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241B1 -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241B1
KR101777241B1 KR1020160047514A KR20160047514A KR101777241B1 KR 101777241 B1 KR101777241 B1 KR 101777241B1 KR 1020160047514 A KR1020160047514 A KR 1020160047514A KR 20160047514 A KR20160047514 A KR 20160047514A KR 101777241 B1 KR101777241 B1 KR 101777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moving
spacing space
fixing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민
Original Assignee
김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민 filed Critical 김현민
Priority to KR102016004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성형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 성형 프레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 및 고정부와 이동부 사이에서 면접하여 설치되며, 이동부의 성형 프레임 내부에서의 이동에 따라 고정부와 이동부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성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를 압착함에 있어서 작업의 정밀도 및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Cable Connector Press for Hexagonal Forming}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커넥터를 압착함에 있어서 작업의 정밀도 및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에는 전기 케이블이 접속되는 단자가 구비되며, 케이블의 말단에는 케이블을 상기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장착된다.
한편, 커넥터를 케이블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케이블 압착기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수공구가 활용되어져 왔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압착기는 작업자의 악력을 이용하여 커넥터를 압착시키는 것으로서 작업자의 작업 피로감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커넥터를 압착시키는 힘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없게 되는 결과, 압착 작업의 정밀도 및 효율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커넥터를 압착함에 있어서 작업의 정밀도 및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는, 성형 프레임(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110,120,130); 상기 성형 프레임(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210,220,230); 및 상기 고정부(110,120,130)와 상기 이동부(210,220,230) 사이에서 면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210,220,230)의 상기 성형 프레임(100) 내부에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110,120,130)와 상기 이동부(210,220,23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성형부(310,320,330,3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110,120,130)는, 제1 고정부(110), 상기 제1 고정부(110)와의 사이에서 제1 이격 공간(115)을 형성하는 제 2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120)와의 사이에서 제2 이격 공간(125)을 형성하는 제3 고정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210,220,230)는, 제1 이동부(210), 상기 제1 이동부(210)와의 사이에서 제3 이격 공간(215)을 형성하는 제2 이동부(220), 및 상기 제2 이동부(220)와의 사이에서 제4 이격 공간(225)을 형성하는 제3 이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부(310,320,330,340)는, 상기 제1 이격 공간(11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성형부(310), 상기 제2 이격 공간(12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성형부(320), 상기 제3 이격 공간(21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성형부(330), 및 상기 제4 이격 공간(22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 성형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성형부(310)는 상기 제1 이동부(2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이격 공간(11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2 성형부(320)는 상기 제1 이동부(2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이격 공간(12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3 성형부(330)는 상기 제3 이동부(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이격 공간(21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4 성형부(340)는 상기 제3 이동부(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4 이격 공간(22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커넥터를 압착함에 있어서 작업의 정밀도 및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의 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는 성형 프레임(100), 고정부(110,120,130), 가압부(200), 이동부(210,220,230), 및 성형부(310,320,330,340)를 포함한다.
성형 프레임(100)은 중앙에 사각형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 구조체로서, 성형 프레임(100)의 내측 테두리(170)의 좌측 영역에는 고정부(110,120,130)가 설치되어 있고, 성형 프레임(100)의 내측 테두리(170)의 우측 영역에는 이동부(210,220,23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는 성형 프레임(100)의 내측 테두리(170)에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1 고정부(110), 제2 고정부(120), 제3 고정부(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성형 프레임(100)의 내부에서의 위치 이동이 없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아울러, 도 3에서와 같이 제1 고정부(110), 제2 고정부(120), 및 제3 고정부(130)는 볼트 등의 결속구(155)를 통해 결속 패널(150)에 일체로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이동부(210,220,230)는 상호 분리된 부재인 제1 이동부(210), 제2 이동부(220), 제3 이동부(2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형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제1 이동부(210), 제2 이동부(220), 및 제3 이동부(230)는 볼트 등의 결속구(255)를 통해 결속 패널(250)에 일체로서 고정되어 있으며, 결속 패널(250)은 이동부(210,220,230)에 수평 방향으로의 힘을 가하는 가압부(200)에 일체로서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2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한 수평 방향으로의 힘은 결속 패널(250)을 통해 제1 이동부(210), 제2 이동부(220), 및 제3 이동부(230)에 일체로서 전달되며, 그 결과 제1 이동부(210), 제2 이동부(220), 및 제3 이동부(230)는 동일한 이동 변위를 가지며 성형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내측 테두리(170)를 따라 좌측으로 평행하게 이동된다.
