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42B1 -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42B1
KR102104842B1 KR1020157016455A KR20157016455A KR102104842B1 KR 102104842 B1 KR102104842 B1 KR 102104842B1 KR 1020157016455 A KR1020157016455 A KR 1020157016455A KR 20157016455 A KR20157016455 A KR 20157016455A KR 102104842 B1 KR102104842 B1 KR 102104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cam
seat ring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144A (ko
Inventor
야스히토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깃츠 에스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깃츠 에스시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깃츠 에스시티
Publication of KR2015009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1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specially adapted opera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8Movable seal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with pinion and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16K51/02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igh-vacuum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진공 영역 내를 압력 제어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며, 동일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고실링성을 발휘하면서 미소 유량으로부터 대유량까지 정확하게 유량을 제어하고, 절연 기능을 발휘하여 대기압으로부터 저진공까지 고속으로 압력을 제어하고, 간단한 구조로 소형화한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로(4)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밸브체(11), 유로 4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밸브체(11)에 근접 및 이격되는 시트링(12), 시트링(12)을 밸브체(11)로부터 이격시키고 또한 밸브체(11)를 회전시키는 캠 기구(13), 시트링(12)을 밸브체(11)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 기구(14)를 가지는 밸브 개폐 기구(10)는, 캠 기구(13)에 의해 시트링(12)을 이격시키면서 밸브체(11)를 무슬라이딩 이동으로 회전시키고, 밸브체(11)를 밸브 폐쇄 상태에서 회전시켰을 때 캠 기구(13), 왕복이동 기구(14)에 의해 시트링(12)을 밸브체(11)에 근접 및 이격시켜 유로(4) 내를 압력 제어하고, 동일 구동원으로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BUTTERFLY PRESSUR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고(高)실링성을 확보하면서 미소 유량(微小流量)으로부터 대유량(大流量)까지 정확하게 제어하여, 대기압으로부터 저진공까지를 고속으로 압력 제어할 수 있는 절연 기능이 부가된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의 진공 용기인 진공 챔버와 진공 펌프와의 사이에는, 절연 기능을 가지는 압력 제어 밸브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진공용 절연 밸브는, 진공 챔버로부터 배기하거나 배기를 정지하여 진공 챔버 내를 소정의 진공 압력에 근접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 진공용 절연 밸브에 의해 압력 제어하는 경우, 밸브 폐쇄 시에는 고실링성을 확보하고, 유량 조정 시에는 미소 유량으로부터 대유량까지를 정확하게 제어하고, 대기압으로부터 저진공까지 압력 변화되는 경우에서도 밸브 개방도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여 난류(亂流)를 방지하여 미립자의 비산(飛散)을 막으면서 양호한 정밀도로 또한 고속으로 압력을 제어할 것이 요구된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진공용 절연 밸브로서는,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것이나 발자국성의 우위성 등의 점에서, 버터플라이식의 압력 제어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게 된다. 이 종류의 진공용 절연 밸브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가 제안되어 있다. 이 압력 제어 밸브는, 유로(流路)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밸브체에 근접 및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트링(seat ring)과, 시트링을 밸브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유로와, 시트링을 밸브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밸브 개폐 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 밸브에서는, 에어 유로로부터의 에어 공급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체에 시트링을 이격시켜, 밸브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양호한 정밀도로 유량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0―6013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에서는, 보디 측에 장착된 시트링이 전공(電空; electropneumatic) 비례 밸브에 의한 에어 구동에 의해 동작되므로, 이 에어의 압축성에 의한 응답성에는 한계가 있다. 반도체 제조의 배기계에서는, 보다 고속진공 압력 제어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고, 에어 구동 이상의 응답성을 발휘하여 미소 유량 시의 동작을 고속으로 실시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이 압력 제어식 밸브에서는, 에어 구동에 의한 시트링의 동작과 모터 구동에 의한 밸브체의 회전과의 조합에 의해 제어하고 있으므로, 이들 에어 구동계와 기계 구동계에 의한 구조에 의해 내부가 복잡해져 전체가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보다 간단한 구조이며 컴팩트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에어 구동계와 기계 구동계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어떠한 이유로 에어 구동계에 대한 에어 공급이 멈추거나, 정전이 되거나 하는 경우 등의 동력원의 이상(異常) 시에 오동작하기 쉬워지고 있었다. 특히, 에어 공급이 정지한 경우에는, 밸브체가 폐쇄 위치에 없을 때도 시트링만이 강제적으로 폐쇄 위치로 돌아오려고 함으로써, 오동작의 원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상 시에는, 긴급하게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예의(銳意) 연구의 결과 개발에 이른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진공 영역 내를 압력 제어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로서, 동일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고실링성을 발휘하면서 미소 유량으로부터 대유량까지 정확하게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절연 기능을 발휘하여 대기압으로부터 저진공까지 고속으로 안전을 확보하면서 압력 제어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이며 소형화한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항에 관한 발명은, 보디 내의 유로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밸브체와, 유로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밸브체에 밸브 시트 실링부를 근접 및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트링과, 이 시트링을 밸브체로부터 이격시키고 또한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캠 기구(機構)와, 시트링을 밸브체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 기구를 구비한 밸브 개폐 기구를 가지고, 이 밸브 개폐 기구는, 캠 기구에 의해 시트링을 밸브체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 밸브체를 무(無)슬라이딩 이동으로 회전시키고, 밸브체를 밸브 폐쇄 상태로 회전시켰을 때 캠 기구와 왕복이동 기구에 의해 시트링을 밸브체에 근접 및 이격시켜 유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개폐 기구이며, 이 밸브 개폐 기구를 동일 구동원으로 구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구동원은 모터이며, 모터의 출력축과 동축(同軸)에 캠 기구의 캠 부재를 보디의 외측에 장착하고, 캠 부재에 왕복이동 기구를 동작시켜 시트링을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캠면과,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랙(rack)·피니언 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한 캠홈을 형성한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이다.
