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463B1 -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 Google Patents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463B1
KR102108463B1 KR1020180126578A KR20180126578A KR102108463B1 KR 102108463 B1 KR102108463 B1 KR 102108463B1 KR 1020180126578 A KR1020180126578 A KR 1020180126578A KR 20180126578 A KR20180126578 A KR 20180126578A KR 102108463 B1 KR102108463 B1 KR 102108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rench
base
unit
auxilia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713A (ko
Inventor
전학수
김덕래
김태혁
Original Assignee
전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학수 filed Critical 전학수
Priority to KR102018012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4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 상기 트렌치를 기준으로 상기 기재부의 일측을 덮는 제1 스킨부 및 타측을 덮는 제2 스킨부를 포함하는 스킨부; 상기 제1 스킨부 및 상기 제2 스킨부를 메인 시임으로 봉합한 메인 시임부; 상기 제1 스킨부 또는 상기 제2 스킨부의 접힌 부분을 상기 메인 시임부에 싱글 스티치 시임으로 봉합한 접힘부; 상기 메인 시임부 및 상기 접힘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트렌치에 상기 메인 시임부가 먼저 삽입되는 트렌치 삽입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와, 트렌치 삽입부를 정렬하는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이 기재된다.

Description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VEHICLE INTERIOR MATERIAL INCLUDING A TRENCH INSERTED PORTION, ALIGNING DEVICE AND ALIGN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차량용 내장재와, 그 차량용 내장재의 기재부와 스킨부를 접합시키는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 실내에 설치되는 센터페시아,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트림, 콘솔 등의 내장품을 지칭한다. 차량용 내장재는 기재부와, 기재부를 감싸는 스킨부를 포함한다.
기재부는 복잡한 3D 입체 형상인 반면, 스킨부는 가죽이나 인조가죽과 같이 플렉시블한 2D 평면 재료이다.
3D 입체인 기재부를 2D 평면인 스킨층으로 감싸는 래핑(wrapping) 공정에서 기재부에 시접부나 스티치 시임을 정확하게 정렬시키고 래핑 작업을 빠른 시간에 완료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기재부를 인조 가죽 등으로 감싼 고급형 인스트루먼트 패널은 차량의 성능이 정점에 도달한 최근에 상품성 강화를 위하여 활발히 채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특허를 조사 분석하는 IP-R&D 과제의 수행 결과나 타사의 공정을 조사해도, 자동화를 위한 아이디어는 전무한 실정이다. 기재부의 3D 형상과 스킨부 재료의 2D 특성은 자동화를 어렵게 하는 근본 요인이다.
스킨부에 형성되는 더블 스티치(duuble stitch)나 싱글 스티치(single stitch) 등의 장식 시임이 일정 간격이 되지 않거나 동일 선상에 있지 않고 조금이라도 비뚤어지면, 조립 완료된 고가의 차량용 내장재 전체가 불량 처리된다.
본 발명은 기재부에 시접이나 스티치를 정확하게 정렬시키고 스킨부를 접착시키는 래핑 작업을 빠른 시간에 수행할 수 있는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내장재는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인 접힘부가 메인 시임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싱글 스티치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트렌치에 삽입되는 볼록한 부분이 있는 차량용 내장재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는,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 상기 트렌치를 기준으로 상기 기재부의 일측을 덮는 제1 스킨부 및 타측을 덮는 제2 스킨부를 포함하는 스킨부; 상기 제1 스킨부 및 상기 제2 스킨부를 메인 시임으로 봉합한 메인 시임부; 상기 제1 스킨부 또는 상기 제2 스킨부의 접힌 부분을 상기 메인 시임부에 싱글 스티치 시임으로 봉합한 접힘부; 상기 메인 시임부 및 상기 접힘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트렌치에 상기 메인 시임부가 먼저 삽입되는 트렌치 삽입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정렬 장치는,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를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 상기 기재부에 적층되는 스킨부에 대면되는 베이스 유니트; 상기 베이스 유니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유니트;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유니트 및 상기 보조 유니트는, 상기 트렌치를 기준으로 상기 스킨부의 위치를 정렬하며, 상기 스킨부에 형성된 트렌치 삽입부를 상기 트렌치에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정렬 방법은, 기재부를 덮는 스킨부에 트렌치 삽입부를 형성하는 단계; 트렌치가 형성된 상기 기재부를 지지 유니트에 장착하는 기재부 지지 단계; 보조 유니트가 상기 기재부에 접근되며 상기 트렌치에 대한 상기 스킨부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스킨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유니트가 상기 기재부에 접근되며 상기 트렌치에 상기 트렌치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렌치의 제1 벽과 제2 벽으로 규정되는 공간 및 위치에 메인 시임부 및 접힘부가 삽입되므로 싱글 스티치 시임과 메인 시임 라인의 간격이 항상 일정해지고 품질 불량률이 줄어든다.
