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911B1 - 스킨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스킨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911B1
KR101984911B1 KR1020170124245A KR20170124245A KR101984911B1 KR 101984911 B1 KR101984911 B1 KR 101984911B1 KR 1020170124245 A KR1020170124245 A KR 1020170124245A KR 20170124245 A KR20170124245 A KR 20170124245A KR 101984911 B1 KR101984911 B1 KR 101984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main
skin
bas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243A (ko
Inventor
전운관
Original Assignee
전운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운관 filed Critical 전운관
Priority to KR102017012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9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93Connection or positioning of adjac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재부; 상기 기재부 상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는 3개 이상의 면이 만나는 꼭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킨부는 재단 및 봉제를 통해 상기 기재부의 각 면 및 상기 꼭지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 대면되는 스킨부의 일면에는 상기 봉제에 의해 상기 기재부를 향해 돌출된 사이드 시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는 상기 사이드 시접부가 삽입되는 사이드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삽입 홈은 상기 3개 이상의 면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킨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VEHICLE INTERIOR MATERIAL INCLUDING A WRAPPED SKIN}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트림, 콘솔 등의 내장품으로서 기재, 기재 상에 설치된 쿠션층, 쿠션층 상에 설치된 스킨층을 갖는 제품이 존재한다.
기재는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 스킨층은 판 형상을 형성된다.
입체 형상의 기재를 덮기 위해 스킨층은 요소요소에 접힌 부분이 존재한다. 판 형상의 스킨층을 접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주름이 발생되며, 이때의 주름은 차량 실내를 장식하는 내장재의 가치를 크게 훼손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7989호에는 천연 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가 개시되고 있으나, 기재와 스킨층 간의 기하학적 형상의 괴리로 인해 발생되는 스킨층의 주름을 방지하는 방안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7989호
본 발명은 주름 발생이 방지되고 제조가 용이하며 미려한 외관을 갖는 차량용 내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재부; 상기 기재부 상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는 3면이 만나는 꼭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킨부는 재단 및 봉제를 통해 상기 기재부의 3면 및 상기 꼭지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 대면되는 스킨부의 일면에는 상기 봉제에 의해 상기 기재부를 향해 돌출된 사이드 시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는 상기 사이드 시접부가 삽입되는 사이드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스킨부에 형성된 사이드 시접부 및 기재부에 형성된 사이드 삽입 홈을 이용하여 기재부에서 형상 변화가 급격한 꼭지부를 주름없이 덮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시접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대신 봉제 라인을 따라 움푹 파인 사이드 골만 외부에 노출되므로, 미려한 외관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이드 삽입 홈은 기재부의 모서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사이드 삽입 홈으로 인해, 가림판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로 사이드 골을 옮길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적으로 사이드 골이 없는 매끈한 스킨부를 갖는 차량용 내장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삽입 홈에 삽입된 사이드 시접부를 버팀목 삼아 스킨부를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주름이 없게 스킨부를 팽팽하게 당기는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삽입 홈이 제2 모서리에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기재부의 형상에 맞게 기성형된 스킨부를 기재부에 용이하게 랩핑(wrapping)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와 메인 시트의 봉제로 인해 형성된 메인 시접부가 존재하는 경우, 랩핑 공정의 편의 개선을 위해 사이드 시접부가 삽입되는 사이드 삽입 홈과 메인 시접부가 삽입되는 메인 삽입 홈이 모두 제2 모서리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시접부가 메인 삽입 홈에 꽉 끼여지도록 메인 시접부에 덧대어지는 패드와 완충재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삽입 홈에 꽉 끼인 메인 시접부를 기준으로 사이드 시트를 강하게 잡아당기면서 사이드 시트의 주름을 용이하게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량용 내장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비교 실시예의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다른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사이드 시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메인 시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100)는 기재부(110), 스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차량 내장재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콘솔, 도어 트림, 글러브 박스(glove box), 필러 가니쉬 등일 수 있다. 도 1에는 기재부(110)의 예로 차량 실내 앞쪽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나타내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앞면 유리창 쪽에 형성되고 판면 유리챵을 향해 바람이 출력되는 제1 벤트 홀(101), 측면 유리창 쪽에 형성되고 측면 유리창 또는 실내를 향해 바람이 출력되는 제2 벤트 홀(103)이 마련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강성을 제공하는 요소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목재, 금속 등을 재료로 하여 성형될 수 있다. 기재부(110)는 충돌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감소시키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곡면, 굴곡면, 요철면 등을 갖는 비평면형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량 내장재에 부딪혔을 때의 부상을 방지하고 차량 내장재를 만졌을 때의 촉감 개선을 위해 기재부(110)와 스킨부(130)의 사이에는 쿠션부(150)가 삽입될 수 있다.
