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259B1 - 여닫이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여닫이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259B1
KR102108259B1 KR1020180160517A KR20180160517A KR102108259B1 KR 102108259 B1 KR102108259 B1 KR 102108259B1 KR 1020180160517 A KR1020180160517 A KR 1020180160517A KR 20180160517 A KR20180160517 A KR 20180160517A KR 102108259 B1 KR102108259 B1 KR 102108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dy
door
stopper
opening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섭
박주호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torsion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33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torsion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61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ngular arrangement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Y2900/608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방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방으로 열리는 도어 본체와,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바와, 상기 힌지 모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본체와 함께 회전하는 스토퍼 환형부와 상기 스토퍼 환형부에서 상기 힌지 모듈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걸림부를 포함하는 스토퍼와,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의 환형부와 접촉하며 상기 도어 본체가 닫힐 때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에 걸리는 스토퍼 핀 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닫이 도어 시스템{HINGED DOOR SYSTEM}
본 발명은 여닫이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방(上方)으로 열리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 구조물에 사용되는 문은 전후 방향 여닫이 문 또는 좌우 방향의 미닫이 문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전후 방향 여닫이 문은 일측에 힌지가 마련되고 타측에 손잡이가 마련되며, 손잡이로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이러한 전후 방향 여닫이 문은 문의 무게가 중량(重量)이라 하더라도 문이 고정된 힌지 축의 회전 저항 토크가 손잡이를 잡고 문을 여닫는 사용자의 작용 작동 토크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문의 개폐가 수월하다. 따라서, 문의 무게가 수백 킬로그램(kg)에 달한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큰 문제없이 수동으로 문을 여닫을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 미닫이 문은 문의 아래 부분에 설치된 롤러가 문을 받치고 있다. 여기서, 문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 롤러의 회전 저항은 문의 무게에 비해 상당히 작은 토크가 걸리기 때문에 웬만한 고 하중이 아니라면 사용자가 큰 문제없이 수동으로 미닫이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다.
하지만,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계 장치의 경우 상방(上方)으로 형성된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개폐하기 위한 상하 방향의 여닫이 문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특수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계 장치는 경우에 따라 방호 목적으로 문의 두께가 두꺼워 상당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문의 무게를 사용자의 힘으로 온전히 들어 올려서 열거나 닫아야 하며 문의 무게가 사용자의 힘보다 무거울 경우에는 그 문을 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문을 닫을 때 위험한 상황이 야기될 수 있다. 즉, 문을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문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거나 문이 닫히는 속도를 감당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문에 끼이거나 깔리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이 상하 방향으로 열리고 닫히므로, 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비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물에 문의 틈이 직접 노출되므로, 더욱 효과적인 방수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열리고 닫히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우천시 누수 방지 기능을 갖춘 상하 방향으로 열리고 닫히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방(上方)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방으로 열리는 도어 본체와,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바와, 상기 힌지 모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본체와 함께 회전하는 스토퍼 환형부와 상기 스토퍼 환형부에서 상기 힌지 모듈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걸림부를 포함하는 스토퍼와,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의 환형부와 접촉하며 상기 도어 본체가 닫힐 때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에 걸리는 스토퍼 핀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핀 조립체는 일단부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고 타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 핀 본체와, 상기 스토퍼 핀 본체를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토퍼 핀 탄성부, 그리고 상기 스토퍼 핀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된 스토퍼 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본체가 열릴 때 상기 스토퍼 핀 본체와 먼저 맞닿는 면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상기 도어 본체가 닫힐 때 상기 스토퍼 핀 본체와 먼저 맞닿는 면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도어 본체의 열림각이 60도에 멈추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도어 본체의 열림각이 30도에서 멈추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플레이트와 볼트로 결합된 제1 힌지 브래킷과, 상기 도어 본체와 볼트로 결합된 제2 힌지 브래킷과, 상기 제1 힌지 브래킷과 상기 제2 힌지 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 그리고 상기 제1 힌지 브래킷과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삽입된 힌지 고정용 보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 본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도어 열림각 제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림각 제한 장치의 단부에는 닫힘 방지용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도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최대로 열릴 때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홀에 걸려 상기 도어 본체를 고정시키는 닫힘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닫힘 방지 장치는 상기 도어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최대로 열릴 때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홀에 걸리는 닫힘 방지용 고정핀과,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핀이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핀을 탄성 가압하는 닫힘 방지용 탄성부, 그리고 상기 도어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핀을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열림 