접힘부는 메인 시임부 위에 배치되며 접힘부와 메인 시임부의 두께는 스킨부 3장의 두께로 일정하므로 트렌치 삽입부의 두께를 규격대로 유지할 수 있고 양산성이 좋아진다.
정렬 장치에 의하여 래핑, 접착(가접착을 포함) 공정이 자동화되고 이러한 구조는 최초로 적용되는 것이므로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이 좋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킨부의 메인 시임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킨부의 트렌치 삽입부와 기재부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렌치 삽입부가 트렌치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 시임부가 도 4와 반대쪽으로 접힌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은 비교예로서, 메인 시임부가 접힘부보다 상측에 있는 경우를 가정적으로 도시한 비교용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렬 장치와 차량용 내장재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렬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정렬 장치의 최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와, 이를 정렬하기 위한 정렬 장치(500)와 정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2D 의 가죽 재료를 3D 의 기재부(110)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스킨부(120)는 복수의 가죽 조각을 메인 시임(210)으로 봉합한 3D 형상을 갖는다. 이때, 메인 시임(210)에 의하여 봉합된 메인 시임부(212)는 스킨부(120)의 배면으로 볼록 튀어나온다. 돌출된 메인 시임부(212)는 차량 인테리어를 위하여 눈에 띄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 부분을 스킨부(120)와 기재부(110)의 위치 정렬용으로 사용한다.
한편, 메인 시임부(212)의 반대쪽인 스킨부(120)의 상면에는 제1 스킨부(121)와 제2 스킨부(122)가 대면되면서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데, 이를 메인 시임 라인(240)이라 부른다.
메인 시임부(212) 또는 메인 시임 라인(240)을 중심으로 양쪽에 장식 시임이 형성되면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가 되고, 한쪽에만 장식 시임이 형성되면 싱글 스티치(Single Stitch)가 된다. 봉제가 완료된 스킨부(120)는 기재부(110)에 팽팽하게 씌워지고, 접착제 등에 의하여 가접착될 수 있다. 가접착이 완료된 차량용 내장재(100)는 고온 및 고압이 동작되는 프레스에 투입되며 접착제가 완전 경화되는 접착 공정을 거친다.
만약, 기재부(110)에 대한 스킨부(120)의 고정 위치 정렬이 수작업에만 의존한다면, 스킨부(120)의 고정 위치를 작업 내내 관리하고 수시로 스킨부(120)의 위치를 교정해야 한다. 기존의 미싱 장치나 래핑 장치에는 스킨부(120)의 위치 정렬을 도와줄 아무런 수단이 없으므로 가접착 공정에서 스킨부(120)를 팽팽하게 씌우기 위하여 스킨부(120)를 기재부(110)의 가장자리 쪽으로 당기고 가접착했다가, 다시 틀어지면 가접착을 떼어내고 스킨부(120)의 위치를 수정하는 반복 작업에 많은 공정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반복 작업을 줄일 수 있는 지그 및 장치의 최적화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정렬 장치(500)는 스킨부(120)의 배면에 트렌치 삽입부(230)를 형성하고, 트렌치 삽입부(230)를 이용하여 스킨부(120)를 트렌치(113)에 정확하게 정렬시킨 다음, 제1 스킨부(121) 및 제2 스킨부(122)를 기재부(110)의 가장자리 쪽으로 당겨 가접착 및 래핑을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완료할 수 있다. 이후 트렌치 삽입부(230)를 트렌치(113)에 정렬 장치(500)로 삽입하면 트렌치 삽입부(230) 주변도 팽팽하게 가접착되므로 종래의 수작업에서 발생하던 불량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가접착이 완료되면 고온 및 고압의 프레스 공정으로 완전 접착시킨다. 본 발명의 정렬 장치(500)는 트렌치(113)의 폭이나 깊이 변화에도 정렬 장치(500)가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킨부(120)의 트렌치 삽입부(230)와 기재부(110)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렌치 삽입부(230)가 트렌치(113)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는, 기재부(110), 스킨부(120), 메인 시임부(212), 접힘부(213)를 포함할 수 있따. 기재부(110)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골격이 되며 강성이 있는 합성 수지 및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기재부(110)에는 메인 시임부(212)를 도피시키고 스킨부(120)의 기준 위치를 잡기 위한 트렌치(113)가 형성될 수 있다.
