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477B1 -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 - Google Patents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477B1
KR102106477B1 KR1020180004561A KR20180004561A KR102106477B1 KR 102106477 B1 KR102106477 B1 KR 102106477B1 KR 1020180004561 A KR1020180004561 A KR 1020180004561A KR 20180004561 A KR20180004561 A KR 20180004561A KR 102106477 B1 KR102106477 B1 KR 102106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ccidiosis
preventing
present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818A (ko
Inventor
차장옥
차영서
차가송
구용주
김동중
Original Assignee
차장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장옥 filed Critical 차장옥
Publication of KR2018008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8Oxygen or sulfur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2Organic compounds, e.g.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91Coated capsules; Multilayered drug free capsule sh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yc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네톨(Aneth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다공성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Coccidiosis)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아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 살원충용 조성물; 및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초 또는 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네톨 및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산초; 및 산초 추출물 콕시듐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살원충용 조성물, 및 치료 방법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ccidiosis,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and applic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아네톨(Aneth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다공성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Coccidiosis)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아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 살원충용 조성물; 및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초 또는 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콕시듐증은 거의 모든 동물에서 나타나는 설사와 장염, 혈변을 특징으로 하며, 포자충류에 속하는 아이메리아(Eimeria) 원충이 병원체인 일종의 기생충성 질병이다. 상기 아이메리아 원충은 원생동물 중에서 진화된 원충으로서 유성 및 무성의 생식기를 가지고 있으며 무성 생식기에 병원성을 나타낸다. 1개종의 원충에 의해 발생되는 예가 드물며, 야외에서는 일반적으로 혼합감염이 관찰되고, 1개종에 대해서만 면역하면 다른 종류의 원충에 대해서는 방어하지 못하므로 문제가 크다.
콕시듐증은 닭에서 발육을 저해시키며 일반적으로 21-40일령 사이의 병아리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폐사율은 원충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28-40일령 사이에 감염률과 폐사율이 대단히 높아, 경제 동물이 콕시듐증을 앓는 경우 경제적 손실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항콕시듐제로 디클라주릴(Diclazuril, 상품명 Clinacox, Janssen Pharmaceutica) 등이 소개되어 사료첨가제와 함께 투여되고 있으나, 그 내성으로 인하여 6개월 단위로 항콕시듐제를 바꿀 것이 권고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 2007). 이에 따라, 내성이 적으며 인체에도 안전한 항콕시듐제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식용 가능한 천연물 중에서 경제성이 우수한 아이메리아 구충제를 발견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천연 화합물인 산초가 아이메리아 테넬라 살원충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이로부터 유래된 아네톨의 경우, 고유의 불안정한 특성상 공기 중에 노출되면 변화하기 때문에 흡착과 코팅의 과정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아네톨의 효과를 우수하게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74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다공성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아이메리아 테넬라 살원충용 조성물; 및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04135321-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초 또는 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다공성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04135321-pat00002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아네톨(Anethol)로 불리는 에테르의 일종인 화합물로서, 대회향유, 아니스유, 회향유 등에 존재한다. 상온에서는 백색 결정의 형태로 존재하고 특유의 향기와 강한 단맛이 있다. 천연에서 발견되는 아네톨은 트랜스(trans) 형에 해당하며, 과자, 음료 등의 향료로 사용되거나, 방향료, 건위제, 거담제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아네톨은 상온에 그대로 방치할 경우 공기와 빛에 의해 아니스알데히드, 아니스산 등으로 변한다. 이 경우, 결정성을 잃고 황색을 띠게 되며, 맵고 불쾌한 맛으로 변하게 된다. 즉, 아네톨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며 천연에서도 수득할 수 있어 유용한 물질로 주목되지만, 특유의 불안정한 성질 때문에 형태 및 성질의 변화가 쉽게 일어나며 이를 제어하여 목적에 맞게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아네톨의 불안정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아네톨을 다공성 흡착제에 흡착하여 공극에 아네톨이 결합한 상태로 사용할 경우, 상온에서 아네톨의 성질 변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이를 사료에 포함하여 동물에 투여할 경우 위장의 낮은 pH 환경에서도 아네톨이 맹장까지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맹장에 기생하는 아이메리아 테넬라를 사멸시킴으로써, 콕시듐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콕시듐증은 아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콕시듐증(Coccidiosis)은 닭(또는 병아리)의 콕시듐증일 수 있다.
