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625B1 -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625B1
KR101988625B1 KR1020170124213A KR20170124213A KR101988625B1 KR 101988625 B1 KR101988625 B1 KR 101988625B1 KR 1020170124213 A KR1020170124213 A KR 1020170124213A KR 20170124213 A KR20170124213 A KR 20170124213A KR 101988625 B1 KR101988625 B1 KR 101988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kin
contact portion
substr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229A (ko
Inventor
전학수
김덕래
Original Assignee
전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학수 filed Critical 전학수
Priority to KR1020170124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6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계단이 형성된 기재부; 상기 메인 시임(seam)에 의해 봉합된 시접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접부가 상기 계단에 대면되게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계단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에 평행하게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VEHICLE INTERIOR MATERIAL INCLUDING A DECORATION SEAM}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트림, 콘솔 등의 내장품을 지칭한다. 차량용 내장재는 기재, 기재 상에 설치된 쿠션층, 쿠션층 상에 설치된 스킨층을 포함한다.
기재는 복잡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스킨층은 천이나 플렉시블한 판 형상을 갖는다.
기재부에 계단 형상으로 파인 홈의 일측으로 스킨층 및 시접부를 정렬시키는 방식의 차량용 내장재는 양측이 지지되지 않는 특수성이 있다.
스킨층에 형성되는 싱글 스티치 등의 장식 시임이 시접부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지 않고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비뚤어지면 차량용 내장재가 불량 처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7989호에는 천연 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가 개시되고 있으나, 싱글 스티치 등을 똑바로 배열하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7989호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장식 시임이 똑바로 배열된 차량용 내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계단이 형성된 기재부; 상기 메인 시임(seam)에 의해 봉합된 시접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접부가 상기 계단에 대면되게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계단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에 평행하게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시접부와 기재부의 계단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를 이용하면, 계단이 형성된 기재부에 시접부 및 스킨부를 용이하게 랩핑할 수 있다.
보조부는 기재부 및 시접부에 정렬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시접부는 보조부를 통해 기재부에 정렬되며, 시접부에 정렬된 장식 시임 역시 보조부를 통해 기재부에 정렬될 수 있다.
기재부에 정확하게 정렬된 시접부 및 장식 시임에 의해 미려한 외관을 갖는 차량용 내장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부를 통해 기재부와 장식 시임이 자연스럽게 정렬되므로, 기재부에 장식 시임을 정렬시키는 별도의 정렬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렬 공정이 요구되는 차량용 내장재의 제조 공정이 대폭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분해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비교 실시예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비교 실시예의 불량 문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분해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는 기재부(110), 스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 내장재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도어 트림, 글러브 박스(glove box), 필러 가니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 및 도 2와 같이 시접부(230)가 스킨부(130)의 뒷면에 밀착되게 접혀진 실시예는, 기재부(110)에 계단 또는 단턱이 마련되고,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스킨부(130)의 왼쪽 및 오른쪽이 높이 차이를 갖는 장식 부위에 적당하다. 의도적으로 단차를 갖는 인테리어 장식 부위에는 높은 쪽에 싱글 스티치 등의 장식 시임(233)이 형성되는 것이 더 미려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낮은 쪽은 단차없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스킨부(130)가 편평하게 보이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용 내장재의 강성을 제공하는 요소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목재, 금속 등을 재료로 하여 성형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충돌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감소시키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곡면, 굴곡면, 요철면 등을 갖는 비평면형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쿠션부를 배제하고 있으나, 도시되지 않은 쿠션부는 스킨부(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킨부(130)와 함께 접히거나, 스킨부(130)와 함께 기재부(110)에 랩핑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질감 향상, 촉감 향상, 미려한 외관 제공을 위한 것으로, 천연 가죽, 모조 피혁, 직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랩핑(wrapping)은 기재부(110)의 표면에 판 형상의 스킨부(130)를 팽팽하게 덮는 것일 수 있다.
