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860B1 -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860B1
KR102108860B1 KR1020180013039A KR20180013039A KR102108860B1 KR 102108860 B1 KR102108860 B1 KR 102108860B1 KR 1020180013039 A KR1020180013039 A KR 1020180013039A KR 20180013039 A KR20180013039 A KR 20180013039A KR 102108860 B1 KR102108860 B1 KR 102108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base material
unit
processing
bear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429A (ko
Inventor
김익성
Original Assignee
한국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소재(주) filed Critical 한국소재(주)
Priority to KR102018001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8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03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9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solids as lubricant, e.g. dry coatings, pow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는 내부에 베어링 모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가공공간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가공공간에 수용된 베어링 모재를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방 부산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복수의 회수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거치유닛; 상기 가공공간 중 선택된 하나의 전방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베어링 모재에 복수의 삽입홀을 형성하는 드릴유닛; 상기 거치유닛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드릴유닛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거치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드릴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삽입홀에 고체 윤활제를 압입하는 압입유닛; 상기 고체 윤활제가 삽입된 베어링 모재의 내경 및 외경을 면가공하여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하는 표면 가공유닛; 및 상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수홀을 통과한 상기 부산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유닛의 하부에 설치된 회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OILLESS BEARING}
본 발명은 베어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 윤활제가 삽입되어 별도의 윤활제 급유를 필요로 하지 않은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할 수 있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ㅌ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기기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베어링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베어링은 크게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급유형 베어링과 수중, 고온, 저온환경 등과 같이 윤활유 공급이 어려운 환경이거나 급유로 인한 오염이 우려되는 경우 사용되는 무급유 베어링(Oilless bearing)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무급유 베어링은 그 형태에 따라 부시형(원통형) 무급유 베어링과 평판형 무급유 베어링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은 윤활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된 베어링 모재에 삽입홀에 대응되는 형상의 고체 윤활제가 삽입되어 마련된다.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선반 등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베어링 모재에 복수의 삽입홀을 형성한다.
이후, 베어링 모재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홀에 접착제가 도포된 고체 윤활제를 수작업으로 하나씩 압입시킨 후 접착제를 경화시킨 후, 베어링의 내경 및 외경을 면가공하여 매끈한 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급유 베어링 제조방법은 상당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조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접착제의 휘발성분 등에 오염된 환경에 작업자가 노출되어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삽입홀에 고체 윤활제를 압입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접착제의 휘발성분으로 인한 주변 환경 오염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488586 B1(2015. 05. 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변 환경을 개선하면서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는 내부에 베어링 모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가공공간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가공공간에 수용된 베어링 모재를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방 부산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복수의 회수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거치유닛; 상기 가공공간 중 선택된 하나의 전방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베어링 모재에 복수의 삽입홀을 형성하는 드릴유닛; 상기 거치유닛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드릴유닛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거치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드릴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삽입홀에 고체 윤활제를 압입하는 압입유닛; 상기 고체 윤활제가 삽입된 베어링 모재의 내경 및 외경을 면가공하여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하는 표면 가공유닛; 및 상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수홀을 통과한 상기 부산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유닛의 하부에 설치된 회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유닛은, 내부에 복수의 상기 베어링 모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공공간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자전하여 상기 가공공간에 수용된 베어링 모재를 이동시키는 원기둥 형상의 바디부; 및 각각의 상기 가공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 모재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공공간에 대응되는 갯수의 제1 가공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고정바디; 및 내부에 복수의 바디 플레이트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가공공간과 각각 연통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제2 가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기둥 형상의 회전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가공홀과 제2 가공홀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바디 자전시 각각의 상기 가공공간이 상기 고정바디 및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의해 외부와 단절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는, 각각의 제1 가공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공간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커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홀은, 