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496B1 - 차량용 히트 펌프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자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히트 펌프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자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496B1
KR102108496B1 KR1020147028302A KR20147028302A KR102108496B1 KR 102108496 B1 KR102108496 B1 KR 102108496B1 KR 1020147028302 A KR1020147028302 A KR 1020147028302A KR 20147028302 A KR20147028302 A KR 20147028302A KR 102108496 B1 KR102108496 B1 KR 10210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heat exchanger
temperature
accumulator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786A (ko
Inventor
외드 케탕
비르지니 구탈
미리암 파스퀴니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4014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60H1/00921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wher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oes not change and there is an extra subcondenser, e.g. in an air 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Control means therefor for preventing the freezing of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25B47/022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 F25B47/025Defrosting cycles hot gas defrosting by reversing the cycle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 펌프 시스템을 위한 제어 방법, 특히 자동차를 위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시스템은, 압축기, 가열 모드에서 응축기를 형성하는 내부 열 교환기, 팽창 밸브, 상기 가열 모드에서 증발기를 형성하는 외부 열 교환기, 및 축적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 제거(S10-S14)뿐만 아니라 상기 축적기의 결빙 제거(S20-S24)도 검출되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단계(S16) 및/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단계(S26)가 시작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히트 펌프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자동 제어 방법{Automatic control method used for defrosting a heat pump for a vehicle}
본 발명은 몇몇 유형의 자동차, 특히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장착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 차량들의 히트 펌프 시스템을 위한 제어 방법에 관련되는바, 상기 방법은 외부 공기 온도가 낮을 때에 상기 시스템의 몇몇 구성요소들의 결빙을 제거하는 데 이용된다.
차량의 승객석을 가열 및/또는 공기조화시키기 위한 차량 내 히트 펌프를 이용하는 알려진 방법이 있다. 이 히트 펌프는 가열 모드 및 공기조화 모드 둘 모두로 작동할 수 있도록 가역적이다. 종래에 히트 펌프는, 냉매 유체를 가열 및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 유체와의 열 교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승객석 내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모드에서 응축기를 형성하는 내부 열 교환기, 상기 내부 열 교환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팽창 밸브, 및 마지막으로,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에 의해 상기 팽창 밸브로부터 유동하는 냉매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모드에서 증발기를 형성하는 외부 열 교환기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에 상기 히트 펌프는, 특히 상기 압축기에 의한 압축 전에 상기 냉매 유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또한 상기 압축기를 향한 오일 회귀 유동(oil return flow)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열 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개재된 축적기(accumulator)를 포함한다.
가열 모드에서 만약 외부 온도가 0°C에 가깝거나 영하라면 그리고 공기가 상대적으로 습하다면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외벽들 상에서 서리(frost)가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되는 서리의 양은 여러 파라미터들, 특히 외부 온도의 습도 레벨 및 상기 교환기 내에서 유동하는 냉매 유체와 외부 공기 사이의 온도 차이의 함수이다. 상기 열 교환기의 이 결빙(frosting)은 그 후 상기 히트 펌프의 효율이 감소되는 결과로 되며, 이는 동일 성능 레벨에 대하여 전기 소모를 증가시키거나 동일 전기 소모에 대하여 성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이는 상기 시스템의 최대 파워를 감소시킨다.
이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알려진 방법으로서, 상기 교환기의 외벽들의 결빙을 제거하려고 상기 교환기에 들어가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저항을 상기 교환기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해법은 만족스럽지 않는데, 왜냐하면 상기 시스템의 전체 전기 소모를 증가시키고 이는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 부정적인 효과들이 있기 때문이다.
특허 문서인 일본 특허출원 JP-A-1 0-166846호에 설명된, 달리 알려진 해법은,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 유체를 외부 열 교환기에 직접 공급하는 것에 있다. 팽창 밸브 및 내부 열 교환기는 더 이상 냉매 유체 유동 회로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상기 외부 열 교환기는 그것을 통하여 유동하고 상기 압축기에 의해 가열되는 냉매 유체를 가진다. 상기 외부 열 교환기는 그 후에 응축기로서 작동하는바, 이는 그것의 벽들 상에 존재하는 서리의 적어도 일부를 녹이기 위함이다.
이 모든 해법들은 외부 열 교환기의 완전한 결빙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런데 상기 히트 펌프의 다른 부분들, 특히 저압 파이프들 및 축적기는 결빙되는바, 이는 상기 히트 펌프의 성능에 해로우며, 이 요소들의 벽들 상의 서리의 연이은 축적, 및 당면한 환경(immediate environment) 내에서의 다른 요소들의 인접성 때문에 소음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결과적인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가열 모드에서 상기 축적기는 상기 히트 펌프의 가장 차가운 지점들 중 하나인바, 이는 상기 압축기의 저압 및 흡입 영역 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와 동일한 것이 상기 외부 교환기의 유출구를 상기 압축기의 유입구에 연결하는 파이프들 및 호스들에 적용된다. 따라서 외부 온도가 낮을 때에 서리가 이 요소들의 벽들 상에도 형성된다. 게다가 열 교환기의 결빙 제거 중에 상기 축적기에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는 이미 현저히(considerably) 떨어졌는바, 왜냐하면 상기 외부 교환기의 벽들 상에 존재하는 서리를 녹이도록 상기 유체가 이미 상기 외부 교환기 내의 열 중 많은 양을 방출(release)하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외부 교환기의 완전한 결빙 제거는 필연적으로 상기 축적기의 완전한 결빙 제거의 결과로 되지는 않으며, (상기 압축기의 모터 속력에 의해) 상기 교환기의 결빙 제거가, 가능한 한 상기 시스템의 전기 소모를 감소시키도록 시간 및 파워의 면에서 최적화되었더라면 특히 그러하다. 이 상기 축적기 상의 서리의 존재는, 상기 축적기 내에 담긴 유체를 낮은 온도에서 유지함으로써 상기 히트 펌프의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다른 부분들에 대한 상기 교환기의 인접성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이 다른 부분들과 충돌할 위험을 증가시키며 이 충돌로 인한 소음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이 부분들 및 상기 축적기의 열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을 지닌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앞서 말한 선행 기술의 단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히트 펌프 시스템의 다른 작동 모드들에 대하여, 가능한 최소의 영향을 끼치면서도 상기 히트 펌프의 더 완전한 결빙 제거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시스템의 전기 소모에 대하여, 가능한 최소의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빙 제거가 상기 외부 교환기 상에서만 수행되지 않고 만약 상기 축적기의 서리가 검출된다면 상기 축적기 상에서도 수행되는 것으로 제안된다.
