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416B1 -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416B1
KR101480416B1 KR20140115288A KR20140115288A KR101480416B1 KR 101480416 B1 KR101480416 B1 KR 101480416B1 KR 20140115288 A KR20140115288 A KR 20140115288A KR 20140115288 A KR20140115288 A KR 20140115288A KR 101480416 B1 KR101480416 B1 KR 101480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etaining wall
reinforcing
inclined surfac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건설표준시험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설표준시험원(주) filed Critical 건설표준시험원(주)
Priority to KR2014011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등과 같이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강한 새로운 구조의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보강연결부재(C)는 전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1)에 고정되는 제1 보강부재(30)와, 후단부가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제2 보강부재(40)와,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재(30,40)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연결유닛(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결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측면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1 보강부재(3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부재(5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에서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실린더(5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보강부재(4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53)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과 상기 실린더(51)의 내부 후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51)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4)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진 등과 같은 큰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에 의해 보강연결부재(C) 전체가 적절히 신축되면서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함으로, 상기 보강연결부재(C)가 끊어지거나, 앵커부재(20)가 절개지의 경사면(A)으로부터 이탈되어 옹벽본체(B)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The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지진 등과 같이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강한 새로운 구조의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목공사에 의해 형성된 절개지의 경사면(A)에 시공되어, 경사면(A)의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 절개지의 경사면(A)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옹벽블록(11)을 쌓아올려 구성된 옹벽본체(B)와, 상기 옹벽본체(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재(C)로 구성된다.
상기 옹벽블록(11)은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재질의 블록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다수개를 벽돌과 같이 상측으로 쌓아올려 넓고 높은 옹벽본체(B)를 구성한다.
상기 보강연결부재(C)는 선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1)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매입되어, 상기 옹벽블록(11)이 토압에 의해 쉽게 무너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옹벽블록(11)을 쌓아서 옹벽블록(11)을 시공과 동시에, 상기 옹벽블록(11)이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도록 상기 보강연결부재(C)를 연결하고, 상기 옹벽본체(B)와 절개지 사이에 뒷채움재(D)인 토사나 잡석 등을 채우고 다짐을 하여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의 구조는 등록특허 10-1077949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상기 보강연결부재(C)는 탄성이 거의 없는 재질로 구성되어 단부에 구비된 앵커부재(20)에 의해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된다.
따라서, 지진 등과 같이 순간적으로 큰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면, 진동에 의해 발생된 하중이 상기 보강연결부재(C)로 집중되어, 상기 보강연결부재(C)가 끊어지거나, 앵커부재(20)가 절개지의 경사면(A)으로부터 이탈되어 옹벽본체(B)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앵커부재(20)가 절개지의 경사면(A)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더라도, 앵커부재(20)가 외측으로 당겨져 경사면(A)의 외측으로 끌려나오게 되고, 이에 따라, 보강연결부재(C)가 느슨해져 옹벽블록(11)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진 등과 같이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에 강한 새로운 구조의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개지의 경사면(A)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옹벽블록(11)을 쌓아올려 구성된 옹벽본체(B)와, 상기 옹벽본체(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재(C)를 포함하며, 상기 옹벽본체(B)와 경사면(A)의 사이에는 뒷채움재(D)인 토사 또는 잡석이 채워지는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재(C)는 전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1)에 고정되는 제1 보강부재(30)와, 후단부가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제2 보강부재(40)와,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재(30,40)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연결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연결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측면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1 보강부재(3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부재(5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에서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실린더(5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보강부재(4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53)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과 상기 실린더(51)의 내부 후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51)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51)의 후단부에는 연장부(51b)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51b)와 연결바(53)의 중간부에는 상하방향의 결합공(51c,53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1c,53a)은 상기 탄성부재(54)가 압축되도록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전진되었을 때 상호 일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51c,53a)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키부재(55)와, 상기 키부재(55)에 연결된 연장와이어(56)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공(51c,53a)에 키부재(55)가 결합되고 상기 연장와이어(56)는 뒷채움재(D)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연장와이어(56)를 당겨 상기 키부재(55)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54)에 