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826A -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 Google Patents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826A
KR20220139826A KR1020220123138A KR20220123138A KR20220139826A KR 20220139826 A KR20220139826 A KR 20220139826A KR 1020220123138 A KR1020220123138 A KR 1020220123138A KR 20220123138 A KR20220123138 A KR 20220123138A KR 20220139826 A KR20220139826 A KR 2022013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utting
rail
pi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연
엄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더스건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더스건설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더스건설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2013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12Saw-blades or saw-disc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tone
    • B28D1/124Saw chains; rod-like saw blades; saw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와이어쏘를 액추에이터를 통해 당기는 방식으로 기초파일을 절단하기 때문에, 기초파일에 큰 절삭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초파일을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PILE CUTTING APPARATUS AND PILE CUT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파일 공사는 원심력을 활용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기초파일을 매입식 또는 타입식 시공법을 통해 지반에 관입시킨 후 파일의 상부를 일정한 높이로 파쇄 및 두부정리함으로써 지반과 구조물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공법이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작업공정은 매입식/타입식 공법을 활용한 파일의 지반관입, 콘크리트파일 상부의 두부정리, 지반과 상부 구조물의 연결을 통한 지지력 확보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파일 상부의 두부정리는 콘크리트파일의 지반 관입 이후 말뚝기초 시공에서 기초의 레벨을 맞추기 위해 콘크리트파일 상부를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파일의 상부를 절단할 때에는 건설장비(굴착기 등)에 장착된 파쇄기를 이용하여 파쇄하거나, 작업자가 절단기로 직접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절단방법은 건설장비(굴착기 등)에 장착된 파쇄기를 이용하여 절단할 경우에는 그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작업자가 절단기로 직접 절단할 경우에는 안전사고(베임 등)발생, 콘크리트파일 기초면 지하수의 상승으로 인한 노무자 실족 및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 발생, 노무자 작업 숙련도에 따른 절단면의 수평상태 불량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059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8125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06021
본 발명은 큰 절삭력을 통해 신속하게 콘크리트 기초파일을 절단할 수 있는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굴착기에 탑승한 작업자가 기초파일의 절단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파일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초파일 절단 시 안전사고를 저감시킬 수 있는 파일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파일(1)의 외측을 감싸 지지하는 클램프모듈(200); 상기 클램프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와이어쏘(450)를 통해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절단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모듈(200)은, 굴착기에 조립되는 클램프바디(25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클램프(21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 클램프(22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1 클램프(2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를 회전시키는 제 1 클램프유압부(23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2 클램프(22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클램프(220)를 회전시키는 제 2 클램프유압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모듈(300)은,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결합되고, 상기 절단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바디(350); 상기 결합바디(350)의 좌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 레일바디(310); 상기 결합바디(350)의 우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 레일바디(320); 상기 제 1 레일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무빙바디(330); 상기 제 2 레일바디(32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무빙바디(340); 상기 제 1 무빙바디(330)를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370); 상기 제 2 무빙바디(340)를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380); 상기 제 1 무빙바디(330) 및 제 2 무빙바디(340)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쏘(450)를 작동시켜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쏘잉모듈(500);을 포함하는 파일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1-1 레일프레임(31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2 레일프레임(312);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의 전방측 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2-1 레일프레임(32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2 레일프레임(322);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의 전방측 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무빙바디(3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스토퍼(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 사이에 상기 제 1 무빙바디(330)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무빙바디(330)가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 사이에 제 2 무빙바디(340)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무빙바디(340)가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쏘잉모듈(500)은,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풀리(510); 상기 제 2 무빙바디(34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풀리(520); 상기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를 감싸고, 상기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의 외주면을 따라 순환되는 상기 와이어쏘(450); 상기 제 1 풀리(510) 또는 제 2 풀리(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쏘(450)를 순환시키는 쏘잉모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초파일(1)의 외측을 감싸 지지하는 클램프모듈(200); 상기 클램프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와이어쏘(450, wire saw)를 통해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절단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모듈(200)은, 굴착기에 조립되는 클램프바디(25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클램프(21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 클램프(22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1 클램프(2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를 회전시키는 제 1 클램프유압부(23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2 클램프(22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클램프(220)를 회전시키는 제 2 클램프유압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모듈(300)은,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결합되고, 상기 절단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바디(350); 상기 결합바디(350)의 