한편, 성형부(310,320,330,340)는 고정부(110,120,130)와 상기 이동부(210,220,230) 사이에서 고정부(110,120,130) 및 이동부(210,220,230)와 면접되도록 설치되며, 도 1에서와 같이 이동부(210,220,230)의 성형 프레임(100) 내부에서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고정부(110,120,130)와 이동부(210,220,230) 사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성형부(310,320,330,340)는 상호 분리된 부재인 제1 성형부(310), 제2 성형부(320), 제3 성형부(330), 및 제4 성형부(340)로 구성된다. 한편, 제1 성형부(310)는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 사이의 이격 공간인 제1 이격 공간(11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성형부(320)는 제2 고정부(120)와 제3 고정부(130) 사이의 이격 공간인 제2 이격 공간(12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3 성형부(330)는 제1 이동부(210)와 제2 이동부(220) 사이의 이격 공간인 제3 이격 공간(21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4 성형부(340)는 제2 이동부(220)와 제3 이동부(230) 사이의 이격 공간인 제4 이격 공간(22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성형 프레임(100)의 중앙에는 제1 성형부(310), 제2 성형부(320), 제1 이동부(210), 제3 성형부(330), 제4 성형부(340), 및 제2 고정부(12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성형홀(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육각으로 성형하려고 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성형홀(50)에 삽입하게 된다.
그 다음,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를 작동시킴에 따라 가압부(200)는 좌측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며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1 이동부(210), 제2 이동부(220), 및 제3 이동부(230)가 동시에 성형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1 이동부(210)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성형부(320)는 제2 이격 공간(125)내에서 제3 고정부(130)의 경사면을 따라 면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제2 성형부(320)는 성형 프레임(100) 내에서 좌측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제2 성형부(320)가 제1 이동부(210)의 이동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성형부(310)는 제1 이격 공간(115) 내에서 좌측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3 이동부(230)가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4 성형부(340)는 제4 이격 공간(225) 내에서 제3 이동부(23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제1 고정부(110)의 경사면을 따라 좌측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4 성형부(340)가 제3 이동부(230)의 이동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4 성형부(34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성형부(330)는 제3 이격 공간(215) 내에서 제1 이동부(210) 및 제2 이동부(220)의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이동부(210)와 제2 이동부(220) 사이의 이격 공간인 제3 이격 공간(215)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성형부(330)는, 상기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제1 이동부(210)와 제2 이동부(220)의 이동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성형부(310), 제2 성형부(320), 제1 이동부(210), 제3 성형부(330), 제4 성형부(340), 및 제2 고정부(12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육각형 성형홀(50)은 도 2에와 같이 그 형태가 축소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성형홀(50) 내부의 케이블 커넥터는 육각 형상으로 압착 성형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 성형부(310)에는 결속 패널(150)에 구비된 경사형 슬롯(151)을 통해 결속 패널(150)의 상부로 돌출되는 핀(315)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형 슬롯(151)은 제1 이격 공간(11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성형부(310)의 경사 이동 방향과 동일한 경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성형부(310)에 구비된 핀(315)에는 용수철 등의 탄성체(152)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탄성체(152)는 결속 패널(15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나사 등의 고정구(153)에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가압부(200)의 가압 이동에 의해 육각형 성형홀(50)이 축소되며 성형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1 성형부(310)가 제1 이격 공간(115)상에서 하방으로 경사 이동됨에 따라 제1 성형부(310)에 구비된 핀(315) 또한 슬롯(151) 내에서 하방으로 경사 이동되게 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용수철 등의 탄성체(152)는 신장되게 된다.
이후, 성형 작업이 완료된 다음 가압부(200)가 반대 방향(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탄성체(152)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성형부(310)는 다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은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성형부(310)가 우측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2 성형부(320)는 제1 성형부(310)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도 3에서의 위치로부터 도 1에서와 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아울러, 우측으로 이동되는 제1 이동부(210) 및 제2 이동부(220)에 의해 제3 이격 공간(215)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성형부(330) 또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3 이동부(230)의 우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4 성형부(340)는 하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2 고정부(120)의 경사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4 성형부(340)가 이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4 성형부(34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제3 성형부(330)는 상기와 같이 제1 이동부(210)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제1 성형부(310), 제2 성형부(320), 제1 이동부(210), 제3 성형부(330), 제4 성형부(340), 및 제2 고정부(12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육각형 성형홀(50)은 다시 도 1에서의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50: 성형홀, 100: 성형 프레임,
110: 제1 고정부, 115: 제1 이격 공간,
120: 제2 고정부, 125: 제2 이격 공간,
130: 제3 고정부, 150,250: 결속 패널,
151: 슬롯, 152: 탄성체,
153: 고정구, 155, 255: 결속구,
170: 내측 테두리, 200: 가압부,
210: 제1 이동부, 215: 제3 이격 공간,
220: 제2 이동부, 225: 제4 이격 공간,
230: 제3 이동부, 310: 제1 성형부,
320: 제2 성형부, 330: 제3 성형부,
340: 제4 성형부.