상기 고정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회수홀; 및 상기 회전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회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면에 상기 베어링 모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모재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형의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대; 및 상기 거치홈에 안착된 베어링 모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상기 거치홈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 모재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베어링 모재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거치유닛의 천정에 고정되어 상기 거치대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고정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실린더는, 상기 베어링 모재의 상부와 접촉되는 타측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고정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회수홀을 통과한 상기 부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유닛의 저면에 결합된 회수탱크; 및 상기 회수탱크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가공공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회수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회수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닛은, 일측이 각각의 상기 회수공간에 연결되는 복수의 회수라인; 및 각각의 회수라인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수공간으로 상기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음압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회수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회수후드로 상기 부산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회수라인에 설치된 복수의 회수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정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이후 공정으로 이동되면서 자동으로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할 수 있어 수작업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조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급뷰 베어링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부산물을 회수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주변환경을 개선하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유닛과 회수유닛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바디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베어링 모재를 순차적으로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켜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하되, 제조과정 중에 발생되는 각종 부산물을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선별하여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은 환형관 형상의 베어링 모재(10)와 베어링 모재(10)에 소정간격 이격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11)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고체 윤활제(2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부시형 무급유 베어링은 베어링 모재(10)에 복수의 삽입홀(11)을 형성한 다음, 고체 윤활제(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각각의 삽입홀(11)에 삽입하여 경화시켜 일체화한 다음,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여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는 상기와 일련의 제조과정이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의 베어링 모재(10)가 수용되어 회전함에 따라 베어링 모재(10)를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거치유닛(100)과 거치유닛(100)을 중심으로 상기의 공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드릴유닛(200), 압입유닛(300), 표면 가공유닛(400)을 포함하며,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쇳조각, 접착제 등 부산물을 회수하도록 거치유닛 하부에 설치된 회수유닛(50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릴유닛(200)은 사전에 설정된 삽입홀(11) 사이 이격거리에 따라 승강되면서 베어링 모재(10)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홀(11)을 형성하며, 하나의 열에 삽입홀(11) 형성이 완료되면 거치유닛(100)이 베어링 모재(10)를 회전시키고 드릴유닛(200)은 이전에 삽입홀(11)이 형성된 열에 인접하는 열에 다시 복수의 삽입홀(11)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베어링 모재(10)에 복수의 삽입홀(11)을 형성한다.
압입유닛(300)은 상기와 같이 드릴유닛(200)에 의해 가공된 베어링 모재(10)의 각각의 삽입홀(11)에 접착제가 도포된 고체 윤활제(20)를 삽입하여 일체화시킨다.
이때, 압입유닛(300)은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드릴유닛(200)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나의 열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11)에 고체 윤활제(20) 압입이 완료되면, 거치유닛(100)에 의해 베어링 모재(10)가 자전된 후 다시 인접하는 열의 삽입홀(11)에 고체 윤활제(20)를 압입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접착제가 도포된 고체 윤활제(20)를 삽입홀에 삽입한 뒤 경화시켜 일체화시킨다.
표면 가공유닛(400)은 고체 윤활제(20)가 삽입된 베어링 모재(10)의 내경 및 외경을 면처리 가공하여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가공유닛(400)은 선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유닛과 회수유닛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유닛(100)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 모재(10)가 수용되는 복수의 가공공간(101)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자전하면서 각각의 가공공간(101)에 수용된 베어링 모재(10)를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바디부(110)와 가공이 용이하도록 바디부(110) 내부에 설치되어 베어링 모재(10)가 안착 고정되는 거치부(1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10)는 원기둥 형상의 고정바디(111)와 고정바디(1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바디(112)를 포함한다.
이때, 회전바디(112)는 그 내부에 복수의 바디 플레이트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가공공간(101)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바디(111) 및 회전바디(112)는 드릴유닛(200), 압입유닛(300) 및 표면 가공유닛(400)이 가공공간 내부에 고정된 베어링 모재(10)를 가공할 수 있도록 고정바디(111)는 각각의 가공공간(101)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가공홀(111a)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회전바디(112)는 각각의 가공공간(101)에 대응되는 제2 가공홀(112a)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바디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10)는 회전바디(112)가 회전하여 제1, 2 가공홀(111a, 112a)이 일치하게 되면, 회전바디(112) 내부의 가공공간(101)이 외부로 노출되어 드릴유닛(200), 압입유닛(300) 및 표면 가공유닛(400)이 제1, 2 가공홀(111a, 112a)을 통해 가공공간(101) 내부에 수용된 베어링 모재(10)를 가공하게 된다.