좌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 레일바디(310); 상기 결합바디(350)의 우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 레일바디(320); 상기 제 1 레일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무빙바디(330); 상기 제 2 레일바디(32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무빙바디(340); 상기 제 1 무빙바디(330)를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370); 상기 제 2 무빙바디(340)를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380); 상기 제 1 무빙바디(330) 및 제 2 무빙바디(340)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쏘(450)를 작동시켜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쏘잉모듈(500);을 포함하고, 상기 쏘잉모듈(500)은,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풀리(510); 상기 제 2 무빙바디(34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풀리(520); 상기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를 감싸고, 상기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의 외주면을 따라 순환되는 상기 와이어쏘(450); 상기 제 1 풀리(510) 또는 제 2 풀리(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쏘(450)를 순환시키는 쏘잉모터(530);를 포함하는 파일절단장치의 기초파일 절단방법에 있어서,
기초파일에 절단위치(601)를 표시하는 표시단계(S10); 상기 절단위치 표시 후에 상기 절단모듈(300)의 작업공간으로 상기 기초파일(1)을 위치시키는 위치단계(S20); 상기 결합바디(350)에 배치된 레이저수평기(6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절단위치(601)와 레이저위치(602)를 일치시키는 일치단계(S30); 상기 일치단계(S30) 이후에 상기 클램프모듈(200)을 작동시켜 상기 기초파일(1)의 절단예정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단계(S40); 상기 고정단계(S40)이후에 상기 쏘잉모터(530)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쏘(450)를 회전시키는 와이어회전단계(S50); 상기 와이어회전단계(S50) 이후에 상기 제 1 액추에이터(370) 및 제 2 액추에이터(380)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작동단계(S60); 상기 액추에이작동단계(S60)를 통해 상기 와이어쏘(450) 및 기초파일(1)을 접촉시켜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절단단계(S70); 상기 기초파일(1)의 절단 후, 쏘잉모터(530), 제 1 액추에이터(370) 및 제 2 액추에이터(380)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S80); 상기 정지단계(S80) 이후에 절단된 상기 기초파일(1)을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90);를 포함하는 파일절단장치의 기초파일 절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와이어쏘를 액추에이터를 통해 당기는 방식으로 기초파일을 절단하기 때문에, 기초파일에 큰 절삭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초파일을 신속하게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초파일을 절삭공간 내부에 위치시키고, 와이어쏘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기초파일을 절단하기 때문에,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칩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절삭공간의 바깥쪽에 가드가 배치되기 때문에,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칩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쏘와 동일한 높이로 레이저를 투사하는 레이저수평기가 결합바디에 배치되기 때문에, 굴착기에 탑승한 작업자가 와이어쏘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에 작창된 파일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단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절단장치의 높이 정렬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일절단장치의 기초파일절단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절단장치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에 작창된 파일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램프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단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절단장치의 높이 정렬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절단장치는 건설기계의 어치태먼트로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굴착기(掘鑿機, excavator)의 어태치먼트로 사용될 수 있다. 굴착기는 땅이나 암석 따위를 파내는 건설기계이고, 무한궤도 또는 타이어식 운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굴착기는 땅을 파는 버킷이 어태치먼트로 조립되고, 상기 버킷을 분리한 후, 본 실시예에 다른 파일절단장치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굴착기는 굴착기본체(10)와, 상기 굴착기본체(10)에 일 방향으로 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붐(20)과, 상기 붐(20)에 일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핸들(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일절단장치(100)는 상기 핸들(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파일절단장치(100)는 콘크리트 기초파일(1, 이하 기초파일이라 한다)의 외측을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모듈(200)과, 상기 클램프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와이어쏘(450, wire saw)를 통해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절단모듈(300)을 포함한다.
클램프모듈(200)은, 상기 굴착기의 핸들(30)에 조립되는 클램프바디(250)와,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클램프(210)와,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 클램프(220)와,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1 클램프(2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를 회전시키는 제 1 클램프유압부(230)와,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2 클램프(22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클램프(220)를 회전시키는 제 2 클램프유압부(240)를 포함한다.
제 1 클램프(210) 및 제 2 클램프(22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초파일(1)의 외주면을 잡아 고정시킬 수 있다.
절단모듈(300)은, 상기 클램프모듈(2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절단모듈(300)은 상기 제 1 클램프(210) 및 제 2 클램프(220)에 의해 고정된 기초파일(1)의 하부를 와이어쏘(450)를 통해 절단하여 지면에 매립된 부분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절단모듈(300)은,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결합되고, 상기 절단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바디(350)와, 상기 결합바디(35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 좌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 레일바디(310)와, 상기 결합바디(350)의 타측(본 실시예에서 우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 레일바디(320)와, 상기 제 1 레일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무빙바디(330)와, 상기 제 2 레일바디(32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무빙바디(340)와, 상기 제 1 무빙바디(330)를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370)와, 상기 제 2 무빙바디(340)를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380)와, 상기 제 1 무빙바디(330) 및 제 2 무빙바디(340)에 배치되고, 와이어쏘(450)를 작동시켜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쏘잉모듈(500)을 포함한다.
결합바디(350)에 제 1 레일바디(310) 및 제 2 레일바디(320)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결합바디(350)와 제 1 레일바디(310)가 직교하게 배치되고, 결합바디(350)와 제 2 레일바디(320)도 직교하게 배치된다.
제 1 레일바디(310) 및 제 2 레일바디(320)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 1 레일바디(3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1-1 레일프레임(311)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2 레일프레임(312)과,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의 전방측 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3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1 레일프레임(311)이 제 2 레일바디(320) 측(좌측)에 배치되고, 제 1-2 레일프레임(312)이 외측(우측)에 배치된다.