유지 해제용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힌지 모듈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힌지 모듈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보조 고정홀이 형성된 보조 고정 지지대와,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최대로 열린 상태일 때 상기 보조 고정 지지대의 제1 보조 고정홀과 연통하는 제2 보조 고정홀이 형성된 보조 고정 브래킷,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고정홀과 상기 제2 보조 고정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조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열림 방지용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도어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닫힐 때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홀에 걸려 상기 도어 본체를 고정시키는 열림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림 방지 장치는 상기 도어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닫힐 때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홀에 걸리는 열림 방지용 고정핀과,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핀이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핀을 탄성 가압하는 열림 방지용 탄성부, 그리고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핀을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는 열림 방지 해제용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본체는 양문형으로 형성된 제1 도어 본체와 제2 도어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상기 제2 도어 방향 단부는 하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상기 제1 도어 방향 단부는 상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1 도어 본체와 상기 제2 도어 본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와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한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 또는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도어 본체와 상기 제2 도어 본체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와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도어 시일(seal)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와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부 가장자리가 만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 본체, 상기 제2 도어 본체,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틈을 커버하는 방수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 패드는 상기 제1 도어 본체 또는 상기 제2 도어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수 패드는 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도어 본체 또는 상기 제2 도어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볼트의 머리와 상기 방수 패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방수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와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부 가장자리가 만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 본체, 상기 제2 도어 본체,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틈을 커버하는 브래킷 일체형 시일(se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열리고 닫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은 우천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여닫이 도어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열림 방지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열림 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여닫이 도어 시스템의 도어 본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토션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토션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스토퍼 및 스토퍼 핀 조립체를 중심으로 확대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토퍼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토퍼 핀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힌지 모듈에 힌지 고정용 보강핀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보조 고정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보조 고정 지지대를 중심으로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닫힘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닫힘 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닫힘 방지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B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제1 도어 본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101)은 상방(上方)으로 형성된 개구부(109)를 갖는 플레이트(100)에 설치되어 개구부(109)를 개폐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열리고 닫히며, 특수 목적의 기계 장치나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101)은 도어 본체(200), 힌지 모듈(300), 토션바(400), 스토퍼(500), 및 스토퍼 핀 조립체(5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101)은 열림각 제한 장치(450), 닫힘 방지 장치(280), 보조 고정 지지대(560), 보조 고정 브래킷(580), 보조 고정핀(570), 열림 방지 장치(260), 도어 시일 부재(610), 방수 패드(620), 패드 커버(640), 및 브래킷 일체형 시일(6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101)은 와이어(250) 및 완충 부재(45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어 본체(200)는 플레이트(100)의 개구부(109)를 개폐한다. 또한, 도어 본체(200)는 운용 공간을 확보하고 작용 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양문형으로 형성된다. 즉, 도어 본체(200)는 제1 도어 본체(210)와 제2 도어 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도어 본체(210)와 제2 도어 본체(220)는 플레이트(100)의 개구부(109)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힌지 모듈(300)은 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도어 본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플레이트(200)의 내측, 즉 플레이트의 아래에서 제1 도어 본체(210)와 제2 도어 본체(220)를 신속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 모듈(300)은 플레이트(100)와 결합된 제1 힌지 브래킷(310), 도어 본체(200)와 결합된 제2 힌지 브래킷(320), 및 제1 힌지 브래킷(310)과 제2 힌지 브래킷(32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3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축(340)은 경우에 따라 후술할 토션바(400)가 겸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힌지 브래킷(310) 및 제2 힌지 브래킷(320)은 각각 플레이트(100) 및 도어 본체(200)와 볼트를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접 또는 리벳팅과 같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종사하는 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도어 본체(200)가 닫힌 상태에서 위에서 내려다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어 본체(200)가 닫힌 상태에서 아래서 올려다본 배면도이다.