제2항에 관한 발명은, 왕복이동 기구는, 시트링에 고착된 연접봉(連接棒)과, 시트링을 밸브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보디의 외주측에 설치되고, 캠면에 맞닿은 롤러에 의해 유로에 대한 수선(垂線)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2개의 4분원형의 레버를 가지고, 캠 부재의 회전에 따라 각 레버가 회전하여 연접봉을 통하여 시트링을 왕복이동시키는 기구인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이다.
삭제
제3항에 관한 발명은, 랙·피니언 기구를 캠 기구의 하부에 설치하고, 이 랙·피니언 기구는, 보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를 가지고, 이 슬라이딩 부재의 상면측에 설치한 핀이 캠홈에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중앙 부근에 설치한 랙과 밸브축에 설치한 피니언이 맞물리고, 캠 부재의 회전에 의해 핀과 캠홈을 통하여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하고, 이 슬라이딩에 의해 랙과 피니언을 통하여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기구인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이다.
제4항에 관한 발명은, 캠면을 캠 부재의 외주면(外周面), 캠홈을 캠 부재의 내측에 설치하고, 이들 캠면과 캠홈은, 캠 부재에서의 시트링과 밸브체가 연속적으로 동작하고, 또한 시트링과 밸브체의 상호의 동작이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이다.
제1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특히, 진공 영역 내를 압력 제어하는 경우에 바람직한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이며, 동일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캠 기구, 왕복이동 기구에 의한 기계적인 동작에 의해 고실링성을 발휘하면서 미소 유량으로부터 대유량까지 연속하여 제어하여 정확하게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절연 기능을 발휘하여 대기압으로부터 저진공까지 고속으로 압력을 제어할 수 있고, 특히, 미소 유량 시에서의 시트링의 응답성이 향상됨으로써 고정밀도의 유량 제어가 가능해진다. 동일 구동원으로 밸브 개폐 기구를 구동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소형화가 가능해져, 비용이나 풋프린트(footprint)의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 정전 등이 생긴 경우라도 시트링과 밸브체가 간섭하지 않고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어, 오동작이나 고장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캠 부재를 보디의 외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캠 부재가 유로 측에 노출되지 않고, 미립자의 발생이나 반응 생성물의 부착을 방지하여 고순도의 유체(流體)를 유량 제어할 수 있다. 구동원인 모터의 출력축으로부터의 회전에 의해 캠 부재를 회전하고, 이 캠 부재를 통하여 왕복이동 기구를 동작시켜 시트링을 왕복이동시키고, 랙·피니언 기구를 동작시켜 밸브체를 회전시키고 있으므로, 동일한 모터로 1개의 캠 부재를 통하여 시트링의 동작에 의한 밸브 폐쇄 실링 및 미소 유량역에서의 압력 제어가 가능해지고, 또한 밸브체의 회전에 의한 대유량역에서의 압력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제2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왕복이동 기구가 유로 측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립자의 발생이나 반응 생성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캠 부재가 밸브 개방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는, 이 캠 부재의 회전에 의해 롤러를 통하여 레버에 의해 연접봉을 누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링을 밸브체로부터 이격시켜, 캠 부재가 밸브 폐쇄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는, 스프링의 탄발 가압력에 의해 시트링을 소정의 위치까지 확실하게 되돌려 고실링성을 발휘하면서 밸브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캠 부재의 회전을 랙·피니언 기구에 의해 감속하면서 밸브체에 전달할 수 있어, 밸브체의 중간 개도(開度)를 미세하게 제어하여 정확하게 유량 제어할 수 있다. 랙·피니언 기구를 유로 내에 노출시키지 않고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제4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시트링과 밸브체를 연속적이면서 또한 간섭하지 않고 동작시킬 수 있어, 캠 부재를 통하여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이 기계적으로 밸브체나 시트링에 전달되므로, 밸브 폐쇄로부터 밸브 개방 상태까지 고속이고 또한 순조로운 양호한 정밀도의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결(切缺)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캠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b)는 (a)의 C―C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밸브 폐쇄 시에서의 레버의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b)는 시트링의 개방 상태에서의 레버의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밸브 폐쇄 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시트링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밸브 개방 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는,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공정의 도시하지 않은 관로(管路)의 진공 챔버와 진공 펌프와의 사이의 진공 배기 측에 설치되고, 밸브 본체(1), 액추에이터(2)를 가지고 있다.