제 1-1 레일프레임(311)은 "?quot;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2 레일프레임(312)은 "?quot;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 제 1 무빙바디(330)가 배치된다.
제 1-1 레일프레임(311)은, 제 1 무빙바디(330)의 좌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1 수직벽(311a)과, 상기 제 1 수직벽(311a)의 상단에서 상기 제 1-2 레일프레임(312) 측으로 절곡된 제 1 상부절곡벽(311b)과, 상기 제 1 수직벽(311a)의 하단에서 상기 제 1-2 레일프레임(312) 측으로 절곡된 제 1 하부절곡벽(311c)을 포함한다.
제 1 무방바디(330)의 좌측이 상기 제 1 상부절곡벽(311b) 및 제 1 하부절곡벽(311c)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상부절곡벽(311b) 및 제 1 하부절곡벽(311c)에 지지될 수 있고, 제 1 무빙바디(330)의 슬라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 1-2 레일프레임(312)은, 제 1 무빙바디(330)의 우측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수직벽(312a)과, 상기 제 2 수직벽(312a)의 상단에서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측으로 절곡된 제 2 상부절곡벽(312b)과, 상기 제 2 수직벽(312a)의 하단에서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측으로 절곡된 제 2 하부절곡벽(312c)을 포함한다.
제 1 무방바디(330)의 우측이 상기 제 2 상부절곡벽 및 제 1 하부절곡벽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상부절곡벽 및 제 1 하부절곡벽에 지지될 수 있고, 제 1 무빙바디(330)의 슬라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 1 수직벽 및 제 2 수직벽이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의 좌우 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제 1 무빙바디(330)의 슬라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 1 무빙바디(330)는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제 1 무빙바디(330)의 상측에 후술하는 제 1 풀리(510)가 배치되고, 하측에 쏘잉모터(530)가 배치된다.
제 1 무빙바디(330)는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과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의 좌측, 우측 및 하측에 각각 베어링(339)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쏘잉(450)의 순환될 때의 장력에 의해 상기 제 1 무빙바디(330)가 제 1 레일(331) 측으로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의 좌측면에 배치된 베어링(339)을 통해 마찰을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쏘잉모터(530)의 모터축(535)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무빙바디(33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홀(335)이 형성된다. 상기 축홀(335)은 제 1 무빙바디(330)의 좌우 중심 및 전후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레일바디(3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2-1 레일프레임(321)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2 레일프레임(322)과,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의 전방측 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무빙바디(3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스토퍼(32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1 레일프레임(321)이 외측(좌측)에 배치되고, 제 2-2 레일프레임(322)이 제 1 레일바디(310) 측(우측)에 배치된다.
제 2-1 레일프레임(321)은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2 레일프레임(322)은 "⊃"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레일바디(320)의 각 구성이 제 1 레일바디(310)의 각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2 무빙바디(340)의 각 구성도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의 각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액추에이터(370) 및 제 2 액추에이터(380)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된다.
제 1 액추에이터(370)는 제 1 실린더(371) 및 제 1 피스톤(37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피스톤(372)이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에 결합된다. 제 1 피스톤(372)의 작동 시, 상기 제 1 무빙바디(3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2 액추에이터(380)는 제 2 실린더(381) 및 제 2 피스톤(382)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피스톤(382)이 상기 제 2 무빙바디(340)에 결합된다. 제 2 피스톤(382)의 작동 시, 상기 제 2 무빙바디(34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액추에이터(370) 및 제 2 액추에이터(380)가 상기 결합바디(350)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 1 레일바디(310) 및 제 1 액추에이터(370)가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고, 제 2 레일바디(320) 및 제 2 액추에이터(380)가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
제 1 액추에이터(370)의 전단이 상기 제 1 레일바디(310)의 후단(310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 2 액추에이터(380)의 전단이 상기 제 2 레일바디(320)의 후단(320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바디(350)가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에 결합된다.
즉, 제 1 액추에이터(370)의 전단이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 사이에 상기 제 1 피스톤(372)이 배치되고, 제 1 피스톤(372)을 제 1 무빙바디(330)에 직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1 피스톤(372)을 내부에 은닉시킬 수 있다.
제 2 액추에이터(380)의 전단이 제 2-1 레일프레임(32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 2-1 레일프레임(32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 사이에 상기 제 2 피스톤(382)이 배치되고, 제 2 피스톤(372)을 제 2 무빙바디(340)에 직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2 피스톤(382)을 내부에 은닉시킬 수 있다.
쏘잉모듈(500)은,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풀리(510)와, 상기 제 2 무빙바디(34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풀리(520)와, 상기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를 감싸고, 상기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의 외주면을 따라 순환되는 와이어쏘(450)와, 상기 제 1 풀리(510) 또는 제 2 풀리(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쏘(450)를 순환시키는 쏘잉모터(5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쏘잉모터(530)는 제 1 쏘잉모터(531) 및 제 2 쏘잉모터(532)를 포함하고, 제 1 쏘잉모터(531)가 제 1 풀리(510)를 회전시키며, 제 2 쏘잉모터(532)가 제 2 풀리(520)를 회전시킨다.
