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163B1 -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163B1
KR102111163B1 KR1020190062033A KR20190062033A KR102111163B1 KR 102111163 B1 KR102111163 B1 KR 102111163B1 KR 1020190062033 A KR1020190062033 A KR 1020190062033A KR 20190062033 A KR20190062033 A KR 20190062033A KR 102111163 B1 KR102111163 B1 KR 102111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containment
building structure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재선
Original Assignee
나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재선 filed Critical 나재선
Priority to KR102019006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163B1/ko
Priority to PCT/KR2020/006871 priority patent/WO20202422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E04H6/424Position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6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using a biometric sensor integrated in the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주차되는 개별 격납부가 주거공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주차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주거공간부; 각각의 상기 주거공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거공간부와는 격벽부로 구획되며, 차량이 주차되는 복수의 격납부; 상기 차량이 입출고되는 입출고부; 상기 입출고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을 상기 격납부로 운송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부측으로 또는 상기 격납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입출고부와 상기 승강부와 상기 격납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운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ARCHITECTURAL STRUCTURES WITH INDIVIDUAL PARKING LOT AND PARKING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차되는 개별 격납부가 주거공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주차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이르러 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각 건물에는 늘어나는 주차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많은 주차공간의 확보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제한된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가능한 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주차설비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기존의 건물에 주차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승강횡행식 퍼즐형 주차설비나, 수직 순환형 주차타워,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타워 등이 제안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차설비들은 주차공간의 부족을 겪고 있는 기존의 건물들에서 주차공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의 신축단계에서 기본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운용상의 여러 문제점 또한 지적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주차설비는 주거공간부와 주차공간이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주차된 차량에 접근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차량의 관리와 물건의 운반 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주차되는 개별 격납부가 주거공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주차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은: 복수의 주거공간부; 각각의 상기 주거공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거공간부와는 격벽부로 구획되며, 차량이 주차되는 복수의 격납부; 상기 차량이 입출고되는 입출고부; 상기 입출고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을 상기 격납부로 운송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부측으로 또는 상기 격납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입출고부와 상기 승강부와 상기 격납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운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고부, 상기 승강부, 상기 격납부 및 상기 운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를 작동시키고, 운전자가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전자가 제공하는 정보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상기 주거공간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격납부가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납부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입출고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고부에는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제1소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납부에는 입구 측에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제2소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반부는, 상기 승강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베이스부; 및 상기 이동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상기 차량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고부는, 입구를 통해 들어온 차량을 상기 승강부를 향해 회전시키거나, 상기 승강부에서 나온 차량을 상기 입구를 향해 회전시키는 회전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고부는, 상기 회전판부에 주차된 상기 차량이 설정 영역 내에 정렬되도록 하는 자동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부에는 상기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회전판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판가이드부는 상기 차량의 좌측바퀴와 우측바퀴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운반부의 이동 전에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부위보다 하방으로 내려가서 상기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이동베이스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베이스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가이드부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입출고부와 상기 승강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납부에는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격납바닥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격납바닥판부에는 상기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격납바닥판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납바닥판가이드부는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운반부의 이동 전에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부위보다 하방으로 내려가서 상기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이동베이스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베이스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격납바닥판가이드부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격납바닥판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승강부와 상기 격납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은: 차량을 입출고부에 입고하는 입고 단계; 입고된 상기 