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193B1 -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193B1
KR102114193B1 KR1020130047505A KR20130047505A KR102114193B1 KR 102114193 B1 KR102114193 B1 KR 102114193B1 KR 1020130047505 A KR1020130047505 A KR 1020130047505A KR 20130047505 A KR20130047505 A KR 20130047505A KR 102114193 B1 KR102114193 B1 KR 10211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hear
concrete
concrete body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94A (ko
Inventor
야스시 오히라
Original Assignee
케이에프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프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에프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전단 파괴에 앞서서, 휨 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콘크리트 몸체, 그 내진 보강 공법, 및 이 공법에 이용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몸체는, 대향하는 제1의 면 및 제2의 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벽과, 상기 콘크리트 벽 내에 매설된 철근 구조와, 상기 콘크리트 벽의 상기 제1의 면으로부터 제1의 거리를 둔 제1의 위치와, 상기 제2의 면으로부터 제2의 거리를 둔 제2의 위치 사이에서, 봉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콘크리트 벽 내에서 분산하여 매설된 복수의 전단 보강근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BODY}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몸체, 그 내진 보강 공법 및 이 공법에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몸체는,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은 철근 구조가 매설되어 있으나, 같은 도면의 Y 방향으로 배치된 철근이 부족하기 때문에, 내진 보강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구조물의 옹벽이나 암거[暗渠, culvert] 등 시공면이 한정된 콘크리트 몸체에 내진 보강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시공이 행하여진다. 우선, 콘크리트 몸체의 시공면으로부터 장공 형상의 삭공(削孔)을 복수로 형성하고, 이러한 삭공 각각에 봉 형상의 전단 보강재를 삽입한다. 계속하여, 삭공과 전단 보강재 사이의 틈에 모르타르 등의 정착재를 충전하여, 전단 보강을 행한다. 이러한 전단 보강근의 시공법에서는, 될 수 있는 한 긴 삭공을 형성하여, 이러한 삭공에 대응하는 긴 보강재를 매설하거나, 혹은 표면에 보강용의 강판을 설치하여 보강근으로 연결하는 것이 보강 효과를 높인다고 생각되어 왔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미관상 혹은 공용상의 문제로부터 보강 철근이 표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한 구조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2-102492 일본공개특허 특개2003-113673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200827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전단 보강근의 후단부는, 시공면 부근에 위치한다. 즉, 전단 보강근과 후단부와, 콘크리트 벽의 벽면 사이에는, 겨우 화장(化粧) 모르타르가 매워져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단 보강근의 증설에 의하여, 콘크리트 몸체 전체가 강체 구조가 되어 버린다. 따라서, 결국 강도는 높아지더라도, 전단 강도와 함께 휨 강도도 높아져버려 인성(靭性)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그 결과, 구조로서 점착력이 없으며, 도 12와 같이 콘크리트 몸체에 작용하는 응력이, 어느 응력에 도달하기까지는 파괴되지 않지만, 갑자기, 전단 파괴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전단 파괴가 생기면, 구조물 전체가 무너져 내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콘크리트 몸체에 인성이 있으면, 전단 파괴에 앞서 휨 파괴가 일어나지만, 휨 파괴에서는 콘크리트 몸체가 비틀려 구부러져 서서히 국부적으로 무너져 가면서, 전체가 일시에 무너져 내리는 것은 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인명이 걸린 중대한 피해가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며, 전단 파괴에 앞서 휨 파괴를 일으킬 수 있는 콘크리트 몸체, 그 내진 보강 공법, 및 이 공법에 이용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몸체는, 대향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진 콘크리트 벽과, 상기 콘크리트 벽 내에 매설되는 철근 구조와, 상기 콘크리트 벽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제1 거리를 둔 제1의 위치와,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제2 거리를 둔 제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봉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 내에서 분산하여 매설된 복수의 전단 보강근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콘크리트 벽의 내부에 매설된 전단 보강근이, 콘크리트 벽의 양 벽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즉, 전단 보강근의 양단부와 콘크리트 벽의 벽면 사이에, 이른바, '피복'이 설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몸체 전체가 강체 구조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콘크리트 몸체의 휨 강도를 향상시키는 일이 없이, 전단 강도만 향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설계 레벨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콘크리트 몸체에는 전단 파괴가 일어나는 일이 없이, 휨 파괴를 앞세울 수 있다. 