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739B1 -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 방법, 및 재료 - Google Patents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 방법, 및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739B1
KR102102739B1 KR1020187024736A KR20187024736A KR102102739B1 KR 102102739 B1 KR102102739 B1 KR 102102739B1 KR 1020187024736 A KR1020187024736 A KR 1020187024736A KR 20187024736 A KR20187024736 A KR 20187024736A KR 102102739 B1 KR102102739 B1 KR 102102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slopes
weave
shed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732A (ko
Inventor
메건 폴리
캐리 엘. 데이비스
윌리엄 씨. 2세 맥파랜드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8010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1/00Lappet, swivel or other looms for forming embroidery-like decoration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14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by a gripper needle taking the end of the weft through the shed

Abstract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 및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제조 방법이 제시된다. 다중 캐리어 시스템은 제1 위사(weft yarn); 제2 위사; 제1 위사 및 제2 위사에 의한 랩핑(wrapping)을 위한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warp yarn)를 포함한다. 띠 무늬 직조 방법은, 제1 셰드(shed)를 통해 제1 발단부로부터 제1 위사를 수용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띠 무늬 경사 주위에 제1 위사를 랩핑하는 단계; 제1 셰드의 상위 얀(yarn) 및 하위 얀이 교환된 이후에 제1 위사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제2 위사는 제2 셰드를 통해 제2 위사 발단부로부터 수용되며, 동일한 중간의 띠 무늬 경사 주위에서 랩핑되고, 제2 셰드의 얀들의 교환 이후에 제2 위사 발단부로 복귀하게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제1 위사 및 제2 위사는 공통 경사의 랩핑 중에 맞물리게 된다.

Description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 방법, 및 재료
본 기술은 다수의 위사(weft yarn)를 갖춘 영역을 갖는 직조 재료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인 양태는, 다수의 위사에 의해 랩핑(wrapping)된 공통 경사 영역(common warp zone)을 갖춘 직조 재료를 생성하기 위한 다중 캐리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통적인 직조 관례에 있어서, 위사는 셰드(shed)를 제공하는 일련의 경사의 전체 폭에 걸쳐 운반될 수 있다. 위사의 섬유 함량은 전체 셰드에 걸쳐 변경될 수 있지만, 직물의 중간 부분에서 혹은 직조부의 열(row) 내에서, 직조 재료의 결과적인 구조를 변경하기는 거의 어렵다. 따라서, 결과적인 직물은 직물의 폭에 걸쳐 특성의 최소한의 변동을 나타내면서 일관성 있는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재료의 폭에 걸쳐 공통 위사를 유지한다면, 상기 재료 자체는 성능 혹은 목표하는 재료 특성에 관한 임의의 특정한 영역을 포함시키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일부 직조 시스템에 있어서, 셰드의 전체 폭에 걸쳐 공통 위사를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캐리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캐리어들 사이의 핸드오프(handoff)는 직조를 위해 단일 위사를 운반하는 것에 관련된다. 결과적으로, 개방 셰드의 양측 상의 경사들은 서로 최소한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직물 전체에 걸쳐 단일 위사가 운반되어 있고, 이는 직조된 직물, 예컨대 다수의 위사에 의해 랩핑된 공통 경사 영역 내에 통합되는 띠 무늬 특징의 생성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본 개괄이 아니라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다양한 양태에 관한 이하의 상위 레벨의 개관은, 본 개시내용에 관한 개괄을 제시하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개념들 중 하나의 선택안을 소개한다. 본 개괄은 청구된 주제 대상의 핵심 특징 또는 본질적 특징을 확인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개괄은 청구된 주제 대상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분리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서 사용되게 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간략하게 그리고 상위 레벨에서, 본 개시내용은 무엇보다도 다중 캐리어(예컨대,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 및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다중 캐리어 시스템은, 재료의 제1 측으로부터 경사의 셰드(shed)에 진입하고(예컨대, 좌측 캐리어가 셰드의 좌측으로부터 진입함), 중심 경사(또는 중심 경사들) 및/또는 중간 경사(또는 중간 경사들) 주위에서 제1 위사를 랩핑하는 제1 캐리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또는 중간 경사들의 군은, 띠 무늬 직조 특징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위사에 의해 랩핑되는 공통 경사 영역(common warp zone) 또는 “중간 경사 영역(intermediate warp zone)”이라 불릴 수도 있다. 동일한 단계에 있어서, 혹은 선행 단계 또는 후속 단계에 있어서, 제2 캐리어는 재료의 제2 측으로부터 경사의 셰드에 진입하고(예컨대, 우측 캐리어가 셰드의 우측으로부터 진입함), 동일한 중간 경사 영역(즉, 제1 위사에 의해 랩핑된 동일한 중간 경사) 주위에서 제2 위사를 랩핑한다. 상기 중간 경사 영역은 이때, 직조부의 각 열(row)에, 동일한 경사 주위에서 랩핑되는 제1 위사 및 제2 위사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캐리어 위사를 통합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은 직물 내에서 직조되지 않은 외부 얀(yarn), 예컨대 경사 셰드(warp shed)의 이웃한 부분들 내로 통합되지 않는 직조 재료의 표면 상의 수놓은 특징부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중간 경사 영역을 생성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경사 영역은, 전체 직물 셰드에 걸쳐 직조되는 현재의 제1 유효 위사로부터, 그리고 중간 경사 영역이 생성되는 곳에서 제1 위사와 “만나도록” 직조되는 제2의 유효 위사의 통합으로부터 생성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제1 위사 및 제2 위사 양자 모두는 중간 경사 영역의 공통 경사 주위에서 만나 랩핑되기 이전에 직물 셰드 내에 직조된다. 