상기 콕시듐증은 아이메리아(Eimeria)속 콕시디아(Coccidia) 원충이 소화관 상피에서 점막밑조직의 세포질내에 기생하며 상피를 파괴시키고 장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서, 특히, 육계농장에서 연변, 설사 및 혈변으로 증체율 저하와 출하일령의 연장으로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는 원충성 질병이다. 콕시듐증은 육계 뿐 아니라 조류 및 포유동물에서도 발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소, 토끼, 염소, 개, 고양이에도 감염되고 실험동물인 마우스, 랫트 등에도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특히 닭 등 가금류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로 입힌다.
닭(또는 병아리)의 콕시듐증은 9가지 원충에 의해 감염될 수 있고, 주된 것은 아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 아이메리아 아세불리나(Eimeria acevulina), 아이메리아 네카트릭스(Eimeria vecatrix), 아이메리아 멕시마(Eimeria maxima), 아이메리아 브루네티(Eimeria brunetti)의 5가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콕시듐증은 급성형, 아급성형, 만성형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콕시듐증은 급성형 콕시듐증, 아급성형 콕시듐증, 만성형 콕시듐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급성형 콕시듐증일 수 있다. 특히,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감염된 경우 감염 후 48시간 이내에 혈변이 확인되며, 그 외에도 원기 소실, 식욕부진, 빈혈증상 등을 보이다가 결국 폐사하게 된다.
콕시듐 원충의 낭포(Oocyst, 오오시스트)가 높은 습도와 온도에서 포자충(Sporulated Oocyst)으로 성숙될 경우 감염성이 있으며, 닭의 체내에서 일정한 생활사(life cycle)를 거친 후 분변으로 충란을 배설하면 쉽게 전파가 이루어지고 충란 생활사가 되풀이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다공성 흡착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다공성 흡착제에 흡착된 형태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고, 이를 사료에 포함시켜 급여하면 섭취 후 21시간 내에 콕시듐 원충이 기생하는 맹장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다공성 흡착제로 아네톨을 안정한 상태로 전달함으로써 우수한 콕시듐증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흡착제는 큰 내부 표면적을 가지고 공기, 물, 토양 등에 존재하는 유해한 성분을 흡착하는 고체 물질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다공성 흡착제는 차콜, Molecular sieves 13X 10Å, Molecular sieves 5Å, 벤토나이트, 당밀, 카올린, 또는 제올라이트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차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차콜(Chacoal)은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목재를 가열하거나, 공기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이다. 차콜을 사용함으로써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맹장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네톨을 차콜에 흡착하여 사료를 통해 급여한 경우, 아이메리아 테넬라 살원충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아이메리아 테넬라가 기생하는 맹장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결과적으로 콕시듐증의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흡착제라면 흡착제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흡착제는 공극 크기가 3Å 내지 13 Å인 다공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극 크기는 5Å 또는 10Å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극 크기 조건에서 다공성 흡착된 화합물이 아이메리아 테넬라가 기생하는 맹장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20ml에 대하여 차콜 20g을 사용하거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ml에 대하여 차콜 50g을 사용하여 제조한 조성물에 의해 우수한 아이메리아 테넬라 살원충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부피와 다공성 흡착제의 질량 비율은 다공성 흡착제의 종류, 조성물의 투여량,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콕시듐증의 효과적인 치료 효과를 위해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사료용, 또는 식용 오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대두유, 옥수수기름, 채종유, 올리브유, 참기름, 들기름, 홍화유, 해바라기유, 팜유, 또는 야자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콜 20g에 대하여 대두유 50ml를 사용하여 코팅한 조성물에 의해 우수한 아이메리아 테넬라 살원충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다공성 흡착제의 질량과 식물성 오일의 부피 비율은 다공성 흡착제의 종류, 식물성 오일의 종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양, 조성물의 투여량 등을 고려하여 콕시듐증의 효과적인 치료 효과를 위해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5 내지 2000ppm, 10 내지 2000pp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대한 살원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료 조성물 중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농도가 각각 100, 500, 및 1000ppm인 제제를 제조하여 닭에 투여한 후 분변 g당 충란 수를 측정하였고,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충란의 수가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투여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신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 등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복실산 염에는,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지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에탄올, 아민, 콜린 및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콕시듐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콕시듐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사료"란,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농후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液狀物)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 (fish soluble), 육분(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세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식이 보조제, 또는 사료 첨가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이 보조제란, 예를 들어 치료제 또는 소화제를 동물에 제공하는 제제 함유 조성물로, 통상 생체의 열량 섭취 공급원, 즉 에너지 공급원은 아니지만, 통상의 동물 사료에 추가하여 섭취되는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란,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의한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교, 젤라틴, 한천, 카세인, 알긴산나트륨, 잔탄검, 퀸스시드검, 하이드록시 셀룰로오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또는 