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058B1 - 전지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전지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058B1
KR102110058B1 KR1020187011282A KR20187011282A KR102110058B1 KR 102110058 B1 KR102110058 B1 KR 102110058B1 KR 1020187011282 A KR1020187011282 A KR 1020187011282A KR 20187011282 A KR20187011282 A KR 20187011282A KR 102110058 B1 KR102110058 B1 KR 102110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sitive electrode
electrode terminal
terminal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404A (ko
Inventor
미까 다까야나기
Original Assignee
에프디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디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프디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01M2/1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batteries or cells of different types or different siz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전지용 스페이서(2)는 내부에 전지(3)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수용 케이스(4)와, 수용 케이스(4)의 개구(6)를 폐쇄하는 덮개부(8)와, 덮개부(8)에 설치되며, 일부가 덮개부(8)의 정상면(89)으로 돌출됨과 함께 수용 케이스(4)의 내측에서 전지(3)의 정극 단자(5)에 맞닿는 정극 중계 단자(56)를 구비하고, 덮개부(8)에는, 정극 중계 단자(56)에 전지(3)의 정극 단자(5)가 맞닿는 단자 접촉면(80)보다도 전지(3)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88)는 전지(3)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단자 접촉면(80)으로부터의 돌출 길이 h가 전지(3)의 정극 단자(5)의 길이 H보다도 짧고, 전지(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전지(3)의 정극 단자(5)의 직경 r보다도 크고, 또한, 전지(3)의 직경 S보다도 작은 직경 R의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전지용 스페이서
본 발명은 전지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원통형 전지의 사이즈를 변환할 수 있는 전지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 기기의 전원으로서 원통형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 원통형 전지의 크기는, 국제 규격이나 일본 공업 규격에 의해 정해져 있다. 통상, 전기 기기는 전지를 장전하기 위한 전지실을 갖고 있다. 이 전지실의 내부 형상은, 그 전기 기기에 사용되는 특정한 규격의 원통형 전지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단1형의 전지에 적합한 전지실을 갖는 전기 기기에, 단3형과 같은 다른 사이즈의 전지를 사용할 수는 없다.
그런데, 전기 기기의 전지를 교환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적절한 사이즈의 전지가 가까이에 없는 등의 불편한 상황은 자주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한 상황을 회피하기 위해, 전지의 사이즈를 변환하는 장치(전지용 스페이서)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로 대표되는 전지용 스페이서는, 전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플러그 본체와, 전지를 수용한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의 수용부를 폐색하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본체의 외형 형상은, 그 수용부에 수용되는 전지보다도 큰 사이즈의 전지와 동일한 외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본체가 전체로서 단1형의 전지와 동일한 규격의 치수의 외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수용부 내에 단3형의 전지를 수용하는 양태의 전지용 스페이서가 알려져 있다. 이 전지용 스페이서의 경우, 단3형의 전지를 단1형의 전지로 사이즈의 변환을 할 수 있으므로, 단3형의 전지를 단1형의 전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지용 스페이서의 구체적인 구조는 이하와 같다.
플러그 본체는, 단1형의 전지와 마찬가지의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일단부의 외면에 외측 정극 단자를 갖고 있다. 그리고, 플러그 본체의 내부에는 수용부로서, 단3형의 전지를 보유 지지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에 있어서는, 그 일단부의 내면에 내측 정극 단자가 배설되어 있다. 이 내측 정극 단자는, 상기한 외측 정극 단자와 도통하고 있다.
