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225B1 - 차량 좌석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좌석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225B1
KR102111225B1 KR1020187022571A KR20187022571A KR102111225B1 KR 102111225 B1 KR102111225 B1 KR 102111225B1 KR 1020187022571 A KR1020187022571 A KR 1020187022571A KR 20187022571 A KR20187022571 A KR 20187022571A KR 102111225 B1 KR102111225 B1 KR 10211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pin
central body
longitudinal axis
sl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980A (ko
Inventor
지안프랑코 코스탄티노
Original Assignee
마르투르 쉰게르 베 콜툭 테시슬레리 티카렛 베 사나이 아.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투르 쉰게르 베 콜툭 테시슬레리 티카렛 베 사나이 아.쎄. filed Critical 마르투르 쉰게르 베 콜툭 테시슬레리 티카렛 베 사나이 아.쎄.
Publication of KR2019008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60N2/23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by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with a transversal pin displaced by a slot or a cam along a predetermin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60N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linear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50Interlocking shaft arrangements transmitting movement between hinge mechanisms on both sides of a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 각도 진폭의 신속한 조정과 미세 조정 모두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좌석(10)의 등받이(14)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장치는 등받이(14)의 경사의 신속한 조정 및 미세 조정 각각을 수행하는 별개의 제어 요소(20, 22)를 포함한다.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장치는 등받이(14)의 경사의 신속한 조정 및 미세 조정 모두를 수행하는 단일 제어 요소(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좌석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
본 발명은 차량 좌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신 기술에서 차량 좌석의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는 2가지 유형의 비전기적 장치가 있다. 제1 부류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게 하지만, 등받이가 큰 각도로 움직여야만 하는 경우에는 불편하다. 사실상, 이러한 경우에 조정 손잡이를 오랜 시간 동안 회전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큰 각도로 등받이를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등받이를 완전히 후방으로 젖히고 싶을 때 이러한 조작이 특히 불편할 수 있다.
제2 부류의 조정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등받이에 대한 좌석을 잠금해제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사 각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해제 레버를 제공한다. 해제 레버가 해제되면, 등받이는 선택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제2 부류의 장치는 임의의 크기의 조정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등받이 경사 각도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해결책의 결점을 극복하는 좌석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목적은 큰 각도 진폭의 신속한 조정과 미세 조정 모두를 수행할 수 있는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주어진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공된다.
청구항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주어진 교시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이제 본 발명은 단지 비 제한적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기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정 장치가 제공된 차량 좌석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정 장치의 축단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정 장치가 제공된 차량 좌석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미세 조정 위치 및 신속한 조정 위치 각각에서의 도 5의 장치의 축단면이다.
도 1에는 좌석부(12) 및 등받이(14)를 포함하는, 개략적으로 10으로 표시된 차량용 좌석이 도시되어있다. 좌석(10)은 좌석부(12)에 대한 등받이(14)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16)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좌석(10)은 좌석(10)의 두 반대 측면에 위치되고 횡단 전동부(transmission)(18)에 의해 함께 연결된 2개의 조정 장치(16, 16')를 포함한다.
2개의 조정 장치(16) 중 하나는 미세 조정을 위한 손잡이(20) 및 신속한 조정을 위한 해제 레버(22) 형태의 해제 요소를 포함한다. 좌석(10)의 다른 측면에 위치된 조정 장치(16 ')는 제어 요소를 갖지 않고 횡단 전동부(18)를 통해 제1 조정 장치(16)에 의해 작동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조정 장치(16)는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1 조정 요소(24) 및 제2 조정 요소(26)를 포함한다. 2개의 조정 요소 (24, 26) 중 하나는 좌석(10)의 고정된 구조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등받이(14)에 고정되도록 의도된다. 2개의 조정 요소(24, 26) 중 어느 것이 고정된 구조 또는 등받이에 고정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추후 더 명확해질 것이지만, 2개의 조정 요소(24, 26)는 종방향 축(A)의 방향으로 상호 고정된 거리로 유지되도록 구속된다. 즉, 2개의 조정 요소(24, 26)는 축(A)의 방향으로 서로 고정된다.
