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320B1 -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320B1
KR102115320B1 KR1020180032082A KR20180032082A KR102115320B1 KR 102115320 B1 KR102115320 B1 KR 102115320B1 KR 1020180032082 A KR1020180032082 A KR 1020180032082A KR 20180032082 A KR20180032082 A KR 20180032082A KR 102115320 B1 KR102115320 B1 KR 10211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tank
rotating shaft
control device
temperature
automat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294A (ko
Inventor
윤경열
Original Assignee
윤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열 filed Critical 윤경열
Priority to KR102018003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32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025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01Control or regul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technique used
    • B01F35/2209Controlling the mixing process as a whole, i.e. involving a comple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the mixing process during the whole mixing cycle
    • B01F15/00363
    • B01F15/00396
    • B01F15/00538
    • B01F15/0087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4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having two or more mixing elements being concentrically mounted on the sam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4Speed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3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e.g. baffles for facilitating the mixing of components
    • B01F7/00191
    • B01F7/22
    • B01F7/2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 물질을 교반시키는 회전축에 축과 동시에 회전하며, 교반 탱크의 상부 및 하부의 교반 물질의 유동을 회전축의 중심부로 향하게 하여 혼합 또는 가열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교반탱크, 상기 교반탱크의 일측에 형성된 모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에 수용된 물질의 유동이 두 방향 이상 형성되도록 적어도 한 쌍 이상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Agitator automatic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 물질을 교반시키는 회전축에 축과 동시에 회전하며, 교반 탱크의 상부 및 하부의 교반 물질의 유동을 회전축의 중심부로 향하게 하여 혼합 또는 가열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반기는 화학 실험 및 제조 화학 공업에서 기체, 액체, 고체 상태의 물체를 휘저어 섞는 기기를 말한다.
실험실 등에서 이용하는 소형의 교반기는 주로 액체를 섞는 목적을 갖는다. 섞이는 액체의 체량과 점성의 크기에 따라 요구되는 힘을 달리하므로, 모든 종류의 구조, 원리에 의거한 형태가 있다.
공업적으로는 더욱 강력한 교반기가 필요하고, 각종 형식의 것이 이용되는데 취급액의 점성도, 밀도, 고체 입자의 크기, 밀도, 농도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교반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교반기는 회전축의 회전 속도나 온도 조절을 제어하여 교반 물질간의 화학 반응, 가열 또는 냉각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교반기는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교반이 일어나는 탱크 내에 수용되는 교반 물질의 유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 회전축의 일단부에 임펠러를 임펠러를 장착하여 교반효과를 높이는 발명이 도 1과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3797호(“오버헤드 교반기와 이것의 제어방법”, 이하‘종래기술’이라함)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임펠러의 형상에 의해 교반 물질의 회전 또는 유동 방향이 일정하게 되어 부유물이 있거나 점성이 높은 교반 물질이 탱크 내부의 어느 지점에 퇴적될 수 있으며, 교반 물질이 고르게 섞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3797호(2017.08.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 물질의 유동이 상방 및 하방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일어나게 되어, 탱크에 수용되는 교반 물질이 고르게 섞일 수 있으며, 교반 물질이 탱크 내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는 내부에 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교반탱크, 상기 교반탱크의 일측에 형성된 모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에 수용된 물질의 유동이 두 방향 이상 형성되도록 적어도 두 쌍 이상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한 쌍의 상기 날개부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날개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더나아가, 상기 교반탱크는 상기 교반탱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더 나아가,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축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물질 유동을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상부 날개부 및 상기 회전축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 물질 유동을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하부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길이방향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장착되는 경사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은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복수개의 단위체의 결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은 상기 날개부가 고정되어 형성되는 날개축부 및
상기 날개부가 형성되지 않는 일자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은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회전축 단위체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부 및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회전축 단위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은 상기 날개부와의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부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회전축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물질이 상기 회전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나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교반탱크는 상기 교반탱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 내부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침전배출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교반 자동제어 장치는 상기 교반탱크의 외부로 노출된 관을 통해 온도 