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008B1 -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3008B1 KR102113008B1 KR1020180077734A KR20180077734A KR102113008B1 KR 102113008 B1 KR102113008 B1 KR 102113008B1 KR 1020180077734 A KR1020180077734 A KR 1020180077734A KR 20180077734 A KR20180077734 A KR 20180077734A KR 102113008 B1 KR102113008 B1 KR 1021130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bolt
- bar
- spherical
- rear u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볼트수용주발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과 양 말단들에서 각각 결합되고 상기 중공의 형성 방향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장축을 형성하며, 상기 양 말단들 각각은 상기 볼트수용주발을 개구형으로 감싸도록 접합되고, 상기 장축은 제1 및 제2 면들 각각의 관점에서 돌출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은 상호 수직된 비구형 바를 포함하여 차제의 강성을 높여 서스펜션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직진성능 및 회전성능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프론트 언더 브레이스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하부 프레임 후방부에 부착되어 차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비틀림을 완화해 차량의 주행 시 안정감을 증가시키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대중화를 통한 대량생산을 위해 자동차 제조사들은 통합 플랫폼을 활용한 프레임을 설계하였고, 통합설계가 힘든 프레임 차체보다 모노코크 차체를 통한 통합 플랫폼으로 안전성 증가, 중량의 감소 및 생산 단가의 감소라는 효과를 누리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노코크 차체는 서스펜션의 장착 및 기타 차량 부품의 장착을 위한 프레임 설계에 있어 비틀림 저항에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특히 이러한 단점은 후륜 서스펜션이 장착되는 차량 하부 차체 프레임에서 차량 주행 시 롤 현상으로 나타난다.
서스펜션은 스프링 작용에 의해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좋게 하고, 화물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며 각 부분에 과대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량에 장착된다.
근대 차량에 주로 사용되는 서스펜션은 맥퍼슨 서스펜션(MacPherson Strut Suspension) 및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Double Wishbone Suspension)이 사용된다. 고급 차량일수록 후륜에 멀티링크(Multi-link)를 적용한 더블위시본 기반의 서스펜션 사용 빈도가 높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후방의 경우 3개 이상의 멀티링크를 이용한 서스펜션이 주로 장착된다.
후방에 장착되는 멀티링크 서스펜션은 복수의 암 및 링크를 가지게 되며, 차량의 직진, 요철 주행 및 코너주행시 횡방향으로의 힘을 받아 서스펜션의 작동에 따라 모노코크 차체 적용 차량의 경우 차체 하부 프레임이 좌우로 진동한다. 이러한 서스펜션 및 차체 하부 프레임의 진동은 차량 거동 안정성을 방해하는 주된 요인으로, 주행 안전성, 주행 도로의 요철, 한국 도로에 많은 포트홀, 전국적으로 설치된 과속방지턱 및 급격한 차선변경과 같은 상황에서 승객의 안전성 확보, 편안한 승차감 및 사고발행 위험을 증가시킨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82809호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차량의 프론트바디의 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스트럿 타워의 상부와 엔진룸의 전방에 배치된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의 상부 사이에 스트럿바를 고정볼트로 고정 결합시킬 경우, 스트럿바의 조립공차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을 형성하는 프론트바디의 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스트럿 타워의 상부와, 엔진룸의 전방에 배치된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룸 전방에 구비되며, 일측에 한 쌍의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 고정볼트 결합공(150)이 형성되는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100);와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100)의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 고정볼트 결합공(150) 상부에 구비되며,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 고정볼트 결합공(150)와 대응되는 곳에 스트럿바 고정볼트 설치공(250)이 형성되는 스트럿바 어셈블리(200);와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100)의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 고정볼트 결합공(150) 하부에 구비되며,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 고정볼트 결합공(150)와 대응되는 곳에 스트럿바 고정볼트 유동공(350)이 형성되는 스트럿바 고정용 브라켓(300);과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100)의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 고정볼트 결합공(150)와 스트럿바 고정용 브라켓(300)의 스트럿바 고정볼트 유동공(350) 사이에 구비되되,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100)의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 고정볼트 결합공(150) 및 스트럿바 고정용 브라켓(300)의 스트럿바 고정볼트 유동공(350)과 대응되는 곳에 스트럿바 고정볼트 설치홀(450)이 형성되는 스트럿바 고정용 플레이트(400);와 스트럿바 어셈블리(200)의 스트럿바 고정볼트 설치공(250) 상부로부터 끼워지되,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100)의 캐리어 어셈블리 프론트 엔드 고정볼트 결합공(150)과 스트럿바 고정용 플레이트(400)의 스트럿바 고정볼트 설치홀(450) 및 스트럿바 고정용 브라켓(300)의 스트럿바 고정볼트 유동공(350)을 통해서 스트럿바 고정용 브라켓(300) 하부의 스트럿바 고정용 너트(500)의 스트럿바 고정볼트 결합홀(550)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스트럿바 고정볼트(6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이루어지는 언더 카울 커버 일체형 스트럿 타워 브레이스 바에 관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1590호는 자동차용 스트럿바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럿타워(200)의 상부에 형성된 너트구멍(210)과 중심과 내경이 동일한 볼트구멍(121)이 