한편, 덮개는, 플러그 본체의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위치 부여되어 있고, 그 외면에 외측 부극 단자를 갖고 있다. 또한, 덮개의 내면에는, 상기한 외측 부극 단자와 도통하고 있는 내측 부극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지용 스페이서에 있어서는, 플러그 본체의 수용부에 단3형의 전지를 수용한 후, 이 수용부를 덮개로 폐색한다. 수용된 전지는, 그 정극 단자가 수용부 내의 내측 정극 단자와 접촉하고, 그 부극 단자가 수용부 내의 내측 부극 단자와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전지용 스페이서의 외측 정극 단자와 수용부 내의 단3형의 전지의 정극 단자는 동일 전위로 되고, 전지용 스페이서의 외측 부극 단자와 수용부 내의 단3형의 전지의 부극 단자는 동일 전위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3형의 전지를 수용하고 있는 전지용 스페이서는, 전기 기기의 단1형의 전지용의 전지실에 장전되어, 단1형의 전지로서 사용된다. 즉, 단1형의 전지 전용의 전기 기기에 있어서 전지 교환이 필요로 된 경우에, 가까이에 단3형의 전지밖에 없어도, 전지용 스페이서에 의해 단1형의 전지로 사이즈의 변환이 이루어진 단3형의 전지에 의해, 당해 전기 기기의 구동은 가능해진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06-058550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전지용 스페이서에 있어서는, 전지를 수용부에 수용할 때, 전지의 방향을 정규의 방향과는 반대로 하여 잘못 삽입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전지의 오삽입을 유저가 알아차리지 못한 경우, 정극과 부극이 반대로 되어 있는 상태의 전지용 스페이서를 전기 기기의 전지실에 장전해 버린다. 이 경우, 전지실에 장전되어 있는 전지의 정극과 부극이 실질적으로 반대로 되므로 전기 기기를 구동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기 기기의 고장의 원인으로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지의 정극 및 부극의 방향을 잘못 삽입한 경우에도, 전기 기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전지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전지 수용부와, 상기 전지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덮개부의 정상면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전지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에 맞닿는 정극 중계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정극 중계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가 맞닿는 면보다도 상기 전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극 중계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가 맞닿는 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의 길이보다도 짧고, 상기 전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보다도 외측이며 상기 전지의 외주면보다도 내측으로 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전지용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의 직경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전지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지 수용부의 저부에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전지 수용부의 외측 저면에 노출됨과 함께 상기 전지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의 부극 단자에 맞닿는 부극 중계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전지 수용부는, 상기 외측 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극 중계 단자는, 상기 전지 수용부의 상기 외측 저면에 노출되는 부분이 상기 오목부에 위치 부여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지용 스페이서에 따르면, 전지의 정극 및 부극의 방향을 잘못 삽입한 경우에도, 돌출부에 의해 정극 중계 단자와 전지의 부극 단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 기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용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용 스페이서의 덮개부를 개방한 양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용 스페이서의 덮개부를 개방한 양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용 스페이서의 저벽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부극 중계 단자로 되는 박판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부극 중계 단자로 되는 박판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용 스페이서를 덮개부측으로부터 본 양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용 스페이서를 저벽측으로부터 본 양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전지용 스페이서에 전지를 수용한 양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전지용 스페이서에 정규와는 역의 방향으로 전지를 수용한 양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전지용 스페이서(2)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용 스페이서(2)는, 전체로서 원통형 전지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1형의 전지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되며, 각 부의 치수는 단1형의 전지와 동일한 치수가 채용되어 있다.
