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118B1 -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118B1
KR102103118B1 KR1020190133916A KR20190133916A KR102103118B1 KR 102103118 B1 KR102103118 B1 KR 102103118B1 KR 1020190133916 A KR1020190133916 A KR 1020190133916A KR 20190133916 A KR20190133916 A KR 20190133916A KR 102103118 B1 KR102103118 B1 KR 10210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cylindrical
port
bar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연
Original Assignee
조종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종연 filed Critical 조종연
Priority to KR102019013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저면에 일체로 상면은 만곡지고 바닥은 평면(22)을 이루며 가열원과 접하는 원판체(20)와,
양단의 수직벽(11,12)에 형성한 회전축공(13,14)을 지지하는 포트손잡이(30,30')를 부가하고,
반원통 호형부(15)와, 호형부(15) 상단에서 수직벽 형태로 연장된 직선부(16)로 이루어지는 상부개방형 반원통형 포트(10);
회전축공(13,14)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회전축(41,42), 회전축(41,42)의 포트 수직벽(11,12)과 나란하게 절곡되고 포트의 호형부(15)의 반경 길이를 가지는 절곡바(43), 절곡바(43) 양단을 이어주는 경사바(45)로 이루어지며, 회전축공(13,14)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어 반원통 포트(10)의 호형부(15)내경을 따라 회전하는 믹스바(40);
일단의 포트손잡이(30) 외부에 설치되며 믹스바(40)의 회전축(4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조절기(50); 및
상부개방형 반원통형포트(10)의 직선부(16) 상단테두리를 덮으며 뒤집으면 접시로 사용한 볼록 평면(62)을 가지는 유리뚜껑(60)을 포함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Portable cooking equipment as semicylinder shape}
본 발명은 반원통형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반원통체를 사용하는 조리기는 미국특허5050490호나 미국공개특허2008/0163865호와 같이 반원통체의 상면 측벽에 회전체를 끼우고 다른 측벽은 분리 가능한 장공이 있는 형태의 반원통체와, 이를 받치며 열을 공급하는 받침대와, 이를 덮는 뚜겅의 형태로 이루어지나, 미국특허5050490호는 받침대의 크기가 커져서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미국공개특허2008/0163865호는 받침대가 사각 받침대 형상이라 작기는 하나 주로 꼬치구이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용도로 개발된 것으로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바닥이 평편한 전기레인지 같은 열원이 주류를 이루는데 이러한 상면이 평편한 열원에는 반원통체의 특성상 수평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2019-005429호와 같이 반원통체를 전열받침대에 고정시키고, 반원통체에는 회전날개를 설치하여 조리물을 움직여주는 구조로 이루어지나, 전열받침대가 반원통체에 열을 전부 가하기 위하여 전열선의 면적이 증가되어 대용량의 조리에 적합하며, 휴대용으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원통형포트의 외부 저면에 원판체를 일체로하여 상부개방형 반원통포트를 세울 수 있음과 동시에 가스나 전기레인지등의 열원을 공급받도록 하여 휴대용 조리기를 구현 가능토록 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원통형포트의 양단을 막는 수직벽 각각에 포트손잡이를 부가하고, 하나의 포트손잡이에서는 동력을 절달하고, 다른 하나의 포트손잡이에서는 회전축을 분리 및 결합하는 회전축공을 두고, 양 회전축공에서 회전하며 반원통형포트의 내부 바닥을 따라 회전하는 경사바를 가지는 믹스바를 두어 조리물이 타지지 않도록 하거나 지속적으로 저어주는 일이 필요한 죽이나, 볶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원통형포트의 양단을 막는 수직벽 각각에 포트손잡이를 부가하고, 하나의 포트손잡이에서는 동력을 절달하고, 다른 하나의 포트손잡이에서는 회전축을 분리 및 결합하는 회전축공을 두고, 양 회전축공에서 회전하며 반원통형포트의 내부 바닥을 따라 회전하는 경사바를 가지는 믹스바를 두고, 반원통형포트의 외부 중앙에 평면은 믹스바의 경사바가 회전하는 방향측의 높이(H2)가 회전을 지나온 방향측 높이(H1) 보다 높도록 구성하여 반원통형포트의 호형부의 일측 호형면이 다른측 보다 위로 올라가 조리물이 경사바에서 잘 분리되도록 경사를 이룬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은 외부 저면에 일체로 상면은 만곡지고 바닥은 평면을 이루며 가열원과 접하는 원판체와, 양단의 수직벽에 형성한 회전축공을 지지하는 포트손잡이를 부가하고,
