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948B1 -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948B1
KR102108948B1 KR1020180077812A KR20180077812A KR102108948B1 KR 102108948 B1 KR102108948 B1 KR 102108948B1 KR 1020180077812 A KR1020180077812 A KR 1020180077812A KR 20180077812 A KR20180077812 A KR 20180077812A KR 102108948 B1 KR102108948 B1 KR 102108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value
actuator
value
current position
vehicl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662A (ko
Inventor
노은정
차사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7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9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60G17/018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for failur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camb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은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에서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한 오프셋(Offset) 보정 동작 구간을 수행할 시에,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식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Vehicle failure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vehicle failure discrimination method}
본 발명은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는 차량 선회 시에, 캠버의 각도를 조절하여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일예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KR 10-2006-0057317(2006.05.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량 선회 시에 내측과 외측에 위치한 차륜에 대한 캠버의 각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지력을 증대시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액티브 캠버 컨트롤 시스템은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고,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과전류 발생을 방지하는데에 한계가 있었으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KR 10-2006-0057317(2006.05.26)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과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한 오프셋(Offset) 보정 동작 구간을 완료한 후에,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상기 산출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을 상기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이거나,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은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상기 최대값인 상태이거나,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은 상태이면,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abnormal)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감지부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온(ON) 동작 후에, 액추에이터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수행하는 동안,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식별부는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액추에이터에서 오프(Off) 동작하도록 액추에이터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한 오프셋(Offset) 보정 동작 구간을 완료한 후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을 상기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이거나,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은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상기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이거나,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은 상태이면,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abnormal)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온(ON) 동작 후에, 액추에이터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수행하는 동안,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고;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액추에이터에서 오프(Off) 동작하도록 액추에이터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은,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은,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과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은,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임을 판단하고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를 식별부에 인가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임을 판단하고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를 식별부에 인가하는 상태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임을 판단하고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를 식별부에 인가하는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임을 판단하고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를 식별부에 인가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임을 판단하고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를 식별부에 인가하는 상태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어부에서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임을 판단하고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식별 신호를 식별부에 인가하는 상태를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는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식별부(106)를 포함한다.
감지부(102)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10a)에서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한 오프셋(Offset) 보정 동작 구간을 수행할 시에,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을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감지한다.
제어부(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식별부(106)는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킨다.
이때, 제어부(106)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Off) 동작하도록 액추에이터(10a)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일예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의 감지부(102)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후에,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t1~t3)을 수행하는 동안,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을 감지할 수가 있다.
이때, 감지부(102)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후에,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t1~t3)중 오프셋 보정을 완료하는 시점(t2~t3) 동안,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을 감지할 수가 있다.
제어부(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4)는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원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 거리(S1)인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원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 거리(S1)인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전에,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이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104)는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원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 거리(S1)인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전에,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이미 마모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식별부(106)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식별부(106)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t1~t3)중 오프셋 보정을 완료하는 시점(t2~t3) 동안,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104)로부터 식별 신호(IS1)를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식별부(106)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t1~t3)중 오프셋 보정을 완료하는 시점(t2~t3) 동안,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마모된 상황임을 제어부(104)로부터 식별 신호(IS1)를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 동작하도록 액추에이터(10a)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는 감지부(102)와 산출부(103) 및 제어부(104)와 식별부(106)를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2)는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완료한 후에,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2, P3)을 감지할 수가 있다.
이때, 감지부(102)는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완료한 후에, 액추에이터(10a)에서 ACC(Active Camber Contorl)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4~t6, t7~t9) 동안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2, P3)을 감지할 수가 있다.
산출부(103)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2, P3)을 목표 위치값(TP2, TP3)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산출할 수가 있다.
이때, 산출부(103)는 액추에이터(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4~t6, t7~t9) 동안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2, P3)을 목표 위치값(TP2, TP3)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산출할 수가 있다.