본 발명에는 히트 펌프 시스템을 위한 제어 방법, 특히 자동차를 위한 제어 방법이 제안되는바, 상기 시스템은, 냉매 유체를 가열 및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 유체와의 열 교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승객석 내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모드에서 응축기를 형성하는 내부 열 교환기, 상기 냉매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팽창 밸브,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에 의해 상기 팽창 밸브로부터 유동하는 냉매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모드에서 증발기를 형성하는 외부 열 교환기, 및 압축 전에 상기 냉매 유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열 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개재된 축적기(accumulator)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a) 가열 모드에서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열 교환기 결빙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 요소를 결정(determine)하는 단계,
c) 상기 외부 열 교환기 결빙의 지속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1 최대 지속시간 이상이라면 상기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된다면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을 시작하고, 미리 한정된 기준(predefined criterion)에 따라 상기 외부 교환기 및 상기 축적기 내에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이 검출되고, 그 후 미리 한정된 원칙에 따라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 및/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시작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한정된 기준(predefined principle)은, 상기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된다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매 n회 중 한번 시작되며,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나머지 회차에 시작되는바, 여기에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이는 왜냐하면 시간 및 파워 소모의 면에서 최적화된 외부 교환기의 완전한 결빙 제거는 상기 축적기의 완전한 결빙 제거를 가능하게 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외부 조건들 및 운전 조건들에 따라 상기 축적기 상의 서리의 두께는 증가될 수 있다. 특정 지점에서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할 필요가 있게 되는바, 왜냐하면 그와 결부된 두께는 (소음 및 손상의 위험과 함께) 상기 차량의 다른 부분들에 대한 상기 축적기의 인접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축적기의 성능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결빙 제거 작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 두 요소들에 결부된 결빙을 확인하는 것이 유용하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의 단계 a)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b)는, 상기 축적기 결빙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 요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단계 c)는, 상기 외부 열 축적기 결빙의 지속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2 최대 지속시간 이상이라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미리 한정된 기준은,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된다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시작되고,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된다면 상기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결빙 제거 작동이 시작되는바, 이는 필요한 때에만 결빙 제거 시간 및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교환기 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은, 뜨거운 냉매 유체를 상기 외부 열 교환기 및 상기 축적기 내에서 유동시키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제1 모터 속력에서, 미리 결정된 제3 최대 지속시간(C3) 이하의 지속시간 동안 상기 압축기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속력 및 상기 제3 지속시간은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의 함수이다. 이 뜨거운 냉매 유체의 유동은 상기 외부 교환기의 외벽들 상이 존재하는 서리를 녹일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하다면 상기 축적기의 외벽들 상에 존재하는 서리를 녹일 수 있도록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외부 열 교환기에 인접한 동력화 팬 유닛(motorized fan uni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교환기 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은, 서리가 녹은 후에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외벽들 상에 남아 있는 물을 제거하는 데 이용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기 위하여, 만약 상기 외부 공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온도값을 초과한다면 제4 최대 지속시간 이하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 동안에 상기 압축기는 작동 중인 채로 머문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공기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2 온도값 미만이고, 동시에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와 상기 외부 공기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3 온도값을 초과한다면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이 검출된다. 상기 제3 온도값은 유리하게 상기 외부 공기 온도의 함수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의 모터 속력이, 미리 결정된 제2 모터 속력값을 초과하고, 동시에 상기 외부 공기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4 온도값 미만이고,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와 상기 외부 공기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제5 온도값을 초과한다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이 검출된다. 상기 제5 온도값은 유리하게 상기 외부 공기 온도의 함수이다.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값들은 상기 히트 펌프 시스템의 유형 및 미션 프로파일(mission profile)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단계 b) 동안에,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이 검출되는 때에 제1 계수기가 증가(increment)되고, 상기 축적기의 결빙이 검출되는 때에 제2 계수기가 증가된다. 이 두 계수기들의 계수값은 상기 교환기 및 상기 축적기의 결빙의 지속시간을 결정(determine)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외부 공기 온도가 영상(零上)의 미리 결정된 제6 온도값 이상인 때에 상기 제1 계수기 및 상기 제2 계수기가 0으로 재설정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차량이 약간 영상인 외부 온도에서 특정 시간 동안 주차된다면 이 외부 공기는 자연스럽게 서리와 열을 교환할 것이며 그것을 녹이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 결빙 제거 작동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수기들은 0으로 재설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 c) 동안에, 상기 제1 계수기의 계수값이, 상기 제1 최대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제1 계수값 이상이라면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되고, 상기 제2 계수기의 계수값이, 상기 제2 최대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제2 계수값 이상이라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된다.
유리하게, 상기 차량의 속력이 30 km/h 이하의 미리 결정된 속력 이하이어야만, 상기 외부 교환기 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시작된다. 이는, 이 값 초과에서 결빙 제거 작동을 시작해도 의미 없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인 바, 왜냐하면 상기 외부 교환기 또는 상기 축적기가 그것을 통하여 유동하는 뜨거운 유체를 가진다고 할지라도 상기 외부 교환기를 통하여 유동하는 차가운 공기가 서리의 존재를 유지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유리하게, 결빙 제거와 상이한 다른 요구가 상기 시스템 회로로부터 있는 경우에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은 정지되는바, 상기 다른 요구가 우선순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이 요구는 승객석 내의 편안함을 위한 가열 또는 공기조화에 대한 요구일 수 있다.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은, 상기 차량의 속력이 상기 미리 결정된 속력값을 초과하더라도 수행된다. 이 경우에 상기 결빙 제거 작동 동안에 동적인 공기(dynamic air)가 상기 외부 교환기를 통하여 유동함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스템은 제어되는 플랩 밸브(controlled flap valve)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모터 속력에서 제3 최대 지속시간 이하의 지속시간 동안 상기 압축기를 가동시키는 단계는:
- 상기 제1 모터 속력에서 상기 압축기를 가동시키는 단계;
-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7 온도값 이하이고, 상기 제3 계수기의 계수값이, 상기 제3 최대 지속시간보다 짧은 제5 최대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제3 계수값 미만이며, 상기 외부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8 온도 이하라면, 제3 계수기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제3 계수기의 증가가 정지된 때에 상기 압축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최대 지속시간 이하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을 가동시키는 단계는:
- 상기 외부 공기 온도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온도값 이상이라면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을 가동시키는 단계;
-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유체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9 온도값 이상이며, 제4 계수기의 계수값이 상기 제4 최대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제4 계수값 미만이라면 상기 제4 계수기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제4 계수기의 증가가 정지된 때에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송풍 국면(blowing phase) 동안에 물 제거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압축기가 가동된다.
유리하게, 상기 제4 계수기의 증가 동안에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1 모터 속력 이하인 제3 모터 속력에서 작동한다. 이는 단순히, 서리의 녹음에 의해 생성되는 물이 다시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도에서 냉매 유체가 상기 회로 내에서 유동하도록 하여 그 물이 송풍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유리하게, 상기 제1 계수기 및/또는 상기 제2 계수기의 증가 간격(incrementation interval), 또는 증가 속력(incrementation speed)은 상기 외부 온도의 함수이므로, 상기 외부 교환기 및/또는 상기 축적기 상에 존재하는 서리의 양 및 강도(intensity)로 더 나은 평가(evaluation)가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제1 계수기 및/또는 상기 제2 계수기의 증가 간격(incrementation interval), 또는 증가 속력(incrementation speed)은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와 상기 외부 공기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의 함수이므로, 상기 외부 교환기 및/또는 상기 축적기 상에 존재하는 서리의 양 및 강도(intensity)로 더 나은 평가(evaluation)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히트 펌프의 결빙이 제거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사용자 명령에 의하여 상기 외부 교환기 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규정도 만들어진다.