각각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스트럿바브라켓(120)과, 상기 스트럿바브라켓(120)이 장착되는 것에 의해 프론트바디(F)의 후방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스트럿타워(200)가 연결되도록 하는 가로부재(11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110)가 스트럿바브라켓(120)이 일측단부에 결합되고 타측단부에 가이드공(112a)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지지부재(112)와, 상기 지지부재(112)의 가이드공(112a)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부로 이동되는 반원형상의 가이드핀(111a)이 돌출되어 형성된 연결부재(111)로 분활 형성하여, 차량을 운행중 보행자와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스트럿바(100)에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부재(112)에 형성된 가이드공(112a)을 따라 연결부재(111)의 가이드핀(111a)이 안내되면서 하부로 이동되어 충격에너지가 흡수 됨으로서, 보행자의 상해치가 스트럿바(100)의 가로부재(110)에 의해 가중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하부 프레임 후방부에 부착되어 차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비틀림을 완화해 차량의 주행 시 안정감을 증가시키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볼트수용주발을 포함하고 굴곡지게 연장된 비구형 바를 포함해 차량 하부 차체와 결합이 용이한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이 장착되는 차량 하면 후방 좌우측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며, 서스펜션 및 차체 안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직진성능 및 회전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별명의 일 실시예는 차체 하부 결합면에서 상향 이격 되고 말단이 굴곡지게 연장되어진 비구형 바를 포함해 공기저항을 감소시키고 횡 방향 압력에 의한 비틀림 저항이 증가하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볼트수용주발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과 양 말단들에서 각각 결합되고 상기 중공의 형성 방향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장축을 형성하며, 상기 양 말단들 각각은 상기 볼트수용주발을 개구형으로 감싸도록 접합되고, 상기 장축은 제1 및 제2 면들 각각의 관점에서 돌출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은 상호 수직된 비구형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구형 바는 단축과 상기 장축의 비가 1: 1.95 ~ 2.25 인 비구형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구형 바는 상기 제1 면에서 특정 각도로 골곡진 제1 굴곡부 및 제2 면에서 특정 각도로 굴곡진 제2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굴곡부는 상기 제1 면에서 158.5° ~ 162.5°의 굴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제2 면에서 175.5°~ 177.5°의 굴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수용주발의 하부면과 9°~ 11°의 각도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 각각은 상기 볼트수용주발의 상기 중공에 결합되고 볼트를 고정하는 고정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 각각은 기 볼트헤드 및 상기 볼트수용주발과 결합하여 상기 볼트헤드의 풀림을 방지하고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 완충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는 차량 하부 프레임 후방부에 부착되어 차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비틀림을 완화해 차량의 주행 시 안정감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는 볼트수용주발을 포함하고 굴곡지게 연장된 비구형 바를 포함해 차량 하부 차체와 결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는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이 장착되는 차량 하면 후방 좌우측 프레임에 결합되어 차량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며, 서스펜션 및 차체 안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직진성능 및 회전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별명의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는 차체 하부 결합면에서 상향 이격 되고 말단이 굴곡지게 연장되어진 비구형 바를 포함해 공기저항을 감소시키고 횡 방향 압력에 의한 비틀림 저항이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말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말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1 평면에서 나타내는 제1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2 평면에서 나타내는 제2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말단을 제3 평면에서 나타내는 제3 평면도이다.
도 7는 도 3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비구형 바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말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말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1 평면에서 나타내는 제1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2 평면에서 나타내는 제2 평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말단을 제3 평면에서 나타내는 제3 평면도이다.
도 7는 도 3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비구형 바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100)는 제1 및 제2 볼트 소켓(110), 볼트수용주발(116), 비구형 바(120), 제1 굴곡부(122), 제2 굴곡부(124)를 포함한다.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100)는 차량의 하부 차체 후방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며, 서스펜션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직진성능 및 회전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100)는 차량 하부 차체 좌우측 프레임 각각에 볼트 소켓(110a,b)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모노코크 바디를 가지는 차량 하부 차체 프레임 좌우측을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100)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된 비구형 바(120) 및 볼트 소켓(110)들을 포함한다.