의해 실린더(51)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 보강부재(30)와 옹벽블록(11)이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보강부재(30)는 상기 실린더(51)의 전방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블록(11)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고정결합되는 금속와이어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51)의 전면을 관통하여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전면에 접촉되어 상기 실린더(51)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가압볼트(5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옹벽블록(11)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볼트(57)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관통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보강연결부재(C)는 전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1)에 고정되는 제1 보강부재(30)와, 후단부가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제2 보강부재(40)와,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재(30,40)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연결유닛(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결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측면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1 보강부재(3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부재(5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에서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실린더(5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보강부재(4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53)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과 상기 실린더(51)의 내부 후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51)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4)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진 등과 같은 큰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에 의해 보강연결부재(C) 전체가 적절히 신축되면서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함으로, 상기 보강연결부재(C)가 끊어지거나, 앵커부재(20)가 절개지의 경사면(A)으로부터 이탈되어 옹벽본체(B)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의 보강연결부재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의 제2 실시예의 도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절개지의 경사면(A)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옹벽블록(11)을 쌓아올려 구성된 옹벽본체(B)와, 상기 옹벽본체(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재(C)로 구성되며, 상기 옹벽본체(B)와 경사면(A)의 사이에는 뒷채움재(D)인 토사 또는 잡석이 채워지는 것은 종래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옹벽블록(11)은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보강연결부재(C)의 전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홈(12)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에 상기 보강연결부재(C)의 전단부를 결합하고, 그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11)을 쌓아서 상기 보강연결부재(C)의 전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연결부재(C)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1)에 고정되는 제1 보강부재(30)와, 후단부가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제2 보강부재(40)와,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재(30,40)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연결유닛(5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보강부재(30)는 강도가 높은 금속와이어를 기억자로 절곡하여 구성되며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탄성연결유닛(50)에 구비되는 실린더(51)의 전면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12)은 상기 옹벽블록(11) 상면의 중앙부 양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12)에 상기 제1 보강부재(30)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보강부재(40)는 탄성이 없는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탄성연결유닛(50)에 구비되는 연결바(53)의 후단에 연결되며 후단에는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앵커부재(20)가 구비되어, 상기 앵커부재(20)를 이용하여 제2 보강부재(40)의 후단부를 상기 경사면(A)에 매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연결유닛(50)은 전단부가 상기 제1 보강부재(3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부재(5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에서 실린더(5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보강부재(4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53)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과 상기 실린더(51)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51)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4)와, 상기 실린더(51)와 연결바(53)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로 고정하는 키부재(55)와, 상기 키부재(55)에 연결된 연장와이어(56)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5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면 양측에는 상기 제1 보강부재(30)가 용접결합되며, 후측면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51)의 후단부에는 연장부(51b)가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장부(51b)에는 상기 키부재(55)가 결합되는 결합공(51c)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52)는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피스톤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5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어, 후단부는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실린더(5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제2 보강부재(40)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바(53)의 중간부에는 상기 연장부(51b)의 결합공(51c)에 대응되는 결합공(53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53a)은 상기 연결바(53)의 중간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실린더(51)가 전진되었을 때 상기 연장부(51b)의 결합공(51c)과 상호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연결바(53)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과 상기 실린더(51)의 내부 후측면 사이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51)를 탄성적으로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탄성연결유닛(50)과 보강연결부재(C) 전체의 길이가 탄성적으로 신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보강부재(40)는 앵커부재(20)에 의해 경사면(A)에 고정됨으로, 상기 탄성부재(54)에 의해 상기 실린더(51)가 후방으로 밀려나가서 탄성연결유닛(50)과 보강연결부재(C)의 길이가 줄어들면, 상기 실린더(51)에 고정된 제1 보강부재(30)와 옹벽블록(11)이 후방, 즉, 상기 경사면(A) 쪽으로 당겨진다.