조정 요소(24, 26)는 서로 중첩되고 종방향 축(A)과 동축인 각각의 원통형 벽(28, 30)을 갖는다. 제2 조정 요소(26)의 원통형 벽(30)은 제1 조정 요소(24)의 원통형 벽(28)의 내부에 정렬된다. 2개의 조정 요소(24, 26)는 종방향 축(A)과 동축인 각각의 관통 구멍(42', 44')을 갖는 각각의 전방 벽(38, 40)을 갖는다. 제1 조정 요소(24)에는 원통형 벽(28) 상에서 슬롯(32)의 제1 배열이 제공된다. 제2 조정 요소(26)에는 원통형 벽(30) 상에서 슬롯(34)의 제2 배열이 제공된다. 제2 조정 요소(26)의 슬롯(34)의 제2 배열의 슬롯은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정 요소(24)의 슬롯(32)의 제1 배열의 슬롯은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원통형 벽(28)의 외부 표면상에서 폐쇄될 수 있다. 슬롯(32)의 제1 배열의 슬롯은 종방향 축(A)에 대해 제1 각도 α에서 경사지는 각각의 평행 축을 따라 연장된다.
슬롯(34)의 제2 배열의 슬롯은 종방향 축(A)에 대해 제2 각도 -α로 경사지는 서로 평행한 각각의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각도 α 및 -α는 동일하고 서로 반대에 있다. 따라서, 슬롯(32, 34)의 제1 배열 및 제2 배열의 슬롯은 2α와 동일한 각도로 서로에 대해 경사진다.
슬롯(34)의 제2 배열의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슬롯(32)의 제1 배열의 슬롯보다 많은 수로 제공된다. 슬롯(32)의 제1 배열의 슬롯의 수는 슬롯(34)의 제2 배열의 슬롯의 수의 정수배이다.
제2 조정 요소(26)에는 원통형 벽(30)의 외부 표면상의 2개의 환형 홈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환형 홈 내에 2개의 O-링(36)이 제1 조정 요소(24)의 원통형 벽(28)의 내부 표면상에 맞닿는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에, O-링(36)은 2개의 조정 요소(24, 26) 사이에서 상대 회전을 방지하지 않고 단지 2개의 조정 요소(24, 26) 사이의 진동을 감쇠(10)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조정 장치(16)는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어 핀(42)을 포함한다. 제어 핀(42)은 손잡이(20)가 고정되는 헤드부(44)를 갖는다. 또한, 제어 핀(42)은 칼라(collar)(45), 나사식 조정부(46) 및 헤드부(44)에 관하여 원위에 있는 체결부(48)를 갖는다. 나사식 조정부(46)의 부분은 조정 요소(24, 26)의 전방 벽(38, 40) 사이에서 연장한다. 체결부(48)는 제2 조정 요소(26)의 전방 벽(40)을 넘어 돌출하고 링 너트(50)에 고정된다. 조정 요소(24, 26)는 헤드부(44)의 칼라(45)와 링 너트(50)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조정 요소(24, 26) 및 제어 핀(42)은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 위치에 있다. 축방향 구속은 상대 회전 이동을 방지하지 않아서, 제어 핀(42), 제1 조정 요소(24) 및 제2 조정 요소(26)가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조정 장치(16)는 제1 조정 요소(24)와 제2 조정 요소(26) 사이에 배열된 중심 몸체(52)를 포함한다. 중심 몸체(52)는 제어 핀(42)의 나사식 조정부(46)가 스크류 결합 되는 나사식 중심 구멍(54)을 갖는다.
