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438B1 - 전단기 - Google Patents

전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438B1
KR102105438B1 KR1020180043404A KR20180043404A KR102105438B1 KR 102105438 B1 KR102105438 B1 KR 102105438B1 KR 1020180043404 A KR1020180043404 A KR 1020180043404A KR 20180043404 A KR20180043404 A KR 20180043404A KR 102105438 B1 KR102105438 B1 KR 102105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housing
opening
blade
bla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890A (ko
Inventor
조창훈
최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취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취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취케이
Priority to KR102018004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438B1/ko
Priority to PCT/KR2018/004738 priority patent/WO2019198855A1/ko
Publication of KR2019011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Abstract

전단기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기는: 프레임부;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제1블레이드부;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제1블레이드부와 맞물리는 소재를 전단하는 제2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블레이드부는,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제1하우징; 제1하우징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1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부; 제1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개구부를 통해 출물 가능한 제1커터를 구비하는 제1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단기{SHEARING MACHINE}
본 발명은 전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커팅과 형상 커팅으로 이종 생산이 가능한 전단기에 관한 것이다.
전단기는 윗날과 아랫날이 맞물리면서 전단 작용에 의해 소재를 직선이나 곡선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전단기는 소재에 일반 커팅과 형상 커팅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즉, 소재의 일반 커팅을 위한 커터와 형상 커팅을 위한 커터를 별도로 사용하게 되어, 일반 커팅과 형상 커팅을 위해 전단기에 해당 커터의 교체를 위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7854호(2015.09.23 공개, 발명의 명칭: 전단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커팅과 형상 커팅으로 이종 생산이 가능한 전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기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제1블레이드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맞물리는 소재를 전단하는 제2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1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출물 가능한 제1커터를 구비하는 제1커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터는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블레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2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출물 가능한 제2커터를 구비하는 제2커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커터는 상기 제2개구부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기에 의하면, 소재에 따라 일반 커팅과 형상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소재를 이용한 생산품을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커팅과 형상 커팅을 위해 별도의 커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기를 이용한 일반 커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기를 이용한 형상 커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단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기를 이용한 일반 커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기를 이용한 형상 커팅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기는 프레임부(10), 제1블레이드부(20), 제2블레이드부(3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는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레임부(10)에는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소재(S)가 지나가는 공간을 제공하고, 소재(S)는 상하로 승강되는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에 맞물려 전단된다.
프레임부(10)에서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는 둘다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는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 중 어느 하나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 중 어느 하나는 프레임부(10)에 고정되게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블레이드부(20)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1하우징(21), 제1지지부(23), 제1커터부(25)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21)은 프레임부(1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제1커터부(25)를 수용한다. 제1하우징(21)의 일측(도 1 기준 하측)으로 제1커터부(25)가 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커터부(25)는 제1하우징(2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블레이드부(20)는 프레임부(1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에 설치된 구동부(40)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구동부(40)는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방식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제1지지부(23)는 제1하우징(21)의 일측(도 2 기준 하측)에 장착된다. 제1지지부(23)에는 제1지지부(23)의 길이방향(도 2 기준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개구부(22)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제1개구부(22)는 제1커터부(25)의 제1커터(2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1커터부(25)는 제1하우징(2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개구부(22)를 통해 외부로 출몰 가능한 제1커터(24)를 구비한다. 제1커터(24)는 제1개구부(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게 형성된다. 제1커터(24)는 제1커터부(25)의 몸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된다. 소재(S)의 일반 커팅시, 제1커터부(24)는 단부가 제1개구부(22)와 동일한 표면을 이루어, 소재(S)를 전단한다. 소재(S)의 형상 커팅시, 제1커터부(24)는 단부가 제1개구부(22)에서 외부로 노출되어소재(S)를 전단한다. 제1커터부(24)의 노출 높이는 작업 대상인 소재(S)에 따라 결정된다.
제2블레이드부(30)는 프레임부(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2하우징(31), 제2지지부(33), 제2커터부(35)를 포함한다. 제2하우징(31)은 프레임부(10)의 일측(도 1 기준 하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제2커터부(35)를 수용한다. 제2하우징(31)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으로 제2커터부(35)가 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커터부(35)는 제2하우징(3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지지부(33)는 제2하우징(31)의 일측(도 2 기준 상측)에 장착된다. 제2지지부(33)에는 제2지지부(33)의 길이방향(도 2 기준 좌우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개구부(32)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제2개구부(32)는 제2커터부(35)의 제2커터(3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2커터부(35)는 제2하우징(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개구부(32)를 통해 외부로 출몰 가능한 제2커터(34)를 구비한다. 제2커터(34)는 제2개구부(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게 형성된다. 제2커터(34)는 제2커터부(35)의 몸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열된다. 소재(S)의 일반 커팅시, 제2커터부(34)는 단부가 제2개구부(32)와 동일한 표면을 이루어, 소재(S)를 전단한다. 소재(S)의 형상 커팅시, 제1커터부(24)는 단부가 제1개구부(22)에서 외부로 노출되어소재(S)를 전단한다. 제2커터부(34)의 노출 높이는 작업 대상인 소재(S)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프레임부(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 중 어느 하나가 프레임부(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 중 상하로 이동하지 않는 다른 하나가 프레임부(10)에 고정 장착된다.
또는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 둘다 프레임부(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1블레이드부(20)와 제2블레이드부(30) 각각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소재(S)를 전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기에 의하면, 소재에 따라 일반 커팅과 형상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소재를 이용한 생산품을 다양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커팅과 형상 커팅을 위해 별도의 커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부 20: 제1블레이드부
21: 제1하우징 22: 제1개구부
23: 제1지지부 24: 제1커터
25: 제1커터부 30: 제2블레이드부
31: 제2하우징 32: 제2개구부
33: 제2지지부 34: 제2커터
35: 제2커터부 40: 구동부
S; 소재