유리하게, 상기 히트 펌프의 구성요소들의 결빙 상태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계수기들의 상태가 외부 진단 도구에 의해 읽힌다.
다른 장점들도,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도시되는 아래 예시들을 읽음으로써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분명할 수 있다.
-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 가열/공기조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 도 2는 가열 모드에서 도 1의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 도 3은 공기조화 모드에서 도 1의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 도 4는 결빙 제거 모드에서 도 1의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의 제1 실시예의 주요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 6은 도 5의 결빙 제거 작동의 부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의 제2 실시예의 주요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의 제3 실시예의 주요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 히트 펌프 시스템(1)이 도시된다. 이 시스템은, 압축기(10), 가열 모드에서 응축기를 형성하는 내부 열 교환기(11), 공기조화 모드에서 내부 증발기를 형성하는 다른 내부 열 교환기(12), 상기 가열 모드를 위한 팽창 밸브(13), 가열 모드에서 증발기를 형성하는 외부 열 교환기(14), 상기 공기조화 모드를 위한 팽창 밸브(16), 및 축적기(accumulator; 15)를 포함한다. 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그것들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매 유체를 가진다. 상기 시스템의 다음의 작동 모드들에 따라 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통한 냉매 유체의 경로를 변경하도록 밸브들(V1 및 V2)도 제공된다:
- 가열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승객석의 내부 공기를 가열한다; 이 작동 모드는 도 2에 도시된다;
- 공기조화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승객석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 작동 모드는 도 3에 도시된다; 그리고
- 결빙 제거 모드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외부 열 교환기(14) 및/또는 상기 축적기(15)의 외벽들의 결빙을 제거한다; 이 작동 모드는 도 4에 도시된다.
밸브(V1)는 3방향 밸브(three-way valve)로서, 상기 외부 열 교환기(14)의 유출구에 결합된 유입구, 상기 축적기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유입구에 결합된 제1 유출구, 상기 팽창 밸브(16)의 유입구에 결합된 제2 유출구를 포함한다. 밸브(V2)는, 결빙 제거 모드 및 공기조화 모드에서 상기 팽창 밸브(13)를 우회하기 위한 2방향 밸브(two-way valve)이다.
상기 시스템은, 외부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가 포착(capture)될 수 있게 하는, 상기 차량의 승객석의 외측 영역(area outside), 예컨대 상기 차량의 백미러(rear-view mirror) 밑에 배치된 외부 온도 센서(TP1), 및 상기 교환기(14)의 유출구에서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TP2)를 더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동력화 팬 유닛들(17 및 18)이, 각각 상기 외부 교환기(14) 및 상기 내부 교환기들(11 및 12)을 통하여 공기를 확산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시스템의 다양한 작동 모드들에서 열 교환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의 상기 냉매 유체 유동 회로는 이용 중인 작동 모드에 따라 변한다.
도 2에 도시되는 가열 모드에서, 상기 밸브(V1)는, 상기 교환기(14)의 유출구를 상기 축적기(15)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유입구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작동된다. 상기 압축기(10)는 상기 외부 열 교환기(114)로부터 받은 냉매 유체를 가열 및 압축하는바, 이 경우에 상기 외부 열 교환기(114)는 증발기를 형성한다. 이 방식으로 압축되었으면 상기 유체는 그 후 상기 교환기(11)(응축기)에 공급되는바, 상기 교환기(11)는,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동하는 상기 냉매 유체와 열 교환에 의해 상기 승객석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는 데에 이용된다. 그 후 상기 냉매 유체는 상기 팽창 밸브(13)에 의해 냉각 및 팽창되고, 그 후 상기 외부 교환기(14)에 다시 공급된다. 이 작동 모드에서 상기 밸브(V2)는 폐쇄되며, 따라서 상기 냉매 유체는 그것을 통하여 유동하지 않는다. 덧붙여, 상기 동력화 팬 유닛들(17 및 18)은 상기 시스템의 요구조건들(requirements)에 따라 작동 중이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고속으로 운전되는 때에는 상기 차량의 전면(front surface) 상의 상기 동력화 팬 유닛(17)을 가동시킬 의미가 없다. 상기 시스템 안의 유체의 움직임은 화살표들에 의해 표시된다. 실선으로 된 화살표들은 고압에서의 유체(압축된 유체)의 움직임을 표시하고 파선으로 된 화살표들은 저압에서의 유체(팽창된 유체)의 움직임을 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공기조화 모드에서, 상기 밸브(V1)는 상기 교환기(14)의 유출구를 상기 팽창 밸브(16)의 유입구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작동된다. 이 팽창 밸브는 상기 외부 열 교환기(14)로부터 받은 냉매 유체를 팽창 및 냉각시키는 데에 이용되는바, 상기 외부 열 교환기(14)는 이 작동 모드에서 응축기를 형성한다. 상기 팽창된 냉매 유체는, 상기 냉매 유체와의 열 교환에 의해 상기 승객석의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증발기(12)를 통하여 유동한다. 상기 냉매 유체는 그 후 상기 축적기(15)를 통하여 유동하고 그 후 상기 압축기(10)를 통하여 유동한다. 이는 상기 냉매 유체를 가열 및 압축시키는바, 그 후 상기 냉매 유체는 상기 밸브(V2)를 통하여 유동하고 그 후 상기 외부 교환기(14)를 통하여 유동한다.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밸브(V3)는 유리하게, 상기 냉매 유체로부터 상기 교환기(11)를 통하여 상기 승객석의 내측으로 향하는 임의의 열 전달을 회피하도록 상기 교환기(11)가 우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밸브(V3)가 부재하는 경우에, 상기 증발기(12)로부터의 공기 유동이 상기 교환기(11)를 우회함으로써 공기조화 성능이 유지되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혼합 플랩 밸브(mixing flap valve)가 제공된다. 이 모드에서 상기 동력화 팬 유닛들(17 및 18)은 상기 시스템의 요구조건들에 따라 작동 중이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이 고속으로 운전되는 때에는 상기 차량의 전면(front surface) 상의 상기 동력화 팬 유닛(17)을 가동시킬 필요가 없다. 저속에서는, 효과적인 응축을 제공하고 유체 압력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동력화 팬 유닛(17)이 가동되어야만 한다.