이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당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당밀은 설탕을 제조할 때에 부산물로 생산되는 자당을 함유하는 액체의 총칭으로, 상기 당밀은 식용 또는 사료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다공성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04135321-pat00003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다공성 흡착제, 아이메리아 테넬라, 콕시듐증, 예방, 및 치료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 조성물"이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인된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학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하여 약제학적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활성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다공성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 살원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04135321-pat00004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다공성 흡착제, 및 아이메리아 테넬라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다공성 흡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대한 살원충 효과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의한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차콜에 흡착시킨 상태로 급여하였을 때 닭의 분변 당 충란 수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대한 살원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조성물을 닭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살원충용 조성물, 아이메리아 테넬라, 콕시듐증, 예방, 및 치료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 내 투여, 정맥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 내 투여, 폐 내 투여, 직장 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 "개체"란 콕시듐증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닭을 포함하는 가금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산초 또는 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콕시듐증, 예방, 치료, 및 사료 조성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는 운향과 초피나무속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서, 잎을 따서 생으로 사용하거나 열매껍질을 벗겨 말린 후 달이거나 농축해서 사용하고, 열매는 기름을 만드는 원료로 쓰고 식용 또는 약용한다. 높이는 3m 가량이고, 갈라진 가지에는 1쌍의 가시가 있으며 잎은 5-9쌍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깃꼴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이때 각각의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나 피침 모양이다. 주로 산기슭의 양지에서 잘 자라며, 한반도 각지에 분포한다. 상기 산초는 소화불량, 식체, 위하수, 위확장, 구토, 이질, 설사, 신경쇠약, 기침 등에 효능이 있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콕시듐증, 특히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의한 콕시듐증의 치료 효과는 전혀 알려진 바 없으며, 이는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되었다.
본 발명의 산초는 시판되는 것을 구매하여 사용하거나 직접 재배하여 사용하는 등 수득 경로는 문제되지 않으며, 열매, 액즙, 씨앗, 꽃, 잎, 뿌리줄기, 줄기, 뿌리 등 모든 부위가 이용 가능하고, 구체적으로 열매 부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산초는 천연물 자체, 이의 건조물, 이의 파쇄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콕시듐증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산초의 종류, 크기, 수분 함량, 모양 등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이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산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구체적으로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산초 분량에 1배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배 내지 3배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온도는 30℃ 내지 10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50℃ 내지 90℃일 수 있다. 또한, 추출시간은 10시간 내지 48시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5시간 내지 30시간일 수 있다. 아울러, 추출횟수는 1회 내지 5회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3회 내지 4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제조 단계에는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과정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 단계는 상기 감압농축 과정을 거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산초 또는 산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산초, 콕시듐증, 예방, 치료, 및 약학 조성물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조성물을 닭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콕시듐증, 예방, 및 치료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아네톨 및 흡착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산초; 및 산초 추출물 콕시듐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사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살원충용 조성물, 및 치료 방법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는 산초 건조물 투여 후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감염된 닭의 분변에서 나온 충란 수를 시간(일, day) 순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아네톨 단독 투여 후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감염된 닭의 분변에서 나온 충란 수를 시간(일, day) 순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아네톨/차콜 혼합 투여 후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감염된 닭의 분변에서 나온 충란 수를 시간(일, day) 순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의한 감염 7일째에 배출한 충란의 수를 아네톨 농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아네톨 또는 차콜 조성물 제조
화학식 1의 화합물(이하, '아네톨'이라함)은 Sigma-Aldrich (W208604-1KG-K)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대두유는 일반 식용유를 사용하였으며, 차콜(Charcoal)은 대정화학(카탈로그 번호: 2530-1405)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1. 아네톨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 비교예 1
아네톨 20ml을 에탄올 180ml에 희석하여 비교예 1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제에서 아네톨의 농도는 2000ppm이었다.
