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334B1 -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334B1
KR102110334B1 KR1020180014638A KR20180014638A KR102110334B1 KR 102110334 B1 KR102110334 B1 KR 102110334B1 KR 1020180014638 A KR1020180014638 A KR 1020180014638A KR 20180014638 A KR20180014638 A KR 20180014638A KR 102110334 B1 KR102110334 B1 KR 102110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eam
jig
ski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935A (ko
Inventor
전학수
김덕래
Original Assignee
전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학수 filed Critical 전학수
Priority to KR1020180014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3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61In-line machines, i.e. feeding, joining and discharging are in one productio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62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in the form of recurrin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5Decorative or colour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메인 시임(seam)에 의해 봉합된 스킨부의 시접부가 삽입된 보조부를 안내하는 보조부 레일; 상기 보조부를 향해 상기 시접부를 압박하는 가압봉; 상기 가압봉이 상기 시접부를 압박한 상태에서 상기 스킨부에 장식 시임(seam)을 형성하는 시임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TERIOR DECORATION MATERIA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트림, 콘솔 등의 내장품을 지칭한다. 차량용 내장재는 기재, 기재 상에 설치된 쿠션층, 쿠션층 상에 설치된 스킨층을 포함한다.
기재는 복잡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스킨층은 천이나 플렉시블한 판 형상을 갖는다.
복잡한 입체 형상의 기재를 스킨층으로 감쌀 때, 스킨층이 기재에 편평하게 밀착되지 않고 들뜨거나 주름이 잡히면 차량용 내장재가 불량 처리된다.
한편, 스킨층에 형성된는 더블 스티치, 싱글 스티치 등의 장식 시임이 시접부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지 않고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비뚤어지는 경우에도 차량용 내장재가 불량 처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7989호에는 천연 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가 개시되고 있으나, 더블 스티치, 싱글 스티치 등을 똑바로 배열하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7989호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장식 시임이 똑바로 배열된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메인 시임(seam)에 의해 봉합된 스킨부의 시접부가 삽입된 보조부를 안내하는 보조부 레일; 상기 보조부를 향해 상기 시접부를 압박하는 가압봉; 상기 가압봉이 상기 시접부를 압박한 상태에서 상기 스킨부에 장식 시임(seam)을 형성하는 시임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보조부 레일, 가압봉, 시임 유니트를 이용해 차량용 내장재의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부에 형성된 트렌치에 삽입되는 보조부를 스킨부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량용 내장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킨부에 보조부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임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지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스킨부가 안내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지그 및 제2 지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스킨부 롤러 및 보조부 롤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스킨부 아암 및 보조부 롤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차량용 내장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100)는 기재부(110), 스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용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용 내장재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도어 트림, 글러브 박스(glove box), 필러 가니쉬 등일 수 있다. 도 1에는 기재부(110)의 예로 차량 실내 앞쪽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나타내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앞면 유리창 쪽에 바람을 출력하는 제1 벤트 홀(101), 측면 유리창 쪽에 바람을 출력하는 제2 벤트 홀(103)이 마련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강성을 제공하는 요소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목재, 금속 등을 재료로 하여 성형될 수 있다.
차량용 내장재에 부딪혔을 때의 부상을 방지하고 차량용 내장재를 만졌을 때의 촉감 개선을 위해 기재부(110)와 스킨부(130)의 사이에는 쿠션부(150)가 삽입될 수 있다.
쿠션부(150)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부(150)는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외피(151)와 제2 외피(152), 제1 외피(151)와 제2 외피(152) 사이에 삽입되는 필라멘트층(153)을 포함할 수 있다. 필라멘트층(153)은 가느다란 실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엉킨 솜 또는 편물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펀지, 고무 등으로 필라멘트층(153)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1 외피(151)와 제2 외피(152)는 필라멘트층(153)을 형성하는 부재의 유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필라멘트층(153)을 대신해 기재부(110), 스킨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외피(151)는 기재부(110)에 접착되고, 제2 외피(152)는 스킨부(130)에 접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쿠션부(150)를 배제하고 있으나, 쿠션부(150)는 스킨부(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킨부(130)와 함께 접히거나, 스킨부(130)와 함께 기재부(110)에 랩핑될 수 있다. 랩핑(wrapping)은 기재부(110)의 표면에 플렉시블한 스킨부(130)를 팽팽하게 당기며 주름이나 들뜸없이 덮는 것을 말한다.