한편, 제1, 2 가공홀(111a, 112a)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회전바디(112) 자전시 고정바디(111) 및 회전바디(112)의 외주면에 의해 가공공간(101)이 외부와 단절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회전바디(112)가 이전 공정이 종료된 베어링 모재(10)를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키고자 회전시에는 회전바디(112)의 제2 가공홀(112a)이 고정바디(111)의 제1 가공홀(111a)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공공간(10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베어링 모재(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전 공정에서 발생된 부산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바디(111)와 회전바디(112)는 각각 그 저면에 복수의 제1 회수홀(102a) 및 제2 회수홀(10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각 공정에서 발생되는 쇳조각 및 접착제 등 부산물이 고정바디(111)의 저면에 형성된 제1 회수홀(102a) 및 회전바디(112)의 저면에 형성된 제2 회수홀(102b)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됨으로써, 회수유닛(500)에서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정시 발생되는 부산물 회수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바디(111)는 각각의 제1 가공홀(111a) 상부에 설치되어 가공공간(101)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커튼(111b)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각각의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산물 및 접착제 등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공정 중 발생되는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제1, 2 회수홀(102a, 102b)을 통해 자연스럽게 회수유닛(50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부산물 회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20)는 회전바디(112)의 바닥에 고정되어 각각의 가공공간(101)에 수용되는 거치대(121)와 각각의 거치대(121) 상면에 설치되어 거치대(121) 상면에 안착된 베어링 모재(1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돌기(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121)는 그 상면 중심에 베어링 모재(10)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의 거치홈(121a)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디(112)의 바닥에 고정된 거치대(121)와 거치대(121) 상면에 설치되어 거치홈(121a)에 안착된 베어링 모재(1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복수의 고정돌기(122)를 포함한다.
이에, 베어링 모재(10)가 거치홈(121a)에 안착되면 복수의 고정돌기(122)가 베어링 모재(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공정 중 베어링 모재(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20)는 거치대(121)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회전바디(112)의 천정에 설치되어 거치대(121) 평면에 안착된 베어링 모재(10)의 상면을 가압하는 복수의 고정 실린더(1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릴링 또는 압입 등 베어링 모재(10) 가공시 베어링 모재(10)가 흔들려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실린더(123)는 베어링 모재(10)의 상면과 접촉되는 로드의 단부를 감싸는 고무재질의 고정헤드(123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베어링 모재(10)의 구속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베어링 모재(10)에 스크래치 등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유닛(500)은 각 공정에서 발생된 부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고정바디(111)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회수탱크(510)와 회수탱크(510) 내부를 가공공간(101)에 대응되는 갯수의 복수의 회수공간(501)으로 구획하는 복수의 회수 플레이트(520)를 포함한다.
이에, 공정과정 중 발생되는 각종 부산물은 각 공정이 수행되는 가공공간(101)에 대응되는 각각의 회수공간(501)으로 구분되어 퇴적됨으로써, 부산물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여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자원 재활용으로 인한 원가절감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유닛(500)은 각각의 회수공간(501)에 연통되는 복수의 회수라인(530)과 회수라인(530)의 단부에 결합되어 회수공간(501)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회수후드(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공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은 에어커튼(111b)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회수후드(540)에 의해 발생된 음압 및 중력에 의해 고정바디(111) 및 회전바디(112)에 형성된 제1, 2 회수홀(102a, 102b)을 통과하여 회수공간(501)으로 회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회수유닛(500)은 각각의 회수라인(530)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수 스크린(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부산물 회수를 용이하게 하고자 회수후드(540)에서 발생된 음압에 의해 회수공간(501)으로 유입된 부산물이 회수 스크린에 걸려 회수후드(5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수후드(540)의 손상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베어링 모재 11: 삽입홀
20: 고체 윤활제 100: 거치유닛
101: 가공공간 102: 회수홀
102a: 제1 회수홀 102b: 제2 회수홀
110: 바디부 111: 고정바디
111a: 제1 가공홀 111b: 에어커튼
112: 회전바디 112a: 제2 가공홀
120: 거치부 121: 거치대
121a: 거치홈 122: 고정돌기
123: 고정 실린더 123a: 고정헤드
200: 드릴유닛 300: 압입유닛
400: 표면 가공유닛 500: 회수유닛
501: 회수공간 510: 회수탱크
520: 회수 플레이트 530: 회수라인
540: 회수후드 550: 회수 스크린

Claims (12)

  1. 내부에 베어링 모재가 수용되는 복수의 가공공간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가공공간에 수용된 베어링 모재를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방 부산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 복수의 회수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거치유닛;
    상기 가공공간 중 선택된 하나의 전방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베어링 모재에 복수의 삽입홀을 형성하는 드릴유닛;
    상기 거치유닛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드릴유닛의 후단에 배치되도록 상기 거치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드릴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삽입홀에 고체 윤활제를 압입하는 압입유닛;
    상기 고체 윤활제가 삽입된 베어링 모재의 내경 및 외경을 면가공하여 무급유 베어링을 제조하는 표면 가공유닛; 및