이러한 휨 파괴에 의하여, 지진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몸체 전체의 궁극적인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휨 파괴가 선행하여, 전단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의 낙하, 무너져 내림을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설계를 웃도는 거대 지진에 대해서도 콘크리트 몸체 전체의 무너져 내림을 피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몸체로서 어느 정도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몸체에 있어서, 상기 철근 구조는, 다양한 구조를 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상기 콘크리트 벽 내의 상기 제1의 위치에 매설되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의 철근체와, 상기 콘크리트 벽 내의 상기 제2의 위치에 매설되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의 철근체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각 전단 보강근은, 상기 제1의 철근체 및 제2의 철근체의 격자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은, 대향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진 콘크리트 벽, 및 해당 콘크리트 벽에 매설된 철근 구조를 구비한 콘크리트 몸체에 대하여 삭공(削孔)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벽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제2 거리를 두는 제2 위치까지 연장된 복수의 삭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삭공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제1 거리를 둔 제1 위치와, 상기 제2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연장된 봉 형상의 전단 보강근을 각각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 공법에 있어서는, 상기 전단 보강근을, 상기 삭공에 삽입하는 단계에 앞서서, 상기 각 삭공에, 정착재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착재는, 부서져 끊어질 수 있는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삭공에 공급되며, 상기 전단 보강근을 상기 삭공에 삽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단 보강근이 상기 용기를 파괴하고, 상기 정착재를 상기 삭공 내에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 철근 구조는, 다양한 구조를 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의 철근체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의 철근체를, 상기 콘크리트 벽 내의 상기 제1의 위치에 매설하고, 상기 제2의 철근체를, 상기 콘크리트 벽 내의 상기 제2의 위치에 매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내진 보강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제1의 단부 및 제2의 단부를 가지고, 해당 양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제2의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에 자유로이 전진 후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전단 보강근을 타격 가능한 타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타격 부재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거리만큼 돌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타격 부재에 의하여 전단 보강근을 타격하여 삭공 내에 삽입할 때, 타격 부재가, 본체부의 제1 단부로부터, 제1의 거리만큼 돌출하도록 구성한다. 즉, 타격 부재는, 제1의 거리 이상 삭공측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전단 보강근의 후단부가, 콘크리트 벽의 제1 면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도록 매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피복'을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격 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상기 제2의 단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해당 돌출부에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2의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제1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의 거리보다도 돌출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단 파괴에 앞서서, 휨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콘크리트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전단 보강근의 매설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전단 보강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전단 보강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휨 파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전단 보강근의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전단 보강근의 시공을 이용한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적용 대상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콘크리트 몸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전단 파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몸체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직으로 연장된 지반의 표면에 배치된 콘크리트 몸체에 내진 보강을 실시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내진 보강이 이루어진 콘크리트 몸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콘크리트 몸체에 있어서, 지반측을 '선단측', 지반과는 반대측을 '후단측'으로 칭하는 것이다.
<1. 콘크리트 몸체의 구조>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몸체(1)는, 수직으로 연장된 지반(S)의 표면에 형성된 것이며, 콘크리트 벽(2)과, 그 내부에 매설된 철근 구조(3)로 구성된다. 이하, 콘크리트 벽(2)의 벽면에 관하여는, 지반측을 배면(제2의 면), 그것과는 반대측을 표면(제1의 면)으로 칭하면서, 표면이 시공면이 된다. 철근 구조는, 콘크리트 벽(2)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제1 철근체(41)와, 배면측에 배치되는 제2 철근체(42)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근(43)으로 구성된다. 제1 철근체(4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 철근(411)과, 이것과 직교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부 철근(412)을 구비하며, 이들이 격자 형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철근체(41)는, 콘크리트 벽(2)의 표면으로부터 대강 제1 의 거리(L1)를 두어, 면 방향(X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1의 거리(L1)를 둔, 철근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이른바 '피복'에 해당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2)의 표면으로부터 제1의 거리(L1)의 위치를 제1의 위치(P1)로 칭하기로 한다(또 4 참조).
