈피한 다음, 두 전선(2)의 탈피된 도체(2b) 부분을 슬리브(1)의 양단 입구(11,12)에 각각 삽입한 후, 압축기로 압축하여 접속을 시행하는데, 전선(2)을 삽입할 때 슬리브(1)의 양측 입구(11,12)가 원형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전선(2) 끝이 입구(11,12)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전선(2)이 입구(11,12)를 지나 슬리브(1) 내부의 공간(30,40)으로 삽입될 때도 해당 공간(30,40)이 테이퍼링 직경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선(2) 끝이 잘 안쪽으로 유도되면서 쉽게 삽입되도록 하며, 또한 전선(2)이 입구(11,12)를 지나 슬리브(1) 내부의 공간(30,40)으로 삽입되는 중에 전선(2)이 희망하는 길이만큼 삽입되면 삽입된 전선(2)의 끝이 걸림턱부(20)에 걸려 멈추게 되므로 전선의 내삽 정도를 직관적으로 쉽게 가늠할 수 있다.
도 5의 (a)~(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용 슬리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6의 (a)~(d)는 각각 도 5의 (a)~(d)의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의 전선연결용 슬리브(1)의 제1 공간(30) 및 제2 공간(40)에 각각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제1 프레스 금형(530) 및 제2 프레스 금형(540)을 슬리브(1)의 제1 입구(11) 및 제2 입구(12)를 통해 슬리브 본체(10) 내로 각각 압입(압인: Coining)하기 위한 프레스 가공 장치를 마련한다.
참조로, 도 5-6에서 파란색으로 표시된 참조번호 1'및 1은 전선연결용 슬리브를 나타내고, 보라색으로 표시된 참조번호 501은 프레스 가공 장치의 높낮이 조절 인덱스 금형(에어 실린더에 의해 움직임)을 나타내고, 연두색으로 표시된 참조번호 503은 슬리브를 고정하기 위한 외부틀 금형을 나타내고, 검정색으로 표시된 참조번호 505는 슬리브를 직접 잡아주는 내부 금형을 나타내고, 초록색으로 표시된 참조번호 503 및 540은 전선연결용 슬리브(1)의 제1 공간(30) 및 제2 공간(40)에 각각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침 모양의 제1 프레스 금형(530) 및 제2 프레스 금형(540)을 나타낸다.
먼저, 도 5의 (a)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가공 장치의 높낮이 조절 인덱스 금형(501)의 좌측에 내부 형태가 가공되지 않은 슬리브(1')를 놓고, 그 슬리브(1')의 좌측으로 프레스 가공 장치의 좌측에 있는 제1 프레스 금형(530)을 삽입하여 밀면 슬리브(1')가 좌측에서 중앙의 내부금형(505)으로 위치하여 고정된다.
이어, 도 5의 (b)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의 좌측으로 프레스 가공 장치의 우측에 있는 제2 프레스 금형(540)을 삽입한 후, 슬리브(1')의 좌우측에서 제1,2 프레스 금형(530,540)을 동시에 압입하면 슬리브(1')의 내부가 제1,2 프레스 금형(530,540)의 진행 방향에 따라 프레스되어 제1,2 프레스 금형(530,54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공간 즉, 제1 공간(30)과 제2 공간(40)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 공간(30)과 제2 공간(40)의 중간에는 걸림턱(20)이 형성된다.
이어, 도 5의 (c) 및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제2 프레스 금형(540)을 후퇴시키면서 좌측의 제1 프레스 금형(530)을 전진시키면 슬리브(1)가 프레스 가공 장치의 높낮이 조절 인덱스 금형(501)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2 프레스 금형(540)은 슬리브(1)로부터 빠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의 (d) 및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제1 프레스 금형(530)도 후퇴시켜 슬리브(1)로부터 빠지게 하면 도 1~3의 전선연결용 슬리브(1)가 완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절삭 가공법이 아닌 프레스 가공법을 적용하여 슬리브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대비 생산 속도 및 제품 수율이 향상되고 제품 단가는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슬리브
2: 전선
10: 슬리브 본체
11,12: 슬리브의 (내부 공간의) 입구
20: 걸림턱
30,40: 슬리브의 내부 공간
31,41: 슬리브의 내(벽)면
530,540: 프레스 금형

Claims (5)