도 1∼도 3에 있어서, 밸브 본체(1)의 보디(3) 내에는 유로(4)가 형성되고, 이 유로(4)를 개폐하기 위해 밸브 본체(1)에는 밸브 개폐 기구(10)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개폐 기구(10)는, 밸브체(11)와, 시트링(12)과, 캠 기구(13)와, 왕복이동 기구(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캠 기구(13)와 밸브체(11)와의 사이에는, 랙·피니언 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개폐 기구(10)에 있어서, 밸브체(11)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인 밸브축(21)에 고착 볼트(20)에 의해 장착되고, 이 밸브축(21)에 의해 유로(4)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밸브체(11)의 외주측에는 장착홈(22)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22)에는 O링(23)이 장착되어 있다. O링(23)은, 시트링(12)의 후술하는 밸브 시트 실링부(25)에 맞닿은 측에 설치되고, 이 O 링(23)에 의해, 밸브 시트 실링부(25)와 밸브체(11)와의 사이가 실링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축(21)의 상부 부근에는 피니언(26)이 장착되고, 이 피니언(26)이 밸브축(21)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밸브축(21)은, 밸브체(11)의 중심(Q)으로부터 유로 방향으로 편심(偏心)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밸브축(21)의 상단측에는 베어링(27)이 설치되고, 밸브축(21)은 이 베어링(27)에 의해 축지지되어 후술하는 캠 부재(3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밸브축(21)은, 구동원인 모터(31)의 출력축(32)과 떼어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시트링(12)은, 밸브 시트 실링부(25)를 가지는 통형부(35)와 칼라형부(36)를 가지고 있다. 통형부(35)는, 보디(3) 내의 유로(4) 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외경(外徑)으로 설치되고, 이 통형부(35)의 밸브체(11) 측에 밸브 시트 실링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시트 실링부(25)는 O링(23)이 접촉 실링 가능하게 시트링(12)의 내주면 측에 형성되고, 내경측(內徑側)으로부터 외경측으로 완만하게 확경(擴徑)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이 테이퍼 각도는, 회전하는 밸브체(11)가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고, 예를 들면, 10∼15°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밸브 시트 실링부(25)는, 테이퍼형 이외라도 되고, 예를 들면, 원호형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칼라형부(collar type portion)(36)는, 밸브 시트 실링부(25)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보디(3) 내에 형성된 확경상(擴徑狀)의 안내부(3a)를 이동 가능한 외경으로 형성된다.
시트링(12)은, 안내부(3a)에 칼라형부(36)를 안내하면서 유로(4) 내에 장착되고, 안내부(3a)와 칼라형부(3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間隙)(G)에 의해 유로 4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밸브 시트 실링부(25)가 밸브체(11)의 O링(23)에 근접 및 이격 가능해진다. 시트링(12)과 보디(3)와의 사이에는 O링인 밀봉링(37)이 설치되고, 이 밀봉링(37)에 의해 시트링(12)의 슬라이딩 이동 시에도 유체 누출이 방지된다.
도 1, 도 2에서의 캠 기구(13)는, 시트링(12)을 밸브체(11)로부터 이격시키고, 또한 이 밸브체(11)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캠 부재(30), 캠팔로워(cam follower)인 롤러(40)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캠 부재(30)는, 보디(3)의 외측에 있어서 모터(31)의 출력축(32)에 동축에 장착되고, 모터(31)로부터의 회전력이 입력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캠 부재(30)의 외주측에는 캠면(41), 캠 부재(30)의 내측에는 캠홈(42)이 설치되어 있다.