전지용 스페이서(2)는, 도 2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전지(3)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수용 케이스(전지 수용부)(4)와, 이 수용 케이스(4)의 개구(6)를 폐쇄하는 덮개부(8)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 케이스(4)는 케이스 본체(10)와, 이 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에 설치된 부극 중계 단자(1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0)는 수지를 포함하고,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의 내주벽(16)에는, 각각 박판 형상의, 제1 홀드판(18), 제2 홀드판(20), 제3 홀드판(22) 및 제4 홀드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홀드판(18), 제2 홀드판(20), 제3 홀드판(22) 및 제4 홀드판(24)은 각각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고, 각 홀드판의 선단부(18a, 20a, 22a, 24a)는 케이스 본체(10)의 중심 축선을 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홀드판(18)과 제3 홀드판(22)이 대향하고 있고, 제2 홀드판(20)과 제4 홀드판(24)이 대향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대향하는 제1 홀드판(18)의 선단부(18a)와 제3 홀드판(22)의 선단부(22a) 사이, 및, 서로 대향하는 제2 홀드판(20)의 선단부(20a)와 제4 홀드판(24)의 선단부(24a) 사이는 단3형의 전지(3)의 직경과 동일한 치수만큼 이격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홀드판(18)과 제2 홀드판(20) 사이, 및, 제3 홀드판(22)과 제4 홀드판(24) 사이에, 케이스 본체(10)에 있어서의 저벽(12)의 내측 저면(31)으로부터 외측 저면(33)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슬릿(26, 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26, 28)은 가늘고 긴 직선 형상의 관통 구멍이다.
또한, 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의 외측 저면(33)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이 오목부(30)의 양측부에는 상기한 한 쌍의 슬릿(26, 28)이 위치 부여되어 있다.
부극 중계 단자(14)는 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의 내측 저면(31)측에 위치 부여되는 내부 부극 단자부(32)와, 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의 외측 저면(33)에 노출되는 외부 부극 단자부(34)를 포함하고 있다.
이 부극 중계 단자(14)의 제조 수순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금속제의 박판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원형인 원판부(36)와, 이 원판부(36)의 양측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평면에서 보아 형상이 직사각형인 띠 형상부(38, 40)를 포함하는 박판 부재(42)를 준비한다. 또한, 상기한 금속제의 박판으로서는, 예를 들어 표면에 니켈 도금이 실시된 철의 박판이 사용된다. 얻어진 박판 부재(42)는 띠 형상부(38, 4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화살표 A 및 화살표 B의 방향을 향하여 절곡된다. 여기서, 원판부(36)는 상기한 오목부(30)에 적합한 형상 및 치수를 갖고 있고, 띠 형상부(38, 40)는, 상기한 슬릿(26, 28)에 적합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띠 형상부(38, 40)가 절곡되어 있는 상태의 박판 부재(42)는, 그 띠 형상부(38, 40)가 슬릿(26, 28)에, 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의 외측 저면(33)측으로부터 삽입된다. 그리고, 원판부(36)가 오목부(30)에 압박되고, 케이스 본체(10) 내로 최대한 돌출시켜진 상태의 한 쌍의 띠 형상부(38, 40)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되도록 더 절곡된다. 여기서, 띠 형상부(38, 40)는, 저벽(12)의 내측 저면(31)과 완전히 접촉하도록 절곡하는 것이 아니라, 저벽(12)의 내측 저면(31)과 띠 형상부(38, 40)의 하면(38a, 40a)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있을 정도로 절곡한다. 이에 의해 띠 형상부(38, 40)에 스프링성을 갖게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박판 부재(42)는 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에 설치되어, 부극 중계 단자(14)로 된다. 이 부극 중계 단자(14)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띠 형상부(38, 40)는, 케이스 본체(10) 내에 수용된 전지(3)의 부극 단자(7)와 맞닿는 내부 부극 단자부(32)로 된다. 그리고, 이 내부 부극 단자부(32)에는 스프링성이 부여되어 있다. 한편, 오목부(30) 내에 위치 부여된 원판부(36)는 전지용 스페이서(2)가 전기 기기의 전지실에 장전되었을 때에 전기 기기의 전지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부극측 접촉자와 접촉하는 외부 부극 단자부(34)로 된다.
또한, 외부 부극 단자부(34)는 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30) 내에 위치 부여되어 있고, 저벽(12)에 있어서의 오목부(30)를 제외한 부분보다도 들어간 위치, 즉, 저벽(12)의 외측 저면(33)에 있어서의 최하면(12a)보다도 들어간 위치에 위치 부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지실의 부극측 접촉자 이외의 부분과의 오접촉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를 발휘한다.