이웃한 경사 셰드 및 띠 무늬 랩핑 부분 양자 모두에서 직조된 위사를 이용함으로써, 중간 경사 영역에 바로 이웃하는 직조 경계 재료에서 간격, 구멍, 갭(gap) 또는 다른 과도적인 특징부가 예방 및/또는 최소화된다. 다시 말하면, 이웃한 직조 셰드와 중간 랩핑 영역의 전이는, 유효한 직조 위사로부터 랩핑된 영역을 생성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재료의 표면 상에 고립된 수놓은 특징부 대신, 이하의 양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직물 내에 솔기 없이 생성되는 띠 무늬 특징부 주위에서 유효한 직조 위사의 랩핑에 의해 중간 경사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제1 위사 및 제2 위사는, 예컨대 제2 캐리어의 제2 위사를 제1 캐리어로부터의 제1 위사의 루프와 상호 맞물림으로써, 랩핑 중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위사가 동일한 중간 경사(들) 주위에서 랩핑된 상태에서 제1 위사와 제2 위사 사이의 연결은, 중간 경사(들)를 적소에 유지시킬 수 있는 반면, 일부 양태에 있어서 직물 내의 장력의 평형을 유발시킨다. 추가적으로, 일부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에서의 경사를 따라 그리고 다수의 위사에 걸쳐 인장을 유지하는 동안, 결과적인 띠 무늬 직물은 중간 경사 영역의 경계에서의 변화부 전체에 걸쳐, 예컨대 좁은 띠 무늬 특징부와 넓은 띠 무늬 특징부 사이의 변화 중에, 하나 이상의 일관된 특징을 유지한다. 또한, 중간 경사 영역 내에 다수의 열의 중첩형 경사 및/또는 맞물림형 경사를 이용하면, 결과적인 띠 무늬 직조 재료는, 중간 경사 영역에서 2개의 위사가 사용되는 경우 가시적인 및/또는 질감이 있는 띠 무늬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 내에서 랩핑된 얀의 개수는, 직조 재료 내에 특정한 형상, 배향, 치수, 위치, 또는 다른 특징을 갖는 공통 경사 영역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경사 영역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를 통한 제1 위사 및 제2 위사 양자 모두에 의해 랩핑된 단일 경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경사 영역은,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를 통한 제1 위사 및 제2 위사 양자 모두에 의해 집단적으로 랩핑된 다수의 경사를 포함한다. 제1 위사 및 제2 위사에 의해 집단적으로 랩핑된 상기 다수의 경사의 군은, 직조 재료 내에 특정한 폭의 공통 경사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공통 경사 영역은, 직조 재료의 셰드를 형성하는 이웃한 경사와 관련하여 중간 경사(또는 중간 경사들)의 배치에 기초하여 직조 재료 내에 동적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경사 영역의 폭은 직조부의 다수의 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또는 중간 경사 영역에 포함되는 경사의 개수가 변할 때 특정 패턴 혹은 특정 개수의 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성능 영역이 상기 재료 내에 직조될 수 있고, 중간 경사 영역은, 이하에서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직물 내에서 특정한 패턴 및 원하는 물성에 따라 띠 무늬 배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조식 신발 갑피는, 공통의 중간 경사 영역에서 만나 랩핑하는 위사를 이용하여 직조 재료 내에 통합되는 띠 무늬 직조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갑피의 형태에 추가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신발의 마모가 큰 특정 부분에 대한 보강 두께를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심지어 특정한 띠 무늬 배치에 대응하는 가시적인 외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을 이용한 직조식 의류의 경우, 동적인 중간 경사 영역의 띠 무늬 특징은 의복 상의 특정한 위치, 예컨대 특정한 운동복을 위한 성능 영역에 통합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은, 어깨 부분에 소정 구조를 제공하도록, 보강형 팔꿈치 상에 두께 증가부를 제공하도록, 또는 직조식 전면 내에 수수한 영역을 제공하도록 의류용 직물 내에 직조될 수 있다.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추가적인 양태에서는, 추가적인 얀을 드롭핑(dropping)하거나 또는 슬라이싱(slicing)하지 않으면서, 보충 얀을 운반하거나 또는 플로팅시키지 않으면서, 혹은 달리 의복의 부피에 추가하지 않으면서 또는 재료 구성에 수반되는 마무리 프로세스에 추가하지 않으면서, 본원에 설명되는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양태를 이용하여, 특정한 물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성능 영역이 특정한 위치에서 재료 내에 직조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예시적인 양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종래의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띠 무늬 직조 시스템 구성요소의 상부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띠 무늬 직조 시스템 구성요소의 상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시스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띠 무늬 직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띠 무늬 직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띠 무늬 직조 시스템 구성요소의 상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띠 무늬 직조 시스템 구성요소의 상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띠 무늬 직조 시스템 구성요소의 상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경사 영역 인장 조정 메커니즘을 갖춘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경사 영역 인장 조정 메커니즘을 갖춘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경사 영역의 일부의 확대도와 함께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재료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예시적인 상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사시도이다.