    상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수홀을 통과한 상기 부산물을 회수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유닛의 하부에 설치된 회수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유닛은, 내부에 복수의 상기 베어링 모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가공공간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자전하여 상기 가공공간에 수용된 베어링 모재를 이동시키는 원기둥 형상의 바디부; 및 각각의 상기 가공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 모재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가공공간에 대응되는 갯수의 제1 가공홀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고정바디; 및 내부에 복수의 바디 플레이트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 복수의 상기 가공공간과 각각 연통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제2 가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기둥 형상의 회전바디;를 포함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공홀과 제2 가공홀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바디 자전시 각각의 상기 가공공간이 상기 고정바디 및 회전바디의 외주면에 의해 외부와 단절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는,
    각각의 제1 가공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공공간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커튼;을 더 포함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홀은,
    상기 고정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1 회수홀; 및
    상기 회전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회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면에 상기 베어링 모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어링 모재의 외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형의 거치홈이 형성된 거치대; 및
    상기 거치홈에 안착된 베어링 모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상기 거치홈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 모재의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베어링 모재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거치유닛의 천정에 고정되어 상기 거치대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의 고정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실린더는,
    상기 베어링 모재의 상부와 접촉되는 타측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고정헤드;를 더 포함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회수홀을 통과한 상기 부산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유닛의 저면에 결합된 회수탱크; 및
    상기 회수탱크 내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가공공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회수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회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일측이 각각의 상기 회수공간에 연결되는 복수의 회수라인; 및
    각각의 회수라인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수공간으로 상기 부산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음압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회수후드;를 더 포함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회수후드로 상기 부산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회수라인에 설치된 복수의 회수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KR1020180013039A 2018-02-01 2018-02-01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KR10210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39A KR102108860B1 (ko) 2018-02-01 2018-02-01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39A KR102108860B1 (ko) 2018-02-01 2018-02-01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429A KR20190093429A (ko) 2019-08-09
KR102108860B1 true KR102108860B1 (ko) 2020-05-11

Family

ID=6761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039A KR102108860B1 (ko) 2018-02-01 2018-02-01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666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에스지오 미세조직이 개량된 고력황동 합금이 적용된 고면압용 오일리스 베어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762Y1 (ko) 2000-12-29 2001-06-15 탁봉열 공작물 세척기
KR100488586B1 (ko) * 2002-03-11 2005-05-16 주식회사 루-보 무급유베어링의 고체윤활제 자동압입기
KR100572994B1 (ko) * 2005-01-26 2006-04-24 (주)유창금속 금형 자동 다듬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211B1 (ko) * 2005-05-17 2011-12-27 주식회사 성산암데코 다공정 복합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762Y1 (ko) 2000-12-29 2001-06-15 탁봉열 공작물 세척기
KR100488586B1 (ko) * 2002-03-11 2005-05-16 주식회사 루-보 무급유베어링의 고체윤활제 자동압입기
KR100572994B1 (ko) * 2005-01-26 2006-04-24 (주)유창금속 금형 자동 다듬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429A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860B1 (ko)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CN109482928B (zh) 一种用于汽车零配件的打孔机
CN108115464B (zh) 铣床用注油装置
CN109909743A (zh) 一种阀芯自动装配机
CN111215687B (zh) 一种具有防塌陷功能的管材切割设备
CN113579830A (zh) 一种金属切削设备
CN104289325B (zh) 滤清器法兰盘脱油机
CN209736710U (zh) 一种高效率钻孔机
CN106624800A (zh) 一种泵盖自动冲孔去毛刺装置
KR102046321B1 (ko) 무급유 베어링 제조장치
CN112008416A (zh) 一种排气螺丝的加工设备
CN219291975U (zh) 一种橡胶密封圈拆边设备
CN218746029U (zh) 交流滚珠散热风扇组装机
KR20100062322A (ko) 공작기계의 윤활유 회수장치
CN108772728A (zh) 可气检测量的金加工夹紧装置
CN210473341U (zh) 一种布袋除尘器
CN212443351U (zh) 一种模具用钻床
CN104384151B (zh) 滤清器法兰盘脱油机的旋转驱动装置
CN212398989U (zh) 一种具有切削液循环利用功能的切削机床
CN114192869A (zh) 一种防飞屑的钢管切割装置及其使用方法
US61836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ludge from filter for use in electric discharge machine
CN113909941A (zh) 一种可靠性高的台钻
CN106185174A (zh) 免焊接快换托辊
CN111889809A (zh) 一种链轮去毛边设备
CN210230720U (zh) 一种高效机械部件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