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761B1 -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 Google Patents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761B1
KR102654761B1 KR1020190053689A KR20190053689A KR102654761B1 KR 102654761 B1 KR102654761 B1 KR 102654761B1 KR 1020190053689 A KR1020190053689 A KR 1020190053689A KR 20190053689 A KR20190053689 A KR 20190053689A KR 102654761 B1 KR102654761 B1 KR 102654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collision
bush
fracture
arm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377A (ko
Inventor
김정호
김종원
김재훈
조기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7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차량의 로어암에 조립되는 로어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부시의 외파이프에는 충돌 파단 다중 홀이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에서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BUSH STRUCTURE OF LOWER ARM FOR IMPROVING CRASH PERFORMANCE}
본 발명은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시 로어암 파단을 유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써, 주로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신속하게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가장치에는 차륜을 차체에 연결하고 아울러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어암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로어암과 같은 운동부나 엔진과 같은 구동부에 설치되는 방진부재 즉, 부시는 서스펜션 또는 엔진의 차체측 연결부위를 받쳐주는 구조적 측면에서의 역할과 함께 자체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서스펜션이나 엔진에서 발생되는 충격, 진동, 소음 등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충돌 법규 추가 강화로 스몰 오버랩(Small Over-lap) 테스트 충돌성능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는 다수의 차량에서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신차 개발시 대책 설계 구조가 검토 중이다.
상기 스몰 오버랩 테스트에서는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타이어 이탈을 유도하여 승객의 공간 타격을 회피하여 충격 가속도를 저감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스몰 오버랩 테스트를 개선하기 위한 차량의 개선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몰 오버랩 테스트 충돌 성능을 충족하기 위한 차량의 개선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되, 먼저 베리어(5)와의 스몰 오버랩 테스트를 위해 ①번 부위인 차량(1)의 서브 프레임(10) 구조를 증가시키는 것이 있으나 서브 프레임(10) 구조가 커지면 베이스 플랫폼 공용화 측면에서 플랫폼 기준차 대비 전폭이 큰 차량은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②번 부위의 로어암(20)에 알루미늄을 적용하여 충돌시 로어암 파단을 유도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원가 증대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어서 ③번 부위의 타이어(2) 후방 공간(d1)을 증대시키기도 하였으나 이는 차량(1)의 실내 공간을 축소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④번 부위의 에이 필러(40) 개구부를 보강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이는 중량 및 원가를 증대시키고 에이 필러의 폭을 증대시켜 시야를 축소시키므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05-0121437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차량의 충돌시 로어암 파단이 발생하도록 하여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타이어 이탈을 유도함으로써 승객의 공간 타격을 회피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구조 설계로 원가 증대를 최소화하여 양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로어암에 조립되는 로어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부시는 내파이프와, 상기 내파이프 외부의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를 감싸는 외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암 부시의 외파이프에는 충돌 파단 다중 홀, 충돌 파단 그루브, 충돌 파단 노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충돌 파단 구조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은 상기 외파이프의 상호 대향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은 상기 로어암 부시의 하중 작용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은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중 작용선은 지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차량의 충돌 방향을 기준으로 로어암의 복수개의 부시 결합부 중에서 전방측 부시 결합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차량의 충돌시에 전방측 부시 결합부에서 파단이 발생되고 로어암이 후방측 부시 결합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로어암에 조립되는 로어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부시의 외파이프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어암 부시의 외파이프에는 충돌 파단 그루브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에서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는 상기 외파이프의 내주면으로부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로어암에 조립되는 로어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부시의 외파이프에는 충돌 파단 노치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노치에서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중앙을 향해 형성되어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차량의 충돌시 로어암 파단을 유도하여 바퀴가 차량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충격 가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원가 증대를 최소화하여 경제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몰 오버랩 테스트를 개선하기 위한 차량의 개선 부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충돌예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충돌예에서 작용하는 힘을 정면에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와 D-D선에 따른 외파이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와 E-E선에 따른 외파이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충돌 파단 구조라 함은 도 2내지 도5의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 도 6의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 도 7의 충돌 파단 노치(310, 320)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충돌예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며,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충돌예에서 작용하는 힘을 정면에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100)는 차량(1)의 서브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로어암(20)을 연결하는 A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로어암(20)은 상기 로어암 부시(100)와 G점 부시(50)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는 타이어(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차량(1)이 배리어(5)와의 충돌시에 상기 로어암 부시(100)와 G점 부시(50)는 동일한 축(C1)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차량(1)이 충돌한 경우에 로어암(20)에 충격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100)의 외파이프가 파단되면서 로어암(20)이 G점 부시(50)를 축으로 차량(1)의 외측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바퀴(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1)의 충돌전 바퀴의 중심축이(C2)인 경우에 충돌 후에는 바퀴(2)의 중심축(C3)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와 D-D선에 따른 외파이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100)는 내파이프와, 상기 내파이프 외부에 위치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를 감싸는 외파이프(102)를 포함하며 로어암(20)에 연결되어 있다.
이해를 위해 상기 외파이프(102)에 대해서 설명하면 D-D선에 따른 상기 로어암 부시(100)의 외파이프(102)에는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은 형성되어 차량(1)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에서 파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은 상기 외파이프(102)의 상호 대향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은 상기 로어암 부시(100)의 하중 작용선에 대해 수직 방향, 즉 도면에서 X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Y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중 작용선은 로어암(2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은 상기 로어암 부시(100)의 중심축에 평행한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100)는 차량(1)의 충돌 방향을 기준으로 로어암(20)의 복수개의 부시 결합부 중에서 전방측 부시 결합부(A부분)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1)이 전방으로부터 충돌시에 전방측 부시 결합부(A부분)에서 파단이 발생되고 로어암(20)이 후방측 부시 결합부에 결합되어 있는 G점 부시(50)를 중심으로 차량의 외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와 E-E선에 따른 외파이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을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200)의 외파이프(202)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차량(1)의 충돌시에 파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로어암 부시(200)의 외파이프(202)에는 로어암 부시(200)의 외파이프(202)에는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가 형성되어 차량(1)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에서 파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는 상기 외파이프(202)의 내주면, 즉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내면으로부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는 단면이 반원 또는 타원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파이프(202)에 충돌 파단 그루브(210, 220)가 형성되어 있어 앞서 설명한 충돌 파단 다중 홀(110, 120)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 이외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의 사시도이다.
도 7을 도 2 내지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300)의 외파이프(302)에는 충돌 파단 노치(310, 320)가 형성되어 차량(1)의 충돌시에 상기 충돌 파단 노치(310, 320)에서 파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충돌 파단 노치(310, 320)는 상기 로어암 부시(300)의 길이 방향, 즉 중심축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중앙을 향해 형성되어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충돌 파단 노치의 형상은 원형 또는 선형 이외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는 차량의 충돌시 로어암 파단을 유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원가 증대를 최소화하여 경제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1: 차량 2: 바퀴
5: 배리어 10: 서브 프레임
20: 로어암 40: 에이 필러
50: G점 부시
100, 200, 300: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110, 120: 충돌 파단 다중 홀
210, 220: 충돌 파단 그루브
310, 320: 충돌 파단 노치