1-2. 차콜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 비교예 2
50g의 차콜을 건조하여 비교예 2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아네톨, 차콜 및/또는 대두유 혼합 조성물 제조
2-1. 아네톨 및 차콜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 실시예 1
아네톨 20ml을 에탄올 180ml에 희석하고 갈색병 안에서 밀봉한 뒤 차콜 20g을 첨가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10℃에서 냉동건조하고 에탄올을 제거시켜 실시예 1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제에서 아네톨의 농도는 2000ppm이었다.
2-2. 아네톨 및 차콜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 실시예 2
아네톨 20ml을 10ml로 변경하고, 차콜 20g을 50g로 변경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제에서 아네톨의 농도는 1000ppm이었다.
2-3. 아네톨, 차콜 대두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 실시예 3
실시예 1의 제제를 대두유 20ml에 담지시킨 후 건져내어 실시예 3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제에서 아네톨의 농도는 2000ppm이었다.
제조예 3: 사료의 제조
이하의 실험예에서는, 상기 비교예 1 및 2,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사료에 포함된 아네톨의 비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구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아네톨(ml) 0 20 0 20 10 20
차콜(g) 0 0 50 20 50 20
대두유(ml) 0 0 0 0 0 50
ppm 0 0 0 2000 1000 2000
아네톨/사료 (ml/g) 0 0.2% 0 0.2% 0.1% 0.2%
실험예 1: 산초 분쇄물의 아이메리아 살원충 효과 확인
육계 품종 ROSS를 사용하여 배터리 사육하였고, 실험 시작 1일령부터 시판 초생추 사료(제일제당사료)를 급여하였다. 10일령부터는 시판 큰병아리 사료(제일제당사료)를 급여하였으며, 13일령부터는 분쇄한 산초를 사료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첨가하여 끝날 때까지 급여하였으며, 콕시듐 원충의 재감염을 방지하며 사육하였다.