열림 방지 장치(260)는 도어 본체(200)가 닫혔을 때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도어 본체(200)가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본체(200)의 내측에 설치된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어 본체(200)가 닫혔을 때 열림 방지 장치(260)가 도어 본체(200)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열림 방지 장치(260)가 도어 본체(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플레이트(100)의 개구부(109) 가장자리에는 열림 방지용 고정홀(129)이 형성된다. 즉, 열림 방지 장치(260)는 도어 본체(200)가 닫힐 때 열림 방지용 고정홀(129)에 걸려 도어 본체(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림 방지 장치(260)는 도어 본체(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 본체(200)가 닫힐 때 열림 방지용 고정홀(129)에 걸리는 열림 방지용 고정핀(261)과, 열림 방지용 고정핀(261)이 열림 방지용 고정홀(129)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열림 방지용 고정핀(261)을 탄성 가압하는 열림 방지용 탄성부(268), 그리고 열림 방지용 고정핀(261)을 열림 방지용 고정홀(129)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견인하기 위한 열림 방지 해제용 손잡이(26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림 방지 해제용 손잡이(264)는 와이어(2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와이어(250)를 당기면, 열림 방지용 고정핀(261)이 후퇴하면서 열림 방지용 고정홀(129)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 본체(200)를 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림 방지용 고정핀(261)은 용이하게 열림 방지용 고정홀(129)에 삽입되거나 열림 방지용 고정홀(129)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단부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림 방지 장치(260)는 전술한 열림 방지용 고정핀(261)과 열림 방지용 탄성부(268)를 도어 본체(210)의 내측에 결합시키는 열림 방지용 케이스(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림 방지 장치(260)는 제1 도어 본체(210)와 제2 도어 본체(220)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1 도어 본체(210)와 제2 도어 본체(220)에 각각 2개씩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림 방지 장치(260)에 의해 도어 본체(200)가 닫히면서 고정된다.
열림각 제한 장치(4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0)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도어 본체(200)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한다. 즉, 도어 본체(200)는 열림각 제한 장치의 간섭을 받아 180도 각도까지 열리지 못하게 된다. 일례로, 열림각 제한 장치(450)는 도어 본체(200)의 열림각을 130도로 제한할 수 있다.
만약에 도어 본체(200)가 180도 가까이 열린다면, 다시 도어 본체(200)를 닫을 때 운용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플레이트(100)의 내측에 위치하다가 도어 본체(200)를 닫기 위해 개구부(109)로 상체를 내밀고 도어 본체(200)를 잡아 당겨야 한다. 사용자가 플레이트(100) 내측에서 도어 본체(200)를 밀어 올릴 때에는 힘을 충분이 가할 수 있더라도, 180도 가까이 열린 도어 본체(200)를 잡아 당겨서 닫기에는 자세의 불안정함으로 인해 충분히 힘을 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도어 본체(200)를 닫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개구부(109) 밖으로 완전히 나간 뒤 도어 본체(200)를 90도 가까이 들어올린 다음 다시 개구부(109)로 돌아와 도어 본체(200)를 완전히 닫아야 하는 번거로운 동작을 거쳐야 한다. 즉, 사용자가 도어 본체(200)를 닫기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닫을 수도 없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열림각 제한 장치(450)를 사용하여 도어 본체(200)의 열림각을 사용자가 도어 본체(200)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도어 본체(200)를 편리하게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닫을 수 있게 된다.
완충 부재(455)는 열림각 제한 장치(45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어 본체(200)가 열리면서 열림각 제한 장치(450)와 부딪힐 때의 충격을 완화한다.
토션바(4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모듈(300)에 결합되어 도어 본체(200)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토션바(400)는 플레이트(100)와 도어 본체(200) 사이에서 비틀림 탄성을 발생시키고, 이 비틀림 탄성을 이용하여 완충 작용을 하는 탄성 부재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션바(400)와 힌지 모듈(3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션바(400)의 비틀림 탄성력은 도어 본체(200)를 일정한 각도로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션바(400)는 도어 본체(200)가 95도 각도로 열린 상태에서 비틀림력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어 본체(200)를 닫게 되면, 도어 본체(200)가 내려가면서 도어 본체(200)의 자중과 토션바(400)의 비틀림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도어 본체(200)가 멈추게 된다. 이때, 도어 본체(200)는 20도 각도로 열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열림 방지 장치(260)가 도어 본체(200)의 열림 방지를 해제하면, 토션바(400)의 비틀림력에 의해 대략 20도 정도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토션바(400)를 장착함으로써, 도어 본체(200)를 열 때에는 토션바(400)의 비틀림력이 사용자가 도어 본체(200)를 밀어 올리는 힘을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토션바(400)의 비틀림력은 때에는 도어 본체(200)의 열린 각도가 95도가 될 때까지 작용하게 된다.