차량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차량을 운반부에 의해 상기 입출고부에서 승강부로 이동시키는 제1 승강부 이동 단계;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차량을 입력된 정보에 따른 격납부측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 단계; 및 격벽부에 의해 주거공간부와 구획되되 상기 주거공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격납부로 상기 운반부에 의해 상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격납부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반부가 상기 승강부로 복귀하고,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는 주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거공간부에서 상기 차량의 출고를 지시하는 출고 지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고 지시 단계는, 상기 주거공간부에 설치되는 조작부에 운전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을 상기 운반부에 의해 상기 격납부에서 상기 승강부로 이동시키는 제2 승강부 이동 단계;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차량을 상기 입출고부측으로 승강시키는 제2 승강 단계; 및 상기 차량을 상기 운반부에 의해 상기 입출고부로 이동시키는 입출고부 이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반부가 상기 승강부로 복귀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입출고부에서 대기하는 출고 대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거공간부와 이웃하게 주차 차량이 놓이는 개별 격납부가 배치되어 단독주택 주차장의 편리함을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축 구조물에서도 누릴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회전판가이드부가 상하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운반부의 이동 전후에 바퀴지지부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승차 또는 하차 시에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격납바닥판가이드부가 상하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운반부의 이동 전후에 격납바닥판부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승차 또는 하차 시에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출고부에 설치되는 제1소독부에 의해 승강부에 차량이 이동되기 전에 입출고부에서 차량을 소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인 공간인 격납부에 차량이 진입되는 동안 차량을 재차 소독할 수 있으므로 주거공간부와 이웃한 격납부의 환경을 청결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층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지상층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다른 방향에서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승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부와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부에 차량이 입고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차량이 회전판부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가 입출고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차량이 운반부에 의해 승강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차량이 승강부에 의해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차량이 승강부에 의해 격납부로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격납바닥판가이드부가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에 의해 차량이 격납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가 승강부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사용자가 차량의 출고 조작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에 의해 차량이 승강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승강부에 의해 차량이 입출고부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에 의해 차량이 입출고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가 승강부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부에서의 차량의 출고대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에서 주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에서 출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 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층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지상층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다른 방향에서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승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부와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부에 차량이 입고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차량이 회전판부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가 입출고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차량이 운반부에 의해 승강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차량이 승강부에 의해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차량이 승강부에 의해 격납부로 승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격납바닥판가이드부가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에 의해 차량이 격납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가 승강부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사용자가 차량의 출고 조작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에 의해 차량이 승강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승강부에 의해 차량이 입출고부측으로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에 의해 차량이 입출고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운반부가 승강부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에서 입출고부에서의 차량의 출고대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B)은 주거공간부(100), 격납부(200), 입출고부(300), 승강부(400), 운반부(420)를 포함한다.
주거공간부(100)는 사용자가 주거하는 공간으로, 지상층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거공간부(100)는 지상 1층부터 지상 7층까지 배치되나, 이보다 더 높은 층으로 또는 더 낮은 층으로 설계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주거공간부(100)는 지하층에도 배치될 수 있다.
격납부(200)는 차량(C)이 주차되는 공간으로, 각각의 주거공간부(100)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로써 사용자(H)는 자신의 주거공간부(100)와 바로 이웃한 위치에 자신의 차량(C)이 주차 가능한 격납부(200)를 가지게 된다.
격납부(200)는 주거공간부(100)와는 격벽부(250)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주거공간부(100)는 격납부(200)의 소음, 매연 등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H)는 주거공간부(100)의 바로 옆에 차량(C)을 주차할 수 있으므로 차량(C)으로의 접근이 용이해지므로, 차량(C)의 관리나 차량(C)에 탑재된 물품 등의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주거공간부(100) 마다 개별적인 격납부(200)가 구비됨에 따라, 단독주택 주차장의 편리함을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건축 구조물에서도 누릴 수 있게 된다.
격납부(200)는 격벽부(250)에 의해 주거공간부(100)와 구획되므로, 격납부(200)에 드라이빙 영화관과 같이 자신만의 공간을 꾸밀 수 있게 되어 사용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부(200)는 수직 방향으로 입출고부(300)의 상방에 배치된다. 입출고부(300)로 들어온 차량(C)은 바로 승강부(400)로 이동되어 승강되고, 이후 사용자(H)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H)가 지정한 격납부(200)로 이동된다.
하나의 주거공간부(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납부(200)가 이웃하게 배치된다.