제2의 철근체(42)도 같은 형태로 구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 철근(421)과, 이것과 직교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부 철근(422)을 구비하며, 이들이 격자 형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철근체(42)는 콘크리트 벽(2)의 배면으로부터 제2의 거리(L2)를 두어, 면 방향(X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2의 거리(L2)를 둔, 철근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도, '피복'에 해당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2)의 배면으로부터 제2의 거리(L2)의 위치를, 제2의 위치(P2)로 칭하기로 한다(도 4 참조). 여기서는, 제1의 거리(L1)와 제2의 거리(L2)를 같은 거리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거리는 시공 상황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피복'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주 철근 등의 철근체가 설치된 위치와 같은 것이다. 즉, 제1의 위치(P1)는 콘크리트 몸체(1)에 있어서 주 철근(411)의 철근심 위치에 상당하며, 제2의 위치(P2)는 주 철근(421)의 철근심 위치에 상당한다. 또한, 제1 철근체(41)와 제2 철근체(42)는 복수의 연결근(43)으로 연결된다. 연결근(43)은, 콘크리트 벽(2)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철근체(41, 42)의 격자의 교차 부분끼리 연결한다.
그리고, 이러한 콘크리트 몸체(1)에는, 내진 보강을 위하여, 복수의 전단 보강근(5)이 매설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전단 보강근(5)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벽(2)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매설된다. 매설되는 위치는, 대략 제1 철근체(41) 및 제2 철근체(42)에 있어서 격자의 내부이다. 즉, 제1 철근체(41) 및 제2 철근체(42)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매설된다.
도 4는 전단 보강근의 매설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같은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 보강근(5)은, 표면에 소정 형상의 리브를 가지는 다른 형상의 철근으로 구성된다. 또한, 선단이 45°로 커팅된 예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단 보강근(5)은 콘크리트 벽(2)의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삭공(21) 내에 삽입되는 것이며, 같이 삭공(21) 내에 공급되는 모르타르 정착재에 의하여 삭공(21) 내에 고정된다. 또한, 전단 보강근(5)은, 제1 철근체(41)와 제2 철근체(42)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콘크리트 벽(2) 내의 제1의 위치(P1)와 제2의 위치(P2) 사이의 거리(T)가 전단 보강근의 길이에 상당한다. 단, 이와 같은 전단 보강근(5)의 선단측 및 후단측에 '피복'이 형성되면 좋으므로, 전단 보강근(5)의 길이는 도시한 것보다 짧아도 좋다. 예를 들면, 전단 보강근의 길이는, 그 직경의 6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삭공(21)의 길이(D)는 제1의 거리(L1)와 전단 보강근(5)의 길이(T)의 합계가 된다.
<2.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다음으로,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대상이 되는 것은, 이미 설치된 콘크리트 몸체(1)이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근(43)에 의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 철근체(41, 42)가 매설된 콘크리트 몸체(1)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내진 보강을 위한 전단 보강근(5)의 매설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a)와 같이, 코어 드릴(6)을 콘크리트 벽(2)의 표면에 세팅하고, 삭공을 행한다. 단, 삭공을 행하는 드릴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해머 드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삭공을 행하는 위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 철근체(41, 42)의 격자 내부이다. 그리고, 도 5(b)와 같이, 제2의 위치(P2)에 도달하기까지 삭공(21)을 형성한다. 삭공(21)의 형성이 끝나면, 청수(淸水)를 삭공(21) 내에서 순환시켜, 삭공(21) 안을 세정한다.
다음으로, 모르타르 캡슐(7)을 준비한다. 모르타르 캡슐(7)은, 종이, 부직포 등 물이 침입할 수 있는 친수성 재료로 형성된 봉지에, 모르타르 분말을 수용한 것이며,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모르타르 캡슐(7)을 약 2~5분간, 물에 담근다. 이렇게 함으로써 물이 봉지의 내부에 진입하여, 모르타르 분말과 수화반응이 일어난다. 수화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점토 상태의 모르타르 정착재는 경화가 시작되므로, 상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신속하게 모르타르 캡슐(7)을 삭공(21) 안에 삽입한다.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르타르 캡슐(7)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삭공(21)을 따라 일렬로, 삭공(21)이 매워지기까지 모르타르 캡슐(7)을 삽입한다.
