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043B1 -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043B1
KR102104043B1 KR1020190016307A KR20190016307A KR102104043B1 KR 102104043 B1 KR102104043 B1 KR 102104043B1 KR 1020190016307 A KR1020190016307 A KR 1020190016307A KR 20190016307 A KR20190016307 A KR 20190016307A KR 102104043 B1 KR102104043 B1 KR 102104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ludge
molding
form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한미진
Original Assignee
비엔지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지코리아(주) filed Critical 비엔지코리아(주)
Priority to JP201903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JP672736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로울러의 성형홈의 표면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이형 효과를 극대화하고 성형로울러와 탄성부재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가열팽창에 의해 성형홈에서 쉽게 성형물이 탈거되도록 하고 성형 로울러측의 성형물 표면의 일부는 건조 상태며, 가압로울러와 표면 접촉하는 부분은 미 건조 상태로 성형하여 성형물의 표면 수축에 의하여 원할히 성형홈에서 탈거를 하며 또한 미건조 상태의 표면이 충격을 흡수하여 성형물이 깨지지 않도록 보호하고 건조기 등을 통과시에도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해 깨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인 바, 본 발명은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를 일정한 위치로 공급하는 호퍼와;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압로울러와; 상기 가압로울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성형홈을 외면에 구비하되 내측에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성형로울러와; 상기 가압로울러와 성형로울러를 회시키는 모터부재 및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고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성형로울러의 표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유기성 슬러지의 부착과 가압력이 해지되면 탄성부재에 의하여 성형물이 성형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Sludge forming for belt dryer}
본 발명은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형로울러의 성형홈의 표면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이형 효과를 극대화하고 성형로울러와 탄성부재 사이의 공간에 공기의 가열팽창에 의해 성형홈에서 쉽게 성형물이 탈거되도록 하고 성형 로울러측의 성형물 표면의 일부는 건조 상태며, 가압로울러와 표면 접촉하는 부분은 미 건조 상태로 성형하여 성형물의 표면 수축에 의하여 원할히 성형홈에서 탈거를 하며 또한 미건조 상태의 표면이 충격을 흡수하여 성형물이 깨지지 않도록 보호하고 건조기 등을 통과시에도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해 깨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유기성 슬러지는 상수, 공업용수, 산업용폐수, 하수 및 분뇨의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의 잔재물과 무기물로서 주성분으로 유기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최근들어 폐기 처분대상에서 재활용 가능한 물질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슬러지를 건조하는 슬러지 건조기로는 분무 건조장치, 패들 건조장치, 기류 건조장치, 다단 건조장치, 유동상 건조장치, 로타리킬른(Rotary Kiln) 건조장치, 3-패스(3-Pass) 건조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1. 급속건조기(flash dryers)
케이지 밀(cage mill)에서 주입슬러지를 가루로 만드는 것이나 고온가스가 있는 곳에서 분무시키는 방법으로 슬러지로부터 수분이 제거되도록 슬러지 미립자가 충분한 시간동안 뜨거운 가스와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케이지 밀의 첫 공정은 함수 슬러지, 슬러지 케익, 반송된 건조 슬러지 등을 혼합한다. 이들 혼합물은 보통 50% 이상의 수분을 지니고 있다. 고온가스와 슬러지는 도관(duct)과 사이클론(cyclone)으로 보내지는데 그곳에서 증기와 고형물질로 분리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슬러지의 수분함량을 8% 이하로 할 수 있다. 건조된 슬러지는 비료나 토양개량제로 팔거나 직접 사용할 수도 있으며, 소각로에서 완전히 소각하여 에너지를 회수하고 발전에 이용할 수도 있다.
2. 분무 건조기(spray dryers)
분무건조기는 유기성 액상 슬러지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무할 수 있는 고속 회전용 회전판(disk)를 사용한다. 유기성 슬러지는 고속 회전판(disk)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미세 입자로 분무시켜 표면적을 극대화 하여 건조가 용이하게 하고 상부에서 분무시킨다. 여기서 수분은 뜨거운 수증기로 바뀐다. 만약 설계시 노즐이 막히지 않는다면 분사노즐도 사용할 수 있다.
