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085B1 - 자동 조리기 - Google Patents

자동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085B1
KR102103085B1 KR1020180145963A KR20180145963A KR102103085B1 KR 102103085 B1 KR102103085 B1 KR 102103085B1 KR 1020180145963 A KR1020180145963 A KR 1020180145963A KR 20180145963 A KR20180145963 A KR 20180145963A KR 102103085 B1 KR102103085 B1 KR 10210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n
arm
uni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관
Original Assignee
윤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관 filed Critical 윤명관
Priority to KR102018014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27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for wok pans and wok pans supports for induction cooking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요리 재료를 자동으로 뒤섞어 요리 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골고루 익게 하는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인덕션부(Induction Part), 제 1 모터부(First Motor Part) 및 상기 인덕션부의 테두리의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Rotating Part)를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회전부에 걸치도록 배치되는 팬(Pan),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외곽에 배치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지지부(Supporting Part), 상기 지지부에 스윙(Swing)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2 모터부(Second Motor Part)를 포함하는 스윙부(Swing Part), 상기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암부(Arm Part) 및 상기 암부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팬의 조리 공간에 대응되는 주걱부(Paddle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조리기{AUTOMATIC COOKWARE}
본 발명은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요리 재료를 자동으로 뒤섞어 요리 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골고루 익게 하는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볶음요리는 다양한 재료들이 혼합되어 프라이 팬이나 솥 등에 투입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과 교반을 행하면서 적절히 볶아야 완성도가 높은 볶음요리가 제작된다.
예를 들어, 소, 돼지, 닭과 같은 가축의 육(肉)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가축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부산물들을 이용한 볶음 요리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열을 골고루 육류 및 부산물들에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가 항상 조리대 앞에서 볶음 요리용 재료들을 섞는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요리 외에 다른 일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력의 조절을 볶음 요리가 완성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조절이 이루어져야만 하는데, 이 경우에도 경험이 많은 숙련자는 화력을 일일이 조절하면서 요리 가능하지만 경험이 적은 미숙련자는 화력조절이 미숙하여 볶음 재료들을 태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2631호(문헌 1)에서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볶음 통과, 볶음 통에 수용되는 음식물이 골고루 교반되도록 하는 교반날개와, 볶음 통으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와, 볶음 통의 하부에 형성되며, 볶음 통으로 열을 발산하는 발열부와, 발열부와 구동모터가 결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수단 및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시간과, 발열부의 발열온도 및 발열시간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였다.
그러나 문헌 1에서는 자동 볶음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 및 이들의 결합관계가 복잡하여 제조원가 및 유지 보수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볶음 통의 내부에서 조리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볶음 요리의 재료들의 볶음 정도를 확인할 수 없어 고품질의 볶음 요리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1832호(문헌 2)에서는 볶음팬을 자동으로 상하로 흔들어 요리 재료를 섞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2에서는 볶음팬 자체를 흔들어야 하기 때문에 요리 재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해야 하고, 이로 인해 구조와 구동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8176호(문헌 3)에서는 볶음용 솥의 밑바닥에 교반날개를 밀착시킨 후, 교반날개를 회전시켜 요리 재료(춘장)가 타서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3에서는 요리 재료를 충분히 뒤섞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2631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1832호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8176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요리 재료를 효과적으로 뒤섞을 수 있는 자동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인덕션부(Induction Part), 제 1 모터부(First Motor Part) 및 상기 인덕션부의 테두리의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Rotating Part)를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회전부에 걸치도록 배치되는 팬(Pan),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외곽에 배치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지지부(Supporting Part), 상기 지지부에 스윙(Swing)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2 모터부(Second Motor Part)를 포함하는 스윙부(Swing Part), 상기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암부(Arm Part) 및 상기 암부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팬의 조리 공간에 대응되는 주걱부(Paddle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션부는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고, 상기 인덕션부의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인덕션부의 상기 테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Upper Surface)으로부터 제 1 깊이(First Depth) 만큼 함몰된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는 고리(Ring) 형태를 갖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수직방향으로의 단면은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Vertical Part) 및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Horizontal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평부에 대응되는 롤러부(Roller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의 