도 4에 도시된 결빙 제거 모드에서, 상기 냉매 유체는 상기 시스템의 임의의 강제된 팽창 요소(forced expansion element)(팽창 밸브 또는 튜브 오리피스)를 통하여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 밸브(V1)는, 상기 교환기(14)의 유출구를 상기 축적기(15)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10)의 유입구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작동된다. 상기 압축기(10)는 상기 냉매 유체를 조금만(to a small extent) 가열 및 압축한다. 상기 압축된 유체는 그 후 상기 밸브(V2)를 통하여 유동하고, 그 후 상기 외부 교환기(14)를 통하여 유동한다. 상기 뜨거운 유체는 상기 외부 교환기(14) 및 상기 축적기(15)를 통하여 유동하며, 상기 외부 교환기(14) 및 상기 축적기(15)의 외벽들 상에 존재하는 서리가 점점 녹을 수 있도록 한다. 이 모드에서, 상기 동력화 팬 유닛(17)은, 결빙 제거의 마지막 시기에 필요하다면 작동되는바, 이는 아래에 설명될 바와 같다.
이제 상기 시스템의 결빙 제거의 제어가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 제어는 자동적이며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어떠한 행동 또는 개입도 요구하지 않는다. 그것은 도 5,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 도면들에서 상기 온도 센서(TP1)에 의해 측정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는 Text로 표기되고, 상기 온도 센서(TP2)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외부 교환기(14)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는 TS로 표기되며, 상기 압축기(10)의 모터의 분당 회전수(number of rotations per minute)는 RPMComp로 표기된다.
외부 온도가 영하이거나 0에 가깝고 상기 시스템이 가열 모드에서 작동하고 있다면 서리는 상기 외부 교환기(14) 및 상기 축적기(15)의 외벽들 상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서리 검출은 상기 시스템의 가열 모드에서 이루어진다. 검출 후에, 상기 시스템이 더 이상 가열 모드가 아닐 때,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이 정지된 때, 결빙 제거 작동이 수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외부 교환기(14)의 결빙을 검출하고 그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일 집합의 단계들(S10 내지 S16), 및 상기 축적기(15) 상의 결빙을 검출하고 그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일 집합의 단계들(S20 내지 S26)을 포함한다. 이 두 집합의 단계들은 병행하여 실행된다.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의 검출 및 결빙 제거에 관한 단계들이 먼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초기에 상기 외부 교환기(14)의 결빙을 검출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외부 교환기(14)는:
■ Text < T1, 그리고
■ Text - TS > T2;라면
결빙 조건에 있다고 검출되는바, 여기에서 T1은 0°C에 가까운 온도이며, T2는 영상의 온도이다.
T1은 예를 들어 5°C와 같으며, T2는 예를 들어 10°C와 같다. 따라서 이는, 이 예시에서 TS가 적어도 -5°C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값들은, 상기 교환기의 알려진 결빙 상황에 해당하며, 테스트함으로써, 예를 들어 서리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체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값(T2)은 외부 온도(Text)의 함수로서 변화된다. 상기 값(T2)은 외부 온도(Text)가 감소할 때 감소된다.
그 후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 교환기(14)의 결빙 지속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결정은, 단계(S11)에서 상기 외부 교환기가 결빙 조건(Text < T1 및 Text-TS > T2)에 남아 있는 동안에 계수기(COMP1)를 증가시킴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계수기의 계수값은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계수기(COMP1)의 증가는 상기 외부 온도의 함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온도(Text)가 매우 낮으면 상기 계수기(COMP1)는 더 빠르게 증가된다. 예를 들어 Text < -10°C라면, 상기 계수기는 매초 2만큼 증가되며, Text ≥ -10°C라면, 상기 계수기는 매초 1만큼 증가된다. 그렇다면 상기 계수기(COMP1)의 계수값은 상기 결빙의 지속시간뿐만 아니라 강도 또한 나타낸다. 상기 외부 온도(Text)가 0°C에 가깝다면 더 많은 서리가 있을 것이다.
변형례에서 상기 계수기(COMP1)의 증가는 차이(Text - TS)의 함수이다. 이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계수기는 더 빠르게 증가된다. 예를 들어 Text - TS > 15°C라면 상기 계수기는 매초 2만큼 증가되며, Text - TS ≤ 15°C라면 상기 계수기는 매초 1만큼 증가된다. 이 경우에 상기 계수기(COMP1)의 계수값은 상기 결빙의 강도도 나타낸다.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에 대한 앞서 말한 조건들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계수기가 반드시 0으로 재설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온도(Text)가 낮은 채로 남지만 상기 차이가 감소된다면 상기 외부 교환기 상에 서리가 존재하는 채로 남는다. 따라서 상기 온도(Text)가, 상기 온도(T1)보다 더 큰 온도값(T5) 이상일 때에만 상기 계수기(COMP1)는 0으로 재설정된다. T5는 예를 들어 8°C와 같다. 상기 계수기(COMP1)의 이 영 재설정(zero resetting)은 단계들(S12 및 S13)에 의해 도시된다. 단계(S12)는 상기 온도(Text)를 미리 한정된 값(T5)과 비교하는 단계이다. 단계(S13)에서 Text ≥ T5라면, 상기 계수기(COMP1)는 0으로 재설정된다. Text < T5라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로 계속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이 정지되거나 잠자기 상태(sleep state)로 되는 때에 상기 계수기(COMP1)의 계수값이 유지될 수 있다.
유리하게, 또한 상기 계수기(COMP1)는, 상기 시스템이 공기조화 모드에서 최소 지속시간 동안 활성화된다면 0으로 재설정된다. 이는 왜냐하면 이 작동 모드에서 상기 외부 교환기가 응축기로서 작동하여 상기 외부 교환기의 벽들에 열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교환기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서리가 녹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 단계(S14)는 비교 단계이다. 상기 계수기의 값(COMP1)은 미리 결정된 계수값(Ci)과 비교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계수기(COMP1)가 매초에 한번 증가된다면 상기 계수값(Ci)은 지속시간(D1)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속시간(D1)은 5분과 같다. 단순함을 위하여 상기 계수기(COMP1) 및 그것의 계수값은 모두 COMP1로 표기된다.
단계(S15)에서 COMP1 ≥ Ci라면 상기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도록 명령이 송신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계수가 계속된다.
따라서, 상기 교환기 결빙 조건들이 지속시간(Di) 동안 존재한다면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명령이 송신된다.
그 후 단계(S16)에서 결빙 제거 작동이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상기 냉매 유체의 유동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온 것에 상승한다. 이 단계는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교환기의 결빙이 제거된 후에, 상기 계수기(COMP1)는 0으로 재설정되며, 단계(S13)로의 복귀가 있다.
상기 축적기(15)의 결빙의 검출 및 그 결빙의 제거를 위하여 도 5에서 S20 내지 S26으로 표기되는, 단계들(S10 내지 S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계들이 병행하여 실행된다.