본원의 주제 대상은 법적 요건을 충족하도록 본원에서 구체성을 갖게 설명되지만, 이러한 설명 자체는 청구범위의 범주를 반드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오히려, 청구된 주제 대상은, 현재의 다른 기술 혹은 향후의 기술과 함께 본 문헌에서 설명되는 바와 유사한 다양한 구성요소, 단계, 혹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개별적인 단계들의 순서가 명시적으로 설명되어 있지 않은 한, 그리고 개별적인 단계들의 순서가 명시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단계들 사이의 임의의 특정한 순서를 의미하도록 문구가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의 양태는 다중 캐리어(예컨대,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 및 띠 무늬 직조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다중 캐리어 시스템은, 재료의 제1 측으로부터 경사의 셰드에 진입하고 중간 경사(또는 중간 경사들) 주위에서 제1 위사를 랩핑하는 제1 캐리어를 포함한다. 동일한 단계에 있어서, 혹은 선행 단계 또는 후속 단계에 있어서, 제2 캐리어는 재료의 제2 측으로부터 경사의 셰드에 진입하고, 동일한 중간 경사(들) 주위에서 제2 위사를 랩핑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제1 위사 및 제2 위사는, 예컨대 제2 캐리어의 제2 위사를 제1 캐리어로부터의 제1 위사의 루프와 연결시킴으로써, 랩핑 중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의 위사가 동일한 중간 경사(들) 주위에서 랩핑된 상태에서 제1 위사와 제2 위사 사이의 연결은, 중간 경사(들)를 적소에 유지시킬 수 있는 반면, 일부 양태에 있어서 직물 내의 장력의 평형을 유발시킨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들의 개수는, 직조 재료 내에 특정한 디자인 및/또는 구조를 갖는 공통 경사 영역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경사는,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를 통해 제1 위사 및 제2 위사 양자 모두에 의해 랩핑된 단일 경사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경사는,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를 통해 제1 위사 및 제2 위사 양자 모두에 의해 집단적으로 랩핑된 다수의 경사를 포함한다. 제1 위사 및 제2 위사에 의해 집단적으로 랩핑된 상기 다수의 경사의 군은, 직조 재료 내에 공통 경사 영역 및/또는 중간 경사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통 경사 영역 및/또는 중간 경사 영역의 배치는 직조 재료 내에서 시프트(shift)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조 재료 내에서 다양한 원점, 랩핑점, 및 복귀점을 갖는 위사에 의해 그리고 직조 재료의 하나 이상의 경계와 관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공통 경사 영역은, 직조 재료의 셰드를 형성하는 이웃한 경사와 관련된 중간 경사(또는 중간 경사들)의 배치 및/또는 개수에 기초하여 직조 재료 내에 동적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한 가지 예에 있어서, 공통 경사 영역은, 직조 재료의 대향측 상에서 유래하고 재료 셰드의 각각의 부분을 통해 진행하며 중간 경사를 랩핑하여 2개의 위사에 의해 랩핑되는 재료 내에 공통 경사 영역을 제공하는 것인 2개의 위사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이때 재료의 대향측 상에서 각각의 발단부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공통 경사 영역의 동적인 배치 중에, 중간 경사의 배치는, 재료 폭에 걸쳐 동적으로 시프트될 수 있는 반면, 재료의 대응측으로 각각의 위사를 복귀시킨다. 추가적으로, 중간 경사의 개수는, 공통 경사 영역에서의 중간 경사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공통 경사 영역의 동적인 배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반면, 여전히 재료의 대응측으로 각각의 위사를 복귀시킨다.
다른 예에 있어서, 공통 경사 영역의 동적인 배치는, 공통 경사 영역의 위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직조 재료의 외측 에지로 복귀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웃하는 경사들에 대해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공통 경사 영역은, 재료의 좌측(즉, 좌측 에지) 상에서 유래하고 공통 경사 영역을 랩핑하며 재료의 좌측으로 복귀하는 제1 위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통 경사 영역은 또한, 재료의 우측 상에서 유래하지 않지만 공통 경사 영역을 랩핑하며 그 교호하는 원점, 예컨대 직조 재료 위에 있는 위치 혹은 직조 재료 아래에 있는 위치로 복귀하는 제2 위사에 의해 랩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제2 위사는 또한 재료 내에서 제2 공통 경사 영역을 랩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위사 및 제3 위사는 제2 공통 경사 영역를 랩핑할 수 있고, 이때 제3 위사는 직조 재료의 우측(즉, 우측 에지) 상에서 유래한다. 이에 따라, 직조 재료 내에서의 공통 경사 영역의 동적인 배치는, 직조 재료의 좌측 식서 에지 또는 우측 식서 에지 상에서 유래하는 위사를 운반하지 않으면서, 직조 재료의 중간 부분에 생성되는 경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 있어서, 교호하는 캐리어는 직조 재료의 좌측 식서 및 우측 식서가 아닌 위치에 발단부를 갖고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랩핑하지 않으면서 및/또는 재료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복귀하지 않으면서, 재료 내에서 시프트하는 동적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다수의 발단부를 갖는 위사들을 이용하는 경우, 동적인 중간 경사 영역은 (좌측 식서 에지 또는 우측 식서 에지 이외의) 교호하는 제1 발단부를 갖는 제1 위사 및 (좌측 식서 에지 또는 우측 식서 에지 이외의) 교호하는 제2 발단부를 갖는 제2 위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위사는 공통 경사 영역의 경사를 랩핑하게 된다.