도 2에는 하나의 주거공간부(100)에 하나의 격납부(200)가 이웃하게 배치되는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여러 대의 차량(C)의 주차가 필요한 경우 하나의 주거공간부(100)에 2개 이상의 격납부(200)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차량(C)은 승강부(400)에 의해 각 층의 격납부(200)로 승강되고, 사용자(H)는 공용부(G)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계단 등을 통해 주거공간부(100)로 이동이 가능하다.
격납부(200)는 입구 측에 차량(C)을 소독하는 제2소독부(230)를 포함한다.
제2소독부(230)는 공용 공간인 입출고부(300)와 승강부(400)를 통해 개인 공간인 격납부(200)로 들어오는 차량(C)을 소독하여 격납부(200)의 환경을 청결히 할 수 있다.
제2소독부(230)는 차량(C)을 향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가스를 분사하여 차량(C)의 외부를 소독할 수 있으며, 격납부(200) 내부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고부(300)는 차량(C)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공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입출고부(300)는 지하 1층에 배치되나, 다른 층에도 배치될 수 있다.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B)은 입출고부(300) 주변에 주차구역(P)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H)는 격납부(200)가 아닌 주차구역(P)에 차량(C)을 주차할 수 있다. 사용자(H)는 통로부(L)를 따라서 입출고부(300)의 입구(320)까지 접근할 수 있다.
입출고부(300)는 회전판부(310)를 포함한다. 회전판부(310)는 입구(320)를 통해 들어온 차량(C)을 승강부(400)를 향해 회전시킬 수 있고, 승강부(400)에서 나온 차량(C)을 입구(320)를 향해 회전시킬 수 있다.
입출고부(300)는 자동정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정렬부는 회전판부(310)에 정차된 차량(C)이 안전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차량(C)의 바퀴 등을 정렬한다.
회전판부(310)는 차량(C)을 지지하는 바퀴지지부(3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퀴지지부(311)는 전방에 2개 후방에 2개 총 4개가 배치된다.
사용자(H)는 차량(C)의 입고 시에 차량(C)의 바퀴가 4개의 바퀴지지부(311) 영역 내에 모두 들어가도록 차량(C)을 주차하고 하차하면 된다.
회전판부(310)는 운반부(420)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회전판가이드부(312)를 포함한다.
회전판가이드부(312)는 차량(C)의 좌측바퀴와 우측바퀴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판가이드부(312)는 평상 시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지지부(311)와 동일 평면 또는 거의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사용자(H)가 차량(C)에서 하차할 시에 회전판가이드부(312)가 바퀴지지부(311)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회전판가이드부(312)에 발이 빠져 다치거나 접질리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회전판가이드부(3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부(420)가 회전판부(310) 상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바퀴지지부(311)보다 하방으로 내려가서 운반부(420)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즉, 회전판가이드부(312)는 평상 시에는 도 8과 같이 바퀴지지부(31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이후 운반부(420)가 회전판부(310) 상으로 이동되기 직전에 하방으로 내려가서 바퀴지지부(311)보다 낮게 배치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가이드부(430)와 회전판가이드부(312)는 서로 연결되고, 가이드부(430)를 따라 이동되는 운반부(420)는 승강부(400)를 벗어나 회전판부(310)에 도달한 지점부터는 회전판가이드부(312)를 따라 이동된다.
입출고부(300)는 차량(C)을 소독하는 제1소독부(360)를 포함한다.
제1소독부(360)는 사용자(H)의 개인 공간인 격납부(200)에 주차되기 전에 공용 공간인 입출고부(300)로 들어오는 차량(C)을 소독한다.
제1소독부(360)는 차량(C)을 향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가스를 분사하여 차량(C)의 외부를 소독할 수 있으며, 입출고부(300) 내부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0)는 입출고부(300)와 연결되고, 차량(C)을 입출고부(30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격납부(200)로 운송한다.