캠면(41)은, 캠 부재(30)의 회전 운동을 롤러(40)의 유로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이 롤러(40)를 통하여 왕복이동 기구(14)의 동작에 의해 시트링(12)을 왕복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도 4에 있어서, 캠 부재(30)의 회전 전[밸브 전폐(全閉)의 상태]에서의 롤러(40)와의 접점을 0°로 한 경우, 캠면(41) 중, 캠 부재(30)가 시계 방향으로 0° 내지 90°까지 회전할 때의 롤러(40)와의 접점인 원호(45)는 변형 정현(正弦) 곡선, 90° 내지 270°까지의 원호(46)는 점(P)을 중심으로 하는 진원의 일부를 이루는 곡선에 의해 형성된다.
캠홈(42)은, 캠 부재(30)의 회전 운동을 후술하는 핀(47)에 전달하고, 랙·피니언 기구(15)를 동작시켜 밸브체(11)를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도 4에 있어서, 캠홈(42) 중, 캠면(41)의 원호(45)가 롤러(40)와 맞닿을 때[캠 부재(30)가 0° 내지 90°까지 회전할 때]의 핀(47)이 걸어맞추어지는 홈부[도 4의 (a) 중, 270° 내지 0°까지의 범위의 홈](48)는, 점(P)을 중심으로 하는 진원의 일부를 피치 원으로 하는 곡선형의 홈, 캠면(41)의 원호(46)가 롤러(40)와 맞닿을 때[캠 부재(30)가 90°이상으로 회전할 때]의 핀(47)이 걸어맞추어지는 홈부[도 4의 (a) 중, 0° 내지 180°이내까지의 범위의 홈)(49)는, 변형 정현 곡선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캠면(41)의 원호(45, 46)와 캠홈(42)의 홈부(48, 49)가 어긋나게 배치되고, 캠면(41)과 캠홈(42)이, 캠 부재(30)에서의 시트링(12)과 밸브체(11)가 연속하여 동작하고, 또한 상호의 동작이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트링(12), 밸브체(11) 중 한쪽에서 변형 정현 곡선을 통하여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에 변환되어 있을 때는, 다른 쪽에서는 진원의 일부를 이루는 원호에 의해 운동의 변환이 행해지지 않는다.
도 3에 나타낸 왕복이동 기구(14)는, 시트링(12)을 밸브체(11)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가지고, 연접봉(50), 스프링(51), 레버(52)를 가지고 있다. 연접봉(50)의 일단측은, 볼트(53)에 의해 시트링(12)에 고착되고, 타단측은, 볼트(53)에 의해 원판형의 플레이트 부재(54)에 고착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 부재(54)의 유로 4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이 연접봉(50)을 통하여 시트링(12)에 전달되어 시트링(12)이 왕복이동하고, 이 시트링(12)이 밸브체(11)에 근접 및 이격된다. 플레이트 부재(54)의 외주측에는 걸림 오목부(55)가 형성되고, 이 걸림 오목부(55)에는, 레버(52)에 고착된 걸림핀(56)이 걸려져 있다.
스프링(51)은, 보디(3)에 형성된 오목형 홈(3b)과 플레이트 부재(54)와의 사이에 탄발 상태로 설치되고, 플레이트 부재(54)에 대하여 시트링(12)을 밸브체(11)의 방향으로 탄발 가압하고 있다. 이 스프링(51)에 의해, 통상 시에는 도 3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54)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시트링(12)이 밸브 폐쇄 상태의 밸브체(11)에 밀착 실링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51)이 시트링(12)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等間隔)으로 8개 장착되어 있지만, 이 스프링(51)의 수를 적절히 증감시켜도 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2개의 레버(52, 52)는 각각 4분 원형으로 설치되고, 베어링(57)을 통하여 축 장착부(58)에 의해 중앙 부근이 보디(3)의 외주측에 장착됨으로써 유로(4)에 대한 수선(L)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레버(52)에는 캠 부재(30)의 캠면(41)에 맞닿은 롤러(40)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레버(52)에는 롤러(40)에 거는 L자형의 걸림편(59)이 장착되어 있다. 한쪽의 레버(52)에 캠 부재(30)의 변위량이 롤러(40)로부터 전달되면, 이 레버(52)와 걸림편(59)이 롤러(40)에 걸리게 하고 있는 레버(52)가 각각 축 장착부(58)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각 레버(52, 52)의 선단측이 스트로크(S)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54)를 압압(押壓)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는, 2개의 레버(52, 52)를 나타내기 위해, 상이한 방향의 해칭을 기입하고 있다.