Claims (9)

  1. 차량의 로어암에 조립되는 로어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 부시는 내파이프와, 상기 내파이프 외부의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를 감싸는 외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암 부시는 상기 차량의 서브 프레임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로어암을 연결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외파이프가 상기 로어암과 연결되며,
    상기 외파이프에는 충돌 파단 구조가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시에 상기 외파이프의 파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구조는 상기 외파이프의 상호 대향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구조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하중 작용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구조는 충돌 파단 다중 홀, 충돌 파단 그루브, 충돌 파단 노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다중 홀은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상기 로어암 부시는 상기 로어암의 복수개의 부시 결합부 중에서 차량 전방측 부시 결합부에 조립되어 충돌시에 전방측 부시 결합부에서 파단이 발생되고 상기 로어암이 후방측 부시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그루브는 상기 외파이프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파단 노치는 상기 로어암 부시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중앙을 향해 형성되어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KR1020190053689A 2019-05-08 2019-05-08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KR102654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89A KR102654761B1 (ko) 2019-05-08 2019-05-08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689A KR102654761B1 (ko) 2019-05-08 2019-05-08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77A KR20200129377A (ko) 2020-11-18
KR102654761B1 true KR102654761B1 (ko) 2024-04-04

Family

ID=7369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689A KR102654761B1 (ko) 2019-05-08 2019-05-08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7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124A (ja) 2001-06-05 2002-12-18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取り付け構造
JP2007069742A (ja) * 2005-09-07 2007-03-22 Yamashita Rubber Co Ltd トルクロッド
JP2015157539A (ja) * 2014-02-24 2015-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783B1 (ko) 2004-06-22 2006-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의 수직 관통형 부시
KR101601441B1 (ko) * 2014-06-27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프레임 마운팅 부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2124A (ja) 2001-06-05 2002-12-18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取り付け構造
JP2007069742A (ja) * 2005-09-07 2007-03-22 Yamashita Rubber Co Ltd トルクロッド
JP2015157539A (ja) * 2014-02-24 2015-09-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377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22881B (zh) 用于增强减振器壳体的结构
KR102182842B1 (ko) 차체충돌방지구조
CN109496183B (zh) 汽车的外装板
JP2014201283A (ja) 車両前部構造
US20180135341A1 (en) Hood hinge
JP6369427B2 (ja) 車両下部構造
CN106143612A (zh) 一种副车架安装点结构
WO2015193972A1 (ja) 車両のフレーム
KR100826471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JP2013049321A (ja) 車体前部構造
KR102654761B1 (ko) 충돌 성능 개선을 위한 로어암 부시
JP2018514463A (ja) ハイブリッドロアアーム
KR20150118668A (ko) 트레일링암 부시
KR101251751B1 (ko) 차체의 전방 연결구조
JP2015033893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856238B1 (ko) 펜더 확장형 에이필라 어셈블리
CN108394364B (zh) 一种保险杠总成及汽车
KR20110060562A (ko) 차량용 로어 암 부시유닛
KR101338429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2456470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JP2000085505A (ja) サイドステップの支持構造
JP2005170269A (ja) 車両の車体構造
KR102113008B1 (ko) 차량용 리어 언더 브레이스 바
KR102097145B1 (ko) 측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차량의 서스펜션 아암
KR101523851B1 (ko) 충격흡수 및 회피 구조를 갖는 사이드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