스킨부(130)는 질감 향상, 촉감 향상, 미려한 외관 제공을 위한 것으로, 천연 가죽, 인조 가죽, 직물 등을 포함하며, 자유롭게 휘어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이다.
스킨부(130)는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주름없이 기재부(110)에 결합되어야 한다. 기재부(110) 상에 랩핑된 스킨부(130)의 단부는 기재부(110)의 말단에서 안쪽으로 접혀져 기재부(110)의 밑면 또는 내측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킨부(130)의 단부를 기재부(110)의 밑면 또는 내측벽면에 결합하면, 스킨부(130)의 신축성에 따른 주름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스킨부(130)와 기재부(110)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쿠션부(150)가 존재하는 경우, 쿠션부(150)에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해당 접착제는 상온에서 접착력이 약하고 상온보다 높은 특정한 설정 온도 범위에서 설정 범위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기재부(110) 상에 스킨부(130)가 랩핑되면 차량용 내장재(100)는 접착제가 동작하는 설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설정 온도로 가열된 접착제에 의해 기재부(110)와 스킨부(13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진 후에는 스킨부(130)에 발생된 주름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랩핑 공정에서 주름이나 들뜸을 최대한 없애야 한다.
기재부(110)에 랩핑되기 전에 스킨부(130)는 평면 시트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평면 시트 상태인 여러 조각의 스킨부(130)를 시접부(230)로 봉합하면 봉합된 시접부(230)는 기재부(110)의 외형에 맞게 곡선을 포함하는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시트(131) 및 타측의 제2 시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킨부(130)는 기재부(110)의 제1 영역을 덮는 제1 시트(131), 기재부(110)의 제2 영역을 덮는 제2 시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킨부(130)의 일면에는 메인 시임(231)(seam)에 의하여 제1 시트(131)와 제2 시트(132)를 봉합한 시접부(230)가 돌출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는 스킨부(130)의 고정 기준 위치를 잡기 위하여 시접부(230)가 결합되는 트렌치(118)(trench)가 형성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 대한 스킨부(130)의 정렬 상태를 가이드하거나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스킨부(130)를 양측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힘을 지지하기 위하여, 보조부(300)가 삽입되는 트렌치(118)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된 차량용 내장재(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킨부(130)에 보조부(300)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서로 분리된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는 외면과 외면이 대면되게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가 메인 시임(231)에 의해 봉합되어 시접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시임(231)은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꿰맨 줄 또는 실에 해당할 수 있다.
스킨부(130)에서 시접부(230)에 반대되는 면에는 제1 시트(131)와 제2 시트(132)가 말려 들어가면서 메인 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홈(240)을 사이에 두고 메인 홈(24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스티치(stitch)에 해당하는 장식 시임(233)(seam)이 형성될 수 있다. 장식 시임(233)은 시접부(230) 또는 메인 홈(240)에 평행하게 스킨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된 스티치 등의 장식 시임(233)은 시접부(230) 또는 메인 홈(240)에 평행하게 정렬될 필요가 있다.
메인 홈(240)에 대하여 장식 시임(233)이 삐뚤삐뚤해지는 불량 문제를 방지하고,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는 시접부(230)와 트렌치(118)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에는 기재부(110)에 보조부(300)를 정렬시키는 제1 정렬 수단(310) 및 보조부(300)에 장식 시임(233)을 정렬시키는 제2 정렬 수단(320)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부(300)는 평면상으로 시접부(23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부(110) 상에 길게 형성된 트렌치(118)에 맞춰 시접부(230)가 연장되면, 보조부(300) 역시 시접부(230)와 동일하게 트렌치(118)의 시작점으로부터 종착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보조부(300)는 연장 방향을 따라 휘어지거나 비틀어지면서도, 단면 형상이 설정 형상으로 유지되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300)가 정렬되는 트렌치(118)에는 서로 대면되는 제1 내벽(391)과 제2 내벽(39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벽(391)은 보조부(300)가 트렌치(118)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2 내벽(392)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벽(392)은 보조부(300)가 트렌치(118)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1 내벽(391)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벽(391)의 굴곡 또는 경사, 그리고 제2 내벽(392)의 굴곡 또는 경사에 의해 트렌치(118)는 깊게 내려갈수록 직경이 점점 줄어드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서로 교차하는 2개의 가상선 중 하나를 따라 제1 내벽(391)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를 따라 제2 내벽(39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렬 수단(310)은 