이들 내부 부극 단자부(32) 및 외부 부극 단자부(34)를 포함하는 부극 중계 단자(14)는 하나의 금속제의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체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내부 부극 단자부(32)와 외부 부극 단자부(34)는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0)는, 도 2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개구(6)에 가까운 위치의 외주면에 외주 오목부(46)를 갖고 있다. 이 외주 오목부(46)의 상단부에는 단차(4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48)의 부분이 후술하는 덮개부(8)의 로크 갈고리(50)와 걸림 결합한다. 즉, 이 외주 오목부(46)와 로크 갈고리(50)는, 협동하여 전지용 스페이서(2)의 로크 기구를 구성한다.
덮개부(8)는 수용 케이스(4)의 개구(6)에 합치하여, 이 개구(6)를 폐색할 수 있는 덮개 본체(52)와, 이 덮개 본체(52)의 정상벽(54)에 설치된 정극 중계 단자(56)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본체(52)는 수지를 포함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정상벽(54)과, 수용 케이스(4)의 개구(6)를 폐쇄하였을 때에, 이 정상벽(54)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용 케이스(4)측으로 연장되는 주위벽(5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 본체(5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60)에 의해 수용 케이스(4)에 연결되어 있어, 수용 케이스(4)의 개구(6)를 개폐 가능하다. 여기서, 전지용 스페이서(2)를 상측(덮개부(8)측)으로부터 본 양태를 도시한 도 8 및 전지용 스페이서(2)를 하측(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측)으로부터 본 양태를 도시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8) 및 수용 케이스(4)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힌지(60)가 존재하는 부분은, 힌지(60)의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주위벽(58)은 그 선단부에는 단차(62)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주위벽(58)은 외주측에 비해 내주측이 정상벽(54)을 향하여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수용 케이스(4)의 개구(6)의 주연부에는, 주위벽(58)의 선단부의 단차(62)와 합치하도록 단차(64)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개구(6)의 주연부는, 외주측에 비해 내주측이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주위벽(58)의 일부에는, 덮개 본체(52)를 폐쇄하였을 때에 수용 케이스(4)측으로 연장되는 설편(6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66)은 상기한 케이스 본체(10)의 외주 오목부(4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설편(6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주위벽(58)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벽(54)을 향하여 절결(68, 7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설편(66)이 전지용 스페이서(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움직임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설편(66)의 내주면(67)의 선단부에는 로크 갈고리(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갈고리(50)는 덮개 본체(52)를 폐쇄한 상태의 경우, 전지용 스페이서(2)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약간 연장되어 있어, 상기한 케이스 본체(10)의 외주 오목부(46)의 단차(48)와 걸림 결합한다.
또한, 로크를 해제하여 덮개 본체(52)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설편(66)을 전지용 스페이서(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인장하여, 로크 갈고리(50)와 외주 오목부(46)의 단차(48)의 걸림 결합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로크는 해제되고, 덮개 본체(52)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본체(52)의 정상벽(54)의 중앙에는, 중앙 관통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 관통 구멍(72)에는 정극 중계 단자(56)가 장착되어 있다.
정극 중계 단자(56)는 단차를 갖는 금속제의 주상체이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한 금속제의 주상체로서는, 예를 들어 표면에 니켈 도금이 실시된 철을 포함하는 주상체가 사용된다. 여기서, 정극 중계 단자(56)는 덮개 본체(52)의 정상벽(54)의 내면(84)에 위치 부여되는 내부 정극 단자부(74)와, 덮개 본체(52)의 정상벽(54)의 정상면(89)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부 정극 단자부(76)와, 이들 내부 정극 단자부(74)와 외부 정극 단자부(76) 사이에 위치하는 직경 축소부(78)를 포함하고 있다.