쿠션부(150)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부(150)는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외피(151)와 제2 외피(152), 제1 외피(151)와 제2 외피(152) 사이에 삽입되는 필라멘트층(1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쿠션부(150)를 배제하고 있으나, 쿠션부(150)는 스킨부(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킨부(130)와 함께 접히거나, 스킨부(130)와 함께 기재부(110)에 랩핑될 수 있다. 랩핑(wrapping)은 스킨부(130)를 기재부(110) 상에 팽팽하게 덮는 것일 수 있다.
스킨부(130)는 질감 향상, 촉감 향상, 미려한 외관 제공을 위한 것으로, 가죽, 모조 피혁, 직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 상에 랩핑된 스킨부(130)의 단부는 기재부(110)의 말단에서 안쪽으로 접혀져 기재부(110)의 밑면 또는 내측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스킨부(130)의 단부를 기재부(110)의 밑면 또는 내측 벽면에 결합하지 않으면 수축되려는 가죽 등의 성질에 따라 스킨부(130)에 주름(1)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킨부(130)와 기재부(110)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쿠션부(150)가 존재하는 경우, 쿠션부(150), 구체적으로 제1 외피(151)와 기재부(110)의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해당 접착제는 상온에서 접착력을 갖지 않고 상온보다 높은 설정 온도에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기재부(110) 상에 스킨부(130)가 랩핑되면 차량용 내장재(100)는 접착제가 동작하는 설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설정 온도로 가열된 접착제에 의해 기재부(110)와 스킨부(130)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접착제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진 후에는 스킨부(130)에 발생된 주름(1)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랩핑 공정에서 최대한 주름(1)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기재부(110)에 랩핑되기 전에 스킨부(130)는 평판 형상의 시트 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도 3은 비교 실시예의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우측 도어를 오픈한 상태에서 보이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우측 단부를 나타낸다.
도어를 열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윗면에 해당하는 1면(11) ①과 우측면에 해당하는 3면(13) ③이 보일 수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측면에 해당하는 2면(12)은 글러브 박스(glove box) 부재에 가려질 수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3면(13)은 가림판(미도시)에 의해 실제로는 볼 수 없는 부분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림판을 배제하였다.
살펴보면, 1면(11), 2면(12), 3면(13)이 만나는 꼭지부(114)와 같이 형상이 급격하게 변하는 기재부(110)에 대해 하나의 시트 부재(30)를 억지로 접어서 랩핑할 경우, 꼭지부(114) 주면에 주름(1)이 심각하게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꼭지부(114)를 갖는 기재부(110)에 대해서는 다른 랩핑 방안이 요구된다.
도 4는 다른 내장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의 (a)와 같이 하나의 시트 부재(30)에서 꼭지부(114)를 덮는 부분이 적절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때의 절단은 시접 수단(21)의 형성을 감안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4의 (b)와 같이 기재부(110)의 1면(11)과 2면(12) 사이의 모서리에 대응되게 시트 부재(30)가 접히고, 3면(13)과 1면(11) 사이의 모서리에 대응되게 시트 부재(30)가 접힐 수 있다.
각 모서리에 대응하여 접힌 시트 부재(30)의 2개 단부는 서로 대면되는 가장자리끼리 포개어질 수 있다. 포개어진 부분이 바느질에 의해 봉제되면 외부를 향해 돌출된 시접 수단(21)이 형성될 수 있다.