별도로 마련된 상태에서 보조부(300)에 연결되거나, 보조부(3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300)에 연결된 제1 정렬 수단(310)은 보조부(300)와 함께 움직이면서 트렌치(118)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렬 수단(310)은 보조부(300)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제1 경사면(311)과 제2 경사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311) 또는 제2 경사면(312)과 트렌치(118)의 물리적 간섭에 의해 보조부(300)는 트렌치(118)의 정해진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정렬 수단(310)은 제1 경사면(311)과 제2 경사면(312)에 의해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정렬 수단(310)이 보조부(300)에 일체로 형성된 경우, 보조부(300)의 일부는 제1 정렬 수단(310)으로 인해 역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트렌치(118)에 삽입되는 제1 경사면(311)은 트렌치(118)의 제1 내벽(391)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118)에 삽입되는 제2 경사면(312)은 트렌치(118)의 제2 내벽(392)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벽(391), 제2 내벽(392), 제1 경사면(311), 제2 경사면(312)에 따르면, 제1 정렬 수단(310)의 꼭지부(f) 또는 보조부(300)의 꼭지부(f)가 트렌치(118)의 설정 위치에 정렬되지 못하고 제1 내벽(391)에 접촉되게 삽입되더라도, 꼭지부(f)는 제1 내벽(391)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제2 내벽(392) 측으로 이동되는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트렌치(118)의 설정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꼭지부(f)가 설정 위치를 넘어 제2 내벽(392) 측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제2 내벽(392)에 맞닿은 꼭지부(f)는 제2 내벽(392)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므로, 설정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내벽(391), 제2 내벽(392), 제1 정렬 수단(310)에 따르면, 트렌치(118)에 삽입되는 보조부(300)의 삽입 위치가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삽입 위치의 가이드에 따라, 보조부(300)는 기재부(110)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벽(391)에 맞닿은 제1 경사면(311)으로 인해 보조부(300)가 제1 내벽(391) 측으로 이동하려는 현상이 저지되고, 제2 내벽(392)에 맞닿은 제2 경사면(312)으로 인해 보조부(300)가 제2 내벽(392) 측으로 이동하려는 현상이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스킨부(130)의 양측을 마음껏 잡아당겨서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스킨부(130)를 잡아당기는 공정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해 메인 홈(240)을 강하게 압박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굴곡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제1 내벽(391)과 제2 내벽(392)에 따르면, 금형 빼기 각도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상의 트렌치(118)가 기재부(110)의 각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300)의 일면에 트렌치(118)와의 정렬을 위한 제1 정렬 수단(310)이 형성될 때, 보조부(300)의 타면에는 시접부(230)의 정렬을 위한 제2 정렬 수단(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정렬 수단(320)은 시접부(23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시접부(230)가 사각 단면을 갖는 경우, 제2 정렬 수단(320)은 사각 단면의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정렬 수단(320)에 시접부(230)가 삽입되면, 시접부(230)가 보조부(300)에 정렬되고, 시접부(230)에 대해 정렬된 장식 시임(233)이 자연스럽게 보조부(300)에 정렬될 수 있다.
여기서, 트렌치(118)에 제1 정렬 수단(310)이 삽입되면, 보조부(300)가 기재부(110)의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그 결과, 보조부(300)에 정렬된 장식 시임(233)은 보조부(300)를 거쳐 기재부(110)의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보조부(300)는 제1 정렬 수단(310), 제1 내벽(391), 제2 내벽(392)에 의해 기재부(110)에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이므로, 장식 시임(233) 역시 기재부(110)에 대하여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스킨부(130)의 외면에 형성된 메인 홈(240)은 제1 정렬 수단(310) 및 제2 정렬 수단(320)에 의해 기재부(110)에 똑바로 정렬되므로, 메인 홈(240)로부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열된 장식 시임(233) 역시 기재부(110)에 똑바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정렬 수단(310) 및 제2 정렬 수단(320)에 따르면, 메인 홈(240) 또는 장식 시임(233)이 삐뚤삐뚤하게 정렬되는 불량 문제가 대폭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메인 홈(240) 또는 장식 시임(233)이 삐뚤삐뚤하지 않게 스킨부(130)를 잡아당겨 위치를 교정하는 작업이 배제되므로, 랩핑 공정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가 시접부(230)를 바라보고 있는 상태에서 시접부(230)에 보조부(300)의 타면을 결합시키고, 시접부(230)가 결합된 상태로 보조부(300)의 일면을 단순히 트렌치(118)에 삽입하기만 하면 트렌치(118)에 대한 시접부(230)의 정렬이 완료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킨부(130)에 보조부(300)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보조부(300)의 홈에 해당하는 제2 정렬 수단(320)에 시접부(2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장식 시임(233)이 끼워진 바늘(990)을 이용해서 보조부(300)와 스킨부(130)를 봉합할 수 있다.