제 1 쏘잉모터(531) 및 제 2 쏘잉모터(532)는 연동되어 동일한 속도로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쏘잉모터(531) 또는 제 2 쏘잉모터(532) 중 하나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와이어쏘(450)가 상기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를 감싸게 배치되고,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쏘(450)가 제 1 방향(시계방향) 또는 제 2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쏘(450)는 다이아몬드 비드를 포함하는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일 수 있다.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쏘잉모터(531)는 제 1 모터축(531a)을 포함하고, 제 2 쏘잉모터(532)는 제 2 모터축(532a)을 포함하며, 제 1 모터축(531a)이 상기 제 1 풀리(510)를 회전시키고, 제 2 모터축(532a)이 제 2 풀리(520)를 회전시킨다.
제 1 모터축(531a) 및 제 2 모터축(532a)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와이어쏘(450)는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를 기준으로 결합바디(350) 측에 배치된 것을 이너와이어(451)라 하고, 제 1 스토퍼(313) 및 제 2 스토퍼(323) 측에 배치된 것을 아우터와이어(452)라 한다. 이너와이어(451) 및 아우터와이어(452)는 위치상의 구분일 뿐 연속된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한다.
이너와이어(451), 제 1 레일바디(310), 제 2 레일바디(320) 및 결합바디(35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절삭공간(105)이라 정의한다.
굴착기의 붐 및 핸들을 조작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절삭장치의 절삭공간(105)에 기초파일(1)을 위치시킬 수 있고, 와이어쏘(45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기초파일(1)을 절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액추에이터(370) 및 제 2 액추에이터(380)가 제 1 무빙바디(330) 및 제 2 무빙바디(340)를 결합바디(350) 측으로 당기는 동작을 통해 상기 이너와이어(451)가 기초파일(1)을 절단한다.
상기 이너와이어(451)가 제 1 액추에이터(370) 및 제 2 액추에이터(380)이 구동력에 의해 당겨지며 기초파일(1)이 절단되기 때문에, 와이어쏘(45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기초파일(1)의 절단 시, 클램프모듈(200)이 절단되는 기초파일(1)의 상부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와이어쏘(450)의 절단 후에도 절단된 부분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초파일(1)의 절단과정에서 기초파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가 비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와이어(451)가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기초파일(1)을 절단하기 때문에, 외부로 비산되는 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전사고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절단과정에서의 콘크리트 비산을 차단하기 위한 가드(400)가 더 배치된다.
가드(400)는,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절삭공간(105)의 일측(우측)에 배치되는 제 1 사이드가드(410)와,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절삭공간(105)의 타측(좌측)에 배치되는 제 2 사이드가드(420)와, 제 1 레일바디(310) 및 제 2 레일바디(320)를 연결하는 프론트가드(430)를 포함한다.
제 1 사이드가드(410), 제 2 사이드가드(420) 및 프론트가드(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제 1 사이드가드(410), 제 2 사이드가드(420) 및 프론트가드(43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재질일 수 있다.
투명한 재질을 통해 기초파일의 절단과정을 작업자가 근거리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제 1 액추에이터(370) 및 제 2 액추에이터(38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사이드가드(410), 제 2 사이드가드(420) 및 프론트가드(430)는 와이어쏘(450)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칩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 1 사이드가드(410), 제 2 사이드가드(420) 및 프론트가드(430)는 일체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굴착기의 작업자는 기초파일(1)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와이어쏘(450)는 기초파일(1)의 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와이어쏘(450)의 정확한 높이를 확인하기 어렵다.
와이어쏘(450)의 정확한 높이를 간편하게 확인하기 위해, 상기 결합바디(350)에 레이저수평기(6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수평기(600)는 결합바디(3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상기 결합바디(350)의 전면(35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결합바디(350)의 전면을 통해 전방으로 레이저를 투사한다.
레이저수평기(600)는 와이어쏘(450)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레이저수평기(600)에서 투사된 레이저의 높이가 와이어쏘(450)의 높이와 동일하다.