스킨부(120)는 기재부(110)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2D 평판인 제1 스킨부(121) 및 제2 스킨부(122)를 포함하는 여러 조각의 천연 가죽, 합성 가죽, 패브릭(fabric)을 메인 시임(210)으로 이어 붙인 것이다. 제1 스킨부(121)는 트렌치(113)를 기준으로 기재부(110)의 일측을 덮고, 제2 스킨부(122)는 트렌치(113)를 기준으로 기재부(110)의 타측을 덮는다.
메인 시임부(212)는 제1 스킨부(121) 및 제2 스킨부(122)를 메인 시임(210)으로 봉합한 것이다. 스킨부(120)는 메인 시임부(212)에 의하여 봉합되는 제1 스킨부(121)와 제2 스킨부(122)를 포함한다.
접힘부(213)는 제1 스킨부(121) 또는 제2 스킨부(122)의 접힌 부분을 메인 시임부(212)에 싱글 스티치 시임(220)으로 봉합한 것일 수 있다.
트렌치 삽입부(230)는 스킨부(120)의 배면에 튀어나온 것으로서 트렌치(113)에 삽입되는 부분을 통칭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렌치 삽입부(230)는 메인 시임부(212)와 접힘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싱글 스티치로 장식되는 경우, 트렌치 삽입부(230)는 메인 시임부(212) 및 접힘부(213)가 트렌치(113)의 바닥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트렌치(113)에는 스킨부(120)에 봉합된 메인 시임부(212)부터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렌치 삽입부(230)는, 트렌치(11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제1 레이어(231), 제2 레이어(232), 제3 레이어(233) 및 제4 레이어(234)가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제1 레이어(231)는, 메인 시임(210) 및 싱글 스티치 시임(220)이 모두 트렌치(113)의 바닥면으로 노출되는 면이다. 제2 레이어(232)는, 메인 시임(210)으로 밀착되며 제1 스킨부(121) 및 제2 스킨부(122)가 서로 마주보는 면이다. 제3 레이어(233)는, 싱글 스티치 시임(220)으로 밀착되며 제1 스킨부(121) 또는 제2 스킨부(122)의 접힌 부분끼리 마주보는 면이다. 제4 레이어(234)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노출된 표면이며 싱글 스티치 시임(220)이 노출되는 면이다.
제1 스킨부(121)는 트렌치(113)의 바닥면에 대면되고 벤딩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스킨부(122)는 트렌치(113)의 상면에 노출되고 접힘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트렌치 삽입부(2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메인 시임부(212)는 트렌치(113)의 바닥면으로부터 제1 스킨부(121)의 배면(121a), 제1 스킨부(121)의 상면(121b), 제2 스킨부(122)의 상면(122b), 제2 스킨부(122)의 상면(122b)을 포함하는 4개의 가죽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렌치 삽입부(2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접힘부(213)는 아래에서부터 제2 스킨부(122)의 상면(122b), 서로 겹쳐진 제2 스킨부(122)의 배면(122a) 두 개, 제2 스킨부(122)의 상면(122b)을 포함하는 4개의 가죽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렌치(113)는 기재부(110)의 일부가 함몰된 제1 벽(111)과 제2 벽(112)을 구비할 수 있고, 바닥면은 제1 벽(111)과 제2 벽(112) 사이의 밑면이다. 메인 시임부(212)의 단부는 제1 스킨부(121)의 단부(121c) 및 제2 스킨부(122)의 단부(122c)가 제2 벽(112)과 대면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접힘부(213)에 의하여 봉합되는 제2 스킨부(122)의 접힘부 턱(214)은 제1 벽(111)에 대면될 수 있다. 메인 시임부(212)의 단부, 접힘부 턱(214), 벤딩부(215)는 트렌치(113)에 조립되므로 메인 시임 라인(240)의 위치, 싱글 스티치 시임(220)의 위치, 스킨부(120)의 래핑 위치를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트렌치(113)의 제1 벽(111) 또는 제2 벽(112)의 가장자리에 걸려서 스킨부(120)가 구부러짐 벤딩부(215)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시임(210) 및 싱글 스티치 시임(220)이 모두 노출된 제1 스킨부(121) 또는 제2 스킨부(122)가, 트렌치(113)의 제1 벽(111) 또는 제2 벽(112)의 모서리에 걸려서 구부러진 벤딩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215)에 인접한 홈은 메인 시임 라인(240)이 될 수 있다.