외측면(Outer Side Surface)에는 상기 제 1 모터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의 하면(Lower Surface)에는 상기 회전부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팬의 하면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수평부에 대응되고, 상기 팬이 상기 회전부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팬은 상기 인덕션부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부는 상기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1 암(First Arm) 및 상기 제 1 암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암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암(Second Arm)을 포함하고, 상기 주걱부는 상기 제 2 암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3 플레이트(Third Plate)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가이드 바(Guide Ba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의 각도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3 플레이트 사이의 각도는 둔각이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가 상기 팬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팬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스윙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팬의 조리 공간에 대응되는 긁개(Scraper) 및 상기 긁개가 상기 팬에 밀착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 1 스프링부(First Spring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긁개에서 상기 팬의 조리 공간에 대응되는 영역을 긁음 영역이라 할 때, 상기 긁음 영역에서의 상기 긁개의 끝단의 높이는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윙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방으로 힘을 가해 상기 스윙부를 지탱하는 제 2 스프링부(Second Spring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제 1 연장부(First Extended Part)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Second Extended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에는 상기 제 2 스프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Insert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프링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연결홀(Connection Hole)을 관통하여 상기 스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걱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팬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연장부는 상기 제 2 스프링부의 타측에 걸쳐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자동으로 요리 재료를 효과적으로 뒤섞음으로써, 요리 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요래 재료가 골고루 익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요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일손을 줄여 요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베이스부 및 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9는 뒤집개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암부 및 주걱부의 변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5는 자동 조리기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베이스부(Base Part, 10), 팬(Pan, 20), 지지부(Supporting Part, 30) 및 뒤집개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0)는 인덕션부(Induction Part, 미도시), 제 1 모터부(First Motor Part, 미도시) 및 회전부(Rotating Part, 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부는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덕션부는 인덕터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그 내부에서 전기 전류가 유도되고, 유도된 전기 전류에 의해 인덕션부에 올려진 팬(20)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덕션부는 팬(20)의 하부에 위치하고, 팬(20)의 형태에 따라 오목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인덕션부는 이후의 도면 및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수 있다.
인덕션부의 동작은 이미 널리 공지되었기 때문에 인덕션부의 구동 및 동작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제 1 모터부는 회전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모터부는 베이스부(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모터부는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회전부(110)는 인덕션부의 테두리의 외곽에 배치되며 제 1 모터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10)는 인덕션부의 전원 온/오프, 인덕션부의 온도, 제 1 모터부의 회전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부(Driver,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는 적어도 제 1 모터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 레버(130) 및 인덕션부의 제어 패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덕션부의 제어 패널(140)을 이용하여 인덕션부의 온도를 제어하고, 인덕션부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팬(20)은 인덕션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팬(20)은 회전부(110)에 걸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팬(20)은 요리 재료를 담고, 요리 재료를 익히는 기구일 수 있다.
이러한 팬(20)은 인덕션부에 의해 가열되고, 회전부(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팬(20)의 형태 및 사이즈는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20)은 프라이팬과 같이 평평한 형태, 가마솥과 같이 오목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뒤집개부(90)가 효과적으로 동작하고, 회전부(110)에 의해 효과적으로 회전하기 위해서 팬(20)은 바닥이 오목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팬(20)을 '웍' 또는 '솥'이라고 칭할 수 있다.
지지부(30)는 베이스부(10)에 배치되며, 뒤집개부(90)를 지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지지부(30)는 베이스부(10)에서 회전부(110)의 외곽에 배치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DRV)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30)에 연결되는 뒤집개부(90)는 스윙부(Swing Part, 40), 암부(Arm Part, 50) 및 주걱부(Paddle Part, 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윙부(40)는 지지부(30)에 스윙(Swing)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2 모터부(Second Motor Par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모터부는 스윙부(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력을 암부(50)로 전달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암부(50)는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될 수 있다.