반원통 호형부와, 호형부 상단에서 수직벽 형태로 연장된 직선부로 이루어지는 상부개방형 반원통형 포트;
회전축공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포트 수직벽과 나란하게 절곡되고 포트의 호형부의 반경 길이를 가지는 절곡바, 절곡바 양단을 이어주는 경사바로 이루어지며, 회전축공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어 반원통 포트의 호형부 내경을 따라 회전하는 믹스바;
일단의 포트손잡이 외부에 설치되며 믹스바의 회전축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조절기; 및
상부개방형 반원통형포트의 직선부 상단테두리를 덮으며 뒤집으면 접시로 사용한 볼록 평면을 가지는 유리뚜껑을 포함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반원통형포트의 외부 저면에 원판체를 일체로하여 상부개방형 반원통포트릴 세울 수 있음과 동시에 가스나 전기레인지등의 열원을 공급받도록 하여 휴대용 조리기를 구현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반원통형포트의 양단을 막는 수직벽 각각에 포트손잡이를 부가하고, 하나의 포트손잡이에서는 동력을 절달하고, 다른 하나의 포트손잡이에서는 회전축을 분리 및 결합하는 회전축공을 두고, 양 회전축공에서 회전하며 반원통형포트의 내부 바닥을 따라 회전하는 경사바를 가지는 믹스바를 두어 조리물이 타지지 않도록 하거나 지속적으로 저어주는 일이 필요한 죽이나, 볶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반원통형포트의 양단을 막는 수직벽 각각에 포트손잡이를 부가하고, 하나의 포트손잡이에서는 동력을 절달하고, 다른 하나의 포트손잡이에서는 회전축을 분리 및 결합하는 회전축공을 두고, 양 회전축공에서 회전하며 반원통형포트의 내부 바닥을 따라 회전하는 경사바를 가지는 믹스바를 두고, 반원통형포트의 외부 중앙에 평면은 믹스바의 경사바가 회전하는 방향측의 높이(H2)가 회전을 지나온 방향측 높이(H1) 보다 높도록 구성하여 반원통형포트의 호형부의 일측 호형면이 다른측 보다 위로 올라가 조리물이 경사바에서 잘 분리되도록 경사를 이루어 조리효율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면이 나타나도록 세운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축공막음판이 일부 보이는 사시도,
도 8 (a)는 회전축이 막힌상태, (b)는 회전축이 열린 상태를 보인 본 발명의 조절기 결합 원리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절기 결합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첨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외부 저면에 일체로 상면은 만곡지고 바닥은 평면(22)을 이루며 가열원과 접하는 원판체(20)와,
양단의 수직벽(11,12)에 형성한 회전축공(13,14)을 지지하는 포트손잡이(30,30')를 부가하고,
반원통 호형부(15)와, 호형부(15) 상단에서 수직벽 형태로 연장된 직선부(16)로 이루어지는 상부개방형 반원통형 포트(10);
회전축공(13,14)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회전축(41,42), 회전축(41,42)의 포트 수직벽(11,12)과 나란하게 절곡되고 포트의 호형부(15)의 반경 길이를 가지는 절곡바(43), 절곡바(43) 양단을 이어주는 경사바(45)로 이루어지며, 회전축공(13,14)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어 반원통 포트(10)의 호형부(15)내경을 따라 회전하는 믹스바(40);
일단의 포트손잡이(30) 외부에 설치되며 믹스바(40)의 회전축(4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조절기(50); 및
상부개방형 반원통형포트(10)의 직선부(16) 상단테두리를 덮으며 뒤집으면 접시로 사용한 볼록 평면(62)을 가지는 유리뚜껑(6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경사바(45)는 절곡바(43)의 회전하는 면에 대하여 60~80도 경사를 이루어 조리물의 뒤집음을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절기(50)에는 선단부 하단에 키돌기(52)를, 조절기(50)를 분리 및 결합하는 포트손잡이(30)에는 상시 키돌기(52) 삽입용 삽입홈(32)과, 삽입홈(32)의 내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키홈(34)을 형성한다.