보조부(300)의 타면에 형성된 제2 정렬 수단(320)에 시접부(230)가 삽입된 상태에서 봉합이 이루어지면, 보조부(300)와 스킨부(130) 간의 견고한 결합이 보장되는 동시에 장식 시임(233)이 보조부(300)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및 도 4의 보조부(300)에는 장식 시임(233)에 의해 스킨부(130)에 봉합되는 날개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330)에 의해 장식 시임(233)은 보조부(300)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서 트렌치(118)의 입구 주변에는 날개부(330)에 걸리는 단턱에 해당하는 턱부(381)가 형성될 수 있다. 턱부(381)는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스킨부(130)를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공정 중에 보조부(300)가 트렌치(11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아울러, 턱부(381)는 보조부(300)의 삽입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대량 생산을 위해 보조부(300)와 스킨부(130)의 봉합을 자동화하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 제조 장치는 시임 유니트(900) 및 전처리 유니트(8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임 유니트(900)는 장식 시임(233)용 실이 끼워진 바늘(990)을 이용해서 보조부(300)와 스킨부(130)를 봉합할 수 있다.
전처리 유니트(800)는 시임 유니트(900)의 상류에 위치하고, 따로따로 입력된 스킨부(130)와 보조부(300)를 정렬하며 스킨부(130)와 보조부(300)를 하나로 합체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임 유니트(9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 제조 장치는 제1 지그(830), 제2 지그(810), 시임 유니트(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그(830)는 제1 시트(131) 및 제2 시트(132)를 포함하는 스킨부(130) 또는 시접부(230)를 시임 유니트(900)로 안내할 수 있다. 제2 지그(810)는 보조부(300)를 시임 유니트(900)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시임 유니트(900)는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 스킨부(130)의 장식 시임(233)(seam)을 형성한다. 시접부(230)는 제1 시트(131) 및 제2 시트(132)를 메인 시임(231)(seam)으로 봉합한 것이다. 보조부(300)는 시접부(230)가 삽입되는 시접부 구멍(321)을 구비한다. 제1 지그(830) 및 제2 지그(810)가 시임 유니트(900)의 상류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시접부(230) 및 보조부(300)를 안내할 수 있다.
제1 지그(830) 및 제2 지그(810)가 시접부 구멍(321)에 시접부(230)를 삽입하고, 시접부(230)가 삽입된 보조부(300)를 시임 유니트(900)에 대하여 정렬시킨다. 시임 유니트(900)는 스킨부(130)에 장식 시임(233)을 형성한다.
제2 지그(810)는 보조부(300)가 삽입되는 보조부 레일(91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 레일(910)은 보조부(300)의 일면과 일치하는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 레일(910)이 보조부(300)의 일면에 미끄럼 접촉되면서 보조부(300)를 시임 유니트(900)에 정렬시킬 수 있다.
보조부 레일(910)의 제1 안내면(896, 911) 및 제2 안내면(895, 912)의 바깥쪽에 위치한 보조부 레일(910)의 가장자리는 제1 시트(131) 및 제2 시트(132)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시임 유니트(900)에는 가압봉(980), 바늘(990)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부 레일(910)은 메인 시임(231)(seam)에 의해 봉합된 시접부(230)가 삽입된 보조부(300)를 안내할 수 있다.
가압봉(980)은 보조부(300)를 향해 시접부(230)를 압박하고, 가압봉(980)은 메인 홈(240)을 정해진 위치에 정렬시키고 장식 시임(233)이 메임 홈에 정렬되게 한다.
시임 유니트(900)는 가압봉(980)이 시접부(230)의 메인 홈(240)을 압박한 상태에서 스킨부(130)에 장식 시임(233)(seam)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부 레일(910)은 보조부(300)가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 레일(910)은 삽입된 보조부(300)가 일방향을 따라 이송되도록, 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 롤러(890) 또는 보조부 레일(910)에는 서로 대면되는 제1 안내면(896, 911)과 제2 안내면(895, 9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내면(896, 911)은 보조부(300)를 안내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2 안내면(895, 912)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안내면(895, 912)은 보조부(300)를 안내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1 안내면(896, 911)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보조부 레일(910)은 보조부(300)가 삽입되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보조부 레일(910)은 기재부(110)의 트랜치와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형상이 될 수 있다.
