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021B1 -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021B1
KR102106021B1 KR1020180036655A KR20180036655A KR102106021B1 KR 102106021 B1 KR102106021 B1 KR 102106021B1 KR 1020180036655 A KR1020180036655 A KR 1020180036655A KR 20180036655 A KR20180036655 A KR 20180036655A KR 102106021 B1 KR102106021 B1 KR 102106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pile
cutting
arms
clamp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240A (ko
Inventor
김영석
염동준
김유준
한재현
박예슬
황지영
정의현
김준상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6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02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고정된 강관 파일의 노출되어 있는 두부에 고정되는 장치로서, 본체; 원호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암; 원호 형상으로 중간부가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암의 내측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강관 파일의 표면에 접하는 지지 돌기가 전방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암의 하부에 배치되고,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강관 파일에 대한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플라즈마 절단부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강관 파일의 외주를 양측에서 감싸며 고정되는 클램프암의 내측 중간부에 원호 형상의 보조 클램프를 배치하여 클램프암의 교체없이 다양한 직경의 강관 파일에 고정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강관 파일에 고정된 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강관에 대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STEEL PILE HEAD FIXING AND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의 강관 파일의 노출된 두부에 고정되고, 고정 후에는 절단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관 파일(Steel pile) 공사는 강관 파일을 매입식 또는 타입식 시공법을 통해 지반에 관입시킨 후 파일의 상부를 일정한 높이로 파쇄 및 두부정리함으로써 지반과 구조물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공법이다.
상기와 같은 강관 파일의 작업공정은 매입식/타입식 공법을 활용한 파일의 지반관입, 파일 상부의 두부정리, 지반과 상부 구조물의 연결을 통한 지지력 확보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일 상부의 두부정리는 파일의 지반 관입 이후 말뚝기초 시공에서 기초의 레벨을 맞추기 위해 파일 상부를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파일 절단이 이루기 위해서는 파일 절단 장치가 절단 작업 대상인 파일 상에 고정되는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절단 작업 대상인 파일의 외주에 고정된 후, 파일의 절단이 이루어지는 기술로서 등록특허 10-1780591호가 개시되었다.
상기한 기술은 콘크리트 파일에 클램프암이 고정된 후, 와이어 쏘를 포함하는 절단부가 콘크리트 파일로 진행하며 콘크리트 파일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 쏘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 절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클램프암이 콘크리트 파일의 양측 외주에서 고정하는 작업이 먼저 이루어진다.
이때, 클램프암은 소정의 곡률로 제작되어 있어, 클램프암의 곡률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콘크리트 파일에는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으나, 클램프암의 곡률에대응하지 못하는 직경을 갖는 콘크리트 파일에는 클램프암의 내주 일측만이 콘크리프 파일의 외주에 접하게 되어 고정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클램프암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관 파일의 외주를 양측에서 감싸며 고정되는 클램프암의 내측 중간부에 원호 형상의 보조 클램프를 배치하여 클램프암의 교체없이 다양한 직경의 강관 파일에 고정될 수 있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의 강관 파일에 고정된 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강관에 대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중에 고정된 강관 파일의 노출되어 있는 두부에 고정되는 장치로서, 본체; 원호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암; 원호 형상으로 중간부가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암의 내측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강관 파일의 표면에 접하는 지지 돌기가 전방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암의 하부에 배치되고,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강관 파일에 대한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플라즈마 절단부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를 제공한다.
일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결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은 굴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은 서로 동일한 형태와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의 일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강관 파일의 외주에 접하는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의 타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강관 파일의 외주에 접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절단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강관의 외주 양측에서 상기 강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원호 형태인 제1 및 제2 절단암과,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에 배치되고 상기 절단 위치에 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라즈마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은, '工'의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은, 상기 이동 레일의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간은 하부의 개방부위를 통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개방 부위의 폭은 상기 공간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의 내주는 상기 강관의 외주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과 상기 이동 레일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강관 파일의 외주를 양측에서 감싸며 고정되는 클램프암의 내측 중간부에 원호 형상의 보조 클램프를 배치하여 클램프암의 교체없이 다양한 직경의 강관 파일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의 강관 파일에 고정된 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강관에 대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작업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과 지지 돌기에 의한 강관 파일의 고정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과 지지 돌기에 의한 강관 파일의 고정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에 의한 절단 작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100)는 본체(110),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 지지부(150) 및 절단부(18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체(110)의 후방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100)를 절단 작업 장소로 이동시키는 소정의 이동 수단(2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수단(200)은 굴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본체(1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은 강관 파일(1)의 외주를 양측에서 감싸며 강관 파일(1)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은 서로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지고,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은 프레임을 원호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은 원호 형상의 프레임을 복수개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은 미도시된 제1 및 제2 유압 실린더의 길이 변화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된 도면 부호, 140A와 140B는 제1 및 제2 유압 실린더의 일단과 연결되는 회전축이다. 제1 및 제2 유압 실린더의 타단은 본체(110)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압 실린더의 길이가 변화되면, 이는 회전축(140A, 140B)을 통해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으로 전달되어,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이 회전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은 프레임을 원호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은 원호 형상의 프레임을 복수개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은 중간부가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의 내측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은 오목한 부분이 강관 파일(1)의 외주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강관 파일(1) 외주 중 일부에 접하며 강관 파일(1)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 각각의 일단으로는 강관 파일(1)의 외주에 접하는 제1 고정 돌기(132A, 132B)가 돌출되고, 타단으로는 강관 파일(1)의 외주에 접하는 제2 고정 돌기(134A, 134B)가 돌출된다.
