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506B1 -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506B1
KR102074506B1 KR1020190062107A KR20190062107A KR102074506B1 KR 102074506 B1 KR102074506 B1 KR 102074506B1 KR 1020190062107 A KR1020190062107 A KR 1020190062107A KR 20190062107 A KR20190062107 A KR 20190062107A KR 102074506 B1 KR102074506 B1 KR 102074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crete
panel
protective tub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열
이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Priority to KR1020190062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과 콘크리트패널의 사이에 노출된 네일의 중간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의 사이에 노출된 네일, 즉, 철근부재(21)의 중간부의 외측에 보호관체(50)가 결합되고,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경화됨으로, 뒷채움골재(30)에 의해 손상되거나, 상기 뒷채움골재(30)를 통과하는 수분에 의해, 상기 철근부재(21)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cut slop retaining wall construction structur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cut slop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사면과 콘크리트패널의 사이에 노출된 네일의 중간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가 급한 비탈사면에는 옹벽을 시공하여 비탈사면을 보강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비탈사면을 보강하는 옹벽의 시공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사면(1)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콘크리트패널(10)과, 상기 사면(1)에 형성된 천공구멍(2)에 후단부가 삽입되며 전단부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0)에 고정된 네일부재(20)와,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 사이의 공간부 하측에 충진된 뒷채움골재(30)와, 상기 뒷채움골재(30)의 상측에 충진된 뒷채움토사(40)로 구성되며, 상기 네일부재(20)의 내측단은 콘크리트그라우팅에 의해 상기 천공구멍(2)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패널(10)에는 상기 네일부재(20)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의 전단부에는 확경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네일부재(20)는 후단부는 상기 사면(1)에 형성된 천공구멍(2)에 삽입되고 전단부는 상기 관통공(1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철근부재(21)와, 상기 철근부재(21)가 관통하는 결합공(22a)이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12)에 삽입되는 지지패널(22)과, 상기 지지패널(22)의 전면에 걸리도록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2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면(1)에 천공구멍(2)을 형성하고, 상기 철근부재(21)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그라우팅하여 고정하고, 상기 사면(1)의 전방에 콘크리트패널(10)을 배치하여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가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관통공(11)을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패널(22)과 너트부재(23)를 결합하여 네일부재(20)에 의해 콘크리트패널(10)이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 사이의 공간부 하측에 뒷채움골재(30)를 충진하고, 상기 뒷채움골재(30)의 상측에 뒷채움토사(40)를 충진함으로써, 옹벽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옹벽의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뒷채움골재(30)를 충진할 때, 다지기를 하게 됨으로,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의 사이에 노출된 네일, 즉, 철근부재(21)의 중간부가 뒷채움골재(30)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의 사이에 노출된 네일의 중간부가 손상되는 철근부재(21)의 중간부는 상기 뒷채움골재(30)를 통과하는 수분에 노출되어, 쉽게 부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면(1)의 외측으로 노출된 네일의 외측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면(1)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콘크리트패널(10)과, 상기 사면(1)에 형성된 천공구멍(2)에 후단부가 삽입되며 전단부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0)에 고정된 네일부재(20)와,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 사이의 공간부 하측에 충진된 뒷채움골재(30)와, 상기 뒷채움골재(30)의 상측에 충진된 뒷채움토사(40)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에는 상기 네일부재(20)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의 외측에는 확경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네일부재(20)는 후단부는 상기 사면(1)에 형성된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그라우팅으로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관통공(1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철근부재(21)와, 상기 철근부재(21)가 관통하는 결합공(22a)이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12)에 삽입되는 지지패널(22)과, 상기 지지패널(22)의 전면에 걸리도록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23)를 포함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근부재(2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후단부는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지지패널(22)에 고정된 보호관체(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호관체(50)의 일측에는 주입공(55)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공(55)을 통해 보호관체(5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경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패널(22)의 후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b)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상기 연장부(22b)의 외측에 끼움결합한 후,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밴드(52)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상기 연장부(22b)의 외측에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보호관체(50)의 후단부가 상기 천공구멍(2)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링체(61)와, 상기 지지링체(61)의 둘레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공구멍(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6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62)는 후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된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네일부재(20)의 철근부재(21)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하고 