직조 재료 내에서 공통/중간 경사 영역의 발단부의 위치, 삽입부, 및/또는 배치를 변경하는 것에 추가하여, 직조 재료의 셰드의 경사 및 중간 경사 영역의 경사는 하나의 재료 또는 다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의 좌측 및 우측 상에서 직조 재료의 셰드를 형성하는 경사(즉, 단일 중간 경사 또는 다수의 중간 경사)는 제1 경사 재료로 되어 있을 수 있는 반면, 중간 경사 영역의 경사들은 상이한 제2 재료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경사 영역은 직조 재료의 셰드 전체에 걸쳐 운반되는 동일한 제1 위사 및 제2 위사로 랩핑될 수 있는 반면, 중간 경사 영역에서의 경사의 결과적인 띠 무늬 재료는, 이웃한 랩핑되지 않은 경사와 상이하다. 따라서, 중간 경사 영역은, 제1 측 및 제2 측으로부터의 이중 랩핑 위사와 관련되는 추가 특징을 갖는 결과적인 직물 내에 소정 재료의 특정 영역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셰드의 이웃한 경사들과 비교할 때 변동된 중간 경사의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은, 중간 경사 영역의 각 측 상에서 경사의 이웃하는 좌측 셰드 및 우측 셰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직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경사 영역은, 제1 위사 및 제2 위사 양자 모두를 이용한 중간 경사(들)의 랩핑에 기초하여 다양한 띠 무늬 특징을 유지한다. 다시 말하면, 직물의 길이를 따라 경사 재료 중 임의의 재료의 변경 없이, 중간 영역 경사(들)의 선택적 배치를 이용하여(즉, 베이스 재료에 직조되는 얀 유형의 변경 없이) 특정 구조 또는 특정 기능(예컨대, 이중 랩핑 영역의 특정 형상)을 갖는 띠 무늬 특징부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띠 무늬 직조 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1 측 상의 제1 캐리어로서, 상기 제1 캐리어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1 측으로부터의 제1 위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1 캐리어;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2 측 상의 제2 캐리어로서, 상기 제2 캐리어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2 측으로부터의 제2 위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2 캐리어를 포함하며,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1 측은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2 측에 대향되고, 상기 제1 캐리어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2 측에 대해 제1 위사를 운반하지 않으면서 직조 재료의 제1 셰드를 통해 제1 위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캐리어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1 측에 대해 제2 위사를 운반하지 않으면서 직조 재료의 제2 셰드를 통해 제2 위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직조 재료는 하나 이상의 제1 셰드 경사, 하나 이상의 제2 셰드 경사,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셰드 경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셰드 경사에 이웃한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를 갖는 복수 개의 경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캐리어는 제1 위사가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 주위에서 랩핑한 이후에 제1 위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캐리어는 제2 위사가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 주위에서 랩핑한 이후에 제2 위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공통 직조 영역을 갖는 직조 재료를 생성하기 위한 띠 무늬 직조 방법은, 직기(weaving loom)의 제1 측으로부터 제1 위사를 수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위사는, 복수 개의 제1 상위 경사 및 복수 개의 제1 하위 경사를 포함하는 제1 셰드 부분을 통해 수용되는 것인 단계; 제1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띠 무늬 경사 주위에서 제1 위사를 랩핑하는 단계; 복수 개의 제1 상위 경사 및 복수 개의 제1 하위 경사를 교환하는 단계; 직기의 제1 측으로 제1 위사를 복귀시키는 단계; 직기의 제2 측으로부터 제2 위사를 수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위사는, 복수 개의 제2 상위 경사 및 복수 개의 제2 하위 경사를 포함하는 제2 셰드 부분을 통해 수용되는 것인 단계; 제2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띠 무늬 경사 주위에서 제2 위사를 랩핑하는 단계; 복수 개의 제2 상위 경사 및 복수 개의 제2 하위 경사를 교환하는 단계; 직기의 제2 측으로 제2 위사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띠 무늬 직조 재료는, 복수 개의 제1 경사 및 제1 위사를 포함하는 제1 직조 부분; 복수 개의 제2 경사 및 제2 위사를 포함하는 제2 직조 부분; 상기 제1 직조 부분 및 상기 제2 직조 부분에 이웃한 공통 직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직조 영역은 하나 이상의 띠 무늬 경사, 제1 위사, 및 제2 위사를 포함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면,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띠 무늬 직조 재료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시된다. 본원에 도시된 구성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이중 캐리어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그 양태에서 임의의 개수의 캐리어(예컨대, 2개, 3개, 4개, 5개의 캐리어)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이중 캐리어에 관한 논의가 제시되지만, 임의의 개수의 대응하는 위사를 갖춘 임의의 개수의 캐리어가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동일한 요소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양한 양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로 돌아가면, 예시적인 종래의 직조 시스템(10)의 사시도가 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직조 시스템은 상위 위치에 있는 복수 개의 제1 경사(12); 하위 위치에 있는 복수 개의 제2 경사(14); 캐리어(20)에 의해 직조 시스템(10)을 통해 운반되는 위사(18)를 갖는다. 