기재부(110) 상에 랩핑된 스킨부(130)의 단부는 기재부(110)의 말단에서 안쪽으로 접혀져 기재부(110)의 밑면 또는 내측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스킨부(130)의 단부를 기재부(110)의 밑면 또는 내측 벽면에 결합하지 않으면 수축되려는 가죽 등의 성질에 따라 스킨부(130)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킨부(130)와 기재부(110)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접착제는 상온에서 접착력을 갖지 않고 상온보다 높은 설정 온도에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기재부(110) 상에 스킨부(130)가 랩핑되면 차량용 내장재는 접착제가 동작하는 설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설정 온도로 가열된 접착제에 의해 기재부(110)와 스킨부(13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후에 설정 온도 이하로 냉각되면 접착제가 비활성화되며, 설정 온도에서의 고정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접착제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진 후에는 스킨부(130)에 발생된 주름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랩핑 공정에서 최대한 주름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기재부(110)에 랩핑되기 전에 스킨부(130)는 평판 형상의 시트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사전 가공을 통해 기재부(110)의 외형에 맞게 입체적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시트를 서로 봉합하면 입체 형상의 스킨부(13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스킨부(130)는 기재부(110)의 제1 영역을 덮는 제1 시트(131), 기재부(110)의 제2 영역을 덮는 제2 시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에 대면되는 스킨부(130)의 일면에는 메인 시임(231)(seam)을 이용해서 이루어진 제1 시트(131)와 제2 시트(132) 간의 봉합 또는 봉제에 의해 기재부(110)를 향해 돌출된 시접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는 외면과 외면이 대면되게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메인 시임(231)에 의해 봉합되어 시접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시임(231)은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꿰맨 줄 또는 실에 해당할 수 있다.
기재부(110)에는 계단이 형성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 형성된 계단에 맞춰 스킨부(130) 역시 계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단순하게 하나의 연속된 시트를 구부려서 계단 구조를 형성하면, 평평하게 펼쳐지려는 시트의 특성으로 인해 스킨부(130)가 기재부(110)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시접부(230)가 계단에 대면되게 기재부(110)에 랩핑(wrapping)될 수 있다.
메인 시임(231)에 형성된 시접부(230)는 스킨부(130)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시접부(230)를 스킨부(130)에 평행하게 구부리면 스킨부(130)의 외면에 계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제2 시트(132)의 가장자리가 메인 시임(231)에 의해 봉합된 시접부(230)를 제2 시트(132)에 평행하게 구부리는 경우, 제1 시트(131)는 시접부(230)까지 연속되게 평평할 수 있다. 반면, 제2 시트(132)는 가장자리가 180도로 접힌 상태가 되고,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180도로 접힌 제2 시트(132)의 두께만큼 단차를 갖는 계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시접부(230)를 구부린 상태로 놔두면 펼쳐지려는 시트의 성질로 인해 계단 구조가 와해될 수 있다. 계단 구조의 보존을 위해 시접부(230)는 장식 시임(233)에 의해 스킨부(130)에 봉합될 수 있다. 스킨부(130)에 봉합된 시접부(230)에 의해 시접부(230)의 반대면에 단차를 갖는 계단 구조가 지속적으로 형성 유지될 수 있다.
스킨부(130)에서 시접부(230)에 반대되는 면에는 제1 시트(131)와 제2 시트(132)가 말려들어가면서 시접부(230) 중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미려한 외관을 위하여 시접부(230) 중심선의 일측에 장식 시임(233)(seam)이 형성될 수 있다. 장식 시임(233)은 시접부(230) 중심선의 일측에 실로 봉제된 싱글 스티치(stitch)일 수 있다. 시접부(230)와 스킨부(130)를 봉합하는 장식 시임(233)은 제2 시트(132)의 외부에만 존재하면 되며, 제2 시트(132)에만 봉합된 장식 시임(233)은 외부적으로 싱글 스티치를 형성할 수 있다.
시접부(230)를 통해 계단 구조의 외면을 갖는 스킨부(130)는 계단이 형성된 기재부(11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비교 실시예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비교 실시예의 불량 문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장식 시임(233)이 삐뚤어지면 외관이 손상되고 장식을 위한 차량용 내장재의 장착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 장식 시임(233)이 삐뚤어진 경우 불량 처리된다. 접착제에 의해 기재부(110)에 스킨부(1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불량 검사가 수행되므로, 스킨부(130)의 장식 시임(233)에 국한되지 않고 내장재 전체가 불량 처리되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식 시임(233)이 시접부(230) 중심선에 평행하게 되도록 똑바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시접부(230)는 기재부(110)의 계단벽 w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와 자세로 고정되어야 한다.