상기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를 그라우팅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62)를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 상면에는 배기공(53)과 결합공(5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4)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공급된 콘크리트가 보호관체(50)의 후단부까지 충진된 것을 감지하는 충진감지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충진감지수단(7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54)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체(71)와, 상기 지지관체(71)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전면에는 걸림홈(72C)이 형성된 지시바(72)와, 상기 지시바(72)에 연결되어 지시바(72)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73)와, 상기 지지관체(71)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측에는 상측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72C)에 결합되는 고정부(74a)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된 고정부재(74)와, 상기 고정부재(74)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74a)가 상기 걸림홈(72C)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75)와, 상기 지지관체(71)의 하단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 후단부에 충진된 콘크리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으로 상승되는 승강피스톤(76)과, 상기 승강피스톤(76)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피스톤(76)이 상승되면 상기 고정부재(74)의 하단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74a)와 걸림홈(72C)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푸쉬바(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철근부재(21)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하고 상기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를 그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철근부재(21)의 외측에 보호관체(50)를 결합하고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면(1)의 전방에 콘크리트패널(10)을 배치하여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가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관통공(11)을 관통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관통공(11) 전방에 형성된 확경부(12)에 지지패널(22)을 결합하여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가 상기 지지패널(22)의 결합공(22a)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상기 지지패널(22)의 연장부(22b)에 결합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 사이의 공간부 하측에 뒷채움골재(30)를 충진하고 상기 뒷채움골재(30)의 상측에 뒷채움토사(40)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의 사이에 노출된 네일, 즉, 철근부재(21)의 중간부의 외측에 보호관체(50)가 결합되고,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경화됨으로, 뒷채움골재(30)에 의해 손상되거나, 상기 뒷채움골재(30)를 통과하는 수분에 의해, 상기 철근부재(21)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사면(1)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콘크리트패널(10)과, 상기 사면(1)에 형성된 천공구멍(2)에 후단부가 삽입되며 전단부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0)에 고정된 네일부재(20)와,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 사이의 공간부 하측에 충진된 뒷채움골재(30)와, 상기 뒷채움골재(30)의 상측에 충진된 뒷채움토사(4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패널(10)에는 상기 네일부재(20)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의 외측에는 확경부(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네일부재(20)는 후단부는 상기 사면(1)에 형성된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그라우팅으로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관통공(1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철근부재(21)와, 상기 철근부재(21)가 관통하는 결합공(22a)이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12)에 삽입되는 지지패널(22)과, 상기 지지패널(22)의 전면에 걸리도록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23)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철근부재(2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후단부는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지지패널(22)에 고정된 보호관체(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호관체(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주름관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전단부 상면에는 주입공(55)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공(55)을 통해 보호관체(5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경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널(22)의 후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b)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상기 연장부(22b)의 외측에 끼움결합한 후,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밴드(52)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상기 연장부(22b)의 외측에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22b)는 외경이 상기 보호관체(50)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1)은 상기 연장부(22b)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고, 상기 결합공(22a)은 상기 연장부(22b)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패널(22)을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확경부(12)에 삽입하면, 상기 연장부(22b)가 상기 결합공(22a)을 통해 콘크리트패널(1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밴드(52)는 일측에 조임나사가 구비된 금속재의 스트립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연장부(22b)의 외측에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결합하고, 상기 고정밴드(52)를 상기 보호관체(50)의 단부 외측에 결합된 후 상기 조임나사를 조이면, 상기 보호관체(50)의 단부가 내측으로 조여져,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가 상기 연장부(22b)의 외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토부 패널식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면(1)에 천공구멍(2)을 형성하고, 상기 철근부재(21)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한 후, 상기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를 그라우팅한다.