상기 키부재(5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재의 핀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부(51b)와 연결바(53)의 결합공(51c,53a)을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탄성연결유닛(50)과 보강연결부재(C)의 길이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54)에 의해 상기 탄성연결유닛(50)과 보강연결부재(C)의 길이가 축소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장와이어(56)는 플랙시블하면서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와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때, 단부가 상기 뒷채움재(D)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보강토 옹벽의 시공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상기 연장와이어(56)를 당겨 상기 키부재(55)를 상기 결합공(51c,53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51c,53a)에 키가 결합되어 상기 보강연결부재(C)의 길이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와이어(56)가 뒷채움재(D)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와이어(56)를 당겨 키부재(55)를 분리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54)에 의해 실린더(51)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보강연결부재(C)의 길이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힘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상기 옹벽블록(11)이 상기 경사면(A)쪽으로 당겨져, 뒷채움재(D)를 가압 지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보강연결부재(C)는 전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1)에 고정되는 제1 보강부재(30)와, 후단부가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제2 보강부재(40)와,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재(30,40)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연결유닛(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결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측면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1 보강부재(3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부재(5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에서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실린더(5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보강부재(4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53)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과 상기 실린더(51)의 내부 후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51)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4)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진 등과 같은 큰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에 의해 보강연결부재(C) 전체가 적절히 신축되면서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함으로, 상기 보강연결부재(C)가 끊어지거나, 앵커부재(20)가 절개지의 경사면(A)으로부터 이탈되어 옹벽본체(B)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54)와 슬라이드부재(52)는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구비되어, 옹벽본체(B)와 경사면(A)의 사이에 충진되는 뒷채움재(D)가 상기 탄성부재(54)와 간섭되어, 탄성연결유닛(50)이 원활히 신축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51)의 후단부에는 연장부(51b)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51b)와 연결바(53)의 중간부에는 상하방향의 결합공(51c,53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1c,53a)은 상기 탄성부재(54)가 압축되도록 상기 연결바(53)와 슬라이드부재(52)가 후방으로 후퇴되었을 때 상호 일치되도록 되며, 상기 결합공(51c,53a)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키부재(55)와, 상기 키부재(55)에 연결된 연장와이어(56)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가 신장된 상태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한 후, 상기 연장와이어(56)를 이용하여 키부재(55)를 분리하면, 상기 탄성부재(54)에 의해 상기 보강연결부재(C)가 탄성적으로 축소되도록 가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보강부재(30)와 옹벽블록(11)이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토 옹벽을 시공한 후, 추가적으로 상기 옹벽블록(11)이 경사면(A)쪽으로 당겨져 경사면(A)과 뒷채움재(D)를 더욱 견고하게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진 등에 의해 상기 보강연결부재(C) 및 앵커부재(20)가 외측으로 당겨져 앵커부재(20)가 경사면(A)의 외측으로 끌려나오게 되더라도, 앵커부재(20)가 경사면(A)의 외측으로 끌려나온 길이만큼 상기 보강연결부재(C)의 전체길이가 탄성적으로 축소되어, 보강연결부재(C)가 느슨해져 옹벽블록(11)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실린더(51)의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전면에 접촉되어 상기 실린더(51)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가압볼트(57)가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압볼트(57)는 상기 실린더(51)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된 나사축(57a)과, 상기 나사축(57a)의 선단부에 구비된 볼트헤드(57b)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볼트(5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나사축(57a)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강연결부재(C) 전체의 길이가 신장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볼트(5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면, 상기 나사축(57a)의 작용에 의해 상기 가압볼트(57)가 상기 슬라이드부재(52)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에 의해 실린더(51)가 후방으로 밀려서 보강연결부재(C) 전체의 길이가 탄성적으로 축소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옹벽블록(11)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볼트(57)의 선단부 즉, 상기 나사축(57a)과 볼트헤드(57b)가 삽입되는 관통홈(13)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13)은 상기 옹벽블록(11)의 상면에 하측으로 오목하면서 전후단이 상기 옹벽블록(11)의 전후단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옹벽블록(11)의 상부에 다른 옹벽블록(11)을 적층하면, 상기 관통홈(13)에 의해 옹벽블록(11)의 사이에 상기 가압볼트(57)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볼트(57)를 조여, 상기 가압볼트(57)에 의해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밀려서 보강연결부재(C)의 길이가 신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한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옹벽블록(11)의 전방에서 상기 관통홈(13)을 통해 상기 가압볼트(57)의 볼트헤드(57b)에 복스를 결합하여 가압볼트(57)를 풀면, 상기 보강연결부재(C)가 탄성적으로 축소되어, 상기 옹벽블록(11)이 경사면(A)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지도록 가압한다.