상기, 조절기 반대편 포트손잡이(30')와 대응 수직벽(11) 사이에는 회전축공(13) 및 회전축(41)을 개폐하는 회전축공 막음판(35)이 부가되고, 회전축공 막음판(35)에는 회전축(41) 고정 및 막음용 L형축장공(36)과, 손가락으로 개폐를 구동하기 위한 방향이동바(37)(37')와, 포트손잡이(30')에 부가한 안내핀(38)을 따라 안내되는 슬릿 형태의 안내공(39)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기는 안내핀(38)과 L형안내공(39)은 일조로 상하 2개소에 형성하면 회전축공 막음판(35)의 요동없는 이동을 가능토록 한다.
상기, 포트손잡이(30')에는 회전축이 분리 및 결합되며 회전축공(13)과 통하는 축장공(36)이 형성되며 장공하면에 끼워 지지되는 회전축(41)에는 길이방향 요동을 방지하는 소경부(41-1)를 이루며, 회전축(41) 외측단에는 손잡이(46)를 부가한다.
상기, 포트손잡이(30,30')상면은 유리뚜껑(60) 테두리를 손가락으로 잡을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홈(31)을 오목하게 형성한다.
상기, 반원통형포트(10)의 일 수직벽(11) 하단에는 개폐 가능한 기름배출공(17)을 형성하고, 대응 호형부(15) 외벽에는 직각으로 펼침과 접힘이 가능한 기름수거안내판(70)이 부가되며,
기름수거안내판(70)은 호형부(15) 외벽에 부가된 힌지핀(19)과 힌지 결합하는 힌지공(72)과,
기름을 수거하는 호형판(74)과, 호형판(74)이 접힘시 펼치도록 호형판(74)과 직각으로 짧게 돌출한 푸시판(76)으로 이루어지고,
푸시판(76)은 고정돌기(77)에 닿아 펼침 및 접힘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돌기(77)는 직각삼각형태로 직각 양측면에서 푸시판(76)이 펼칠때와 접힘시 각각 닿아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호형판(74)의 연장선과 직각을 이룬 푸시판의 만나는 지점에 힌지핀(19)과 힌지결합하는 힌지공(72)을 형성한다.
상기, 절곡바(43)와 경사바(45)에는 바닥손상 방지용 실리콘층(47)이 도포된다.
상기, 평면(22)은 믹스바(40)의 경사바(45)가 회전하는 방향측의 높이(H2)가 회전을 지나온 방향측 높이(H1) 보다 높도록 구성하여 반원통형포트(10)의 호형부(15)의 일측 호형면이 다른측 보다 위로 올라가도록 경사를 이룬다.
이를 사용할 때에는 도 9 와 같이 반원통포트(10)에 부가된 포트손잡이(30)의 삽입홈(32)에 조절기(50)의 키돌기(52)를 결합하여 안으로 정지될 때 까지 끼워넣는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키돌기(52)가 키홈(52)에 결합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이어 도 7 및 도 5 와 같이 믹스바(40)의 회전축(42)을 조절기(50)의 회전축(54)과 동력 전달 및 분리 가능토록 결합한다(결합수단의 도시는 암수결합, 기어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가능하므로 분리가능토록 결합한다고만 언급한다).
이 경우 믹스바(40)의 회전축(42)을 조절기(50)의 회전축(54)과 결합한 다음, 포트손잡이(30')와 반원통포트(10)의 수직벽(11) 사이에 안치되는 회전축공막음판(35)은 도 8의 (b)와 같이 L형 축장공(36)으로 회전축(41)이 삽입되도록 하고, 도 7에 보인 이동바통공(37a,37b)로 노출된 방향이동바(37,37')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도 9의 (a) 상태로 이동시키면 도 7 상태로 회전축막음판(35)이 노출되었던 회전축공(13)을 막아주어 조리물의 이탈을 막아준다. 동시에 회전축(41)의 이탈도 막아준다.