제1 고정 돌기(132A, 132B)와 제2 고정 돌기(134A, 134B)의 크기와 형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
지지부(15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본체(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50)는 본체(110)의 상부에만 배치되지만, 필요에 따라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50)의 전방은 강관 파일(1)의 표면에 접하며 강관 파일(1)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다.
절단부(180)는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의 하부에 배치되어, 강관 파일(1)의 절단 작업을 수행한다.
절단부(180)는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 이동 레일(184), 플라즈마 발생기(18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은 연결체(154)에 의해 본체(110)의 하부 양단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강관 파일(1)의 외주 양측에서 강관 파일(1)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의 직경은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의 직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은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에 연동하여 회전하여 강관 파일(1)의 외주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의 내주는 강관 파일(1)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동 레일(184)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원호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이동 레일(184)은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의 하부에서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이동 레일(184)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이동 레일(184)의 곡률은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의 곡률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레일(184)의 이동을 위해 소정의 모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절단암(182)의 내부는 공간을 제공하고, 하부는 중앙 부분으로 개방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제2 절단암(182)의 내부 폭은 개방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제1 절단암(181)도 제2 절단암(182)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동 레일(184)은 단면 형태가 '工'형태로서, 상단부는 제2 절단암(182)의 단부를 통해 내측 공간으로 배치되고, 이후 제2 절단암(182)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레일(184)은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의 하부에서 강관 파일(1) 둘레를 따라 이동하며 후술하는 플라즈마 발생기(186)에 의한 강관 절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플라즈마 발생기(186)는 이동 레일(184)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수로 배치된다. 플라즈마 발생기(186)는 이동 레일(184)의 하부에서 강관 파일(1)을 향하여 배치된다.
플라즈마 발생기(186)에서는 소정의 플라즈마가 발생되어 강관 파일(1)에 대한 절단 작업을 수행한다. 플라즈마 발생기(186)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되면 이동 레일(184)은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의 하부를 따라 일정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작업 준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는 강관 파일(1)의 소정 위치에 절단 위치를 표시한다. 여기서, 절단 위치의 표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동 수단(200)의 선단부에 본체(110)를 연결하고, 고정 대상인 강관 파일(1)이 위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강관 파일(1)에 표시된 절단 위치에 대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는 다음과 같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과 지지 돌기에 의한 강관 파일의 고정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50)와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에 돌출된 제1 및 제2 고정돌기(132A, 132B, 134A, 134B)가 강관 파일(1)의 외주상에 접하며 강관 파일(1)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사용자는 제1 및 제2 유압 실린더를 조작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이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의 사이에 강관 파일(1)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강관 파일(1)의 외주 중 본체(110)를 향한 일측이 지지부(150) 전방에 접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제1 및 제2 유압 실린더를 조작하여,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이 강관 파일(1)의 양측에서 강관 파일(1)을 감싸도록 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이 강관 파일(1)로 근접하면,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며 제1 및 제2 고정돌기(132A, 132B, 134A, 134B)가 강관 파일(1)의 외주에 접한다.
도 7은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과 지지 돌기에 의한 강관 파일의 고정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100)가 도 5에 도시된 강관 파일보다 직경이 더 큰 강관 파일(1)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더 큰 강관 파일(1)에 고정되는 경우에도 도 5에 도시된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클램프암(120A, 120B)이 강관 파일(1)로 근접하여, 지지부(150)에 강관 파일(1)의 일면이 접하도록 한 후,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의 제1 및 제2 고정돌기(132A, 132B, 134A, 134B)가 강관 파일(1)의 외주에 접하며,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130A, 130B)이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 제1 및 제2 고정돌기(132A, 132B, 134A, 134B)와 지지부(150)가 강관 파일(1)의 외주상의 여섯 지점에 접하며 강관 파일(1)에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제1 및 제2 클램프 암(141A, 142A)이 강관 파일(1)의 주위를 감싸며 배치되면, 제1 및 제2 절단암(181, 182)에 배치된 플라즈마 발생기(186)도 강관 파일(1)의 절단 위치를 향하여 배치된다.