보조부(300)에는 서로 이웃하는 제1 경사면(311)과 제2 경사면(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내면(896, 911)은 제1 경사면(311)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보조부(3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제1 경사면(311)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안내면(895, 912)은 제2 경사면(312)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보조부(3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제2 경사면(312)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안내면(896, 911)과 제2 안내면(895, 912)으로 인해 보조부 레일(910)을 따라 움직이는 보조부(300)는 설정 방향을 따라서만 움직일 수 있으며, 다른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의 이동 제한에 의해 장식 시임(233)이 형성될 위치가 시임 유니트(900)에 정렬될 수 있다.
보조부(300)의 꼭지부(f)에 대면되는 보조부 레일(910)의 일면에는 보조부(300)의 꼭지부(f)가 헐겁게 삽입되는 완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완충 홈에 따르면, 제1 경사면(311)이 제1 안내면(896, 911)에 확실하게 밀착되고, 제2 경사면(312)이 제2 안내면(895, 912)에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다.
가압봉(980)은 시접부(230)에 반대되는 스킨부(130)의 메인 홈(240)을 압박하고, 가압봉(980)이 메인 홈(240)을 압박하면, 메인 홈(240)의 반대에 위치하는 시접부(230)가 보조부(300)에 확실하게 끼워질 수 있다.
만약, 메인 홈(240) 주변의 제1 시트(131) 및 제2 시트(132)가 말린 상태라고 하더라도, 가압봉(980)에 의해 메인 홈(240)이 가압되면, 메인 홈(240) 주변의 제1 시트(131) 또는 제2 시트(132)는 메인 홈(240)을 기준으로 편평하게 펼쳐지면서 보조부(300)의 상면에 정확히 밀착될 수 있다.
보조부(300)의 상면에 평평하게 밀착된 스킨부(130)로 인해 장식 시임(233)의 형성 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시임 유니트(900)는 장식 시임(233)에 해당하는 싱글 스티치 또는 더블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시임 유니트(900)에는 스킨부(130)를 누르는 노루발(970), 노루발(970)에 형성된 틈 또는 홀을 통해 스킨부(130)에 장식 시임(233)을 바느질하는 바늘(990)이 마련될 수 있다.
시임 유니트(900)의 바늘(990)은 가압봉(980)으로부터 설정 거리 d만큼 이격될 수 있다.
가압봉(980)의 일측에 설정 거리 d만큼 이격된 바늘(990), 가압봉(980)의 타측에 설정 거리 d만큼 이격된 바늘(990)에 의해 서로 대면되는 2개의 장식 시임(233)은 메인 홈(240)을 가운데에 두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2개의 바늘(990)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조부(300) 또는 스킨부(130)가 이송되면, 스킨부(130) 상에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장식 시임(233)이 형성될 수 있다. 스킨부(130)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장식 시임(233)이 더블 스티치에 해당될 수 있다.
시접부(230)는 스킨부(130)에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형상으로 굴곡진 시접부(230)을 재봉질하도록 시임 유니트(900)에 마련된 복수의 바늘(990), 보조부 레일(910), 가압봉(980)은 스킨부(130)의 이송 방향 상으로 동일한 1개의 지점에 마련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바늘(990)은 스킨부(130)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 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킨부(130) 또는 보조부(300)의 방향을 틀면서 봉합이 이루어지므로, 다양하게 굴곡진 장식 시임(233)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300) 또는 스킨부(13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시임 유니트(900)의 상류에 전처리 유니트(80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처리 유니트(800)에는 제2 지그(810), 제1 지그(83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그(830)는 시접부(230)가 형성된 스킨부(130)를 보조부(300) 또는 시임 유니트(900)에 대하여 정해진 위치에 정렬시킨다. 제2 지그(810)는 스킨부(130)의 시접부(230)를 보조부(300)와 결합시킨다. 제2 지그(810)에서 하나로 합체된 스킨부(130)와 보조부(300)는 시임 유니트(900)로 입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지그(8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스킨부(130)가 안내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1 지그(830)는 깔대기 형상의 정렬 홈(839)이 형성된 제1 판부(831), 제1 판부(831)에 대면하게 형성된 제2 판부(833)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홈(839)은 시접부(230)가 입력되는 입력단으로부터 시접부(230)가 출력되는 출력단까지 점차 간격이 좁아지는 깔대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판부(833)는 스킨부(130)의 상단을 눌러서 시접부(230)를 정렬 홈(839)에 정렬시킬 수 있다. 제1 시트(131), 제2 시트(132) 및 시접부(230)가 제1 판부(831) 및 제2 판부(833)의 틈새를 통하여 시임 유니트(90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지그(830)를 통과한 시접부(230)는 보조부(300)에 형성된 제2 정렬 수단(320)으로서 시접부 구멍(321)에 정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지그(830) 및 제2 지그(8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스킨부 롤러(870) 및 보조부 롤러(89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스킨부 아암(880) 및 보조부 롤러(89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한다.