중심 몸체(52)는 중심 몸체(52)의 각각의 반경방향 구멍(58) 내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반경방향 핀(56)을 보유한다. 반경방향 핀(56)은 추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중심 몸체(5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60)은 반경방향 핀(56)과 중심 몸체(52) 사이에 배치되고, 반경방향 핀(56)을 추출 위치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경향이 있다. 각 반경방향 핀(56)은 중심 몸체(52)의 각각의 축방향 관통 슬롯(64) 내부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축방향 핀(6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관통 슬롯은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축방향 핀(62)의 단부는 중심 몸체(52)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축방향 핀(62)은 반경방향 핀(56)의 각각의 횡방향 구멍(65)에 결합한다. 축방향 핀(62)은 반경방향 핀(56)과 함께 각각의 관통 슬롯(64)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반경방향 핀(56)은 그 수가 제2 조정 요소(26)의 슬롯(34)의 제2 배열의 슬롯의 수와 동일하다. 추출 위치의 각 반경방향 핀(56)은 제2 조정 요소(26)의 제2 슬롯(34) 및 제1 조정 요소(24)의 제1 슬롯(32)과 결합한다. 후퇴 위치에서 각 반경방향 핀(56)은 제2 조정 요소(26)의 각각의 제2 슬롯(34)에만 결합하고 제1 조정 요소(24)의 슬롯(32)의 제1 배열로부터 분리된다.
조정 장치(16)는 중심 몸체(52)의 양 측면에 위치된 2개의 분리 요소(66)를 포함한다. 각 분리 요소는 실질적으로 축(A)에 직교하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다. 2개의 분리 요소(66)는 각각의 분리 요소(66)의 외부 에지를 따라 위치된 복수의 축방향 아암(arm)(68)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분리 요소(66)의 아암(68)은 중심 몸체(52)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 위치에서 다른 분리 요소(66)의 대응 아암(68)과 결합한다. 2개의 분리 요소(66)의 아암(68)은 반경방향 핀(56)과 간섭하지 않도록 중심 몸체(52)의 반경방향 핀(56) 사이에서 연장한다. 분리 요소(66)는 중심 몸체(52) 및 조정 요소(24, 26)와 독립적으로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2개의 분리 요소(66) 각각은 각각의 조정 요소(24, 26)의 전방 벽(38, 40)의 각각의 구멍(44)을 통해 각각의 조정 요소(24, 26)의 외부로 돌출하는 각각의 플랜지(70)를 갖는다. 제1 조정 요소(24)의 측면 상에 위치된 분리 요소(66)의 플랜지(70)는 레버(22)에 고정된다. 제2 조정 요소(26)의 측면 상에 위치된 분리 요소(66)의 플랜지(70)는 부싱(73)에 고정된다. 각 분리 요소(66)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의 관통 개구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캠(74)이 형성된 전방 벽을 갖는다. 2개의 분리 요소(66)의 캠(74)은 중심 몸체(52)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각각의 축방향 핀(62)의 단부 영역과 결합된다.
각 분리 요소(66)의 각 캠(74)은 각각의 축방향 핀(62)의 단부와 결합한다. 레버(22)에 의해 수동적으로 명령받는 이동으로서,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 몸체(52)에 대한 분리 요소(66)의 각도 이동은 캠(74) 및 축방향 핀(62)에 의해 추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를 향해 반경방향 핀(56)의 이동을 제어한다. 레버(22)에 대한 작용이 중단되면, 반경방향 핀(56)은 탄성 수단(60)에 의해 가압된 추출 위치로 복귀한다.
반경방향 핀(56)이 추출 위치로 복귀하면 분리 부재(66) 및 레버(22)가 본래 위치로 후퇴한다.
좌석(10)의 양 측면에 위치된 2개의 전동 장치(16, 16')를 함께 연결하는 횡단 전동부(18)는 부싱(73)에 고정된 외부 관형 샤프트(76) 및 제어 핀(42)에 고정된 내부 관형 샤프트(78)를 포함한다. 관형 샤프트(76, 78)는 종방향 축(A)과 동축이다. 내부 관형 샤프트(78)는 중심 몸체(52), 분리 요소(66) 및 조정 요소(24, 26)를 통해 간극을 두고 연장된다.