주걱부(60)는 암부(50)의 끝단에 연결되고,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팬(20)의 조리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주걱부(60)는, 조리 시에, 팬(20)에 담긴 요리 재료를 뒤집어 섞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자동 조리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 내지 도 9는 베이스 및 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베이스부(10)에 포함된 인덕션부(100)는, 팬(20)의 형태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고,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DRH)으로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회전부(110)는 인덕션부(100)의 테두리의 외곽에 배치되고, 팬(20)은 회전부(110)에 걸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10)는 고리(Ring)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부(110)의 수직방향(DRV)으로의 자른 단면을 보면, 수직방향(DRV)으로 연장되는 수직부(Vertical Part, 112) 및 수직부(112)의 끝단으로부터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는 수평부(Horizontal Part, 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부(100)의 테두리는, 도 4와 같이, 베이스부(10)의 상면(Upper Surface, US)으로부터 제 1 깊이(First Depth, d1) 만큼 함몰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인덕션부(100)는 베이스부(10)의 상부에 소정 깊이(d1)만큼 인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110)는 수직부(112)가 인덕션부(100)의 테두리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10)에는 수평부(111)에 대응되는 롤러부(Roller Part, 1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롤러부(120)는 회전부(110)의 수평부(1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회전부(110)의 수평부(111)는 베이스부(10)의 롤러부(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부(110)가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팬(20)의 하면(Lower Surface, LS)에는 회전부(110)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21)는 팬(20)의 하면(LS)에서 수평방향(DRH)으로 연장되며, 회전부(110)의 수평부(111)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팬(20)은 안착부(21)가 회전부(110)의 수평부(111)에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팬(20)을 회전부(110)에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팬(20)을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팬(20)이 회전부(110)에 걸쳐진 상태에서는, 도 6과 같이, 팬(20)은 인덕션부(100)와 소정 거리(d2)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팬(20)이 인덕션부(100)와 소정거리(d2) 이격되면, 팬(20)의 회전할 때, 팬(20)과 인덕션부(100)가 충돌하여 팬(20) 및/또는 인덕션부(100)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베이스부(10)는 회전부(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터부(150)가 제공하는 회전력은 동력 전달부(160)에 의해 회전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력 전달부(160)는 제 1 모터부(150)의 구동축(회전축)(151)에 설치된 구동휠(Driving Wheel, 152)과 회전부(110)의 수직부(112)를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부(110)의 수직부(112)의 외측면(Outer Side Surface)에 제 1 모터부(150)의 회전력을 회전부(11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160)가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 1 모터부(150)가 구동축(151)을 회전시키면, 구동축(151)에 설치된 구동휠(Driving Wheel, 152)을 회전하고, 구동휠(152)의 회전은 동력 전달부(160)에 의해 회전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60)는 벨트(Belt) 타입, 체인(Chain) 타입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동력 전달부(160)가 체인 타입으로 구현한 일례가 게시되어 있다.
이처럼, 동력 전달부(160)가 체인 타입인 경우에는, 회전부(110)의 수직부(112)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체인 타입의 동력 전달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에 걸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뒤집개(9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9는 뒤집개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뒤집개부(90)의 스윙부(40)는 내부에 제 2 모터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모터부(41)는 스윙부(4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제 2 모터부(41)의 구동축(회전축)은 스윙부(4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스윙부(40)는 소정의 체결수단(Fastening Member, FM)에 의해 지지부(30)에 스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윙부(40)는 체결수단(FM)을 축으로 하여 스윙할 수 있다. 스윙부(40)의 스윙의 형태를 도 10에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암부(50)는 제 2 모터부(41)의 구동축(4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부(50)는 제 2 모터부(41)의 구동축(4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암부(50)는 제 1 암(First Arm, 51) 및 제 2 암(Second Arm, 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암(51)은 제 2 모터부(41)의 구동축(4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암(52)은 제 1 암(5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암(51)의 길이(L1)는 팬(20)의 폭과 관련이 있고, 제 2 암(52)의 길이(L2)는 팬(20)의 깊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팬(20)의 폭이 넓어지면 제 1 암(51)의 길이(L1)가 길어질 수 있고, 팬(20)의 깊이가 깊어지면 제 2 암(52)의 길이(L2)가 길어질 수 있다.
제 1 암(51)과 제 2 암(52) 사이의 각도(θ1)는 둔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 1 암(51)과 제 2 암(52) 사이의 각도(θ1)도 팬(20)의 형태 및/또는 사이즈에 따라 변경 및 조절될 수 있다.
주걱부(60)는 암부(50)의 끝단에 연결되고, 제 2 모터부(41)의 구동축(4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주걱부(60)는,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암부(50)의 제 2 암(52)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61), 제 1 플레이트(61)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62) 및 제 2 플레이트(62)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3 플레이트(Third Plate, 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플레이트(61), 제 2 플레이트(62) 및/또는 제 3 플레이트(63)는 많은 양의 요리 재료를 뒤집어 섞기 위해 충분히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플레이트(62)의 면적 및 제 3 플레이트(63)의 면적은 제 1 플레이트(61)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플레이트(62)의 길이(L4) 및 제 3 플레이트(63)의 길이(L5)는 제 1 플레이트(61)의 길이(L3)보다 더 길 수 있다.
주걱부(60)를 팬(20)의 바닥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제 1 플레이트(61)의 진행방향과 제 2 암(52) 사이의 각도(θ2), 제 1 플레이트(61)와 제 2 플레이트(62) 사이의 각도(θ3) 및 제 2 플레이트(62)와 제 3 플레이트(63) 사이의 각도(θ4)는 둔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적어도 제 2 플레이트(62)의 제 1 측면(SE1)은 둥근(Round)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플레이트(62)의 제 1 측면(SE1)은, 제 2 모터부(41)의 구동축(42)의 회전방향을 고려하면, 팬(20)의 바닥을 향해 우선적으로 진입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주걱부(60)는 제 3 플레이트(63)에 연결되는 가이드 바(Guide Bar, 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바(64)의 연장방향은 제 2 플레이트(62)의 연장방향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가이드 바(64)는, 주걱부(60)의 회전 시에, 주걱부(60)의 회전반경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요리 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뒤섞을 수 있다.