3. 회전 건조기(rotary dryers)
유기성 슬러지중 고온에서 건조가 필요한 하수 슬러지 또는 도시 고형물 건조및 대용량의 유기성 슬러지를 건조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건조기이다. 직접 열 건조기는 고온의 연소가스를 직접적으로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법이고, 간접 열 건조기는 가열된 증기를 중앙실에서 교반기 또는 외부 통에 전달되어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연료로는 석탄, 기름 가스, 도시의 고형폐기물, 건조슬러지등을 사용할 수 있다.
4. 다단로 건조기
기계적 장치에 의해 탈수되어진 슬러지를 태우거나 건조시키는데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예열된 공기내를 미세한 슬러지가 연속 통과함에 따라 건조되는 것이다.
5. 다단 증발기
일명 "Carver-Greenfield Process"로 알려진 이 공정의 주요 단계는 기름 교반, 다단 증발, 기름과 고형물질의 분리, 응축 기름의 분리 등이다. 기름 혼합단계에서는 기름과 슬러지를 혼합함으로써 운송이 쉽고 관석(scaling)과 부식을 줄일 수 있다. 물이 기름보다 끓는점이 낮기 때문에 물이 먼저 증발제거 되고 기름과 건조 슬러지가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건조방식과 더불어 근래에는 건조물을 파쇄 부양시켜 열풍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해 건조효율을 극대화한 핵심기술로 충돌기류 열풍에 의해 부양입자를 건조시키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국내외의 건조기술로 서 보고된 바가 없는 신기술로 인정된다.
또 하·폐수 슬러지의 경우 함수율 60~80wt% 구간에서 응고되어 덩어리로 고형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효과적인 건조를 위해 슬러지를 연속적으로 파쇄 부양시켜 열풍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기술을 개발 적용했고, 직접건조기와 간접건조기내에서 발생된 습공기를 500~800℃의 복사열 구간을 3~5초간 통과시켜 습공기 내에 함유된 악취를 저감시키는 기술을 개발 적용했다.
또한, 이러한 방식외에 슬러지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낮은 온도에서 수분이 증발되도록 하여 슬러지의 응집을 막는 기술도 개발되어 수분을 증발시키는데 상용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려는 기술도 이미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기술에 있어서 가장 큰 단점은 슬러지의 경우 함수율 60~80wt% 구간에서 일정한 형태 즉 펠렛트 모양의 형태로 성형이 잘 이루지지 않으므로 보조 응결제 또는 성형제를 혼합하는 경우 많다. 또한 덩어리로 재응집 고형화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슬러지의 표면적이 크서 외부는 건조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부에 있는 습기를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종래의 기술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접합하지 않아 에너지의 사용은 높으면서도 그 효율이 떨어지며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슬러지 건조기의 유입부는 보통의 원형관으로 형성되어, 유입부에 피건조물의 투입부를 삽입시켜 연통함으로써 피 건조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슬러지 건조기의 유입부는 피건조물이 원활하게 투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 건조물의 점성으로 인하여 투입시 큰 동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또한 투입 속도가 미약하여 건조기 유입부에 피건조물이 적재되어 유입부가 막혀서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기 내의 압력변화나 슬러지의 함수율 변화에 따라서 유입부에서 혼합슬러지인 즉 피건조물의 투입속도가 저하되어 유입부에 정체되므로 유입부가 폐쇄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슬러지 건조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181077호 "상부 압입식 구형 가열 성형 건조기"가 제안된바 상기한 "상부 압입식 구형 가열 성형 건조기"는 로울러에 피처리물이 성형홈에 삽입되고 가압로울러에 의해 성형되면 성형홈에 인입된 피처리물이 성형홈에서 일부가 빠져나오면 스크랩퍼로 절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181077호의 건조기는 성형홈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온에 의해 달구어진 로울러의 표면에 쉽게 달라붙는 문제가 있고 성형홈에서 건조 후 피처리물의 일부가 성형홈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성형홈에서 빠져나온 만큼 스크랩퍼를 이용하여 절단하는 것으로 건조된 피처리물의 두께가 얇아 낙하되면서 깨지는 문제가 있고 절단된 피처리물의 두께가 얇아 건조 시간은 빠르나 건조된 가루가 날려 작업자가 분진을 흡입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벨트건조기의 건조망사이로 빠져나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성형홈에서 빠져나오는 길이가 저마다 각각 달라 균일한 성형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8350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181077호