기재부(110)의 계단벽 w에 시접부(230)를 밀착시키기 위해 시접부(230)에 반대되는 스킨부(130)의 시접부(230) 중심선 주변을 가압하는 별도의 가압기(90)가 이용될 수 있다.
계단벽 w에 시접부(230)를 밀착시키는 작업은 스킨부(130)에 의해 시접부(230)가 가려진 상태에서 진행된다. 따라서, 시접부(230)가 계단벽 w에 밀착되었는지 여부는 가압기(90)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감각에 의해 판단될 수밖에 없다.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시접부(230)와 계단벽 w 가 가려진 상태에서 밀착 공정이 진행되므로, 시접부(230)와 계단벽 w 사이에 끼인 이물질에 대처하기 어렵다.
장식 시임(233)의 불량 문제는 기재부(110)를 형성하는 금형의 금형 빼기 각도 ⓔ로 인해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도 3과 같은 기재부(110)의 하부면에 대하여 직각의 홈으로 볼 수 있는 계단벽 w는 기재부(110)로부터 금형을 이탈시키는 금형 빼기 방향 ⓔ를 도 3에 도시된 방향으로 할 경우 계단벽 w에 걸려서 금형을 금형 빼기 방향 ⓔ로 이탈시킬 수 없다.
기재부(110)로부터 금형을 이탈시키는 금형 빼기 방향에 해당하는 금형 빼기 각도 ⓔ는 계단벽 w에 걸리는 각도를 가질 수 있다.
금형의 이탈이 어려우면, 기재부(110)의 성형이 불가능하므로, 계단벽 w는 도 4와 같이 금형 빼기 각도 ⓔ를 고려해서 형성될 수 있다. 금형의 이탈 또는 도피를 위해 계단벽 w는 적어도 금형 빼기 각도 ⓔ를 따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빼기 각도 ⓔ 방향으로 연장되는 계단벽 w는 기재부(110)에서 계단의 단을 이루는 제1 스텝면 ① 또는 제2 스텝면 ②에 수직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도 4와 같이 비스듬하게 형성된 계단벽 w에 시접부(230)를 대고 가압기(90)를 사용하면, 시접부(230)가 기재부(110)로부터 들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재부(110)로부터 들뜬 시접부(230)가 생기면, 계단 주변에 주름이 발생되거나, 장식 시임(233)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장식 시임(233)이 삐뚤삐뚤해지는 불량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비스듬하게 형성된 계단벽 w에 시접부(230)를 밀착시키는 공정이 대단히 어려워질 수 있다.
주름 발생 문제, 장식 시임(233)의 불량 문제, 공정 난이도가 올라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보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로 돌아가서, 보조부(300)는 시접부(230)와 계단 사이에 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300)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 방향으로는 시접부(23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조부(300)는 연장 방향을 따라 휘어지면서도 단면 형상이 설정 형상으로 유지되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에는 보조부(300)가 삽입되는 골 형상의 트렌치(118)(trench)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트렌치(118)는 계단에서 제2 스텝면 ②보다 낮은 제1 스텝면 ①, 다시 말해 계단벽 w의 하단에 연결된 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300)의 일면에는 트렌치(118)에 삽입되는 돌기 형상의 제1 정렬 수단(31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정렬 수단(310)은 기재부(110)에 대하여 보조부(300)를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조부(300)의 타면에는 시접부(230)가 결합되는 홈 형상의 제2 정렬 수단(3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정렬 수단(320)은 보조부(300)에 대하여 시접부(230) 또는 장식 시임(233)을 정위치에 정렬시키는 기능을 한다.