이에 계속하여, 도 6(a)와 같이, 해머 드릴(8)의 선단에 전단 보강근(5)을 설치하고, 전단 보강근(5)의 후단부를 타격하면서, 삭공(21) 내에 전단 보강근(5)을 때려 넣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단 보강근(5)의 예리한 선단부가 삭공(21) 안의 캡슐(7)을 파괴하면서, 삭공(21)으로 진입하여 간다. 이렇게 하여, 전단 보강근(5)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이 삭공(21)의 안쪽 단부(제2의 위치(P2))에 도달하기까지 때려 넣는다. 이 과정에서, 파괴된 캡슐(7)로부터는 점토 상태의 모르타르 정착재가, 삭공(21) 내에서 전단 보강근(5)의 외주면 전체에 돌아 들어가며, 전단 보강근(5)의 전진에 의하여 모르타르 정착재가 삭공(21) 내에서 교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르타르 정착재가 전단 보강근(5)의 외주면과 삭공(21)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충전되고, 전단 보강근(5)이 삭공(21) 내에 정착한다.
이렇게 하여 삭공(21)에 정착한 전단 보강근(5)의 후단부는, 제1의 위치(P1)에 있으며, 이 후단부와 콘크리트 벽(2)의 표면 사이의 영역이 '피복'이 되지만, 삭공(21) 내의 이러한 영역에는 모르타르 정착재가 충전된다. 그리고, 삭공(21)으로부터 흘러넘친 여분의 모르타르 정착재는 마무리 미장에 의하여 제거한다. 모르타르 정착재가 부족한 경우에는, 별도의 모르타르 정착재를 삭공(21)에 충전한다. 이렇게 하여, 도 6(c)와 같이 시공이 완료된다.
<3. 특징>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콘크리트 벽(2)의 내부에 매설된 전단 보강근(5)이, 콘크리트 벽(2)의 양 벽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어 설치된다. 즉, 전단 보강근(5)의 양단부와 콘크리트 벽(2)의 벽면 사이에 철근이 매설되어 있지 않은, 이른바 '피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몸체(1) 전체가 강체 구조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콘크리트 몸체(1)의 휨 강도를 향상시키는 일이 없이, 전단 강도만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설계 레벨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에는, 도 7과 같이 콘크리트 몸체(1)에는 전단 파괴가 일어나는 일이 없이, 휨 파괴를 앞세울 수 있다. 이러한 휨 파괴에 의하여, 지진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몸체(1) 전체의 궁극적인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휨 파괴가 선행하여, 전단 파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의 낙하, 무너져 내림을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설계를 웃도는 거대 지진에 대하여도 콘크리트 몸체(1) 전체의 무너져 내림을 피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몸체(1)로서의 어느 정도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4.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단 보강근(5)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a)와 같이, 선단이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전단 보강근(5)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b)와 같이, 표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전단 보강근(5)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단 보강근(5)의 선단 형상이나 표면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정착재는, 전단 보강근(5)을 삭공(21) 내에서 정착할 수 있는 한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캡슐에 넣는 것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해머 드릴(8)에 의하여 전단 보강근(5)을 삭공 내에 삽입하였으나, 이것도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기타의 예로서, 예를 들면, 도 9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a)와 같이 이 장치(9)는, 관통공이 형성된 통 형상의 본체부(91)를 가진다. 본체부(91)에서, 삭공(21)과 대향하는 제1의 단부에는 삭공(21)의 직경보다도 큰 대직경부(92)가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에는, 제1의 단부로부터 전단 보강근(5)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91)의 관통공에는, 원기둥 형상의 타격 부재(93)가 전진 후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된다. 타격 부재(93)는, 제1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본체부(91)의 제2의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 부분에는 관통공보다도 큰 링 형상의 스토퍼(94)가 설치된다. 또한, 타격 부재(93)의 외주면에는, 스토퍼(94)와 제2의 단부 사이에서 스프링(95)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타격 부재(93)는 스프링(95)에 반발하여 눌려 들어가며, 압입력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로 되돌아 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타격 부재(93)가 눌려 들어가면, 그 선단부는, 제1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지만, 그 돌출되는 길이는, 도 9(d)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제1의 거리(L1)와 같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9)를 이용하여, 전단 보강근(5)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a)와 같이, 전단 보강근(5)의 일부를 삭공(21)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9(b)와 같이, 전단 보강근(5)의 후단부에 장치(9)의 본체부(91)를 설치한다. 이때, 전단 보강근(5)의 후단부는, 제1의 단부로부터 관통공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도 9(c)와 같이, 타격 부재(93)의 후단부를 해머 드릴(8)에 연결하거나, 핸드 해머 등으로 타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타격 부재(93)는 전단 보강근(5)의 후단측을 타격하고, 삭공(21) 내로 눌려 들어간다. 이때, 본체부(91)에는, 대직경부(9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부(91)는 삭공(21)에 끼어 들어가는 일이 없이 콘크리트 벽(2)의 표면에 맞닿아 접한 상태가 된다.