한편, 순수 계통의 분화된 아이메리아 테넬라(GenBank: FJ447468.1)의 충란(oocyst)을 닭 한마리당 10,000 개씩 14일령 병아리에 구강으로 감염하였으며, 감염 4일 후부터 하루에 한 번씩 분변을 수집하여 EPG counter를 이용하여 분변 g 당 충란(oocyst) 수를 측정하여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구 산초
감염 6일 0.0±0.00 0.0±0.00
감염 7일 5975.0±531.51 2750.0±544.67
감염 8일 3597.5±352.55 3775.0±318.07
감염 9일 1602.5±114.71 657.5±26.30
감염 10일 870.0±96.95 417.5±59.65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산초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충란 수가 훨씬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한 산초는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대한 살원충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의한 콕시듐증의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초 분쇄물을 초기 용매 에탄올을 이용하여 분획하였고, 분획물에 대한 살충 실험을 계속적으로 수행하여 콕시듐의 치료 효과를 확인한 결과, 아이메리아 테넬라의 살원충 효과는 아네톨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차콜의 유무에 따른 아이메리아 살원충 효과 확인
2-1. 아네톨 단독의 아이메리아 살원충 효과 확인
아네톨만을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의 아이메리아 살원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를 닭에 급여하였다. 급여 방법 및 충란 수의 측정은 실험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측정한 충란 수의 결과를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구 비교예 1
감염 5일 0.5 0
감염 6일 109.25 61.5
감염 7일 7550 8400
감염 8일 2975 2285
감염 9일 850 1200
감염 10일 124 135
표 3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네톨만을 포함하는 사료를 급여한 경우, 아네톨을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충란 수의 감소를 확인하기가 어려웠으며, 감염 9일 이후에는 오히려 충란 수가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별도의 흡착제 없이 아네톨을 단독 성분으로 닭에 투여한 경우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대한 살원충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상온에서 아네톨의 불안정한 특성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2-2. 차콜 , 대두유를 포함하는 사료의 아이메리아 살원충 효과 확인
아네톨 및 차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살원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교예 2, 실시예 1 내지 3로 제조한 사료를 닭에 급여하였다. 급여 방법 및 충란 수의 측정은 실험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측정한 충란 수의 결과를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구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감염 6일 0±0.00 0±0.00 0±0.00 0±0.00 0±0.00
감염 7일 6875±377.49 11875±953.50 4250±680.68 925±411.30 1350±238.04
감염 8일 3025±573.73 2300±110.45 995±106.61 817.5±86.17 460±111.06
감염 9일 810±64.81 135±19.15 228±21.68 479.5±17.97 191.25±8.02
표 4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콜만을 급여한 비교예 2의 경우 살원충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오히려 감염 7일째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충란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단순히 흡착제를 이용하여 아이메리아 테넬라를 흡착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네톨 및 차콜을 함께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우수한 살원충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상기 비교예 1에서 아네톨을 단독으로 급여하였을 때 살원충 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과 대조되었다. 즉, 아네톨 투여시 흡착제를 함께 혼합하여 투여할 경우, 불안정한 아네톨을 흡착제에 흡착하여 안정화한 상태로 수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살원충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차콜의 양은 늘리고 아네톨의 양은 줄인 실시예 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우수한 살원충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흡착제의 양이 많은 경우 아네톨 양을 줄이더라도 우수한 살원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네톨 및 차콜의 양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면서 대두유를 추가로 포함한 실시예 3의 경우 감염 8, 9일째의 충란 수가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대두유를 포함함으로써 살원충 효과가 훨씬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두유가 아네톨의 코팅제 역할을 하여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살원충 효과를 높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3: 아네톨의 농도에 따른 아이메리아 살원충 효과 비교
아네톨 농도에 따른 아이메리아 테넬라에 대한 살원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아네톨의 양을 각각 1ml, 5ml, 10ml로 조절하여 아네톨의 농도가 각각 100, 500, 1000ppm인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를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와 함께 투여하여 감염 7일째 닭의 분변 g당 충란 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PPM 0 100 500 1000
충란 수 14550±500 8200±432.05 3890±95.92 89.5±5.51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네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충란의 수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아네톨의 농도가 1000ppm인 경우 충란이 거의 배출되지 않았다. 즉, 아네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아이메리아 테넬라 살원충 효과가 높아지며, 이에 따른 콕시듐증의 치료 효과 또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차콜; 및 대두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에 의한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50355440-pat00005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콕시듐증은 닭의 콕시듐증인 것인,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사료 조성물에 5 내지 2000ppm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차콜; 및 대두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에 의한 닭의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94933787-pat00006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차콜; 및 대두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닭을 대상으로 하는 아이메리아 테넬라(Eimeria tenella) 살원충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9094933787-pat00007

  9. 제1항,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닭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04561A 2017-01-12 2018-01-12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 KR102106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456 2017-01-12
KR20170005456 2017-0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818A KR20180083818A (ko) 2018-07-23
KR102106477B1 true KR102106477B1 (ko) 2020-05-06

Family

ID=62839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561A KR102106477B1 (ko) 2017-01-12 2018-01-12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6477B1 (ko)
WO (1) WO2018131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905B1 (ko) * 2020-09-25 2024-04-24 씨제이제일제당 (주) 비올라세인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125628A (ko) * 2021-03-05 2022-09-14 씨제이제일제당 (주) 쿠마린산을 포함하는 항콕시듐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775A (ja) 2002-06-28 2004-01-29 Gen Corp:Kk 抗鶏コクシジウム症組成物
WO2013072521A2 (en) 2011-11-17 2013-05-23 Dsm Ip Assets B.V. Use of acid stable proteases in animal feed, preferably to increase performance of cocci-vaccinated broiler chickens
JP5829003B2 (ja) * 2006-05-17 2015-12-09 ダ・ボルテラ 単独でのまたは分解性分子と併用での吸着剤の部位特異的腸内送達
CN106039164A (zh) * 2016-07-21 2016-10-26 河南黑马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鸡球虫病的中药散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81A (zh) * 1993-04-29 1997-01-29 卡尔特有限公司 适于患有球虫病动物服用的组合物
CH688172A5 (fr) * 1994-10-26 1997-06-13 Crina Composition d'additif pour aliments destinés à la volaille.