이때, 상기 키부재(55)와 연장와이어(56)의 구조는 생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가압볼트(57)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연결부재(C)가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거나, 보강연결부재(C)가 신축되도록 고정해제할 수 있음으로, 키부재(55)와 연장와이어(56)를 이용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가압볼트(57)는 사용자가 가압볼트(57)를 푸는 정도에 따라,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 보강토 옹벽이 시공되는 장소의 지질이나 기타 조건에 따라, 상기 보강연결부재(C)의 탄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키부재(55) 및 연장와이어(56)의 구조와, 상기 가압볼트(57)의 구조는 각기 별도로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키부재(55) 및 연장와이어(56)의 구조와, 상기 가압볼트(57)의 구조는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A. 경사면 B. 옹벽본체
C. 보강연결부재 20. 앵커부재
30. 제1 보강부재 40. 제2 보강부재
50. 탄성연결유닛 D. 뒷채움재

Claims (3)

  1. 절개지의 경사면(A)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옹벽블록(11)을 쌓아올려 구성된 옹벽본체(B)와,
    상기 옹벽본체(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재(C)를 포함하며,
    상기 옹벽본체(B)와 경사면(A)의 사이에는 뒷채움재(D)인 토사 또는 잡석이 채워지는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재(C)는
    전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1)에 고정되는 제1 보강부재(30)와,
    후단부가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제2 보강부재(40)와,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재(30,40)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연결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연결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측면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1 보강부재(3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부재(5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에서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실린더(5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보강부재(4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53)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과 상기 실린더(51)의 내부 후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51)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4)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51)의 후단부에는 연장부(51b)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51b)와 연결바(53)의 중간부에는 상하방향의 결합공(51c,53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1c,53a)은 상기 탄성부재(54)가 압축되도록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전진되었을 때 상호 일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51c,53a)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51)가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키부재(55)와,
    상기 키부재(55)에 연결된 연장와이어(56)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결합공(51c,53a)에 키부재(55)가 결합되고 상기 연장와이어(56)는 뒷채움재(D)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연장와이어(56)를 당겨 상기 키부재(55)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재(54)에 의해 실린더(51)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 보강부재(30)와 옹벽블록(11)이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2. 삭제
  3. 절개지의 경사면(A)에서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옹벽블록(11)을 쌓아올려 구성된 옹벽본체(B)와,
    상기 옹벽본체(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재(C)를 포함하며,
    상기 옹벽본체(B)와 경사면(A)의 사이에는 뒷채움재(D)인 토사 또는 잡석이 채워지는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재(C)는
    전단부가 상기 옹벽블록(11)에 고정되는 제1 보강부재(30)와,
    후단부가 상기 절개지의 경사면(A)에 고정되는 제2 보강부재(40)와,
    상기 제1 및 제2 보강부재(30,40)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연결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연결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측면에는 관통공(51a)이 형성되고 전단부는 상기 제1 보강부재(3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부재(5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에서 상기 관통공(51a)을 통해 실린더(51)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보강부재(40)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바(53)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후측면과 상기 실린더(51)의 내부 