이러한 예시적인 직조 시스템(10)에서는, 상위 경사(12)와 하위 경사(14) 사이에서 셰드(16)를 통해 x축을 따라 단일 위사(18)를 직조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캐리어(20)가 이용되며, 이에 따라 직물(22)은 y축을 따라 직조되고 전진하게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직조 시스템(10)은 좌측(24); 우측(26); 복수 개의 제1 경사(12)의 다수의 경사(28); 셰드(16)를 통해 경사에 대해 직각으로 위사(18)가 통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함께 직조되어, 직조부의 이웃하는 열(row)에 대해 후방 방향(32)으로 위사가 비팅(beating)하는 것에 응답하여 직물(22)이 되는 것인 복수 개의 제2 경사(14)의 다수의 경사(30)를 포함한다. 직물(22)은 상측부(34); 하측부(36); 직물(22) 전체에 걸쳐 단일 위사(18)의 연속적인 통과를 허용하는 위사의 턴(38; turn)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양태를 참고하면, 도 2는 좌측 캐리어(46)를 통한 좌측 위사(44) 및 우측 캐리어(50)를 통한 우측 위사(48) 양자 모두에 의해 랩핑되는 중간 경사(42)를 갖는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40)의 사시도이다. 중간 경사(42)는, 직조 재료의 좌측 셰드와 우측 셰드 사이에 위치하는 단일 경사 또는 다수의 경사, 예컨대 직조 재료의 중간에 있는 중앙 경사를 가리킬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중간 경사(42)는 직조 재료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다양한 지점에 있는 단일 경사 혹은 다수의 경사, 예컨대 중심에서 벗어난 중간 경사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좌측 셰드 경사와 다수의 우측 셰드 경사 사이에 중간 경사를 갖는 중간 경사 영역과 관련한 양태를 설명하고 있지만, 중간 경사 영역 그리고 이웃한 좌측 셰드 경사 및 우측 셰드 경사와 관련하여 대응하는 중간 경사의 위치는 x 축의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좌측 캐리어(46) 및 우측 캐리어(50)는, 직조 재료의 셰드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레이피어(rapier), 셔틀, 공기제트, 워터 제트, 로봇식 공급기 등을 통해 위사를 이동시키기 위한 임의의 운반 메커니즘을 가리킬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좌측 캐리어(46) 및 우측 캐리어(50)는, 이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캐리어 방법을 이용하여 좌측 셰드(60) 및 우측 셰드(62)를 통해 손으로 운반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각각의 캐리어의 위치 설정 그리고 좌측 셰드(60) 및 우측 셰드(62)를 통한 대응 위사의 이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띠 무늬 직조를 위한 이중 캐리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화된 직조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캐리어 방법은 직조 재료의 셰드를 통해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다양한 양태에 따라 중간 경사(42) 주위에서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를 랩핑하기 위해 추가적인 캐리어 방법 또는 대안적인 캐리어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예에서는 직조 재료의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하나의 발단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위사 및 다른 하나의 발단부로부터의 다른 하나의 위사를 제공하는 제1 위사 및 제2 위사, 1차 실 및 2차 실, 혹은 임의의 다른 명칭을 가리킬 수 있다.
도 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22)의 공통 경사 영역(A)은, 복수의 제1 경사(52), 복수의 제2 경사(54), 복수의 제3 경사(56), 및 복수의 제4 경사(58)의 분리에 기초하여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 양자 모두에 의해 랩핑된다. 복수의 제1 경사(52)는, 복수의 제2 경사(54)의 복수의 경사(66)와 교호하는 복수의 경사(6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3 경사(56)는, 복수의 제4 경사(58)의 복수의 경사(70)와 교호하는 복수의 경사(68)를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 제시된 교호하는 단일 경사들은, Jacquard 방직 시스템과 같은 방직기의 하나 이상의 기계적인 특징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교호하는 실의 다수의 세트는 공통 직조 영역(A)을 둘러싸는 가변적인 직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직조기 기법에 따라 다수의 다양한 직조 패턴으로 개별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양태는 다양한 양태의 이중 캐리어 특징을 또한 이용하는, 경사 및 위사의 자동화된 조작 및/또는 기계적인 조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중 캐리어식 방직 시스템의 작동 중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위사(44)는 좌측(24)으로부터 좌측 셰드(60)로 진입하고, x축을 따라 운반되며, 중간 경사(42) 주위에서 랩(wrap)(72)을 형성한다. 작동 에지(74)의 방향으로 y축을 따라 그리고 시작 에지(76)로부터 멀리로 직물(22)에 대한 위사의 추가가 이루어진다. 이를 행하는 과정에서, 이중 캐리어 시스템이 작동되고 직물(22)이 단일 평면에 배향되어 있는 동안, 위사는 후방을 향한 방향(32)으로 강제될 수 있다. 도 3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후속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경사(52), 복수의 제2 경사(54), 복수의 제3 경사(56), 및 복수의 제4 경사(58)는 상방 위치 및 하방 위치에서 교호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측 셰드(60) 및 우측 셰드(62)는 방직 전반에 걸쳐 경사를 교환한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y축을 따르는 장력은, 좌측 셰드(60) 및 우측 셰드(62)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직 중에 전반적인 재료의 시프팅(shifting), 번칭(bunching), 및/또는 터깅(tugging)을 방지한다.
