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733B1 - 믹서기 - Google Patents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733B1
KR101972733B1 KR1020190004461A KR20190004461A KR101972733B1 KR 101972733 B1 KR101972733 B1 KR 101972733B1 KR 1020190004461 A KR1020190004461 A KR 1020190004461A KR 20190004461 A KR20190004461 A KR 20190004461A KR 101972733 B1 KR101972733 B1 KR 10197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actuator
rotary shaft
shaf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섭
Original Assignee
박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섭 filed Critical 박주섭
Priority to KR102019000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01F7/22
    • B01F15/00538
    • B01F15/006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2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dissimi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1Mounting or supporting stirrer shafts or stirrer units on receptacles
    • B01F7/0064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싱하는 데 사용하는 믹싱 탱크 안에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에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믹싱 액추에이터를 장착하므로,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믹싱 액추에이터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하여 교반 효과를 높여 짧은 시간에 골고루 믹싱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슬립 링(Slip Ring) 방식으로 외부에서 믹싱 액추에이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믹싱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에도 교반 날개를 추가하여 구성하므로, 항상 교반 날개가 한쪽으로 회전하면서 이와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한 믹싱 액추에이터가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교반 작용을 하게 하여 믹싱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믹서기{M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믹싱 탱크 안에서 회전하는 회전축에 적어도 하나의 믹싱 액추에이터를 장착하므로, 믹싱 액추에이터에 장착한 교반 날개가 2축으로 회전하면서 믹싱시켜 주므로 믹싱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액체나 고체 그리고 분체 등을 혼합하여 섞는 믹서기는, 그 섞는 대상 등을 고려하여,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기술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76026호 (등록일 : 2011.10.17)
거품을 균일하게 혼합한 대유량의 슬러리를 안정 공급할 수 있고, 슬러리에 공급해야 할 거품량을 줄일 수 있는 혼합교반기 및 혼합 교반 방법을 제공한다. 혼합교반기는, 케이싱, 회전반, 슬러리 배출구, 글러리 급송관 및 중공연결부를 구비한다. 거품공급구가, 원환벽 또는 중공연결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슬러리 배출구에 유입하기 직전의 슬러리 또는 중공연결부의 슬러리에 거품을 공급한다. 슬러리 및 거품은, 슬러리 배출구 또는 그 하류 측에서 혼합한다. 거품은, 혼합교반기의 교반 충격을 실질적으로 받지 않아, 소실하는 거품의 양이 줄어든다. 거품은, 슬러리 유량을 증대했을 때라도 슬러리에 균일하게 혼합하므로, 석고보드의 제조 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619367호 (등록일 : 2016.05.02)
다중 임펠러 믹서 및 폐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한 콘 믹서와 듀얼 팬 믹서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생산되는 순환골재 입도 조절 다중혼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이종의 순환골재를 다양한 종류의 믹서를 거쳐 순환골재의 입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 컨베이어 벨트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중 임펠러 믹서 및 폐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한 콘 믹서와 듀얼 팬 믹서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생산되는 순환골재 입도 조절 다중혼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다중 임펠러 믹서 및 폐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한 콘 믹서와 듀얼 팬 믹서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생산되는 순환골재 입도 조절 다중혼합시스템은, 입자 크기가 서로 다른 순환골재가 투입되어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내벽에 폐 컨베이어 벨트가 부착되는 믹서 하우징과; 상기 믹서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다중 구조로 설치되어 믹서 하우징 내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이종의 순환골재를 혼합시키는 임펠러 믹서와; 상기 믹서 하우징의 내측 중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 믹서를 거쳐 혼합된 순환골재를 혼합시키는 콘 믹서와; 상기 믹서 하우징의 내측 하부에 듀얼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콘 믹서를 거쳐 혼합된 순환골재를 혼합시키는 팬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4906호
스크레이퍼식 믹서의 혼련 영역에서 석고 슬러리를 균일하고 또한 충분히 혼련한다. 믹서는 석고 슬러리를 혼련하는 혼련 영역을 형성하는 원형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소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원반과, 회전 원반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회전 구동축과, 혼련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스크레이퍼와, 혼련 영역의 석고 슬러리를 석고 보드용 원지 상에 공급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원환벽에 배열설치된 슬러리 배출구를 가진다. 슬러리 배출구의 개구는 복수의 협소 개구로 분할되어, 혼련 영역으로부터 유출되는 석고 슬러리의 유동 저항이 증대한다. 회전 원반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환형상 기부가 회전 원반의 회전 중심과 동심형상으로 혼련 영역에 배치되고, 스크레이퍼의 내단부가 환형상 기부에 고정된다. 스크레이퍼는 회전 원반의 회전 방향 후방으로 굴곡 또는 만곡된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믹서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실질적으로 믹싱 작용을 일으키는 회전수단, 즉 회전 원반이나 임펠러 등이 한쪽으로만 회전하므로, 믹싱 효과를 얻는 데 한계가 있다.