상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하고자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로울러의 성형홈 표면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이형 효과를 극대화하고 성형로울러 표면에 슬러지가 붙는 것을 방지하며, 성형홈에 인입된 슬러지를 가압 후 탄성부재와 성형로울러 사이의 공간의 공기층이 가열에 의해 성형홈에서 일부가 빠져나오면 로울러의 회전각도에 의해 자중으로 성형홈에서 탈거되도록 함과 탈거되지 않는 성형물은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성형홈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한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성형 로울러 측의 성형물 표면의 일부는 건조 상태며, 가압로울러쪽 일부는 미건조상태로 성형하여 성형물의 표면 수축에 의하여 원활히 성형홈에서 탈거하며 또한 미건조 상태의 표면이 충격을 흡수하여 성형물이 깨지지 않도록 보호하고 건조기를 통과시에도 깨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벨트건조기의 벨트망을 빠져나가지 않도록 성형물을 제조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를 일정한 위치로 공급하는 호퍼와;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압로울러와; 상기 가압로울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성형홈을 외면에 구비하되 내측에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성형로울러와; 상기 가압로울러와 성형로울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부재 및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고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압로울러와 성형로울러 사이로 슬러지를 공급되면 상기 가압로울러와 성형로울러 밖으로 넘쳐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하는 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성형로울러의 표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유기성 슬러지의 부착과 가압력이 해지되면 탄성부재에 의하여 성형물이 성형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성형홈에는 성형물의 이탈이 용이한 돌기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가압로울러는 저온의 온도를 공급하는 저온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성형물을 가압과 동시에 성형물의 일 표면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일부가 성형홈으로부터 빠져나온 성형물을 완전하게 빼내어 탈거시키는 블레이드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가열수단의 표면온도는 120~150℃이며 가압로울러의 표면온도는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성형로울러에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성형홈의 표면에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이형 효과를 극대화하고 탄성부재와 성형로울러 사이의 공기 가열에 의해 성형홈에서 쉽게 성형물이 탈거되도록 하고 성형물 표면중 일부는 건조 상태 일부는 미건조상태로 성형하여 성형홈에서 탈거시 미건조 상태의 표면이 충격을 흡수하여 성형물이 깨지지 않도록 보호하고 건조기 등을 통과시에도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해 깨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예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요지인 성형로울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요지인 성형홈에 인입된 성형물과 탄성부재의 작동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요지인 성형로울러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름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건조기용 슬러지 공급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로써 벨트 타입의 슬러지 건조장치(100)의 선단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상기한 건조장치(100)에 공급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1)에 있어서 슬러지를 일시 저장하면서 일정한 양을 하부로 흘려보내는 호퍼(10)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압로울러(20)와 상기 가압로울러(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표면에 탄성부재(60)가 부착되어 성형로울러(30)가 설치된다.
상기 호퍼(10)에 수용된 슬러지가 1쌍으로 이루어진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 사이에 공급하면 슬러지가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슬러지가 일정한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성형된다.
상기 성형로울러(30)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로울러(20)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성형홈(31)을 외면에 구비하되 내측 공간부(32)에 가열수단(4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며, 상기 성형로울러(30)의 공간부(32)에 가열수단(40)을 통해 고온 가열증기를 공급하며 공간부(32)에 응축수가 발생되고, 상기 성형로울러(3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수단(40)은 베어링수단(50)에 의해 축설되며 성형로울러(30)에는 드레인공(51)이 더 형성되어 있어 응축수가 배출되는 구조이다.
