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915B1 -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 - Google Patents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915B1
KR102103915B1 KR1020197017636A KR20197017636A KR102103915B1 KR 102103915 B1 KR102103915 B1 KR 102103915B1 KR 1020197017636 A KR1020197017636 A KR 1020197017636A KR 20197017636 A KR20197017636 A KR 20197017636A KR 102103915 B1 KR102103915 B1 KR 102103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package
inner member
unpacking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609A (ko
Inventor
미쿠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퓨쳐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퓨쳐라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퓨쳐라보
Publication of KR2019007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5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the tear-lines being broken by deformation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94Thermoformed trays or the like with a plurality of recesses for different materials located in different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66Means on, or attached to, container flange facilitating opening, e.g. non-bonding region, cut-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부재들의 박리 개봉된 부분에서 원활하게 꺼낼 수 있는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를 제공한다.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덮개부(13)를 포장체 본체(11)의 수용부(14)와 대응하는 측에 배치한 시트 부재(20)와, 상기 시트 부재(20)의 표면 측에 맞붙인 필름 부재(30)로 구성하고, 상기 부재(20,30)의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는 절입(21,31)을, 상기 부재(20,30)의 절곡부(15)에 설정한 박리 영역(16) 내에 길이 방향(L)과 교차하면서 동시에 상기 길이 방향(L)에 대해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한다. 상기 부재(20,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대향 면들을 접착층(N1)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붙인다.

Description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PEEL-OPENABLE PACKAGE AND OPENING STRUCTURE FOR PEEL-OPENABLE PACKAG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있어서, 액상, 페이스트 상, 분말상, 과립상, 정제상 등의 내용물을 낱개 포장하는 박리 개봉 포장체에 관한 것이며, 한층 더 자세하게는 포장체 본체에 봉입(封入)된 내용물을 원활하게 꺼낼 수 있는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은 내용물을 필요한 양만큼 포장해서 그 내용물을 필요에 따라서 꺼낼 수 있는 포장체로서는 여러 가지가 다수 제안되고 있으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포장체도 이런 포장체 중 하나이다.
특허 문헌 1의 포장체는, 비교적 단단한 시트 형태의 평탄 부재와, 상기 평탄 부재의 일측면에 고착된 시트 형태의 가요(可撓) 부재 사이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고, 평탄 부재의 절곡부(折曲部)에, 그 절곡부에 직교해서 파단 개봉 가능한 파단 개봉부를 형성하고, 평탄 부재의 안팎 양면 또는 한쪽 면에 실런트로 이루어지는 봉지(封止)재를 피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포장체로부터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포장체를, 평탄 부재의 절곡부를 따라서 반 접기 하면서 동시에 절곡부의 파단 개봉부를 평탄 부재의 절곡부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단해서 개봉한다. 그리고 또한, 수용부를 찌부러뜨리듯이 변형시켜서 그 수용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평탄 부재의 파단 개봉된 파단 개봉부로부터 밀어내서 사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파단 개봉부를 파단 개봉할 수 있는 괘선(罫線)으로 구성된 경우, 예를 들면, 수송 중이나 운반 중에 부여되는 외력에 의해서 평탄 부재가 다소 만곡되는 것만으로도 파단 개봉되기 쉬우며, 수용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될 수 있기 때문에 평탄 부재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해야 한다. 그런데, 평탄 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포장체를 구부리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파단 개봉부의 괘선을 파단 개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일본특허공보 특공소55-36552호
본 발명은,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은 부분을 쉽고 간단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부재들의 박리 개봉된 부분으로부터 원활하게 꺼낼 수 있는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내부에 봉입된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그 포장체 본체의 내부와 대응하는 쪽에 배치한 내측 부재와, 그 내측 부재에서의 상기 포장체 본체의 외부와 대응하는 쪽에 맞붙인 외측 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내측 부재 및 상기 외측 부재의 부재들을 맞붙인 부분에, 그 각 부재의 반 접기 가능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 설정한 상기 부재끼리를 박리하는 박리 영역 내에, 상기 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상기 각 부재의 두께방향으로 관통 가능한 절입을 상기 절곡부의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과 교차해서 형성하고, 상기 각 부재에 형성한 상기 절입을 상기 절곡부의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간격을 벌려 두고 배치하여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적어도 상기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끼리를, 그 대향 면 사이에 개재한 접착층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접착한 박리 개봉 포장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이 내부에 봉입된 포장체 본체의 일부를 박리해서 개봉하는 개봉 구조를 갖춘 박리 개봉 포장체이며, 상기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장체 본체의 내부와 대응하는 쪽에 배치한 내측 부재와, 그 내측 부재에서의 상기 포장체 본체의 외부와 대응하는 쪽에 맞붙인 외측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내측 부재 및 상기 외측 부재의 부재끼리 맞붙인 부분에, 그 각 부재의 반 접기 가능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 설정한 상기 부재들을 박리하는 박리 영역 내에, 상기 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상기 각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가능한 절입을 상기 절곡부의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과 교차해서 형성하고, 상기 각 부재에 형성한 상기 절입을 상기 절곡부의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적어도 상기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 사이에 그 대향 면들을 박리 가능하게 붙이는 접착층을 개재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 가능한 절입이란, 예를 들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를 반 접기 했을 때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칼집(칼 벤자리), 혹은 반 접기 상태로 구부렸을 때에 파손 또는 파단해서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칼집(칼 벤자리)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적어도 일부란, 예를 들면, 포장체 본체에서의 절곡부, 혹은 포장체 본체에서의 절곡부를 형성한 부분 전체를 포함한 개념이다. 또한,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이란, 예를 들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포장체 본체의 길이 방향, 혹은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길이 방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내용물은, 예를 들면, 액상, 페이스트상, 분말상, 과립상, 정제상 등의 내용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절입의 형상은,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를 두께 방향에서 보아 예를 들면 직선 형상, 호(弧)형상, 파(波) 형상, 이산(二山) 형상, M자 형상, V자 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내측 부재는, 예를 들면, 아몰퍼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A-PET), 폴리프로필렌(PP),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OPET),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혹은, 판지, 금속 시트 등의 단체(單體)재료, 혹은 복합 재료로 형성한 시트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재료로 형성한 시트 기부(基部)와, 그 시트 기부의 한 쪽 면에 대해 일체로 맞붙인 합성 수지제의 시일재로 구성된다.
외측 부재는, 예를 들면,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OPET),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PE),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토(CP), 혹은 금속(알루미늄) 등의 단체 재료, 혹은 복합 재료로 형성한 필름 부재나 포일(箔)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의 재질, 두께는, 예를 들면, 내용물의 종류, 혹은 포장체 본체의 내부 형상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접착층은,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혹은 그 밖의 접착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에서의 박리 접착의 강약을 조정할 경우, 예를 들면 가열 압착시의 가압력이나 가열 온도, 가압 시간이나 가열 시간으로 조정하는 방법과, 가압용 지그 또는 가열용 지그의 가압면 형상으로 조정하는 방법과, 접착제의 배합으로 조정하는 방법과, 접착제의 도포 패턴으로 조정하는 방법 등의 방법으로 원하는 강약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부재끼리의 박리 개봉된 부분으로부터 원활하게 꺼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박리 개봉 포장체의 절곡부를, 포장체 본체에서의 내측 부재가 내측에서, 외측 부재가 외측이 되도록 해서 반 접기 상태로 절곡함으로써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접착층의 접착력에 대항해서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즉, 절곡부에서의 내측 부재보다도 외측 부재의 곡률 반경이 크고, 내측 부재는 절곡에 의해 압축되지만, 외측 부재는 절곡부에 부여되는 인장력에 의해 절곡 방향을 향해 잡아 당겨진다.
이로써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이 상반하는 방향을 향해서 변위되기 때문에,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접착층의 접착력에 대항해서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부를 반 접기 상태로 구부렸을 때에 부재끼리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박리 개봉하면서 동시에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 형성한 절입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 형성한 절입을 내용물이 봉입된 포장체 본체의 내부와 연통하면서, 부재끼리의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 사이를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꺼내질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개구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절입을 가리도록 첩착한 봉지재나, 파단 개봉 가능한 괘선을 파단해서 개봉하기보다는,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부재끼리의 박리 개봉된 부분으로부터 원활하게 꺼낼 수 있다.