제어부(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2, P3)이 목표 위치값(TP2, TP3)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2, P3)이 목표 위치값(TP2, TP3)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TDC1, TDC2)인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일예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4)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1)인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1)중 최대값(MAX)인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4)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1)인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액추에이터(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4~t6) 동안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1)중 최대값(MAX)인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4~t6) 동안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1)중 최대값(MAX)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4)는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4~t6) 동안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1)중 최대값(MAX)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일측에 걸려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4)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2)인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2)중 최대값(MAX)보다 낮은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목표 구동 전류값(TDC2)은 최대값(MAX)보다 낮고 실제 구동 전류값(RDC1)보다 높을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4)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2)인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에, 액추에이터(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7~t9) 동안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2)중 최대값(MAX)보다 낮은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어부(104)는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7~t9) 동안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2)중 최대값(MAX)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중에,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4)는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7~t9) 동안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2)중 최대값(MAX)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중에,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마모된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식별부(106)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TDC1, TDC2)인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식별부(106)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TDC1)인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5~t6) 동안,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104)로부터 식별 신호(IS2)를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식별부(106)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TDC1)인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5~t6) 동안,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일측에 걸려 움직이지 않는 상황임을 제어부(104)로부터 식별 신호(IS2)를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06)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TDC2)인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8~t9) 동안,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중에,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104)로부터 식별 신호(IS3)를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식별부(106)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TDC2)인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8~t9) 동안,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중에,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마모된 상황임을 제어부(104)로부터 식별 신호(IS3)를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도 1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4)는 산출부(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TDC1, TDC2)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 동작하도록 액추에이터(10a)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도1의 100)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500)은 감지 단계(S502)와 판단 단계(S504) 및 제 1 식별 단계(S506)를 포함한다.
감지 단계(S502)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도1의 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한 오프셋(Offset) 보정 동작 구간을 수행할 시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한다.
판단 단계(S5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이 제어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제 1 식별 단계(S506)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가 이상(abnormal) 상황임을 제어부(도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1의 106)에서 식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도1의 100)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500)은 제어 단계(S5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어 단계(S508)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오프(Off) 동작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도1의 100)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600)은 감지 단계(S602a, S602b)와 판단 단계(S604) 및 제 1 식별 단계(S606)를 포함할 수가 있다.
감지 단계(S602a, S602b)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의 온(ON) 동작 후에(S602a),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도2의 t1~t3)을 수행하는 동안,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을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다(S602b).
이때, 감지 단계(S602a, S602b)는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의 온(ON) 동작 후에(S602a),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도2의 t1~t3)중 오프셋 보정을 완료하는 시점(도2의 t2~t3) 동안,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을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다(S602b).
판단 단계(S6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이 목표 위치값(도2의 TP1)이 아닌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판단 단계(S604)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이 원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 거리(도2의 S1)인 목표 위치값(도2의 TP1)이 아닌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판단 단계(S604)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이 원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 거리(도2의 S1)인 목표 위치값(도2의 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의 온(ON) 동작 전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이었던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 단계(S604)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이 원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한계 거리(도2의 S1)인 목표 위치값(도2의 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의 온(ON) 동작 전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이미 마모되어 있었던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1 식별 단계(S606)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이 목표 위치값(도2의 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도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1의 106)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 1 식별 단계(S606)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이 목표 위치값(도2의 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도2의 t1~t3)중 오프셋 보정을 완료하는 시점(도2의 t2~t3) 동안,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도1의 104)로부터 식별 신호(도2의 IS1)를 식별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식별 단계(S606)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이 목표 위치값(도2의 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도2의 t1~t3)중 오프셋 보정을 완료하는 시점(도2의 t2~t3) 동안,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마모된 상황임을 제어부(도1의 104)로부터 식별 신호(도2의 IS1)를 식별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도1의 100)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600)은 제어 단계(S6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어 단계(S608)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2의 P1)이 목표 위치값(도2의 TP1)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도1의 100)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700)은 감지 단계(S702)와 제 1 판단 단계(S704) 및 산출 단계(S706)와 제 2 판단 단계(S708), 제 3 판단 단계(S710), 제 4 판단 단계(S712) 및 제 1 식별 단계(S714)를 포함할 수가 있다.
감지 단계(S702)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완료한 후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3 및 도4의 P2, P3)을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다.
이때, 감지 단계(702)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완료한 후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ACC(Active Camber Contorl)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3 및 도4의 t4~t6, t7~t9) 동안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3 및 도4의 P2, P3)을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다.
제 1 판단 단계(S7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3 및 도4의 P2, P3)이 목표 위치값(도3 및 도4의 TP2, TP3)이 아닌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산출 단계(S706)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3 및 도4의 P2, P3)이 목표 위치값(도3 및 도4의 TP2, TP3)이 아닌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3 및 도4의 P2, P3)을 목표 위치값(도3 및 도4의 TP2, TP3)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제어부(도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산출부(도1의 103)에서 산출할 수가 있다.