즉, 격납부(200)는 지상층에 복수개가 각 층별로 배치되어 있는데, 승강부(400)는 사용자가 주차를 요청한 해당 격납부(200)측으로 차량(C)을 승강시킨다.
운반부(420)는 승강부(400)에 설치되고, 입출고부(300)측으로 또는 격납부(200)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로써 운반부(420)는 입출고부(300)와 승강부(400)와 격납부(200)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차량(C)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C)의 주차 과정에서 운반부(420)는 입출고부(300)에 정차된 차량(C)을 승강부(400)로 이동시킬 수 있고, 승강부(400)에 적재된 차량(C)을 격납부(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C)의 출고 과정에서 운반부(420)는 격납부(200)에 주차된 차량(C)을 승강부(400)로 이동시킬 수 있고, 승강부(400)에 적재된 차량(C)을 다시 입출고부(3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부(420)는 이동베이스부(421), 리프트부(426)를 포함한다.
이동베이스부(421)는 승강부(400)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리프트부(426)는 이동베이스(421) 상에 배치되고,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차량(C)을 들어 올리거나 내린다.
승강부(400)는 가이드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30)는 이동베이스부(42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동베이스부(421)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넓은 레일홈부를 구비한다.
이동베이스부(421)는 가이드부(430)를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 흔들림 없이 전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베이스부(421)는 가이드부(430)와 회전판가이드부(312)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가이드부(430)와 회전판가이드부(312)를 따라 이동하여 입출고부(300)와 승강부(400)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차량(C)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C)은 리프트부(426)의 상승에 의해 리프트부(426)에 의해 들어 올려져 승강부(400)의 승강바닥판부(410)로부터 이격된다.
이후 차량(C)이 리프트부(426)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로 이동베이스부(421)가 격납부(200)측으로 또는 입출고부(300)측으로 이동하면서 차량(C)을 격납부(200)측으로 또는 입출고부(300)측으로 운반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고부(300)에 주차된 차량(C)을 승강부(400)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승강부(400)에 있는 운반부(420)는 가이드부(430)와 회전판가이드부(312)를 따라 회전판부(310) 상으로 이동한다.
차량(C)은 상승되는 리프트부(426)에 의해 들어 올려져 회전판부(310)의 바퀴지지부(311)로부터 이격된다.
이후 차량(C)은 리프트부(426)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로 이동베이스부(421)가 회전판가이드부(312)에서 가이드부(430)로 이동하면서 입출고부(300)에서 승강부(400)로 운반된다.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부(200)는 차량(C)이 주차되는 격납바닥판부(210)를 포함한다.
격납바닥판부(210)는 운반부(420)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를 포함한다.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는 평상 시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바닥판부(210)와 동일 평면 또는 거의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로써 사용자(H)가 차량(C)에서 하차할 시에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가 격납바닥판부(210)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에 발이 빠져 다치거나 접질리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는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부(420)의 이동 전에 차량(C)의 바퀴를 지지하는 부위보다 하방으로 내려가서 운반부(420)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이동베이스부(421)는 가이드부(430)와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가이드부(430)와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를 따라 이동하여 승강부(400)와 격납부(200)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차량(C)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킨다.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부(200)에 주차된 차량(C)을 승강부(400)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승강부(400)에 위치하는 운반부(420)는 가이드부(430)와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를 따라 격납바닥판부(210) 상으로 이동한다.
차량(C)은 상승되는 리프트부(426)에 의해 들어 올려져 격납부(200)의 격납바닥판부(210)로부터 이격된다.