시접 수단(21)이 형성된 후 시트 부재(30)를 까뒤집으면, 시접 수단(21)은 도 4의 (c)와 같이 시트 부재(30)의 안쪽 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4의 내장재에 따르면, 절단과 바느질을 통해 꼭지부(114)를 덮는 시트 부재(30)에 발생되는 주름(1)이 억제될 수 있다.
반면, 안쪽 공간을 향해 돌출된 시접 수단(21)으로 인해 기재부(110)에 랩핑된 시트 부재(30)의 모서리 부분이 뭉툭하게 튀어나올 수 있다.
기재부(110)와 시트 부재(30)의 사이에 배치된 시접 수단(21)으로 인해 시트 부재(30)의 모서리가 뭉툭해지지 않도록, 기재부(110)의 모서리, 예를 들어 2면(12)과 3면(13)이 만나는 모서리에 시접 수단 삽입 홈(19)이 형성될 수 있다.
시접 수단 삽입 홈(19)에 시접 수단(21)이 삽입되도록 랩핑이 이루어지면, 시트 부재(30)의 모서리가 뭉툭하게 튀어나오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런데, 시접 수단 삽입 홈(19)이 기재부(110)의 모서리에 형성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먼저, 기재부(110)의 모서리는 가림판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위이므로, 시접 수단(21)으로 인해 시트 부재(30)의 외면에 움푹 파이게 형성된 봉제 골(22) 또는 봉제 라인이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외부에 노출된 봉제 골(22) 또는 봉제 라인에 의해 외관이 훼손될 수 있다.
또한, 기재부(110)의 모서리에 형성된 시접 수단 삽입 홈(19)의 단부는 날카로운 상태가 되기 쉽다. 날카로운 단부로 인해 시접 수단(21)을 형성하는 바느질이 끊어지거나 시트 부재(30)가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기재부(110)에 해당하는 기재부(110)에는 3개 이상의 면이 만나는 꼭지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재단(절단 포함) 및 봉제(바느질 포함)를 통해 기재부(110)의 각 면 및 꼭지부(114)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 대면되는 스킨부(130)의 일면에는 봉제에 의해 기재부(110)를 향해 돌출된 사이드 시접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는 사이드 시접부(210)가 삽입되는 사이드 삽입 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삽입 홈(119)은 3개 이상의 면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연속된 하나의 사이드 시트(131)를 기재부(110)의 표면 형상에 맞게 접어서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스킨부(130)는 기재부(110)의 제1 면(111)을 덮는 제1 부, 제1 부로부터 접혀지고 기재부(110)의 제2 면(112)을 덮는 제2 부, 제1 부로부터 접혀지고 기재부(110)의 제3 면(113)을 덮는 제3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사이드 시접부(21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절단면을 나타낸다.
제3 부에 대면되는 제2 부의 가장자리와 제2 부에 대면되는 제3 부의 가장자리는 외면과 외면이 대면되게 기재부(110)를 향해 접혀질 수 있다.
제2 부의 가장자리와 제3 부의 가장자리는 외면과 외면이 대면되게 포개어진 상태에서 서로 봉제되어 사이드 시접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 시접부(210)는 제2 부의 가장자리와 제3 부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꿰맨 줄에 해당하는 사이드 심(221)(seam)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시접부(210)는 사이드 심(221)과 함께 사이드 삽입 홈(119)에 삽입될 수 있다. 사이드 삽입 홈(119)은 기재부(110)의 표면에 수직하게 파인 홈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이드 시접부(210) 역시 기재부(110)의 표면을 덮는 사이드 시트(131)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시트(131)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사이드 시접부(210)는 사이드 삽입 홈(119)을 기준으로 사이드 시트(131)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버티는 걸림부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삽입 홈(119)과 사이드 시접부(210)는 기재부(110)에 대한 스킨부(130)의 랩핑을 가이드할 수 있다.