상기 성형로울러(30)의 내측 공간부에 설치된 가열수단(40)의 끝단은 하부로 절곡 형성된다. 그 이유는 회전하는 성형로울러(30)에 고온의 열을 공급하면 공간부(32)에 응축수가 생성되고 상기 응축수가 성형로울러(30)의 회전력에 의해 가열수단(40)을 역류하여 폐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40)의 온도는 120~150℃ 범위이며 성형로울러(30)의 표면에는 탄성부재(60)가 더 부착 설치되어 슬러지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성형홈(31)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한편 성형로울러(30)의 일측으로는 성형홈(31)에서 빠져 나오지 못한 성형물을 빼내는 블레이드(70)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를 구동시키는 모터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며, 미설명부호 200은 모터부재(8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부재이다.
상기 성형홈(31) 또는 성형물의 형상은 가압로울러(20)와 접하는 표면의 지름은 넓고 성형로울러(30)와 접하는 부분의 지름은 작게 형성된다. 상기 성형홈(31)의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반구형, 사각형, 삼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홈(31)에는 성형물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팽창돌기(61)를 더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돌기(61)는 탄성부재(60)의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성형물이 가압로울러(20)에 의해 가압시 성형물과 동시에 가압되어 있다가 가압력이 해지되면 성형물을 성형홈(31)에서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더 증가시켜 성형물이 쉽게 성형홈에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성형로울러와 탄성체 사이의 돌기부분은 공기 가열에 의한 팽창으로 더욱 원활한 탈거를 촉진한다.
첨부도면 도 4는 성형로울러(30)의 다른 구조로써 성형홈 바닥에 공간요부(33)을 더 형성시켜 탄성부재(60) 및 팽창돌기(61)의 압축시 탄성부재(60) 및 팽창돌기(61)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압축이 용이하도록 하는 여유공간이다.
상기 탄성부재(60)의 일부가 압축시 공간요부(33)로 인입되었다가 압축력이 해지되면 탄성부재(60)가 복원되면서 탄성력으로 성형물을 성형홈에서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1)의 작동은 모터(80)의 구동에 의해 회전력이 기어부재(200)를 작동시키면 상기한 기어부재(200)가 축설된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가 회전 작동하게 된다.
상기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가 회전되면 호퍼(10)를 통해 함수율과 점성이 높은 슬러지가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 사이로 공급되면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 상부에 설치된 격판(90)에 의해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 밖으로 넘쳐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기 슬러지가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 사이로 공급된다.
상기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 사이로 공급된 슬러지는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가 회전되는 사이를 통과할 때 성형로울러(30)의 성형홈(31)에 의해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갖도록 성형된다.
상기 성형홈(31)의 형상은 단면 형태가 반원형, 사각형의 형상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슬러지가 성형홈(31)으로 유입되면 가압로울러(20)에 의해 성형홈(31) 내부쪽으로 슬러지가 가압된다.
상기 가압로울러(20)에 의해 성형홈(31) 내부쪽으로 슬러지가 가압과 동시에 성형홈(31)의 표면에 의해 건조가 일어나는데 이 경우 성형로울러(30) 쪽의 성형물은 표면수분이 증발되고 표면이 수축과 표면장력의 저하로 딱딱하게 굳어지게 된다. 하지만 표면온도는 5~30℃인 가압로울러(20)에 의해 가압되는 성형물의 표면은 미건조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표면강도가 소프트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가압로울러(20)와 성형로울러(30)의 압착에 의해 슬러지의 수분을 1차로 짜서 함수율을 낮게 형성시키며 성형홈(31)이 형성된 성형로울러(30)의 내측에는 고온의 열을 공급하는 가열수단(40)에 의해 가열되어 있어 수분 즉, 성형홈(31) 내부에 인입된 슬러지의 표면을 건조시켜 수분을 2차로 제거하게 된다.