도 4에서의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40)의 사시도에 있어서, 우측 위사(48)는 우측(26)으로부터 우측 셰드(62)로 진입하고, x축을 따라 운반되며, 중간 경사(42) 주위에서 랩(wrap)(78)을 형성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랩(78)은 랩(72)과 서로 맞물리고, 이에 따라 대향하는 위사들은 중간 경사(42)의 랩핑 이외에도 서로의 주위에서 랩핑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42) 주위에서의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의 랩핑 방향에 기초하여,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의 상호 맞물림 특징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경사(42) 위에서의[예컨대, 상부측(34)으로부터의] 좌측 위사(44)의 회전은 랩(72)에서의 좌측 위사(44)의 제1 루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 랩(78)에서의 우측 위사(48)의 제2 루프를 제공하기 위해 중간 경사(42) 아래에서[예컨대, 하부측(36)으로부터] 랩핑되는 우측 위사와 상호 맞물릴 수 있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랩핑의 방향은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와 관련하여 역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위사(48)는 중간 경사(42) 위에서[상부측(34)으로부터] 랩핑할 수 있는 반면, 좌측 위사(44)는 중간 경사(42) 아래에서[하부측(36)으로부터] 랩핑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 있어서, 위사의 랩핑 배향 및/또는 각각의 위사를 구동하는 각각의 캐리어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중간 경사(42) 주위에서의 랩핑 방향은 재료의 유사한 쪽으로부터 유사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경사(42) 위에서의[예컨대, 상부측(34)으로부터의] 좌측 위사(44)의 회전은 랩(72)에서의 좌측 위사(44)의 제1 루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 랩(78)에서의 우측 위사(48)의 제2 루프를 제공하기 위해 중간 경사(42) 위에서[예컨대, 상부측(34)으로부터] 또한 랩핑되는 우측 위사(48)와 상호 맞물릴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중간 경사(42) 아래에서의[예컨대, 하부측(36)으로부터의] 좌측 위사(44)의 회전은 랩(72)에서의 좌측 위사(44)의 제1 루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 랩(78)에서의 우측 위사(48)의 제2 루프를 제공하기 위해 중간 경사(42) 아래에서[예컨대, 하부측(36)으로부터] 또한 랩핑되는 우측 위사(48)와 상호 맞물릴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예시적인 양태에서 우측 위사(48) 및 좌측 위사(44)는 양자 모두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랩핑할 수 있으며, 또는 중간 경사(42) 주위에서 제1 위사는 시계 방향으로 랩핑하고 제2 위사는 반시계 방향으로 랩핑하는 것이 고려된다. 랩핑의 이러한 회전 배향은 위사에 의해 랩핑 작용부로 진입하는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랩핑하는 위사(들)는 본원에 제시되는 고려 대상 랩핑 구성 각각에서 상호 맞물릴 수도 있고 상호 맞물리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좌측 위사(44)의 루프 및 우측 위사(48)의 루프는,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를 이동시키는 좌측 캐리어 및 우측 캐리어 양자 모두의 동시 이동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다. 좌측 위사(44)의 루프 및 우측 위사(48)의 루프는, 중간 경사(42)의 랩핑 중에 요구되는 임의의 순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우측 위사(48)의 루프는 좌측 위사(44)의 루프의 생성 이전에 또는 이후에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대향하는 위사들 사이에서의 상호 맞물림 특징부의 개수 및/또는 유형은 변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위사들이 함께 후킹(hooking)되는 추가적인 회수 또는 중간 경사(42)에서 만나는 위사를 연결하고 공통 경사 영역(A)을 생성하도록 중간 경사(42)를 랩핑하기 위한 상호 맞물림 기법의 다양한 유형이 변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주위에서의 랩핑 순서는 직조 재료의 직조의 열(row), 전체적인 직조 디자인, 및/또는 마무리 재료의 패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및/또는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의 조절되는 장력은 중간 경사 영역의 폭의 변화 및 이웃하는 경사 셰드들 중 하나 또는 2개에서의 대응하는 변화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40)은, 복수의 제1 경사(52) 및 복수의 제2 경사(54)의 교환[즉, x 축의 방향으로의 좌측 위사(44)의 위치 및 y 축 방향으로 직물(22)의 평면을 기준으로 한 상위 위치 및 하위 위치로부터의 교환] 이후에 개방된 좌측 셰드(60)를 통해 직물(22)의 좌측(24)으로 복귀하는 좌측 위사(44)를 도시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도 6에 있어서, 우측 셰드(62)는, 복수의 제3 경사(56)가 내려가는 동안 복수의 제4 경사(58)가 이제 상위 위치로 올라감에 따라, 우측 위사(48)의 복귀를 위해 개방된다. 