(2) 즉, 믹싱하고자 하는 액체나 분체 등을 담은 탱크나 믹싱 탱크 안에 회전 원반이나 임펠러를 장착하게 되는 데, 이때 믹싱 탱크에 회전 원반이나 임펠러를 장착한 축을 회전시켜서 믹싱 작업을 하게 된다. 이에, 이 회전 원반이나 임펠러가 한쪽으로만 회전하게 되므로, 액체나 분체가 이들 회전 원반이나 임페러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믹싱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어 회전수단의 회전력이 닿지 않는 부분 등에는 잘 섞이지 않거나, 잘 섞이게 하려면 회전수단의 회전력을 높여야 한다.
(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여러 개의 회전수단을 장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회전수단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4) 각 회전수단을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하거나, 하나의 축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회전수단을 작동하게 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제조와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이 있다.
(5) 특히, 이처럼 여러 개의 회전수단을 장착함에 따라 기존 믹서기의 크기가 커져 그만큼 장착 공간도 넓게 확보해야 할 뿐만 아니라 크게 제작해야 하므로 제조비용과 유지보수가 더욱 어려워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076026호 (등록일 : 2011.10.17) 한국등록특허 제1619367호 (등록일 : 2016.05.0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4906호 (공개일 : 2018.05.0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믹싱하는 데 사용하는 믹싱 탱크 안에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에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믹싱 액추에이터를 장착하므로,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믹싱 액추에이터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하여 교반 효과를 높여 짧은 시간에 골고루 믹싱할 수 있게 한 믹서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슬립 링(Slip Ring) 방식으로 외부에서 믹싱 액추에이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믹싱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게 한 믹서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에도 교반 날개를 추가하여 구성하므로, 항상 교반 날개가 한쪽으로 회전하면서 이와 교차하는 방향에 설치한 믹싱 액추에이터가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교반 작용을 하게 하여 믹싱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한 믹서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유체나 고체를 섞기 위한 믹싱 탱크(100); 상기 믹싱 탱크(100) 안에 설치하여 액추에이터(21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00); 상기 믹싱 탱크(100)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 지지와 상기 액추에이터(21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부재(300); 상기 회전축(200)에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방향과 교차하여 회전하게 설치하며, 축에는 교반 날개(410)를 갖춘 믹싱 액추에이터(400); 및 상기 지지 부재(300)에 장착하여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50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전원공급수단(500)은,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 부재(300)에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게 장착하고,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링 부재(510); 상기 링 부재(510)에 밀착하여 회전하면서 외부 전력을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공급하는 접촉 단자(520); 및 상기 회전축(200)에 전기적으로 절연하게 설치하고, 상기 접촉 단자(520)가 항상 링 부재(510)에 접촉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촉 단자(520)와 믹싱 액추에이터(400) 사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521)은, 상기 회전축(200)을 중공으로 제작하고 그 안에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는, 수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는, 적어도 두 개를 설치하되, 각 믹싱 액추에이터(400)의 회전 방향이 서로 교차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축(20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조 교반 날개(23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믹싱 액추에이터가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믹싱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회전축과 믹싱 액추에이터의 회전 방향이 다르게 회전하면서 교반 작용을 하므로 교반 효과를 높여 골고루 섞어주게 된다.