아울러 회전축(41)에는 직경이 작아진 소경부(41-1)가 있고, 대응 포트손잡이(30')에는 회전축(41)이 삽입되는 상부 개방형 삽입통공(39b)이 있고, 삽입통공받(39b)의 바닥에는 직경이 작아져서 소경부(41-1)가 자전 가능토록 끼움결합하는 소경홈(39a)을 이루므로 도 5에 보인바와 같이 좌우 요동없이 믹스바(40)가 회전하게된다.
이 상태에서 반원통형포트(10)에 조리물을 넣고 가열원(가스레인지나 전기레인지)을 통하여 열을 가하면서 믹스바(40)를 조절기(50)의 회전력을 받아(회전력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 누름으로 가능하고 필요시 바테리 등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은 알려진 기술이므로, 작동 자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믹스바(4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본 발명은 열판체(20)를 믹스바(40) 회전방향측의 높이(H2)가 회전을 지난 측의 높이(H1)보다 높도록 하는 것이 좋은바, 실제로 원판체(20)의 표면 경사가 0.5 내지 2도 경사지게 하면 그 각도(9도 6의 각도(∂1))만큼 호형부(15) 위치가 상승하고(각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높이(H1)부위가 올라간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바닥에 닿게도므로 내려가도 높이(H2)부위가 올라간 상태로 사용한다), 이는 조리물이 상승하다가 상승한 만큼 경사바(45)가 수직 상태를 이루므로 묻어잇던 조리물이 잘 분리되어 낙하가 잘되도록 기능하고 조리물이 조리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한다. 여기서 0.5도 미만의 각도는 조리성능에 영향이 없고, 2도를 넘으면 그 효과에 차이가 없고, 반원통형포트(10)를 지탱하는 지지력이 약해진다.
또한 경사바(45)는 절곡바(43)와 예각 부분으로 접하는 도 6에 보인 부위(p)가 60내지 80도 바람직하기는 70도 경사를 이루는 것이 좋은바, 60도 미만이면 조리물과의 마찰력이 증대되고, 80도를 초과하면 뒤집음성이 저하된다. 아울러 경사바(45) 및 절곡바(43)에는 실리콘층(47)을 도포하여 반원통형포트(10)의 호형부(15) 내면의 손상을 막아주고 내구성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을 구이기로 사용할 때는 통상 개페밸브(18)를 막고 사용하다가 이를 당겨 열고 도 4 에 보인 점선 상태의 접힌 호형판(74)과 일체로 된 노출된 푸시판(76)을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밀면 도 4 와 같이 호형판(74)이 노출된다. 이를 사용하지 않을 시는 화살표방향으로 힌지핀(19)을 중심으로 힌지공(72)이 기름수거안내판(70)을 점선상태로 접어 조리시 걸리지 않도록 한다.
구이기로 사용시 도 4의 실선과 같이 호형판(74)이 노출되면, 개폐밸브(18)을 통한 기름이 호형판(74)을 타고 안내되며, 도시하지 않는 기름수거용기로 모아 버리면 된다. 이 경우 고정돌기(77)의 일 직각 삼각변과 푸시판(76)이 도 4 의 실선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하며, 고정돌기(77)의 다른 직각 삼각변은 푸시판(76)이 도 4의 점선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이렇게 조리한 후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조절기(50)의 전원스위치(SW)를 오프시켜 믹스바(40)의 회전을 멈춘 다음 유리뚜껑(60)을 포트손잡이(30,30')의 손잡이홈(31) 부분으로 손가락을 넣어 들고 뒵집어 볼록평면(62)이 바닥에 오도록 한 다음 반원통형포트(10)의 조리물을 국자로 뜨거나 부어서 먹으면 된다.
세척을 위하여는 도 7에 보인 방향이동바(37,37')를 우측으로 밀면 이동바통공(37a, 37b)의 공간 만큼 하게 된다. 이는 도 8의 (a) 상태에서 (b) 상태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회전축공막음판(35)의 L형축장공(36)의 수직홈부위와 회전축공(13)이 동시에 개방되는 것이므로 손잡이(46)를 잡고 위로 들어내면서 도 5 에 보인 회전축(42) 부분이 조절기(50)의 회전축(54)과 동력전달이 분리되도록 당겨 준다. 그러면 분리된 믹스바(40)를 세척하면 된다.