주걱부(60)의 회전의 일례가 도 12의 (A), (B)에 게시되어 있다.
도 12의 (A)는 주걱부(60)의 제 1 플레이트(61), 제 2 플레이트(62) 및/또는 제 3 플레이트(63)가 팬(20)의 바닥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걱부(60)의 제 1 플레이트(61), 제 2 플레이트(62) 및/또는 제 3 플레이트(63)가 팬(20)의 바닥에서 요리 재료를 긁어낼 수 있다.
도 12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모터부(41)의 구동축(42)이 대략 90(˚)도 회전하면, 도 12의 (B)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2의 (B)는 주걱부(60)의 제 1 플레이트(61), 제 2 플레이트(62) 및 제 3 플레이트(63)가 팬(20)의 바닥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주걱부(60)의 가이드 바(64)의 끝단이 팬(20)의 바닥에 밀착되고, 이로 인해 주걱부(60)의 제 1 플레이트(61), 제 2 플레이트(62) 및 제 3 플레이트(63)가 팬(20)의 바닥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플레이트(61), 제 2 플레이트(62) 및/또는 제 3 플레이트(63)는 팬(20)의 바닥에 위치한 요리 재료를 상부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주걱부(60)는 팬(20)에 담긴 요리 재료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뒤섞을 수 있다.
도 12의 (B)를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1 플레이트(61), 제 2 플레이트(62) 및 제 3 플레이트(63)가 팬(20)(팬(20)의 바닥)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 바(64)는 팬(20)(팬(20)의 바닥)에 접촉할 수 있다.
도 12의 (A), (B)에서 주걱부(60)의 회전 및 팬(20)의 회전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뒤집개부(90)는 팬(20)의 바닥을 긁어내는 긁개(Scra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3을 살펴보면, 긁개(70)는 스윙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긁개(70)는 스윙부(4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긁개(70)의 일측은 스윙부(40)에 연결되고, 긁개(70)의 타측은 팬(20)의 조리 공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같이, 스윙부(40)에는 제 1 홀(First Hole, H1)이 형성되고, 지지부(30)에는 제 1 홀(H1)에 대응되는 제 2 홀(Second Hole, H2)이 형성되고, 긁개(70)의 일측에는 제 1 홀(H1) 및 제 2 홀(H2)에 대응되는 제 3 홀(Third Hole, H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수단(FM)이 제 1 홀(H1), 제 2 홀(H2)을 관통하여 제 3 홀(H3)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수단(FM)은 스윙부(40)가 스윙이 가능하도록 제 1 홀(H1)에는 단단히 고정되지만, 제 2 홀(H2)에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30)와 긁개(70)의 사이에는 긁개(70)가 팬(20)에 밀착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 1 스프링부(First Spring Part, 7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스프링부(700)는 지지부(30)와 긁개(70)의 사이 영역에서 체결수단(FM)에 감기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 1 스프링부(700)가 긁개(70)에 힘을 가하는 방향을 도 13에서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이러한 긁개(70)는 팬(20)의 바닥에 요리 재료가 눌어붙지 않도록 팬(20)의 바닥에서 요리 재료를 긁어낼 수 있다.
긁개(70)는 팬(20)의 조리 공간에 대응되는 긁음 영역(Scraping Area, 71)과 팬(20)의 조리 공간에 대응되지 않는 비 긁음 영역(Non Scraping Area, 7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긁개(70)의 긁음 영역(71)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15의 경우와 같이, 긁개(70)의 긁음 영역(71)에서의 긁개(70)의 끝단 부분(71a)의 높이(T1)는 다른 부분(71b)의 높이(T2)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긁개(70)는 요리 재료가 상대적으로 많이 위치하는 팬(20)의 중앙 부분에서 요리 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팬(20)의 바닥으로부터 긁어낼 수 있다.