(2) 즉, 믹싱 액추에이터에 장착한 교반 날개가 2축으로 회전하면서 믹싱 탱크 내에서 교반 작용을 하게 되어 믹싱 탱크 안에서의 믹싱 효과를 높여준다.
(3) 또한, 회전축에 장착하는 믹싱 액추에이터를 적어도 두 개 장착할 때는, 이들 믹싱 액추에이터의 회전 방향이 서로 교차하게 장착하므로, 각 믹싱 액추에이터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면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믹싱 액추에이터를 회전축으로 회전시켜 교반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이러한 교반 작용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4) 그리고 본 발명은 이처럼 회전축에 믹싱 액추에이터를 장착하는 개수와 장착 방향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교반 효과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 쉽고 저렴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5) 한편, 외부에서 믹싱 액추에이터에 전력을 공급할 때는 회전체에 전력을 공급할 때처럼 슬립 링(Slip Ring) 방식을 채택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안전하게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다.
(6) 또한, 상기 회전축에도 적어도 하나의 보조 교반 날개를 장착하므로,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교반 작용을 일으키게 하고, 동시에 믹싱 액추에이터가 회전축의 회전으로 방향을 바꿔가면서 믹싱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교반 작용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원공급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믹서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믹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믹싱 탱크(100), 회전축(200), 지지 부재(300), 믹싱 액추에이터(400), 그리고 전원공급수단(5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는 상기 회전축(200)에 이 회전축(200)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장착함으로써, 회전축(200)이 회전함에 따라 믹싱 액추에이터(400)도 함께 돌아가면서 교반 작용을 하게 하여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장착한 교반 날개(410)가 2축으로 회전하면서 교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수단(500)은 회전체에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할 때 사용하는 슬립 링(Slip Ring) 방식으로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고 안전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로는 수중용 모터를 이용하므로, 액체를 믹싱하거나 분체 등을 믹싱하더라도 안전하게 믹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믹싱 탱크>
믹싱 탱크(100)는, [도 1]과 같이, 믹싱하려는 대상물을 공급받아 그 안에서 교반 작용을 통해 믹싱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일종의 교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믹싱 탱크(100)는 믹싱하려는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믹싱 작업 중에 쉽게 부식하거나 부서지지 않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산성의 대상물을 믹싱하는 믹싱 탱크(100)의 경우 금속 등으로 제조하면 부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산성을 가진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믹싱 탱크(100)를 제작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믹싱 탱크(100)는, 내부 공간이 소정의 지름을 가진 원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믹싱 탱크(100)에는 후술할 회전축(200)을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므로, 이 회전축(200)과 여기에 장착하는 믹싱 액추에이터(400)가 소정의 원 형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믹싱 탱크(100)도 이에 알맞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믹싱 탱크(100)에는 물이나 기름과 같은 액체뿐만 아니라 밀가루나 자갈 그리고 모래와 같은 고체 등 믹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믹싱 탱크(100) 안에 투입하여 골고루 균일하게 교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회전축>