제2 지그(8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부(300)와 선접촉되는 보조부 롤러(89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 롤러(890)는 보조부(300)의 일면과 일치하는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 롤러(890)가 보조부(300)의 일면에 구름 접촉되면서 보조부(300)를 시임 유니트(900)에 정렬시킬 수 있다.
보조부 롤러(890)는 롤러 풀리(892) 및 롤러 돌출부(891)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풀리(892)는 보조부(300)가 삽입되는 부분의 외곽에서 제1 시트(131) 및 제2 시트(132)의 배면을 눌러줄 수 있다. 롤러 돌출부(891)는 롤러 풀리(892)보다 돌출되며 제1 시트(131) 및 제2 시트(132)를 들어서 지지할 수 있다. 롤러 돌출부(891)에 의하여 제1 시트(131) 및 제2 시트(132)가 들려지면 스킨부(130)는 보조부 롤러(890)의 중심을 향하여 수렴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시접부(230)의 메인 시임(231)을 기준으로 제1 시트(131) 및 제2 시트(132)가 접혀진 상태이므로, 스킨부(130)의 양쪽을 들어주면 시접부(230) 주변을 좀 더 뾰족하게 만들 수 있다. 스킨부(130) 양쪽을 들어주면 시접부(230)가 다양한 곡률의 곡선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도 시접부(230)를 보조부(300)의 시접부 구멍(321)으로 쉽게 정렬시킬 수 있다.
3차원 공간에서 복잡하게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스킨부(130)의 정렬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입구 롤러(850) 및 입구 판부(850)가 마련될 수 있다.
입구 판부(850)는 스킨부(130) 하측에 돌출된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스킨부(130) 양측을 들어주기 위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입구 롤러(850)는 시접부(230) 상측의 메인 홈(240)을 눌러서 스킨부(130)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V'자 형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입구 판부(850)의 경사진 형상 및 입구 롤러(850)의 메인 홈(240) 가압에 의하여 시접부(230)는 보조부(300)의 시접부 구멍(321)을 향하여 더 잘 수렴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보조부 레일(910)과 마찬가지로 보조부 롤러(890)는 보조부(300)를 시접부(230)에 정렬시키는 제2 지그(810)가 될 수 있다. 보조부 레일(910)과 마찬가지로 보조부 롤러(890)에는 서로 대면되는 제1 안내면(896, 911)과 제2 안내면(895, 912)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제1 경사면(311) 및 제2 경사면(312)이 만나는 꼭지부(f)가 보조부(300)에 돌출될 수 있다. 제2 지그(810)는 꼭지부(f)의 위치를 구속하고 보조부(300) 및 시접부(230)를 시임 유니트(900)에 대하여 정렬시킬 수 있다.
