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868B1 - 탄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탄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2868B1 KR101262868B1 KR1020120119989A KR20120119989A KR101262868B1 KR 101262868 B1 KR101262868 B1 KR 101262868B1 KR 1020120119989 A KR1020120119989 A KR 1020120119989A KR 20120119989 A KR20120119989 A KR 20120119989A KR 101262868 B1 KR101262868 B1 KR 101262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reinforcement
- elastic body
- support
- so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내진용 벽체 구조물의 단면도.
도 3은 탄성 보강재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전방 지지부의 사시도.
도 5는 후방 지지부의 사시도.
도 6은 탄성 보강재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탄성 보강재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20 : 보강재 21 : 전방 보강재
22 : 후방 보강재 100 : 탄성인가부
110 : 전방 지지부 111 : 관통공
112 : 결합부 120 : 후방 지지부
121 : 결합공 122 : 결합부
130 : 탄성체 140 : 탄성체 보호부
141 : 충전재 150 : 외피부
151 : 충전재 152 : 충전공
153 : 마개
Claims (14)
- 배후토사(4)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전방 구조물(10)을 후방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배후토사(4)에 매설됨과 아울러, 전단이 상기 전방 구조물(10)에 결합하고 후단이 앵커 또는 절토사면에 결합하는 보강재(20)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0)를 형성하는 봉형 구조의 전방 보강재(21)와 봉형 구조의 후방 보강재(22)의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전방 보강재(21)와 후방 보강재(22)의 구동에 대하여 탄성을 부여하는 한편, 소정 한계 이상의 변형을 제한하도록, 탄성인가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인가부(100)는
상기 전방 보강재(21)의 관통공(111) 및 상기 후방 보강재(22)의 결합부(112)가 형성된 전방 지지부(110);
상기 후방 보강재(22)의 관통공(121) 및 상기 전방 보강재(21)의 결합부(122)가 형성된 후방 지지부(120);
상기 전방 지지부(110) 및 후방 지지부(120)의 구동에 대하여 탄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전방 지지부(110)와 후방 지지부(120) 사이에 장착된 탄성체(13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인가부(100)는
상기 탄성체(130)의 탄성구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13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탄성체 보호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부(110) 및 후방 지지부(120)는 판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3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보호부(140)는 상기 전방 지지부(110)와 후방 지지부(120) 사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보호부(140)는 주름관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보호부(140)의 내부에는 상기 탄성구동공간을 확보하도록, 압축가능한 재질에 의한 충전재(141)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인가부(100)는
배후토사(4)로부터 상기 탄성체 보호부(140)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체 보호부(140)의 팽창구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 보호부(140)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외피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50)는 상기 전방 지지부(110)와 후방 지지부(120) 사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50)와 탄성체 보호부(140)의 사이 영역에는 상기 탄성체 보호부(140)의 팽창구동공간을 확보하도록, 압축가능한 재질에 의한 충전재(151)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50)에는 상기 충전재(151)의 삽입 또는 이탈을 위한 충전공(1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공(152)에는 개폐가능하도록 마개(15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보강재(A). - 배후토사(4)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상기 배후토사(4)의 전면에 설치된 전방구조물(10);
상기 전방 구조물(10)을 후방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배후토사(4)에 매설됨과 아울러, 전단이 상기 전방 구조물(10)에 결합하고 후단이 앵커 또는 절토사면에 결합하는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보강재(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벽체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9989A KR101262868B1 (ko) | 2012-10-26 | 2012-10-26 | 탄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9989A KR101262868B1 (ko) | 2012-10-26 | 2012-10-26 | 탄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2868B1 true KR101262868B1 (ko) | 2013-05-13 |
Family
ID=4866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9989A Active KR101262868B1 (ko) | 2012-10-26 | 2012-10-26 | 탄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286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0416B1 (ko) * | 2014-09-01 | 2015-01-14 | 건설표준시험원(주) |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
CN109555120A (zh) * | 2018-12-05 | 2019-04-02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预应力抗震消能锚杆 |
CN110016933A (zh) * | 2019-05-24 | 2019-07-16 | 郑州大学 | 一种装配式刚、柔组合型弹性抗震加筋土挡墙的施工方法 |
KR102384899B1 (ko) * | 2021-07-21 | 2022-04-1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비신장 구간과 신장 구간의 복합 구성에 의한 신장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보강재,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1841B1 (ko) * | 2008-11-27 | 2011-12-12 | 홍나영 | 내진용 벽체 구조물 |
KR101169732B1 (ko) | 2012-04-04 | 2012-07-30 | 초석엔지니어링(주) | 지중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
-
2012
- 2012-10-26 KR KR1020120119989A patent/KR10126286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1841B1 (ko) * | 2008-11-27 | 2011-12-12 | 홍나영 | 내진용 벽체 구조물 |
KR101169732B1 (ko) | 2012-04-04 | 2012-07-30 | 초석엔지니어링(주) | 지중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0416B1 (ko) * | 2014-09-01 | 2015-01-14 | 건설표준시험원(주) |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
CN109555120A (zh) * | 2018-12-05 | 2019-04-02 |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 一种预应力抗震消能锚杆 |
CN110016933A (zh) * | 2019-05-24 | 2019-07-16 | 郑州大学 | 一种装配式刚、柔组合型弹性抗震加筋土挡墙的施工方法 |
KR102384899B1 (ko) * | 2021-07-21 | 2022-04-1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비신장 구간과 신장 구간의 복합 구성에 의한 신장 조절이 가능한 보강토 보강재,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2868B1 (ko) | 탄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 |
CN106121076B (zh) | 一种高层建筑减震结构及其建造方法 | |
KR101262867B1 (ko) | 탄성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 |
CN104389307A (zh) | 一种可耗能自复位抗滑桩结构及实施方法 | |
KR101091841B1 (ko) | 내진용 벽체 구조물 | |
KR101990498B1 (ko) | 내진설계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 |
KR100844104B1 (ko) | 근접 병설 터널의 중앙 지지 유닛 | |
JP6215679B2 (ja) | 補強土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 |
KR101051966B1 (ko) | 복합형 내진용 보강토 옹벽 | |
JP2016108881A (ja) | 石積擁壁の補強構造及び石積擁壁の補強方法 | |
KR102093234B1 (ko) | 장착바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 |
KR101584306B1 (ko) | 조립식 암거 | |
CN110424388B (zh) | 一种耐震型模块化锚固装置 | |
JP5977177B2 (ja) | 擁壁の耐震補強工法 | |
JP5620886B2 (ja) | 杭基礎構造 | |
KR101110159B1 (ko) | 내진용 벽체 구조물 | |
JP6482863B2 (ja) | 地下構造物 | |
KR101742722B1 (ko) | 내진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내진 옹벽 구조물 | |
JP6476095B2 (ja) | 補強土一体型プレキャスト格子枠工法 | |
KR101590057B1 (ko) | 곡면부 처리가 가능한 원지반 부착식 옹벽 구조물 | |
JP2015055147A (ja) | 地中免震壁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JP2016003550A (ja) | 石積み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 |
KR101548170B1 (ko) | 내진완충용 패드가 구비된 조립식 pc암거 | |
KR20110108589A (ko) | 그라운드 앵커용 완충장치 | |
KR101110158B1 (ko) | 국부 진동을 허용하는 내진용 벽체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