단계(S20)에서 상기 축적기(15)의 결빙의 검출은 다음의 조건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 이루진다:
■ Text < T3, 그리고
■ Text - TS > T4, 그리고
■ RPMComp ≥ Ri
여기에서 T3는 0°C에 가까운 온도이며, T4는 영상의 온도이며, R1은 상기 압축기(10)의 모터 속력값이다.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의 검출에 대하여 선택된 값에 적용가능한 이유와 같은 이유로) T3는 예를 들어 6°C와 같으며, T4는 예를 들어 10°C와 같다; 따라서 Ti=T3 및 T2=T4가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Ri는 예를 들어 500 r.p.m.(분당 회전수)과 같으므로 상기 결빙이 가장 강할 때 상기 계수기는 유체 유동 국면 동안에만 증가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값(T4)은 상기 외부 온도(Text)의 함수로서 변한다.
그 후 단계(S21)에서 상기 축적기(15)가 결빙되는 지속시간이 결정된다. 이 단계에서 계수기(COMP2)는, 상기 축적기(15)의 결빙 조건들(Text < T3 그리고 Text - TS > T4 및 RPMComp ≥ Ri)이 존재하는 채로 남는 동안 증가된다.
단계(S11)의 경우에서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계수기(COMP2)의 증가는 상기 외부 온도의 함수이다. 상기 계수기(COMP2)는 상기 외부 온도가 더 낮거나 더 높은지에 따라 더 빠르게 또는 덜 빠르게 증가된다.
상기 계수기(COMP1)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계수기(COMP2)는 상기 온도(Text)가 상기 온도값(T5) 이상이라면 0으로 재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온도(Text)를 상기 미리 한정된 값(T5)과 비교하는 단계(S22)를 포함하고, 단계(S23)에서 Text ≥ T5라면 상기 계수기(COMP2)가 0으로 재설정된다. Text < T5라면 상기 방법은 단계(S24)로 계속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이 정지되거나 잠자기 상태(sleep state)로 되는 때에 상기 계수기(COMP2)의 계수값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수기(COMP2)는, 상기 시스템이 공기조화 모드에서 최소 지속시간 동안 활성화된다면 0으로 재설정된다.
단계(S24)에서 상기 계수기의 값(COMP2)은 미리 결정된 계수값(C2)과 비교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계수기(COMP2)가 매초에 한번 증가된다면 상기 계수값(C2)은 지속시간(D2)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속시간(D2)은 200분과 같다. 단계(S25)에서 COMP2 > C2라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도록 명령이 송신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계수는 계속된다.
그 후 단계(S26)에서 결빙 제거 작동이 수행되고, 단계(S26) 후에 상기 계수기(COMP2)는 0으로 재설정되고 단계(S23)로의 복귀가 있다.
상기 외부 교환기 및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S16 or S26)은 이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 2개의 작동들은 온도, 계수 및 이용된 모터 속력의 파라미터들의 값들에 있어 본질적으로 상이한바, 왜냐하면 양 경우에 있어 결빙 제거의 실행을 위한 상기 축적기 및 상기 외부 교환기 내의 압축된 유체의 유동이 있기 때문이다.
유리하게 결빙 제거 작동은 결빙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S100)로 시작된다. 단계(S15)에서 결빙 제거 명령의 송신에 뒤이어 상기 외부 교환기 및/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 제거는 특정 조건들이 충족되어야만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예시에서, 결빙 제거는 상기 차량의 속력이 미리 결정된 속력값(V 1 ) 이하이어야만 가능하게 된다. 유리하게 상기 속력(V 1 )은 0과 같다. 이 경우에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은 상기 차량이 정지되어야만 가능하게 된다. 그 후 단계(S100)는 상기 차량의 속력을 속력(Vi)과 비교하는 단계이다. 만약 상기 차량 속력이 Vi보다 크다면 상기 결빙 제거 프로세스가 중단되고, 단계(S12 또는 S22)로의 복귀가 이루어지는바, 이는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을 시작 또는 재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속력이 V 1 이하가 되는 것을 기다리는 것과 동치이다. 상기 차량 속력이 이미 Vi 이하라면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빙 제거가 중단된다면 상기 압축기는, 그리고 필요하다면 상기 동력화 팬 유닛도, 본 설명의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족되어야 할 다른 요구가 없어야만 정지된다. 그렇지 않다면 그것들이, 필요하다면 상이한 모터 속력으로, 이 다른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개선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보충적 조건들이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추가된다. 예를 들어 다음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된다:
- 상기 차량은 잠자기 절차(sleep procedure)를 겪어야만 한다; 즉, 상기 차량의 전자 시스템들은 그것들의 상태를 저장하고 그것들의 프로세스들을 정지시키는 국면에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잠자기 절차는,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그리고 시작하도록 부분적으로 중단된다; 상기 차량은 특정 최대 지속시간 동안 깨어있도록 유지되는바, 상기 특정 최대 지속시간은 상기 계수값(C3 + C4)에 해당하는 지속시간보다 실질적으로 더 길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최대 지속시간을 넘으면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이 정지된다;
■ 상기 시스템 회로의 이용에 대한 다른 요구, 예를 들어 승객석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요구, 상기 차량의 트랙션 배터리의 내구성을 최적화하도록 또는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온도로 인한 그것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상기 차량의 트랙션 배터리의 모듈들을 적절한 온도에서 유지하기 위한 요구, 또는 (사용자가 타기 전에 상기 승객석을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승객석을 공기조화시키기 위한 요구가 없다; 변형례에서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은 이 요구들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우선되는 순위를 가진다;
■ 상기 압축기에 대한 파워 공급기(power supply) 또는 상기 압축기 자체에 고장(failure)이 없다;
■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떠난 것으로 추정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트랙션 모터가 정지되었는지, 또는 문들이 폐쇄되고 열쇠로 잠겼는지를 알아내도록 검출이 수행된다;
■ 상기 차량의 트랙션 모터가 정지되었다; 그렇다면, 사용자가 떠난 것으로 추정됨을 상기 차량이 보고하거나 상기 차량이 잠자기 상태로 되려고 함을 상기 차량이 보고하기 전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 상기 차량은 외부 파워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야만 한다; 이 경우에 상기 결빙 제거 작동에 요구되는 파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파워 공급 네트워크에 의해서만 공급된다; 또는
■ 상기 차량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미리 한정된 문턱값(threshold)을 초과하여야만 한다.
그 후 단계(S101)에서 상기 압축기(10)는 미리 결정된 모터 속력(R2)에서 가동된다. 상기 값(R2)은 결빙이 제거될 요소의 함수이다. 유리하게,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모터 속력은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모터 속력보다 더 높다.
상기 외부 교환기에 대하여 R2는 예를 들어 5000 r.p.m.과 같으며, 상기 축적기에 대하여 R2는 예를 들어 6000 r.p.m.과 같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의 모터 속력(R2)은 상기 외부 온도(Text)의 함수로서 한정된다. 상기 외부 온도가 증가되면 상기 모터 속력(R2)이 증가된다.