게다가,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박리 개봉하기 전까지는, 부재들에 형성된 절입끼리가 서로 연통되지 않아서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 본체의 내부에 봉입한 내용물의 내압에 의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이, 예를 들면 만곡 혹은 휘어짐 등으로 인해서 서로 밀어 붙여져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박리 개봉 포장체는, 부재를 파단해서 개봉하는 파단 개봉 구조가 아니라 부재들을 박리해서 개봉하는 포장 구조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절입이나 괘선 등을 정밀하게 가공할 필요가 없다. 더구나, 수송 중이나 운반 중 등에서 다소 만곡되더라도 부재끼리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이 박리 개봉되기 어려우며,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단 개봉하는 종래의 포장체는, 예를 들면, 수송 중이나 운반 중에서 다소 만곡이 되는 것만으로 파단 개봉되기 쉬워서, 평탄 부재 및 가요 부재 중 적어도 한쪽 부재의 두께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부재의 두께가 두꺼우면, 부재끼리의 겹침 부분을 열 융착하는 데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제조 공정 전체의 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 박리 개봉하는 본 발명의 박리 개봉 포장체는, 부재끼리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박리해서 개봉하는 개봉구조이기 때문에 종래의 포장체를 구성하는 부재의 두께에 대해서,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 중 적어도 한쪽, 혹은 양쪽 부재의 두께를, 예를 들면 20%~50% 정도 얇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한쪽 부재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부재 간의 겹침 부분을 열 용접할 때의 시일 시간이 짧아지면서 동시에 수용물의 포장에 필요한 포장 속도, 혹은 제조 공정 전체의 속도를 예를 들면, 20%~50% 정도 고속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박리 개봉 포장체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두껍게 형성된 한쪽 부재를, 얇게 형성한 다른 쪽 부재들 사이에 끼워 넣는 경우, 한 쌍의 부재에서의 두꺼운 부재보다 외측의 겹침 부분을 열 융착해서 밀봉함으로써 얇게 형성된 부재들의 겹침 부분을 고속으로 열 융착해서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내측 부재의 두께를, 상기 외측 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확실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박리 개봉 포장체를 반으로 접을 때에, 포장체 본체에서의 두께가 두꺼운 쪽의 내측 부재가 내측에서, 그 내측 부재보다 더 두께가 얇은 쪽의 외측 부재가 외측이 되도록 해서 절곡함으로써, 내측 부재의 두께만큼 내측 부재보다 더 외측 부재의 곡률 반경이 커지기 때문에 외측 부재가 더 절곡 방향을 향해서 잡아 당겨진다.
이 결과,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에 형성한 절입이 직선 형상이라도,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확실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접착층을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상기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상기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 사이에 개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확실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박리 개봉 포장체를 반으로 접어서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보다 확실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개봉된 절입 사이로부터 확실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내측 부재 및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상기 박리 영역보다 외측의 대향 면끼리를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보다 외측의 부분이 박리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보다 외측의 대향 면을, 예를 들면, 접착제 등의 접착층으로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되어 있어서 박리 개봉 포장체를 반 접기 할 때에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보다 외측의 대향 면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이외의 부분에서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절입의 가로 폭(橫幅)을 상기 내측 부재의 가로 폭을 기준으로서 해당 가로 폭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박리 개봉 포장체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부보다 내측의 부분에서 꺼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절입의 가로 폭을, 내측 부재에서의 가로 폭 이하(예를 들면 약 70% 이하)로 형성함으로써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의 절입을, 그 각 부재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부보다 내측에 마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박리 개봉 포장체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부보다 내측에 형성한 절입에서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확실하게 꺼낼 수 있다.
이 결과, 박리 개봉 포장체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부보다 내측 부분 이외, 예를 들면, 박리 개봉 포장체의 양단부에서 내용물이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 형성한 상기 절입 사이를, 상기 내측 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그 두께의 약 0.5배~약 100배의 범위에 포함되는 간격으로 이간(離間)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영역 내의 대향 면끼리를 박리 개봉할 수 있게 맞붙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절입 사이가, 내측 부재에서의 두께의 약 0.5배~약 100배의 범위에 포함되는 간격으로 이간되어 있어서,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대향 면에 서로 밀착한 상태로 맞붙이는 데 필요한 첩착(貼着,펴붙이기)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끼리를 박리 가능한 상태로 맞붙일 수 있으면서,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의 누설이 방지되는 밀착된 상태로 맞붙일 수 있다.
이 결과,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박리 개봉하는 것만으로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부재들의 박리 개봉된 부분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꺼낼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절입 사이를, 내측 부재에서의 두께의 약 0.5배 이하가 되는 간격으로 이간하면,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대향 면의 첩착 면적이 너무 좁아져서,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대향 면을 밀착한 상태로 맞붙이기가 어렵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누설되기 쉬워진다.
또한, 절입 사이를, 내측 부재에서의 두께의 약 100배 이상이 되는 간격으로 이간하면,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대향 면의 첩착 면적이 너무 넓어져서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첩착 부분 전체를 박리하는 것이 어려우며, 첩착 부분에 박리 흔적이 생기기 쉽다.
따라서, 절입 사이를, 내측 부재에서의 두께의 약 0.5배~약 100배의 범위에 포함되는 간격으로 이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 형성한 상기 절입 중 어느 한쪽의 절입을, 다른 쪽 절입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 형성한 절입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박리 개봉 포장체를 반 접기 했을 때에 긴 쪽의 절입을 형성한 부재와, 짧은 쪽의 절입을 형성한 부재와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에 생기는 절곡 방향의 변위가 더 커진다.
따라서, 절입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기보다 그 절입의 길이를 다르게 하는 것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 형성한 상기 절입을, 상기 두께 방향에서 보아 동일한 형상, 혹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절입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에 발생하는 절곡 방향의 변위가 대략 동일해지기 때문에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대략 균등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또한, 절입을 다른 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 한쪽 절입을 형성한 부재와, 다른 쪽 절입을 형성한 부재와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에 발생되는 절곡 방향의 변위가 다르기 때문에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간단하고 용이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절입을, 상기 각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가능한 복수의 구멍부로 구성하면서, 상기 구멍부를 상기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과 교차해서 점선 형태로 배열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박리 개봉 포장체를 반으로 접었을 때에 점선 모양으로 배열한 인접하는 구멍부 사이의 이어진 부분이 박리 또는 파단되기 때문에, 복수의 구멍부를 하나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술한 절입과 마찬가지로,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대향 면 사이를, 내용물이 봉입된 포장체 본체의 내부와 연통하면서 동시에 그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개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내측 부재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부와, 상기 절입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그 내측 부재의 절곡을 보조하는 절곡 괘선을 부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리 개봉 포장체를 더 쉽게 반 접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박리 개봉 포장체의 절곡을, 내측 부재에 부설한 절곡 괘선에 의해 보조하기 때문에 반 접기할 때에 부여되는 내측 부재의 절곡 저항이 작아진다.
이로써 박리 개봉 포장체를 더 쉽게 반 접기할 수 있으면서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확실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이 결과, 개봉 실수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부재들의 박리 개봉된 부분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적어도 상기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 사이에, 상기 내측 부재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렸을 때에 파단되는 봉지부를 개재하면서 동시에, 상기 봉지부를, 상기 내측 부재를 구부렸을 때에 산 쪽이 되는 면에 대해서 그 내측 부재의 절입을 가리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봉지부(封止部)는, 상기 내측 부재나 외측 부재와 동일한 단체 재료, 혹은 복합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의 절입을 덮는 외측 부재가 박리되었을 때에, 포장체 본체 내에 봉입된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술한 박리 개봉 포장체는, 예를 들면 수송이나 운반 등의 이동 중, 혹은 포장 작업 중에 있어서, 포장체 본체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응력(예를 들면 구부림력과 압력 등)에 의해서 변형된 경우, 내측 부재와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에 박리가 생길 수 있다.
내측 부재의 절입을 덮는 외측 부재가 박리되면, 내측 부재의 절입의 밀봉이 해제되기 때문에, 포장체 본체 내에 봉입된 내용물이 내측 부재의 절입에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먼지나 곤충 등의 이물질이 내측 부재의 절입에서 포장체 본체 내로 침입하기 쉬워져서 내용물의 품질을 봉입 당초의 상태로 유지하기 어려우며,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힘들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박리 개봉 포장체는, 포장체 본체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서 변형된 경우, 내측 부재의 절입을 덮는 외측 부재가 박리하더라도 내측 부재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려서 내측 부재의 절입을 덮는 봉지부를 파단할 때까지는 봉지부에 의한 밀봉이 해제되는 일이 없고, 내측 부재의 절입을 밀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내측 부재의 절입을 덮는 외측 부재가 박리되더라도, 포장체 본체 내에 봉입한 내용물이 내측 부재의 절입에서 누설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은 이물질이 내측 부재의 절입에서 포장체 본체 내로 침입하는 것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내용물의 품질을 봉입 당초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위생적인 상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시트 부재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절곡하여서 시트 부재의 절입을 덮는 봉지부를 파단하면, 봉지부에 의한 밀봉이 해제되기 때문에 포장체 본체 내로 봉입된 내용물을 박리 개봉된 부분으로부터 원활하게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봉지부를, 내측 부재나 외측 부재와 동일한 단체 재료, 혹은 복합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적어도 한쪽 부재의 물성과 봉지부의 물성을 상승(相乘)해서 얻을 수 있다. 예컨대, 가스 차단성과 방습도성, 악취성 등등을 더 향상할 수 있으면서 포장체 본체에 봉입한 수용물의 품질을 더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부를 상기 외측 부재보다 두께가 얇은 봉지 필름, 혹은 코팅 형성한 봉지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의 절입을 보다 확실하게 봉지할 수 있으면서 포장체 본체 내로 봉입된 내용물이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봉지 필름, 혹은 봉지층은 외측 부재보다 더 두께가 얇기 때문에 내측 부재를 절곡했을 때에 산 쪽이 되는 면에 대해서 그 내측 부재의 절입을 덮듯이 밀착시켜서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내측 부재의 절입을 덮는 외측 부재가 박리되어도, 포장체 본체 내에 봉입한 내용물이 내측 부재의 절입에서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내측 부재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절곡하는 것만으로 시트 부재의 절입을 덮는 봉지 필름, 혹은 봉지층을 파단할 수 있기 때문에, 봉지 필름이나 봉지층에 의한 밀봉을 간단하고 쉽게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봉지층은, 내측 부재의 절입을 덮도록 코팅 형성하기 때문에, 봉지 필름보다 더 얇은 막(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봉지 필름을 파단할 때의 절곡력보다 봉지층을 파단할 때의 절곡력이 작아도 되기 때문에 봉지 필름보다 간단하고 쉽게 파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부재 및 외측 부재에서의 박리 영역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으면서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을 부재끼리의 박리 개봉된 부분에서 원활하게 꺼낼 수 있는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개봉 구조를 구비한 실시 예 1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2는, 박리 개봉 포장체에서의 개봉 구조의 설명도이고,
도 3은, 실시 예 1의 박리 개봉 포장체에서 내용물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고,
도 4는, 박리 개봉 포장체를 반 접기한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5는, 개봉 구조를 구비한 실시 예 2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6은, 절입(칼집,칼 벤자리)을 다른 길이 및 형상으로 형성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고,
도 7은, 점선 모양의 절입을 구비한 실시 예 3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8은, 절곡 괘선을 구비한 실시 예 4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9는, 절곡 괘선을 비스듬히 부설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고,
도 10은, 절입을 2개소 설치한 실시 예 5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11은, 한쪽 절입을 대칭으로 설치한 실시 예 6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12는, 수용부를 본체부와 덮개부의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고,
도 13은, 개봉 구조를 구비한 실시 예 7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14는, 개봉 구조를 구비한 실시 예 8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15는, 개봉 구조를 구비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16은, 박리 개봉 포장체에서 내용물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박리 개봉 포장체에서 내용물을 꺼낼 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18은 절입을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고,
도 19는, 3층 구조를 가지는 개봉 구조의 절곡부를 분단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20은, 볼록부를 구비한 실시 예 9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21은, 개봉 구조를 구비한 실시 예 10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22는, 개봉 구조를 구비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고,
도 23은, 봉지 필름을 구비한 실시 예 11의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24는, 박리 개봉 포장체에서 내용물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고,
도 25는, 봉지층을 구비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26은, 절입을 원하는 배치로 형성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 중 일 실시 형태를 다음 도면을 근거로 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1은 개봉 구조를 구비한 실시 예 1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서의 개봉 구조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2(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폭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한 단면도, 도 2(b)는 (a)에 나타내는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 예 1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는, 내용물(C)이 내부에 봉입된 포장체 본체(11)를, 단면 대략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상면 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13)로 구성된 소형의 포장체이다(도 1 (a) (b) 참조).