볼트 소켓(110)들은 볼트헤드(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볼트수용주발(116)을 포함한다. 볼트수용주발(116)은 볼트헤드를 수용하는 중공을 포함한다. 비구형 바(120)는 단축 및 장축으로 나타낼 수 있는 타원형의 단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100)는 차량 하부 차체 좌우측 프레임에 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100)는 차량의 이동에 따른 후륜 서스펜션의 작동이 야기하는 프레임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차체 프레임 고정은 차량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고, 서스펜션의 성능을 향상시켜 차량의 직진 주행 및 회전 주행의 종합적인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비구형 바(120)는 장축을 제1 평면(도 4에 도시함)상에서 제1 면(126)으로 포함하며, 단축을 제2 평면(도 5에 도시함)상에서 제2 면(128)으로 포함한다. 비구형 바(120)는 볼트수용주발(116)의 둘레를 개구형으로 일정부분 감싸면서 접합한다. 비구형 바(120)는 제1 면 및 제2 면(126,128)상에서 돌출 절곡된 타원형의 형상을 포함한다. 비구형 바는(120) 제1 면 및 제2 면(126,128)이 상호 수직 결합된 타원형의 타원 단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구형 바(120)는 제1 평면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제1 면(126)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구형 바(120)는 제2 평면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제2 면(128)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100)는 제1 및 제2 면(126.128)을 상호 수직하여 타원형의 단면을 포함하는 비구형 바(1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구형 바(120)는 볼트수용주발(116)의 둘레 3/8 부분을 감싸면서 접합할 수 있다.
비구형 바(120)는 굴곡되는 제1 및 제2 굴곡부(122,124)들을 포함한다. 제1 굴곡부는 제1 평면 상에서 특정 각도 굴곡을 포함한다. 제2 굴곡부는 제2 평면 상에서 특정 각도 굴곡을 포함한다. 비구형 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를 통해 3차원 입체 굴곡을 포함한다. 비구형 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122,124)들을 통해 차량 하부 차체 좌우측 프레임에 장착 시, 다른 차량 하부 부품들과 간섭을 회피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구형 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를 통해 횡방향의 하중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비구형 바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122,124)를 통해 횡방향의 하중에 대해 더 큰 비틀림 강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122)는 비구형 바(120)의 길이 및 폭에 대해 실험을 통해 얻어낸 가장 적절한 굴곡 각도인 158.5° ~ 162.5°의 각도를 제1 평면 상에서 포함할 수 있다. 제2 굴곡부(124)는 비구형 바(120)의 길이 및 폭에 대해 실험을 통해 얻어낸 가장 적절한 굴곡 각도인 175.5°~ 177.5°의 각도를 제2 평면 상에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말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말단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볼트 소켓(110)은 볼트수용주발(116), 고정 커플링(112) 및 진동흡수 완충링(114)을 포함한다.
볼트 소켓(110)은 고정 커플링(112)을 통해 볼트(미도시)를 고정시킨다. 고정 커플링(112)은 볼트의 측면이 볼트 소켓(11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 볼트 측면과 볼트 소켓(110)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볼트 소켓(110)은 진동흡수 완충링(114)을 포함한다. 진동 흡수 완충링 (114)은 볼트 헤드(미도시)가 볼트 소켓(110)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 볼트 측면과 볼트 소켓(110)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 및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볼트의 풀림을 예방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커플링(112)은 볼트와 체결되어 볼트를 고정하거나 볼트 수용 공극을 통해 볼트와 볼트수용주발(116)을 고정함으로, 볼트 소켓(110)과 차량 하부 차체 좌우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볼트수용주발(116)은 상면이 개방된 컵 형태의 형상이다. 볼트수용주발(116)은 볼트를 수용하는 볼트 수용 공극을 포함한다. 볼트수용주발(116)은 볼트헤드의 노출을 방지하고 돌출시키지 않음으로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볼트수용주발(116)은 볼트 헤드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며 돌출로 인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볼트수용주발(116)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볼트 헤드를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1 평면에서 나타내는 제1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를 제2 평면에서 나타내는 제2 평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말단을 제3 평면에서 나타내는 제3 평면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비구형 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122,124) 및 볼트수용주발(116) 결합 상향 이격각도를 포함한다.