회전축(2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믹싱 탱크(100) 안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200)은, [도 1]과 같이, 후술할 믹싱 액추에이터(400)를 적어도 하나 설치하여 교반 작업할 수 있게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믹싱 탱크(100)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200)은, [도 1]과 같이 양쪽 끝 부분을 각각 후술할 지지 부재(300)와 믹싱 탱크(100)의 한쪽이나, 믹싱 탱크(100) 내부에 양쪽이 회전할 수 있게 베어링(220) 지지를 받아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축(200)을 한쪽만 베어링 지지하게 하여 장착할 수도 있으나, 후술할 믹싱 액추에이터(400)의 개수가 많아지면 회전축(200)에 가해지는 토크가 커지게 되어 안정적으로 회전 지지를 할 수 없을 수 있다. 이에, 회전축(200)의 양단 부분을 베어링(220)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믹싱 액추에이터(400)를 회전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회전축(200)은, [도 1]과 같이, 한쪽에 액추에이터(210)를 장착한다. 액추에이터(210)는 회전축(200)을 회전시켜 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모터, 회전축(200)과 체인으로 연결한 모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210)로 모터를 사용할 때는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적절한 비율의 감속기(230)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지지 부재>
지지 부재(300)는, [도 1]과 같이, 상술한 회전축(200)의 한쪽과 액추에이터(210) 등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지지 부재(300)는, [도 1]과 같이, 믹싱 탱크(100)에 장착하여 회전축(2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장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300)는 믹싱 탱크(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회전축(200)이 중력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믹싱 탱크(10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축(200)이 중력 방향과 나란하지 않으면 회전축(200)이 휠 우려가 있어 회전축(200)을 고가의 재질로 제작하거나 지름을 크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지지 부재(300)는, [도 1]과 같이, 용기 형태로 제작하되, 한쪽은 상술한 믹싱 탱크(100)에 밀착하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은 상술한 액추에이터(21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300)에는 내부에 구획 판(310)을 갖춰서 상술한 액추에이터(210)에 장착한 회전축(200)을 회전 지지하게 하고, 동시에 믹싱 탱크(100)에서 교반 중인 대상물이 지지 부재(300)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300)는, [도 1]에서 믹싱 탱크(100) 밖으로 돌출하게 장착한 것을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때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300)는 믹싱 부재(100) 안으로 들어가게 장착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 믹싱 액추에이터>
믹싱 액추에이터(400)는, [도 1]과 같이, 상술한 회전축(200)에 적어도 하나 장착하여 교반 작용을 일으킬 수 있도록 교반 날개(410)를 갖춘다.
특히,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는, [도 1]과 같이, 회전축(200)의 회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 회전축(200)에 장착한다. 이에, 회전축(200)이 회전하면서 동시에 믹싱 액추에이터(400)가 회전하면,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장착한 교반 날개(410)가 2축 회전 작용을 하게 되어 교반 효과를 높여 믹싱 작업이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는 이처럼 교반 날개(410)를 구동하여 믹싱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액추에이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중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는, 믹싱 탱크(100)에 투입하여 믹싱하는 대상물이 액체이든 고체나 가루 형태든지 상관없이 믹싱 작업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는, [도 1]과 같이, 상술한 회전축(200)에 적어도 하나를 장착한다. 이때, 두 개 이상의 믹싱 액추에이터(400)를 장착할 때는, 각 믹싱 액추에이터(400)의 회전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함으로써, 믹싱 탱크(100) 내에서 와류 발생을 유도하여 믹싱 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믹싱 액추에이터(40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후술할 전원공급수단(500)을 통해 믹싱 탱크(100)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게 된다.
<전원공급수단>
전원공급수단(50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지지 부재(300)에 장착하여, 믹싱 탱크(100) 외부에 공급받은 전력을 상술한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공급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수단(500)은, [도 1]과 같이, 믹싱 액추에이터(400)가 회전하는 회전축(200)에 장착하여 회전하게 설치하므로, 이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521)이 꼬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수단(500)은 슬립 링(Slip Ring)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슬립 링은 모터의 회전축과 같은 회전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통상의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전원공급수단(500)은, [도 2]와 같이, 링 부재(510), 접촉 단자(520), 그리고 탄성 부재(530)를 포함한다.