본체부(12)는, 100μ의 두께로 형성된 합성수지제 필름(예를 들면,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제품의 상품명 다이아밀론 F)으로 구성되어, 1회 사용에 필요한 양의 내용물(C)이 충전되는 수용부(14)를, 본체부(12)의 내부에 형성한다(도 2(a) (b) 참조).
덮개부(13)는, 포장체 본체(11)의 내부(구체적으로는, 본체부(12)의 수용부 14)와 대응하는 쪽에 배치되어, 사람의 손가락으로 구부릴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시트 부재(20)와, 시트 부재(20)에서의 포장체 본체 (11)의 외부와 대응하는 표면 쪽에 맞붙인 합성수지제의 필름 부재(30)로 구성한다.
덮개부(13)에서의 시트 부재(20)의 이면측 주연부(周緣部)를, 본체부(12)의 표면측 주연부에 열 융착해서 상기 본체부(12)의 상면측 개구부를 폐색한다(도 1(a) (b) 참조).
덮개부(13)에서의 길이 방향(L)의 중앙부에는, 상기 덮개부(13)의 반 접기 가능한 절곡부(15)를, 상기 덮개부(13)에서의 길이방향(L)(절곡 방향(G)과 대응하는 방향)과 직교해서 폭 방향(W)으로 형성한다(도 1(a) (b)참조).
절곡부(15)에서의 폭 방향(W)의 중앙부에는,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를 박리하는 영역으로서, 도면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박리 영역(16)을 설정한다.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에는,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를 반 접기 했을 때에 그 부재(20,30)의 두께 방향(T)에 대해서 관통하는 슬릿 형태의 절입(21,31)을, 미도시의 톰슨형 타발기로 형성한다(도 2(a) (b)참조).
절입(21,31)은,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를 두께 방향(T)에서 보아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길이 방향(L)의 일단 측(동일 방향)을 향해서 호상으로 돌출된 호(弧)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동일 형상 및 동일 길이로 형성한다(도 1(a) (b)참조).
*시트 부재(20)에 형성된 절입(21)과 필름 부재(30)에 형성된 절입(31)은,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길이 방향(L)과 교차해서 형성하면서 길이 방향(L)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한다.
절입(21,31)의 간격(S)은, 시트 부재(20)에서의 두께의 약 0.5배~약 100배(바람직하게는 약 10배)의 범위에 포함되는 간격으로 이간되어 있다(도 1(a) (b)참조). 절입(21,31)의 가로 폭(Wi)은 시트 부재(20)의 가로 폭을 기준으로서 그 가로 폭 이하(바람직하게는 약 70 %이하)로 형성한다.
시트 부재(20)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구부릴 수 있는 두께로 형성한 아몰퍼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시트 기부(基部)(20a)와, 시트 기부(20a)에서의 수용부(14)와 대응하는 이면 측에 맞붙인 폴리에틸렌제의 시일재(20b)로 구성되고, 시일재(20b)는 시트 기부(20a)의 이면 전체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한다(도 2(a)의 a부 확대도 참조).
시트 부재(20) 중 시트 기부(20a)는, 0.1mm~1.0mm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 바람직하게는 0.2mm~0.5mm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로 형성한다. 시일재(20b)는 0.01mm~0.5mm의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 바람직하게는 0.03mm~0.3mm의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로 형성한다.
상술의 시트 부재(20)는, 시트 기부(20a)와 시일재(20b)를 맞붙여서 2층 구조로 형성한 시트 부재(20)의 표면 측에 상술한 필름 부재(30)를 맞붙여서 3층 구조로 형성한다(도 2(a)의 a부분 확대도 참조).
또한, 가스 차단성과 방습도성 등을 필요로 하는 내용물(C)을 봉입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증착 가공, 코팅 가공, 혹은 복합화하는 등, 도시되지 않은 시일 층을 시트 기부(20a)와 시일재(20b) 사이에 형성한다.
필름 부재(30)는, 절곡부(15)의 절곡 변형에 의해 박리 가능한 두께로 형성한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제품의 필름 기재(30a)와, 필름 기재(30a)의 이면 측에 맞붙인 폴리에틸렌제의 시일재(30b)로 2층 구조로 형성한다.
필름 부재(30) 중 필름 기재(30a)는, 0.005mm~0.5mm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 바람직하게는 0.01mm~0.1mm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로 형성한다. 시일재(30b)는 0.005mm~0.1mm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 바람직하게는 0.01mm~0.2mm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로 형성한다.
상술의 필름 부재(30)는, 시트 부재(20)의 표면 전체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하고, 시일재(30b)는 필름 기재(30a)의 이면 전체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가스 차단성이나 방습성 등을 필요로 하는 내용물(C)을 봉입하는 경우에는, 상술과 같은 다층 구조로 형성한 필름 부재(30)를 사용한다(도 2(b)의 a1부분 확대도 참조).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대향 면끼리는, 그 대향 면 사이에 개재한 재박리 가능한 점착력을 가진 접착층(N1)에서 재박리 가능하게 붙어 있다.
그 박리 영역(16)보다 외측의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의 대향 면끼리는, 그 대향 면 사이에 개재된 재박리 불가능한 접착력을 가진 접착층(N2)에서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해 있다.
또한, 필름 부재(30)를, 예를 들면, 0.05mm~0.5mm의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로 형성한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제나 폴리에틸렌제의 필름으로 1층 구조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를 서로 첩착하는 것이 가능하면, 시트부재(20)를 2층 구조로 형성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실시 예 1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로부터 내용물(C)을 꺼낼 때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예 1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3(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구부리기 시작한 상태의 측면도, 도 3(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한 상태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4(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 예 1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포장체 본체(11)의 덮개부(13)가 하향이 되는 상태로 유지해서 절곡부(15)를 반 접기 상태로 절곡함으로써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접착층(N1)의 접착력에 대항해서 박리 개봉할 수 있다(도 3(a)(b)참조).
자세하게는, 절곡부(15)에서의 두께가 두꺼운 쪽의 시트 부재(20)가 내측에서, 그 시트 부재(20)보다 더 두께가 얇은 쪽의 필름 부재(30)가 외측이 되도록 해서 반 접기 함으로써 시트 부재(20)의 두께만큼 시트 부재(20)보다 더 필름 부재(30)의 곡률 반경이 크고, 시트 부재(20)는 절곡에 의해 압축되는데, 필름 부재(30)는 절곡부(15)에 부여된 인장력에 의해 절곡 방향(G)을 향해서 인장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이 상반되는 방향을 향해서 변위되기 때문에 절입(21,31) 간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접착층(N1)의 접착력에 대항해서 박리 개봉할 수 있다(도 4(a) (b)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를 구부렸을 때에 시트 부재(20)에 형성된 절입(21)의 대향 벽면과, 필름 부재(30)에 형성된 절입(31)의 대향 벽면이 각각 이간되어서 그 절입(21,31)을 두께 방향(T)으로 관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절입(21,31)에서의 호상(弧狀)의 설편부(舌片部)(21a,31a)가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돌출되기 때문에 시트부재(20) 및 필름부재(30)의 절입(21,31)을 내용물(C)이 충전된 수용부(14)와 연통하면서 동시에 그 수용부(14)에 충전된 내용물(C)의 취출이 허용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개구할 수 있다(도 4(b) 참조).