전달 물질의 외부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교반탱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교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질에 온도를 전달하는 온도 전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교반 자동제어 장치는 상기 모터부와 상기 온도 전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교반탱크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상기 교반탱크 내부 온도값을 전달받아 상기 온도 전달부의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 전달부 내부를 흐르는 온도 전달 물질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모터부의 전원 및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교반 자동제어 장치는 교반탱크 내부의 물질의 유동이 두 방향 이상 형성되어, 교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혼합이 특정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교반탱크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전체적으로 활발하게 일어나 교반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반탱크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하여 회전이 발생하는 중심부에서 교반탱크의 내주면까지 교반이 고르게 일어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축 및 날개부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오버헤드 교반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교반 자동제어 장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교반 자동제어 장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중앙 제어부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1000)는 내부에 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교반탱크(100), 상기 교반탱크(100)의 일측에 형성된 모터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10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210) 및 상기 회전축(210)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100)에 수용된 물질의 유동이 두 방향 이상 형성되도록 적어도 한 쌍 이상 형성되는 날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탱크(100)는 내부가 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2와 같이 외부에서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로 물질을 유입하는 유입관(11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의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20)의 개방을 제어하는 배출 밸브(121)는 교반이 일어나는 중에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물질이 상기 배출관(1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관(120)과 상기 교반탱크(100)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탱크(100)의 재질은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일정 강도를 가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변형이 적은 금속 또는 그 외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상기 교반탱크(100)는 상기 교반탱크(1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의 물질이 섞일 때, 유동에 더 많은 마찰을 가하여 교반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210) 부근과 상기 교반탱크(100)의 내주면 부근에서 교반이 고르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상기 날개부(300)는 한 쌍 이상의 상기 날개부(300)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유동이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질간의 혼합이 일방향에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혼합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점을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회전축(210)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물질 유동을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상부 날개부(310) 및 상기 회전축(210)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 물질 유동을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하부 날개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혼합이 특정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교반탱크(10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전체적으로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날개부(300)가 적어도 두 쌍 이상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날개부(300)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유동력을 전달받은 물질이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 중심 근처에서 유동력을 다시 전달 받아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회전축(210) 길이방향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10)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장착되는 경사판(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경사판(400)은 상기 교반탱크(100)에 수용된 물질의 유동이 상기 경사판(400)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경사판(400)은 상기 상부 날개부(310) 및 상기 하부 날개부(3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날개부(310)에서 상기 회전축(210) 길이방향 중심부 방향으로 전달된 유동이 상기 경사판(400)을 따라 상기 교반탱크(100)의 하부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날개부(320)에서 상기 회전축(210) 길이방향 중심부 방향으로 전달된 유동이 상기 경사판(400)을 따라 상기 교반탱크(100)의 상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상기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1000)는 상기 교반탱크(100)의 외부로 노출된 관을 통해 온도 전달 물질의 외부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물질에 온도를 전달하는 온도 전달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 전달부(500)는 온도 전달 물질이 흐르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2와 같이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방향 둘레는 감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전달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의 가열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의 냉각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목적에 따라 상기 온도 전달부(500)를 흐르는 물질 또는 물질의 온도는 달라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축(210)은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복수개의 단위체의 결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이 복수개의 단휘체로 