  1. 양측 단부에 각각 제1 입구와 제2 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슬리브 본체; 및
    상기 슬리브 본체의 중앙부 내면 둘레로부터 내부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본체의 내부 공간은 상기 걸림턱부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제1 입구까지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2 입구까지의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슬리브 본체의 제1 내면부는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제1 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넓어지도록 제1 경사각의 제1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슬리브 본체의 제2 내면부는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상기 제2 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넓어지도록 상기 제1 경사각의 제2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제1 경사각보다 더 큰 제2 경사각을 가진 제3 경사면 및 제4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 중 상기 제1 경사면의 공간은 전선의 절연물 피복이 탈피된 도체 부분의 직경과 동일한 최소 직경부터 상기 제1 경사각만큼 커진 최대 직경까지의 범위의 직경(이하, 제1 테이퍼링 직경)을 갖고,
    상기 제2 공간 중 상기 제2 경사면의 공간은 전선의 절연물 피복이 탈피된 도체 부분의 직경과 동일한 최소 직경부터 상기 제1 경사각만큼 커진 최대 직경까지의 범위의 직경(이하, 제2 테이퍼링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테이퍼링 직경의 최대값은 절연물 피복이 피복된 전선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용 슬리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제1항의 상기 전선연결용 슬리브(1)의 제1 공간(30) 및 제2 공간(40)에 각각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제1 프레스 금형(530) 및 제2 프레스 금형(540)을 슬리브(1)의 제1 입구(11) 및 제2 입구(12)를 통해 슬리브 본체(10) 내로 각각 압입(압인: Coining)하기 위한 프레스 가공 장치를 마련하는 단계;
    (b) 프레스 가공 장치의 높낮이 조절 인덱스 금형(501)의 좌측에 내부 형태가 가공되지 않은 슬리브(1')를 놓고, 그 슬리브(1')의 좌측으로 프레스 가공 장치의 좌측에 있는 제1 프레스 금형(530)을 삽입하여 밀어 슬리브(1')가 좌측에서 중앙의 내부금형(505)으로 위치하여 고정되게 하는 단계;
    (c) 슬리브(1')의 우측으로 프레스 가공 장치의 우측에 있는 제2 프레스 금형(540)을 삽입한 후, 슬리브(1')의 좌우측에서 제1,2 프레스 금형(530,540)을 동시에 압입하여 슬리브(1')의 내부가 제1,2 프레스 금형(530,540)의 진행 방향에 따라 프레스되어 제1,2 프레스 금형(530,540)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공간 즉, 제1 공간(30)과 제2 공간(40)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1 공간(30)과 제2 공간(40)의 중간에는 슬리브(1')의 내벽이 밀려 링 모양의 걸림턱(20)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d) 우측의 제2 프레스 금형(540)을 후퇴시키면서 좌측의 제1 프레스 금형(530)을 전진시켜서 슬리브(1)가 프레스 가공 장치의 높낮이 조절 인덱스 금형(501)의 우측에 위치하게 하고, 제2 프레스 금형(540)은 슬리브(1)로부터 빠지게 하는 단계; 및
    (e) 좌측의 제1 프레스 금형(530)도 후퇴시켜 슬리브(1)로부터 빠지게 하여 제1항의 상기 전선연결용 슬리브(1)를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용 슬리브의 제조 방법.
KR1020210118342A 2021-09-06 2021-09-06 전선연결용 슬리브 KR10237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342A KR102372742B1 (ko) 2021-09-06 2021-09-06 전선연결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342A KR102372742B1 (ko) 2021-09-06 2021-09-06 전선연결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742B1 true KR102372742B1 (ko) 2022-03-08

Family

ID=80812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342A KR102372742B1 (ko) 2021-09-06 2021-09-06 전선연결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7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180A (ja) * 1998-01-14 1999-07-30 Sumitomo Wiring Syst Ltd 高圧電線用接続端子
KR20020007952A (ko) * 2000-07-13 2002-01-29 다케우치 사다쓰구 절연 커버 피복형 압축 슬리브
KR20040025000A (ko) 2002-09-18 2004-03-24 한국전력공사 전선 접속연결용 슬리브
JP2006149102A (ja) * 2004-11-19 2006-06-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接続用圧縮スリーブ
JP2018062046A (ja) * 2016-10-14 2018-04-19 有限会社ダイヤテクニカ 接続スリーブ
KR20210026442A (ko) * 2019-08-30 2021-03-10 한국전력공사 전선 직선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180A (ja) * 1998-01-14 1999-07-30 Sumitomo Wiring Syst Ltd 高圧電線用接続端子
KR20020007952A (ko) * 2000-07-13 2002-01-29 다케우치 사다쓰구 절연 커버 피복형 압축 슬리브
KR20040025000A (ko) 2002-09-18 2004-03-24 한국전력공사 전선 접속연결용 슬리브
JP2006149102A (ja) * 2004-11-19 2006-06-0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線接続用圧縮スリーブ
JP2018062046A (ja) * 2016-10-14 2018-04-19 有限会社ダイヤテクニカ 接続スリーブ
KR20210026442A (ko) * 2019-08-30 2021-03-10 한국전력공사 전선 직선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0156B2 (en) Crimpable wire connector assembly
US6592396B2 (en) Cap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N101278444B (zh) 同轴电缆连接器
US10367311B2 (en) Plug connector arrangement with compensation crimp
CN100470931C (zh) 压力接合连接器
EP354745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or assembly with a crimped tubular ferrule
JP6921262B2 (ja) ケーブル組立体
US10177517B1 (en) Ferrule crimping tool
US11855402B2 (en) Connector structure and connector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CN103378533A (zh) 用于同轴电缆的末端处理方法和末端处理设备
GB958644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372742B1 (ko) 전선연결용 슬리브
CN108141024A (zh) 防爆组件和用于其制造的方法
US3537167A (en) Preform cold-crimp sleeve applicator
US20130045645A1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To Receive Various Diameter Cable
CN103208770B (zh) 110kV电缆中间接头附件及其连接方法
US11749953B2 (en) Connector structure
US20220069533A1 (en) Connector structure, and connector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US2889394A (en) Shielded and coaxial cable connection
CN110061399B (zh) 通用飞机元器件线束压接方法
US1645539A (en) Insulated-conductor terminal
JP2009545289A (ja) ケーブルを端末処理するための方法、ケーブル、およびこの方法に使用されるフェルール
CN210120320U (zh) 一种新型三层绝缘线剥线装置
KR20220166634A (ko) 전선 연결용 슬리브
JP2009224079A (ja) 内導体端子、連鎖端子、及び、同軸ケーブルと内導体端子との圧着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