조정 장치(16)의 제1 실시예의 작동은 하기와 같다. 해제 레버(22)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 반경방향 핀(56)은 추출 위치에 있다. 각 반경방향 핀(56)은 제2 조정 요소(26)의 제2 슬롯(34) 및 제1 조정 요소(24)의 제1 슬롯(32)과 결합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제1 조정 요소(24) 및 제2 조정 요소(26)는 등받이(14)의 특정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고정 각도 위치에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축(A)을 중심으로 한 손잡이(20)의 회전은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제어 핀(42)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어 핀(42)의 나사식 조정부(46)와 중심 몸체(52)의 나사식 중심 구멍(54) 사이의 나사식 결합은 종방향 축(A)의 직선 방향으로 중심 몸체(52)의 병진 운동을 명령하도록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제어 핀(42)의 회전을 야기한다. 중심 몸체(52)의 축방향 이동은 각 반경방향 핀(56)이 서로에 대해 경사진 슬롯(32, 34)의 배열의 2개의 대응 슬롯에 동시에 결합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제1 조정 요소(24)와 제2 조정 요소(26)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20)를 수단으로 하여 등받이(14)의 경사 각도의 미세 조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조정 장치(16)의 제어 핀(42)의 회전 이동은 횡단 전동부(18)의 내부 관형 샤프트(78)를 통해 좌석(10)의 반대 측면에 위치된 제2 조정 장치(16')로 전달된다.
따라서, 좌석(10)의 반대 측면 상의 2개의 조정 장치(16, 16')는 동일한 손잡이(20)에 의해 동시에 제어된다. 등받이(14)의 경사에 대하여 큰 진폭의 신속한 조정을 이루기 위해, 사용자는 해제 레버(22)를 작동시킨다.
축(A)을 중심으로 한 레버(22)의 진동은 반경방향 핀(56)의 추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한다. 도 3의 단면은 반경방향 핀(56)이 후퇴 위치에 있는 잠금해제 위치에서의 조정 장치(16)를 도시한다. 후퇴 위치에서 반경방향 핀(56)은 제1 조정 요소(24)의 슬롯(32)의 제1 배열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제1 조정 요소(24)는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사용자는 등받이의 경사 각도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고, 해제 레버(22)를 해제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등받이(14)를 봉쇄할 수 있다. 사실상, 레버(22)의 해제는 반경방향 핀(56)을 새로운 조정 위치에서 슬롯(32)의 제1 배열에 결합하는 추출 위치로 복귀시킨다. 해제 레버(22)의 이동은 횡단 전동부(18)의 외부 관형 샤프트(76)를 통해 제1 조정 장치(16)로부터 제2 조정 장치(16')로 전달된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정 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전에 설명된 요소들에 대응하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2 실시예의 조정 장치(16)는 다음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미세 조정 및 신속한 조정 모두를 제어하는 레버(20)로 구성된 단일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이전 실시예의 해제 레버(22)는 제공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정 장치(16)의 메커니즘은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제1 조정 요소(24) 및 제2 조정 요소(26), 반경방향 핀(56)을 구비한 중심 몸체(52) 및 2개의 분리 요소(66)가 이전에 설명된 경우와 같이 제공된다.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에 대해 단지 상이한 점은 제어 핀(42)에 관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조정 요소(24)의 측면 상에 위치된 분리 요소(66)는 치형부(80) 및 평활부(82)를 갖는 내부 표면을 갖는 플랜지(70)를 갖는다. 평활부(82)는 플랜지(70)의 외측 상에 있고 치형부(80)는 플랜지(70)의 내측 상에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핀(42)은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심 몸체(52)의 나사식 중심 구멍(54) 및 링 너트(50)에 고정된 체결부(48)에 결합하는 나사식 조정부(46)를 갖는다.