이 결과, 예를 들면, 절입을 가리도록 첩착한 봉지재나, 파단 개봉 가능한 괘선을 파단해서 개봉하기보다도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어서 수용부(14)에 충전된 내용물(C)을 절입(21,31) 간의 박리 개봉된 부분에서 원활하게 꺼낼 수 있다.
게다가, 절입(21,31) 사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박리 개봉했을 때, 절입(21,31)에서 밀려나온 내용물(C)이 설편부(21a,31a)에 접촉하면서 밀어내진다(도4(b) 참조).
이로써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봉입된 내용물(C)이 일거에 밀어내지기 어렵고, 내용물(C)이 주위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로 형성한 절입(21,31) 사이를, 시트 부재(20)에서의 두께의 약 0.5배~약 100배의 범위에 포함되는 간격으로 이간되어 있어서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의 대향 면에 서로 밀착한 상태로 맞붙이는데 필요한 첩착(貼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박리 개봉하기 전까지는,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 형성된 절입(21,31)끼리 서로 연통되는 일이 없으며,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봉입된 내용물(C)이 절입(21,31)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수용부(14)에 충전된 내용물(C)의 내압에 의해,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이, 예를 들면 만곡 혹은 뒤로 젖혀지거나 하는 등 해서 서로 밀착된 상태로 밀어 붙여지므로 내용물(C)이 누설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 하는 것으로만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접착층(N1)에 대항해서 간단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어서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에 박리 잔여물이 생기기 어렵고 내용물(C)의 취출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박리 영역(16)보다 외측의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의 대향 면을 접착층(N2)에서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하고 있어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보다 외측 부분이 박리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이외의 부분에서 내용물(C)이 누설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절곡을 해제하면, 해당 박리 개봉 포장체(10A)는 시트 부재(20)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서 절곡 전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개봉된 부분이 접착층(N1)에 의해 다시 밀봉된다. 그리고, 다시 박리 개봉할 때까지 내용물(C)의 유출이 방지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절입(21,31)이 가로 방향이 되는 상태로 뒤집히거나, 혹은 절입(21,31)이 하향이 되는 상태로 전도되거나 해도 내용물(C)의 유출, 누설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술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과 동일 또는 동등의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예 2)
상술의 실시 예 1에서는, 절입(21,31)을 동일 길이로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21,31)을 다른 길이로 형성한 실시 예 2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개봉 구조를 갖춘 실시 예 2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5(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5(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실시 예 2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는 시트 부재(20)의 절입(21)보다 더 필름 부재(30)의 절입(31)을 길게 형성하고 있어서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절곡부(15)를 따라서 반 접기 할 때에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에 생기는 절곡 방향(G)의 변위가 더 커진다.
즉, 절입(21,31)을 동일 길이로 하기보다는 절입(21,31)의 길이를 다르게 하는 것이 절입(21,31)을 다른 크기로 개구할 수 있어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과 거의 동등, 혹은 동등 이상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반대로, 절입(21)을 절입(31)보다 더 길게 해도 좋고, 상술한 실시 예 2와 대략 동등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절입(21,31)을 다른 길이로 형성하는 다른 예로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산(二山) 형상의 절입(31)을, 동일 형상의 절입(21)보다 더 길게 하거나(도 6(a) 참조), 사다리꼴 모양의 절입(31)을 직선 형상의 절입(21)보다 더 길게 하거나(도 6(b) 참조), 또 문(門) 형상의 절입(31)을 호형상의 절입(21,21)보다 더 길게 하는 등 해도 좋다(도 6(c) 참조).
또한, 상술의 실시 예 1에서는, 절입(21,31)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도 6(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21,31)을 다른 형상으로 형성한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절입(21,31)을 다른 길이 또는 형상으로 형성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자세하게는, 절입(21,31)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에 발생하는 절곡방향(G)의 변위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거의 균등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절입(21,31)을 다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에 생기는 절곡 방향(G)의 변위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도 6(b) (c)참조).
구체적으로는, 도 6(b)에 나타내는 절입(31)을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하고, 절입(21)을 직선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도 6(c)에 나타내는 절입(31)을 문 형상으로 형성하고, 절입(21)을 호형상으로 형성한다.
즉, 절입(21,31)을 동일 형상으로 하는 것보다도, 절입(21,31)의 형상을 다르게 하는 것이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어서 실시 예 1, 2와 거의 동등, 혹은 동등 이상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절입(21,31)의 길이 및 형상은, 실시 예 1, 2에서 설명한 길이 및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길이 및 형상이 다른 여러 종류의 절입(21,31)끼리를 결합시켜도 좋다.
(실시 예 3)
상술한 실시 예 1, 2에서는, 절입(21,31)을 슬릿 형태로 형성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는데,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21,31)을 점선 모양으로 형성한 실시 예 3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점선 모양의 절입(21,31)을 갖춘 실시 예 3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다.
절입(21,31)을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의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부(21b,31b)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그 구멍부(21b,31b)를 길이 방향(L)과 직교해서 폭 방향(W)을 향해서 점선 형태로 배열한다.
실시 예 3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할 때에, 점선 형태로 형성한 절입(21)에서의 서로 이웃하는 구멍부(21b)간의 이어진 부분과, 절입(31)에서의 서로 이웃하는 구멍부(31b)간의 이어진 부분이 박리 또는 파단되기 때문에 구멍부(21b) 및 구멍부(31b)를 각각 하나로 이어지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 예 1, 2의 절입(21,31)과 마찬가지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간단하고 쉽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 2와 거의 동등, 혹은 동등 이상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구멍부(21b) 및 구멍부(31b)의 서로 이웃하는 부분이 파단될 때까지 내용물(C)의 누설이 방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시 예 4)
상술의 실시 예 1, 2에서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절곡부(15)를 따라서 반 접기 하는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0)의 절곡을 보조하는 직선 형상의 절곡 괘선(25)을 부설한 실시 예 4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절곡 괘선(25)을 갖춘 실시 예 4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 이며, 자세하게는 도 8(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8(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상술한 절곡 괘선(25)은, 시트 부재(20)에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와 절1)에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 사이에 시트 부재(20)의 길이방향(L)과 직교해서 폭 방향(W)으로 부설되어 있다.
실시 예 4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 할 때에 시트 부재(20)에 부설한 절곡 괘선(25)에 의해서 절곡을 보조하기 때문에 반 접기 할 때에 부여되는 시트 부재에서(20)의 절곡 저항이 작아진다.
이로써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더 정확하고 쉽게 반 접기 할 수 있으면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확실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 2와 거의 동등, 또는 동등 이상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개봉 실수가 일어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 4에서는, 절곡 괘선(25)을 길이 방향(L)과 직교해서 폭 방향 (W)에 부설한 예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 괘선(25)을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과 교차해서 비스듬히 부설한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절곡 괘선(25)을 비스듬히 부설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9 (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9(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상술한 절곡 괘선(25)은 시트 부재(20)에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와, 절입(21)에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 사이에 시트 부재(20)의 길이방향(L) 및 폭 방향(W)과 교차해서 비스듬히 소정 각도로 경사져서 부설되어 있다.
즉,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 했을 때에 절곡부(15)가 뒤집어지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확실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 2와 거의 동등, 혹은 동등 이상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절곡 괘선(25)을, 예를 들면 호 형상 등의 매끄러운 곡선 형상으로 부설해도 좋다.
(실시 예 5)
상술의 실시 예 1~4에서는, 절입(21,31)을 1개소 설치한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21,31)을 2개소 마련한 실시 예 5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절입(21,31)을 2개소 마련한 실시 예 5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0(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 도 10(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폭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된 단면도, 도 10(c)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실시 예 5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는, 호 형상의 절입(21,31)을 절곡부(15)에 설정한 폭 방향(W)과 평행한 미도시의 가상 기준선을 기분으로서 선대칭으로 2개소 설정한다. 또한, 2종류의 내용물(C)을 개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4)를 2개소 마련한 절입(21,31)과 대응해서 2개소 형성한다(도 10(a) (b) 참조).
실시 예 5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서 내용물(C)을 꺼내는 경우,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 함으로써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 (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2개소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각각 접착층(N1)의 접착력에 대항해서 대략 동시에 박리 개봉할 수 있다(도 10 (b) (c) 참조).
이로써 2개소의 절입(21,31)을, 내용물(C)이 봉입된 2개의 수용부(14)와 각각 연통하면서 동시에 그 수용부(14)에 충전된 내용물(C)을 꺼낼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개구할 수 있다.
이 결과, 2개의 수용부(14)에 충전된 내용물(C)을, 2개소의 개구된 부분에서 대략 동시에 꺼낼 수 있어서 실시 예 1, 2와 거의 동등, 혹은 동등 이상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6)
상술한 실시 예 5에서는, 호 형상의 절입(21,31)을 선대칭으로 2개소 마련한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의 절입(31)을, 직선 형상의 절입(21)을 기준으로서 선대칭으로 2군데 마련한 실시 예 6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한쪽 절입(31)을 대칭으로 설치한 실시 예 6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1(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 도 11(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폭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한 단면도, 도 11(c)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 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실시 예 6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는, 직선 형상의 절입(31)을, 절곡부(15)에서의 폭 방향(W)의 중앙부에 1개소 설치한 직선 형상의 절입(21)을 기준으로서, 길이 방향(L)에 대해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절입(21)의 양측부에 2개소 설치하면서 동시에 절입(21,31)을 폭 방향(W)과 평행하게 배치한다(도 11(a) (b) 참조).