이후 차량(C)은 리프트부(426)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로 이동베이스부(421)가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에서 가이드부(430)로 이동하면서 격납부(200)에서 승강부(400)로 운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B)은 제어부(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은 입출고부(300), 승강부(400), 격납부(200) 및 운반부(4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B)은 조작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700)는 제어부(500)를 작동시키고, 사용자(H)가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700)는 입출고부(300)에 설치되는 제1조작부와, 주거공간부(100)에 설치되는 제2조작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H)가 제공하는 정보는 사용자(H)의 생체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생체정보란 사용자(H)의 지문, 홍채 등을 의미한다. 사용자(H)가 제공하는 정보에는 RF카드를 비롯한 개인정보카드에 입력된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H)가 제공하는 정보에 의해 사용자(H)의 차량(C)이 주차될 격납부(200)의 확인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H)는 조작부(70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입출고부(300)에 정차된 차량(C)이 사용자(H)가 원하는 격납부(200)로 자동 이송되어 주차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H)는 주거공간부(100)에 설치되는 조작부(700)의 조작만으로 자신의 격납부(200)에 주차된 차량(C)의 출고를 바로 지시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에서 주차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에서 출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4 및 도 25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은 입고 단계(S110), 정보 입력 단계(S120), 제1 승강부 이동 단계(S130), 제1 승강 단계(S140), 격납부 이동 단계(S150), 주차 단계(S160)를 포함한다.
입고 단계(S110)는 차량(C)을 입출고부(300)에 입고하는 단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C)이 입출고부(300)의 입구(320)에 도달하면 개폐도어(321)는 개방된다. 개폐도어(321)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H)는 차량(C)을 입출고부(300)로 진입시켜 회전판부(310)의 바퀴지지부(311) 상에 바퀴가 놓이도록 차량(C)을 주차하고 하차한다.
정보 입력 단계(S120)는 입고된 차량(C)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차량(C)의 정보는 조작부(700)를 사용하여 사용자(H)가 제공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H)가 제공하는 정보에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H)가 제공하는 정보에 의해 제어부(500)는 사용자(H)가 지정하는 주차대상지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운반부(420), 승강부(400) 등의 작동을 제어하여 사용자(H)의 주거공간부(100)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격납부(200)로 차량(C)을 운반한다.
제1 승강부 이동 단계(S130)는 차량(C)을 운반부(420)에 의해 입출고부(300)에서 승강부(400)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가이드부(312)는 운반부(420)의 진입 이전에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이고, 회전판부(310)는 차량(C)이 탑재된 상태에서 90도 회전되어 가이드부(430)와 회전판가이드부(312)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도어(350)가 개방되면서 승강부(400)와 입출고부(300)가 연결되면, 운반부(420)는 가이드부(430)와 회전판가이드부(312)를 따라 이동하여 회전판부(310)에 주차된 차량(C)의 바닥측에 이르게 된다.
이후 리프트부(426)가 상승하면서 차량(C)은 바퀴지지부(311)로부터 이격되면서 들어 올려지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426)가 차량을 들어 올린 상태로 이동베이스부(421)는 승강부(400)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운반부(420)의 작동에 의해 차량(C)은 입출고부(300)에서 승강부(400)로 이동된다.
제1 승강 단계(S140)는 승강부(400)에 의해 차량(C)을 입력된 정보에 따른 격납부(200)측으로 승강시키는 단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0)는 사용자(H)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H)가 지정한 격납부(200)의 층으로 탑재된 차량(C)을 승강시킨다.
이때 회전판부(310)는 다시 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하고, 회전판가이드부(312)도 상승하여 바퀴지지부(311)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입출고부(300)가 지하 1층에 배치되고, 격납부(200)가 지상층에 배치되는 경우, 승강부(400)는 상승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부(200) 측으로 이동한다.
격납부 이동 단계(S150)는 격벽부(250)에 의해 주거공간부(100)와 구획되되 주거공간부(100)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격납부(200)로 운반부(420)에 의해 차량(C)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승강부(400)에 의해 사용자(H)가 지정한 격납부(200)의 층으로 승강된 차량(C)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도어(220)의 개방으로 승강부(400)와 격납부(200)가 연결된다.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는 운반부(420)의 진입 이전에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이다.