제2 실시예에서, 분리 요소(66)의 각도 이동을 제어하는 해제 요소는 제어 핀(4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잠금해제 핀(84)으로 구성된다. 잠금해제 핀(84)은 손잡이(20)가 고정되는 헤드(86)를 갖는다. 잠금해제 핀(84)은 횡방향 구멍(88)을 갖고, 횡방향 구멍(88)에 분리 요소(66)의 플랜지 (70)의 치형부(80)와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치형 단부(92)를 갖는 키(90)가 삽입되고 고정된다. 잠금해제 핀(84)의 키(90)는 제어 핀(42)의 L-형상 슬롯(94)과 결합한다. L-형상 슬롯(94)은 키(90)와 동일한 폭을 갖는 좁은 부분과 키(90)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넓은 부분을 갖는다. 예를 들어 압축된 나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 수단(96)은 제어 핀(42)과 잠금해제 핀(84) 사이에 정렬되고 잠금해제 핀(84)을 외부로 가압하는 경향이 있다.
휴지 위치에서 키(90)는 L-형상 슬롯(94)의 좁은 부분과 결합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치형 단부(92)는 분리 요소(66)의 플랜지(70)의 평활부(82)와 대면한다. 이러한 구성은 도 6의 단면에 도시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잠금해제 핀(84)이 L-형상 슬롯(94)의 좁은 부분과 결합하는 키(90)에 의해 제어 핀(42)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손잡이(20)의 회전은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제어 핀(42)의 회전을 제어한다.
제어 핀(42)의 회전은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등받이의 미세 조정을 제어한다.
신속한 조정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는 손잡이(20)를 좌석을 향해 가압하고 손잡이(20)에 회전을 가한다. 손잡이(20)의 축방향 이동은 잠금해제 핀(84)을 제어 핀(42)에 대해 내향으로 가압한다. 잠금해제 핀(84)의 축방향 이동은 키(90)를 L-형상 슬롯(94)의 넓은 부분으로 가져온다. 이러한 조건에서 키(90)의 치형 단부(92)는 분리 요소(66)의 플랜지(70)의 치형부(80)와 결합한다. 이 지점에서, 잠금해제 핀(84)이 키(90)에 의해 분리 요소(66) 중 하나와 회전되지 않는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한 손잡이(20)의 회전은 분리 요소(66) 및 치형 단부(92) 그리고 치형부(80)에도 회전을 가한다. 분리 요소(66)의 각도 이동은 추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의 반경방향 핀(56)의 이동 및 슬롯(32)의 제1 배열로부터 반경방향 핀(56)의 분리를 제어한다. 이러한 조건은 도 7의 단면에 도시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제1 조정 요소(24)는 상술된 경우와 같이 축(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손잡이(20)가 해제되면 반경방향 핀(56)과 관련한 탄성 수단(60)은 상기에 설명된 경우와 같이 반경방향 핀(56)을 슬롯(32)의 제1 배열과 결합되게 되돌리고, 잠금해제 핀(84)과 관련된 탄성 수단(96)은 손잡이(20)를 휴지 위치로 되돌린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횡단 전동부(18)는 이전에 설명된 경우와 같이, 제어 핀(42) 및 분리 요소(66)의 이동을 좌석 (10)의 반대 측면 상에 위치된 조정 장치(16 ')의 대응 요소로 전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 양자에서, 손잡이(20)는 전기 모터에 의해 편리하게 작동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원리를 침해하지 않고, 구성 세부사항 및 실시예는 하기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기술되고 기재된 것에 대해 광범위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분리 요소(66)를 갖는 해결책이 반경방향 핀(56)의 보다 균형 잡힌 이동을 허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옵션으로 고려되지만, 조정 장치(16)에는 단지 하나의 분리 요소(66)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좌석(10)의 등받이(14)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이며, 조정 장치는
    -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종방향 축(A)의 방향으로 상호 고정된 거리에서 구속되는 제1 조정 요소(24) 및 제2 조정 요소(26),
    - 상기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나사식 조정부(46) 및 체결부(48)를 포함하는 제어 핀(42)으로서, 체결부가 제1 조정 요소(24) 및 제2 조정 요소(26)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제어 핀(42)을 구속하도록 링 너트(50)에 고정되는 제어 핀(42),
    - 상기 제1 조정 요소(24) 및 제2 조정 요소(26) 사이에서 정렬되고 상기 제어 핀(42)의 상기 나사식 조정부(46)와 결합하는 나사식 중심 구멍(54)을 갖는 중심 몸체(52),
    - 중심 몸체(52)에 의해 보유되고 추출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중심 몸체(52)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추출 위치를 향해 반경방향 핀(56)을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탄성 수단(60)과 협력하는 복수의 반경방향 핀(56),
