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429B1 -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 Google Patents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429B1
KR102109429B1 KR1020180172221A KR20180172221A KR102109429B1 KR 102109429 B1 KR102109429 B1 KR 102109429B1 KR 1020180172221 A KR1020180172221 A KR 1020180172221A KR 20180172221 A KR20180172221 A KR 20180172221A KR 102109429 B1 KR102109429 B1 KR 102109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beam
receiver
gear
hitch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성
이상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7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collapsible or retractable when not in use, e.g. hide-away h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48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ounted by means of transversal members attached to the frame of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는, 차체 후방의 사이드 멤버에 차폭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백빔 본체와, 백빔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백빔 커버를 가진 범퍼 백빔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ⅰ)범퍼 백빔의 내부 공간에서 백빔 커버를 관통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백빔 본체에 설치되는 히치 리시버와, ⅱ)내부 공간에서 백빔 본체에 설치되며, 히치 리시버에 전후진 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TRAILER HITCH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과 트레일러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 구조물과 트레일러를 연결하기 위한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캠핑, 레저 등의 여가 생활을 즐기는 트랜드 변화에 따라, 지상고가 높은 차량, 즉 SUV(Sports Utility Vehicle, 스포츠 유틸리티 비어클), RV(Recreational Vehicle, 레크레이셔널 비어클)와 같이 레져와 스포츠를 겸할 수 있는 왜건형 차량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왜건형 차량은 트레일러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서, 차량 후방의 범퍼 하단 또는 범퍼 백빔에 트레일러 히치를 장착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의 예들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는 일 예로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멤버에 결합된 범퍼 백빔(1)에 히치 리시버(3)를 히치 브라켓(5)을 통해 볼트 체결하며, 그 히치 브라켓(5)을 양측 연결 바(7)를 통해 사이드 멤버에 볼트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히치 연결 구조체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치 리시버(3)를 복수 개의 히치 브라켓(5)들을 통해 범퍼 백빔(1)에만 볼트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서는 히치 리시버(3)를 연결 바(7)를 통해 사이드 멤버에 볼트 체결하거나 히치 브라켓(5)들을 통해 히치 리시버(3)를 범퍼 백빔(1)에 볼트 체결하기 때문에, 히치 리시버(3)를 장착하거나 분리하기에 불편하고, 구성 품들을 별도 관리해야 하는 단점들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트레일러 히치 조립성 및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히치 리시버를 범퍼 백빔에 전동 식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는, 차체 후방의 사이드 멤버에 차폭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백빔 본체와, 상기 백빔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백빔 커버를 가진 범퍼 백빔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ⅰ)상기 범퍼 백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백빔 커버를 관통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백빔 본체에 설치되는 히치 리시버와, ⅱ)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백빔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히치 리시버에 전후진 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백빔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축과 상기 히치 리시버를 기어 연결하며, 상기 구동 축의 회전 운동을 전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어 연결부는 상기 구동 축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히치 리시버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는, 차체 후방의 사이드 멤버에 차폭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백빔 본체와, 상기 백빔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백빔 커버를 가진 범퍼 백빔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ⅰ)상기 범퍼 백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백빔 커버에 구비된 관통 홀을 관통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백빔 본체에 설치되는 히치 리시버와, ⅱ)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백빔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 홀과 연결되며, 상기 히치 리시버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리시버 가이드와, ⅲ)상기 리시버 가이드를 통해 상기 히치 리시버와 연결되며, 상기 히치 리시버에 전후진 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가이드는 전후 단이 개방된 사각 함체로 구비되며, 내측 상하 면에는 상기 히치 리시버를 안내하는 안내 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히치 리시버는 상기 범퍼 백빔의 외측에서 상기 백빔 커버를 지지하며, 리시브 홀을 형성하고 있는 리시버 바디부와, 상기 리시버 바디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리시버 가이드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는 구동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바디부는 상기 백빔 커버의 관통 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시브 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범퍼 백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백빔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축과 상기 구동 전달부를 기어 연결하며, 상기 구동 축의 회전 운동을 전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어 연결부는 상기 리시버 가이드의 측방에서 상기 리시버 가이드를 관통한 상기 구동 축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전달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리시버 가이드의 내측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 기어를 평면적으로 지지하는 기어 지지 단과, 상기 기어 지지 단에 대응하는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시버 가이드의 내측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 기어를 형성하는 기어 결합 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기어 