반대로, 도어 본체(200)의 열린 각도가 95도를 초과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즉 일례로 열린 각도가 130도에서 사용자가 도어 본체(200)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도, 열린 각도가 95도가 될 때까지 토션바(400)의 복원력의 도움을 받게 된다.
또한, 도어 본체(200)가 닫히면서 열린 각도가 95도 미만이 된 경우에는, 토션바(400)의 비틀림력이 점점 커지면서 도어 본체(200)가 닫히는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도어 본체(200)의 무게가 상당하더라도 용이하게 도어 본체(200)를 여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본체(200)가 급격하게 닫혀 안전 사고를 유발하거나 도어 본체(200)가 닫히는 과정에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5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모듈(300)의 일측에 마련되어 도어 본체(200)와 함께 회전하는 스토퍼 환형부(520)와, 스토퍼 환형부(520)에서 힌지 모듈(300)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걸림부(510)를 포함한다.
스토퍼 걸림부(510)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어 본체(200)가 열릴 때 후술할 스토퍼 핀 본체(531)와 먼저 맞닿는 면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도어 본체(200)가 닫힐 때 후술할 스토퍼 핀 본체(531)와 먼저 맞닿는 면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 본체(200)가 열릴 때에는 스토퍼 핀 본체(531)가 스토퍼 걸림부(510)에 걸리지 않지만, 도어 본체(200)가 닫힐 때에는 스토퍼 핀 본체(531)가 스토퍼 걸림부(510)에 걸리게 된다. 즉, 도어 본체(200)가 열릴 때는 스토퍼(500)의 톱니 형상의 비스듬한 면이 스토퍼 핀 본체(531)를 밀면서 스토퍼 핀 본체가(531) 스토퍼 핀 탄성부(533)를 밀고 아래로 내려가 걸리지 않게 된다. 반대로, 도어 본체(200)를 닫을 때는 스토퍼(500)가 스토퍼 핀 본체(531)에 걸리게 된다.
또한, 스토퍼 걸림부(510)는 제1 걸림부(511)와 제2 걸림부(512)를 포함하며, 제1 걸림부(511)는 도어 본체(200)의 열림각이 60도에 멈추도록 설정되고, 제2 걸림부(512)는 도어 본체(200)의 열림각이 30도에서 멈추도록 설정된다.
스토퍼 핀 조립체(530)는 일단부가 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스토퍼 환형부(520)와 접촉하며, 도어 본체(200)가 닫힐 때 스토퍼 걸림부(510)에 걸린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핀 조립체(530)는 일단부가 스토퍼(500)와 접촉하고 타단부가 플레이트(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 핀 본체(531)와, 스토퍼 핀 본체(531)를 상기 스토퍼(50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토퍼 핀 탄성부(533), 그리고 스토퍼 핀 본체(531)의 타단부에 결합된 스토퍼 핀 손잡이(534)를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 핀 조립체(530)는 스토퍼 핀 본체(531) 및 스토퍼 핀 탄성부(533)를 수용하여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는 스토퍼 핀 케이스(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토퍼(500)와 스토퍼 핀 조립체(530)는 사용자가 도어 본체(200)를 닫을 때 도어 본체(200)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거나 부주의로 도어 본체를 손에서 놓치더라도 도어 본체(200)가 완전히 닫히지 않고 스토퍼(500)에 의해 멈춤으로써, 안전 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도어 본체(200)가 열림각이 60도일 때와 30도일 때 각각 한번씩 걸리도록 스토퍼 걸림부(510)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500)에 걸려 멈추는 도어 본체(200)의 열림각이 전술한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플레이트(100)의 개구(109)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체격과 자세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본체(200)가 닫히면서 스토퍼 핀 본체(531)가 스토퍼(500)에 걸리면, 사용자는 플레이트(100)의 내측에서 스토퍼 핀 손잡이(534)를 잡아당겨 스토퍼(500)에 걸린 스토퍼 핀 본체(531)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레이트(100) 내측의 안전한 위치에서 스토퍼(500)의 걸림을 해제하고 도어 본체(200)를 완전히 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 본체(200)의 열림각이 60도에서 스토퍼(500)가 걸린 상태라면, 사용자가 플레이트(100) 내측의 안전한 위치에서 스토퍼 핀 손잡이(534)를 계속 잡아 당겨 30도에서는 걸리지 않고 바로 도어 본체(200)를 완전히 닫을 수도 있다.