비구형 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122,124)들을 포함한다. 제1 굴곡부(122)는 제1 평면 상의 제1 면에서 특정 각도 굴곡을 포함한다. 제2 굴곡부(124)는 제2 평면상의 제2 면에서 특정 각도 굴곡을 포함한다. 비구형 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를 통해 3차원 입체 굴곡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구형 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를 통해 횡방향의 하중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비구형 바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122,124)를 통해 횡방향의 하중에 대해 더 큰 비틀림 저항 및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굴곡부(122)는 비구형 바(120)의 길이 및 폭에 대해 실험을 통해 얻어낸 가장 적절한 굴곡 각도인 158.5° ~ 162.5°의 각도를 제1 평면 상에서 포함할 수 있다. 제2 굴곡부(124)는 비구형 바(120)의 길이 및 폭에 대해 실험을 통해 얻어낸 가장 적절한 굴곡 각도인 175.5°~ 177.5°의 각도를 제2 평면 상에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는 제1 및 제2 굴곡 각도에 따른 차량용 언더 리어 브레이스 바 장착 차량의 횡가속도 주행 시뮬레이션 시 비틀림 저항 증가 정도를 나타낸 표이다.
해당 차량에 장착 가능한 제1 굴곡 각도 |
횡가속도 | 해당 차량의 비틀림 저항 증가 정도 |
154.5° ~ 158.5° | 0.75g | 1.0 ~ 1.7% |
158.5° ~ 162.5° | 0.75g | 1.3 ~ 2.0% |
162.5° ~ 164.5° | 0.75g | 1.2 ~ 1.9% |
해당 차량에 장착 가능한 제2굴곡 각도 | 횡가속도 | 해당 차량의 비틀림 저항 증가정도 |
173.5° ~ 177.5° | 0.75g | 1.3 ~ 2.2% |
175.5°~ 177.5° | 0.75g | 1.2 ~ 2.4% |
177.5°~ 179.5° | 0.75g | 1.3 ~ 2.1% |
일 실시예에서, 비구형 바(120)는 제1 및 제2 굴곡부(122,124)들을 통한 입체적 굴곡을 통해 자량 하부 차체 좌우측 장착 시, 다른 차량 하부 부품들과 간섭을 회피하며 증가한 비틀림 저항으로 횡가속도에 의한 차량의 하중 이동에 따른 횡방향 압력을 흡수하여 분산할 수 있다.
비구형 바(120)는 특정 이격각도인 9°~ 11°를 포함하여 장착 차량 하부의 구조물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차량의 하부 차체 좌우측 프레임과 결합이 용이하다. 비구형 바(120)는 특정 이격각도인 9°~ 11°를 포함하여 고속주행시 차량 하부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한 공기저항을 감소시킨다.
도 7는 도 3에 따른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비구형 바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구형 바(120)는 단축 및 장축을 포함하는 타원형의 비구형 단면을 포함한다.
비구형 바(120)는 단축 및 장축의 비가 1: 1.95 ~ 2.25 인 타원형의 비구형 단면을 포함한다. 비구형 바는 특정 비율의 타원형의 비구형 단면을 통해 고속주행시 차량의 하부로 유입되는 바람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비구형 바(120)는 특정 단축 및 장축의 비를 가지는 타원형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비구형 바(120)는 해당 차량의 하부 차체 좌우 프레임에 장착 시, 구면 바에 비해 낮은 공기저항 변화정도 및 횡가속도에 대한 증가한 비틀림 저항 증가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구형 바(120)는 공지저항 변화정도 및 횡가속도에 대한 비틀림 저항이 증가하는 최적의 비의 특정 단축 및 장축의 타원형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는 장축을 기준으로 한 단축 및 장축의 비에 따른 해당 차량의 고속주행이 발생하는 차량의 하부 유입 바람에 의한 공지저항 수치 및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100)를 장착한 해당 차량이 횡가속도를 받는 상황에서 증가한 비틀림 저항 증가 정도이다. 단축 및 장축의 비가 1: 1.95 ~ 2.25 인 타원형의 비구형 단면은 0.44 ~ 0.51 : 1 의 장축을 기준으로 한 비의 타원형을 나타낸다.