지지 단과 기어 결합 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백빔 본체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히치 리시버를 범퍼 백빔에 전동 식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트레일러 히치 조립성 및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히치 연결 구조체의 구성 품을 별도 관리할 필요가 없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히치 연결 구조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적용되는 히치 리시버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적용되는 구동유닛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100)는 SUV 차량 또는 RV 차량 등과 같은 왜건 차량의 후방부에 트레일러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100)는 차량의 범퍼 백빔(10)에 구성되며, 그 범퍼 백빔(10)을 통해 트레일러를 차량의 후방 측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범퍼 백빔(10)은 차체 후방의 사이드 멤버(S)에 차폭을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바, 그 사이드 멤버(S)에 체결되는 백빔 본체(11)와, 백빔 본체(11)의 후방 측에 체결되며 그 백빔 본체(11)와의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백빔 커버(13)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범퍼 백빔(10)은 이하에서 설명될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백빔 본체(11)와 백빔 커버(13)의 결합으로 폐 구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범퍼 백빔(10)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각종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 하우징, 칼라, 로드, 및 블록 등과 같은 각종 부속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각종 부속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될 구성요소들을 범퍼 백빔(10)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요소들을 범퍼 백빔(10)으로 통칭한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서는 차체 길이방향(조립 이송방향)을 T 방향, 차폭 방향을 L 방향, 차체의 높이방향을 H 방향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LTH 방향을 기준방향으로 설정하지 않고,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차폭 및 상하 방향을 기준방향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트레일러 히치 조립성 및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히치 리시버를 범퍼 백빔에 전동 식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한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100)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100)는 기본적으로, 히치 리시버(20), 리시버 가이드(40) 및 구동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히치 리시버(20)는 후크와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트레일러의 전방 구조체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범퍼 백빔(10)의 내부 공간에서 백빔 커버(13)를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백빔 본체(11)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백빔 커버(13)에는 히치 리시버(20)가 관통하는 관통 홀(1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히치 리시버(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백빔(10)의 내부 공간에서 백빔 커버(13)의 관통 홀(15)을 통해 관통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평상 시 히치 리시버(20)는 백빔 커버(13)의 관통 홀(15) 가장자리 면을 지지하며, 트레일러 히치 연결 시 히치 리시버(20)는 관통 홀(15)을 통해 백빔 커버(13)의 후방 측으로 이동하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히치 리시버(20)는 리시버 바디부(21)와 구동 전달부(2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리시버 바디부(21)는 범퍼 백빔(10)의 외측에서 백빔 커버(13)의 관통 홀(15) 가장자리 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연결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리시브 홀(22)을 형성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리시버 바디부(21)는 백빔 커버(13)의 관통 홀(15) 가장자리 면을 지지하는 제1 부분(23)과, 제1 부분(23)에서 전후 방향(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한 리시브 홀(22)을 형성하고 있는 제2 부분(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 전달부(25)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구동유닛(60)과 연결되는 것으로, 리시버 바디부(21)와 일체로 연결되고, 백빔 커버(13)의 관통 홀(15)을 관통하여 범퍼 백빔(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동 전달부(25)의 상세 구성은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리시버 가이드(40)는 히치 리시버(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범퍼 백빔(10)의 내부 공간에서 백빔 본체(1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리시버 가이드(40)는 범퍼 백빔(10)의 내부 공간에서 구비되며, 그 범퍼 백빔(10)의 강성 및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리시버 가이드(40)는 전후 단이 개방된 사각 함체로 구비되며, 백빔 커버(13)의 관통 홀(15)과 연결된다. 상기 리시버 가이드(40)의 내측 상하 면에는 히치 리시버(20)를 안내하는 안내 면(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치 리시버(20)의 구동 전달부(25)는 리시버 가이드(4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안내 면(41)을 통해 리시버 가이드(4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에 적용되는 구동유닛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구동유닛(60)은 히치 리시버(20)에 대해 전후진 전동력(작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동유닛(60)은 범퍼 백빔(10)의 내측 공간에서 리시버 가이드(40)를 통해 히치 리시버(20)의 구동 전달부(25)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유닛(60)은 구동 모터(61)와 기어 연결부(6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 모터(61)는 범퍼 백빔(10)의 내측 공간에서 백빔 본체(1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 모터(61)는 백빔 본체(11)에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구동 모터(61)는 전기적인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공지 기술의 서보 모터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 연결부(65)는 리시버 가이드(40)의 내측에서 구동 모터(61)의 구동 축(63)과 히치 리시버(20)의 구동 전달부(25)를 기어 연결하며, 그 구동 축(63)의 회전 운동을 히치 리시버(20)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기어 연결부(65)는 구동 기어(67)와 랙 기어(6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 기어(67)는 리시버 가이드(40)의 측방에서 그 리시버 가이드(40)의 내측으로 관통한 구동 모터(61)의 구동 축(63)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 기어(67)는 원형의 피니언 기어로 구비된다.