내부 정극 단자부(74)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정극 단자 부재(56) 중에서 외경 치수가 가장 큰 부분이며, 케이스 본체(10)에 수용된 전지(3)의 정극 단자(5)와 맞닿는다. 또한, 내부 정극 단자부(74)에 있어서, 전지(3)의 정극 단자(5)와 맞닿는 면을 단자 접촉면(80)이라 칭한다.
외부 정극 단자부(76)는 내부 정극 단자부(74)의 부분보다도 작은 외경 치수를 갖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지용 스페이서(2)가 전기 기기의 전지실에 장전되었을 때에 전기 기기의 전지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정극측 접촉자와 접촉한다. 또한, 외부 정극 단자부(76)는 선단을 향하여 약간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
직경 축소부(78)는 내부 정극 단자부(74) 및 외부 정극 단자부(76)를 연결하는 부분임과 함께 덮개 본체(52)의 중앙 관통 구멍(72)에 걸림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 직경 축소부(78)의 외경 치수는, 중앙 관통 구멍(72)의 내경 치수와 대략 동일하고, 또한, 외부 정극 단자부(76)의 최대의 외경 치수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 치수를 갖고 있다.
정극 중계 단자(56)를 덮개 본체(52)에 장착할 때, 먼저, 외부 정극 단자부(76)가 덮개 본체(52)의 정상벽(54)의 중앙 관통 구멍(72)에, 정상벽(54)의 내면(84)측으로부터 압입된다. 외부 정극 단자부(76)는 중앙 관통 구멍(72)을 약간 직경 확대하면서 삽입되어 간다. 그리고, 외부 정극 단자부(76)가 정상벽(54)의 외측으로 완전히 돌출되었을 때, 직경 축소부(78)가 중앙 관통 구멍(72)과 끼워 맞춰짐과 함께, 내부 정극 단자부(74)의 직경 확대부(82)의 상면이 정상벽(54)의 내면(84)에 있어서의 중앙 관통 구멍(72)의 주연과 밀착된다. 이에 의해 정극 중계 단자(56)는 덮개 본체(52)에 장착된다.
또한, 덮개 본체(52)의 정상벽(54)의 내면(84)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정극 단자부(74)를 둘러싸도록 원환 형상의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88)는 덮개 본체(52)를 폐쇄하였을 때에 수용 케이스(4)의 내부, 즉, 수용되는 전지(3)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88)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3)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내부 정극 단자부(74)의 단자 접촉면(80)으로부터 돌출부(88)의 선단(90)까지의 길이(돌출 길이) h가, 수용되는 전지(3)의 정극 단자(5)의 축선을 따른 방향의 길이, 즉 전지(3)의 정극 단자(5)의 선단으로부터 전지(3)의 견부(9)까지의 길이 H보다도 짧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88)의 직경 R은, 수용되는 전지(3)의 정극 단자(5)의 직경 r보다도 크고, 또한, 수용되는 전지(3)의 직경 S보다도 작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케이스 본체(10) 및 덮개 본체(52)가 힌지(6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형상의 중간 제품을,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한다. 얻어진 중간 제품에, 상기한 부극 중계 단자(14) 및 정극 중계 단자(56)를 상기한 수순으로 설치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용 스페이서(2)가 얻어진다.