리프트부(426)가 상승하면서 차량(C)은 승강바닥판부(410)로부터 이격되면서 들어 올려지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426)가 차량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이동베이스부(421)가 가이드부(430)와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를 따라 격납부(200)측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차량(C)은 제2소독부(230)에 의해 소독될 수 있다. 차량(C)이 격납부(200)로 이동이 완료되면, 리프트부(426)의 하강에 의해 차량(C)은 격납바닥판부(210)에 안착된다.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은 주차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 단계(S160)는 격납부(200)로 차량(C)을 운반한 운반부(420)가 승강부(400)로 복귀하고, 격납부(200)의 격납바닥판부(210) 상에 차량(C)이 주차 완료되는 단계이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납도어(220)가 폐쇄되면서 격납부(200)는 승강부(400)와 완전히 격리되고,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도 상승하여 격납바닥판부(210)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승강부(400)는 운반부(420)를 탑재한 상태로 입출고부(300)의 층으로 이동되거나, 다른 사용자(H)의 요청에 따른 다른 주거공간부(100)와 인접한 격납부(200)의 층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은 출고 지시 단계(S210), 제2 승강부 이동 단계(S220), 제2 승강 단계(S230), 입출고부 이동 단계(S240), 출고 대기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고 지시 단계(S210)는 사용자(H)가 차량(C)의 출고를 지시하는 단계로, 본 실시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H)는 주거공간부(100)에 설치되는 조작부(700)를 사용하여 출고 지시가 가능하다.
종래와 달리 사용자(H)가 입출고부(300)에 직접 내려가거나, 입출고부(300) 근처에 있는 관리인에게 차량(C)의 출고를 요청할 필요 없이, 주거공간부(100)에서 바로 차량(C)의 출고를 지시할 수 있으므로, 차량(C)이 출고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H)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사용자(H)는 입출고부(300)에 설치되는 조작부(700)를 통해서도 차량(C)의 출고 지시를 할 수 있다.
제2 승강부 이동 단계(S220)는 차량(C)을 운반부(420)에 의해 격납부(200)에서 승강부(400)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는 운반부(420)의 진입 이전에 하방으로 내려간 상태이다.
격납도어(220)가 개방되면서 승강부(400)와 격납부(200)가 연결되면, 운반부(420)는 가이드부(430)와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를 따라 이동하여 격납바닥판부(210)에 주차된 차량(C)의 바닥측에 이르게 된다.
이후 리프트부(426)가 상승하면서 차량(C)은 격납바닥판부(210)로부터 이격되면서 들어 올려지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426)가 차량을 들어 올린 상태로 이동베이스부(421)는 승강부(400)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운반부(420)의 작동에 의해 차량(C)은 격납부(200)에서 승강부(400)로 이동된다. 이때 격납바닥판가이드부(211)는 다시 상승하여 격납바닥판부(210)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제2 승강 단계(S230)는 승강부(400)에 의해 차량(C)을 입출고부(300)측으로 승강시키는 단계이다.
승강부(400)는 입출고부(300)의 층으로 탑재된 차량(C)을 승강시킨다. 입출고부(300)가 지하 1층에 배치되고, 격납부(200)가 지상층에 배치되는 경우, 승강부(400)는 하강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1층으로 이동한다.
입출고부 이동 단계(S240)는 차량(C)을 운반부(420)에 의해 입출고부(300)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연결도어(350)의 개방으로 승강부(400)와 입출고부(300)가 연결된다. 회전판가이드부(312)는 운반부(420)가 회전판부(310) 상으로 이동되기 이전에 바퀴지지부(311)보다 하방으로 내려가서 운반부(420)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리프트부(426)가 상승하면서 차량(C)은 승강바닥판부(410)로부터 이격되면서 들어 올려지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426)가 차량(C)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이동베이스부(421)가 가이드부(430)와 회전판가이드부(312)를 따라 입출고부(300)측으로 이동한다.