링 부재
링 부재(510)는, [도 2]와 같이, 전체 형상이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력은 상술한 회전축(200)이나 지지 부재(300)에 전달하지 못하도록 절연 재질로 마감한다. 이때, 상기 링 부재(510)는 상술한 믹싱 탱크(100)의 내부와 마주하는 면에는 외부에 노출하게 하여 후술할 접촉 단자(520)가 접촉하여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링 부재(510)는, [도 1] 및 [도 2]에서 링 형태로 제작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판 형태나 사각 형태 등, 통상 회전축(200)이 회전함에 따라 이 회전축(200)과 함께 회전하는 접촉 단자(520)가 항상 접촉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모양이나 형상으로도 제작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접촉 단자
접촉 단자(520)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링 부재(510)에 밀착하여 외부에서 이 링 부재(510)를 통해 공급받은 전력을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단자이다.
이러한 접촉 단자(520)는 도전성 재질로 제작하고, 특히 상술한 링 부재(510)에 항상 접촉하여 회전축(200)이 회전함에 따라 접촉한 상태에서 항상 회전해야 하므로, 쉽게 마모되지 않으면서도 정확하게 원하는 전력을 얻을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탄성 부재
탄성 부재(530)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접촉 단자(520)를 눌러서 항상 링 부재(510)에 밀착하게 구성함으로써, 접촉 단자(520)가 링 부재(510)에서 이탈하였다가 다시 붙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탄성 부재(530)는, [도 2]와 같이, 한쪽을 상술한 회전축(200)에 고정 설치하고 다른 한쪽을 상기 접촉 단자(520)를 지지하면서 링 부재(510)에 밀착하게 장착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511"은 링 부재가 회전축과 전기적으로 도전하지 않게 구분하는 절연 부재를, "521"은 접촉 단자(520)와 믹싱 액추에이터(400)를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을, "522"는 상기 전선(521)을 회전축(200)에 고정하는 케이블 타이와 같은 고정구를 각각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믹싱 효과를 발생하는 믹싱 액추에이터가 회전축의 회전으로 믹싱 방향이 달라짐에 따라 믹싱 탱크 내에서의 믹싱(교반) 효과를 더욱 높여주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믹서기는, [도 3]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전선(521)의 장착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실시예 2]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3]과 같이, 회전축(200')을 구성할 때, 내부를 중공인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이 회전축(200') 내부에는 전원공급수단(500)에서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전력을 공급할 때 사용하는 전선(521)을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선(521)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여 믹싱하는 내용물에 의해 전선(52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선(521)의 내구성을 높여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도 4]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교반 날개(23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실시예 3]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3]은, [도 4]와 같이, 상술한 회전축(200)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교반 날개(230)를 추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상술한 믹싱 액추에이터(400)가 회전축(200)의 회전으로 방향을 바꿔가면서 교반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과 함께, 이 보조 교반 날개(230)를 통한 교반 작용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믹싱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 믹싱 탱크
200, 200' : 회전축
210 : 액추에이터
220 : 베어링
300 : 지지 부재
310 : 구획 판
400 : 믹싱 액추에이터
410 : 교반 날개
500 : 전원공급수단
510 : 링 부재
520 : 접촉 단자
530 : 탄성 부재

Claims (6)

  1. 유체나 고체를 섞기 위한 믹싱 탱크(100);
    상기 믹싱 탱크(100) 안에 설치하여 액추에이터(21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00);
    상기 믹싱 탱크(100)에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 지지와 상기 액추에이터(21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 부재(300);
    상기 회전축(200)에 상기 회전축(200)의 회전방향과 교차하여 회전하게 설치하며, 축에는 교반 날개(410)를 갖춘 믹싱 액추에이터(400); 및
    상기 지지 부재(300)에 장착하여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500);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수단(500)은,