얻어진 전지용 스페이서(2)는,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8)가 개방되고, 수용 케이스(4)의 개구(6)로부터 단3형의 전지(3)가 삽입된다. 이때, 전지(3)는 부극 단자(7)측으로부터 수용 케이스(4)에 삽입된다. 그 후, 덮개부(8)가 폐쇄되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용 스페이서(2) 내에 단3형의 전지(3)가 부극 단자(7)를 저벽(12)측에 위치 부여되도록 하여 수용된 상태로 된다. 수용된 전지(3)는 수용 케이스(4) 내의 제1 홀드판(18), 제2 홀드판(20), 제3 홀드판(22) 및 제4 홀드판(24)에 보유 지지된다. 이때, 수용된 전지(3)의 축선과 전지용 스페이서(2)의 축선은 대략 일치하고, 전지(3)는 전지용 스페이서(2)의 중앙에 위치 부여된다. 그리고, 전지(3)의 부극 단자(7)는 수용 케이스(4)의 저벽(12)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부극 단자부(32)와 맞닿는다. 내부 부극 단자부(32)는 외부 부극 단자부(34)와 연결되므로, 전지(3)의 부극 단자(7)와 전지용 스페이서(2)의 외부 부극 단자부(34)는 도통하여, 동일 전위로 된다. 또한, 내부 부극 단자부(32)는 스프링성을 갖고 있어, 전지(3)를 덮개부(8)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에 의해, 전지(3)의 정극 단자(5)는 덮개 본체(52)의 내부 정극 단자부(74)와 맞닿는다. 내부 정극 단자부(74)는 외부 정극 단자부(76)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지(3)의 정극 단자(5)와 전지용 스페이서(2)의 외부 정극 단자부(76)는 도통하여, 동일 전위로 된다.
여기서, 전지(3)의 부극 단자(7)가 수용 케이스(4)의 저벽(12)측에, 전지(3)의 정극 단자(5)가 덮개부(8)측에 위치하는 정규의 방향으로 전지(3)가 수용되어 있으면, 덮개 본체(52)의 정상벽(54)에 형성된 돌출부(88)는 전지(3)의 정극 단자(5)의 주위의 견부(9)에 맞닿는 일은 없고, 전지(3)의 정극 단자(5)와 내부 정극 단자부(74)의 단자 접촉면(80)은 양호하게 접촉한다.
이와 같은 상태의 전지용 스페이서(2)는, 전기 기기의 전지실에 장전되어, 외부 부극 단자부(34)가 전지실 내의 부극측 접촉자와 접촉하고, 외부 정극 단자부(76)가 전지실 내의 정극측 접촉자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당해 전기 기기가 구동된다. 즉, 단1형의 전지로 사이즈의 변환이 행해진 단3형의 전지(3)에 의해, 단1형의 전지용의 전기 기기를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단3형의 전지(3)를 정규의 방향과는 역의 방향, 즉, 정극 단자(5)가 수용 케이스(4)의 저벽(12)측, 부극 단자(7)가 덮개부(8)측에 위치 부여되는 방향으로 전지용 스페이서(2)에 오삽입된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3)의 정극 단자(5)는 케이스 본체(10)의 저벽(12)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부극 단자부(32)와 맞닿는다. 그리고, 내부 부극 단자부(32)는 스프링성을 가지므로, 전지(3)를 덮개부(8)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덮개부(8)의 내부 정극 단자부(74)의 주위에는, 원환 형상의 돌출부(88)가 존재하고 있고, 이 돌출부(88)의 직경 R은 단3형의 전지(3)의 직경 S보다도 작으므로, 압박된 전지(3)에 있어서는, 부극 단자(7)측의 단부면부(11)가 돌출부(88)의 선단(90)과 맞닿는다. 여기서, 덮개부(8)의 내부 정극 단자부(74)의 단자 접촉면(80)은, 돌출부(88)의 선단(90)보다도 길이 h만큼 들어간 위치에 있고, 게다가, 전지(3)에 있어서, 부극 단자(7)는 단부면부(11)와 대략 동일한 높이이며 부극 단자(7)의 높이는 상기한 길이 h보다도 짧으므로, 전지(3)의 부극 단자(7)와 내부 정극 단자부(74)가 접촉하는 것은 방지된다.