상기 가열수단(40)의 온도는 120~150℃범위로 120℃ 이하이면 건조속도가 느려 표면건조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성형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고, 150℃ 이상이면 성형로울러(30)의 내부 즉 공긴부(32)에 내압이 발생하는 안전성과 내압에 견디는 로울러의 두께로 열전도의 저하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가압로울러(20)의 표면 온도를 저온으로 하는 이유는 미건조 상태의 표면을 획득하기 위함이며 상기한 미건조 표면은 고온으로 가열되어 건조된 표면에서 열이 성형물의 내측에 전달되어 압력 상승과 크랙을 일으키는 원인이기 때문에 내부의 열을 수분을 동시에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함이며 성형홈(31)에서 떨어질 때 충격에 의해 성형물이 깨지는 것 또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성형로울러(30)의 표면에는 탄성부재(60)가 설치되어 있어 슬러지가 성형로울러(30)의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탄성부재(60)는 내열성과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고무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홈(31)에 형성된 성형물은 성형로울러(30)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슬러지 건조장치(100)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로 떨어져 공급된다. 이때 성형홈(31)에서 빠져 나오지 못한 성형물은 블레이드(70)에 걸려 빠져나오게 된다.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홈(31)에는 성형물의 이탈이 용이하도록 팽창돌기(61)를 더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돌기(61)는 탄성부재(60)의 탄성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성형물이 가압로울러(20)에 의해 가압시 성형물과 동시에 가압되어 있다가 가압력이 해지되면 성형물을 성형홈(31)에서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더 증가시켜 성형물이 쉽게 성형홈에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첨부도면 도 4는 성형로울러(30)의 다른 구조로써 성형홈 바닥에 공간요부(33)을 더 형성시켜 탄성부재(60) 및 팽창돌기(61)의 압축시 탄성부재(60) 및 팽창돌기(61)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압축이 용이하도록 하는 여유공간이다. 상기 탄성부재(60)의 일부가 압축시 공간요부(33)로 인입되었다가 압축력이 해지되면 탄성부재(60)가 복원되면서 탄성력으로 성형물을 성형홈에서 용이하게 빠져나가도록 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건조기에 슬러지를 공급하기 전 유기성 슬러지를 일정 크기와 모양을 갖도록 성형하여 건조 공기와의 접촉을 최대화 하며 건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크기가 소형의 펠렛 구조이기 때문에 이동과 취급이 용이하며, 또한 구동부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적으므로 수명이 길고 건조 능력에 비해 적은 동력으로 구동이 가능하므로 성형로울러의 가열 온도와 회전수에 의하여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1차로 성형로울러 표면에서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펠렛 형상으로 가공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 : 슬러지 성형장치 10 : 호퍼
20 : 가압로울러 30 : 성형로울러
31 : 성형홈 33 : 공간요부
40 : 가열수단 60 : 탄성부재
61 : 팽창돌기 70 : 블레이드

Claims (5)

  1.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에 있어서,
    슬러지를 일정한 위치로 공급하는 호퍼와;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압로울러와;
    상기 가압로울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성형홈을 외면에 구비하되 내측에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성형로울러와;
    상기 가압로울러와 성형로울러를 회시키는 모터부재 및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고열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압로울러와 성형로울러 사이로 슬러지를 공급되면 상기 가압로울러와 성형로울러 밖으로 넘쳐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하는 격판과;
    상기 성형로울러의 표면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유기성 슬러지의 부착과 가압력이 해지되면 탄성부재에 의하여 성형물이 성형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홈에는 성형물의 이탈이 용이한 팽창돌기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울러는 저온의 온도를 공급하는 저온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성형물을 가압과 동시에 성형물의 일부 표면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일부가 성형홈으로부터 빠져나온 성형물을 완전하게 빼내어 탈거시키는 블레이드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의 표면온도는 120~150℃이며 가압로울러의 표면온도는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KR1020190016307A 2018-11-14 2019-02-12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KR102104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31476A JP6727360B2 (ja) 2018-11-14 2019-02-25 ベルト乾燥機用スラッジ成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0022 2018-11-14