그리고,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상기 보호관체(50)의 외측에 상기 보호관체(50)를 끼우고,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하여, 보호관체(50)의 후단부가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면(1)의 전방에 콘크리트패널(10)을 배치하여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가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관통공(11)을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확경부(12)에 상기 지지패널(22)을 결합하여, 상기 철근부재(21)가 상기 지지패널(22)의 결합공(22a)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에 너트부재(23)를 결합하여 적절한 힘으로 조임으로써,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이 전방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부재(21)의 둘레부에 결합된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상기 지지패널(22)의 연장부(22b)에 결합고정한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공(55)을 통해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 및 경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주입된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 사이의 공간부 하측에 뒷채움골재(30)를 충진하고 상기 뒷채움골재(30)의 상측에 뒷채움토사(40)를 충진함으로써, 절토부 패널식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의 사이에 노출된 네일, 즉, 철근부재(21)의 중간부의 외측에 보호관체(50)가 결합되고,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주입되어 경화됨으로, 뒷채움골재(30)에 의해 손상되거나, 상기 뒷채움골재(30)를 통과하는 수분에 의해, 상기 철근부재(21)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호관체(50)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면이 삼각형의 주름을 갖는 주름관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보호관체(50)는 파형의 주름을 갖는 주름관을 이용하거나, 직선의 경질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할 때, 상기 보호관체(50)의 하측에 별도의 지지대를 배치하여, 상기 보호관체(50)가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해 하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보호관체(50)의 후단부가 상기 천공구멍(2)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6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링체(61)와, 상기 지지링체(61)의 둘레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공구멍(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6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62)는 후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된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62)의 외측단의 간격이 상기 천공구멍(2)의 내경에 비해 조금 크게 구성되며 지지바(62)의 외측단은 내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지지바(62)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강제로 밀어 넣으면, 지지바(62)가 천공구멍(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보호관체(5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일부재(20)의 철근부재(21)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하고 상기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를 그라우팅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62)를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가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 상면에는 배기공(53)과 결합공(5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4)에는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공급된 콘크리트가 보호관체(50)의 후단부까지 충진된 것을 감지하는 충진감지수단(7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결합공(54)은 상기 배기공(53)에 비해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진감지수단(70)은 더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54)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체(71)와, 상기 지지관체(71)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전면에는 걸림홈(72C)이 형성된 지시바(72)와, 상기 지시바(72)에 연결되어 지시바(72)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73)와, 상기 지지관체(71)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측에는 상측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72C)에 결합되는 고정부(74a)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된 고정부재(74)와, 상기 고정부재(74)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74a)가 상기 걸림홈(72C)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75)와, 상기 지지관체(71)의 하단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 후단부에 충진된 콘크리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으로 상승되는 승강피스톤(76)과, 상기 승강피스톤(76)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피스톤(76)이 상승되면 상기 고정부재(74)의 하단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74a)와 걸림홈(72C)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푸쉬바(77)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체(71)는 외주면에 플랜지부(71a)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54)에 끼우면 상기 플랜지부(71a)가 보호관체(50)의 상면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내부 상단과 중간부에는 상하측 걸림턱(71b,71c)이 형성된다.
상기 지시바(72)는 외경이 상기 지지관체(71)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하측 걸림턱(71b,71c)의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측면에는 지름이 작은 바형상의 상하측 연장부(72a,72b)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홈(72C)은 상기 하측 연장부(72b)의 하측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73)는 상기 지시바(72)와 하측 걸림턱(71c)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시바(72)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고정부재(74)는 중간부에 구비된 힌지축(74b)에 의해 상기 지지관체(71)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74a)는 상기 상측 연장부(72a)의 상단이 상기 지지관체(71)의 내부로 삽입될 정도로 지시바(72)가 하강되면, 상기 고정부(74a)가 상기 걸림홈(72C)에 결합되도록 위치조절된다.