    상기 회전축(200)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지지 부재(300)에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게 장착하고,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링 부재(510);
    상기 링 부재(510)에 밀착하여 회전하면서 외부 전력을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에 공급하는 접촉 단자(520); 및
    상기 회전축(200)에 전기적으로 절연하게 설치하고, 상기 접촉 단자(520)가 항상 링 부재(510)에 접촉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접촉 단자(520)와 믹싱 액추에이터(400) 사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521)은,
    상기 회전축(200)을 중공으로 제작하고 그 안에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4. 제1항에서,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는,
    수중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믹싱 액추에이터(400)는,
    적어도 두 개를 설치하되, 각 믹싱 액추에이터(400)의 회전 방향이 서로 교차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6. 제5항에서,
    상기 회전축(20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조 교반 날개(23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KR1020190004461A 2019-01-14 2019-01-14 믹서기 KR10197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61A KR101972733B1 (ko) 2019-01-14 2019-01-14 믹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461A KR101972733B1 (ko) 2019-01-14 2019-01-14 믹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733B1 true KR101972733B1 (ko) 2019-04-25

Family

ID=6628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461A KR101972733B1 (ko) 2019-01-14 2019-01-14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7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026B1 (ko) 2003-05-26 2011-10-21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혼합교반기, 혼합 교반 방법 및 석고보드 제조방법
KR101619367B1 (ko) 2016-03-04 2016-05-10 두제산업개발(주) 다중 임펠러 믹서 및 폐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한 콘 믹서와 듀얼 팬 믹서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생산되는 순환골재 입도조절 다중혼합시스템
KR101644137B1 (ko) * 2014-09-29 2016-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머드 저장용 탱크
KR20180044906A (ko) 2015-08-26 2018-05-03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믹서 및 믹싱 방법
KR20180085133A (ko) * 2017-01-18 2018-07-26 김유학 수중 교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026B1 (ko) 2003-05-26 2011-10-21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혼합교반기, 혼합 교반 방법 및 석고보드 제조방법
KR101644137B1 (ko) * 2014-09-29 2016-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머드 저장용 탱크
KR20180044906A (ko) 2015-08-26 2018-05-03 요시노 셋고 가부시키가이샤 믹서 및 믹싱 방법
KR101619367B1 (ko) 2016-03-04 2016-05-10 두제산업개발(주) 다중 임펠러 믹서 및 폐 컨베이어 벨트를 활용한 콘 믹서와 듀얼 팬 믹서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과정 중 생산되는 순환골재 입도조절 다중혼합시스템
KR20180085133A (ko) * 2017-01-18 2018-07-26 김유학 수중 교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9429A2 (en) Mixer
KR20130112491A (ko) 교반기
KR101972733B1 (ko) 믹서기
KR100539400B1 (ko) 다중 날개를 가진 교반스크류 및 교반장치
JP6869414B1 (ja) 攪拌装置
JP2010155220A (ja) 撹拌装置
KR20140063178A (ko) 분할식 교반축
CN114797557A (zh) 搅拌装置和混合设备
JP6054488B1 (ja) セルフレベリング材スラリー供給装置及び平坦面の形成方法
JP2888798B2 (ja) 混合機
CN102728258A (zh) 犁刀式混合机
CN209735425U (zh) 一种粉质涂料配比混合搅拌筒
CN102908924A (zh) 一种新型螺带搅拌机
CN209476131U (zh) 一种驱动装置以及涂料制备系统
KR102115320B1 (ko) 교반기 자동제어 장치
CN209350563U (zh) 一种高效搅拌机
JP4368707B2 (ja) 粉粒体の攪拌装置
JPH07313860A (ja) グラウト材の攪拌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攪拌方法
CN210552117U (zh) 一种混凝土搅拌机
CN204955101U (zh) 一种陶瓷泡沫混凝土搅拌中心
JPS6024565Y2 (ja) 連続ベントナイト液製造装置
CN213221703U (zh) 一种混合搅拌机
JPH06343846A (ja) 撹拌機
KR100573540B1 (ko) 교반기
JP2672817B2 (ja) 混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