10;반원통형포트 11,12;수직벽 13,14;회전축공 15;호형부 16;직선부 16a;증기배출구 17;기름배출공 18;개폐밸브 19;힌지핀
20;원판체 22;평면
30,30‘포트손잡이 31;손잡이홈 32;삽입홈 34;키홈 35;회전축공막음판 36;축장공 37, 37';방향이동바 37a, 37b;이동바통공 38;안내핀 39;안내공
40;믹스바 41,42;회전축 41-1;소경부 43;절곡바 45;경사바 46;손잡이 47;실리콘층
50;조절기 52;키돌기 54;회전축
60;유리뚜껑 62;볼록평면
70;기름수거안내판 72;힌지공 74;호형판 76;푸시판 77;고정돌기

Claims (9)

  1. 외부 저면에 일체로 상면은 만곡지고 바닥은 평면(22)을 이루며 가열원과 접하는 원판체(20)와,
    양단의 수직벽(11,12)에 형성한 회전축공(13,14)을 지지하는 포트손잡이(30,30')를 부가하고,
    반원통 호형부(15)와, 호형부(15) 상단에서 수직벽 형태로 연장된 직선부(16)로 이루어지는 상부개방형 반원통형 포트(10);
    회전축공(13,14)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는 회전축(41,42), 회전축(41,42)의 포트 수직벽(11,12)과 나란하게 절곡되고 포트의 호형부(15)의 반경 길이를 가지는 절곡바(43), 절곡바(43) 양단을 이어주는 경사바(45)로 이루어지며, 회전축공(13,14)에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어 반원통 포트(10)의 호형부(15)내경을 따라 회전하는 믹스바(40);
    일단의 포트손잡이(30) 외부에 설치되며 믹스바(40)의 회전축(4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조절기(50); 및
    상부개방형 반원통형포트(10)의 직선부(16) 상단테두리를 덮으며 뒤집으면 접시로 사용한 볼록 평면(62)을 가지는 유리뚜껑(60)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기(50)에는 선단부 하단에 키돌기(52)를, 조절기(50)를 분리 및 결합하는 포트손잡이(30)에는 상시 키돌기(52) 삽입용 삽입홈(32)과, 삽입홈(32)의 내단에 직각으로 연장된 키홈(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경사바(45)는 절곡바(43)의 회전하는 면에 대하여 60~80도 경사를 이루어 조리물의 뒤집음을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조절기 반대편 포트손잡이(30')와 대응 수직벽(11) 사이에는 회전축공(13) 및 회전축(41)을 개폐하는 회전축공 막음판(35)이 부가되고, 회전축공 막음판(35)에는 회전축(41) 고정 및 막음용 L형축장공(36)과, 손가락으로 개폐를 구동하기 위한 방향이동바(37)(37')와, 포트손잡이(30')에 부가한 안내핀(38)을 따라 안내되는 슬릿 형태의 안내공(39)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포트손잡이(30')에는 회전축이 분리 및 결합되며 회전축공(13)과 통하는 축장공(36)이 형성되며 장공하면에 끼워 지지되는 회전축(41)에는 길이방향 요동을 방지하는 소경부(41-1)를 이루며, 회전축(41) 외측단에는 손잡이(46)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포트손잡이(30,30')상면은 유리뚜껑(60) 테두리를 손가락으로 잡을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홈(31)을 오목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7. 제 1항에 있어서, 반원통형포트(10)의 일 수직벽(11) 하단에는 개폐 가능한 기름배출공(17)을 형성하고, 대응 호형부(15) 외벽에는 직각으로 펼침과 접힘이 가능한 기름수거안내판(70)이 부가되며,
    기름수거안내판(70)은 호형부(15) 외벽에 부가된 힌지핀(19)과 힌지 결합하는 힌지공(72)과,
    기름을 수거하는 호형판(74)과, 호형판(74)이 접힘시 펼치도록 호형판(74)과 직각으로 짧게 돌출한 푸시판(76)으로 이루어지고,
    푸시판(76)은 고정돌기(77)에 닿아 펼침 및 접힘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돌기(77)는 직각삼각 형태로 직각 양측변에서 푸시판(76)이 펼칠때와 접힘시 각각 닿아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호형판(74)의 절곡측 연장선과 푸시판이 만나는 지점에 힌지핀(19)과 힌지결합하는 힌지공(72)을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8. 제 1항에 있어서, 절곡바(43)와 경사바(45)에는 바닥손상 방지용 실리콘층(47)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9. 제 1항에 있어서, 평면(22)은 믹스바(40)의 경사바(45)가 회전하는 방향측의 높이(H2)가 회전을 지나온 방향측 높이(H1) 보다 높도록 구성하여 반원통형포트(10)의 호형부(15)의 일측 호형면이 다른측 보다 위로 올라가도록 경사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KR1020190133916A 2019-10-25 2019-10-25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KR102103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916A KR102103118B1 (ko) 2019-10-25 2019-10-25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916A KR102103118B1 (ko) 2019-10-25 2019-10-25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118B1 true KR102103118B1 (ko) 2020-05-29