또한, 힌지 모듈(300)의 제1 힌지 브래킷(310)에는 도어 본체(200)의 무게에 따른 과도한 힘이 집중된다. 예를 들어, 도어 본체(200)를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 본체(200)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거나 부주의로 인하여 도어 본체(200)를 손에서 놓치게 되면, 도어 본체(200)가 스토퍼(500)에 걸려 급격하게 멈추게 되고, 이때 도어 본체(200)를 지지하는 힌지 모듈(300)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특히, 스토퍼 핀 조립체(530)를 축으로 큰 충격이 발생하면서 제1 힌지 브래킷(310)이 들리거나 밀리게 된다. 그리고 제1 힌지 브래킷(310)이 들리거나 밀려나면, 제1 도어 본체(210)와 제2 도어 본체(220)의 정렬이 어긋나면서 제대로 닫히지 않게 된다.
이에, 힌지 모듈(300)은 제1 힌지 브래킷(310)이 밀려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를 사용한 플레이트(100)와의 결합 이외에 추가로 제1 힌지 브래킷(310)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힌지 고정용 보강핀(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고정용 보강핀(315)은 제1 힌지 브래킷(310)과 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고정 지지대(560)는 힌지 모듈(300)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보조 고정 지지대(560)에는 힌지 모듈(300)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보조 고정홀(563)이 형성된다.
보조 고정 브래킷(580)은 플레이트(100)에 결합된다. 그리고 보조 고정 브래킷(580)에는 도어 본체(200)가 최대로 열린 상태일 때 보조 고정 지지대(560)의 제1 보조 고정홀(563)과 연통하는 제2 보조 고정홀(583)이 형성된다.
보조 고정핀(570)은 제1 보조 고정홀(563)과 제2 보조 고정홀(58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도어 본체(200)가 최대로 열린 상태가 아닌 경우에, 보조 고정핀(570)은 제2 보조 고정홀(583)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 도어 본체(200)는 후술할 닫힘 방지 장치(460)에 의해 고정되나, 안정성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하여 보조 고정핀(570)을 사용하여 도어 본체(200)의 움직임을 보조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닫힘 방지 장치(280)는, 도 15와 함께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본체(200)에 설치되어 도어 본체(200)가 최대로 열릴 때 도어 본체(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닫힘 방지 장치(280)는 도어 본체(20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도어 본체(200)가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거운 두께의 도어 본체(200)가 임의로 닫히게 되면, 사용자에게 위해를 가하여 매우 심각한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열림각 제한 장치(450)의 단부에는 닫힘 방지 장치(280)가 걸릴 수 있도록 닫힘 방지용 고정홀(458)이 형성된다. 즉, 도어 본체(200)가 최대로 열릴 때 닫힘 방지 장치(280)가 닫힘 방지용 고정홀(458)에 걸려 도어 본체(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힘 방지 장치(280)는 도어 본체(200)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어 본체(200)가 최대로 열릴 때 닫힘 방지용 고정홀에 걸리는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과,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이 닫힘 방지용 고정홀(458)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을 탄성 가압하는 닫힘 방지용 탄성부(288), 그리고 도어 본체(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을 닫힘 방지용 고정홀(458)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닫힘 방지 해제용 손잡이(284)를 포함한다. 그리고 닫힘 방지 해제용 손잡이(284)의 일단부가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의 타단부에 걸려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을 전후진시키게 된다. 