사이드 시접부(2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2 부의 가장자리와 제3 부의 가장자리는 외면끼리 대면되게 접히게 되고, 접힘에 의해 사이드 시트(131)의 외면에는 사이드 골(22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시접부(210)의 연장 방향 상으로 제3 부의 길이는 제3 면(11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시접부(210)의 연장 길이는 제3 면(113)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사이드 시트(131)로 기재부(110)의 제1 면(111), 제2 면(112), 제3 면(113)을 랩핑하면, 길이의 차이로 제3 면(113)을 넘어서는 여유분이 제3 부의 단부와 사이드 시접부(21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길이 차에 따른 여유분을 이용해서 제3 부의 단부와 사이드 시접부(210)의 단부는 제3 면(113)의 말단 e에서 함께 접혀질 수 있다. 함께 접혀진 제3 부의 단부와 사이드 시접부(210)의 단부는 제1 면(111)에 대면되는 기재부(110)의 제4 면(도면 상으로 기재부(110)의 밑면)에 결합되거나, 제3 면(113)을 외면으로 갖는 기재부(110) 격벽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 역시 제2 면(1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3 부와 마찬가지로 제2 부의 말단에서 접혀져서 제4 면 또는 제2 면(112)을 외면으로 갖는 기재부(110)의 타격벽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서 꼭지부(114)와 만나는 기재부(110)의 제1 면(111)/제2 면(112)/제3 면(113), 제1 면(111)과 제2 면(112)이 만나는 제1 모서리(115), 제2 면(112)과 제3 면(113)이 만나는 제2 모서리(116), 제3 면(113)과 제1 면(111)이 만나는 제3 모서리(117)가 정의될 수 있다.
사이드 삽입 홈(119)은 제2 모서리(116)로부터 이격되면서 제2 모서리(116)에 인접하게 제3 면(113) 상에 형성될 수 잇다.
사이드 삽입 홈(119)은 제3 면(113)의 말단 e(도면에서는 제3 면(113)의 하단)로부터 제3 모서리(117)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3 모서리(117)를 향해 연장되는 사이드 삽입 홈(119)의 일단은 제3 면(113)의 일부에 해당하는 막힘부(120)에 의해 가로막혀 제3 모서리(117)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살펴보면, 사이드 삽입 홈(119)은 제3 면(113)에서 제2 모서리(116) 및 제3 모서리(117)로부터 이격된 위치 P1으로부터 제3 면(113)의 말단 e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사이드 삽입 홈(119)에 삽입된 사이드 시접부(210)는 제3 부의 단부와 함께 제3 면(113)의 말단 e에서 안으로 접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삽입 홈(119)은 제3 면(113)에만 형성되고, 제1 면(111) 측 및 제2 면(112) 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가림판(미도시) 등으로 제3 면(113)을 가리면, 사이드 삽입 홈(119) 및 사이드 시접부(210)의 존재가 숨겨질 수 있다.
특히, 가림판에 의해 가리기 어려운 제2 모서리(116)에 사이드 삽입 홈(119)이 형성되지 않게 되며, 제3 면(113) 상에 수직하게 파인 사이드 삽입 홈(119)의 입구 내벽은 기재부(110)의 표면에 대해 90도 정도의 날카로움을 갖게 된다. 사이드 삽입 홈(119)이 제2 모서리(116)에 형성된 비교 실시예의 경우 사이드 삽입 홈(119)의 입구 내벽이 기재부(110)의 표면에 대해 예각으로 형성되므로, 사이드 시트(131)를 절단하는 커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과 비교하면 사이드 시트(131)의 보호 등에서 현저한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삽입 홈(119)이 제2 모서리(116)에 형성된 경우, 제2 모서리(116)를 기준으로 급격한 각도로 꺾이는 사이드 시트(131)로 인해 외부에 노출된 사이드 골(220)의 크기가 커지므로 외관이 훼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사 제3 면(113)을 가리는 가림판이 배제되더라도, 사이드 삽입 홈(119)이 제2 모서리(116)에 형성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사이드 골(220)의 크기가 작으므로 외관의 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스킨부(130), 구체적으로 사이드 시트(131)는 사이드 삽입 홈(119)이 형성된 기재부(110)에 적응적으로 재단되고 봉제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꼭지부(114)를 포함한 기재부(110)의 제1 면(111), 제2 면(112), 제3 면(113)을 덮을 수 있는 입체 형상으로 재단 및 봉제되고, 사이드 삽입 홈(119)에 삽입되는 사이드 시접부(210)가 내측면에 형성되게 재단 및 봉제될 수 있다.