이후, 사용자는 이동 레일(134)과 플라즈마 발생기(186)가 동작하도록 하여, 강관 파일(1)의 절단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강관 파일(1)의 절단 작업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에 의한 절단 작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발생기(186)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강관 파일(1) 표면에서 절단 작업이 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발생기(186)에 의해 절단 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동 레일(134)이 제1 및 제2 절단암(181, 132)의 하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있어, 강관 파일(1)의 둘레를 따라 플라즈마에 의한 절단 작업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강관 파일의 외주를 양측에서 감싸며 고정되는 클램프암의 내측 중간부에 원호 형상의 보조 클램프를 배치하여 클램프암의 교체없이 다양한 직경의 강관 파일에 고정될 수 있고, 다양한 직경의 강관 파일에 고정된 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강관에 대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110: 본체
120A, 120B: 제1 및 제2 클램프암
130A, 130B: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
150: 지지부
180: 절단부

Claims (10)

  1. 지중에 고정된 강관 파일의 노출되어 있는 두부에 고정되는 장치로서,
    본체;
    원호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암;
    원호 형상으로 중간부가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암의 내측 중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강관 파일의 표면에 접하는 지지 돌기가 전방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암의 하부에 배치되고,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강관 파일에 대한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플라즈마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의 일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강관 파일의 외주에 접하는 제1 고정돌기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의 타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강관 파일의 외주에 접하는 제2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연결되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굴삭기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조 클램프암은 서로 동일한 형태와 크기인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절단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강관의 외주 양측에서 상기 강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원호 형태인 제1 및 제2 절단암과,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에 배치되고 절단 위치에 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플라즈마 발생기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은,
    '工'의 단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은,
    상기 이동 레일의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간은 하부의 개방부위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부위의 폭은 상기 공간의 폭보다 좁은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의 내주는 상기 강관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단암과 상기 이동 레일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KR1020180036655A 2018-03-29 2018-03-29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KR10210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55A KR102106021B1 (ko) 2018-03-29 2018-03-29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55A KR102106021B1 (ko) 2018-03-29 2018-03-29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40A KR20190114240A (ko) 2019-10-10
KR102106021B1 true KR102106021B1 (ko) 2020-04-29

Family

ID=6820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655A KR102106021B1 (ko) 2018-03-29 2018-03-29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145B1 (ko) 2021-12-20 2022-10-06 주식회사 위더스건설이엔씨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075B1 (ko) * 2020-01-09 2021-06-11 이규철 기초공사용 안테나 타입의 케이싱 및 그 시공방법
CN111483942B (zh) * 2020-04-29 2021-10-22 国网河南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钢管塔钢管焊接用移动装置
CN113373927B (zh) * 2021-07-09 2022-03-29 山东国建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桩体固定装置
CN117885123B (zh) * 2024-03-14 2024-05-28 标格达精密仪器(广州)有限公司 一种多连杆驱动机械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591B1 (ko) * 2016-04-29 2017-10-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9416D0 (en) * 1990-09-06 1990-10-24 Frank S Int Ltd Device for applying torque to a tubular member
JP3113197B2 (ja) * 1995-12-26 2000-11-27 木村化工機株式会社 遠隔プラズマ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591B1 (ko) * 2016-04-29 2017-10-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145B1 (ko) 2021-12-20 2022-10-06 주식회사 위더스건설이엔씨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KR20220139826A (ko) 2021-12-20 2022-10-17 주식회사 위더스건설이엔씨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KR20220139827A (ko) 2021-12-20 2022-10-17 주식회사 위더스건설이엔씨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40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021B1 (ko)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US10214865B2 (en) Earth working roller
CA2456996C (en) Cutting device for cutting trenches in the ground
JP6270881B2 (ja) コンクリート壁面切断装置
KR20150112636A (ko) 파일 절단장치
KR102106016B1 (ko) 파일 두부 고정 장치
KR20090071205A (ko) 휠 타입 굴삭기의 접지위치 가변형 아웃트리거
KR102126262B1 (ko)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장치
KR102063639B1 (ko) 강관 두부 절단 및 정리 방법
JP7352282B2 (ja) 剥離切削構造
JP2006249740A (ja) 埋め戻し土締め固め装置
JP2876308B2 (ja) 切削装置および切削機
JP4783480B1 (ja) 切削装置
KR20120030187A (ko) 콘크리트 말뚝 절단장치
JP4938704B2 (ja) 中折れ式シールド掘削機におけるローリング防止機構
KR102079014B1 (ko) 강관 두부 절단 장치
JP4355934B2 (ja) 鋼管杭用切断装置
JP5948086B2 (ja) 杭打ち方法
JP3577982B2 (ja) パイプベンダーの曲げ規定部材、補助部材及び装置
JP4904435B1 (ja) 電極設置装置
JP2022114086A (ja) 回転金具
JP6581066B2 (ja) 解体機械
JPH0470308A (ja) コンクリートパイル切断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パイル切断方法
JPH069107Y2 (ja) 中折れ式シールド掘進機
JP3005625U (ja) 杭打設用ゲ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