또한, 어느 한쪽의 레버(52)의 상부에는 플레이트형의 스위치 편(60)이 장착되고, 액추에이터(2)에는 이 스위치 편(60)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리미트 스위치(61)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52)의 회전 시에는, 스위치 편(60)이 리미트 스위치(61)를 온함으로써 시트링(12)이 개방 동작한 것을 확인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밸브 개폐 기구(10)는, 캠 기구(13)에 의해 시트링(12)을 밸브체(11)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이 밸브체(11)를 무(無)슬라이딩 이동으로 회전시키고, 밸브체(11)를 밸브 폐쇄 상태로 회전시켰을 때 캠 기구(13)와 왕복이동 기구(14)에 의해 시트링(12)을 밸브체(11)에 근접 및 이격시켜 유로(4) 내의 압력을 제어한다. 이들 캠 기구(13)와 왕복이동 기구(14)는, 모터(31)에 의한 동일 구동원으로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랙·피니언 기구(15)는, 캠 기구(13)의 하부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부재(70)와 밸브축(21)에 설치한 전술한 피니언(26)에 의해 구성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7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보디(3) 상부에 병설된 레일 부재(71)를 따라 보디(3)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 부재(70)의 상면측에는 핀(47)이 일체로 장착되고, 이 핀(47)이 캠홈(42)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슬라이딩 부재(70)의 중앙 부근에는 긴 구멍(72)이 형성되고, 이 긴 구멍(72)을 따르도록 랙(73)이 일체로 장착되고, 이 랙(73)에 피니언(26)이 맞물려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캠 부재(30)가 회전했을 때 핀(47)이 캠홈(42)을 따라 이동하고, 이들 핀(47)과 캠홈(42)을 통하여 슬라이딩 부재(70)가 슬라이딩하고, 이 슬라이딩에 의해 랙(73)과 맞물리는 피니언(26)을 통하여 밸브축(21)이 회전하여 밸브체(11)가 개폐된다.
도 1, 도 2의 액추에이터(2)는, 밸브 본체(1)에 탑재되고, 내부에 탑재한 모터(31)의 출력축(32)으로부터 캠 부재(30)에 회전을 전달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모터(31)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가 바람직하고, 이 경우, 양호한 정밀도의 회전 제어에 의한 유량 조절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는, 테이퍼형의 밸브 시트 실링부(25)를 가지는 시트링(12)이 배관 흐름 방향으로 왕복 동작함으로써 밸브체(11)의 실링 및 미소 유량역에서의 압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배관 흐름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장착된 밸브체(11)가 90°회전에 의해 개폐 동작함으로써 대유량역에서의 압력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밸브를 밸브 폐쇄 상태로부터 밸브 개방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도 7의 밸브 본체(1)의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 도 7의 (a)의 상태로부터 모터(31)의 출력축(32)을 화살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출력축(32)의 회전에 의해 캠 부재(30)가 일체로 회전한다. 도 7의 (a),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30)가 0° 내지 90°까지 회전할 때는, 캠면(41)의 원호(45)가 변형 정현 곡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캠 부재(30)와 맞닿아 있는 롤러(40)가 캠 부재(30)의 반경의 증가에 따라 도 7의 (b) 내지 도 8의 (b)의 상태까지 이동하고, 이 롤러(40)와 일체의 레버(52) 및 롤러(40)에 걸려져 있는 레버(52)가, 각각 축 장착부(58)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고,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레버(52, 52)의 선단측이 스트로크(S)로 이동한다. 이 때,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롤러(40)가 캠 부재(30)에 가압되어 있으므로, 캠 부재(30)의 회전에 의해 레버(52)가 확실하게 작동하고, 이 레버(52)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51)이 압축한다.
레버(52)의 선단측이 이동하면, 이 선단측에 장착된 걸림핀(56)이 걸림 오목부(55)를 통하여 플레이트 부재(54)를 압압하고, 이 플레이트 부재(54)로부터 연접봉(50)을 통하여 시트링(12)이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운동하고, 이 시트링(12)이 밸브체(11)로부터 스트로크(S)의 분만큼 이격된다.
이 때, 캠홈(42)의 홈부(48)가 점(P)을 중심으로 하는 진원의 일부를 피치 원으로 하는 곡선형의 홈으로 되어 있으므로, 캠 부재(30)의 0° 내지 90°까지의 회전 시에는, 이 회전이 핀(47)에 전달되지 않고, 이로써, 슬라이딩 부재(70)이 도 8의 상태로부터 더 이상 슬라이딩하지 않는다.