차량(C)이 입출고부(300)로 이동이 완료되면, 리프트부(426)의 하강에 의해 차량(C)은 회전판부(310)에 안착된다.
출고 대기 단계(S250)는 운반부(420)가 승강부(400)로 복귀하고, 차량(C)이 입출고부(300)에서 대기하는 단계이다. 이때 회전판가이드부(312)는 다시 상승하여 바퀴지지부(311)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C)이 회전판부(310)에 안착된 후 운반부(420)는 승강부(400)로 복귀하고, 회전판부(310)는 차량(C)이 탑재된 상태에서 90도 회전되어 차량(C)이 출고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사용자(H)는 개폐도어(3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C)을 출고할 수 있다.
한편, 차량(C)이 회전판부(310)에 안착된 후에 설정된 시간 내에도 사용자(H)가 차량(C)을 출고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500)는 다시 차량(C)이 사용자(H)의 격납부(200)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만의 이동이 가능하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차량이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주거공간부
200 : 격납부
300 : 입출고부
400 : 승강부
420 : 운반부
500 : 제어부
700 : 조작부

Claims (25)

  1. 복수의 주거공간부;
    각각의 상기 주거공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거공간부와는 격벽부로 구획되며, 차량이 주차되는 복수의 격납부;
    상기 차량이 입출고되는 입출고부;
    상기 입출고부와 연결되고, 상기 차량을 상기 격납부로 운송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출고부측으로 또는 상기 격납부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입출고부와 상기 승강부와 상기 격납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운반부;
    상기 입출고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을 소독하는 제1 소독부; 및
    상기 차량이 격납부로 이동되는 과정에 상기 차량이 소독될 수 있도록 상기 격납부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제2 소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부, 상기 승강부, 상기 격납부 및 상기 운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작동시키고, 운전자가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제공하는 정보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주거공간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격납부가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부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입출고부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는,
    상기 승강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베이스부; 및
    상기 이동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된 상기 차량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부는,
    입구를 통해 들어온 차량을 상기 승강부를 향해 회전시키거나, 상기 승강부에서 나온 차량을 상기 입구를 향해 회전시키는 회전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고부는,
    상기 회전판부에 주차된 상기 차량이 설정 영역 내에 정렬되도록 하는 자동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부에는 상기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회전판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가이드부는 상기 차량의 좌측바퀴와 우측바퀴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운반부의 이동 전에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부위보다 하방으로 내려가서 상기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이동베이스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베이스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가이드부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입출고부와 상기 승강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부에는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격납바닥판부가 구비되고,
    상기 격납바닥판부에는 상기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격납바닥판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바닥판가이드부는 상하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운반부의 이동 전에 상기 차량의 바퀴를 지지하는 부위보다 하방으로 내려가서 상기 운반부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이동베이스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베이스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격납바닥판가이드부가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격납바닥판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승강부와 상기 격납부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한 상기 차량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20. 차량을 입출고부에 입고하는 입고 단계;
    입고된 상기 차량의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입출고부에 입고된 차량을 상기 입출고부에 구비된 제1 소독부에 의해 소독하는 제1 소독 단계;
    상기 차량을 운반부에 의해 상기 입출고부에서 승강부로 이동시키는 제1 승강부 이동 단계;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차량을 입력된 정보에 따른 격납부측으로 승강시키는 제1 승강 단계; 및
    격벽부에 의해 주거공간부와 구획되되 상기 주거공간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격납부로 상기 운반부에 의해 상기 차량을 이동시키는 격납부 이동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격납부 이동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격납부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상기 격납부의 입구 측에 구비되는 제2 소독부에 의해 상기 차량이 소독되는 제2 소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가 상기 승강부로 복귀하고,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는 주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공간부에서 상기 차량의 출고를 지시하는 출고 지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 지시 단계는, 상기 주거공간부에 설치되는 조작부에 운전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상기 운반부에 의해 상기 격납부에서 상기 승강부로 이동시키는 제2 승강부 이동 단계;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차량을 상기 입출고부측으로 승강시키는 제2 승강 단계; 및
    상기 차량을 상기 운반부에 의해 상기 입출고부로 이동시키는 입출고부 이동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부가 상기 승강부로 복귀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입출고부에서 대기하는 출고 대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의 주차 제어방법.