Family

ID=7091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916A KR102103118B1 (ko) 2019-10-25 2019-10-25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1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860B1 (ko) * 2020-07-21 2020-11-17 주식회사 헨즈 반원통 유자형 포트에 왕복 회전바를 가지는 자동 뒤집음 오븐 조리기
KR20210150713A (ko) * 2020-06-04 2021-12-13 김은진 초벌 구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082U (ko) * 1989-11-15 1991-07-25
JP2002058592A (ja) * 2000-08-21 2002-02-26 Maeda Shigeo 調理容器
US20080163865A1 (en) * 2007-01-10 2008-07-10 Wei-Teh Ho Portable Folding Roaster
KR20100122631A (ko) * 2009-05-13 2010-11-23 김행춘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KR20170133136A (ko) * 2016-05-25 2017-12-05 장기풍 드럼내장형 국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4082U (ko) * 1989-11-15 1991-07-25
JP2002058592A (ja) * 2000-08-21 2002-02-26 Maeda Shigeo 調理容器
US20080163865A1 (en) * 2007-01-10 2008-07-10 Wei-Teh Ho Portable Folding Roaster
KR20100122631A (ko) * 2009-05-13 2010-11-23 김행춘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KR20170133136A (ko) * 2016-05-25 2017-12-05 장기풍 드럼내장형 국솥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4082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713A (ko) * 2020-06-04 2021-12-13 김은진 초벌 구이 장치
KR102469309B1 (ko) * 2020-06-04 2022-11-18 김은진 초벌 구이 장치
KR102179860B1 (ko) * 2020-07-21 2020-11-17 주식회사 헨즈 반원통 유자형 포트에 왕복 회전바를 가지는 자동 뒤집음 오븐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118B1 (ko) 휴대용 반원통형 조리기
RU2699272C1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US8210737B2 (en) Food preparation method
JP2018057912A (ja) ドラム式調理器
WO2018072762A1 (zh) 一种智能烹调机及其烹调方法、盛菜方法
JP2010104499A (ja) 加熱装置
KR102130727B1 (ko) 자동 회전 조리 용기
JP2011240008A (ja) 蓋付グリドル
KR102158979B1 (ko) 반원통형 왕복 뒤집음 휴대용 조리기
KR102193411B1 (ko) 기름배출이 가능한 경사진 볶음기
KR200167527Y1 (ko) 가스레인지용 그릴도아의 구조
JP4430640B2 (ja) ミキサー装置の攪拌容器保持スタンド
KR102234080B1 (ko) 측벽이 경사지고 뚜껑이 경사진 조리기
KR102035943B1 (ko) 회전드럼식 조리기
CN217408501U (zh) 一种咖啡机及其水箱
KR101394170B1 (ko) 기름유출방지 양면 프라이팬
CN219126042U (zh) 一种锅盖及带有该锅盖的汤锅
KR200359427Y1 (ko) 휴대용 숯불구이기
JP2004175359A (ja) 飲用容器
CN213940450U (zh) 翻炒机构及烹饪电器
JP3594592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S5817605B2 (ja) ジュ−ス撹拌装置付ジュ−サ
JPH08243014A (ja) 断熱調理容器
CN209863321U (zh) 一种炒菜机及其弹出装置
KR100402586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