또한, 닫힘 방지 장치(280)는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과 닫힘 방지용 탄성부(288)를 수용하여 도어 본체(200)에 결합되는 닫힘 방지용 케이스92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의 단부는 닫힘 방지용 고정홀(458)에 안정적으로 삽입되고 이탈되기 위하여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본체(200)가 열림각 제한 장치(450)에 의해 더 이상 열릴 수 없을 만큼 열리면,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이 닫힘 방지용 고정홀(458)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도어 본체(200)가 고정된다. 사용자는 닫힘 방지 해제용 손잡이(284)를 돌려 닫힘 방지용 고정핀(281)을 닫힘 방지용 고정홀(458)로부터 이탈시킨 후 도어 본체(200)를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 본체(200)에 심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면, 닫힘 방지 장치(280)가 풀려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여닫이 도어 시스템(101)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는 닫힘 방지 장치(280)만으로는 도어 본체(200)의 열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을 수 있으므로, 전술한 보조 고정핀(570)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도어 본체(200)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중으로 안전 장치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 고정핀(570)을 뽑고, 닫힘 방지 해제용 손잡이(284)를 돌려야 도어 본체(200)를 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어 본체(210)의 제2 도어 방향(220) 단부는 하부가 돌출되고, 제2 도어 본체(220)의 제1 도어 방향(210) 단부는 상부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어 본체(210)와 제2 도어 본체(22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도어 본체(210)의 단부와 제2 도어 본체(220)의 단부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도어 시일(seal) 부재(610)는 제1 도어 본체(210)의 단부 또는 제2 도어 본체(2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1 도어 본체(210)와 제2 도어 본체(220)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제1 도어 본체(210)의 단부와 제2 도어 본체(220)의 단부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방수 패드(620)는 제1 도어 본체(210)의 단부와 제2 도어 본체(220)의 단부 그리고 플레이트(100)의 개구부(109) 가장자리가 만나는 영역(도 1의 B 참조)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방수 패드(620)는 제1 도어 본체(210), 제2 도어 본체(220), 및 플레이트(100)의 상부에서 틈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 패드(620)는 제1 도어 본체(210) 또는 제2 도어 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방수 패드(620)는 볼트를 사용하여 제1 도어 본체(210) 또는 제2 도어 본체(220)에 결합될 수 있다.
패드 커버(640)는 방수 패드(620)를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 볼트의 머리와 방수 패드(620) 사이에 마련되어 방수 패드(620)를 지지할 수 있다. 패드 커버(640)는 방수 패드(620) 보다 경도가 높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방수 패드(620)를 볼트로 직접 결합할 경우, 결합되는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거나 방수 패드(620)가 효과적으로 틈을 커버하기 위한 자세에서 벗어나 덜렁거리기 쉽다. 이에, 패드 커버(640)를 사용하여 방수 패드(620)의 자세를 잡아주어 방수 패드(620)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브래킷 일체형 시일(seal)(650)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어 본체(210)의 단부와 제2 도어 본체(220)의 단부 그리고 플레이트(100)의 개구부(109) 가장자리가 만나는 영역에 설치되어 제1 도어 본체(210), 제2 도어 본체(220), 및 플레이트(100)의 하부에서 틈을 커버할 수 있다.