형성되어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함으로써, 상기 회전축(210)의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회전축(210)의 일부분이 훼손된 경우, 훼손된 부분만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및 보수를 위한 비용이 절약 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날개부(300)가 고정되어 형성되는 날개축부(212) 및 상기 날개부(300)가 형성되지 않는 일자축부(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날개축부(212) 가감을 통하여 상기 날개부(300)의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일자축부(211)의 가감을 통하여 복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300)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1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회전축(210) 단위체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부(213) 및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회전축(210) 단위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213)에 체결되는 수나사부(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213) 및 상기 수나사부(214)를 통하여 복수개의 단위체로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210)의 분해 및 결합이 간편하여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상기 회전축(210)의 분해 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상기 회전축(210)의 길이 조절 및 상기 날개부(300)의 개수 조절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축(210)이 복수개의 단위체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나사부(214)와 상기 암나사부(213)의 결합을 통한 체결이 아니더라도, 복수개의 단위체를 서로 결합하여 고속의 회전에서도 분해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 방법이라면 어떠한 체결 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날개부(300)와의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부(30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반복적인 교반으로 인하여 상기 날개부(300)가 변형되거나 파손된 경우, 상기 회전축(210)에서 손상된 상기 날개부(300)만 분해하여 교체가 가능하여, 교반 장치의 교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회전축(2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체결홈(220) 및 상기 날개부(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22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나사(3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날개부(300)의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므로 유지 및 보수를 위한 교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체결홈(220)에 삽입되어 물질이 상기 회전축(2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나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300)가 결합되지 않은 상기 체결홈(220)을 개방된 상태로 두는 경우 상기 체결홈(220) 내부로 물질이 들어가 부식이 발생하거나, 물질의 유동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막음나사(230)를 통해 상기 체결홈(220)을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날개부(300)와의 분해 및 결합은 상기 체결홈(220) 및 상기 체결나사(301)가 아니더라도,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동안에 상기 날개부(300)가 상기 회전부로부터 분해되지 않는 결합방법이면 어떠한 방법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교반탱크(100)는 상기 교반탱크(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침전배출관(1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침전배출관(130)은 교반을 통해 형성된 부유물을 침전시켜 상기 배출관(120)과는 별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침전배출관(130)은 상기 배출관(120) 또는 상기 유입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전배출관(130)은 상기 교반탱크(100)에 수용된 물질의 빠른 배출을 위해 상기 배출관(120)과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침전배출관(130)의 개방을 제어하는 침전배출 밸브(131)는 교반이 일어나는 중에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물질이 상기 침전배출관(13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침전배출관(130)과 상기 교반탱크(100)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1000)는 상기 모터부(200)와 상기 온도 전달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제어부(700)는 상기 교반탱크(100)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600), 상기 온도 측정부(600)로부터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 온도값을 전달받아 상기 온도 전달부(500)의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 전달부(500) 내부를 흐르는 온도 전달 물질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제어부(710) 및 상기 모터부(200)의 전원 및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제어부(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700)는 상기 교반탱크(100)에 직접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상기 교반탱크(100)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200)와 상기 온도 측정부(600) 및 상기 온도 전달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600)의 온도값이 교반에 필요한 일정 온도 범위 미만으로 내려갈 경우, 상기 온도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도 전달부(500)는 상기 온도 전달부(500) 내부를 흐르는 온도 전달 물질을 가열하여 고온의 온도 전달 물질을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물질의 온도를 올리게 되며, 상기 온도 측정부(600)의 온도값이 교반에 필요한 일정 온도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온도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도 전달부(500)는 온도 전달 물질의 온도를 유지하거나 온도 전달물질의 흐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600)의 온도값이 교반에 필요한 일정 온도 범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온도 제어부(7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온도 전달부(500) 내부를 흐르는 온도 전달 물질을 냉각하여 저온의 온도 전달 물질이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흐르게 함으로써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된 물질이 교반에 필요한 일정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속도 제어부(720)는 교반을 위해 상기 모터부(200)를 작동시키거나, 교반이 끝난 후 상기 모터부(200)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교반탱크(100)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의 점성이나 교반 상태에 따라 상기 회전축(210)과 연결된 상기 모터부(20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100 : 교반탱크 110 : 유입관