랩핑 공정의 편의를 도모하고 랩핑 과정에서 주름(1)이 생기지 않도록, 사이드 삽입 홈(119)은 제3 면(113)에서 제2 모서리(11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제2 모서리(116)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삽입 홈(119)에 사이드 시접부(210)가 끼워지면 사이드 시트(131)는 사이드 삽입 홈(119)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기재부(110)를 덮을 수밖에 없다.
이와 유사하게, 사이드 시트(131)의 제2 부 또는 제3 부는 제2 모서리(116)와의 물리적 간섭에 의해 제2 모서리(116)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기재부(110)를 덮을 수밖에 없다.
사이드 삽입 홈(119)이 기재부(110)의 제3 면(113)에 형성된 경우, 사이드 시트(131)의 제3 부에 사이드 시접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시접부(210)는 제3 부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그런데, 사이드 시접부(210)의 랩핑을 가이드하는 사이드 삽입 홈(119)과 제3 부의 랩핑을 가이드하는 제2 모서리(116)가 평행하지 않으면, 기재부(110)에 스킨부(130)를 랩핑하기 어렵거나 볼록 튀어나온 볼록부 또는 주름(1)이 스킨부(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서리(116)와 사이드 삽입 홈(119)은 철도 레일과 유사하게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좋다.
한편, 스킨부(130)는 하나의 연속된 시트를 접어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특수한 경우 복수의 시트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같이 길이 또는 폭이 큰 기재부(110)의 경우 복수의 시트가 결합되어 스킨부(130)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길이 또는 폭이 큰 기재부(110)에 대해 하나의 시트를 접어서 랩핑할 경우, 기재부(110)의 일측에 시트의 일측을 맞추면, 기재부(110)의 타측에 맞춰진 시트 타측의 정렬이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팽팽하게 시트를 붙이기 위해 시트의 어느 한쪽을 잡아당기면 시트의 다른 쪽이 딸려오면서 시트 전반에 걸쳐 주름(1)이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정렬 기준이 되면서 시트를 잡아당길 수 있는 버팀목으로 기능하는 요소가 요구되면, 이러한 요소로 메인 시접부(230)가 이용될 수 있다.
메인 시접부(230)는 서로 구분되는 2개의 시트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시트의 봉제 라인이 조정되면 스킨부(130)의 입체 형상이 자유롭게 변경되므로, 기재부(110)의 형상에 부합되는 스킨부(130)가 쉽게 생성될 수 있다.
스킨부(130)는 기재부(110)의 제1 면(111), 제2 면(112), 제3 면(113) 및 꼭지부(114)를 덮는 사이드 시트(131), 사이드 시트(131)에 봉제되고 제1 면(111) 및 제3 면(113)을 덮는 메인 시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부(110)에 대면되는 스킨부(130)의 일면에는 사이드 시트(131)와 메인 시트(133) 간의 봉제에 의해 기재부(110)를 향해 돌출된 메인 시접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는 메인 시접부(230)가 삽입되는 메인 삽입 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모서리(116)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도 내에서 사이드 삽입 홈(119)은 제2 모서리(116)와 메인 삽입 홈(118)의 사이에서 제2 모서리(116)에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모서리(116)와 사이드 삽입 홈(119) 간의 거리는 제2 모서리(116)와 메인 삽입 홈(118) 간의 거리의 3분의 1이하인 것이 좋다.
메인 시접부(230)는 기재부(110)에 대한 스킨부(130) 전반의 정렬 상태를 가이드하거나, 메인 시접부(23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기는 힘을 버티기 위해 메인 삽입 홈(118)에 요동없이 꽉 끼이는 것이 좋다.