상방으로 열리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101)에서, 도어 본체(200)가 제1 도어 본체(210) 및 제2 도어 본체(220)를 포함하는 양문형으로 형성된다면, 개구부(109)가 형성된 플레이트(100)와 도어 본체(200) 간의 경계에서 누수가 발생되기 쉽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중으로 방수 기능을 부가하여 틈새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브래킷 일체형 시일(650)은 스틸 플레이트 외부에 고무를 몰딩하여 형성한 것으로, 일반적인 시일이 접착식이나 홈 부위에 조립하여 실링 처리되는 것과 비교할 때, 나사를 이용하여 용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되는 일부 위치만 국부적으로 실링 처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101)은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열리고 닫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도어 시스템(101)은 우천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여닫이 도어 시스템
100: 플레이트
109: 개구부
129: 열림 방지용 고정홀
200: 도어 본체
210: 제1 도어 본체
220: 제2 도어 본체
250: 체인
260: 열림 방지 장치
261: 열림 방지용 고정핀
264: 열림 방지 해제용 손잡이
265: 열림 방지용 케이스
268: 열림 방지용 탄성부
280: 닫힘 방지 장치
281: 닫힘 방지용 고정핀
284: 닫힘 방지 해제용 손잡이
285: 닫힘 방지용 케이스
288: 닫힘 방지용 탄성부
300: 힌지 모듈
310: 제1 힌지 브래킷
315: 힌지 고정용 보강핀
320: 제2 힌지 브래킷
340: 힌지축
400: 토션바
450: 열림각 제한 장치
455: 완충 부재
458: 닫힘 방지용 고정홀
500: 스토퍼
510: 스토퍼 걸림부
511: 제1 걸림부
512: 제2 걸림부
520: 스토퍼 환형부
530: 스토퍼 핀 조립체
531: 스토퍼 핀 본체
533: 스토퍼 핀 탄성부
534: 스토퍼 핀 손잡이
535: 스토퍼 핀 케이스
560: 보조 고정 지지대
563: 제1 보조 고정홀
570: 보조 고정핀
580: 보조 고정 브래킷
583: 제2 보조 고정홀
610: 도어 시일 부재
620: 방수 패드
640: 패드 커버
650: 브래킷 일체형 시일

Claims (16)

  1. 상방(上方)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갖는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방으로 열리는 도어 본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모듈;
    상기 힌지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열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바;
    상기 힌지 모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본체와 함께 회전하는 스토퍼 환형부와, 상기 스토퍼 환형부에서 상기 힌지 모듈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걸림부를 포함하는 스토퍼;
    일단부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의 환형부와 접촉하며, 상기 도어 본체가 닫힐 때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에 걸리는 스토퍼 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모듈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힌지 모듈의 회전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보조 고정홀이 형성된 보조 고정 지지대;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최대로 열린 상태일 때 상기 보조 고정 지지대의 제1 보조 고정홀과 연통하는 제2 보조 고정홀이 형성된 보조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제1 보조 고정홀과 상기 제2 보조 고정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조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핀 조립체는,
    일단부가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고 타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 핀 본체와;
    상기 스토퍼 핀 본체를 상기 스토퍼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토퍼 핀 탄성부; 그리고
    상기 스토퍼 핀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된 스토퍼 핀 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본체가 열릴 때 상기 스토퍼 핀 본체와 먼저 맞닿는 면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하고, 상기 도어 본체가 닫힐 때 상기 스토퍼 핀 본체와 먼저 맞닿는 면은 상대적으로 경사가 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도어 본체의 열림각이 60도에 멈추도록 설정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도어 본체의 열림각이 30도에서 멈추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플레이트와 볼트로 결합된 제1 힌지 브래킷과;
    상기 도어 본체와 볼트로 결합된 제2 힌지 브래킷과;
    상기 제1 힌지 브래킷과 상기 제2 힌지 브래킷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 그리고
    상기 제1 힌지 브래킷과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삽입된 힌지 고정용 보강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 본체의 최대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도어 열림각 제한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각 제한 장치의 단부에는 닫힘 방지용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최대로 열릴 때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홀에 걸려 상기 도어 본체를 고정시키는 닫힘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 방지 장치는,
    상기 도어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최대로 열릴 때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홀에 걸리는 닫힘 방지용 고정핀과;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핀이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핀을 탄성 가압하는 닫힘 방지용 탄성부; 그리고
    상기 도어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핀을 상기 닫힘 방지용 고정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열림 유지 해제용 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부 가장자리에는 열림 방지용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닫힐 때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홀에 걸려 상기 도어 본체를 고정시키는 열림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 방지 장치는,
    상기 도어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본체가 닫힐 때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홀에 걸리는 열림 방지용 고정핀과;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핀이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핀을 탄성 가압하는 열림 방지용 탄성부; 그리고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핀을 상기 열림 방지용 고정홀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는 열림 방지 해제용 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을 여닫이 도어 시스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내지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는 양문형으로 형성된 제1 도어 본체와 제2 도어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상기 제2 도어 방향 단부는 하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상기 제1 도어 방향 단부는 상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1 도어 본체와 상기 제2 도어 본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와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는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 또는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도어 본체와 상기 제2 도어 본체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와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도어 시일(seal)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와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부 가장자리가 만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 본체, 상기 제2 도어 본체,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틈을 커버하는 방수 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수 패드는 상기 제1 도어 본체 또는 상기 제2 도어 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패드는 볼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도어 본체 또는 상기 제2 도어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의 머리와 상기 방수 패드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방수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본체의 단부와 상기 제2 도어 본체의 단부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부 가장자리가 만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어 본체, 상기 제2 도어 본체,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틈을 커버하는 브래킷 일체형 시일(sea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 도어 시스템.