이 때문에, 유저가 단3형의 전지(3)를 정규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전지용 스페이서(2)에 오삽입하고, 이 오삽입을 알아차리지 못한 채 전지용 스페이서(2)를 전기 기기의 전지실에 장전하였다고 해도, 전기 기기 내에 정규와는 역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것은 방지할 수 있어, 전기 기기가 고장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88)를 원환 형상으로 하였지만, 돌출부(88)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소편 돌기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이 소편 돌기의 개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때, 돌출부(88)로서의 소편 돌기는, 수용되는 전지(3)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내부 정극 단자부(74)의 단자 접촉면(80)으로부터 소편(돌출부)의 선단(90)까지의 길이(돌출 길이) h가, 수용되는 전지(3)의 정극 단자(5)의 축선을 따른 방향의 길이 H보다도 짧고, 수용되는 전지(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전지(3)의 정극 단자(5)보다도 외측이며 전지(3)의 외주면보다도 내측으로 되는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용 스페이서(2)의 사이즈를 단1형의 전지와 동일 사이즈로 하고, 수용하는 전지를 단3형의 전지(3)로 하였지만, 전지용 스페이서(2) 및 수용되는 전지(3)의 사이즈의 조합은 이들 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조합을 채용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전지용 스페이서(2)의 사이즈가 단1형이며, 수용되는 전지(3)가 단2형인 조합, 전지용 스페이서(2)의 사이즈가 단1형이며, 수용되는 전지(3)가 단4형인 조합, 전지용 스페이서(2)의 사이즈가 단2형이며, 수용되는 전지(3)가 단4형인 조합, 전지용 스페이서(2)의 사이즈가 단3형이며, 수용되는 전지(3)가 단4형인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2 : 전지용 스페이서
3 : 전지
4 : 수용 케이스
6 : 개구
8 : 덮개부
10 : 케이스 본체
12 : 저벽
14 : 부극 중계 단자
52 : 덮개 본체
54 : 정상벽
56 : 정극 중계 단자
88 : 돌출부

Claims (3)

  1. 내부에 전지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전지 수용부와,
    상기 전지 수용부의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덮개부의 정상면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전지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에 맞닿는 정극 중계 단자와,
    상기 전지 수용부의 저부에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전지 수용부의 외측 저면에 노출됨과 함께 상기 전지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전지의 부극 단자에 맞닿는 부극 중계 단자
    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정극 중계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가 맞닿는 면보다도 상기 전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지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정극 중계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가 맞닿는 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의 길이보다도 짧고, 상기 전지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보다도 외측이며 상기 전지의 외주면보다도 내측으로 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지 수용부는, 상기 외측 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저부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저면에 걸쳐 관통하는 슬릿으로서, 상기 전지 수용부의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슬릿을 갖고,
    상기 부극 중계 단자는, 원판부,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원판부의 양측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띠 형상부를 포함하는 박판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는 상기 오목부에 위치 부여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띠 형상부는 상기 전지 수용부 내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부극 중계 단자의 상기 외측 저면에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전지 수용부의 상기 외측 저면에 있어서의 최하면보다도 들어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전지용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지의 정극 단자의 직경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전지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전지용 스페이서.