제2 지그(810)는 보조부(300)가 삽입되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그(810)는 보조부(300)의 날개부(330)를 이동 가능하게 안착하는 지지부(894, 9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지그(810)는 날개부(330)의 측면과 대면되는 부분에 이탈 방지부(893, 9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그(830)는 보조부(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 지그(810)는 스킨부(1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그(830) 및 제2 지그(810)가 대면되는 위치에서 시접부(230)가 보조부(300)의 시접부 구멍(32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지그(830) 및 제2 지그(810)가 시접부(230)를 가압하여 시접부(230) 및 보조부(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스킨부(130) 또는 보조부(30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제1 위치보다 하류에 있는 제2 위치에서 시임 유니트(900)가 보조부(300) 및 스킨부(130)를 장식 시임(233)으로 봉합할 수 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보조부(300)는 직선으로 연장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보다 롤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보조부(300)가 롤 형태로 감겨진 공급 롤러(885)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부(300)는 공급 롤러(885)에서 풀려나가며 제2 지그(810) 및 시임 유니트(9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지그(810)와 대면되는 제1 지그(830)는 제1 시트(131) 및 상기 제2 시트(132)의 상면을 보조부(300)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제1 지그(830)는 스킨부 롤러(870) 또는 스킨부 아암(88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부 롤러(870) 또는 스킨부 아암(880)은 메인 홈 가압부(875)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홈 가압부(875)는 메인 홈(240)을 눌러서 시접부(230) 또는 스킨부(130)를 시임 유니트(900)의 가압봉(980)에 정렬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차량용 내장재 101...제1 벤트 홀
103...제2 벤트 홀 110...기재부
118...트렌치 130...스킨부
131...제1 시트 132...제2 시트
150...쿠션부 151...제1 외피
152...제2 외피 153...필라멘트층
230...시접부 231...메인 시임
233...장식 시임 240...메인 홈
300...보조부 310...제1 정렬 수단
311...제1 경사면 312...제2 경사면
320...제2 정렬 수단 321...시접부 구멍
330...날개부 f...꼭지부
381...턱부
391...제1 내벽 392...제2 내벽
800...전처리 유니트 810...제2 지그
830...제1 지그 831...제1 판부
833...제2 판부 839...정렬 홈
850...입구 롤러 860...입구 판부
870...스킨부 롤러(roller) 875...메인 홈 가압부
880...스킨부 아암 885...공급 롤러
890...보조부 롤러 891...롤러 돌출부
892...롤러 풀리 900...시임 유니트
910...보조부 레일 896, 911...제1 안내면
895, 912...제2 안내면 894, 930...지지부
893, 950...이탈 방지부 970...노루발
980...가압봉 990...바늘

Claims (17)

  1.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포함하는 스킨부 또는 시접부를 안내하는 제1 지그;
    보조부를 안내하는 제2 지그;
    상기 시접부를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에 상기 스킨부의 장식 시임(seam)을 형성하는 시임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접부는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를 메인 시임(seam)으로 봉합한 것이며,
    상기 보조부는 상기 시접부가 삽입되는 시접부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지그 및 상기 제2 지그가 상기 시임 유니트의 상류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그 및 상기 제2 지그가 상기 시접부 구멍에 상기 시접부를 삽입하고 상기 시접부가 삽입된 상기 보조부를 상기 시임 유니트에 대하여 정렬시키면,상기 시임 유니트가 상기 스킨부에 상기 장식 시임을 형성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보조부가 삽입되는 보조부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 레일은 상기 보조부의 일면과 일치하는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부 레일이 상기 보조부의 일면에 미끄럼 접촉되면서 상기 보조부를 상기 시임 유니트에 정렬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의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을 안내하는 제1 안내면 및 제2 안내면을 구비하는 보조부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안내면 및 상기 제2 안내면의 바깥쪽에 위치한 상기 보조부 레일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의 배면을 지지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보조부와 선접촉되는 보조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 롤러는 상기 보조부의 일면과 일치하는 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부 롤러가 상기 보조부의 일면에 구름 접촉되면서 상기 보조부를 상기 시임 유니트에 정렬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보조부를 안내하는 보조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 롤러는 롤러 풀리 및 롤러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풀리는 상기 보조부가 삽입되는 부분의 외곽에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의 배면을 눌러주고,
    상기 롤러 돌출부는 상기 롤러 풀리보다 돌출되며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를 들어서 지지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보조부가 삽입되는 보조부 레일 또는 상기 보조부에 접촉되는 보조부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 레일 또는 상기 보조부 롤러에는 서로 대면되는 제1 안내면과 제2 안내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안내면은 상기 보조부를 안내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상기 제2 안내면을 향해 상기 보조부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안내면은 상기 보조부를 안내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상기 제1 안내면을 향해 상기 보조부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갖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이 만나는 꼭지부가 상기 보조부에 돌출되며,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꼭지부의 위치를 구속하고 상기 보조부 및 상기 시접부를 상기 시임 유니트에 대하여 정렬시키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보조부가 삽입되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부 구멍의 주변을 연장한 날개부가 상기 보조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날개부가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접부 구멍의 주변을 연장한 날개부가 상기 보조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날개부의 측면과 대면되는 부분에 이탈 방지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가 서로 만나는 메인 홈이 상기 시접부의 반대쪽에 형성되고,
