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947B1 -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 - Google Patents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9947B1 KR101949947B1 KR1020170042135A KR20170042135A KR101949947B1 KR 101949947 B1 KR101949947 B1 KR 101949947B1 KR 1020170042135 A KR1020170042135 A KR 1020170042135A KR 20170042135 A KR20170042135 A KR 20170042135A KR 101949947 B1 KR101949947 B1 KR 1019499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hollow
- liquid
- blade
- impell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 B01F7/00341—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23/23114—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bubbling installation are mounted
- B01F23/231142—Mounting the gas transporting elements, i.e. connections between conduits
-
- B01F2003/041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서, 기체 유도관을 이용한 임펠러는, 일부분이 액체의 내부에 배치 가능한 실축; 상기 실축의 액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부; 상기 실축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유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기체 유도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의 일단은 유입부가 되고, 상기 유입부는 액체 외부에 배치되어 기체가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중공의 타단은 토출부가 되고, 상기 토출부는 액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된 기체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액체 외부에서 액체 내부로 기체를 유도할 수 있고, 특히 낮은 회전수에서 고효율로 기체 또는 가스를 액체 속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실축의 외측에 별도의 기체 유도관을 장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실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체 유도관의 제작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동등 수준의 교반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제작 비용이 매우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체 외부에서 액체 내부로 기체를 유도할 수 있는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반기란 액체와 액체, 액체와 고체 또는 분체 등을 휘저어 섞기 위한 기구를 의미하며, 화학 공정이나 폐수 처리 공정과 같이 대상물의 혼합이 필요한 곳에서 많이 쓰이는 장치이다.
교반의 형식에 따라 탱크 교반기와 유동식 교반기로 크게 나누어지며, 현재는 대부분이 탱크 교반기이다.
탱크 교반기의 구조는 탱크 속에 교반하기 위한 장치를 넣은 것으로, 교반용 날개의 형식에 따라 프로펠러형, 오어형, 터빈형, 나선축형 등 여러 종류로 분류된다. 프로펠러형 교반기는 점도가 낮은 액체 교반용, 또는 고체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액체에도 사용되고, 오어형 교반기는 낮은 점도용에서 사용되고 제일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터빈형 교반기는 원심력을 이용하는 것인데 상당히 능률적이며, 나선축형 교반기는 점도가 높은 대상물의 교반에 사용된다.
이러한 교반기는 액체와 액체, 액체와 고체 또는 분체 등을 휘저어 섞어 주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임펠러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폐수 정화처리시설의 폭기장치 또는 응집장치에서도 산소 또는 응집제와 처리대상 폐수와의 활발한 반응을 유도하는 교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교반기가 사용된다.
교반기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7181호('기체-액체 반응을 수행하는 교반 장치 및 공정', 2012.09.24)에 따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 장치의 샤프트는 중공의 샤프트(11)로 구성되고 기체 교반기에 공급구로서 제공되며, 액체 혼합기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흡입구의 영역에 배열되는 튜브 라인은 액체 혼합기(13)에 공급구로서 제공된다.
다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2620호('교반기', 2005.02.11)에 따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기는, 가스를 교반용기 내로 이송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중공 형태이고, 상기 교반용기 내로 연장된 교반축(14); 상기 교반용기 내의 교반기에 장착된 교반 프로펠러(16); 및 한쪽 단부가 상기 액체의 이송 방향으로 상기 교반 프로펠러의 축 거리 흐름 하류측에 가스를 상기 교반용기로 도입하기 위해, 교반축과 고정된 회전 맞물림으로 연결된 가스주입장치(28);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교반기들은 교반축에 중공축을 적용하고, 중공축인 교반축에 블레이드나 파이프 등을 장착 또는 용접함으로써, 축의 변형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교반축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공축 내부의 교반 물질로부터 부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구조의 단순성이 요구되나, 종래의 교반축은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고, 매우 복잡한 설계로 인하여 제작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체 외부에서 액체 내부로 기체를 유도할 수 있고, 특히 낮은 회전수에서 고효율로 기체 또는 가스를 액체 속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실축의 외측에 별도의 기체 유도관을 장착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실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체 유도관의 제작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동등 수준의 교반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제작 비용이 매우 절감되는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유도관은, 몸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의 일단은 유입부가 되고, 상기 유입부는 액체 외부에 배치되어 기체가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중공의 타단은 토출부가 되고, 상기 토출부는 액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된 기체가 토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부분이 절곡되되, 상기 몸체부의 절곡된 부분의 끝단에 상기 토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절곡된 부분은, 절곡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상기 토출부 측으로 갈수록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 둘레면은 상기 몸체부의 종단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유도관을 이용한 임펠러는, 일부분이 액체의 내부에 배치 가능한 실축; 상기 실축의 액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부; 상기 실축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유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기체 유도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의 일단은 유입부가 되고, 상기 유입부는 액체 외부에 배치되어 기체가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중공의 타단은 토출부가 되고, 상기 토출부는 액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된 기체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축의 외측에 별도의 기체 유도관을 장착함으로써, 액체 외부에서 액체 내부로 기체를 유도할 수 있고, 특히 낮은 회전수에서 고효율로 기체 또는 가스를 액체 속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실축에 직접 기체 유도관을 형성할 경우 블레이드 또는 파이프 등을 장착 또는 용접함으로 인하여 축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실축의 외측에 별도의 기체 유도관을 장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구조적으로 실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체 유도관의 제작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동등 수준의 교반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제작 비용이 매우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실축에 중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교반 시 교반 물질이 중공이 형성된 실축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체 유도관을 이용한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체 유도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블레이드부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체-액체 반응을 수행하는 교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 교반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기체 유도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블레이드부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체-액체 반응을 수행하는 교반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종래 교반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체 유도관을 이용한 임펠러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유도관을 이용한 임펠러는 실축(100)과 블레이드부(2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유도관(300)을 포함한다.