  3. 삭제
KR1020187011282A 2015-09-29 2016-08-18 전지용 스페이서 KR102110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1559 2015-09-29
JP2015191559A JP2017068975A (ja) 2015-09-29 2015-09-29 電池用スペーサー
PCT/JP2016/074132 WO2017056772A1 (ja) 2015-09-29 2016-08-18 電池用スペーサ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404A KR20180053404A (ko) 2018-05-21
KR102110058B1 true KR102110058B1 (ko) 2020-05-12

Family

ID=5842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282A KR102110058B1 (ko) 2015-09-29 2016-08-18 전지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35848B2 (ko)
EP (1) EP3358642B1 (ko)
JP (1) JP2017068975A (ko)
KR (1) KR102110058B1 (ko)
CN (1) CN108140772B (ko)
AU (3) AU2016331337A1 (ko)
SG (1) SG11201802521TA (ko)
TW (1) TWI707497B (ko)
WO (1) WO201705677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376B2 (ja) 1991-08-03 2000-07-04 ヴィーラント ウェルケ アクチーエン ゲゼルシャフト 析出性の、およびまたは応力敏感性の、およびまたは偏析性の銅合金のストリップ鋳造法
JP2002063879A (ja) 2000-08-22 2002-02-28 Asahi Denki Kasei Kk 電池アダプタケース
JP2011054316A (ja) 2009-08-31 2011-03-17 Funai Electric Co Ltd 電池ホルダー
WO2013014785A1 (ja) * 2011-07-28 2013-01-31 大作商事株式会社 乾電池スペーサ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919A (en) * 1974-12-31 1976-11-09 Krueger Ralph A Battery adapter
JPH0430775Y2 (ko) * 1986-05-29 1992-07-24 Asahi Optical Co Ltd
JPH0367457A (ja) * 1989-08-04 1991-03-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接続装置
JPH0658550A (ja) 1992-08-11 1994-03-01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JPH0658550U (ja) * 1992-10-19 1994-08-12 哲 藤倉 乾電池のサイズ変換プラグ
JP3039798U (ja) * 1997-01-20 1997-07-31 有限会社西原製作所 電池アダプタケース
JP3058376U (ja) * 1998-10-12 1999-06-18 茂弘 梅枝 筒形電池の負極構造
JP4780598B2 (ja) * 2004-09-29 2011-09-28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密閉角形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376B2 (ja) 1991-08-03 2000-07-04 ヴィーラント ウェルケ アクチーエン ゲゼルシャフト 析出性の、およびまたは応力敏感性の、およびまたは偏析性の銅合金のストリップ鋳造法
JP2002063879A (ja) 2000-08-22 2002-02-28 Asahi Denki Kasei Kk 電池アダプタケース
JP2011054316A (ja) 2009-08-31 2011-03-17 Funai Electric Co Ltd 電池ホルダー
WO2013014785A1 (ja) * 2011-07-28 2013-01-31 大作商事株式会社 乾電池スペー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7497B (zh) 2020-10-11
EP3358642A1 (en) 2018-08-08
CN108140772B (zh) 2020-11-10
AU2022201257B2 (en) 2023-07-06
SG11201802521TA (en) 2018-04-27
WO2017056772A1 (ja) 2017-04-06
US10535848B2 (en) 2020-01-14
US20180287107A1 (en) 2018-10-04
EP3358642B1 (en) 2023-10-04
AU2022201257A1 (en) 2022-03-17
TW201712926A (zh) 2017-04-01
CN108140772A (zh) 2018-06-08
AU2020201412A1 (en) 2020-03-19
EP3358642A4 (en) 2019-03-06
AU2016331337A1 (en) 2018-04-19
JP2017068975A (ja) 2017-04-06
KR20180053404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8476B2 (en) Sealed battery
JP2012124129A (ja) 電池
CA2846195C (en) Water resistant battery box
KR102110058B1 (ko) 전지용 스페이서
TWI654789B (zh) Battery number conversion container
JP2012216332A (ja) 電池受けの端子構造
JP2012195219A (ja) 安全弁及び安全弁を備えた電池
JP2015008092A (ja) 電池
JP2007273110A (ja) 扁平形電池
CN112291671B (zh) 充电盒和耳机组件
JP2012195218A (ja) 安全弁及び安全弁を備えた電池
WO2013014785A1 (ja) 乾電池スペーサー
JP2017120744A (ja) 蓄電素子
US2014013507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replacement structure for uninterrupted power
KR101828126B1 (ko) 캡 조립체
CN216354458U (zh) 纽扣电池壳及纽扣电池
CN210403806U (zh) 一种电池盒和使用电池供电的装置
JP2019016472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0100407A (ja) 円筒型電池
JP2018129207A (ja) 車両側コネクタ
JPH11126592A (ja) 電池のカセットケース
JP3027612U (ja) 電池室
JP2015197972A (ja) 蓄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74567Y1 (ko)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방지용 충전단자구조
JP2003257400A (ja) 密閉型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