이 상태로부터 캠 부재(30)이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이상으로 회전할 때는, 캠면(41)의 원호(46)가 점(P)을 중심으로 하는 진원의 일부를 이루는 곡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 부재(30)와 맞닿아 있는 롤러(40)가 도 8의 (b)의 상태로부터 더 이동하지 않고,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링(12)의 소정의 이격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캠홈(42) 측에 있어서는, 홈부(49)가 변형 정현 곡선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홈부(49)를 따라 핀(47)이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부재(70)가 레일 부재(71)를 따라 직선 운동에 의해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 부재(70)에 장착된 랙(73)에 의해 피니언(2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 해 밸브축(21)이 개방 방향으로 회전하고, 밸브체(11)가 개방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캠홈(42)의 단부(端部) 측에 핀(47)이 도달했을 때 밸브체(11)가 전개(全開)의 상태로 되도록 캠홈(42)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30)가 최대한 회전했을 때 밸브체(11)가 90°회전하여 전개 상태로 된다.
다음에, 밸브 개방 상태로부터 밸브 폐쇄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도 9의 밸브 개방 상태에 있어서, 모터(31)의 출력축(3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출력축(32)의 회전에 의해 캠 부재(30)가 도 8의 (a)의 상태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의 (c)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70)가 밸브 개방 동작과는 반대의 동작으로 슬라이딩하고, 랙(73)과 피니언(26)을 통하여 밸브체(11)가 폐쇄 상태까지 회전한다. 이 때, 시트링(12)은, 캠면(41)의 원호(46)의 형상에 따라 밸브체(1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또한, 캠 부재(30)가 도 7의 (a)의 상태까지 회전하는 경우, 보디(3)와 플레이트 부재(54)와의 사이에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51)의 탄발 가압력에 의해, 롤러(40)가 캠 부재(30)의 반경의 감소에 추종하여 도 8의 (b) 내지 도 7의 (b)의 상태까지 플레이트 부재(54)가 이동하여 밸브 개방 동작과 역방향으로 레버(52)가 회전하고, 이 레버(52)에 연접봉(50)을 통하여 고착된 시트링(12)은, 도 7의 (c)의 상태까지 직선 운동하여 밸브 시트 실링부(25)가 밸브체(11)에 맞닿아 밸브 폐쇄 상태로 된다. 이 밸브 폐쇄 상태에 있어서는, 스프링(51)에 의해 밸브 시트 실링부가 밸브체(11)에 강하게 가압되므로, 고실링성이 발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는, 밸브 개폐 기구(10)의 캠 기구(13), 왕복이동 기구(14), 랙·피니언 기구(15)를 통하여, 시트링(12)을 위치 제어하고, 또한 밸브체(11)를 회전 제어하여 유량 제어하고 있으므로, 밸브 개폐 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응답성이 높아져, 특히, 시트링(12)을 캠 기구(13)에 의해 왕복 동작하여 미소 유량을 제어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양호한 정밀도로 압력 제어할 수 있다.
밸브 개폐 기구(10)를 동일 구동원인 모터(31)로 구동하고 있으므로, 밸브 본체(1)나 액추에이터(2)의 내부 구조를 간략화하여 전체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진다.
밸브 본체(1)의 동작 중에 있어서, 정전 등에 의해 모터(31)로부터의 회전력이 정지한 경우에는 캠 부재(30)도 회전을 정지하고, 이 캠 부재(30)를 통하여 시트링(12)과 밸브체(11)가 각각 도중 위치에서 멈추기 때문에, 시트링(12)과 밸브체(11)가 서로 접촉하지 않아, 모터(31)의 회전이 재개했을 때 동작의 도중에 원활하게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캠 기구(13), 왕복이동 기구(14), 랙·피니언 기구(15)를 유로(4) 내에 노출시키지 않고 설치하고 있으므로, 반도체 제조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도 반응 생성물 등의 부착에 의한 작동 문제점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오버홀이나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된다.