KR1020180160517A 2018-12-13 2018-12-13 여닫이 도어 시스템 KR102108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517A KR102108259B1 (ko) 2018-12-13 2018-12-13 여닫이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517A KR102108259B1 (ko) 2018-12-13 2018-12-13 여닫이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259B1 true KR102108259B1 (ko) 2020-05-11

Family

ID=7072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517A KR102108259B1 (ko) 2018-12-13 2018-12-13 여닫이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710B1 (ko) * 2021-03-26 2021-10-21 오세철 자동차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KR20230032448A (ko) * 2021-08-31 2023-03-07 이우희 양문개폐형 차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002U (ko) * 1997-11-06 1999-06-05 윤종용 팩시밀리의 상부 커버 지지장치
KR20060079990A (ko) * 2005-01-04 2006-07-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특수차량용 개폐장치
KR20070066681A (ko) * 2005-12-22 2007-06-2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상하 열림각도 조정이 가능한 특수차량의 해치 개폐장치
KR20110065601A (ko) * 2009-12-10 2011-06-16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도어 개폐를 위한 링크 장치
KR20120015535A (ko) * 2010-08-12 2012-02-22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002U (ko) * 1997-11-06 1999-06-05 윤종용 팩시밀리의 상부 커버 지지장치
KR20060079990A (ko) * 2005-01-04 2006-07-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특수차량용 개폐장치
KR20070066681A (ko) * 2005-12-22 2007-06-2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상하 열림각도 조정이 가능한 특수차량의 해치 개폐장치
KR20110065601A (ko) * 2009-12-10 2011-06-16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도어 개폐를 위한 링크 장치
KR20120015535A (ko) * 2010-08-12 2012-02-22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 차량 도어의 개폐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710B1 (ko) * 2021-03-26 2021-10-21 오세철 자동차 루프박스용 힌지장치
KR20230032448A (ko) * 2021-08-31 2023-03-07 이우희 양문개폐형 차수장치
KR102611157B1 (ko) * 2021-08-31 2023-12-06 이우희 양문개폐형 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259B1 (ko) 여닫이 도어 시스템
JP4466923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ガードロック装置
JP4263208B2 (ja) 航空機の操縦室ドアのラッチ装置
JP4884558B2 (ja) 家具蝶番用扉緩衝器の固定装置
ITMI940619A1 (it) Gancio di accoppiamento per i bracci inferiori di un dispositivo di montaggio a tre punti di un trattore
KR101566681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232283B1 (ko)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KR101654051B1 (ko)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0448201B1 (ko) 자동차의 어퍼트레이 커버 잠금구조
KR20120134479A (ko) 선박용 도어
US3461481A (en) Hinge
JPH0631076Y2 (ja) フードロック装置
KR200479071Y1 (ko) 미닫이 도어용 잠금장치
JP2010270538A (ja) 扉の脱出構造
CN207194746U (zh) 一种逃生窗及消防车
CA2212899A1 (en) A safety device for a door
KR102429098B1 (ko) 도어 개폐장치
CN210714229U (zh) 一种内开式安全门
KR20050035526A (ko) 리프트 도어가 설치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GB2317201A (en) Linkage for up-and-over automatic door lock mechanism
CN214697346U (zh) 一种按压解锁的挂钩锁
KR200371342Y1 (ko) 중장비의 전면유리창용 록킹장치
CN212802886U (zh) 一种门锁及副锁门
JP3449608B2 (ja) 地下構造物用錠装置
KR200263042Y1 (ko) 목문용 보조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