레이저수평기(600)는 결합바디(350)에서 전방으로 레이저를 투사하고, 기초파일(1)의 후면에 레이저가 표시된다. 작업자는 기초파일(1)의 후면에 표시된 레이저를 통해 와이어쏘(450)의 높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결합바디(350)는, 절단방향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710, 7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710, 720)은, 레이저수평기(600)를 중심으로 양 측에 각각 배치된 제1 분사 노즐(710) 및 제2 분사 노즐(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710) 및 제2 분사 노즐(720) 각각은 결합바디(350)의 후면(절단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과 전면(절단방향을 향하는 면)을 연결하는 관(pipe)과 연결될 수 있고, 관과 연결된 결합바디(350)의 후면(미도시)에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또는 저수조)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공급관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공급관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는 펌프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결합바디(360)의 후면과 연결된 상기 관으로 물을 전달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분사 노즐(710) 및 제2 분사 노즐(720) 각각은 연결된 관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복수의 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을 통해 공급받는 물이 제1 분사 노즐(710)과 제2 분사 노즐(720)을 통과할 때 고속으로 절단방향을 향해 복수의 홀들을 통해 방사상, 부채상, 원추상 중 하나로 분사됨으로써 절단 전후 또는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차단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되는 상의 종류는 복수의 홀들의 배치 구성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현례는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분사 노즐(710)은 연결된 관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복수의 홀들로 구성되고, 제2 분사 노즐(720)은 연결된 관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단일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분사 노즐(710)은 복수의 홀들을 통해 방사상, 부채상, 원추상 중 하나의 넓은 범위 형태로 물을 분출시킬 수 있고, 제2 분사 노즐(720)은 단일 홀을 통해 절단 방향의 일 점(point)에 집중되도록 물을 분출할 수 있다.
기초파일(1)의 절단 전에 기초파일(1)의 외주면에 절단위치(601)가 표시되고, 굴착기의 작업자는 표시된 절단위치(601)와 레이저의 위치(602)를 일치시킨 후, 와이어쏘(45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기초파일(1)을 절단한다.
이때, 절단위치(601)와 레이저의 위치(602)가 일치되고, 기초파일(1)을 절단하기 전 및 절단하는 도중에, 제1 분사 노즐(710) 및 제2 분사 노즐(720)을 통해 물을 분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를 경우, 기초파일(1)을 절단하기 전 또는 절단하는 중에, 제1 분사 노즐(710) 및 제2 분사 노즐(720)을 통해 물을 넓은 범위로 분출시킴으로써 절단위치(601)가 절단될 때 발생하는 분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를 경우, 기초파일(1)을 절단하기 전에 제1 분사 노즐(710)을 통해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절단위치(601) 주변까지 충분히 물이 전달되도록 하고,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중에는 제2 분사 노즐(720)을 통해 절단 방향의 일점에 집중시켜 물을 분출시킴으로써 절단위치(601)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최대한 억제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분사 노즐(710)과 제2 분사 노즐(720)의 구조와 배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분사 노즐(710)과 제2 분사 노즐(720)이 하나의 단일한 노즐로서 레이저수평기(60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너와이어(451)의 접촉면에 물을 분사하는 워터노즐(65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워터노즐(650)에서 분사된 물을 통해 먼지의 비산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고, 와이어쏘(450)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워터노즐(650)은 제 1 무빙바디(330) 또는 제 2 무빙바디(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워터노즐(650)은 제 1 무빙바디(330) 및 제 2 무빙바디(340)에 배치되고,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 1 무빙바디에 배치된 워터노즐을 제 1 워터노즐이라 하고, 제 2 무빙바디에 배치된 워터노즐을 제 2 워터노즐이라 한다. 제 1 워터노즐(650)은 제 2 풀리(520) 측으로 물을 분사하고, 제 2 워터노즐은 제 1 풀리(510) 측으로 물을 분사한다.
워터노즐(650)의 물 분사위치는 상기 와이어쏘(450)의 위치보다 약간 높게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물의 분사과정에서 물의 자중에 의한 낙하높이를 감안한 설계이다.
상기 워터노즐(650)이 제 1 무빙바디(330)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풀리(51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와이어쏘(450)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하더라도 동일한 위치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일절단장치의 기초파일 절단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은, 기초파일에 절단위치(601)를 표시하는 표시단계(S10)와, 상기 절단위치 표시 후에 절단모듈(300)의 작업공간으로 기초파일(1)을 위치시키는 위치단계(S20)와, 레이저수평기(6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절단위치(601)와 레이저위치(602)를 일치시키는 일치단계(S30)와, 상기 일치단계(S30) 이후에 클램프모듈(200)을 작동시켜 기초파일(1)의 절단예정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단계(S40)와, 상기 고정단계(S40)이후에 쏘잉모터(530)를 작동시켜 와이어쏘(450)를 회전시키는 와이어회전단계(S50)와, 상기 와이어회전단계(S50) 이후에 액추에이터(370)(380)를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작동단계(S60)와, 상기 액추에이터작동단계(S60)를 통해 상기 와이어쏘(450) 및 기초파일(1)을 접촉시켜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절단단계(S70)와, 상기 기초파일(1)의 절단 후, 쏘잉모터(530) 및 액추에이터(370)(380)를 정지시키는 정지단계(S80)와, 상기 정지단계(S80) 이후에 절단된 기초파일(1)을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90)를 포함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절단장치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 제어장치로 약칭될 수 있음)는,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파일절단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파일절단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는, 파일절단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파일절단장치(100)가 결합된 건설기계(예를 들어 굴착기 등)에 배치되어 건설기계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파일절단장치(100)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기초파일(1)의 외주면에 표시된 절단위치(601)를 식별하는 단계, 레이저수평기(6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식별된 절단위치(601)와 레이저위치(602)를 일치시키는 단계, 클램프모듈(200)을 제어하여 기초파일(1)의 절단위치(601)를 고정하는 단계; 쏘잉모터(530)를 작동시켜 와이어쏘(450)를 회전시키는 단계; 액추에이터(370)(380)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쏘(450)를 기초파일(1)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파일(1)의 절단 후, 쏘잉모터(530) 및 액추에이터(370)(380)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초파일(1)의 외주면에 표시된 절단위치(601)를 식별하기 위하여, 파일절단장치(100)에는 카메라가 내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내장되는 카메라는 클램프바디(25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클램프바디(250)의 내부에서 카메라의 렌즈만 외부로 드러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는, 이렇게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초파일(1)의 외주면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에서 널리 알려진 윤곽선 추출 알고리즘이나 엣지 추출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절단위치(601)를 식별하거나,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을 이용한 CNN 기반의 객체식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절단위치(601)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식별 알고리즘은, R-CNN, YOLO, SS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 방법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2)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다.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는,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 데이터, 임시 데이터, 중간처리 데이터,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4),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57)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50)와 파일절단장치(100)가 서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제어장치(50)가 파일절단장치(100)를 제어하는 것을 전제로, 제어장치(50)와 파일절단장치(100) 사이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어장치(50)와 파일절단장치(100)는 노드, 단말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제1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앵커/도너 노드의 CU(centralized unit) 일 수 있고, 제2 노드(장치)는 앵커/도너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의 DU(distributed unit) 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노드의 일부로 기지국(base station, BS), 단말,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 및 단말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이다. 기지국은 신호가 전송될 수 있는 거리에 따라 소정의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된 커버리지를 갖는다.