긁개(70)의 긁음 영역(71)에서의 끝단 부분(71a)은 긁개(70)의 타측 끝단 부분이라고 볼 수 있고, 긁개(70)의 긁음 영역(71)에서의 다른 부분(71b)은 끝단 부분(71a)과 비 긁음 영역(72)의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스윙부(40)에는 긁개(70)를 지지하는 버팀대(71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버팀대(710)는 스윙부(40)를 들어 올릴 때, 긁개(70)가 스윙부(40)와 연동하여 들릴 수 있도록 긁개(7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버팀대(710)는 앞선 도 3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버팀대(710)가 스윙부(40)가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팬(20)에서 긁개(70)가 요리 재료를 긁어내는 영역(AR1)과 주걱부(60)가 요리 재료를 뒤섞는 영역(AR2)은, 긁개(70)와 주걱부(60)가 충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분 중첩(Partially Overlap)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요리 재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뒤섞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요리 재료를 보다 골고루 익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뒤집개부(90)는 스윙부(40)를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는 손잡이부(80)와 스윙부(40)를 지탱하는 또 다른 스프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7을 살펴보면, 손잡이부(80)는 스윙부(40)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뒤집개부(90)는 상방으로 힘을 가해 스윙부(40)를 지탱하는 제 2 스프링부(Second Spring Part, 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프링부(800)가 스윙부(40)를 지탱하기 위해 힘을 가하는 방향을 도 17에서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손잡이부(80)는 제 1 연장부(First Extended Part, 81) 및 제 1 연장부(81)로부터 제 1 연장부(81)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Second Extended Part, 82)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80)를 스윙부(40)에 연결하기 위해, 스윙부(40)에는 제 4 홀(Fourth Hole, H4)을 형성하고, 지지부(30)에는 제 4 홀(H4)에 대응하는 제 5 홀(Fifth Hole, H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80)의 제 1 연장부(81)가 제 5 홀(H5)을 관통하여 제 4 홀(H4)에 체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80)은 스윙부(40)가 스윙이 가능하도록 제 4 홀(H4)에는 단단히 고정되지만, 제 5 홀(H5)에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 5 홀(H5)을 연결홀(Connection Hole)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80)는 체결수단(FM)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80)의 제 1 연장부(81)가 제 5 홀(H5), 제 1 홀(H1), 제 2 홀(H2) 및 제 3 홀(H3)을 관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스프링부(800)는 손잡이부(80)와 지지부(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스프링부(800)의 적어도 일부는 손잡이부(80)의 제 1 연장부(81)에 감기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연장부(81)에는 제 2 스프링부(800)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Insert Hole, H6)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3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H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스프링부(800)의 일측부분(EP1)의 끝단이 삽입홀(H6)에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홀(H6)은 복수개(H6a, H6b...H6x)일 수 있다. 최초에는 제 2 스프링부(800)의 일측부분(EP1)의 끝단은 복수의 삽입홀(H6a, H6b...H6x) 중 제 1 삽입홀(H6a)에 끼워질 수 있다.
이후, 제 2 스프링부(800)의 탄력이 저하되면, 제 2 스프링부(800)의 일측부분(EP1)의 끝단은 제 1 삽입홀(H6a)보다 전방에 위치한 제 2 삽입홀(H6b)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스프링부(800)를 좀 더 조일 수 있어서 충분한 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스프링부(800)의 타측부분(EP2)은 손잡이부(800)의 제 2 연장부(8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 2 스프링부(800)의 타측부분(EP2)은 제 2 연장부(8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스프링부(800)의 타측부분(EP2)은 손잡이부(80)의 제 2 연장부(820)를 지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주걱부(60)의 적어도 일부가 팬(20)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 2 연장부(82)는 제 2 스프링부(800)의 타측부분(EP2)에 걸쳐질 수 있다. 이처럼, 제 2 스프링부(800)의 타측부분(EP2)이 제 2 연장부(82)를 지지하게 되면 스윙부(40)가 빠르게 하방으로 스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걱부(60)가 강하게 팬(2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부(80)를 상부 방향으로 올리는 경우에는, 도 19의 경우와 같이, 스윙부(40)도 손잡이부(80)에 연동하여 상부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손잡이부(80)의 제 2 연장부(82)는 제 2 스프핑부(800)의 타측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아울러, 버팀대(710)가 손잡이부(80)의 이동에 연동하여 긁개(70)를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팬(20)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부(30)를 이동시켜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팬(20)에 대응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0은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0의 (A)와 같이, 지지부(30)를 베이스부(1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0)에는 지지부(30)의 전후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레일부(First Rail Part, 31)가 배치될 수 있다.
팬(20)의 크기(넓이)가 큰 경우에는 지지부(30)를 후퇴시키고, 팬(20)의 크기(넓이)가 작은 경우에는 지지부(30)를 전진시킬 수 있다.