상기 랙 기어(69)는 히치 리시버(20)의 구동 전달부(25)에 일체로 구비되며, 리시버 가이드(40)의 내측에서 구동 기어(67)와 치합된다.
여기서, 상기한 히치 리시버(20)의 구동 전달부(25)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리시버 바디부(21)와 일체로 연결되는 바, 기어 지지 단(27)과 기어 결합 단(29)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기어 지지 단(27)은 리시버 가이드(40)의 내측 상면 즉, 상측 안내 면(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 기어(67)를 평면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 결합 단(29)은 기어 지지 단(27)과 대면(대응)하는 하측에 구비되고, 리시버 가이드(40)의 내측 하면 즉, 하측 안내 면(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 기어(67)와 치합되는 랙 기어(69)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구동 기어(67)는 기어 지지 단(27)과 기어 결합 단(29) 사이에 배치되며, 기어 지지 단(27)의 평면을 지지하고, 기어 결합 단(29)의 랙 기어(69)와 치합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100)의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평상 시, 히치 리시버(20)는 백빔 커버(13)의 관통 홀(15)을 통해 전방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으며, 그 히치 리시버(20)의 리시버 바디부(21)는 제1 부분(23)을 통해 백빔 커버(13)의 관통 홀(15) 가장자리 면을 지지하고 있다. 즉, 상기 히치 리시버(20)의 구동 전달부(25)는 관통 홀(15)을 통해 백빔 본체(11)와 백빔 커버(13) 사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구동유닛(60)의 구동 모터(61)에서 구동 축(63)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다. 이에 상기 구동 전달부(25)에서 기어 연결부(65)의 랙 기어(69)에 구동 축(63)의 구동 기어(67)가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히치 리시버(20)는 구동 축(63)의 회전으로 구동 전달부(25)의 기어 지지 단(27) 및 기어 결합 단(29)이 리시버 가이드(40)의 안내 면(41)을 따라 전방 측으로 안내되면서 전방 측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트레일러를 히치 리시버(20)와 히치 연결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 모터(61)에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 축(63)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기어 연결부(65)의 구동 기어(67)가 구동 전달부(25)에서의 랙 기어(69)에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축(63)에 의한 구동 기어(67)의 회전으로 구동 전달부(25)의 기어 지지 단(27) 및 기어 결합 단(29)이 리시버 가이드(40)의 안내 면(41)을 따라 전방 측으로 안내되면서, 히치 리시버(20)는 관통 홀(15)을 통해 백빔 커버(13)의 후방 측으로 이동하며 돌출된다.
즉, 상기 히치 리시버(20)의 구동 전달부(25)가 백빔 본체(11)와 백빔 커버(13)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그 백빔 커버(13)의 관통 홀(15)을 통해 후방 측으로 이동되면서 리시버 바디부(21)는 백빔 커버(13)의 후방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후크와 같은 연결수단을 리시버 바디부(21)의 리시브 홀(22)에 연결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트레일러의 전방 구조체와 차량의 범퍼 백빔(10)을 연결수단을 통해 히치 연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트레일러의 히치 연결 시, 구동유닛(60)을 통해 히치 리시버(20)를 범퍼 백빔(10)에서 전동 식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히치 리시버(20)를 범퍼 백빔(10)에 전동 식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트레일러 히치 조립성 및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히치 연결 구조체의 구성 품을 별도 관리할 필요가 없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히치 연결 구조체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차체의 중량 저감 및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캠핑, 레저 등의 여가 생활을 즐기는 트랜드 변화에 따른 왜건형 차량의 판매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범퍼 백빔 11: 백빔 본체
13: 백빔 커버 15: 관통 홀
20: 히치 리시버 21: 리시버 바디부
22: 리시브 홀 23: 제1 부분
24: 제2 부분 25: 구동 전달부
27: 기어 지지 단 29: 기어 결합 단
40: 리시버 가이드 41: 안내 면
60: 구동유닛 61: 구동 모터
63: 구동 축 65: 기어 연결부
67: 구동 기어 69: 랙 기어
S: 사이드 멤버 100: 히치 연결 구조체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체 후방의 사이드 멤버에 차폭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백빔 본체와, 상기 백빔 본체에 결합되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백빔 커버를 가진 범퍼 백빔에 구성되는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로서,
    상기 범퍼 백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백빔 커버에 구비된 관통 홀을 관통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백빔 본체에 설치되는 히치 리시버;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백빔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 홀과 연결되며, 상기 히치 리시버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리시버 가이드; 및