이 단계에서, 압축된 냉매 유체가 상기 외부 교환기 및 상기 축적기를 통하여 유동하는바, 이는 상기 외부 교환기의 외벽들 상의 서리, 및 상기 축적기의 외벽들 상의 서리의 적어도 일부를 녹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빙 제거 작동 동안에, 단계(S102)에서 계수기(COMP3)는 다음 조건들이 존재하는 한 증가된다:
■ Text ≤ T6; 그리고
■ TS ≤ T7; 그리고
■ COMP3 < C3;
여기에서
- 상기 계수기(COMP3)의 계수값은 COMP3으로 표기된다;
- T6는 0°C에 가까운 미리 결정된 영상의 온도이다; 적절하다면, 그것은 결빙 제거 요구(상기 교환기의 결빙 제거 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 제거)의 명령의 함수일 수 있다; 상기 모터 속력들(R2)이 상이하다면 T6은 예를 들어 양 결빙 제거 작동들에 대하여 5°C과 같다;
- T7은 미리 결정된 다른 영상의 온도이며, 적절하다면, 상기 결빙 제거 명령의 함수일 수도 있다; 상기 모터 속력들(R2)이 상이하다면 T7은 예를 들어 양 결빙 제거 작동들에 대하여 10°C와 같다; 그리고
- C3은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의 최대 지속시간에 결부된 계수값이다. C3은 예를 들어 6분의 지속기간(D3)에 해당하는 계수값이다.
이 목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외부 온도(Text)를 상기 온도 문턱값(T6)과 비교하는 단계(S103), 및 상기 온도(TS)를 상기 온도 문턱값(T7)과 비교하고 상기 계수기(COMP3)의 계수값을 상기 계수값(C3)과 비교하는 단계(S104)를 포함한다.
단계(S105)에서, Text>T6이라면, 상기 압축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이 정지된다. 그렇지 않고 Text ≤ T6이라면, 상기 방법은 단계(S104)로 계속된다. TS ≤ T7 및 COMP3 < C3이라면 단계(S100)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방법은 단계(S106)로 계속되는데, 상기 단계(S106)에서 상기 외부 온도(Text)는 영상의 온도(T8)와 비교된다.
Text>T8이라면, 상기 방법은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의 제2 국면으로 계속되는바, 이 국면 동안에 상기 외부 교환기(114)에 인접 배치된 동력화 팬 유닛(17)이,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의 이전 국면 동안에 서리의 녹음의 결과로서 상기 외부 교환기의 외벽들 상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송풍(blowing)에 의해 제거하도록, 가동된다.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의 이 제2 국면은 상기 외부 온도(Text)가 고도로 영하(highly negative)가 아니어야만 유용하다. 이는, 상기 외부 온도(Text)를 상기 온도(T8)와 비교하는 단계(S106)가 이 제2 국면에 앞서는 이유이다. T8은 예를 들어 -10°C와 같다. Text ≤ T8이라면,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은 가동되지 않는바, 외부 공기의 상기 외부 교환기 위로의 임의의 송풍은 상기 교환기의 외벽들 상에 존재하는 잔류수의 많은 양을 재동결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 제2 국면을 실행할 이득이 없다. 심지어, 상기 교환기의 벽들이 재결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불필요한 파워 소모를 회피하기 위하여 제2 국면의 실행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압축기는 단계(S105)에서 정지된다. 단계(S108)에서 Text>T8이라면 상기 동력화 팬 유닛(17)이 가동된다.
이 송풍 국면 동안에, 상기 압축기는 바람직하게 F¾ 미만의 속력(R3)에서 가동된다. R3은 상기 교환기의 결빙 제거 및 상기 축적기의 결빙 제거를 위하여 예를 들어 4000 r.p.m.과 같다. 이 송풍 국면은 상기 온도(TS)가 영상의 온도(T9) 이상이며 계수값(C4)에 해당하는 최대 지속시간(D4)이 초과되지 않은 동안에 실행된다. 이는, 왜냐하면 송풍 동안에 상기 교환기를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가 떨어지고, 이 온도가 0°C에 가까운 온도에 접근한다면 초기의 서리의 녹음에서 비롯된 물이 동결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온도(T9)는 예를 들어 2°C와 같으며 C4에 해당하는 지속시간(D4)은 예를 들어 2분과 같다. T9는 유리하게 0°C에 가깝다. 따라서 이 국면은 계수기(COMP4)를 증가시키는 단계(S109), 및 상기 온도(TS)를 상기 값(T9)과 비교하고 상기 계수기(COMP4)의 계수값을 상기 계수값(C4)과 비교하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단계(S100)와 동일한, 결빙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S107)가 단계(S108)에 앞선다. 0이 아닌 차량 속력, 또는 우선 요구(priority demand), 예를 들어 열적 편안함(thermal comfort), 미리 승객석을 조화시킴(pre-conditioning) 또는 배터리 공기조화를 위한 요구 때문에 결빙 제거가 가능하게 되지 않는다면 단계(S12 또는 S22)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충족되어야 할 다른 요구가 없어야만 상기 압축기 및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이 정지된다. 그렇지 않다면 그것들은, 필요하다면 상이한 모터 속력으로, 이 다른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상기 송풍 국면은, 상기 온도(TS)가 T9 미만이거나 상기 계수기(COMP4)의 계수값이 상기 계수값(C4) 이상일 때에 정지된다. 그 후, 단계(S111)에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이 정지된다. 이 두 조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이 충족되지 않는 한, 상기 송풍은 계속되고 상기 계수기(COMP4)는 증가된다.
단계(S112)에서, 상기 압축기가, 그리고 적절하다면 상기 동력화 팬 유닛도 정지된 후에만 상기 계수기들(COMP3 및 COMP4)이 0으로 재설정된다. 그 후에 단계(S13 또는 S23)으로의 복귀가 이루어지는바, 상기 단계(S13 또는 S23)에서 상기 계수기들(COMP1 및 COMP2)이 0으로 재설정된다.
더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는, 그리고 적절하다면 상기 동력화 팬 유닛도,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이용에 대한 요구가 상기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자마자, 결빙 제거를 위해 이용되는 것을 그만둔다. 변형례에서 상기 결빙 제거 요구는 하나 이상의 다른 요구들에 대하여 우선되는 순위를 가진다.
계수기들(COMP1, COMP2, COMP3 및 COMP4)이 0으로 재설정된 후에 상기 프로세스의 시작지점으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그리고 결빙 제거가 가능하게 된 것을 그만둔 경우에, 상기 히트 펌프는 상기 시스템에 의해 요구되는 작동 모드로 가동된다. 작동 모드가 요구되지 않는다면 상기 히트 펌프는 유휴 상태(rest state)에 들어간다.
분명하게도,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어 왔음에도 이에 의해 어떻게든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설명된 수단들의 기술적 균등물들 및 그것들의 조합들 전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리 한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교환기의 결빙의 검출에 기초하여 일반적인 결빙 명령을 송신한 후에 상기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을 시작하거나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특정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다. 상기 방법은 그 후에 도 5의 단계들(S10 내지 S14)과 동일한 단계들을 포함한다. 도 7에서 S10 내지 S15의 참조번호들도 다시 이용된다. 그런데 단계(S15)에 대하여는, 송신된 결빙 제거 명령이,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을 시작하기 위하여도,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을 시작하기 위하여도 모두 유효한 명령으로 간주된다. 그 후에 단계(S’16)에서 미리 한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 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시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은 매 n회 중 한번 시작되며, 여기에서 n은 2 이상의 정수인 반면,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은 나머지 회차에 시작된다.