작업자는 스킨부(130)의 뒷면에 있는 시접부(230)를 바라보는 상태에서 보조부(300)와 시접부(230)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가압기(90) 등의 부가 장비 없이도, 보조부(300)의 제2 정렬 수단(320)에 시접부(230)를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시접부(230)와 제2 정렬 수단(320)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조부(300)와 시접부(230)의 결합 부분에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가 없고 정위치 체결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정렬 수단(320)에 시접부(230)를 설치하고, 시접부(230)가 설치된 보조부(300)의 제1 정렬 수단(310)을 기재부(110)의 트렌치(118)에 끼우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기재부(110)에 스킨부(1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시접부(230)가 제2 정렬 수단(320)에 의해 보조부(300)에 정렬되고, 보조부(300)가 제1 정렬 수단(310)에 의해 기재부(110)에 정렬되면, 시접부(230) 또는 장식 시임(233)은 보조부(300)에 의하여 기재부(110)의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보조부(300)가 기재부(110)의 정위치에 정렬되도록 보조부(300)의 제1 정렬 수단(310)은 제1 경사면(311)과 제2 경사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의 트렌치(118)에는 서로 대면되는 제1 내벽(391)과 제2 내벽(39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벽(391)은 보조부(300)가 트렌치(118)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2 내벽(392)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거나 밀어내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벽(392)은 보조부(300)가 트렌치(118)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1 내벽(391)을 향해 보조부(300)를 이동시키거나 밀어내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트렌치(118)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기재부(110)의 노출면에 대하여 트렌치(118)는 기울어진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보조부(300)의 일면에는 트렌치(118)에 삽입되는 제1 경사면(311)과 제2 경사면(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면(311)은 제1 내벽(391)에 밀착되고, 제2 경사면(312)은 제2 내벽(392)에 밀착될 수 있다.
보조부(300)가 트렌치(118)에 어긋나게 삽입되더라도, 제1 내벽(391), 제2 내벽(392), 제1 경사면(311), 제2 경사면(312)으로 인해 보조부(300)는 트렌치(118)에 정확하게 정렬되는 정렬 위치로 물리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트렌치(118)에 삽입되면서 보조부(300)는 물리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제1 정렬 수단(310)에 의해 보조부(300)의 일면은 기재부(110)의 계단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시접부(230)가 보조부(300)에 대하여 정렬되도록, 보조부(300)는 시접부(230)의 측면에 대면되는 디딤판(321), 시접부(230)의 단부에 대면되는 스토퍼 판(323)을 갖는 계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계단벽 w를 갖는 계단으로 인해 기재부(110)에는 단차를 갖는 제1 스텝면 ①과 제2 스텝면 ②가 형성될 수 있다.
디딤판(321)은 제1 스텝면 ① 또는 제2 스텝면 ②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스토퍼 판(323)은 제1 스텝면 ① 또는 제2 스텝면 ②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디딤판(321)의 단부는 트렌치(118)에 보조부(3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스텝면 ①에 연속되게 연결될 수 있다.
스토퍼 판(323)은 제1 스텝면 ① 또는 제2 스텝면 ②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기재부(110)의 계단벽 w를 대신해서 시접부(230)의 단부에 수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판(323)의 단부는 제2 스텝면 ②에 연속되게 연결될 수 있다.
디딤판(321) 및 스토퍼 판(323)을 포함하는 보조부(300)는 장식 시임(233)에 의해 스킨부(130) 또는 시접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시접부(230)에 보조부(300)는 끼우는 작업은 시접부(230)를 바라보면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부(300)와 시접부(230)가 결합되면, 기재부(110)의 트렌치(118)에 보조부(300)가 삽입될 수 있다.
트렌치(118)에 제1 정렬 수단(310)을 삽입하는 공정은 스킨부(130)에 의해 트렌치(118) 및 보조부(300)가 가려진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렌치(118)와 보조부(300) 간의 정렬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내벽(391), 제2 내벽(392), 제1 경사면(311), 제2 경사면(312)으로 인해 보조부(300)가 자연스럽게 트렌치(118)로 안내되므로, 트렌치(118)와 보조부(300)의 결합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기재부(110)에 스킨부(130)를 결합하는 공정이 용이하다.
또한, 제2 정렬 수단(320)에 의해 시접부(230)가 보조부(300)에 정확하게 정렬되고, 제1 정렬 수단(310)에 의해 보조부(300)가 트렌치(118)의 설정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시접부(230) 또는 보조부(300)에 결합된 상태의 장식 시임(233) 역시 보조부(300)에 의하여 트렌치(118) 및 기재부(110)에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 결과, 장식 시임(233)은 삐뚤삐뚤하게 형성된 불량 문제로부터 해방되고 기재부(110)에 똑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90...가압기 110...기재부
118...트렌치 130...스킨부
131...제1 시트 132...제2 시트
230...시접부 231...메인 시임
233...장식 시임 300...보조부
310...제1 정렬 수단 311...제1 경사면
312...제2 경사면 320...제2 정렬 수단
321...디딤판 323...스토퍼 판
391...제1 내벽 392...제2 내벽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계단이 형성된 기재부;
    메인 시임(seam)에 의해 봉합된 시접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접부가 상기 계단에 대면되도록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계단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에 평행하게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
    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는 상기 보조부가 삽입되는 트렌치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부의 일면에는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는 제1 정렬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부의 타면에는 상기 시접부가 삽입되는 제2 정렬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정렬 수단에 의해 상기 기재부에 상기 보조부가 정렬되며,
    상기 제2 정렬 수단에 의해 상기 보조부에 상기 시접부 또는 상기 장식 시임이 정렬되고,
    상기 시접부 또는 상기 장식 시임은 상기 보조부를 거쳐 상기 기재부에 정렬되는 차량용 내장재.