단축 및 장축의 비 | 해당 차량의 주행 속도 |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의 공기저항 변화정도 | 횡가속도를 받는 해당 차량의 비틀림 저항 증가 정도 |
1:1 | 120 km/h | 1.000 | 1.000 |
0.61 ~ 0.74 : 1 | 120 km/h | 0.981 | 1.012 |
0.51 ~ 0.61 : 1 | 120 km/h | 0.978 | 1.019 |
0.44 ~ 0.51 : 1 | 120 km/h | 0.976 | 1.021 |
0.39 ~ 0.44 : 1 | 120 km/h | 0.971 | 1.016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110a,b: 제1 및 제2 볼트 소켓
112: 고정 커플링 114: 진동흡수 완충링
116: 볼트수용주발
120: 비구형 바 122a,b: 제1 굴곡부
124a,b: 제2 굴곡부
126: 비구형 바 제1 면 128: 비구형 바 제2 면
110a,b: 제1 및 제2 볼트 소켓
112: 고정 커플링 114: 진동흡수 완충링
116: 볼트수용주발
120: 비구형 바 122a,b: 제1 굴곡부
124a,b: 제2 굴곡부
126: 비구형 바 제1 면 128: 비구형 바 제2 면
Claims (8)
- 차량 하부 차체 좌우측 프레임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볼트수용주발을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과 양 말단들에서 각각 결합되고 상기 중공의 형성 방향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장축을 형성하며, 상기 양 말단들 각각은 상기 볼트수용주발을 개구형으로 감싸도록 접합되고, 상기 장축은 제1 및 제2 면들 각각의 관점에서 돌출 절곡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들은 상호 수직된 비구형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 각각은
상기 볼트수용주발의 상기 중공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를 고정하는 고정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비구형 바는
상기 제1 면에서 특정 각도로 굴곡진 제1 굴곡부 및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의 굴곡 각도보다 큰 각도로 굴곡진 제2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형 바는
단축과 상기 장축의 비가 1: 1.95 ~ 2.25 인 비구형 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는
상기 제1 면에서 158.5° ~ 162.5°의 굴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제2 면에서 175.5°~ 177.5°의 굴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형 바는
제3 면에서 9°~ 11°의 각도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소켓들 각각은
볼트헤드 및 상기 볼트수용주발과 결합하여 상기 볼트헤드의 풀림을 방지하고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 완충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7734A KR102113008B1 (ko) | 2018-07-04 | 2018-07-04 |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7734A KR102113008B1 (ko) | 2018-07-04 | 2018-07-04 |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4627A KR20200004627A (ko) | 2020-01-14 |
KR102113008B1 true KR102113008B1 (ko) | 2020-05-21 |
Family
ID=6915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7734A KR102113008B1 (ko) | 2018-07-04 | 2018-07-04 |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300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97389A1 (en) * | 2002-05-16 | 2003-11-27 | Accra Teknik Ab | Stabiliz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9922A (ja) * | 1997-05-13 | 1998-11-24 | Onoue Jidosha:Kk | 自動車用スタビライザー |
KR100401590B1 (ko) | 2001-05-21 | 2003-10-1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스트럿바 |
KR101682809B1 (ko) | 2015-05-29 | 2016-12-05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자동차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
-
2018
- 2018-07-04 KR KR1020180077734A patent/KR1021130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97389A1 (en) * | 2002-05-16 | 2003-11-27 | Accra Teknik Ab | Stabiliz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4627A (ko) | 2020-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232469B (zh) | 一种前悬架系统及车辆 | |
KR101315489B1 (ko) |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 |
KR100320499B1 (ko) | 자동차의전륜현가장치 | |
KR100980877B1 (ko) | 현가장치용 트레일링 암 어셈블리 | |
KR102113008B1 (ko) |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 |
KR101244923B1 (ko) | 그린카의 프런트 서스펜션 구조 | |
CN209813648U (zh) | 双横臂悬架和车辆 | |
CN210000045U (zh) | 一种汽车及其悬架系统 | |
KR101154690B1 (ko) |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현가장치의 트레일링암 부시 | |
KR20190143268A (ko) | 차량용 스트럿 타워 브레이스 바 | |
KR101491180B1 (ko) | 자동차용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현가장치 | |
KR20100035876A (ko) | 자동차용 마운팅 부시 | |
KR102326466B1 (ko) |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 |
KR20030041247A (ko) | 더블 위시본식 현가 장치 | |
KR100369145B1 (ko) | 차량의 비구동용 서스펜션 시스템 | |
KR100401590B1 (ko) | 자동차용 스트럿바 | |
CN220281317U (zh) | 连接杆组件及发动机舱 | |
JPH0924717A (ja) | リヤサスペンション | |
KR200270375Y1 (ko) | 자동차용 현가장치 | |
KR100395121B1 (ko) | 차량의 리어 현가장치 장착구조 | |
KR102654761B1 (ko) |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 |
KR100559876B1 (ko) | 트레일링암의 차체측 마운팅부 구조 | |
KR100224493B1 (ko) |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 |
KR100980979B1 (ko) | 차량용 현가장치 | |
KR100579734B1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링크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