메인 삽입 홈(118)에 꽉 끼이도록 메인 시접부(230)는 사이드 시접부(210)와 대비하여 일부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도 7은 메인 시접부(23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절단면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시접부(230)에는 패드(250), 보충재(26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패드(250)는 기재부(110)를 향해 돌출된 메인 시접부(230)를 덮는 판 형상의 피혁, 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충재(260)는 메인 시접부(230)와 패드(250) 사이에 삽입되고 메인 삽입 홈(118)에 삽입된 메인 시접부(23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메인 시접부(230)가 메인 삽입 홈(118)에 삽입되면, 보충재(260)는 탄성적으로 가압되면서 메인 시접부(230)와 메인 삽입 홈(118) 사이의 틈을 비집고 들어가고, 메인 시접부(230)와 메인 삽입 홈(118) 사이를 꽉 메울 수 있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솜, 스펀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메인 시트(133)의 가장자리는 외면과 외면이 대면되게 포개어진 상태에서 봉제되어 메인 시접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시접부(230)는 사이드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메인 시트(133)의 가장자리를 맞대고 꿰맨 줄에 해당하는 메인 심(231)(seam)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패드(250)는 사이드 시트(131)의 가장자리와 메인 시트(133)의 가장자리를 시접하는 메인 심(231)(seam)에 의해 메인 시접부(230)에 봉제될 수 있다.
패드(250)의 일단은 메인 심(231)에 의해 사이드 시트(131)의 가장자리 내면에 봉제되고, 패드(250)의 타단은 메인 심(231)에 의해 메인 시트(133)의 가장자리 내면에 봉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 심(231)을 형성하는 한번의 재봉질을 통해 패드(250)의 일단 및 타단, 사이드 시트(131)의 가장자리, 메인 시트(133)의 가장자리가 한꺼번에 시접될 수 있다.
스킨부(130)의 외면에는 메인 시접부(230)를 형성하기 위해 구부러진 각 시트의 가장자리로 인해 메인 골(240)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골(240)은 외부에 노출되므로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메인 골(240)에 의한 외관 손상을 보완하기 위해 메인 골(240)을 사이에 두고 메인 골(240)의 양측에 스티치(stitch)에 해당하는 데코레이션 심(233)(seam)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기재부(110)에 대면되는 스킨부(130)의 일면에는 사이드 시트(131)와 메인 시트(133) 간의 봉제에 의해 기재부(110)를 향해 돌출된 메인 시접부(230), 서로 대면되는 사이드 시트(131) 가장자리 간의 봉제에 의해 기재부(110)를 향해 돌출된 사이드 시접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기재부(110)에는 사이드 시접부(210)가 삽입되는 사이드 삽입 홈(119) 및 메인 시접부(230)가 삽입되는 메인 삽입 홈(1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킨부(130)의 랩핑 편의성을 개선하고 주름(1)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드 삽입 홈(119) 및 메인 삽입 홈(118)은 제2 모서리(11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의 차량용 내장재(100)는 사이드 시트(131), 메인 시트(133)에 의해 기재부(110)가 랩핑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꼭지부(114) 주변 영역 K를 살펴보면, 제3 면(113) 측에만 사이드 골(220)이 형성되고, 제1 면(111) 측, 제2 면(112) 측, 제2 모서리(116), 제3 모서리(117)에 사이드 골(220)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모서리(115), 제2 모서리(116)를 포함해서 제1 면(111) 측과 제2 면(112) 측에 주름(1)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메인 골(240) 양측에 형성되고 메인 골(240)을 따라 연장되는 데코레이션 심(233)에 의해 메인 골(240)과 데코레이션 심(233) 사이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미적 효과가 가미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모서리(116), 사이드 골(220), 메인 골(240)이 모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 면(113) 측의 단부에는 제3 면(113)으로부터 돌출되고 차체에 장착되는 장착부(109)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이 완료되면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장착부(109)까지 스킨부(130)에 의해 랩핑된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장착부(109)까지 스킨부(130)를 랩핑하지 않으면, 스킨부(130)의 일단이 제3 면(113)의 중간에서 끝나게 되고, 가죽 등의 성질에 따라 제2 모서리(116)를 향해 수축되면서 주름(1)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재부(110)에서 제2 면(112)에 반대되는 제5 면에 스킨부(130)의 일단을 결합시키기 위해 제3 면(113)으로부터 돌출된 장착부(109)까지 스킨부(130)에 의해 랩핑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주름 11...1면