상기 제2 탄성부재(75)는 상기 힌지축(74b)의 둘레부에 결합되어 양단이 상기 고정부(74a)와 지지관체(71)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승강피스톤(76)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금속재의 통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시바(72)가 하강되어 상기 고정부재(74)에 의해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승강피스톤(76)이 상기 지지관체(71)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강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상기 보호관체(5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콘크리트가 보호관체(50)의 후단부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까지 콘크리트가 충진되면, 콘크리트에 의해 상기 승강피스톤(76)이 상측으로 밀려 상승되며, 이때, 상기 푸쉬바(77)가 상기 고정부재(74)의 하단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74a)와 걸림홈(72C)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74a)와 걸림홈(72C)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제1 탄성부재(7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지시바(72)가 상기 지지관체(71)의 상측으로 상승되어, 작업자가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까지 콘크리트가 충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콘크리트의 충진을 정지하고 상기 충진감지수단(70)은 분리하여, 충진감지수단(70)은 재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에 따르면,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보호관체(50)의 후단부가 상기 천공구멍(2)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6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60)에 구비된 지지바(62)를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구(60)에 의해 보호관체(50)의 후단이 고정됨으로, 보호관체(50)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고정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 상면에는 배기공(53)과 결합공(5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4)에는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공급된 콘크리트가 보호관체(50)의 후단부까지 충진된 것을 감지하는 충진감지수단(7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상기 보호관체(50) 내부의 후단부 상측까지 콘크리트가 원활히 충진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보호관체(50) 내부의 후단부 상측까지 콘크리트가 원활히 충진되면 작업자가 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콘크리트패널 20. 네일부재
30. 뒷채움골재 40. ??채움토사
50. 보호관체 60. 고정구
70. 충전감지수단

Claims (6)

  1. 사면(1)의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콘크리트패널(10)과,
    상기 사면(1)에 형성된 천공구멍(2)에 후단부가 삽입되며 전단부는 상기 콘크리트패널(10)에 고정된 네일부재(20)와,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 사이의 공간부 하측에 충진된 뒷채움골재(30)와,
    상기 뒷채움골재(30)의 상측에 충진된 뒷채움토사(40)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패널(10)에는 상기 네일부재(20)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의 외측에는 확경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네일부재(20)는
    후단부는 상기 사면(1)에 형성된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그라우팅으로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관통공(11)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철근부재(21)와,
    상기 철근부재(21)가 관통하는 결합공(22a)이 형성되며 상기 확경부(12)에 삽입되는 지지패널(22)과,
    상기 지지패널(22)의 전면에 걸리도록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23)를 포함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철근부재(21)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후단부는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고정되고 전단부는 상기 지지패널(22)에 고정된 보호관체(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보호관체(50)의 후단부가 상기 천공구멍(2)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60)는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지지링체(61)와,
    상기 지지링체(61)의 둘레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공구멍(2)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바(6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62)는 후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된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네일부재(20)의 철근부재(21)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하고 상기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를 그라우팅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62)를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체(50)의 일측에는 주입공(55)이 형성되어,
    상기 주입공(55)을 통해 보호관체(5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경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22)의 후측면에는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b)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상기 연장부(22b)의 외측에 끼움결합한 후,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밴드(52)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상기 연장부(22b)의 외측에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 상면에는 배기공(53)과 결합공(5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54)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공급된 콘크리트가 보호관체(50)의 후단부까지 충진된 것을 감지하는 충진감지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충진감지수단(7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단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공(54)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체(71)와,
    상기 지지관체(71)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전면에는 걸림홈(72C)이 형성된 지시바(72)와,
    상기 지시바(72)에 연결되어 지시바(72)를 상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73)와,
    상기 지지관체(71)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측에는 상측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72C)에 결합되는 고정부(74a)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된 고정부재(74)와,