    - 적어도 하나의 분리 요소(66)로서, 상기 제1 조정 요소(24) 및 제2 조정 요소(26) 그리고 중심 몸체(52)로부터 독립적으로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분리 요소(66)와 중심 몸체(52) 사이의 각도 이동의 결과로서 추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의 상기 반경방향 핀(56)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캠(74)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요소(66) 및
    - 상기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한 각도 이동을 상기 분리 요소(66)에 가하기 위한 해제 요소(22, 84)를 포함하고,
    제1 조정 요소(24) 및 제2 조정 요소(26)는 서로 중첩되는 각각의 원통형 벽(28, 30)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경사지는 슬롯(32)의 제1 배열 및 슬롯(34)의 제2 배열이 각각 제공되고,
    추출 위치에서 상기 반경방향 핀(56) 각각이 상기 조정 요소(24, 26)의 제1 슬롯(32) 및 제2 슬롯(34)과 결합하고 후퇴 위치에서 상기 핀(56)이 슬롯(32)의 제1 배열로부터 분리되고,
    중심 몸체(52)는 종방향 축(A)을 중심으로 상기 제어 핀(42)의 회전을 따라서 상기 종방향 축(A)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요소는 상기 분리 요소(66)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레버(22)를 포함하는, 조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요소는 잠금해제 핀(84)을 포함하고, 잠금해제 핀은 휴지 위치와 결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어 핀(4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잠금해제 핀(84)의 결합 위치에서 상기 분리 요소(66)의 치형부(80)와 협력하는 치형 단부(92)를 갖는 키(90)를 보유하는, 조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 핀(56) 각각은 상기 중심 몸체(52)의 각각의 반경방향 구멍(58)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중심 몸체(52)의 각각의 관통 슬롯(64)을 통해 연장하는 각각의 축방향 핀(62)에 의해 결합되며, 각 축방향 핀(62)은 상기 중심 몸체(52)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부를 갖는, 조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몸체(52)의 반대 측면 상에서 서로 고정되고 상기 축방향 핀(62)의 상기 단부 부분에 결합되는 각각의 캠(74)을 갖는 2개의 분리 요소(66)를 포함하는, 조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 요소(66)에 고정된 외부 관형 샤프트(76) 및 상기 제어 핀(42)에 고정된 내부 관형 샤프트(78)를 갖는 교차 전동부(18)를 포함하는, 조정 장치.
KR1020187022571A 2017-09-08 2017-09-08 차량 좌석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 KR102111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7/055429 WO2019048911A1 (en) 2017-09-08 2017-09-08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OF A SEAT OF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980A KR20190087980A (ko) 2019-07-25
KR102111225B1 true KR102111225B1 (ko) 2020-05-15

Family

ID=59966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571A KR102111225B1 (ko) 2017-09-08 2017-09-08 차량 좌석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82929B2 (ko)
JP (1) JP6902038B2 (ko)
KR (1) KR102111225B1 (ko)
CN (1) CN108778827B (ko)
AU (1) AU2017393412B2 (ko)
BR (1) BR112018015524B1 (ko)
CA (1) CA3011300C (ko)
WO (1) WO2019048911A1 (ko)
ZA (1) ZA20180487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672A (ko) * 2002-10-15 2004-04-28 장진기 천연 도료 조성물, 그를 이용한 돗자리용 목편 및 돗자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933B1 (ko) 2018-09-25 2021-11-03 마터 이탤리 에스알엘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US11077948B2 (en) * 2019-04-10 2021-08-03 B/E Aerospace, Inc. Rotary backrest recline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2228A1 (en) * 2006-01-09 2007-08-09 Elio Paul A Tube recliner mechanism and seat
KR101690041B1 (ko) * 2015-09-25 2016-12-2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1914A (en) * 1980-01-10 1981-09-29 Hoover Universal, Inc. Adjustable seat hinge
US4408799A (en) * 1981-06-25 1983-10-11 Hoover Universal, Inc. Infinitely variable seat back recliner
GB2343839A (en) * 1998-11-23 2000-05-24 Autoliv Dev Recliner mechanism
DE19854931A1 (de) * 1998-11-27 2000-05-31 Schaeffler Waelzlager Ohg Stelleinrichtung, insbesondere zur Verstellung eines Kraftfahrzeugsitzes