제1 스킨부(121) 또는 제2 스킨부(122)가 접힘부(213)에서 접힌 부분은 스킨부(120)의 상면에 접힘부 턱(214)을 형성할 수 있다. 서로 대면되는 제1 스킨부(121) 및 제2 스킨부(122) 사이의 홈인 메인 시임 라인(240)이 접힘부 턱(214)과 함께 스킨부(12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 싱글 스티치 시임(220), 접힘부 턱(214), 메인 시임 라인(240), 벤딩부(215)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싱글 스티치 시임(220), 접힘부 턱(214), 메인 시임 라인(240)은 트렌치(113)의 제1 벽(111)과 제2 벽(112) 사이에 위치하고, 도 4의 용지면에 수직한 방향인 트렌치(11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차량용 내장재(100)의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재부(110)와 스킨부(120) 사이에 탄성 재질의 필라멘트층(115)이 삽입될 수 있다. 필라멘트층(115)은 기재부(110)의 일부를 함몰시킨 필라멘트층 수납부(117)에 삽입될 수 있다.
필라멘트층(115)의 단부와 트렌치(113) 사이에는 기재부(110)의 일부를 스킨부(120)를 향하여 돌출시킨 경계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경계부(116)는 트렌치(113)에 인접한 제1 스킨부(121) 또는 제2 스킨부(122)의 배면(122a)을 지지하며 스킨부(120)가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메인 시임부(212)가 도 4와 반대쪽으로 접힌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와 도 5를 비교하면, 메인 시임부(21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접혀지더라도, 메인 시임부(212)가 하측에 있고 접힘부(213)가 상측에 있는 경우는 모두 본 발명의 트렌치 삽입부(230)가 될 수 있고, 정렬 장치(500) 및 정렬 방법도 동일하다.
도 6은 비교예로서, 메인 시임부(212)가 접힘부(213)보다 상측에 있는 경우를 가정적으로 도시한 비교용 도면이다. 이때는 스킨부(120)의 절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차량용 인테리어로서 불량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킨부(120)는 상면에 노출되는 부분에 접힘부(213) 및 접힘부 턱(214)이 관찰되는 경우이고, 인테리어 관점에서 도 6의 접힘부(213)가 아래에 있는 경우와 차별화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내장재(100)는 트렌치(113)에 삽입되는 트렌치 삽입부(230)의 형상이 도 6과 차별화되도록 새롭게 고안된 것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킨부(120) 형상은 이후 설명하는 정렬 장치(500) 및 정렬 방법으로 래핑, 가접착, 프레스 접착 공정을 자동화시키기 위한 형상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렬 장치(500)와 차량용 내장재(100)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렬 장치(500)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정렬 장치(500)의 최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정렬 장치(500)는, 지지 유니트(501), 베이스 유니트(510) 및 보조 유니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니트(501)는 래핑, 가접착, 프레스 접착 공정 중 필요한 공정에서 트렌치(113)가 형성된 기재부(110)를 지지한다. 기재부(110)와 스킨부(120)의 조립 기준 위치 또는 차량용 내장재(100)의 스티치 불량을 판단하는 기준 위치는 트렌치(113) 및 트렌치 삽입부(23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렬 장치(500)는 베이스 유니트(510)와 이에 대하여 상대 이동되는 보조 유니트(520)를 포함하는 이중 블록 구조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베이스 유니트(510)는 기재부(110)에 적층되는 스킨부(120)에 대면될 수 있다.