기지국은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 세대(5th generation, 5G) 노드",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밀리미터 파(millimeter wave, 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 향상을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에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단말 및 단말은 빔 탐색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통신은 서빙 빔을 운반하는 자원과 준 동일위치(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안테나 포트 및 두 번째 안테나 포트는 첫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의 대규모 속성이 두 번째 안테나 포트의 심볼이 전달되는 채널에서 유추될 수 있는 경우 준 동일위치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대규모 속성은 지연 확산, 도플러 확산, 도플러 시프트, 평균 이득, 평균 지연 및 공간 Rx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예시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module)", "-부(unit)"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storage unit 및 컨트롤러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베이스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은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유닛과 아날로그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기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비트 스트림을 변환하고, 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코어 네트워크는 물리적 신호로,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된 물리적 신호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저장부는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너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상기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릴레이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릴레이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도너 노드와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단말에 대한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에 관한 릴레이 노드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메시지를 도너 노드로 전송하고; 도너 노드로부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 중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통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한 라디오 베어러 및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라디오 베어러에 의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의해 전달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도너 노드와 릴레이 노드 사이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해 설정된 터널에 대한 정보;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도너 노드 측면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단말에 대해 새로운 주소를 라디오 베어러에 할당하도록 릴레이 노드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라디오 베어러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가 사용할 수 없는 주소 정보 목록;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노드에 액세스하는 터미널의 식별;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승인되지 않은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릴레이 노드에 의해 부분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 라디오 베어러 매핑 정보; 릴레이 노드가 생성한 릴레이 노드에 접속하는 단말의 구성 정보; 릴레이 노드 측의 주소에 대한 정보; 및 보안 구성과 관련된 정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통합된 다중 라디오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너 노드는 도너 노드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릴레이 노드는 도너 노드의 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단말의 구성요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범용적인 단말의 구성요소로서 전술한 내용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요소와 병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일부 중첩되거나 상충되는 범위에서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이 우선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 "-유닛"또는 "-er"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처리하는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표준에 따라 베이스 밴드 신호와 비트 스트림 간의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송 비트 스트림을 인코딩 및 변조하여 복합 심볼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수신 비트 스트림을 재구성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 후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 필터(transmission filter), 수신 필터(reception filter), 증폭기(amplifier), 믹서(mixer), 발진기(oscillator),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or, DAC),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to-digital convertor,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측에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를 들어,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수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는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컨트롤러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컨트롤러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저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다. 컨트롤러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택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의 일부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컨트롤러의 일부를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인코딩 및 변조 회로, 디지털 빔포밍 회로, 복수의 전송 경로 및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를 포함한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ow-density parity check(LDPC) 코드, 컨볼루션 코드 및 폴라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및 변조 회로는 성상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신호(예를 들어, 변조 심볼)에 대한 빔 형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변조 심볼을 다중화한다. 빔포밍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 및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매트릭스(precoding matrix)"또는 "프리코더(precoder)"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을 복수의 전송 경로로 출력한다. 