JP4296643B2 (ja) * 1999-07-30 2009-07-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ロック装置
DE102006044490B4 (de) * 2006-01-24 2008-08-28 Keiper Gmbh & Co.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FR2900105B1 (fr) * 2006-04-24 2008-07-11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de l'inclinaison d'un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par rapport a une base, siege et vehicule munis d'un tel mecanisme
US8146994B2 (en) * 2007-04-18 2012-04-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cliner mechanism
US8550559B2 (en) * 2010-11-24 2013-10-08 Everett Sollars Power disc style seat recliner
US9145072B2 (en) * 2010-11-24 2015-09-29 Everett Sollars Power disc style seat recliner
US8616648B2 (en) * 2011-03-11 2013-12-31 Keiper Gmbh & Co. Kg Vehicle seat and recliner fitting for vehicle seat
JP5682445B2 (ja) * 2011-05-18 2015-03-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ITUA20161573A1 (it) * 2016-03-11 2017-09-11 Gianfranco Costantino Dispositivo per regolare l'inclinazione dello schienale di un sedile di veicol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2228A1 (en) * 2006-01-09 2007-08-09 Elio Paul A Tube recliner mechanism and seat
KR101690041B1 (ko) * 2015-09-25 2016-12-2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672A (ko) * 2002-10-15 2004-04-28 장진기 천연 도료 조성물, 그를 이용한 돗자리용 목편 및 돗자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93412A1 (en) 2019-03-28
JP2020533216A (ja) 2020-11-19
CN108778827A (zh) 2018-11-09
BR112018015524A2 (pt) 2019-04-30
CN108778827B (zh) 2020-10-02
JP6902038B2 (ja) 2021-07-14
AU2017393412B2 (en) 2019-05-23
US20200114786A1 (en) 2020-04-16
ZA201804874B (en) 2019-09-25
CA3011300A1 (en) 2019-03-08
US10682929B2 (en) 2020-06-16
CA3011300C (en) 2020-12-15
BR112018015524B1 (pt) 2022-12-13
WO2019048911A1 (en) 2019-03-14
KR20190087980A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225B1 (ko) 차량 좌석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 장치
US10610018B1 (en) Dual cam recliner mechanism
US20150321585A1 (en) Recliner Mechanism
CN105050453B (zh) 具有渐缩的销凸轮表面的盘式斜倚器
EP1674332B1 (en) Vehicle seat reclining apparatus
KR101781474B1 (ko) 더 작은 증분에 의해 차량 시트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
JP5857445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371013B2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ラッチ作動方法
US10144313B2 (en) Deceleration device and seat drive device
CN102378660B (zh) 心轴锁定组件
EP1764258B1 (en) Seat reclining apparatus
KR101690041B1 (ko)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US8668269B2 (en) Articulation system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n articulation system
JP2010042239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09094433B (zh) 用于车辆座椅的倾斜器
US10259352B2 (en)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JP2009285246A (ja) 車両の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3231661B1 (en) Adjustment device for adjustmen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of a vehicle seat
CN105246736A (zh) 用于机动车辆座椅的可分离的铰链组件
JP5128850B2 (ja) 両側リクライニング機構及び両側リクライニング機構の組み付け方法
KR10170633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JP2009285247A (ja) 車両の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426119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20077522A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JP5119957B2 (ja) 車両用シートの操作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