SI2538930T1 (sl) * 2010-02-23 2016-10-28 Da Volterra Formulacije za oralno dostavo adsorbentov v črevesju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775A (ja) 2002-06-28 2004-01-29 Gen Corp:Kk 抗鶏コクシジウム症組成物
JP5829003B2 (ja) * 2006-05-17 2015-12-09 ダ・ボルテラ 単独でのまたは分解性分子と併用での吸着剤の部位特異的腸内送達
WO2013072521A2 (en) 2011-11-17 2013-05-23 Dsm Ip Assets B.V. Use of acid stable proteases in animal feed, preferably to increase performance of cocci-vaccinated broiler chickens
CN106039164A (zh) * 2016-07-21 2016-10-26 河南黑马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鸡球虫病的中药散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mmune effects of dietary anethole on Eimeria acervulina infection", Poultry Science, Vol. 92, pp. 2625-2634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818A (ko) 2018-07-23
WO2018131930A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366B1 (ko) 울금 추출물, 및 스테비아 추출물 또는 스테비오사이드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흰점 증후군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 증강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WO1995034218A1 (fr) Aliments pour animaux contenant des matieres premieres medicamenteuses
Abd El-Hack et al. Pharmacological, nutritional and antimicrobial uses of Moringa oleifera Lam. leaves in poultry nutrition: an updated knowledge
JPH0347132A (ja) 原虫性疾患の予防治療剤
KR102176272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강화 또는 근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amad Antibiotics resistance in poultry and its solution
KR100923884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이 높은 오리나무 수피 또는줄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106477B1 (ko)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
KR101260250B1 (ko) 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호흡기 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012751B1 (ko) 도라지추출물 동물사료 첨가제 및 사료
KR101230135B1 (ko) 팔각과 시나몬 추출물이 첨가된 가금용 사료,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먹여 사육된 가금과 이 가금이 낳은 알
KR101542882B1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어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322498B2 (ja) 牛乳中の体細胞を低減させる方法
KR20190111537A (ko) 장기능 개선 또는 장내 유익균 증가용 조성물
JP2003252775A (ja) Nk細胞活性化剤
KR102042352B1 (ko) 땅콩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강화 또는 근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813471B2 (ja) 生薬含有飼料
KR20210067378A (ko) 동애등에 유래 기능성 단백질 물질의 추출 방법
KR101345189B1 (ko) 당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35454B1 (ko)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넙치 바이러스성 출혈성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Badr PRODUCTIVE PERFORMANCE OF GROWING RABBITS F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FENNEL) Foenicuium vulagare L.) SEEDS BY-PRODUCT
KR102663613B1 (ko)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huc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 of Ming aralia leaf meal (Polyscias fruticosa (L.) Harms) on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immune response of Ri chicken
KR102265268B1 (ko) 굼벵이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력 향상 사료 조성물
CN107712300A (zh) 一种动物保健饲料添加剂及含该添加剂的饲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