도 20의 (B)와 같이, 지지부(30)를 베이스부(10)의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0)에는 지지부(3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레일부(Second Rail Part, 32)가 배치될 수 있다.
팬(20)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지지부(30)를 상승시키고, 팬(20)의 깊이가 낮은 경우에는 지지부(3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 및/또는 크기의 팬(20)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팬(20)의 형태 및/또는 사이즈에 따라 암부(50) 및/또는 주걱부(60)의 형태 및/또는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1 내지 도 23은 암부 및 주걱부의 변경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1을 살펴보면, 암부(50)는 제 2 모터부(41)의 구동축(42)과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윙부(40)는 암부(5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부(50)는 스윙부(4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바(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53)는 암부(50)의 제 1 암(5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44)에는 암부(50)의 연결바(53)가 삽입된 연결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바(53)가 연결홈(43)에 삽입됨으로써, 암부(50)가 제 2 모터부(41)의 구동축(4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걱부(60) 및/또는 암부(50)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한 형태 및 사이즈의 팬(20)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A), (B)와 같이 제 1 암(51) 및/또는 제 2 암(52)의 길이가 다른 암부(50)를 팬(20)의 형태 및/사이즈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팬(20)의 사이즈와 깊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도 22의 (A)와 같이 제 1 암(51)의 길이가 L1이고, 제 2 암(52)의 길이가 L2인 암부(50)를 적용하고, 팬(20)의 사이즈와 깊이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도 22의 (B)와 같이 제 1 암(51)의 길이가 L1보다 긴 L11이고, 제 2 암(52)의 길이가 L2보다 긴 L12인 암부(50)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주걱부(60)의 형태 및/또는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을 살펴보면, 주걱부(60)는 갈퀴부(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주걱부(60)는 면 요리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조리부에서는 다양한 형태 및/또는 사이즈의 주걱부(60) 및/또는 암부(50)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자동 조리기의 구동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4 내지 도 25는 자동 조리기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는 구동부(1000), 사용자 입력부(1100) 및 센서부(Sensor Part, 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000)는 자동 조리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0)는 인덕션부(100)의 온도조절 명령, 제 1 모터부(150) 및/또는 제 2 모터부(41)의 회전속도 조절 명령 및/또는 구동시간 조절 명령 등의 제어 명령을 구동부(1000)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100)는 버튼, 레버 등의 명령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1100)는 앞선 도 1에 나타나 있는 제어 패널(140), 속도조절 레버(130) 등의 명령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1의 제어 패널(140) 및/도는 속도조절 레버(130)는 사용자 입력부(1100)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센서부(1200)는 인덕션부(100)의 온도, 팬(20)의 온도, 제 1 모터부(150)의 회전속도 및/또는 구동시간, 제 2 모터부(41)의 회전속도 및/또는 구동시간 등의 정보를 센싱하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00)는 제 1 모터 제어부(1010), 제 2 모터 제어부(1020), 온도 제어부(1030), 메뉴부(1040) 및 센서부(10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터 제어부(1010)는 제 1 모터부(150)의 온/오프, 회전 속도, 구동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모터 제어부(1020)는 제 2 모터부(41)의 온/오프, 회전 속도, 구동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제어부(1030)는 인덕션부(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인덕션부(1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온도 제어부(1030)는 인덕션부(100)가 가열하는 팬(2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온도 제어부(1030)는 인덕션부(100)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센싱부(1040)는 센서부(1200)로부터 센서부(1200)가 센싱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메모리부(1050)는 자동 조리기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메뉴부(1060)는 메뉴에 따른 인덕션부(100)의 온도에 대한 정보, 제 1 모터부(150)의 회전속도 및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 제 2 모터부(41)의 회전속도 및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070)는 자동 조리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70)는 인덕션부(100)의 온도를 제어하고, 제 1 모터부(150)의 회전속도 및/또는 구동시간을 제어하고, 제 2 모터부(41)의 회전속도 및/또는 구동시간을 제어하고, 센서부(1200)로부터의 센싱정보의 수신을 제어하고, 수신한 센싱정보를 분석 및/또는 가공하고, 사용자의 메뉴 정보 입력에 따른 온도, 속도, 구동시간을 제어하고, 정보의 저장/처리/관리/가공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100)를 이용하여 메뉴로서 '감자볶음'을 입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070)는 메뉴부(1060)를 제어하여 '감자볶음'에 대응하는 인덕션부(100)의 온도에 대한 정보, 제 1 모터부(150)의 회전속도 및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 제 2 모터부(41)의 회전속도 및 구동시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70)는 인덕션부(100)를 제어하여 팬(20)의 온도를 '감자볶음'에 최적화되도록 설정하고, 제 1 모터부(150)를 제어하여 팬(20)의 회전속도를 '감자볶음'에 최적화되도록 설정하고, 제 2 모터부(41)를 제어하여 주걱부(60)의 회전속도를 '감자볶음'에 최적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에 대응하여 인덕션부(100)의 온도, 제 1 모터부(150)의 회전속도 및/또는 구동시간, 제 2 모터부(41)의 회전속도 및/또는 구동시간을 별도로 조절하지 않아도 효과적으로 요리를 완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의 전원 차단 방법에 대해 도 2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가 동작하는 상태(S100)에서 스윙부(40)가 앞선 도 3 또는 도 19와 같이 올려지는 지의 여부를 판단(S110)할 수 있다.