Claims (5)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제1블레이드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맞물리는 소재를 전단하는 제2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1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출물 가능한 제1커터를 구비하는 제1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의 일반 커팅시, 상기 제1커터는 단부가 상기 제1개구부와 동일한 표면을 이루어 상기 소재를 전단하고,
    상기 소재의 형상 커팅시, 상기 제1커터는 단부가 상기 제1개구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소재를 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터는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에 장착되고, 복수개의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2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개구부를 통해 출물 가능한 제2커터를 구비하는 제2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터는 상기 제2개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레이드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
KR1020180043404A 2018-04-13 2018-04-13 전단기 KR102105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404A KR102105438B1 (ko) 2018-04-13 2018-04-13 전단기
PCT/KR2018/004738 WO2019198855A1 (ko) 2018-04-13 2018-04-24 전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404A KR102105438B1 (ko) 2018-04-13 2018-04-13 전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90A KR20190119890A (ko) 2019-10-23
KR102105438B1 true KR102105438B1 (ko) 2020-04-29

Family

ID=6816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404A KR102105438B1 (ko) 2018-04-13 2018-04-13 전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5438B1 (ko)
WO (1) WO20191988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035A (ko) 2020-09-21 2022-03-29 전우덕 전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7530A (ja) * 1998-10-16 2000-04-25 Amada Co Ltd シャーリングマシ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416Y2 (ja) * 1988-04-14 1995-10-25 富士車輌株式会社 剪断機
JP3007130B2 (ja) * 1990-11-14 2000-02-07 日本鋼管ライト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の不要端部切断機
JPH0513636A (ja) * 1991-07-05 1993-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5838822B2 (ja) * 2012-01-16 2016-0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プレス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7530A (ja) * 1998-10-16 2000-04-25 Amada Co Ltd シャーリングマシ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035A (ko) 2020-09-21 2022-03-29 전우덕 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855A1 (ko) 2019-10-17
KR20190119890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1014A1 (ja) 穿孔装置及びその穿孔装置を備えた刺繍ミシン
RU2375157C1 (ru) Ножницы для резки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170064659A (ko) 와이어의 캐스팅 성형 걸림구 형성장치
KR102105438B1 (ko) 전단기
EP1810769B1 (de) Plattenbearbeitungsvorrichtung mit einer Säge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Vorrichtung
CN109843465B (zh) 用于板状工件的多冲程进展式切槽的方法、机床和切槽工具
DE202005006834U1 (de) Transportkanal zum Schneiden von Lebensmitteln
JP2011083788A (ja) レーザ加工装置、レーザ加工方法、板金部材
GB2064402A (en) A Machine Tool
CN205763270U (zh) 一种型材自动冲切一体机
EP1020260B2 (de) Vorrichtung zum Aufschneiden von Lebensmittelprodukten
EP2769829B1 (de) Tiefziehverpackungsmaschine mit Hubeinrichtung, und ein Verfahren
KR102105439B1 (ko) 전단기
CN210414671U (zh) 一种食品生产用原料切丝装置
KR101828416B1 (ko) 차량용 천장내장재 트리밍 장치
KR20010061705A (ko) 금속판재 가공장치
CN215467768U (zh) 钢筋剪切机
JP4953844B2 (ja) 回転カッター装置を備えたプレス剪断金型
DE19509986A1 (de) Automatische Vorrichtung zum Schneiden und Stanzen von Schuhteilen
US20210246588A1 (en) Needle plate and sewing machine including same
JP3616051B2 (ja) 帯刃切断装置
CN211052663U (zh) 一种前挡料剪板机
CN216881996U (zh) 一种废钢剪切设备
JP2011078988A (ja) トムソン刃の溝削り加工装置
JP2529265B2 (ja) 板材の剪断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