    상기 시임 유니트는, 상기 메인 홈을 누르는 가압봉과, 상기 가압봉에 대하여 일정한 이격 거리에 위치한 바늘을 구비하며,
    상기 바늘은 상기 메인 홈에 대하여 상기 일정한 이격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 장식 시임을 형성하며,
    상기 장식 시임에 의하여 상기 제1 시트 또는 상기 제2 시트가 상기 보조부에 봉합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는 상기 보조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그는 상기 스킨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그 및 상기 제2 지그가 대면되는 위치에서 상기 시접부가 상기 보조부에 삽입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지그 및 상기 제2 지그가 상기 시접부를 가압하여 상기 시접부 및 상기 보조부를 결합시키고,
    상기 스킨부 또는 상기 보조부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위치보다 하류에 있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시임 유니트가 상기 보조부 및 상기 스킨부를 상기 장식 시임으로 봉합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가 롤 형태로 감겨진 공급 롤러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부는 상기 공급 롤러에서 풀려나가며 상기 제2 지그 및 상기 시임 유니트로 공급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가 서로 만나는 메인 홈이 상기 시접부의 반대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그는 상기 제1 시트 및 상기 제2 시트의 상면을 상기 보조부 방향으로 누르는 스킨부 롤러 또는 스킨부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부 롤러 또는 상기 스킨부 아암은 상기 제2 지그에 대면되며,
    상기 스킨부 롤러 또는 상기 스킨부 아암은 상기 메인 홈을 눌러서 상기 시접부 또는 상기 스킨부를 상기 시임 유니트의 가압봉에 정렬시키는 메인 홈 가압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는 제1 판부 및 제2 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 상기 제2 시트 및 상기 시접부가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시임 유니트 방향으로 이동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KR1020180014638A 2018-02-06 2018-02-06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KR102110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638A KR102110334B1 (ko) 2018-02-06 2018-02-06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638A KR102110334B1 (ko) 2018-02-06 2018-02-06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935A KR20190094935A (ko) 2019-08-14
KR102110334B1 true KR102110334B1 (ko) 2020-05-13

Family

ID=6762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638A KR102110334B1 (ko) 2018-02-06 2018-02-06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3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435A (ja) * 2003-08-07 2005-03-03 Kasai Kogyo Co Ltd 加飾部品並びに自動車用内装部品
KR101027989B1 (ko) 2010-08-26 2011-04-13 주식회사 세림티티시 천연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
JP2013184354A (ja) * 2012-03-07 2013-09-19 Toyota Boshoku Corp 複合部材の製造方法及び複合部材の製造装置
JP2016034774A (ja) * 2014-08-01 2016-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内装部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435A (ja) * 2003-08-07 2005-03-03 Kasai Kogyo Co Ltd 加飾部品並びに自動車用内装部品
KR101027989B1 (ko) 2010-08-26 2011-04-13 주식회사 세림티티시 천연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
JP2013184354A (ja) * 2012-03-07 2013-09-19 Toyota Boshoku Corp 複合部材の製造方法及び複合部材の製造装置
JP2016034774A (ja) * 2014-08-01 2016-03-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内装部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935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7857B2 (en) Trim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a trim part
CN107531193B (zh) 缝制覆盖物、包括载体部件和缝制覆盖物的组件
EP1377705B1 (en) Sewn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CN111094073B (zh) 包括辅助部的车辆用内饰材料
US829305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vehicular interior part
KR102110334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US2990551A (en) Integrated clasp for use with neckties
KR101929369B1 (ko)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JP2020176341A (ja) 表皮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87083A (ko) 봉제물의 시접을 테이프로 마감 재봉하는 장치
JP6398852B2 (ja) ステッチ加飾付き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504571A (en) Guide for double-needle sewing-machines
US1934190A (en) Presser foot for sewing machines
JP5924274B2 (ja) 表皮付き製品の製造方法
KR101360013B1 (ko) 탄성밴드 부착용 미싱
US200802567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Especially Cutting, a Shaped Flexible Textile, Especially a Bra
US3187703A (en) Moccasin type seam and methods of inserting the same
CN106004583A (zh) 车辆用座椅用的发泡成形体、车辆用座椅用的头枕以及车辆用座椅用的扶手
KR101988625B1 (ko)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KR101992291B1 (ko) 캐릭터 라인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US6886478B2 (en) Automated sewing device
JP3434810B1 (ja) 縫製物の縫合せ方法
JP2013216242A (ja) 車両内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1142898A1 (zh) 一种提升座椅面套外观的缝纫结构
KR101945373B1 (ko) 재봉기용 침판 및 노루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