실축(100)은 일부분이 액체(또는 교반 대상물)의 내부에 배치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 실축(100)은 세 개의 파이프(100a, 100b, 100c)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가운데 배치된 파이프(100b)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블레이드부(200)가 연결되는 허브(110)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허브(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허브(110)의 상면 가장자리가 테이퍼져 있고, 실축(100)의 가운데 배치된 파이프(100b)가 허브(110)의 상, 하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액체 또는 교반 대상물을 교반하기 위하여 실축(100)의 액체 또는 교반 대상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부(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원판(210)과 블레이드(270)를 포함한다.
원판(210)은 허브(110)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가운데 허브 관통홀(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허브 관통홀(211)을 허브(110)가 관통한다. 다시 말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110)의 외측면을 원판(210)이 감싸며 고정됨으로써, 블레이드부(200)가 실축(100)의 액체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다.
블레이드(2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날개(25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날개(230)을 포함한다.
수직날개(250)는 원판(210)에 수직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날개(250)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태이고, 이러한 수직날개(25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짧은 변 중 어느 하나의 변이 원판(210)에 끼워지도록 고정되며, 특히 수직날개(250)의 길이가 짧은 변은, 길이가 긴 변의 2분의 1지점 이내에 끼워지도록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수직날개(250)의 길이가 짧은 변에 외측으로 절개된 절개부(251)가 형성되어 있어, 이 절개부(251)가 원판(210)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경사날개(230)는 원판(210)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제1경사날개(231)와, 원판(210)에 제1경사날개(231)와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제2경사날개(2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경사날개(231)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태이고, 원판(210)의 상면에서 어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경사날개(233)는 제1경사날개(231)와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의 판 형태이고, 원판(210)의 하면에서 제1경사날개(231)와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경사날개(231)와 제2경사날개(233)는 길이가 긴 어느 한 변이 서로 접하고, 길이가 긴 나머지 한 변은 서로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제1경사날개(231)와 제2경사날개(233)는 '브이(V)'자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경사날개(231)가 제2경사날개(233)와 서로 접하는 변의 일부분(231a)은 원판(210)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제2경사날개(233)가 제1경사날개(231)와 서로 접하는 변의 일부분(233a)은 원판(21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제1경사날개(231)가 원판(210)의 상면에 장착되는 부분(231a)의 두께는 제1경사날개(231)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제1경사날개(231)가 원판(210)의 상면에 장착되는 부분(231a)이 하부로 돌출되어 있어, 원판(210)에 장착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경사날개(233)가 원판(210)의 하면에 장착되는 부분(233a)의 두께는 제2경사날개(233)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제2경사날개(233)가 원판(210)의 하면에 장착되는 부분(233a)이 상부로 돌출되어 있어, 원판(210)에 장착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제1경사날개(231)와 제2경사날개(233)의 서로 접하는 변에서 원판(210)에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원판(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간극(237)이 형성되어 있다. 원판(210)의 외측에 위치한 부분에 형성된 간극(237)은 교반 작용시 교반 대상물과 블레이드(270)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경사날개(231)와 제2경사날개(233)의 서로 접하는 변에서 원판(210)에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원판(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간극(237)이 형성될 경우 실제로 제1경사날개(231)와 제2경사날개(233)가 서로 접하는 부분은 없게 된다.