이때, 산출 단계(S706)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3 및 도4의 t4~t6, t7~t9) 동안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현재 위치값(도3 및 도4의 P2, P3)을 목표 위치값(도3 및 도4의 TP2, TP3)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제어부(도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산출부(도1의 103)에서 산출할 수가 있다.
제 2 판단 단계(S708)는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삭제
여기서, 제 2 판단 단계(S708)는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때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3의 t4~t6) 동안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3 판단 단계(S710)는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3의 t4~t6) 동안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 3 판단 단계(S710)는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3의 t4~t6) 동안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일측에 걸려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2 판단 단계(S708)는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때에,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보다 낮은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목표 구동 전류값(도4의 TDC2)은 최대값(도4의 MAX)보다 낮고 실제 구동 전류값(도4의 RDC1)보다 높을 수가 있다.
여기서, 제 2 판단 단계(S708)는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인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때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4의 t7~t9) 동안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보다 낮은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때, 제 4 판단 단계(S712)는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4의 t7~t9) 동안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의 온(ON) 동작 중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 4 판단 단계(S712)는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4의 t7~t9) 동안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보다 낮은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중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마모된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1 식별 단계(S714)는 산출부(도1의 103)에 의해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제어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도3 및 도4의 TDC1, TDC2) 중 최대값인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도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1의 106)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제 1 식별 단계(S714)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3의 t5~t6) 동안,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도1의 104)로부터 식별 신호(도3의 IS2)를 식별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식별 단계(S714)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3의 t5~t6) 동안,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일측에 걸려 움직이지 않는 상황임을 제어부(도1의 104)로부터 식별 신호(도3의 IS2)를 식별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 1 식별 단계(S714)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4의 t8~t9) 동안,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의 온(ON) 동작 중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제어부(도1의 104)로부터 식별 신호(도4의 IS3)를 식별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식별 단계(S710)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ACC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도4의 t8~t9) 동안,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도1의 10)의 온(ON) 동작 중에, 액추에이터(도1의 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마모된 상황임을 제어부(도1의 104)로부터 식별 신호(도4의 IS3)를 식별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도1의 100)의 차량 고장 판별 방법(700)은 제어 단계(S7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어 단계(S716)는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서 오프 동작하도록 제어부(도1의 104)에서 액추에이터(도1의 10a)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는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산출부(103) 및 제어부(104)의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산출부(103) 및 제어부(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산출하기 위한 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일 수가 있다.
또한, 산출부(103) 및 제어부(104)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산출할 수 있는 모든 제어 수단과 판단 수단 및 산출 수단이면 가능하다.
또한, 감지부(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위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 P2, P3)을 감지할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마모된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액추에이터(10a)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마모된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일측에 걸려 움직이지 않는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고, 차륜의 자세 제어를 변경시키기 위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 각도 조절 부재(미도시)가 일측에 걸려 움직이지 않는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500)은 액추에이터(10a)에서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수행할 시에,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600)은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온(ON) 동작 후에,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t1~t3)중 오프셋 보정을 완료하는 시점(t2~t3) 동안,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이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700)은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완료한 후에, 액추에이터(10a)에서 ACC(Active Camber Contorl) 제어를 진행하는 시점(t4~t6, t7~t9) 동안,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2, P3)을 목표 위치값(TP2, TP3)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1, TDC2)인 상태이면,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가 이상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500, 600)은 액추에이터(10a)의 현재 위치값(P1)이 목표 위치값(TP1)이 아닌 상태이면,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 동작하도록 액추에이터(10a)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500, 600)은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과전류 발생을 방지하면서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700)은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목표 구동 전류값(TDC1, TDC2)이면, 액추에이터(10a)에서 오프 동작하도록 액추에이터(10a)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고장 판별 장치(100)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700)은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10)의 과전류 발생을 방지하면서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7)

  1.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한 오프셋(Offset) 보정 동작 구간을 완료한 후에,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상기 산출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을 상기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이거나,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은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상기 최대값인 상태이거나,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은 상태이면,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abnormal)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온(ON) 동작 후에,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오프(Off) 동작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8.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한 오프셋(Offset) 보정 동작 구간을 완료한 후에,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을 상기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이거나,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은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구동 전류값이 상기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인 상태이거나,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은 상태이면,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abnormal)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고장 판별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온(ON) 동작 후에,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오프셋 보정 동작 구간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가 이상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닌 상태이면, 상기 액추에이터에서 오프(Off) 동작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에 오프 명령을 더 전달하는 차량 고장 판별 방법.