도 7에 있어서, 우측 위사(48)는 x 축을 따라 직물(22)의 우측(26)으로 복귀하게 된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는 대향하는 셰드(60) 및 셰드(62)에 진입하며, 중간 경사(42)를 랩핑하여 직물(22) 상에 공통 경사 영역(A)을 제공하고, 경사의 상위 세트 및 하위 세트의 교환 시에 직물(22)의 좌측 및 우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8은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가 셰드에 진입하고, 중간 경사 영역을 랩핑하며, 직조 재료의 원래 쪽으로 복귀하는 개별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는 중간 경사를 랩핑하기 위해 좌측 셰드 및 우측 셰드에 동시에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는 재료의 원래 시작하는 쪽으로 복귀하는 것을 통해 직조 재료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복귀하게 될 수 있다. 중간 경사의 랩핑은,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가 동시에 랩핑하는 것, 우측 위사의 랩핑 이전에 좌측 위사를 랩핑하는 것, 또는 우측 위사의 랩핑 이후에 좌측 위사를 랩핑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따라,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를 좌측 셰드 및 우측 셰드로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캐리어들은, 이동 방향 및 중간 경사 영역의 중첩 및/또는 상호 맞물림 특징에 따라 동시에 또는 다른 시점에 이동할 수 있다.
도 9의 예시적인 양태에 있어서, 직물(22)은 중간 경사(42)에 이웃한 제1 부분(80) 및 중간 경사(42)에 이웃한 제2 부분(8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부분(80) 및 제2 부분(82)은 공통 경사 영역(A)에 이웃하여, y 축을 따라 증가하는 직물의 길이를 따라 일관되는, x 축을 따르는 직물(22)의 전체적인 폭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셰드를 통과하고 중간 경사(42) 주위에서 랩핑하며 교환된 셰드를 통해 복귀하는 위사의 각각의 통과를 통해 y 축을 따라 직물(22)의 추가적인 2개의 열(84)이 제공된다.
다음으로 도 10으로 돌아가면, 이중 캐리어 시스템(86)에 의해 생성되는 직물 내의 공통 영역의 증가된 부분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직물(22)은, 공통 경사 영역(B)에 이웃하는 제1 영역(88) 및 공동 경사 영역(B)에 이웃하는 제2 영역(90)을 포함한다. 도 10의 예에 있어서, 공통 경사 영역(B)은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에 의해 집단적으로 랩핑되는 다수의 경사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좌측 위사(44)는 랩(92)에서 공통 경사 영역을 랩핑하며, 우측 위사(48)는 랩(94)에서 공통 경사 영역(B)을 랩핑한다. 다양한 양태는, 경사 영역 내에서의 다수의 다양한 개수의 경사, 예컨대 경사 영역(A) 내의 단일 경사 혹은 다양한 직물(22)의 경사 영역(B)의 다수의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이중 캐리어 시스템(86)은, 대향하는 좌측 위사(44) 및 우측 위사(48)에 의해 랩핑되는, 공통 경사 영역(B) 내의 다수의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a로 돌아가면, 예시적인 띠 무늬 직조 시스템(96)의 상부도는, 경사의 제1 부분(100), 중간 경사 영역(102), 경사의 제2 부분(104), 좌측 위사(106), 우측 위사(108), 좌측 랩(110), 및 우측 랩(112)을 갖춘 직물(98)을 포함한다. 도 11a의 예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102)은 좌측 위사(106) 및 우측 위사(108)에 의해 랩핑되는 2개의 경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도 11b는, 경사의 제1 부분(118), 중간 경사 영역(120), 경사의 제2 부분(122), 좌측 위사(124), 우측 위사(126), 좌측 랩(128), 및 우측 랩(130)을 포함하는 직물(116)을 갖춘 띠 무늬 직조 시스템(114)을 도시하고 있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의 폭은 직물 전체에 걸쳐 변할 수 있는 반면, 대응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폭은 직물 내에서 조절된다. 예를 들면, 직물(98)의 중간 경사 영역(102)의 배치는 직물(116) 내의 중간 경사 영역(120)의 위치로 시프트(shift)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물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폭의 동적인 변화는 직물 본체를 따르는 공통 경사 영역의 크기 및/또는 위치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 각각에 대한 동적인 장력 조절은, 직물 내에서 중간/공통 경사 영역의 위치를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이중 캐리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 따르면, 직조되는 재료의 다양한 부분의 폭은 직조 중에 유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 직조되는 재료의 다양한 부분의 가변적인 폭은 직조 중에 동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조되는 재료의 다양한 부분은 중간 직조 영역의 다양한 폭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1a에 있어서, 직조되는 재료의 제1 길이는 제1 폭을 갖는 제1 부분(100), 제2 폭을 갖는 제2 부분(104), 및 제3 폭을 갖는 중간 경사 영역(1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조되는 재료의 제2 길이는, 도 11a의 예에 비해 중간 직조 영역의 변화된 폭 및 재료의 이웃한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된 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분(100)은 제1 부분(118)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도 