120 : 배출관 121 : 배출 밸브
130 : 침전배출관 131 : 침전배출 밸브
200 : 모터부 210 : 회전축
211 : 일자축부 212 : 날개축부
213 : 암나사부 214 : 수나사부
220 : 체결홈 230 : 막음나사
300 : 날개부 301 : 체결나사
310 : 상부 날개부 320 : 하부 날개부
400 : 경사판
500 : 온도 전달부
600 : 온도 측정부
700 : 중앙 제어부 710 : 온도 제어부
720 : 속도 제어부

Claims (16)

  1. 내부에 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교반탱크;
    상기 교반탱크의 일측에 형성된 모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탱크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에 수용된 물질의 유동이 두 방향 이상 형성되도록 적어도 두 쌍 이상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한 쌍의 상기 날개부가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날개부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탱크는,
    상기 교반탱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회전축 상부에 형성되어 상부 물질 유동을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상부 날개부; 및
    상기 회전축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 물질 유동을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하부 날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 길이방향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장착되는 경사판;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복수개의 단위체의 결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날개부가 고정되어 형성되는 날개축부; 및
    상기 날개부가 형성되지 않는 일자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회전축 단위체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부; 및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회전축 단위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날개부와의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부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물질이 상기 회전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나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탱크는,
    상기 교반탱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 내부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침전배출관;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탱크의 외부로 노출된 관을 통해 온도 전달 물질의 외부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교반탱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교반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질에 온도를 전달하는 온도 전달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와 상기 온도 전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교반탱크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교반탱크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온도 측정부로부터 상기 교반탱크 내부 온도값을 전달받아 상기 온도 전달부의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 전달부 내부를 흐르는 온도 전달 물질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제어부; 및
    상기 모터부의 전원 및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KR1020180032082A 2018-03-20 2018-03-20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KR10211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82A KR102115320B1 (ko) 2018-03-20 2018-03-20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82A KR102115320B1 (ko) 2018-03-20 2018-03-20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294A KR20190110294A (ko) 2019-09-30
KR102115320B1 true KR102115320B1 (ko) 2020-05-26

Family

ID=6809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082A KR102115320B1 (ko) 2018-03-20 2018-03-20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879B1 (ko) * 2022-09-26 2023-05-04 주식회사 에이제이씨 교반기를 포함한 저장탱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942A (ja) * 2000-11-27 2002-06-04 Canon Electronics Inc 廃棄物処理装置
JP2002273188A (ja) * 2001-03-19 2002-09-24 Aoki Kk 攪拌機
KR101388229B1 (ko) * 2013-10-24 2014-04-23 이영해 화학물질 반응온도 계측장치와 이를 구비한 화학물질 반응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526A (ja) * 1982-07-23 1984-02-01 Satake Kagaku Kikai Kogyo Kk 撹拌機における撹拌翼
KR101196332B1 (ko) * 2010-07-15 2012-11-01 (주)흥보테크 혼련기
KR101773797B1 (ko) 2016-05-23 2017-09-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오버헤드 교반기와 이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9942A (ja) * 2000-11-27 2002-06-04 Canon Electronics Inc 廃棄物処理装置
JP2002273188A (ja) * 2001-03-19 2002-09-24 Aoki Kk 攪拌機
KR101388229B1 (ko) * 2013-10-24 2014-04-23 이영해 화학물질 반응온도 계측장치와 이를 구비한 화학물질 반응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294A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2253B1 (en) Cooled agitator
AU2014211305B2 (en) Stirred tank reactor
EP1060786B1 (en) Charging assembly for mixing vessel
WO2016004716A1 (zh) 一体制浆装置
CN105214590A (zh) 搅拌式反应釜
CN103962025A (zh) 一种无死角高速搅拌粉体混合设备
US10053953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blending cement
EP3615189B1 (en) Fluid mix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ixing and improving homogeneity of fluids
KR102115320B1 (ko)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CN105032325A (zh) 反应釜
KR101212398B1 (ko) 수처리용 약품 용해장치
JP6054488B1 (ja) セルフレベリング材スラリー供給装置及び平坦面の形成方法
CN215507233U (zh) 一种无外置泵的砂磨装置
CN109289579A (zh) 双层对流式搅拌桨
CN209476131U (zh) 一种驱动装置以及涂料制备系统
CN214682092U (zh) 搅拌机构及立式研磨机
CN113648861A (zh) 搅拌机
CN208275359U (zh) 一种进料均匀的润滑油调和釜
KR101949947B1 (ko)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
CN106512908B (zh) 一种化工反应罐
CN220257787U (zh) 用于水土搅拌的装置
CN209237754U (zh) 一种搅拌装置
KR101972733B1 (ko) 믹서기
JP2020049397A (ja) 撹拌翼および撹拌装置
CN209476130U (zh) 一种搅拌装置以及涂料制备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