  15.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니면,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을 상기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는 데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ACC 제어 중 상기 구동 전류값이 상기 최대값이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각도조절부재가 걸려 움직이지 않는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륜각도조절부재가 걸려 움직이지 않는 이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ACC 제어 중 상기 구동 전류값이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으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가 마모된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마모된 이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온(ON) 동작시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상기 액추에이터의 원점에서 이동할 수 없는 위치값이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가 이미 마모된 이상 상황으로 더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이미 마모된 이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이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를 더 오프시키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
  23. 액티브 캠버 컨트롤(Active Camber Control)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 고장 판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목표 위치값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이 상기 목표 위치값이 아니면, 상기 감지된 현재 위치값을 상기 목표 위치값으로 맞추는 데 필요한 구동 전류값을 설정된 목표 구동 전류값 중 최대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이상 상황을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 판단은, ACC 제어 중 상기 구동 전류값이 상기 최대값이면, 차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차륜각도조절부재가 걸려 움직이지 않는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 판단은, ACC 제어 중 상기 구동 전류값이 상기 최대값보다 낮고 실제 구동전류보다 높으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가 마모된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온(ON) 동작시 상기 액추에이터의 현재 위치값이 상기 액추에이터의 원점에서 이동할 수 없는 위치값인지를 더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값이 상기 원점에서 이동할 수 없는 위치값이면,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가 이미 마모된 이상 상황으로 더 판단하는 차량 고장 판별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황에서 상기 액티브 캠버 컨트롤 장치의 이상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를 더 오프시키는 차량 고장 판별 방법.
KR1020180077812A 2018-07-04 2018-07-04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KR10210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12A KR102108948B1 (ko) 2018-07-04 2018-07-04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812A KR102108948B1 (ko) 2018-07-04 2018-07-04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62A KR20200004662A (ko) 2020-01-14
KR102108948B1 true KR102108948B1 (ko) 2020-05-12

Family

ID=6915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812A KR102108948B1 (ko) 2018-07-04 2018-07-04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9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9778A (ja) * 2008-12-26 2010-07-08 Equos Research Co Ltd 車両
JP2017165340A (ja) 2016-03-17 2017-09-21 株式会社ショーワ 車高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493B1 (ko) * 2002-05-24 2007-06-2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현가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60057317A (ko) 2004-11-23 2006-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캠버 컨트롤 시스템
KR20170007007A (ko)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액티브 롤 스테빌라이저 장치 및 이의 고장 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9778A (ja) * 2008-12-26 2010-07-08 Equos Research Co Ltd 車両
JP2017165340A (ja) 2016-03-17 2017-09-21 株式会社ショーワ 車高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62A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203B1 (ko) 자율주행 제어시스템
KR102214332B1 (ko) 운전자 편의 시스템 및 운전자 편의 시스템에서 레이더 센서의 수직각도 이상 판정 방법
US20100060441A1 (en) Driving assist device for vehicle
US20190016332A1 (en) Smart parking system and parking track generation method thereof
KR101286377B1 (ko) 차선변경 과도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적응형 순항 제어 시스템
US9868422B2 (en) Control apparatus of brak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37956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method thereof
US10696296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KR101795240B1 (ko) 차량의 얼라인먼트 이상 경고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108948B1 (ko) 차량 고장 판별 장치 및 차량 고장 판별 방법
US9908516B2 (en) Brake control apparatus of vehicle and brak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40817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299490B1 (ko) 차선 유지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72161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39654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168684A (ja) 車線逸脱防止装置
KR101853781B1 (ko) 브레이크 페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00177A (ko) 전자식 부스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8709A (ko) Esc장치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195140A (ja) レーダシステム、物標検知プログラム、及び物標検知方法
JP2020006860A (ja) 車両制御装置
KR101486277B1 (ko) 차량의 제동 장치 및 그 제동 방법
JP2021089616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
KR101486230B1 (ko) 차량 자세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자세 제어 방법
KR20190061136A (ko) 후방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