후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51)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강부재(30)는 상기 실린더(51)의 전방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블록(11)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고정결합되는 금속와이어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51)의 전면을 관통하여 후단부가 상기 슬라이드부재(52)의 전면에 접촉되어 상기 실린더(51)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가압볼트(5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옹벽블록(11)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볼트(57)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관통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KR20140115288A 2014-09-01 2014-09-01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KR101480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5288A KR101480416B1 (ko) 2014-09-01 2014-09-01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5288A KR101480416B1 (ko) 2014-09-01 2014-09-01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416B1 true KR101480416B1 (ko) 2015-01-14

Family

ID=5258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5288A KR101480416B1 (ko) 2014-09-01 2014-09-01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8718A (zh) * 2019-01-19 2019-03-26 安徽工程大学 组合式预警型挡土墙
KR102080588B1 (ko) * 2019-05-14 2020-02-24 김정주 보강토 옹벽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294A (ko) * 2006-03-17 2007-09-20 홍건영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20090093372A (ko) * 2008-02-29 2009-09-02 (주)동운산업개발 조절가능한 고정기구와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20100060511A (ko) * 2008-11-27 2010-06-07 홍나영 내진용 벽체 구조물
KR101262868B1 (ko) * 2012-10-26 2013-05-13 중앙컨설턴트 주식회사 탄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294A (ko) * 2006-03-17 2007-09-20 홍건영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20090093372A (ko) * 2008-02-29 2009-09-02 (주)동운산업개발 조절가능한 고정기구와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20100060511A (ko) * 2008-11-27 2010-06-07 홍나영 내진용 벽체 구조물
KR101262868B1 (ko) * 2012-10-26 2013-05-13 중앙컨설턴트 주식회사 탄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벽체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8718A (zh) * 2019-01-19 2019-03-26 安徽工程大学 组合式预警型挡土墙
CN109518718B (zh) * 2019-01-19 2023-09-22 安徽工程大学 组合式预警型挡土墙
KR102080588B1 (ko) * 2019-05-14 2020-02-24 김정주 보강토 옹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236B1 (ko) 소일네일-어스앵커 합성 지반 보강 구조체 및 소일네일-어스앵커 합성 지반 보강 공법
KR101439314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립 보강재
KR101480416B1 (ko)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AU2015200447B2 (en) Ground anchor body having rotation release structure
KR102074506B1 (ko)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093234B1 (ko) 장착바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KR20160024030A (ko) 띠장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띠장 보강용 구조물
KR101426066B1 (ko) 기계적 기능에 의한 선단정착 복합형 마이크로 파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기초 보강 공법
KR101489387B1 (ko) 지반 보강과 부력 방지용 마이크로 파일 및 이 시공 방법
KR100980760B1 (ko)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805741B1 (ko) 확장형 가압식 네일링 장치
JP2016003550A (ja) 石積み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101805750B1 (ko) 확장형 가압식 네일링 장치
KR101460180B1 (ko) 소일네일링 공법용 이종 철근 연결구
KR100943524B1 (ko) 앵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벽식 옹벽 시공방법
CN114991182A (zh) 一种可回收式柔性土钉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59398B1 (ko) 소일네일링공법을 적용한 옹벽 구조물 고정장치
CN204551465U (zh) 一种工地施工用打桩机
KR100721605B1 (ko) 쏘일네일의 전면 지압판의 구조
KR100763033B1 (ko) 프리스트레싱 쏘일 네일링 구조
KR20150082152A (ko)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CN215829207U (zh) 一种可加宽的平板夯底板机构
KR20180070053A (ko) 다단 확장체를 접목한 마이크로 파일을 적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2140171B1 (ko) 앵커 및 타입식 앵커링 공법
KR102458223B1 (ko) 탄성회복 지연부재를 구비한 제거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