보조 유니트(520)는 베이스 유니트(5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니트(510) 및 보조 유니트(520)에 의하면, 트렌치(113)를 기준으로 스킨부(12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스킨부(120)에 형성된 트렌치 삽입부(230)를 편차없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트렌치(113)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래핑 작업시 스킨부(120)를 기재부(110)의 가장자리 쪽으로 당길 때, 제1 스킨부(121) 및 제2 스킨부(122)의 고정점이 되므로 스킨부(120)가 쭈글거리는 불량을 차단할 수 있다.
트렌치 삽입부(230)는 메인 시임부(212), 메인 시임부(212)의 상측에 위치하며 싱글 스티치 시임(220)으로 봉합되는 접힘부(213), 접힘부(213)의 측면으로 돌출된 접힘부 턱(21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 삽입부(230)는 복수의 조각으로 된 스킨부(120)를 봉합한 메인 시임부(212), 스킨부(120)를 접어서 메인 시임부(212)의 상측에 봉합한 접힘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유니트(520)는 스킨부(120)의 일부를 기재부(110)에 밀착시키는 스킨 누름부(521)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유니트(520)는 접힘부(213)의 측면에 밀착되는 턱 규제부(52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정렬 장치(500)의 초기 상태에서, 스킨부(120)를 당겨서 접힘부 턱(214)이 턱 규제부(522)에 접촉되면 트렌치(113)를 기준으로 트렌치 삽입부(230) 및 스킨부(120)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보조 유니트(520)는 기재부(110)를 향하여 접근될 수 있다. 보조 유니트(520)가 기재부(110)에 대하여 어느 정도까지 접근되어야 하는가 살펴본다. 보조 유니트(520)와 기재부(110) 사이의 이격 틈새에 대하여 스킨부(120)는 통과되고 접힘부(213)는 통과되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유니트(520)의 이격 틈새를 통하여 스킨부(120)를 팽팽하게 잡아당길 수 있어야 제1 스킨부(121)가 팽팽해질 수 있다. 트렌치 삽입부(230)의 접힘부 턱(214)이 턱 규제부(522)에 걸려서 움직이지 않아야, 스킨부(120)를 당겨도 트렌치 삽입부(230)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보조 유니트(520)와 기재부(110) 사이의 이격 틈새를 고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보다 위의 요구 사항을 만족하면서 탄력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가압 수단(530)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 수단(530)은 베이스 유니트(510)에 대하여 보조 유니트(520)를 기재부(110) 또는 스킨부(120) 방향으로 밀어주는 가압력을 발생할 수 있다. 가압 수단(530)은 탄성 수단, 공압 수단 등 다양한 것이 될 수 있지만, 보조 유니트(520)가 스킨부(120)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밀착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스킨부(120)를 향하여 탄성력 등의 가압력을 받는 보조 유니트(520)의 이동 거리는 스토퍼(540)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보조 유니트(5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베이스 유니트(510)는 가이드부(512)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유니트(520)는 가이드부(512)를 따라 안내되거나 가이드부(512)에 삽입 지지될 수 있다.
보조 유니트(520)가 트렌치(113)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어느 위치로 접근되어야 하는가 살펴본다. 도 8을 참조할 때, 스킨 누름부(521)가 지나치게 왼쪽 또는 오른쪽에 있으면 트렌치 삽입부(230)와 트렌치(113)가 정렬되지 않음은 물론 트렌치(113)에 스킨 누름부(521)가 빠질 수 있다.
스킨 누름부(521)는 제1 스킨부(121)의 일부를 가압하고 스킨 누름부(521)의 측면인 턱 규제부(522)는 접힘부(213)의 측면인 접힘부 턱(214)에 밀착될 필요가 있다. 한편, 메인 시임부(212)는 접혀진 채로 트렌치(113)에 완전히 삽입되어야 하고, 제1 스킨부(121)의 일부는 트렌치(113)의 제1 벽(111)에 밀착되거나 제1 벽(111)의 가장자리에서 벤딩부(215)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베이스 유니트(510)의 수평 위치는 제1 벽(111)과 제2 벽(112)의 사이이면서 제1 벽(111)에 인접한 것이 바람직하다. 스킨 누름부(521)의 측면 또는 턱 규제부(522)는 제1 벽(111)으로부터 제2 벽(112)을 향하여 들어온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유니트(510)는 트렌치 누름부(511)를 구비할 수 있다. 스킨 누름부(521)는 접힘부(213)의 하측의 메인 시임부(212)로부터 연장되는 스킨부(120)의 일부를 기재부(110)에 대고 누르는 제1 동작을 할 수 있다. 제1 동작은 스킨부(120) 또는 트렌치 삽입부(230)의 수평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제1 동작시 스킨 누름부(521)는 스킨부(120)가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기재부(110)에 수직한 스킨부(120)의 높이를 정렬할 수 있다.