1; 밸브 본체
3; 보디
4; 유로
10; 밸브 개폐 기구
11; 밸브체
12; 시트링
13; 캠 기구
14; 왕복이동 기구
15; 랙·피니언 기구
21; 밸브축
25; 밸브 시트 실링부
26; 피니언
30; 캠 부재
31; 모터(구동원)
40; 롤러
41; 캠면
42; 캠홈
47; 핀
50; 연접봉
51; 스프링
52; 레버
70; 슬라이딩 부재
73; 랙
L; 수선

Claims (5)

  1. 보디 내의 유로(流路)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밸브체;
    상기 유로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밸브체에 밸브 시트 실링부를 근접 및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트링(seat ring);
    상기 시트링을 상기 밸브체로부터 이격시키고 또한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캠 기구(機構); 및
    상기 시트링을 상기 밸브체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 기구를 구비한 밸브 개폐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개폐 기구는, 상기 캠 기구에 의해 상기 시트링을 상기 밸브체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를 무(無)슬라이딩 이동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밸브체를 밸브 폐쇄 상태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캠 기구와 상기 왕복이동 기구에 의해 상기 시트링을 상기 밸브체에 근접 및 이격시켜 상기 유로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개폐 기구이며,
    상기 밸브 개폐 기구를 동일 구동원으로 구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원은 모터이며, 상기 모터의 출력축과 동축(同軸)에 상기 캠 기구의 캠 부재를 상기 보디의 외측에 장착하고, 상기 캠 부재에 상기 왕복이동 기구를 동작시켜 상기 시트링을 왕복이동시키기 위한 캠면과,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랙(rack)·피니언 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한 캠홈을 형성한,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 기구는, 상기 시트링에 고착된 연접봉(連接棒)과, 상기 시트링을 상기 밸브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보디의 외주측에 설치되고, 캠면에 맞닿은 롤러에 의해 상기 유로에 대한 수선(垂線)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2개의 4분(四分) 원형의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레버가 회전하여 상기 연접봉을 통하여 상기 시트링을 왕복이동시키는 기구인,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랙·피니언 기구를 상기 캠 기구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랙·피니언 기구는, 상기 보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면측에 설치한 핀이 상기 캠홈에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중앙 부근에 설치한 랙과 밸브축에 설치한 피니언이 맞물리고, 상기 캠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핀과 캠홈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슬라이딩하고,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랙과 피니언을 통하여 상기 밸브체를 회전시키는 기구인,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을 상기 캠 부재의 외주면(外周面), 상기 캠홈을 상기 캠 부재의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캠면과 상기 캠홈은, 상기 캠 부재에서의 상기 시트링과 상기 밸브체가 연속적으로 동작하고, 또한 상기 시트링과 상기 밸브체의 상호의 동작이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
  5. 삭제
KR1020157016455A 2012-12-04 2013-11-07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 KR102104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4994A JP6014476B2 (ja) 2012-12-04 2012-12-04 バタフライ式圧力制御バルブ
JPJP-P-2012-264994 2012-12-04
PCT/JP2013/080115 WO2014087789A1 (ja) 2012-12-04 2013-11-07 バタフライ式圧力制御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144A KR20150090144A (ko) 2015-08-05
KR102104842B1 true KR102104842B1 (ko) 2020-04-27

Family

ID=5088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455A KR102104842B1 (ko) 2012-12-04 2013-11-07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39380B2 (ko)
JP (1) JP6014476B2 (ko)
KR (1) KR102104842B1 (ko)
CN (1) CN104870872B (ko)
TW (1) TWI577909B (ko)
WO (1) WO2014087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92508A1 (en) 2012-11-26 2014-05-30 Adc Telecommunications, Inc. Timeslot mapping and/or aggregation element for digital radio frequency transport architecture
CN106855127A (zh) * 2015-12-08 2017-06-16 寿天泽 截止式偏芯蝶阀
JP6857491B2 (ja) * 2016-02-11 2021-04-14 Ckd株式会社 真空圧力制御装置
CN107061758B (zh) 2016-02-11 2019-04-12 Ckd株式会社 真空压力控制装置
US10557736B2 (en) * 2016-05-10 2020-02-11 Mks Instruments, Inc. Predictive diagnostics systems and methods using vacuum pressure control valves
KR101952032B1 (ko) * 2017-09-27 2019-05-08 현대위아 주식회사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장치
KR102474379B1 (ko) * 2018-04-18 2022-12-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밸브 장치
CN108757959A (zh) * 2018-07-20 2018-11-06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应用于动态称重设备中的蝶阀控制机构
KR102453794B1 (ko) 2018-07-24 2022-10-12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밸브 장치, 유체 제어 장치, 유체 제어 방법, 반도체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제조 방법
CN111219492B (zh) * 2018-11-23 2022-04-05 盾安环境技术有限公司 电子阀
CN109667978B (zh) * 2018-12-24 2020-04-24 浙江敦豪斯五金工业有限公司 一种混合型角行程阀门开关的执行器
EP3904739A4 (en) * 2018-12-26 2022-09-21 Cosmo Koki Co., Ltd. FLUID CONTROL DEVICE
US11428326B2 (en) * 2018-12-28 2022-08-30 Kitz Corporation Centric butterfly valve