제1경사날개(231)와 제2경사날개(233)는 양력에 의한 흐름을 집중시키고, 기체(공기) 토출 영역에서 압력의 기울기 변동을 이용하여 강한 전단 파괴 작용을 한다. 이러한 전단 파괴 작용에 의해 수직날개(250)에 의해 액체 수면 속으로 유도된 기체(공기) 기포는 경사날개(230)를 지나며 잘게 부수어진다. 즉, 경사날개(230)는 액체 수면 속으로 유도된 기체(공기) 기포를 잘게 부수어져 마이크로 버블화를 유도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버블화된 기체(공기)는 표면적이 훨씬 커지기 때문에 물질전달속도 교반 작용의 효율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물질전단 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날개(250)와 경사날개(230)는 원판(210)에 서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되며, 원판(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수직날개(250)와 세 개의 경사날개(230)가 원판(210)에 서로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실축(100)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유도관(3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311)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310)는 일자형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중공(311)이 형성되어 있고, 중공(311)의 개방된 일단이 유입부(311a)가 되며, 중공(311)의 개방된 타단이 토출부(311b)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311)의 개방된 상단이 유입부(311a)가 되며, 유입부(311a)는 액체 외부에 배치되어 기체가 중공(311)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중공(311)의 개방된 하단이 토출부(311b)가 되며, 토출부(311b)는 액체 내부에 배치되어 유입부(311a)로부터 중공(311) 내로 유입된 기체가 도 1과 같이 블레이드부(200) 측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토출부(311b)로부터 기체가 토출될 때 블레이드부(200)의 외측으로 토출이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부(310)의 일부분이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부(310)의 절곡된 부분(330) 끝단에 토출부(311b)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몸체부(310)의 절곡된 부분(330)은, 절곡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토출부(311b) 측으로 갈수록 몸체부(310)의 중심축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기체 유도관(3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 유도관(300)이 실축(100)의 외측에 배치될 때 몸체부(310)의 허브(110) 외측에 배치되는 분부터 절곡되기 시작하여 블레이드부(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기체 유도관(300)의 경사진 부분(330)이 몸체부(310)와 보다 매끄럽게 연결되기 위해서는 몸체부(310)의 절곡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라운드진 라운드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체 유도관(300)이 실축(100)의 외측에 배치될 때 허브(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몸체부(310) 부분부터 절곡되기 시작하여 블레이드부(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경사져 있고, 몸체부(310)의 절곡된 부분의 끝단에 토출부(311b)가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토출부(311b)는 수직날개(25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교반 과정에서 액체와의 저항이 토출부(311b)에 영향을 덜 미치게 되므로 토출부(311b)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토출부(311b) 둘레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310)의 종단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과 같이 토출부(311b) 둘레면의 상단보다 하단이 실축(100)으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부(310)는 실축(100)의 외측에 실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실축(100)의 가운데 배치된 파이프(100b)의 외주면에 몸체부(310)의 장착을 위한 브라켓(130)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130)에 몸체부(310)가 안착되어 고정됨으로써, 기체 유도관(300)이 실축(100)의 외측에 장착되며, 브라켓(130)에 의해 실축(100)과 기체 유도관(30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즉, 기체 유도관(300)은 실축(100)의 외측에 실축(100)과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브라켓(130)에 몸체부(310)가 안착되는 부분은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부(310)가 파이프 형상임에 따라, 몸체부(310)의 외형이 굴곡져 있으므로 브라켓(130)에 몸체부(310)가 안착되는 부분이 이에 대응하도록 굴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브라켓(130)에 몸체부(310)가 안착되는 부분이 굴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파이프 형상의 몸체부(310)가 브라켓(130)에 잘 안착될 수 있으며, 브라켓(130)에 안착된 몸체부(310)는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몸체부(310)는 세 개의 브라켓(130)으로 파이프(100b)에 고정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실축(100)의 외측에 세 개의 기체 유도관(300)이 배치됨에 따라, 각 기체 유도관(300)의 몸체부(310)는 세 개의 브라켓(130)으로 파이프(100b) 외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유도관을 이용한 임펠러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면, 액체 수면 위의 기체(공기)는 유입부(311a)를 통해 중공(311) 내부로 유도되며, 중공(311)으로 유도된 기체(공기)는 제2중공(331)을 따라 이동하여 토출부(311b)를 통해 액체 속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실축(100)의 외측에 별도의 기체 유도관을 장착함으로써, 액체 외부에서 액체 내부로 기체를 유도할 수 있고, 특히 낮은 회전수에서 고효율로 기체 또는 가스를 액체 속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실축(100)에 직접 기체 유도관을 형성할 경우 블레이드 또는 파이프 등을 장착 또는 용접함으로 인하여 축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실축(100)의 외측에 별도의 기체 유도관을 장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구조적으로 실축(1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체 유도관의 제작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동등 수준의 교반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구조의 단순화로 인하여 제작 비용이 매우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실축(100)에 중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교반 시 교반 물질이 중공이 형성된 실축(100)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실축 200 : 블레이드부