실시 예 6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서 내용물(C)을 꺼내는 경우, 그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 함으로써, 시트 부재(20)에서의 1개의 절입(21)과 필름 부재(30)에서의 2개소의 절입(31)과의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접착층(N1)의 접착력에 대항해서 대략 동시에 박리 개봉할 수 있다(도 11(c) 참조).
즉, 절입(21,31)이 직선 형상이라도 필름 부재(30)보다도 시트 부재(20)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시트 부재(20)의 두께를 이용해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접착층(N1)의 접착력에 항거해서 인장하도록 해서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이 결과, 1개소의 절입(21)과, 2개소의 절입(31,31)을, 내용물(C)이 봉입된 하나의 수용부(14)와 연통할 수 있어서 실시 예 5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절입(21,31)의 형상은 직선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호형상 혹은 그 밖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 절입(21,31)을 폭 방향(W)에 대해서 복수 배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 1~6에서는, 수용부(14)를 본체부(12) 측에 형성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하는 본체부(12)와 덮개부(13)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을 단면 대략 오목 형상으로 성형해서 내용물(C)이 봉입되는 수용부(14)를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수용부(14)를 본체부(12)와 덮개부(13) 중 한쪽 또는 양쪽에 마련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실시 예 1~6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는, 본체부(12)를 단면 대략 오목 형상으로 성형해서 수용부(14)를 본체부(12) 측에 형성하고 있는데(도 12(a) 참조), 덮개부(13)의 시트 부재(20)을 단면 대략 오목 형상으로 성형해서 수용부(14)를 덮개부(13) 측에 형성해도 좋다(도 12(b) 참조).
혹은, 덮개부(13)의 시트 부재(20)와, 본체부(12)의 필름 부재(30)를 단면 대략 오목 형상으로 성형해서 수용부(14)를 본체부(12)와 덮개부(13) 사이에 형성해도 좋다(도 12(c) 참조).
이 결과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반으로 접어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박리 개봉하기 때문에 실시 예 1~6과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7)
상술한 실시 예 1~6에서는,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의 주연부끼리를 열 융착해서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0)를 필름 부재(30)의 주연부보다 더 안쪽에 배치해서 그 필름 부재(30)에서의 시트 부재(20)보다 외측의 주연부를 열 융착해서 형성한 실시 예 7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개봉 구조를 갖춘 실시 예 7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3 (a)는 시트 부재(20)를 한 쌍의 필름 부재(30) 사이에 끼워넣어 구성한 개봉 구조의 단면도, 도 13 (b)는 시트 부재(20)를 필름 부재(30)에서의 수용부(14)와 대응하는 면에 마주 붙여서 구성한 개봉 구조의 단면도이다.
실시 예 7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는, 시트 부재(20)를 한 쌍의 필름 부재 (30)사이에 끼워넣은 뒤, 그 필름 부재(30)들의 시트 부재(20)보다 바깥쪽의 주연부끼리를 열 융착해서 밀봉하기 때문에, 두께가 두꺼운 부재끼리를 열 융착하기보다도 시트 부재(20)보다 더 두께가 얇은 필름 부재(30)끼리의 겹침 부분을 고속으로 열 융착해서 포장할 수 있다(도 13(a) 참조).
혹은, 시트 부재(20)를 필름 부재(30)에서의 수용부(14)와 대응하는 면에 맞붙인 뒤, 필름 부재(30)에서의 시트 부재(20)보다 바깥쪽의 이면측 주연부를, 합성수지제의 필름으로 형성한 본체부(12)의 표면측 주연부에 열 융착해서 밀봉하기 때문에, 시트 부재(20)보다 더 두께가 얇은 필름 부재(30)의 주연부와 본체부(12)의 주연부의 겹침 부분을 고속으로 열 융착해서 포장할 수 있다(도 13(b) 참조).
이 결과, 두께가 두꺼운 주연부끼리를 열 융착하기보다도 두께가 얇은 필름 부재(30)의 주연부끼리를 열 융착할 때의 밀봉 시간이 짧아지면서 동시에 내용물(C)의 포장에 필요한 포장 속도, 혹은 제조 공정 전체의 속도를, 예를 들면 20%~50%정도 고속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박리 개봉 포장체(10A)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실시 예 8)
상술한 실시 예 7에서는, 시트 부재(20)를 필름 부재(30)에서의 수용부(14)와 대응하는 면에 맞붙여서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14에서와 같이, 시트 부재(20)를 한 쌍의 필름 부재(30)에서의 한쪽의 필름 부재(30)에서의 수용부(14)와 대응하는 면에 맞붙여서 형성한 실시 예 8의 박리 개봉 포장체(10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개봉 구조를 갖춘 실시 예 8의 박리 개봉 포장체(10B)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4(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B)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4(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B)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박리 개봉 포장체(10B)에서의 개봉 구조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5(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B)를 폭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한 단면도, 도 15(b)는 (a)에 나타내는 b부분 확대 단면도, 도 15(b)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소경원(小徑圓)은 b1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박리 개봉 포장체(10B)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고, 상세하게는 도 16(a)는 박리 개봉 포장체(10B)를 구부리기 시작한 상태의 측면도, 도 16(b)는 박리 개봉 포장체(10B)를 반 접기 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박리 개봉 포장체(10B)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 예 8의 박리 개봉 포장체(10B)는, 내용물(C)이 봉입되는 포장체 본체 (11)를 한 쌍의 필름 부재(30)중 한쪽의 필름 부재(30)에서의 시트 부재(20)가 접착된 면을 내측으로 하고, 그 필름 부재(30)끼리의 시트 부재(20)의 주연부보다 바깥쪽의 겹침 부분을 열 융착해서 구성한다. 그 필름 부재(30)끼리의 대향 면 사이에는 내용물(C)이 봉입되는 수용부(14)를 형성한다(도 14, 도 15 참조).
시트 부재(20)에서의 길이 방향(L)의 중앙부에는 그 시트 부재(20)의 절곡을 허용하는 절곡부(15)를 형성한다. 절곡부(15)에서의 폭 방향(W)의 중앙부에는 도면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박리영역(16)을 설정한다(도 14(a) (b) 참조).
박리 영역(16) 내에는,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의 두께 방향(T)에 대해서 관통하는 절입(21,31)을 형성하고 있다(도 15(a) (b) 참조).
시트 부재(20)에서의 절곡부(15)와 대응하는 폭 방향(W)의 양단부에는 그 폭 방향(W)의 양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해서 오목한 형태로 패인 오목부(24)를 형성한다(도 14(a) (b) 참조).
실시 예 8의 박리 개봉 포장체(10B)에서 내용물(C)을 꺼내는 경우, 그 박리 개봉 포장체(10B)를 반 접기 함으로써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접착층(N1)의 접착력에 대항하여 박리 개봉할 수 있다(도 16(a) (b), 도 17 참조).
이 결과, 박리 개봉 포장체(10B)에 봉입된 내용물(C)을,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개봉된 부분에서 원활하게 꺼낼 수 있어서 실시 예 1과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시트 부재(20)에서의 주연부의 각진 부분을, 유연성을 가진 필름 부재(30)로 덮고 있어서, 시트 부재(20)를,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집어서 구부릴 때 손가락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구부릴 때에 느낄 수 있는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서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의 감촉이 양호하다.
그리고 또한, 시트 부재(20)에서의 절곡부(15)의 가로 폭을, 오목부(24)만큼 다른 부분보다 더 폭이 좁게 형성하고 있어서, 그 절곡부(15)의 강성이 다른 부분에 비해서 약하고 박리 개봉 포장체(10B)의 절곡이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오목부(24)를, 시트 부재(20)에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 단부에만 형성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예 1~8에서는, 절입(21,31)을 호 형상으로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18은 절입(21,31)을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자세하게는, 절입(21,31)을, 도 18(a)에 나타내는 직선 형상, 도 18(b)에 나타내는 파도형상, 도 18(c)에 나타내는 이산(二山) 형상, 도 18(d)에 나타내는 사다리꼴 형상, 도 18(e)에 나타내는 문 형상, 도 18(f)에 나타내는 M자 형상, 도 18(g)의 역 V자 형상(삼각형상을 포함) 등의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혹은, 절입(21,31)을, 도 18(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로 분할하는 동시에 서로 이웃하는 절입(21,31) 사이의 이어진 부분의 박리 또는 파단이 허용되는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해도 좋다.
또한, 실시 예 1~8에서 설명한 호 형상과, 도 18(a)~(h)에 나타내는 여러 종류의 형상 중에서 선택한 동일한 형상, 혹은 다른 형상의 절입(21,31)을 조합시켜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 형성해도 좋고, 실시 예 1~8과 거의 동등, 혹은 동등 이상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 1~8에서는,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를 맞붙여서 2층 구조로 형성한 개봉 구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필름 부재(30)를 시트 부재(20)의 표면 쪽으로 맞붙여서 3층 구조로 형성한 개봉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3층 구조를 가진 개봉 구조의 절곡부(15)를 분단한 확대 단면도이다.