자동 조리기가 동작하는 상태라는 것은 인덕션부(100)가 활성화되어 팬(20)에 열을 가하고, 제 1 모터부(150)가 회전하여 팬(20)이 회전하고, 제 2 모터부(41)가 회전하여 주걱부(60)가 회전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자동 조리기가 요리를 수행하는 상태를 동작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제 S110 단계에서 판단결과, 스윙부(40)가 올려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차단 제어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2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원 오프 버튼을 눌러 자동 조리기의 전원을 차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 S120 단계에서 판단결과, 전원차단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라는 제어명령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30)하고, 판단결과 다른 기능을 수행하라는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S11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 S130 단계에서 판단결과, 다른 기능을 수행하라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Default)을 수행(S140)할 수 있다.
한편, 제 S110 단계에서 판단결과 스윙부(40)가 올려지는 경우 및 전원차단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2 모터부(4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S150)하여, 제 2 모터부(41)를 정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인덕션부(10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인덕션부(100)를 정지(S160)시킬 수 있다.
이처럼, 스윙부(40)가 올려지는 경우에 제 2 모터부(41)를 정지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리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제 2 모터부(41)의 전원 차단 또는 인덕션부(100)의 전원 차단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지났는지의 여부를 판단(S17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2 모터부(41)의 전원 차단 또는 인덕션부(100)의 전원 차단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제 1 모터부(15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제 1 모터부(15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처럼, 스윙부(40)가 올려지는 등의 방법으로 전원차단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 2 모터부(41)와 인덕션부(100)를 우선적으로 정지시키고, 기준 시간 이후에 제 2 모터부(150)를 정지시키게 되면, 인덕션부(100)와 제 2 모터부(41)의 정지 이후에도 기준 시간 동안 팬(20)이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인덕션부(100)의 정지 이후에 남아 있는 잔열에 팬(20)의 바닥에 요리 재료가 눌어붙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인덕션부(Induction Part), 제 1 모터부(First Motor Part) 및 상기 인덕션부의 테두리의 외곽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모터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Rotating Part)를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회전부에 걸치도록 배치되는 팬(Pan);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외곽에 배치되며,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지지부(Supporting Part);
    상기 지지부에 스윙(Swing)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 2 모터부(Second Motor Part)를 포함하는 스윙부(Swing Part);
    상기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암부(Arm Part); 및
    상기 암부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팬의 조리 공간에 대응되는 주걱부(Paddle Part); 를 포함하며,
    상기 암부는
    상기 제 2 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 1 암(First Arm); 및
    상기 제 1 암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암의 진행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암(Second Arm);
    을 포함하고,
    상기 주걱부는
    상기 제 2 암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 3 플레이트(Third Plate);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가이드 바(Guide Bar);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의 각도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3 플레이트 사이의 각도는 둔각이고,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가 상기 팬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팬에 접촉하는 자동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부는 하방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고,
    상기 인덕션부의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으로의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인덕션부의 상기 테두리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Upper Surface)으로부터 제 1 깊이(First Depth) 만큼 함몰된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는 고리(Ring) 형태를 갖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수직방향으로의 단면은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Vertical Part) 및 상기 수직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Horizontal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평부에 대응되는 롤러부(Roller Part)를 더 포함하는 자동 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하면(Lower Surface)에는 상기 회전부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팬의 하면에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부는 상기 수평부에 대응되고,
    상기 팬이 상기 회전부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팬은 상기 인덕션부와 이격되는 자동 조리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스윙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팬의 조리 공간에 대응되는 긁개(Scraper); 및
    상기 긁개가 상기 팬에 밀착하도록 힘을 가하는 제 1 스프링부(First Spring Part);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긁개에서 상기 팬의 조리 공간에 대응되는 영역을 긁음 영역이라 할 때, 상기 긁음 영역에서의 상기 긁개의 끝단의 높이는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더 높은 자동 조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방으로 힘을 가해 상기 스윙부를 지탱하는 제 2 스프링부(Second Spring Part);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제 1 연장부(First Extended Part); 및
    상기 제 1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 1 연장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Second Extended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에는 상기 제 2 스프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Insert 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프링부의 일측 끝단은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연결홀(Connection Hole)을 관통하여 상기 스윙부에 연결되는 자동 조리기.