타격 부재(93)는 스프링(95)에 반발하여 눌려 들어가며, 전단 보강근(5)을 삭공(21) 안으로 눌러 넣지만, 이때, 도 9(d)와 같이, 타격 부재(93)의 선단부는 본체부(91)로부터 돌출하여, 콘크리트 몸체(1) 내의 제1의 위치(P1)까지 도달한다. 그러나, 타격 부재(93)에는 스토퍼(9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것이 제2의 단부에 맞닿아 접함으로써, 타격 부재(93)는 제1의 위치(91)보다도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타격 부재(93)로 눌려 들어가는 전단 보강근(5)은, 후단부가 제1의 위치(P1)에 있도록 눌러 넣어진다. 따라서, 전단 보강근(5)의 후단측에 '피복'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반(S)의 표면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1)의 내진 보강 공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몸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0(a)와 같은, 지중에 매설된 박스 암거(culvert)나, 도 10(b)와 같은, 토양면에 대하여 배치된 옹벽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보강을 행함에 있어서 시공면이 한정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몸체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몸체 자체도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콘크리트 벽(2) 중에 2개의 철근체(41, 42)를 매설한 콘크리트 몸체(1)를 예로 하였으나, 철근체를 포함하는 철근 구조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철근체가 1개 있더라도 좋으며, 3개 이상 있더라도 좋다. 또한, 각 철근체도 격자 형상이 아니어도 좋고, 주 철근만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한, 콘크리트 벽(2)의 제1의 면 및 제2의 면은, 반드시 두께 방향으로 대항하는 면이 아니라도 좋고, 두께 방향과는 다른 방향(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이라도 좋다.
1...콘크리트 몸체
2...콘크리트 벽
21...삭공
41...제1 철근체
42...제2 철근체
43...연결근
5...전단 보강근
9...장치
91...본체부
93...타격 부재
94...스토퍼
L1...제1의 거리
L2...제2의 거리
P1...제1의 위치
P2...제2의 위치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대향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가진 콘크리트 벽, 및 해당 콘크리트 벽에 매설된 철근 구조를 구비한 콘크리트 몸체에 대하여 삭공(削孔)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콘크리트 벽의 상기 제1 면에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제2 거리를 두는 제2 위치까지 연장된 복수의 삭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삭공에,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제1 거리를 둔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와의 사이에서 연장된 봉 형상의 전단 보강근을 각각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고, 해당 양단부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공에 자유로이 전진 후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 단부측에서 지지되는 전단 보강근을 타격 가능한 타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타격 부재는,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거리만큼 돌출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삭공에 상기 전단 보강근을 삽입하고, 상기 장치의 타격부재에 의해, 상기 전단 보강근을 타격함으로써, 상기 전단 보강근을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배치시키는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단 보강근을, 상기 삭공에 삽입하는 단계에 앞서서,
    상기 각 삭공에, 정착재를 공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착재는, 부서져 끊어질 수 있는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삭공에 공급되며,
    상기 전단 보강근을 상기 삭공에 삽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전단 보강근이 상기 용기를 파괴하고, 상기 정착재를 상기 삭공 내에 충전시키는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구조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의 철근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철근체는, 상기 콘크리트 벽 내의 상기 제1의 위치에 매설되며,
    상기 제2의 철근체는, 상기 콘크리트 벽 내의 상기 제2의 위치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 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해당 돌출부에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2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도 돌출되는 것이 제한되는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타격 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상기 제2 단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해당 돌출부에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2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타격 부재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도 돌출되는 것이 제한되는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KR1020130047505A 2013-04-03 2013-04-29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KR102114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8113A JP6110711B2 (ja) 2013-04-03 2013-04-03 コンクリート躯体、その耐震補強工法、及びこの工法に用いられる治具