제1 동작 이후에 제1 스킨부(121)를 당기면, 턱 규제부(522)가 접힘부(213)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 동작을 할 수 있다. 턱 규제부(522)가 밀착되고 제1 스킨부(121)를 당기면 턱 규제부(522)는 스킨부(120)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제1 동작 또는 제2 동작시 제2 스킨부(122)를 반대쪽으로 당겨서 스킨부(120)를 팽팽하게 만들고 기재부(110)의 타측을 제2 스킨부(122)로 래핑 또는 가접착할 수 있다.
제2 동작 이후에 상기 트렌치 누름부(511)는 상기 트렌치 삽입부(230)를 눌러서 상기 트렌치(113)에 삽입하는 제3 동작을 할 수 있다. 제1 동작 및 제2 동작에 의하여 제1 스킨부(121)는 일측으로 당겨지고 제2 스킨부(122)는 타측으로 당겨졌으므로 스킨부(120)는 팽팽하게 기재부(110)에 래핑될 수 있다.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이후에 트렌치 삽입부(230)를 트렌치(113)에 삽입 및 접착하면 스킨부(120)에 주름이 없이 위치 고정이 완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렬 장치(500)에 의한 정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재부(110)를 덮는 스킨부(120)에 트렌치 삽입부(230)를 형성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조각을 메인 시임(210)으로 봉합하면 스킨부(120)에 메인 시임부(212)를 형성할 수 있다. 스킨부(120)를 접어서 싱글 스티치 시임(220)으로 메인 시임부(212)에 봉합하면 메인 시임부(212) 상측에 접힘부(2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트렌치 삽입부(230)가 준비되었다.
한편, 트렌치(113)가 형성된 기재부(110)를 지지 유니트(501)에 장착하는 기재부(110) 지지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제 스킨부(120)의 래핑 및 가접착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베이스 유니트(510)의 하강에 따라 보조 유니트(520)를 기재부(110)에 접근시키고 트렌치(113)에 대한 스킨부(120) 또는 트렌치 삽입부(23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즉, 보조 유니트(520)가 기재부(110)에 접근되면 제1 스킨부(121)를 당겨서 트렌치 삽입부(230)가 보조 유니트(520)의 측면에 밀착되게 하며, 제1 스킨부(121)가 트렌치(113)의 주변에 밀착되게 하고, 스킨부(120)의 높이 및 수평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이후, 제1 스킨부(121)를 기재부(110)에 접착 또는 가접착시키는 제1 스킨부(121) 접착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스킨부(121) 접착 단계가 수행되면 제1 스킨부(121)는 움직이지 않는다. 제2 스킨부(122)를 당기면서 제2 스킨부(122)를 기재부(110)에 접착시키는 제2 스킨부(122) 접착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니트(510)를 기재부(110)에 접근시켜 트렌치(113)에 트렌치 삽입부(230)를 삽입하는 트렌치(113) 삽입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트렌치(113) 삽입 단계는 제2 스킨부(122) 접착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100...차량용 내장재 110...기재부
111...제1 벽 112...제2 벽
113...트렌치(trench) 115...필라멘트층(filament layer)
116...경계부 117...필라멘트층 수납부
120...스킨부(skin portion) 121...제1 스킨부
121a...제1 스킨부의 배면 121b...제1 스킨부의 상면
121c...제1 스킨부의 단부 122...제2 스킨부
122a...제2 스킨부의 배면 122b...제2 스킨부의 상면
122c...제2 스킨부의 단부 210...메인 시임(main seam)
212...메인 시임부 213...접힘부
214...접힘부 턱 215...벤딩부(bending portion)
220...싱글 스티치 시임(single stitch seam)
230...트렌치 삽입부 231...제1 레이어
232...제2 레이어 233...제3 레이어
234...제4 레이어 240...메인 시임 라인
500...정렬 장치 501...지지 유니트
510...베이스 유니트 511...트렌치 누름부
512...가이드부 520...보조 유니트
521...스킨 누름부 522...턱 규제부
530...가압 수단 540...스토퍼(stopper)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를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
    상기 기재부에 적층되는 스킨부에 대면되는 베이스 유니트;
    상기 베이스 유니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니트 및 상기 보조 유니트는,
    상기 트렌치를 기준으로 상기 스킨부의 위치를 정렬하며,
    상기 스킨부에 형성된 트렌치 삽입부를 상기 트렌치에 삽입하고,
    상기 스킨부는 메인 시임부에 의하여 봉합되는 제1 스킨부와 제2 스킨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삽입부는 상기 메인 시임부, 상기 메인 시임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싱글 스티치 시임으로 봉합되는 접힘부, 상기 접힘부의 측면으로 돌출된 접힘부 턱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유니트에는 턱 규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킨부를 당겨서 상기 접힘부 턱이 상기 턱 규제부에 접촉되면 상기 트렌치를 기준으로 상기 트렌치 삽입부 및 상기 스킨부의 위치가 정렬되는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7. 삭제