210 : 원판 230 : 경사날개
250 : 수직날개 270 : 블레이드
300 : 기체 유도관 310 : 몸체부
311 : 중공 311a : 유입부
311b : 토출부
210 : 원판 230 : 경사날개
250 : 수직날개 270 : 블레이드
300 : 기체 유도관 310 : 몸체부
311 : 중공 311a : 유입부
311b : 토출부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일부분이 액체의 내부에 배치 가능하고, 브라켓이 마련되어 있는 실축;
상기 실축의 액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날개를 포함하는 블레이드부;
상기 실축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에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유도관;을 포함하되,
상기 기체 유도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의 일단은 유입부가 되고, 상기 유입부는 액체 외부에 배치되어 기체가 상기 중공 내로 유입되도록 하며,
일부분이 절곡되되, 상기 블레이드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된 부분의 끝단인 상기 중공의 타단이 토출부가 되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수직날개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중공 내로 유도된 기체가 상기 토출부를 통하여 액체 속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유도관을 이용한 임펠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2135A KR101949947B1 (ko) | 2017-03-31 | 2017-03-31 |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2135A KR101949947B1 (ko) | 2017-03-31 | 2017-03-31 |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1326A KR20180111326A (ko) | 2018-10-11 |
KR101949947B1 true KR101949947B1 (ko) | 2019-02-19 |
Family
ID=6386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2135A KR101949947B1 (ko) | 2017-03-31 | 2017-03-31 |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99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3538A (ko) | 2022-11-03 | 2024-05-10 | 주식회사 하도 | 반응 가속화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17325B (zh) * | 2021-09-01 | 2022-10-04 | 南京工业大学 | 一种搅拌式气液反应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653Y1 (ko) * | 2001-09-04 | 2001-12-24 | 김귀연 | 폭기식 정화장치 |
JP2004305968A (ja) * | 2003-04-09 | 2004-11-04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生ごみ処理方法及び装置 |
US20070063359A1 (en) * | 2005-09-16 | 2007-03-22 | Dowd Robert P | Aeration system and method |
KR101064055B1 (ko) * | 2009-07-08 | 2011-09-08 | 강석웅 | 기계식 슈퍼 폭기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96148A (en) * | 1992-02-18 | 1993-03-23 | Nigrelli Systems Inc. | Aerator |
-
2017
- 2017-03-31 KR KR1020170042135A patent/KR1019499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653Y1 (ko) * | 2001-09-04 | 2001-12-24 | 김귀연 | 폭기식 정화장치 |
JP2004305968A (ja) * | 2003-04-09 | 2004-11-04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生ごみ処理方法及び装置 |
US20070063359A1 (en) * | 2005-09-16 | 2007-03-22 | Dowd Robert P | Aeration system and method |
KR101064055B1 (ko) * | 2009-07-08 | 2011-09-08 | 강석웅 | 기계식 슈퍼 폭기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3538A (ko) | 2022-11-03 | 2024-05-10 | 주식회사 하도 | 반응 가속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1326A (ko) | 2018-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364776B (zh) | 粉体液体混合机 | |
CA2570936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ffused aeration | |
US5246289A (en) | Agitator having streamlined blades for reduced cavitation | |
US7997788B2 (en) | Submersible mixing propeller | |
CN103958041B (zh) | 具有槽形叶片的搅拌叶轮 | |
CN109925917A (zh) | 一种用于化工生产的物料混合搅拌设备 | |
CN104437329B (zh) | 化合物釜式反应器 | |
US20150292523A1 (en) | Conical Impeller and Applications Thereof | |
KR101949947B1 (ko) | 기체 유도관 및 이를 이용한 임펠러 | |
WO2023151308A1 (zh) | 一种具有自吸和气液分散功能的搅拌器 | |
US9108170B2 (en) | Mixing impeller having channel-shaped vanes | |
KR20180044516A (ko) | 임펠러 | |
JPS62177292A (ja) | パルプ材料に液体または気体を混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US20090213684A1 (en) |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a gas into a body of liquid | |
KR20180028795A (ko) | 임펠러 | |
KR100581748B1 (ko) | 자흡기능과 교반기능이 구비된 유체공급장치와 이를이용한 포기장치 | |
CA2663861C (en) | Apparatus for distribution of a gas into a body of liquid | |
CN207628319U (zh) | 一种高效的不锈钢搅拌装置 | |
CN111514803A (zh) | 内循环式固液混合系统 | |
JP2020054974A (ja) | 反応装置 | |
KR100847693B1 (ko) | 하수처리용 교반장치 | |
RU2825403C1 (ru) | Перемеш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CN214346094U (zh) | 磁力搅拌桨 | |
CN213610980U (zh) | 用于油橄榄保健食品加工的固液物料混合搅装置 | |
KR101736159B1 (ko) | 교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