CN111434957A (zh) * 2019-01-14 2020-07-21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多通道阀
CN109944978B (zh) * 2019-04-28 2020-06-23 唐山伟德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挤压式自动密封闸阀
JP2021181801A (ja) 2020-05-19 2021-11-25 コスモ工機株式会社 制流体の設置方法、及び制流体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CN115899310B (zh) * 2023-01-06 2023-05-09 无锡斯考尔自动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高频金属硬密封球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9562A (ja) 2003-06-18 2005-01-13 Tomoe Tech Res Co バタフライ弁の弁体開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62204A (en) * 1942-12-14 1944-06-22 Wellman Smith Owen Eng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tterfly valves
US2934309A (en) * 1956-08-24 1960-04-26 American Radiator & Standard Floating seat butterfly valve
JPS4933215A (ko) * 1972-07-27 1974-03-27
US3904171A (en) * 1974-09-26 1975-09-09 Chronister Dev Inc Multi-function cam operator for valve
US4295783A (en) 1978-02-09 1981-10-20 Lebost Barry Alan Fluid turbine
JPS54121344U (ko) * 1978-02-14 1979-08-24
JPS54122132U (ko) * 1978-02-15 1979-08-27
JPS54122132A (en) 1978-03-16 1979-09-21 Ricoh Co Ltd Slit exposure method for photreceptor in copier
JPH068101B2 (ja) 1984-09-04 1994-02-02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JPS6164571U (ko) * 1984-10-04 1986-05-01
JPS6431265A (en) 1987-07-15 1989-02-01 Karinetsuto Soft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business function with computer
JPH0641022Y2 (ja) * 1987-08-20 1994-10-26 日本ボールバルブ株式会社 ボールバルブ
JPH01135270A (ja) 1987-11-20 1989-05-26 Sony Corp 同期分離回路
JP2516307Y2 (ja) * 1988-03-09 1996-11-06 株式会社 巴技術研究所 バタフライ弁
US4964431A (en) * 1989-10-16 1990-10-23 Allied-Signal Inc. Butterfly valve apparatus and method
WO1997018409A1 (fr) * 1995-11-13 1997-05-22 Kabushiki Kaisha Yokota Seisakusho Robinet a papillon composite
US5765592A (en) * 1996-02-14 1998-06-16 The Boc Group, Inc. Valve
JP3242869B2 (ja) * 1996-12-26 2001-12-25 岡野バルブ製造株式会社 弁装置
PL197063B1 (pl) * 2001-04-23 2008-02-29 Zaklad Urzadzen Gazowniczych G Sposób wymiany uszczelnień głównych w kurku kulowym i kurek kulowy
TW530137B (en) * 2002-08-27 2003-05-01 Macronix Int Co Ltd Rotary vane type throttle valve
US7032883B2 (en) * 2004-04-07 2006-04-25 Hr Textron, Inc. Hybrid butterfly fluid control valve
TWM277843U (en) * 2005-05-31 2005-10-11 Shuei-Jing Chen Reciprocating structure for opening/closing device
TWM305869U (en) * 2006-06-12 2007-02-01 Shuei-Jing Chen Improved position-returning structure of on-off device
TWI431213B (zh) * 2008-08-06 2014-03-21 Kitz Sct Corp 蝶形壓力控制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9562A (ja) 2003-06-18 2005-01-13 Tomoe Tech Res Co バタフライ弁の弁体開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2627A1 (en) 2015-10-15
CN104870872A (zh) 2015-08-26
CN104870872B (zh) 2017-03-08
TW201433721A (zh) 2014-09-01
US9739380B2 (en) 2017-08-22
JP2014109348A (ja) 2014-06-12
TWI577909B (zh) 2017-04-11
WO2014087789A1 (ja) 2014-06-12
JP6014476B2 (ja) 2016-10-25
KR20150090144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842B1 (ko) 버터플라이식 압력 제어 밸브
RU2655080C2 (ru) Осевые клапаны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с кольцевыми элементами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KR20100018442A (ko) 버터플라이식 압력제어 밸브
US9045997B2 (en) Actuator for a wastegate or a variable turbine geometry device and method of actuation
EP3686466B1 (en)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poppet with flow control needle
CN110185812B (zh) 一种球阀
US20150021505A1 (en) Lever type switching valve
JP2017009025A (ja) 電動弁
EP3338012B1 (en) Axial-seal butterfly valves
US10920893B2 (en) Cage reset planetary roller screw device
JP6963713B1 (ja) 圧力差を制御する弁
US10125873B2 (en) Valve assembly with rotatable element
JP2013224737A (ja) バルブ
US10302217B2 (en) Valve unit and a positioning device for converting a rotary motion into a linear motion
CN101523101B (zh) 特别用于阀的气动执行机构
EP2844901B1 (en) Positive drive actuated valve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method
US5179974A (en) Valve open-close indicating apparatus
JP2020503472A (ja) 自動車用の弁アッセンブリ
US10738910B2 (en) Vacuum-tight angle valve with sliding-block guide drive
JP2010196752A (ja) 流体圧アクチュエータ
CN113251168B (zh) 一种精小型执行器及阀门
JP4470201B2 (ja) ゲートバルブ
KR20170082870A (ko) 차량용 워터 밸브 조립체
RU146584U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с осевым направлением потока
CN110848434A (zh) 一种安全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