JPJP-P-2013-078113 2013-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94A KR20140120794A (ko) 2014-10-14
KR102114193B1 true KR102114193B1 (ko) 2020-05-22

Family

ID=5166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505A KR102114193B1 (ko) 2013-04-03 2013-04-29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10711B2 (ko)
KR (1) KR102114193B1 (ko)
CN (1) CN1040999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34542A4 (en) 2017-12-28 2021-10-06 Connectec Japan Corporation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EQUIPPE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0418A (ja) * 2008-05-08 2009-11-19 Wakai & Co Ltd アンカー打ち込み具
JP2012077482A (ja) * 2010-09-30 2012-04-19 Okabe Co Ltd カプセルを用いた接着系アンカーの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8339A (en) * 1981-12-03 1984-05-15 Ronald Pettigrew Nail driving and recessing tool
KR920009316B1 (ko) * 1990-03-07 1992-10-15 주식회사 대우 하프 프리캐스트(half precast) 콘크리트 슬라브(slab)용 입체 조립철근
JP3932094B2 (ja) 2001-10-04 2007-06-20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カルバ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3936989B2 (ja) 2004-01-13 2007-06-27 アールシーアイ・セキジュ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工法
JP3668490B1 (ja) * 2004-08-18 2005-07-06 大成建設株式会社 せん断力補強構造
US7823356B2 (en) * 2004-08-18 2010-11-02 Taisei Corporation Shearing force reinforced structure and member
JP5610625B2 (ja) 2010-11-09 2014-10-22 株式会社ケー・エフ・シー コンクリート躯体の剪断補強構造及び剪断補強工法並びに剪断補強材
CN202592331U (zh) * 2012-05-31 2012-12-12 秦天增 钉子辅助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0418A (ja) * 2008-05-08 2009-11-19 Wakai & Co Ltd アンカー打ち込み具
JP2012077482A (ja) * 2010-09-30 2012-04-19 Okabe Co Ltd カプセルを用いた接着系アンカー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99999A (zh) 2014-10-15
CN104099999B (zh) 2018-04-03
JP2014201938A (ja) 2014-10-27
KR20140120794A (ko) 2014-10-14
JP6110711B2 (ja)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265B1 (ko)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1912346B1 (ko) 지반보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25180A (ko)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81468B1 (ko) 그라우트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KR102114193B1 (ko) 콘크리트 몸체의 내진 보강 공법
JP2016514222A (ja) 地下鉄筋コンクリート建造物用補強材、構造および方法
KR20120090502A (ko) 3방향 구속타입 전면판을 갖는 쏘일네일 장치
KR101262867B1 (ko) 탄성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KR20150039409A (ko) 근입 안정성이 우수한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와 그 시공방법
KR20130029906A (ko) 주변마찰력 증가 장치
KR101898338B1 (ko) 연약지반 정착용 앵커 조립체
KR101262868B1 (ko) 탄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JP5721661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増幅補強構造及び増幅補強方法
JP2020172809A (ja) 組積造構造物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2011231537A (ja) 耐震補強用傘型先端部拡開アンカー及びそれを用いた地盤と接する構造物の耐震補強工法
KR100793510B1 (ko) 텐션 소일네일 및 이를 이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JP6506902B2 (ja) 杭基礎構造、及び、杭基礎構造の構築方法
JP5881320B2 (ja) 新旧コンクリート打継部の補強方法および打継部の補強構造
JP5394311B2 (ja) 耐震補強用枝鉄筋座屈による先端部拡開アンカーを用いた地盤と接する構造物の耐震補強工法
Barrett et al. Shallow Landslide Repair Analysis Using Ballistic Soil Nails: Translating Simple Sliding Wedge Analyses into PC-Based Limit Equilibrium Models
JP2008261153A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工法
JP621813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の耐震補強構造及び方法
CN103924728A (zh) 端部无粘结不等强度钢筋混凝土梁
JP5318818B2 (ja) 耐震補強用斜め貫入式枝鉄筋先端部拡開アンカー及びそれを用いた地盤と接する構造物の耐震補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