KR1020180140022 2018-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043B1 true KR102104043B1 (ko) 2020-04-23

Family

ID=7047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307A KR102104043B1 (ko) 2018-11-14 2019-02-12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27360B2 (ko)
KR (1) KR1021040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1328A (zh) * 2020-07-23 2020-11-03 山东金格瑞机械有限公司 一种淤泥造粒成型机
CN112624826A (zh) * 2020-12-26 2021-04-09 龙游县金怡热电有限公司 造纸废渣能源化利用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5651A (zh) * 2020-09-09 2020-11-10 上海康恒环境股份有限公司 污泥立式干化造粒一体机
CN112745006B (zh) * 2020-12-30 2023-01-24 河南艾尔旺新能源环境股份有限公司 干燥造粒装置
CN112645558B (zh) * 2020-12-30 2023-01-24 河南艾尔旺新能源环境股份有限公司 污泥干化系统和污泥干化处理工艺
CN113304687A (zh) * 2021-05-21 2021-08-27 洛阳泓聚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兽药生产的颗粒成型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7605A (ja) * 1998-03-26 1999-10-05 Kurimoto Ltd ごみの固形燃料化装置
KR200410690Y1 (ko) * 2005-12-21 2006-03-08 서태원 액상 고형화 장치
JP2009242552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ペレット製造装置
JP2010181077A (ja) 2009-02-05 2010-08-19 Okawara Mfg Co Ltd 上部圧入式溝型加熱成型乾燥機
KR101013132B1 (ko) * 2010-08-30 2011-02-10 여운복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성형장치
JP2014111242A (ja) * 2012-12-05 2014-06-19 Metawater Co Ltd 固液分離装置及び加圧ロー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7605A (ja) * 1998-03-26 1999-10-05 Kurimoto Ltd ごみの固形燃料化装置
KR200410690Y1 (ko) * 2005-12-21 2006-03-08 서태원 액상 고형화 장치
JP2009242552A (ja) * 2008-03-31 2009-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ペレット製造装置
JP2010181077A (ja) 2009-02-05 2010-08-19 Okawara Mfg Co Ltd 上部圧入式溝型加熱成型乾燥機
KR101013132B1 (ko) * 2010-08-30 2011-02-10 여운복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성형장치
JP2014111242A (ja) * 2012-12-05 2014-06-19 Metawater Co Ltd 固液分離装置及び加圧ロー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1328A (zh) * 2020-07-23 2020-11-03 山东金格瑞机械有限公司 一种淤泥造粒成型机
CN112624826A (zh) * 2020-12-26 2021-04-09 龙游县金怡热电有限公司 造纸废渣能源化利用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82067A (ja) 2020-06-04
JP6727360B2 (ja)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043B1 (ko) 벨트 건조기용 슬러지 성형장치
KR101582842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65932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효율적 건조 및 악취 제어시스템
KR100759416B1 (ko) 무주축 스크류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JPH02237700A (ja) スラツジを乾燥する方法
WO2014071805A1 (zh) 一种污泥动能干化系统及干化方法
JP5193284B2 (ja) 有機汚泥の資源化装置
KR101481947B1 (ko)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형연료
KR100267141B1 (ko)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 방법 및 장치
US4003136A (en) Method for the drying and recovery of polyethylene waste material
KR101564211B1 (ko)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01798165A (zh) 旋转沸腾干燥装置及方法
KR100375819B1 (ko) 함수율 조절식 슬러지 건조장치
JP4588982B2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02363B1 (ko) 슬러지의 수분 제거 장치
JP2000176495A (ja) 汚泥乾燥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20110044700A (ko) 오니 처리 장치
JP6598355B2 (ja) 汚泥の乾燥処理方法及び汚泥乾燥処理装置
KR101616755B1 (ko) 건조효율이 향상된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건조방법
KR100485223B1 (ko) 공기 이송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 장치 및 그 방법
JP3569131B2 (ja) 造粒乾燥装置
JP5344945B2 (ja) 上部圧入式溝型加熱成型乾燥機
KR100327973B1 (ko) 슬러지의 건조 방법 및 장치
JP4212053B2 (ja) 結露防止構造を具えた溝型加熱成型乾燥機
JP3302320B2 (ja) 遠心薄膜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