도 8에 도시된 다른 변형례에서, 상기 교환기 상의 결빙의 검출(S10 내지 S15) 및 상기 축적기 상의 결빙의 검출(S20 내지 S25)은 동시에 수행되는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며, S"16로 표기되는 상기 결빙 제거 단계에서, 상기 회로의 결빙 제거 파라미터들은, 상기 축적기의 결빙이 검출된다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 제거 파라미터들일 것이나, 그렇지 않다면 상기 외부 교환기의 결빙 제거 파라미터들일 것이다.

Claims (19)

  1. 자동차를 위한 히트 펌프 시스템을 위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히트 펌프 시스템은,
    냉매 유체를 가열 및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10),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동하는 냉매 유체와의 열 교환에 의해 상기 자동차의 승객석 내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모드에서 응축기를 형성하는 내부 열 교환기(11), 상기 냉매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팽창 밸브(13), 외부 공기와의 열 교환에 의해 상기 팽창 밸브로부터 유동하는 냉매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상기 가열 모드에서 증발기를 형성하는 외부 열 교환기(14), 및 압축 전에 상기 냉매 유체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열 교환기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개재된 축적기(accumulator; 1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a) 상기 가열 모드에서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검출하는 단계(S10),
    b) 상기 외부 열 교환기 결빙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 요소(COMP1)를 결정(determine)하는 단계(S11-S14),
    c) 상기 외부 열 교환기 결빙의 지속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1 최대 지속시간(Ci) 이상이라면,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defrost) 위한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15), 및
    d)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된다면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을 시작하고(S16; S'16; S"26), 미리 한정된 기준(predefined criterion)에 따라 상기 외부 열 교환기 및 상기 축적기 내에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유체를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을 시작하는 단계(S26; S'16; S”26)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한정된 기준(predefined principle)은,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된다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매 n회 중 한번 시작되며,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나머지 회차에 시작되며, 여기에서 n은 2 이상의 정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 단계 a)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검출하는 단계(S20)를 더 포함하고,
    - 단계 b)는, 상기 축적기 결빙의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 요소(COMP2)를 결정(determine)하는 단계(S21 - S24)를 더 포함하며,
    - 단계 c)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의 지속시간이, 미리 결정된 제2 최대 지속시간(C2) 이상이라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S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리 한정된 기준은,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된다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시작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열 교환기 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S16, S26; S'16; S"16)은, 뜨거운 냉매 유체를 상기 외부 열 교환기 및 상기 축적기 내에서 유동시키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제1 모터 속력(R2)에서, 미리 결정된 제3 최대 지속시간(C3) 이하의 지속시간 동안 상기 압축기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속력 및 상기 제3 최대 지속시간은 상기 결빙 제거 작동의 함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외부 열 교환기에 인접한 동력화 팬 유닛(motorized fan unit; 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열 교환기 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S16, S26; S'16; S"16)은, 서리가 녹은 후에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외벽들 상에 남아 있는 물을 제거하는 데 이용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기 위하여, 만약 외부 공기 온도(Text)가, 미리 결정된 제1 온도값(T8)을 초과한다면 제4 최대 지속시간(C4) 이하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을 가동시키는 단계(S108)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외부 공기 온도(Text)가 미리 결정된 제2 온도값(Ti) 미만이고,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와 상기 외부 공기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Text-TS)가, 미리 결정된 제3 온도값(T2)을 초과한다면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이 검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온도값(T2)은 상기 외부 공기 온도(Text)의 함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압축기의 모터 속력(RPMComp)이, 미리 결정된 제2 모터 속력값(Ri)을 초과하고, 상기 외부 공기 온도(Text)가, 미리 결정된 제4 온도값(T3) 미만이고,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와 상기 외부 공기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Text-TS)가, 미리 결정된 제5 온도값(T4)을 초과한다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이 검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온도값(T4)은 상기 외부 공기 온도의 함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단계 b) 동안에,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이 검출되는 때에 제1 계수기(COMP1)가 증가(increment)되고, 상기 축적기의 결빙이 검출되는 때에 제2 계수기(COMP2)가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 온도(Text)가 영상(零上; positive)의 미리 결정된 제6 온도값(T5) 이상인 때에 상기 제1 계수기 및 상기 제2 계수기(COMP1, COMP2)가 0으로 재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c) 동안에, 상기 제1 계수기(COMP1)의 계수값이, 상기 제1 최대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제1 계수값(first count value; Ci) 이상이라면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되고, 상기 제2 계수기(COMP2)의 계수값이, 상기 제2 최대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제2 계수값(C2) 이상이라면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한 명령이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속력이 30 km/h 이하의 미리 결정된 속력값(V1 ) 이하이어야만, 상기 외부 열 교환기 또는 상기 축적기의 결빙을 제거하는 작동이 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속력(R2)에서 제3 최대 지속시간(C3) 이하의 지속시간 동안 상기 압축기를 가동시키는 상기 단계는:
    - 상기 제1 모터 속력(R2)에서 상기 압축기를 가동시키는 단계(S101),
    -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TS)가, 미리 결정된 제7 온도값(T7) 이하이고, 제3 계수기(COMP3)의 계수값이, 상기 제3 최대 지속시간(C3)보다 짧은 제5 최대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제3 계수값(C3) 미만이며, 상기 외부 공기 온도(Text)가, 미리 결정된 제8 온도(T6) 이하인 한, 제3 계수기(COMP3)를 증가시키는 단계(S102-S104), 및
    - 상기 제3 계수기(COMP3)의 증가가 정지된 때에 상기 압축기를 정지시키는 단계(S10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최대 지속시간(C4) 이하의 지속기간 동안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을 가동시키는 단계는:
    - 상기 외부 공기 온도(Text)가,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온도값(T8) 이상이라면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을 가동시키는 단계(S106, S108),
    -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유체의 온도(TS)가, 미리 결정된 제9 온도값(T9) 이상이며, 제4 계수기(COMP4)의 계수값이 상기 제4 최대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제4 계수값(C4) 미만인 한, 상기 제4 계수기(COMP4)를 증가시키는 단계(S109, S110), 및
    - 상기 제4 계수기(COMP4)의 증가가 정지된 때에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을 정지시키는 단계(S11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화 팬 유닛이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압축기가 가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계수기의 증가 동안에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1 모터 속력(R2) 이하인 제3 모터 속력(R3)에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수기(COMP1) 및 상기 제2 계수기(COMP2) 중 적어도 하나의 증가 간격(incrementation interval), 또는 증가 속력(incrementation speed)은 상기 외부 공기 온도(Text)의 함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수기(COMP1) 및 상기 제2 계수기(COMP2) 중 적어도 하나의 증가 간격(incrementation interval), 또는 증가 속력(incrementation speed)은 상기 외부 열 교환기의 유출구에서의 상기 냉매 유체의 온도와 상기 외부 공기 온도 사이의 온도 차이(Text-TS)의 함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147028302A 2012-03-08 2012-11-26 차량용 히트 펌프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자동 제어 방법 KR102108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2112A FR2987889B1 (fr) 2012-03-08 2012-03-08 Procede de commande automatique destine au degivrage d'une pompe a chaleur pour vehicule