이때, 다중 안테나 기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송 방식에 따라 변조 심볼이 다중화 되거나 동일한 변조 심볼이 복수의 전송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인버스 고속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계산 유닛,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 삽입 유닛, DAC 및 상향 변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 부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필터 뱅크 다중 반송파(a filter bank multi-carrier): FBMC) 적용시 생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송 경로는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에 대해 독립적인 신호 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구현에 따라 복수의 전송 경로의 일부 요소는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 회로는 빔포밍 가중 값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다중화한다. 빔포밍된 가중치는 신호의 크기와 문구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송 경로와 안테나 사이의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송 경로 각각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복수의 전송 경로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에 적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굴착기 본체 20 : 붐
30 : 핸들 100 : 파일절단장치
200 : 클램프모듈 300 : 절단모듈
310 : 제 1 레일바디 320 : 제 2 레일바디
330 : 제 1 무빙바디 340 : 제 2 무빙바디
350 : 결합바디 370 : 제 1 액추에이터
380 : 제 2 액추에이터 450 : 와이어쏘
500 : 쏘잉모듈 510 : 제 1 풀리
520 : 제 2 풀리 530 : 쏘잉모터

Claims (9)

  1. 콘크리트 기초파일(1)의 외측을 감싸 지지하는 클램프모듈(200);
    상기 클램프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와이어쏘(450)를 통해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절단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모듈(200)은,
    굴착기에 조립되는 클램프바디(25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클램프(21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 클램프(22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1 클램프(2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를 회전시키는 제 1 클램프유압부(23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2 클램프(22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클램프(220)를 회전시키는 제 2 클램프유압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모듈(300)은,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결합되고, 상기 절단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바디(350);
    상기 결합바디(350)의 좌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 레일바디(310);
    상기 결합바디(350)의 우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 레일바디(320);
    상기 제 1 레일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무빙바디(330);
    상기 제 2 레일바디(32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무빙바디(340);
    상기 제 1 무빙바디(330)를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370);
    상기 제 2 무빙바디(340)를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380);
    상기 제 1 무빙바디(330) 및 제 2 무빙바디(340)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쏘(450)를 작동시켜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쏘잉모듈(500);을 포함하는 파일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1-1 레일프레임(31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2 레일프레임(312);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의 전방측 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2-1 레일프레임(32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2 레일프레임(322);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의 전방측 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무빙바디(3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스토퍼(323);를 포함하는 파일절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 사이에 상기 제 1 무빙바디(330)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무빙바디(330)가 상기 제 1-1 레일프레임(311) 및 제 1-2 레일프레임(3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파일절단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 사이에 제 2 무빙바디(340)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무빙바디(340)가 상기 제 2-1 레일프레임(321) 및 제 2-2 레일프레임(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파일절단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쏘잉모듈(500)은,
    상기 제 1 무빙바디(33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풀리(510);
    상기 제 2 무빙바디(34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풀리(520);
    상기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를 감싸고, 상기 제 1 풀리(510) 및 제 2 풀리(520)의 외주면을 따라 순환되는 상기 와이어쏘(450);
    상기 제 1 풀리(510) 또는 제 2 풀리(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쏘(450)를 순환시키는 쏘잉모터(530);를 포함하는 파일절단장치.
  6.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5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52)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기초파일(1)의 외주면에 표시된 절단위치(601)를 식별하는 단계;
    레이저수평기(6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식별된 절단위치(601)와 레이저위치(602)를 일치시키는 단계;
    클램프모듈(200)을 제어하여 상기 기초파일(1)의 상기 절단위치(601)를 고정하는 단계;
    쏘잉모터(530)를 작동시켜 와이어쏘(450)를 회전시키는 단계;
    액추에이터(370)(380)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쏘(450)를 상기 기초파일(1)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파일(1)의 절단 후, 상기 쏘잉모터(530) 및 상기 액추에이터(370)(380)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절단장치(100)는
    상기 기초파일(1)의 외측을 감싸 지지하는 클램프모듈(200); 및
    상기 클램프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쏘(450)를 통해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절단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모듈(200)은,
    굴착기에 조립되는 클램프바디(25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클램프(21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 클램프(22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1 클램프(2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를 회전시키는 제 1 클램프유압부(23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2 클램프(22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클램프(220)를 회전시키는 제 2 클램프유압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모듈(300)은,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결합되고, 상기 절단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바디(350);
    상기 결합바디(350)의 좌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 레일바디(310);
    상기 결합바디(350)의 우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 레일바디(320);
    상기 제 1 레일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무빙바디(330);
    상기 제 2 레일바디(32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무빙바디(340);
    상기 제 1 무빙바디(330)를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370);
    상기 제 2 무빙바디(340)를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380); 및
    상기 제 1 무빙바디(330) 및 제 2 무빙바디(340)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쏘(450)를 작동시켜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상기 쏘잉모듈(500);을 포함하는,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
  7.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에 의해 수행되는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 방법으로서,