KR1020190062033A 2019-05-27 2019-05-27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KR102111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33A KR102111163B1 (ko) 2019-05-27 2019-05-27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PCT/KR2020/006871 WO2020242203A1 (ko) 2019-05-27 2020-05-27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033A KR102111163B1 (ko) 2019-05-27 2019-05-27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163B1 true KR102111163B1 (ko) 2020-05-14

Family

ID=7073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033A KR102111163B1 (ko) 2019-05-27 2019-05-27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1163B1 (ko)
WO (1) WO20202422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2734A (zh) * 2020-08-14 2020-11-13 中国科学院大学宁波华美医院 一种防疫用门禁系统
WO2020242203A1 (ko) * 2019-05-27 2020-12-03 나재선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100B (zh) * 2018-04-08 2019-04-02 北京建筑大学 一种立体式旋转智能存储仓体
CN108505782B (zh) * 2018-04-08 2020-07-03 北京建筑大学 一种智能存储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355A (ja) * 1990-04-27 1993-04-27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立体駐車設備
KR20100082098A (ko) * 2009-01-08 2010-07-16 쌍용건설 주식회사 각 층에 주차 공간을 가지는 아파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929A (ko) * 2017-09-25 2019-04-03 김호수 공동주택용 도어 투 도어 주차시스템
KR102111163B1 (ko) * 2019-05-27 2020-05-14 나재선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6355A (ja) * 1990-04-27 1993-04-27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立体駐車設備
KR20100082098A (ko) * 2009-01-08 2010-07-16 쌍용건설 주식회사 각 층에 주차 공간을 가지는 아파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203A1 (ko) * 2019-05-27 2020-12-03 나재선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CN111932734A (zh) * 2020-08-14 2020-11-13 中国科学院大学宁波华美医院 一种防疫用门禁系统
CN111932734B (zh) * 2020-08-14 2022-01-18 中国科学院大学宁波华美医院 一种防疫用门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2203A1 (ko)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163B1 (ko) 개별 격납부를 갖는 건축구조물 및 이의 주차 제어방법
US6851921B2 (en) Automated parking garage
CN101115671A (zh) 自动停车车库
JP6330095B1 (ja) 駐車装置、及び、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2010001654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及びその運転管理方法
KR100679566B1 (ko) 주차설비
JP6481068B1 (ja) 駐車装置
JP547614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763381A (en) bowles
JP7358037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車両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車両誘導方法、並びに車両誘導プログラム、機械式駐車装置
JP7214193B2 (ja) 自動運転車用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3498818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20190034929A (ko) 공동주택용 도어 투 도어 주차시스템
KR102224149B1 (ko) 자동화 봉안함 관리 시스템
JP5469431B2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車両入出庫方法
KR102656596B1 (ko) 숙박건물 개별 객실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KR20230102219A (ko) 자동 주차 설비
CN113605761A (zh) 一种带缓存区的双托盘式立体停车库及控制方法
JP3687031B2 (ja) ターンテーブル付き駐車装置
JP3103278U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を有した建物組込型で横行搬送装置を具備した篭の昇降式立体駐車装置
JP2004162288A (ja) 地下組込型駐車装置
JP4215139B2 (ja) 駐車装置を用いた入出庫方法
JP2004204649A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機械式駐車設備の運用方法
KR20230121307A (ko) 다면 입출차 방식 주차 시스템
KR20220047194A (ko) 집합건물 개별 세대 수직 주차용 차량 엘리베이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주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