FR1252112 2012-03-08
PCT/EP2012/073558 WO2013131589A1 (fr) 2012-03-08 2012-11-26 Procede de commande automatique destine au degivrage d'une pompe a chaleur pour vehic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786A KR20140143786A (ko) 2014-12-17
KR102108496B1 true KR102108496B1 (ko) 2020-05-08

Family

ID=4722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302A KR102108496B1 (ko) 2012-03-08 2012-11-26 차량용 히트 펌프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자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50040589A1 (ko)
EP (1) EP2822788B1 (ko)
JP (1) JP6177811B2 (ko)
KR (1) KR102108496B1 (ko)
CN (1) CN104159759B (ko)
FR (1) FR2987889B1 (ko)
WO (1) WO2013131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8917B1 (fr) * 2012-04-03 2014-03-28 Renault Sa Procede de gestion de charge d'une batterie de traction et dispositifs correspondants
JP2014058239A (ja) * 2012-09-18 2014-04-03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R3026172B1 (fr) * 2014-09-24 2017-06-02 Valeo Systemes Thermiques Procede de pilotage d'une installation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et installation correspondante, avec limitation de debit d'air
FR3026173B1 (fr) * 2014-09-24 2016-10-28 Valeo Systemes Thermiques Procede de pilotage d'une installation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et installation correspondante, avec utilisation d'un dispositif de chauffage electrique
US10514191B2 (en) * 2015-01-15 2019-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icing control in a vapor compression heat pump system
US10391835B2 (en) * 2015-05-15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icing a heat pump
FR3049236B1 (fr) * 2016-03-23 2019-05-10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limatisation pour un vehicule automobile
JP2018079722A (ja) * 2016-11-14 2018-05-24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6458079B2 (ja) * 2017-05-19 2019-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調装置
JP7112453B2 (ja) * 2020-07-15 2022-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4308A1 (en) * 2005-05-16 2006-11-16 Denso Corporation Ejector cycle device
JP2006322691A (ja) 2005-05-20 2006-11-30 Denso Corp エジェクタサイク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4848A (en) * 1948-02-06 1951-05-29 Tenney Enginee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frosting evaporators
US3792594A (en) * 1969-09-17 1974-02-19 Kramer Trenton Co Suction line accumulator
US3636723A (en) * 1969-09-17 1972-01-25 Kramer Trenton Co Refrigeration system with suction line accumulator
US3922875A (en) * 1974-09-12 1975-12-02 Jr William F Morris Refrigeration system with auxiliary defrost heat tank
US4279129A (en) * 1978-10-02 1981-07-21 Carrier Corporation Hot gas defrost system
US4286435A (en) * 1978-10-02 1981-09-01 Carrier Corporation Hot gas defrost system
US4680940A (en) * 1979-06-20 1987-07-21 Vaughn Eldon D Adaptive defrost control and method
JPS60122848A (ja) * 1983-12-06 1985-07-0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
JPS63290370A (ja) * 1987-05-21 1988-11-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除霜運転制御装置
JP3373326B2 (ja) * 1995-04-17 2003-02-04 サ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DE19644583B4 (de) * 1996-10-26 2004-12-30 Behr Gmbh & Co. Kg Fahrzeugklimaanlage mit mehreren Kondensatoren und/oder Verdampfern
JP3794078B2 (ja) 1996-12-05 2006-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468664B2 (ja) * 1997-04-30 2003-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フロスタ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0234842A (ja) * 1999-02-15 2000-08-29 Toshiba Corp 冷蔵庫
JP4211186B2 (ja) * 2000-03-06 2009-01-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ヒートポンプ装置
DE10126257A1 (de) * 2001-05-29 2002-12-05 Behr Gmbh & Co Heiz-/Kühlkreislauf für eine 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es, Klimaanlage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rselben
JP2003063236A (ja) * 2001-08-27 2003-03-05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20050103029A1 (en) * 2002-01-15 2005-05-19 Keizou Kawahara Refrigerator having alarm device for alarming leakage of refrigerant
JP4147942B2 (ja) * 2003-01-09 2008-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装置の凍結防止装置
KR100885583B1 (ko) * 2007-08-24 2009-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R2958019B1 (fr) * 2010-03-24 2015-07-17 Valeo Systemes Thermiques Boucle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et installation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comprenant une telle boucle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JP2012030734A (ja) * 2010-08-02 2012-02-16 Tgk Co Ltd 車両用冷暖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4308A1 (en) * 2005-05-16 2006-11-16 Denso Corporation Ejector cycle device
JP2006322691A (ja) 2005-05-20 2006-11-30 Denso Corp エジェクタサイ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2788A1 (fr) 2015-01-14
JP2015520834A (ja) 2015-07-23
CN104159759B (zh) 2017-03-22
JP6177811B2 (ja) 2017-08-09
CN104159759A (zh) 2014-11-19
US20190023104A1 (en) 2019-01-24
FR2987889B1 (fr) 2014-04-18
WO2013131589A1 (fr) 2013-09-12
US20150040589A1 (en) 2015-02-12
KR20140143786A (ko) 2014-12-17
US10639965B2 (en) 2020-05-05
FR2987889A1 (fr) 2013-09-13
EP2822788B1 (fr)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49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의 결빙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자동 제어 방법
US1056237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9562712B2 (en) Vehicular air-conditioning unit
US6016662A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effectively cooling a main cooling unit and an additional cooling unit
US10239382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619243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EP2014491B1 (e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N105307883A (zh) 车辆用热管理系统
JP5524506B2 (ja) 自動車用空調ユニットの作動方法
US20160303945A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air-conditioning system
JP2008030706A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その空調制御方法
EP368011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ergy efficient defrost of a transport climate control system evaporator
JP578647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3151181A (ja) 車両用エアコンにおけるエバポレータの温度制御を行う電動コンプレッサ
JP7263116B2 (ja) 車両搭載機器の温度調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5265284A (ja) ブライン式空調装置
JP2022068466A (ja) 空調装置
JP2005041252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20250764A1 (ja) 車両用空調装置
CN117136144A (zh) 车辆用空气调节系统以及车辆用空气调节方法
JP6017537B2 (ja) 車両乗員室の熱調整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3263885B (zh) 调节用于机动车的热泵的方法以及机动车的热泵和机动车
JP6553931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23276626A1 (ja)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
JP2006118783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