3층 구조를 가진 개봉 구조는 시트 부재(20)에 붙여진 1층째의 필름 부재(30)의 표면 측에, 상기 필름 부재(30)의 표면 전체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 2층째의 필름 부재(30)를 일체로 붙여 맞춰서 3층 구조로 형성하면서, 2층째의 필름 부재(30)에서의 시트 부재(20)의 절입(21)과, 1층째의 필름 부재(30)의 절입(31)의 대략 중간 부분에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는 절입(31)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3층 구조를 가진 개봉 구조의 경우, 시트 부재(20)를 반 접기 함으로써 절입(21,31,31)의 각 사이와 대응하는 부재(20,30,30)끼리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접착층(N1)의 접착력에 대항해서 박리 개봉할 수 있다.
미개봉 상태에 있어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이 박리되더라도 1층째의 필름 부재(30)의 절입(31)을 2층째의 필름 부재(30)로 덮고 있어서, 수용부(14)에 충전된 내용물(C)이 누설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3층 구조의 개봉 구조는, 실시 예 1~8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10B)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박리 개봉할 수 있으면, 필름 부재(30) 매수를, 예를 들면, 3장, 4장과 같이 여러 장으로 변경해도 좋다.
(실시 예 9)
상술의 실시 예 1~8에서는, 손가락 절곡력에 의해 박리 개봉하는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절곡력을 증폭해서 박리 개봉하는 실시 예 9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은 볼록부(42)를 구비한 실시 예 9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20(a)는 볼록부(42)끼리 접촉한 절곡 상태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측면도, 도 20(b)는 박리 개봉한 상태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측면도, 도 20(c)은 볼록부(42)끼리 접촉한 절곡 상태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의 다른 예의 측면도이다.
실시 예 9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는, 두 개로 접었을 때에 서로 접촉되는 볼록부(42)를, 시트 부재(20)에서의 절곡 방향(G)으로 대향하는 부분의 2개소에 설치한다(도 20(a) 참조).
즉, 볼록부(42)끼리 접촉된 부분을 지점(支點)으로서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서의 역점(力點)에 상당하는 유단(遊端) 부분에 절곡력을 부여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작용점에 상당하는 절곡부(15)에 대해서 큰 인장력이 부여된다(도 20(a) 참조).
이로써 박리 개봉 포장체(10A)에서의 역점에 부여하는 절곡력이 작아도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보다 간단하게 박리 개봉할 수 있으면서 작용점에 부여되는 인장력이 더 커져서 박리 개봉이 한층 더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20(b) 참조).
이 결과,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더 크게 개구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면, 분말 형상, 과립 형상, 정제 형상 등의 내용물(C)을 보다 쉽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볼록부(42)를 시트 부재(20)에서의 절곡부(15) 쪽에서 일부를 이면 측으로 돌출시키면서 시트 부재(20)에서의 절곡부(15) 쪽의 이면 측의 측단부에 2개소 배치해도 좋다(도 20(c) 참조).
또한, 실시 예 9에서는 볼록부(42)를 2개소 설치한 예를 설명하였는데 어느 한쪽 면에 1개소 설치해도 좋다.
(실시 예 10)
상술의 실시 예 1~9에서는, 시트 부재(20)를 포장체 본체(11)와 동일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10A,10B)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체 본체(11)에서의 본체부(12)의 표면 쪽에 붙인 시트 부재 (20) 중 적어도 일부(20X)를 본체부(12)의 일측 가장자리부(緣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실시 예 10의 박리 개봉 포장체(10C(10C1,10C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은 개봉 구조를 갖춘 실시 예 10의 박리 개봉 포장체(10C)의 설명도이며, 바람직하게는 도 21(a)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시트 부재(20)를 본체부(12)의 표면에 붙이고, 그 시트 부재(20)의 일부(20X)를 본체부(12) 중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박리 개봉 포장체(10C1)의 단면도이다.
도 21(b)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 형상의 시트 부재(20)를 포장체 본체 (11) 중 일측 가장자리부 부근의 표면에 붙이고, 그 시트 부재(20)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연장 설치된 매달림부(22)를, 그 포장체 본체(11) 중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박리 개봉 포장체(10C2)의 평면도이다.
상술의 박리 개봉 포장체(10C1)는, 시트 부재(20)의 일부(20X)와 대응하는 포장체 본체(11) 중 일측 가장자리부를 제외하고, 그 포장체 본체(11)에서의 나머지 세 변의 가장자리부를 열 융착해서 밀봉한다. 또한, 포장체 본체(11)에서의 본체부(12)에는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해서 형성한다.
한편, 박리 개봉 포장체(10C2)는, 한 쌍의 필름 부재(30)끼리의 시트 부재 (20)보다 바깥쪽의 주연부를 열 융착해서 밀봉한다. 또한, 포장체 본체에서(11)의 본체부(12)에는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해서 형성한다. 또한, 시트 부재(20)의 매달림부(22)에는, 예를 들면, 후크 등과 같은 걸림이 허용되는 구멍부(23)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10C(10C1,10C2))를 반 접기 함으로써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 (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박리 개봉할 수 있다.
이 결과, 박리 개봉 포장체(10C)에 봉입된 내용물(C)을,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개봉된 부분에서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실시 예 1~9와 대략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 10의 박리 개봉 포장체(10C)는, 시트 부재(20)의 일부(20X)를 본체부(12)의 일측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시트 부재(20)의 일부(20X)를 본체부(12)의 일측 가장자리부와 대략 동등하거나, 그 일측 가장자리부보다 더 내측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술의 실시 예 1~10에서는, 본 실시 형태의 개봉 구조를 용량이 작은 소형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10B,10C)에 설치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량이 큰 대형의 박리 개봉 포장체(10G,10H,10I,10J,10K)에 설치한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개봉 구조를 갖춘 박리 개봉 포장체(10G~10K)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며, 바람직하게는 도 22(a)~(e)는 개봉 구조를 마련한 박리 개봉 포장체(10G~10K)의 정면도이다.
도 22(a)~(e)의 박리 개봉 포장체(10G~10K)는,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액체 세제용 포장체나 세발액용 포장체와 같은 용량이 큰 대형의 포장체로 구성되며, 박리 영역(16) 내의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 절입(21,31)을 설치해서 구성한 본 실시 형태의 개봉 구조를 박리 개봉 포장체(10G~10K)의 일부에 설치한다.
도 22(a)는 개봉 구조를 박리 개봉 포장체(10G)에서의 우측 상부의 모서리부에 마련한 예이다. 도 22(b)는 개봉 구조를 박리 개봉 포장체(10H)에서의 중앙 상부에 설치한 예이다. 도 22(c)는 개봉 구조를 박리 개봉 포장체(10I)에서의 길이 방향(L)의 중앙부에 설치한 예이다.
도 22(d)는 개봉 구조를 박리 개봉 포장체(10J)에서의 중앙 상부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에 설치한 예이다. 도 22(e)는 개봉 구조를 박리 개봉 포장체(10K)의 오른쪽 상부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에 설치한 예이다.
즉, 박리 개봉 포장체(10A~10K)의 주연부보다도 내측이면, 본 실시 형태의 개봉 구조를 어디에 설치해도 좋고, 박리 개봉 포장체(10A~10K)에서의 시트 부재 (20) 및 필름 부재(30)를 반으로 접어서,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절입(21,31) 사이와 대응하는 박리 영역(16) 내의 박리 가능하게 붙인 부분을 박리 개봉하기 때문에 실시 예 1~10과 대략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11)
상술한 실시 예 1~10에서는,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대향 면끼리를 박리 가능하게 붙인 박리 개봉 포장체(10A~10C)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 필름(40)을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대향 면 사이에 개재한 실시 예 11의 박리 개봉 포장체(10D)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은 봉지 필름(40)을 구비한 실시 예 11의 박리 개봉 포장체(10D)이며, 상세하게는 봉지 필름(40)을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대향 면 사이에 개재한 박리 개봉 포장체(10D)의 절곡부(15)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박리 개봉 포장체(10D)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고, 상세하게는 도 24(a)는 필름 부재(30)가 박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곡부(15)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24(b)는 봉지 필름(40)을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곡부(15)의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 예 11의 박리 개봉 포장체(10D)는, 필름 부재(30)보다 더 두께가 얇은 봉지 필름(40)을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대향 면 사이에 개재하면서 동시에 시트 부재(20)를 절곡했을 때에 산 쪽이 되는 면에 대해서 그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덮도록 밀착시켜서 붙인다(도 23 참조).
봉지 필름(40)은, 시트 부재(20)나 필름 부재(30)와 동일한 단체(單體)재료, 혹은 복합 재료로 구성되고, 시트 부재(20)를 소정의 절곡 각도(θ) 이하로 구부렸을 때에 파단되는 두께, 및 경도로 형성한다(도 24(a) 참조).
봉지 필름(40)의 두께는, 필름 부재(30)의 두께보다 얇고, 0.005mm~0.035mm의 범위에 포함되는 두께로 형성한다.
즉,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그 절입(21)을 덮듯이 붙인 봉지 필름(40)으로 밀봉하고 있다(도 23 참조).
필름 부재(30)는 접착층(N1,N2)을 통해서 시트 부재(20)에 붙인 봉지 필름 (40)의 표면 쪽에 맞붙인다.