  5. 계단이 형성된 기재부;
    메인 시임(seam)에 의해 봉합된 시접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접부가 상기 계단에 대면되도록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계단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에 평행하게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
    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는 상기 보조부가 삽입되는 트렌치가 마련되고,
    상기 트렌치에는 서로 대면되는 제1 내벽과 제2 내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벽은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상기 제2 내벽을 향해 상기 보조부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내벽은 상기 보조부가 상기 트렌치에 삽입될 때, 물리적 간섭에 의해 상기 제1 내벽을 향해 상기 보조부를 이동시키는 굴곡 또는 경사를 갖는 차량용 내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의 일면에는 상기 트렌치에 삽입되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제1 내벽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2 내벽에 평행하게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7. 계단이 형성된 기재부;
    메인 시임(seam)에 의해 봉합된 시접부가 구비되고, 상기 시접부가 상기 계단에 대면되도록 상기 기재부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
    상기 시접부와 상기 계단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부;
    상기 시접부에 평행하게 상기 스킨부에 형성되는 장식 시임(seam);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의 일면은 상기 계단에 정렬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조부의 타면에는 상기 시접부가 삽입되는 제2 정렬 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정렬 수단은 상기 시접부의 측면에 대면되는 디딤판, 상기 시접부의 단부에 대면되는 스토퍼 판을 갖는 계단 구조로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에는 단차를 갖는 제1 스텝면과 제2 스텝면이 형성되고,
    상기 디딤판의 단부는 상기 제1 스텝면에 연속되게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 판의 단부는 상기 제2 스텝면에 연속되게 연결된 차량용 내장재.
KR1020170124213A 2017-09-26 2017-09-26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KR101988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13A KR101988625B1 (ko) 2017-09-26 2017-09-26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13A KR101988625B1 (ko) 2017-09-26 2017-09-26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29A KR20190035229A (ko) 2019-04-03
KR101988625B1 true KR101988625B1 (ko) 2019-06-12

Family

ID=6616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213A KR101988625B1 (ko) 2017-09-26 2017-09-26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62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989B1 (ko) 2010-08-26 2011-04-13 주식회사 세림티티시 천연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
KR20140128757A (ko) * 2013-04-29 2014-11-06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스티치 라인 정렬가이드부를 갖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29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0809B1 (en) Airbag with gas preventing joining portion
US8579347B2 (en) Seam spacers for use with decorative stitching of vehicle interior components
US20140042767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s with decorative stitching
US7588814B2 (en) Console or trim skin for large volumes using a single pre-formed (formed or molded) single skin
KR101579065B1 (ko) 스티칭 대신에 필름 접착제를 사용하는 차량 내장 처리
JP4766322B2 (ja) 車両用内装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13998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と、その製造方法
CN107531193A (zh) 用于将缝制覆盖物简单地固定在载体部件上的固定辅助装置
US829305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vehicular interior part
KR101837964B1 (ko)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JP2005053435A (ja) 加飾部品並びに自動車用内装部品
US20060177620A1 (en) Cloth covered instrument panel
KR101988625B1 (ko)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JP5468518B2 (ja) 車両内装部材
KR101929369B1 (ko)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ES2792517T3 (es) Modelo de recubrimiento de cuero
KR102008238B1 (ko) 패치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KR102108463B1 (ko)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KR101992291B1 (ko) 캐릭터 라인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JP6398852B2 (ja) ステッチ加飾付き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84911B1 (ko) 스킨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US20220314905A1 (en) Multiple-Part Surface Covering for the Cladding of Support Structures and Cladding Part
JP7176693B2 (ja) 表皮材付き内装部品
KR102110334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JP2010052537A (ja) 表皮材、および内装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