Claims (3)

  1. 성형 프레임(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부(110,120,130);
    상기 성형 프레임(10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210,220,230); 및
    상기 고정부(110,120,130)와 상기 이동부(210,220,230) 사이에서 면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210,220,230)의 상기 성형 프레임(100) 내부에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110,120,130)와 상기 이동부(210,220,23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성형부(310,320,330,340)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110,120,130)는,
    제1 고정부(110), 상기 제1 고정부(110)와의 사이에서 제1 이격 공간(115)을 형성하는 제 2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120)와의 사이에서 제2 이격 공간(125)을 형성하는 제3 고정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210,220,230)는,
    제1 이동부(210), 상기 제1 이동부(210)와의 사이에서 제3 이격 공간(215)을 형성하는 제2 이동부(220), 및 상기 제2 이동부(220)와의 사이에서 제4 이격 공간(225)을 형성하는 제3 이동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310,320,330,340)는,
    상기 제1 이격 공간(11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성형부(310), 상기 제2 이격 공간(12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성형부(320), 상기 제3 이격 공간(21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성형부(330), 및 상기 제4 이격 공간(225)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 성형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310)는 상기 제1 이동부(2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이격 공간(11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2 성형부(320)는 상기 제1 이동부(2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이격 공간(12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3 성형부(330)는 상기 제3 이동부(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이격 공간(21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제4 성형부(340)는 상기 제3 이동부(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4 이격 공간(225)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인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2. 삭제
  3. 삭제
KR1020160047514A 2016-04-19 2016-04-19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KR101777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514A KR101777241B1 (ko) 2016-04-19 2016-04-19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514A KR101777241B1 (ko) 2016-04-19 2016-04-19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241B1 true KR101777241B1 (ko) 2017-09-11

Family

ID=5992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514A KR101777241B1 (ko) 2016-04-19 2016-04-19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2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83B1 (ko) * 2020-01-07 2020-05-27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363A (ja) * 2013-06-19 2015-01-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圧着型、端子圧着装置、端子圧着方法、及び圧着接続構造体
JP2015147294A (ja) 2014-02-06 2015-08-20 ウェザッ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ェルクゼウグファブリック 圧着ペン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363A (ja) * 2013-06-19 2015-01-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圧着型、端子圧着装置、端子圧着方法、及び圧着接続構造体
JP2015147294A (ja) 2014-02-06 2015-08-20 ウェザッ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ェルクゼウグファブリック 圧着ペン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883B1 (ko) * 2020-01-07 2020-05-27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WO2021141313A1 (ko) * 2020-01-07 2021-07-15 도준희 압착기에 사용되는 압착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4143B (zh) 产品翻转机构
CN108832455B (zh) 一种可同时压入电源端子与信号端子的治具
CN109244788B (zh) 六方压接机构
CN108051315B (zh) 折弯装置
US20090260412A1 (en) Curling die tool
CN203579467U (zh) 一种用于木材工件加工的夹紧装置
KR101777241B1 (ko) 케이블 커넥터 육각 성형 압착기
JPH01215414A (ja) プレス加工用金型装置
CN113894207A (zh) 一种数控自动化钣金冲压模具
CN111016194A (zh) 一种多维度产品组装治具
CN212552348U (zh) 一种仿形定位装置
CN209238814U (zh) 一种筒状结构件底部冲孔模具
CN201669340U (zh) 一种管脚成型治具
CN103934707A (zh) 压钳装置及其压钳方法
CN201833296U (zh) 伸缩式压板装置
CN110676643B (zh) 一种电力连接插头
US20140335220A1 (en) Angle pin structure and injection mold having same
CN110406077B (zh) 一种可快速更换吹瓶机模具的锁模装置
CN203317068U (zh) 一种简易固定工装
CN207746312U (zh) 框架断路器引弧片铆接夹具
CN202224965U (zh) 侧面压紧的夹具块
CN205436781U (zh) 钩爪快速止动固定机构
KR101716095B1 (ko) 핀 터미널 압착기
CN109647994A (zh) 框架断路器引弧片铆接夹具
CN209036342U (zh) 锂电池极片叠加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