  8.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를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
    상기 기재부에 적층되는 스킨부에 대면되는 베이스 유니트;
    상기 베이스 유니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니트 및 상기 보조 유니트는,
    상기 트렌치를 기준으로 상기 스킨부의 위치를 정렬하며,
    상기 스킨부에 형성된 트렌치 삽입부를 상기 트렌치에 삽입하고,
    상기 트렌치 삽입부는 복수의 조각으로 된 상기 스킨부를 봉합하는 메인 시임부, 상기 스킨부를 접어서 상기 메인 시임부의 상측에 봉합한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유니트는 상기 기재부를 향하여 접근되며,
    상기 보조 유니트와 상기 기재부 사이의 이격 틈새에 대하여 상기 스킨부는 통과되고 상기 접힘부는 통과되지 못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9.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를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
    상기 기재부에 적층되는 스킨부에 대면되는 베이스 유니트;
    상기 베이스 유니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니트 및 상기 보조 유니트는,
    상기 트렌치를 기준으로 상기 스킨부의 위치를 정렬하며,
    상기 스킨부에 형성된 트렌치 삽입부를 상기 트렌치에 삽입하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기재부의 일부가 함몰된 제1 벽과 제2 벽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유니트는 상기 스킨부의 일부를 상기 기재부에 밀착시키는 스킨 누름부 또는 접힘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턱 규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킨 누름부의 측면 또는 상기 턱 규제부는 상기 제1 벽으로부터 상기 제2 벽을 향하여 들어온 지점에 위치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니트는 가이드부 및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유니트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되며,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베이스 유니트에 대하여 상기 보조 유니트를 상기 기재부 또는 상기 스킨부 방향으로 밀어주는 가압력을 발생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11. 트렌치가 형성된 기재부를 지지하는 지지 유니트;
    상기 기재부에 적층되는 스킨부에 대면되는 베이스 유니트;
    상기 베이스 유니트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니트 및 상기 보조 유니트는,
    상기 트렌치를 기준으로 상기 스킨부의 위치를 정렬하며,
    상기 스킨부에 형성된 트렌치 삽입부를 상기 트렌치에 삽입하고,
    상기 트렌치 삽입부는 복수의 조각으로 된 상기 스킨부를 봉합한 메인 시임부, 상기 스킨부를 접어서 상기 메인 시임부의 상측에 봉합한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유니트는 트렌치 누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유니트는 스킨 누름부와 턱 규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 누름부는 상기 접힘부의 하측의 상기 메인 시임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스킨부의 일부를 상기 기재부에 대고 누르는 제1 동작을 하며 상기 기재부에 대한 상기 스킨부의 수직 방향 높이를 정렬하고,
    상기 제1 동작 이후에 상기 턱 규제부는 상기 접힘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 동작을 하며 상기 기재부에 대한 상기 스킨부의 수평 방향 위치를 정렬하며,
    상기 제2 동작 이후에 상기 트렌치 누름부는 상기 트렌치 삽입부를 눌러서 상기 트렌치에 삽입하는 제3 동작을 하는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12. 기재부를 덮는 스킨부에 트렌치 삽입부를 형성하는 단계;
    트렌치가 형성된 상기 기재부를 지지 유니트에 장착하는 기재부 지지 단계;
    보조 유니트가 상기 기재부에 접근되며 상기 트렌치에 대한 상기 스킨부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스킨부가 정렬된 상태에서 베이스 유니트가 상기 기재부에 접근되며 상기 트렌치에 상기 트렌치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킨부는 상기 트렌치 삽입부를 기준으로 일측의 제1 스킨부와 타측의 제2 스킨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유니트가 상기 기재부에 접근되면 상기 제1 스킨부를 당겨서 상기 트렌치 삽입부의 위치를 정렬하고 상기 제1 스킨부를 상기 기재부에 접착시키는 제1 스킨부 접착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제1 스킨부 접착 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제2 스킨부를 당기면서 상기 제2 스킨부를 상기 기재부에 접착시키는 제2 스킨부 접착 단계와,
    상기 베이스 유니트를 상기 기재부에 접근시켜 상기 트렌치에 상기 트렌치 삽입부를 삽입하는 트렌치 삽입 단계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방법.