자세하게는, 실시 예 1~10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10C)는, 예를 들면, 운송이나 운반 등의 이동 중, 혹은 포장 작업 중에 있어서, 포장체 본체(11)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응력(예를 들면 구부림력과 압력 등)에 의해서 변형된 경우, 시트 부재(20)와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대향 면에 박리가 생길 수 있다.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덮는 필름 부재(30)가 박리되면, 그 절입(21)의 밀봉이 해제되기 때문에, 포장체 본체(11)의 수용부(14)에 충전된 내용물(C)이 시트 부재(20)의 절입(21)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먼지나 곤충 등의 이물질이 시트 부재(20)의 절입(21)에서 포장체 본체(11)의 수용부(14)에 침입하기 쉬워지게 되므로, 내용물(C)의 품질을 봉입 당초의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고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대해서, 실시 예 11의 박리 개봉 포장체(10D)는, 포장체 본체(11)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서 변형된 경우,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덮는 필름 부재(30)가 박리하더라도 시트 부재(20)를 소정의 절곡 각도(θ) 이하로 절곡해서,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덮는 봉지 필름(40)을 파단할 때까지는 봉지 필름(40)에 의한 밀봉이 해제되는 일이 없으며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밀봉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도 24(a) 참조).
이로써 포장체 본체(11)의 수용부(14)에 충전한 내용물(C)이 시트 부재(20)의 절입(21)에서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같은 이물질이 시트 부재(20)의 절입(21)에서 포장체 본체(11)의 수용부(14)에 침입하는 것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내용물(C)의 품질을 봉입 당초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위생적인 상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시트 부재(20)를 소정의 절곡 각도(θ) 이하로 접어 구부리는 것만으로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덮는 봉지 필름(40)을 파단할 수 있어서 봉지 필름(40)에 의한 절입(21)의 밀봉을 간단하고 쉽게 해제할 수 있다(도 24(b) 참조).
이 결과, 포장체 본체(11)의 수용부(14)에 충전된 내용물(C)을, 부재(20,30)끼리의 박리 개봉된 부분으로부터 원활하게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봉지 필름(40)을 시트 부재(20)나 필름 부재(30)와 동일한 단체 재료, 혹은 복합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부재(20,30) 중 적어도 한쪽 부재의 물성과, 봉지 필름(40)의 물성을 상승(相乘)해서 얻을 수 있다. 예컨대, 가스 차단성과 방습도성, 악취성 등등을 더 향상할 수 있으면서 포장체 본체(11)의 수용부(14)에 충전된 내용물(C)의 품질을 더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 11에서는, 봉지 필름(40)을 갖춘 박리 개봉 포장체(10D)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층(41)을 갖춘 박리 개봉 포장체(10D)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봉지층(41)을 갖춘 박리 개봉 포장체(10D)의 설명도이며, 상세하게는 봉지층(41)을 코팅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절곡부(15)의 확대 단면도이다.
박리 개봉 포장체(10D)는 봉지 필름(40)보다 두께가 얇은 막(膜) 형태의 봉지층(41)을 시트 부재(20)를 구부렸을 때에 산 쪽이 되는 면에 대해서 그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덮도록 밀착시켜서 코팅 형성한다. 필름 부재(30)는, 접착층 (N1,N2)을 통해서 시트 부재(20)에 코팅 형성한 봉지 필름(40)의 표면 쪽에 맞붙인다.
상술한 봉지 필름(40)과 마찬가지로 시트 부재(20)를 소정의 절곡 각도(θ)이하로 절곡해서,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덮는 봉지층(41)을 파단하기 전까지는, 봉지층(41)에 의한 밀봉이 해제되는 일이 없으며,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밀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서 실시 예 11의 봉지 필름(40)을 갖춘 박리 개봉 포장체(10D)와 거의 동등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봉지층(41)은,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가리도록 코팅 형성하기 때문에 상술한 봉지 필름(40)보다 얇은 막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봉지 필름(40)을 파단할 때의 절곡력보다도 봉지층(41)을 파괴할 때의 절곡력이 작아도 되기 때문에 봉지 필름(40)보다 더 간단하고 쉽게 파단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 예 1~11에서는, 절입(21,31)을 길이 방향(L)에 대해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입(21,31)을 원하는 배치로 형성해도 좋다.
도 26은 절입(21,31)을 원하는 배치로 형성한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상세하게는 절입(21,31)을, 도 26(a)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자 모양으로 배치하거나, 도 26(b)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H자 모양으로 배치하거나, 도 26(c)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만자(卍字) 모양으로 배치해도 좋다.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를 반 접기 상태로 절곡해서, 부재(20,30)끼리의 박리 영역(16) 내의 대향 면 사이를 박리했을 때에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 내의 부분이 절입(21,31)의 배치에 대응해서 복수로 분할한 상태로 개봉된다.
즉, 절입(21,31)에서 밀려나오는 내용물(C)은, 절입(21,31)에 의해서 복수로 분할된 부분(예를 들면, 주변부나 가장자리부 등)에 접촉하면서 밀려나기 때문에, 도 4(b)에 나타내는 설편부(21a,31a)에 접촉시키기보다 내용물(C)이 더 한꺼번에 밀려나가기 어렵고, 내용물(C)이 주위로 비산되는 일을 더 막을 수 있다.
이것으로써, 상기 실시 예 1~11와 거의 동등, 혹은 동등 이상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기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박리 개봉 포장체는, 실시 형태의 박리 개봉 포장체(10A~10D), (10G~10K)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내측 부재는 시트 부재(20)에 대응하고,
외측 부재는 필름 부재(30)에 대응하고,
봉지부는 봉지 필름(40), 봉지층(41)에 대응하는데,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나는 기술 사상을 토대로 응용할 수 있어서 많은 실시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상술의 실시 예 1~10에서는,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에서의 박리 영역(16)보다 외측의 대향 면끼리를 접착층(N2)에서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시트 부재(20) 및 필름 부재(30)의 대향 면 전체를 상술한 접착층 (N1)에 의해 재박리 가능하게 붙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1에서는, 시트 부재(20)의 절입(21)을 봉지 필름(40)이나 봉지층(41)으로 밀봉하는 예를 설명하였는데, 내용물(C)의 누설을 방지하는 데 필요한 강도를 구비하고 있으면, 예를 들면, 합성수지나 금속 등으로 형성한 포일체, 혹은 막(膜)체로 밀봉해도 좋고, 봉지 필름(40)이나 봉지층(41)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G; 절곡 방향
L; 길이 방향
W; 폭 방향
T; 두께 방향
C; 내용물
N1,N2; 접착층
10A~10D; 박리 개봉 포장체
10G~10K; 박리 개봉 포장체
11; 포장체 본체
12; 본체부
13; 덮개부
14; 수용부
15; 절곡부
16; 박리 영역
20; 시트 부재
30; 필름 부재
21,31; 절입
24; 오목부
25; 절곡 괘선
40; 봉지 필름
41; 봉지층
42; 볼록부

Claims (18)

  1. 내용물이 내부에 봉입된 포장체 본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장체 본체의 내부와 대응하는 쪽에 배치한 내측 부재와, 상기 내측 부재에서의 상기 포장체 본체의 외부와 대응하는 쪽에 맞붙인 외측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내측 부재 및 상기 외측 부재의 부재끼리 맞붙인 부분에, 상기 각 부재의 반 접기 가능한 절곡부(折曲部)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 설정한 상기 부재끼리를 박리하는 박리 영역 내의 일부에,
    상기 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상기 각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입을 상기 절곡부의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과 교차해서 형성하고,
    상기 내측 부재의 상기 절입과 상기 외측 부재의 상기 절입을 상기 절곡부의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하고,
    상기 내측 부재의 상기 절입과 상기 외측 부재의 상기 절입 사이의 부위에, 상기 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 사이가 벗겨져서 분리되는 박리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적어도 상기 박리 부분이,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 사이에 개재(介在)된 접착층에 의해 박리 가능하게 붙여지고,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 사이에서의 적어도 상기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 사이에,
    상기 내측 부재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렸을 때에 파단되는 봉지부(封止部)를 개재하면서 동시에,
    상기 봉지부를, 상기 내측 부재를 구부렸을 때에 산 쪽(山側)이 되는 면에 대해서 상기 내측 부재의 절입을 덮도록 배치한 박리 개봉 포장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의 두께를 상기 외측 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상기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상기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 사이에 개재한 박리 개봉 포장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 및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상기 박리 영역보다 외측의 대향 면들을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한 박리 개봉 포장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의 가로 폭(橫幅)을, 상기 내측 부재의 가로 폭을 기준으로서 그 가로 폭 이하로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 형성한 상기 절입 사이를,
    상기 내측 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그 두께의 0.5배~100배의 범위에 포함되는 간격으로 이간한 박리 개봉 포장체.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 형성한 상기 절입 중 어느 한쪽의 절입을, 다른 쪽의 절입보다 길게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 형성한 상기 절입을, 상기 두께 방향에서 보아 동일한 형상, 혹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을,
    상기 각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부로 구성하면서 동시에, 그 구멍부를 상기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과 교차해서 점선 모양으로 배열한 박리 개봉 포장체.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부와 상기 절입에서의 폭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그 내측 부재의 절곡을 보조하는 절곡 괘선(罫線)을 부설한 박리 개봉 포장체.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를,
    상기 외측 부재보다 더 두께가 얇은 봉지 필름, 혹은 코팅 형성한 봉지층으로 구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
  12. 내용물이 내부에 봉입된 포장체 본체의 일부를 박리해서 개봉하는 개봉 구조를 갖춘 박리 개봉 포장체이며,