    상기 리시버 가이드를 통해 상기 히치 리시버와 연결되며, 상기 히치 리시버에 전후진 전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히치 리시버는, 상기 범퍼 백빔의 외측에서 상기 백빔 커버를 지지하며 리시브 홀을 형성하고 있는 리시버 바디부와, 상기 리시버 바디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리시버 가이드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는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범퍼 백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백빔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 축과 상기 구동 전달부를 기어 연결하며 상기 구동 축의 회전 운동을 전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연결부는, 상기 리시버 가이드의 측방에서 상기 리시버 가이드를 관통한 상기 구동 축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 전달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하는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리시버 가이드의 내측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 기어를 평면적으로 지지하는 기어 지지 단과, 상기 기어 지지 단에 대응하는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시버 가이드의 내측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랙 기어를 형성하는 기어 결합 단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가이드는,
    전후 단이 개방된 사각 함체로 구비되며, 내측 상하 면에는 상기 히치 리시버를 안내하는 안내 면이 형성되는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6. 삭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바디부는,
    상기 백빔 커버의 관통 홀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시브 홀을 형성하고 있는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기어 지지 단과 기어 결합 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백빔 본체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KR1020180172221A 2018-12-28 2018-12-28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KR102109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21A KR102109429B1 (ko) 2018-12-28 2018-12-28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221A KR102109429B1 (ko) 2018-12-28 2018-12-28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429B1 true KR102109429B1 (ko) 2020-05-12

Family

ID=7067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221A KR102109429B1 (ko) 2018-12-28 2018-12-28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0144B2 (en) * 2016-09-30 2022-01-11 Westfalia-Automotive Gmbh Trailer coupling having a tension anch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6430A1 (en) * 2004-02-13 2007-05-03 Martinrea International Inc. Hitch assembly
US7497458B2 (en) * 2006-03-24 2009-03-03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Power retractable trailer hitch
US9981516B1 (en) * 2015-04-15 2018-05-29 Felipe J. Alvarez Automatic ejecting and retracting trailer hi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6430A1 (en) * 2004-02-13 2007-05-03 Martinrea International Inc. Hitch assembly
US7497458B2 (en) * 2006-03-24 2009-03-03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Power retractable trailer hitch
US9981516B1 (en) * 2015-04-15 2018-05-29 Felipe J. Alvarez Automatic ejecting and retracting trailer hi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0144B2 (en) * 2016-09-30 2022-01-11 Westfalia-Automotive Gmbh Trailer coupling having a tension anch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24525A (en) Step unit for motor vehicles
CN106184401A (zh) 后部车身加强结构
GB2453503A (en) Front portion for a motor vehicle
KR102109429B1 (ko) 트레일러 히치 연결 구조체
KR102586934B1 (ko)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KR102660343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US4353589A (en) Air permeable closure assembly
KR20130066345A (ko) 차량용 히치리시버 장치
US10434925B2 (en) Electric moving device for vehicles
JP4478118B2 (ja) 車両の後部ドア構造
CN1727271B (zh) 具有一个纵向延伸型材的盒外壳
JP4914586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2006315572A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GB2510668A (en) Hollow cross member for vehicle with receptacle for bonnet lock
KR20030092629A (ko)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 어셈블리
CN109591896B (zh) 后机舱框架结构和具有其的车辆
KR20070049408A (ko) 익스텐디드 테일게이트 차체구조
JP6446096B1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
KR100521603B1 (ko) 자동차 에프이엠 캐리어의 차체 마운팅 구조
JP6202122B2 (ja) 格納ルーフ付き自動車用の上部車体構造
KR101622933B1 (ko) 자동차 적재함의 길이 조절장치
US8024893B2 (en) Powered slider drive interface and drive assembly
CN218949321U (zh) 一种可电控前后移动的多功能副仪表板
CN219856701U (zh) 牵引钩安装结构和配备有该牵引钩安装结构的车辆
CN115703512A (zh) 前部组件、前部集成式移动装置及其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