    상기 고정부재(74)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74a)가 상기 걸림홈(72C)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75)와,
    상기 지지관체(71)의 하단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 후단부에 충진된 콘크리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으로 상승되는 승강피스톤(76)과,
    상기 승강피스톤(76)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피스톤(76)이 상승되면 상기 고정부재(74)의 하단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74a)와 걸림홈(72C)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는 푸쉬바(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6. 제 1 내지 제 3항, 제 5항 중 어느 하나에 나타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철근부재(21)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삽입하고 상기 천공구멍(2)에 콘크리트를 그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철근부재(21)의 외측에 보호관체(50)를 결합하고 상기 보호관체(50)의 후단부를 상기 천공구멍(2)에 그라우팅된 콘크리트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면(1)의 전방에 콘크리트패널(10)을 배치하여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가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관통공(11)을 관통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패널(10)의 관통공(11) 전방에 형성된 확경부(12)에 지지패널(22)을 결합하여 상기 철근부재(21)의 전단부가 상기 지지패널(22)의 결합공(22a)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보호관체(50)의 전단부를 상기 지지패널(22)의 연장부(22b)에 결합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관체(5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면(1)과 콘크리트패널(10) 사이의 공간부 하측에 뒷채움골재(30)를 충진하고 상기 뒷채움골재(30)의 상측에 뒷채움토사(40)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
KR1020190062107A 2019-05-27 2019-05-27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07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07A KR102074506B1 (ko) 2019-05-27 2019-05-27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107A KR102074506B1 (ko) 2019-05-27 2019-05-27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506B1 true KR102074506B1 (ko) 2020-02-06

Family

ID=6956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107A KR102074506B1 (ko) 2019-05-27 2019-05-27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5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222B1 (ko) * 2020-02-21 2020-07-01 양봉석 Pc암거
KR102137563B1 (ko) * 2020-04-08 2020-07-24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CN115305951A (zh) * 2022-10-12 2022-11-08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悬挑结构下回填土防沉降防积水施工方法
KR102547783B1 (ko) * 2022-10-12 2023-06-26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523B1 (ko) * 2016-12-06 2017-02-16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957263B1 (ko) * 2018-07-10 2019-03-13 곽근우 옹벽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523B1 (ko) * 2016-12-06 2017-02-16 주식회사 현대씨앤엠 사면 보강 및 급속시공을 위한 계단식 옹벽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957263B1 (ko) * 2018-07-10 2019-03-13 곽근우 옹벽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 10-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222B1 (ko) * 2020-02-21 2020-07-01 양봉석 Pc암거
KR102137563B1 (ko) * 2020-04-08 2020-07-24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절토부 패널식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CN115305951A (zh) * 2022-10-12 2022-11-08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悬挑结构下回填土防沉降防积水施工方法
CN115305951B (zh) * 2022-10-12 2023-01-10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悬挑结构下回填土防沉降防积水施工方法
KR102547783B1 (ko) * 2022-10-12 2023-06-26 주식회사 스팅이앤씨 버팀부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506B1 (ko) 네일을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696916B1 (ko)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1519111B1 (ko) 기성파일의 재하시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성파일의 보강방법
CN104532860A (zh) 可回收土钉
KR101781475B1 (ko) 지반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KR100971147B1 (ko) 그라우팅 보강유닛 및 이를 이용한 쏘일 네일링 보강방법
KR101079075B1 (ko) 그라우팅용 보강유닛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보강방법
KR101236765B1 (ko) 말뚝이나 인장부재의 지지력 확대를 위해 천공확장부에 접합채움재를 타설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6872231B2 (ja) 長期耐久性を有する岩盤斜面の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1161214B1 (ko) 연약층 보강수단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101447021B1 (ko) 소일네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100984040B1 (ko) 이중 보강 공법을 통한 절토용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1757975B1 (ko) 사면을 압착하기 위한 수압판측에 정착체가 구비된 앵커 및 그 시공 방법
KR101398687B1 (ko) 선단지지력이 강화된 마이크로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03646Y1 (ko) 2차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보강재 정착구
KR101684480B1 (ko) 하부보강파일 구조를 갖는 지지파일
KR100508664B1 (ko) 인발 제거형 네일장치 및 그 제거방법
JP3205546B2 (ja) ロックボルト用ナット
KR101816001B1 (ko) 매입말뚝 주면고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31339A (ko) 히치네일이 구비된 철근을 이용한 사면보강장치
KR102140171B1 (ko) 앵커 및 타입식 앵커링 공법
JPS6319649B2 (ko)
KR102176457B1 (ko) 소일 네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