12...2면 13...3면
19...시접 수단 삽입 홈 21...시접 수단
22...봉제 골 30...시트 부재
100...차량 내장재 101...제1 벤트 홀
103...제2 벤트 홀 109...장착부
110...기재부 111...제1 면
112...제2 면 113...제3 면
114...꼭지부 115...제1 모서리
116...제2 모서리 117...제3 모서리
118...메인 삽입 홈 119...사이드 삽입 홈
120...막힘부 130...스킨부
131...사이드 시트 133...메인 시트
150...쿠션부 151...제1 외피
152...제2 외피 153...필라멘트층
210...사이드 시접부 220...사이드 골
221...사이드 심 230...메인 시접부
231...메인 심 233...데코레이션 심
240...메인 골 250...패드
260...보충재

Claims (8)

  1. 차량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재부;
    상기 기재부 상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는 3개 이상의 면이 만나는 꼭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킨부는 재단 및 봉제를 통해 상기 기재부의 각 면 및 상기 꼭지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 대면되는 스킨부의 일면에는 상기 봉제에 의해 상기 기재부를 향해 돌출된 사이드 시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는 상기 사이드 시접부가 삽입되는 사이드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삽입 홈은 상기 3개 이상의 면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꼭지부와 만나는 상기 기재부의 제1 면, 제2 면, 제3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만나는 제1 모서리,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제2 모서리,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1 면이 만나는 제3 모서리가 정의될 때,
    상기 사이드 삽입 홈은 상기 제3 면에서 상기 제2 모서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모서리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차량용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부는 연속된 하나의 사이드 시트를 상기 기재부의 표면 형상에 맞게 접어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스킨부는 상기 기재부의 제1 면을 덮는 제1 부, 상기 제1 부로부터 접혀지고 상기 기재부의 제2 면을 덮는 제2 부, 상기 제1 부로부터 접혀지고 상기 기재부의 제3 면을 덮는 제3 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부에 대면되는 상기 제2 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부에 대면되는 상기 제3 부의 가장자리는 외면과 외면이 대면되게 상기 기재부를 향해 접혀지고,
    상기 제2 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3 부의 가장자리는 외면과 외면이 대면되게 포개어진 상태에서 서로 봉제되어 상기 사이드 시접부를 형성하는 차량용 내장재.
  3. 차량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재부;
    상기 기재부 상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는 3개 이상의 면이 만나는 꼭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킨부는 재단 및 봉제를 통해 상기 기재부의 각 면 및 상기 꼭지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 대면되는 스킨부의 일면에는 상기 봉제에 의해 상기 기재부를 향해 돌출된 사이드 시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는 상기 사이드 시접부가 삽입되는 사이드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삽입 홈은 상기 3개 이상의 면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스킨부는 연속된 하나의 사이드 시트를 상기 기재부의 표면 형상에 맞게 접어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스킨부는 상기 기재부의 제1 면을 덮는 제1 부, 상기 제1 부로부터 접혀지고 상기 기재부의 제2 면을 덮는 제2 부, 상기 제1 부로부터 접혀지고 상기 기재부의 제3 면을 덮는 제3 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시접부의 연장 방향 상으로 상기 제3 부의 길이는 상기 제3 면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사이드 시접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3 면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3 부의 단부와 상기 사이드 시접부의 단부는 상기 제3 면의 말단에서 함께 접혀지고,
    함께 접혀진 상기 제3 부의 단부와 상기 사이드 시접부의 단부는 상기 제1 면에 대면되는 상기 기재부의 제4 면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3 면을 외면으로 갖는 격벽의 내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내장재.