KR1020180145963A 2018-11-23 2018-11-23 자동 조리기 KR10210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63A KR102103085B1 (ko) 2018-11-23 2018-11-23 자동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63A KR102103085B1 (ko) 2018-11-23 2018-11-23 자동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085B1 true KR102103085B1 (ko) 2020-04-21

Family

ID=7045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963A KR102103085B1 (ko) 2018-11-23 2018-11-23 자동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0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674A (ko) 2021-03-22 2022-09-29 박태순 스마트 인덕션 및 이를 포함한 자동 조리 제어 시스템
KR20220134286A (ko) 2021-03-26 2022-10-05 박태순 비접촉식 온도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인덕션 및 이를 포함한 자동 조리 제어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176Y1 (ko) 2003-03-21 2003-06-28 박상용 춘장 볶음기
KR20100122631A (ko) 2009-05-13 2010-11-23 김행춘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JP2012059582A (ja) * 2010-09-10 2012-03-22 Maruzen Co Ltd Ih中華レンジ
KR20130005684A (ko) * 2011-07-07 2013-01-16 (주)진성하이테크 유도가열방식의 중화요리용 조리기구
JP2014000325A (ja) * 2012-06-20 2014-01-09 Mik:Kk 食品炒め機
KR101421053B1 (ko) * 2013-05-13 2014-07-22 (주)진성하이테크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중화요리용 조리기기
KR101601832B1 (ko) 2014-12-10 2016-03-09 (주)코리아델로스Kd 볶음 요리용 자동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176Y1 (ko) 2003-03-21 2003-06-28 박상용 춘장 볶음기
KR20100122631A (ko) 2009-05-13 2010-11-23 김행춘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JP2012059582A (ja) * 2010-09-10 2012-03-22 Maruzen Co Ltd Ih中華レンジ
KR20130005684A (ko) * 2011-07-07 2013-01-16 (주)진성하이테크 유도가열방식의 중화요리용 조리기구
JP2014000325A (ja) * 2012-06-20 2014-01-09 Mik:Kk 食品炒め機
KR101421053B1 (ko) * 2013-05-13 2014-07-22 (주)진성하이테크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중화요리용 조리기기
KR101601832B1 (ko) 2014-12-10 2016-03-09 (주)코리아델로스Kd 볶음 요리용 자동 조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674A (ko) 2021-03-22 2022-09-29 박태순 스마트 인덕션 및 이를 포함한 자동 조리 제어 시스템
KR20220134286A (ko) 2021-03-26 2022-10-05 박태순 비접촉식 온도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인덕션 및 이를 포함한 자동 조리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634B1 (ko) 움직임-유도 수단을 구비한 조리 기기용 조리 방법 및 대응하는 조리 기기
US5469782A (en) Food flipping assembly
CN104582549B (zh) 用于制备食物的器具
KR102501960B1 (ko) 교반 수단을 갖는 전기 조리 장치를 위한 조리 방법
JP5998151B2 (ja) 攪拌ブレードを備える食品調理機器
KR101601832B1 (ko) 볶음 요리용 자동 조리장치
KR102103085B1 (ko) 자동 조리기
WO2014131207A1 (zh) 适用于全自动炒菜机的炒锅装置
CN109527968A (zh) 自动炒菜机
JP2014094072A (ja) 電気炊飯器
TW202100024A (zh) 炒食機之自動翻炒裝置
CN106539493A (zh) 一种能自动投料搅拌的煮面装置
KR20100122631A (ko) 볶음요리용 자동 볶음기
KR101935922B1 (ko) 자동 조리 장치
CN113662424A (zh) 一种自动炒菜机
CN208909681U (zh) 一种上置搅拌铲的炒菜机
JP2009026579A (ja) 加熱調理器
CN107174110B (zh) 煮粥机
CN113892810B (zh) 一种食材投放机构及自动炒菜机
KR102500929B1 (ko) 튀김장치
CN214631596U (zh) 自动炒菜机
KR102061039B1 (ko) 주방 조리장치
CN210871021U (zh) 一种炒菜机及炒菜铲
CN208610557U (zh) 一种适用于自动炒菜机的锅体装置
KR101399416B1 (ko) 음식물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