    기초파일(1)의 외주면에 표시된 절단위치(601)를 식별하는 단계;
    레이저수평기(6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식별된 절단위치(601)와 레이저위치(602)를 일치시키는 단계;
    클램프모듈(200)을 제어하여 상기 기초파일(1)의 상기 절단위치(601)를 고정하는 단계;
    쏘잉모터(530)를 작동시켜 와이어쏘(450)를 회전시키는 단계;
    액추에이터(370)(380)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쏘(450)를 상기 기초파일(1)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초파일(1)의 절단 후, 상기 쏘잉모터(530) 및 상기 액추에이터(370)(380)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절단장치(100)는
    상기 기초파일(1)의 외측을 감싸 지지하는 클램프모듈(200); 및
    상기 클램프모듈(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쏘(450)를 통해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절단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모듈(200)은,
    굴착기에 조립되는 클램프바디(25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클램프(210);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 클램프(22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1 클램프(21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클램프(210)를 회전시키는 제 1 클램프유압부(230); 상기 클램프바디(250) 및 제 2 클램프(22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클램프(220)를 회전시키는 제 2 클램프유압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모듈(300)은,
    상기 클램프바디(250)에 결합되고, 상기 절단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바디(350);
    상기 결합바디(350)의 좌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 레일바디(310);
    상기 결합바디(350)의 우측에서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 레일바디(320);
    상기 제 1 레일바디(31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1 무빙바디(330);
    상기 제 2 레일바디(320)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 2 무빙바디(340);
    상기 제 1 무빙바디(330)를 상기 제 1 레일바디(31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1 액추에이터(370);
    상기 제 2 무빙바디(340)를 상기 제 2 레일바디(32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 2 액추에이터(380); 및
    상기 제 1 무빙바디(330) 및 제 2 무빙바디(340)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쏘(450)를 작동시켜 상기 기초파일(1)을 절단하는 상기 쏘잉모듈(500);을 포함하는,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따른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9. 파일절단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50)에서, 청구항 7에 따른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23138A 2021-12-20 2022-09-28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KR202201398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2836 2021-12-20
KR1020210182836 2021-12-20
KR1020210183312 2021-12-21
KR20210183312 2021-12-21
KR1020210184225A KR102450145B1 (ko) 2021-12-20 2021-12-21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225A Division KR102450145B1 (ko) 2021-12-20 2021-12-21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826A true KR20220139826A (ko) 2022-10-17

Family

ID=835973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225A KR102450145B1 (ko) 2021-12-20 2021-12-21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KR1020220123138A KR20220139826A (ko) 2021-12-20 2022-09-28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KR1020220123140A KR20220139827A (ko) 2021-12-20 2022-09-28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225A KR102450145B1 (ko) 2021-12-20 2021-12-21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140A KR20220139827A (ko) 2021-12-20 2022-09-28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501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591B1 (ko) 2016-04-29 2017-10-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장치
KR101881251B1 (ko) 2017-04-03 2018-07-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장치
KR102106021B1 (ko) 2018-03-29 2020-04-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433B1 (ko) * 2005-07-22 2007-05-07 (주) 대호바콘텍 말뚝 및 콘크리트 선형 구조물 절단장치
KR101018297B1 (ko) * 2008-10-09 2011-03-04 (주)삼성판넬플랜트 자동 및 수동 슬라이딩 도어 레일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591B1 (ko) 2016-04-29 2017-10-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장치
KR101881251B1 (ko) 2017-04-03 2018-07-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장치
KR102106021B1 (ko) 2018-03-29 2020-04-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강관 파일 두부 고정 및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145B1 (ko) 2022-10-06
KR20220139827A (ko)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2300B2 (en) Device, vehicl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 mobile base station transceiver
CN105453642A (zh) 异构网络中的通信方法、宏基站、微基站和用户设备
US10172097B1 (en) Avoiding satellite interference to long term evolution systems
US20160330643A1 (en) High frequency radio environmental mapping and system procedures
US114189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UE Security Capabilities
CN105210446B (zh) 在多个小区中提供空到地无线通信的网络
CN109690964B (zh) 具有分离的控制和业务信道的空对地通信系统
US20080194204A1 (en) Enhanced Connection Acquisition Using an Array Antenna
US20210400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ference signal power boos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60263A1 (en) Techniques to reduce radiated power for mimo wireless systems
Barb et al. 5G: An overview on challenges and key solutions
JP6634982B2 (ja) 端末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US20160212685A1 (en) Cluster set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US9871570B1 (en) Beam determining unit and beam-searching method for a wireless heterogeneous network
Naqvi et al. Self-adaptive power control mechanism in D2D enabled hybrid cellular network with mmWave small cells: An optimization approach
Saeed et al. On the feasibility of remote driving application over dense 5G roadside networks
KR102450145B1 (ko) 파일절단장치 및 그에 따른 기초파일 절단방법
US102055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inter-cell information for cancelling inter-cell interference
US116655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steering acquisition and optimization using bluetooth protocols
US10411781B1 (en) Dynamically adjusting vertical beamforming weights
US10756429B1 (en) Dynamic variation of power per antenna to facilitate beamforming of antenna array
US9083085B2 (e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input multi-outpu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input multi-output using the same
US20230189012A1 (en) Network Signaling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Enhancement in High Speed Train (HST) Scenarios
US20170318590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8419266B (zh) 一种信道侦听方法及发射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