  4. 삭제
  5. 삭제
  6. 차량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하는 기재부;
    상기 기재부 상에 랩핑(wrapping)되는 스킨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는 3개 이상의 면이 만나는 꼭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킨부는 재단 및 봉제를 통해 상기 기재부의 각 면 및 상기 꼭지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 대면되는 스킨부의 일면에는 상기 봉제에 의해 상기 기재부를 향해 돌출된 사이드 시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재부에는 상기 사이드 시접부가 삽입되는 사이드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삽입 홈은 상기 3개 이상의 면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꼭지부와 만나는 상기 기재부의 제1 면, 제2 면, 제3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만나는 제1 모서리,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이 만나는 제2 모서리,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1 면이 만나는 제3 모서리가 정의될 때,
    상기 스킨부는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꼭지부를 덮는 사이드 시트, 상기 사이드 시트에 봉제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을 덮는 메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부에 대면되는 상기 스킨부의 일면에는 상기 사이드 시트와 상기 메인 시트 간의 봉제에 의해 상기 기재부를 향해 돌출된 메인 시접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재부에는 상기 메인 시접부가 삽입되는 메인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삽입 홈은 상기 제2 모서리와 메인 삽입 홈의 사이에서 상기 제2 모서리에 치우치게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부를 향해 돌출된 상기 메인 시접부를 덮는 패드, 상기 메인 시접부와 상기 패드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메인 삽입 홈에 삽입된 상기 메인 시접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보충재가 마련되고,
    상기 사이드 시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메인 시트의 가장자리는 외면과 외면이 대면되게 포개어진 상태에서 봉제되어 상기 메인 시접부를 형성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사이드 시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메인 시트의 가장자리를 시접하는 메인 심(seam)에 의해 상기 메인 시접부에 봉제되고,
    상기 패드의 일단은 상기 메인 심에 의해 상기 사이드 시트의 가장자리 내면에 봉제되며,
    상기 패드의 타단은 상기 메인 심에 의해 상기 메인 시트의 가장자리 내면에 봉제된 차량용 내장재.
  8. 삭제
KR1020170124245A 2017-09-26 2017-09-26 스킨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KR101984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45A KR101984911B1 (ko) 2017-09-26 2017-09-26 스킨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45A KR101984911B1 (ko) 2017-09-26 2017-09-26 스킨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43A KR20190035243A (ko) 2019-04-03
KR101984911B1 true KR101984911B1 (ko) 2019-05-31

Family

ID=66165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245A KR101984911B1 (ko) 2017-09-26 2017-09-26 스킨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9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932A (ja) * 2010-03-17 2011-10-0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内装品
JP2016022844A (ja) * 2014-07-22 2016-02-0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イドトリ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989B1 (ko) 2010-08-26 2011-04-13 주식회사 세림티티시 천연섬유를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932A (ja) * 2010-03-17 2011-10-0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内装品
JP2016022844A (ja) * 2014-07-22 2016-02-0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イドトリ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43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969B2 (en) Cover for interior trim component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4911582B2 (ja) ステッチラインを有する表皮の貼着方法
KR101739250B1 (ko)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US20160032507A1 (en) Stitch line forming method
US20100193108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vehicular interior part
JP4982105B2 (ja) ヘッドレスト用表皮の製造方法
KR101837964B1 (ko)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JP2005053435A (ja) 加飾部品並びに自動車用内装部品
KR101984911B1 (ko) 스킨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KR20190035238A (ko) 패치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KR101992291B1 (ko) 캐릭터 라인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JP6474987B2 (ja) 乗物用内装部品
WO2016084813A1 (ja) 車両用内装部品、車両用内装パネル、及び車両用複合内装部品
JP4030053B2 (ja) コンソールリッドの製造方法
JP7059152B2 (ja) 自動車の内装部品の製造方法
KR101929369B1 (ko)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JP4524193B2 (ja) ヘッドレスト用表皮及びヘッドレスト
JP2010052537A (ja) 表皮材、および内装品
JP6966094B2 (ja) 車両用内装材
JP2010036839A (ja) 加飾パネル、収納ボックス、及び加飾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6087241A (ja) 車両用内装部品
JP7242013B2 (ja) 表皮材付き内装部品
KR101988625B1 (ko)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JP2015000287A (ja) 車両用内装部材
CN105579285A (zh) 带有标签的车辆内部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