    상기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포장체 본체의 내부와 대응하는 쪽에 배치한 내측 부재와, 상기 내측 부재에서의 상기 포장체 본체의 외부와 대응하는 쪽에 맞붙인 외측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내측 부재 및 상기 외측 부재의 부재들을 맞춰 붙인 부분에, 상기 각 부재의 반 접기 가능한 절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에 설정한 상기 부재끼리를 박리하는 박리 영역 내의 일부에,
    상기 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상기 각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입을 상기 절곡부의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과 교차해서 형성하고,
    상기 내측 부재의 상기 절입과 상기 외측 부재의 상기 절입을 상기 절곡부의 절곡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하여,
    상기 내측 부재의 상기 절입과 상기 외측 부재의 상기 절입 사이의 부위에, 상기 절곡부의 절곡에 의해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 사이가 벗겨져서 분리되는 박리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적어도 상기 박리 부분 내의 대향 면 사이에, 그 대향 면끼리를 박리 가능하게 붙인 접착층을 개재하고,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 사이에서의 적어도 상기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 사이에,
    상기 내측 부재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절곡했을 때에 파단되는 봉지부를 개재하면서,
    상기 봉지부를, 상기 내측 부재를 구부렸을 때에 산 쪽이 되는 면에 대해서 상기 내측 부재의 절입을 가리도록 배치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의 두께를, 상기 외측 부재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상기 절입 사이와 대응하는 상기 박리 영역 내의 대향 면 사이에 개재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
  15.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 및 상기 외측 부재에서의 상기 박리 영역보다 외측의 대향 면들을 박리 불가능하게 접착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
  16.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의 가로 폭을, 상기 내측 부재의 가로 폭을 기준으로서 그 가로 폭 이하로 형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
  17.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부재와 상기 외측 부재에 형성한 상기 절입 사이를,
    상기 내측 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그 두께의 0.5배~100배의 범위에 포함되는 간격으로 이간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
  18.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부를,
    상기 외측 부재보다 두께가 얇은 봉지 필름, 혹은 코팅 형성한 봉지층으로 구성한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
KR1020197017636A 2015-01-30 2016-01-20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 KR102103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17158 2015-01-30
JP2015017158 2015-01-30
JPJP-P-2015-146475 2015-07-24
JP2015146475A JP5858413B1 (ja) 2015-01-30 2015-07-24 剥離開封包装体、及び剥離開封包装体の開封構造
PCT/JP2016/051545 WO2016121594A1 (ja) 2015-01-30 2016-01-20 剥離開封包装体、及び剥離開封包装体の開封構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546A Division KR20170104572A (ko) 2015-01-30 2016-01-20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609A KR20190073609A (ko) 2019-06-26
KR102103915B1 true KR102103915B1 (ko) 2020-04-24

Family

ID=553010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636A KR102103915B1 (ko) 2015-01-30 2016-01-20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
KR1020177022546A KR20170104572A (ko) 2015-01-30 2016-01-20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546A KR20170104572A (ko) 2015-01-30 2016-01-20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61962B2 (ko)
EP (1) EP3287390B1 (ko)
JP (1) JP5858413B1 (ko)
KR (2) KR102103915B1 (ko)
CN (1) CN107207143B (ko)
AU (1) AU2016213482B9 (ko)
BR (1) BR112017016317B1 (ko)
CA (1) CA2975368C (ko)
WO (1) WO2016121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8006447B1 (pt) 2016-08-03 2022-11-01 Future Labo Co., Ltd Embalagem com abertura por flexão, método para fabricar uma embalagem com abertura por flexão
JP6611265B2 (ja) * 2017-03-30 2019-11-27 株式会社フューチャーラボ 折曲げ開封包装体
JP6624741B2 (ja) * 2017-03-30 2019-12-25 株式会社フューチャーラボ 折曲げ開封包装体
IT201700149752A1 (it) * 2018-01-09 2019-07-09 V Shapes S R L Confezione sigillata monodose con apertura a rottura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ES2914796T3 (es) * 2018-01-09 2022-06-16 V Shapes S R L Envase de una sola dosis precintado de apertura por rotura
IT201800008130A1 (it) * 2018-08-20 2020-02-20 Easysnap Tech Srl Confezione sigillata con apertura a rottura e corrispondente metodo di produzione
IT201900001235A1 (it) * 2019-01-28 2020-07-28 V Shapes S R L Confezione monodose
IT201900009036A1 (it) * 2019-06-14 2020-12-14 V Shapes S R L Confezione sigillata monodose con apertura a rottura, dispositivo e metodo di realizzazione
ES2915250T3 (es) * 2020-01-15 2022-06-21 Becton Dickinson France Embalaje para dispositivos médicos
EP3935932A1 (de) * 2020-07-07 2022-01-12 Andreas Stihl AG & Co. KG Schneidmesser für einen schneidkopf und schneidkopf für eine motorsense
GB2602648A (en) * 2021-01-07 2022-07-13 Origin Packaging Ltd Child Resistant Packaging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Product
EP4242117A1 (en) * 2022-03-11 2023-09-13 Ulma Packaging, S.Coop. Control method for a packaging machine and associated packaging machine
WO2023170320A1 (es) * 2022-03-11 2023-09-14 ULMA Packaging, S.Coop. Método de control para una máquina de envasado y máquina de envasado asociad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3977A (zh) * 2010-05-03 2011-11-09 卡夫食品环球品牌有限责任公司 泡罩包装
JP2014198601A (ja) * 2013-03-14 2014-10-23 株式会社開伸 破断開封構造、破断開封包装体、及び破断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6640A (en) 1973-08-20 1976-10-19 Sanford Redmond Package for a flowable product and material for making such package
JPS5126197A (ja) * 1974-08-20 1976-03-03 Redmond Sanford Ryudoseizairyoyohosotai
JPS5536552A (en) 1978-09-05 1980-03-14 Nankai Puraiutsudo Kk Method of fitting heattinsulating ceiling board
NZ313329A (en) * 1995-08-04 1999-10-28 Thornton Investments Ltd Sachet with rigid layer fracturable at controlled position for release of contents
JP2004500283A (ja) * 1999-09-02 2004-01-08 スナップ・パク・インダストリーズ・(エーユーエスティ)・ピーティワイ・リミテッド 曲げによって取出を行う小容器ならびに小容器製造方法
EP2205505B1 (en) * 2007-09-24 2011-09-21 Diapack Limited Break-open single-dose sealed package
GB0911823D0 (en) 2009-07-08 2009-08-19 Cadbury Uk Ltd Packaging
EP2470443A2 (en) * 2009-08-30 2012-07-04 Aktivpak, Inc. Dispensing device incorporating frangible section, along with dispensing method
EP2698326B1 (en) * 2011-04-15 2017-08-23 Blisspack Co., Ltd Blister packing container capable of resealing
GB201201516D0 (en) * 2012-01-30 2012-03-14 Cadbury Uk Ltd Packaging and method of packag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3977A (zh) * 2010-05-03 2011-11-09 卡夫食品环球品牌有限责任公司 泡罩包装
JP2014198601A (ja) * 2013-03-14 2014-10-23 株式会社開伸 破断開封構造、破断開封包装体、及び破断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16317B1 (pt) 2021-10-26
EP3287390A1 (en) 2018-02-28
US20170320649A1 (en) 2017-11-09
AU2016213482B2 (en) 2019-06-06
KR20170104572A (ko) 2017-09-15
EP3287390A4 (en) 2019-01-02
WO2016121594A1 (ja) 2016-08-04
US10661962B2 (en) 2020-05-26
JP5858413B1 (ja) 2016-02-10
CN107207143A (zh) 2017-09-26
KR20190073609A (ko) 2019-06-26
JP2016145076A (ja) 2016-08-12
AU2016213482B9 (en) 2019-08-22
CN107207143B (zh) 2019-06-07
AU2016213482A1 (en) 2017-08-17
CA2975368A1 (en) 2016-08-04
BR112017016317A2 (pt) 2018-06-12
EP3287390B1 (en) 2020-04-29
CA2975368C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915B1 (ko) 박리 개봉 포장체, 및 박리 개봉 포장체의 개봉구조
JP2002225930A (ja) 包装体
WO2018025917A1 (ja) 折曲げ開封包装体及び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GB2543264A (en) Package
JP5383107B2 (ja) ストリップ包装体、及びこれを備えた支持体付包装体
JP4292200B2 (ja) 貼付具として使用される一次包装
KR101966537B1 (ko) 마스크팩용 포장재
JP6569943B2 (ja) 折曲げ開封包装体、及び折曲げ開封包装体の開封構造
JP6172826B1 (ja) 折曲げ開封包装体及び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US3901000A (en) Method for sealing blister packages for easy opening
JP4982268B2 (ja) フィルム包装体
SG189570A1 (en) Packaging material, package produced therefro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ackage
JP6042953B1 (ja) 折り曲げ開封包装体
US11167901B2 (en) Flexible resealable packages
JP3131745B2 (ja) ブリスターパック容器
JPH0646312Y2 (ja) 包装材
JP2010111416A (ja) 食品包装体
JP5728713B2 (ja) ブリスター容器
JP2013173552A (ja) 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
JP6260035B1 (ja) 折曲げ開封包装体及び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JP2021020687A (ja) ボトル用首掛け袋
JP2020138756A (ja) 包装袋
JP2019196193A (ja) 折り曲げ開封包装体ならびに折り曲げ開封構造
WO2018038727A1 (en) Interconnected packages of disposable personal care articles
JP2018079965A (ja) 易開封包装体、易開封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