  13. 삭제
KR1020180126578A 2018-10-23 2018-10-23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KR102108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78A KR102108463B1 (ko) 2018-10-23 2018-10-23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578A KR102108463B1 (ko) 2018-10-23 2018-10-23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713A KR20200045713A (ko) 2020-05-06
KR102108463B1 true KR102108463B1 (ko) 2020-05-28

Family

ID=7073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578A KR102108463B1 (ko) 2018-10-23 2018-10-23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4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4524A1 (fr) * 2021-06-23 2022-12-30 Psa Automobiles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garniture d’équipement à empiècements en cuir avec pl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686B2 (ja) * 1989-07-13 1996-07-24 高島屋日発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2079852A (ja) * 2000-09-08 2002-03-19 Araco Corp 車両用内装品のカバー及びそのカバーの縫製方法並びにそのカバーを備えた車両用内装品
JP2011194932A (ja) * 2010-03-17 2011-10-0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内装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659B1 (ko) * 2016-11-18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원단에 패턴을 형성하면서 트림에 부착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6686B2 (ja) * 1989-07-13 1996-07-24 高島屋日発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2079852A (ja) * 2000-09-08 2002-03-19 Araco Corp 車両用内装品のカバー及びそのカバーの縫製方法並びにそのカバーを備えた車両用内装品
JP2011194932A (ja) * 2010-03-17 2011-10-0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内装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713A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868B1 (ko) 이형의 곡면 커버 플레이트와 플렉서블 스크린의 본딩 장치 및 본딩 방법
EP1820625A1 (en) Vehicular interior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297842A (en) Lining for interior of structural bod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U751796B2 (en) Vehicle trim component having two-part cover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US200100005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precise joint between two cover materials for a trim component
KR102108463B1 (ko) 트렌치 삽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차량용 내장재의 정렬 장치 및 정렬 방법
US20120261934A1 (en) Trim panel of motor vehicles
CN106012318A (zh) 间下级领机构及间下级领方法
US20070132159A1 (en) Vacuum mol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EP2227383B1 (en) Process and machine for forming boxes
US20150314737A1 (en) Fabric covered vehicle interior assembly having a recess
US5951802A (en) Vehicle trim panel
KR101837964B1 (ko) 보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US10815595B2 (en) Manufacturing metho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jig of trim cover surface material
US20020162623A1 (en) Coating method and a corresponding part
DE102011015818A1 (de) Umbugverfahren, Umbugvorrichtung sowie Bauteil mit Umbug
KR102108509B1 (ko) 패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EP12897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the covers of a book or equivalent
KR102008238B1 (ko) 패치부로 랩핑된 차량용 내장재
CN110920084A (zh) 一种具有竖直插片的汽车顶棚天窗框包边装置
JP2016068348A (ja) 車両内装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端末処理装置
CN211807939U (zh) 一种具有竖直插片的汽车顶棚天窗框包边装置
KR102110334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JP6398852B2 (ja) ステッチ加飾付き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35229A (ko) 장식 시임이 구비된 차량용 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