있고, 제2 부분(104)은 제2 부분(122)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도 있으며, 중간 경사 영역(102)은 중간 경사 영역(120)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부분(100)은 제1 부분(118)과 동일하거나 더 작을 수도 있고, 제2 부분(104)은 제2 부분(122)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도 있으며, 중간 경사 영역(102)은 중간 경사 영역(120)과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재료의 직조 방향으로, 중간 경사 영역의 폭은 변할 수 있는 반면, 이웃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직조되는 재료의 문턱값 폭을 충족하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변경 중에, 중간 경사 영역에 이웃하는 재료의 일부는 중간 경사 영역의 실의 폭의 변화된 폭에 기초하여 증가될 수도 있고 감소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의 폭을 좁히는 것은, 하나 이상의 주변 실을 이웃하는 경사 셰드로 복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셰드는 좁아지는 중간 경사 영역의 좌측으로부터 추가적인 경사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우측 셰드는 좁아지는 중간 경사 영역의 우측으로부터 추가적인 경사를 얻을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경사의 좌측 셰드는 중간 경사 영역의 좌측에 추가되는 추가적인 경사에 응답하여 감소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경사의 우측 셰드는 중간 경사 영역의 우측에 추가되는 추가적인 경사에 응답하여 감소될 수도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 시스템(132)는, 좌측 캐리어(140)에 의해 운반되는 좌측 위사(138), 우측 캐리어(144)에 의해 운반되는 우측 위사(142), 그리고 좌측 셰드(148), 우측 셰드(150), 및 띠 무늬 경사(들)(152)를 포함하는 복수의 경사(146)를 이용하여 직물을 직조하도록 구성되는 직조기(136)를 갖춘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경사(146)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좌측 셰드(148)의 경사, 우측 셰드(150)의 경사, 및 띠 무늬 경사(152)의 동적인 개수를 비롯하여, 직물 내에서 일관되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띠 무늬 경사(152)의 시프팅 수 및/또는 위치는 좌측 셰드(148) 및 우측 셰드(150)의 이웃하는 경사들의 개수 및/또는 위치의 시프트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좌측 캐리어(140) 및 우측 캐리어(144)에 의해 좌측 위사(138) 및 우측 위사(142) 각각에 인가되는 장력은, 직물을 가로지르는 경사의 개수 및/또는 위치의 변경을 위해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중 캐리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예시적인 방법(154)이 도 13에 제시된다. 블록 156에서, 제1 위사는 제1 셰드를 통해 직조기의 제1 측으로부터 수용된다. 블록 158에서, 제1 위사는 띠 무늬 경사 주위에서 랩핑된다. 또한, 블록 160에서, 상위 경사 및 하위 경사는 제1 셰드를 기준으로 교환된다. 일단 제1 위사가 블록 162에서 제1 측으로 복귀하게 되면, 제2 위사가 블록 164에서 제2 셰드를 통해 직조기의 제2 측으로부터 수용된다. 블록 166에서, 제2 위사는 띠 무늬 경사 주위에서 랩핑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제2 위사의 이러한 랩핑은 블록 167에서 제1 위사와 제2 위사를 상호 맞물리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블록 168에서, 제2 셰드의 상위 경사 및 하위 경사는 교환되며, 제2 위사는 블록 170에서 제2 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14로 돌아가면, 이중 캐리어 시스템을 이용한 띠 무늬 직조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172)이 제시된다. 블록 174에서, 좌측 위사는 좌측 셰드를 통해 수용된다. 블록 176에서, 우측 위사는 우측 셰드를 통해 수용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블록 174 및 블록 176이 교호하게 될 수 있을 때 우측 위사는 좌측 위사 이전에 수용될 수 있으며, 랩핑 및 직조의 순서는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블록 178에서, 공통 경사 영역은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 양자 모두에 의해 랩핑된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좌측 위사 및 우측 위사는 공통 경사 영역의 랩핑 중에 상호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블록 180에서, 좌측 셰드 및 우측 셰드의 상위 경사 및 하위 경사는 직물의 직조 도중에 교환된다. 이에 따라, 블록 182에서, 좌측 위사는 좌측으로 복귀하게 되며, 우측 위사는 우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제1 위사 및 제2 위사는, 직물의 공통 랩핑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중간 경사 혹은 다수의 중간 경사를 랩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제1 위사 및 제2 위사는 직물의 x 축을 가로질러 반대 방향으로 향하며, 각각의 위사의 캐리어는 각각의 위사의 장력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직물의 y 축을 따르는 직조 도중에 직물 폭에 관한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공통 랩핑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 캐리어 시스템에 의해 적용되는, 각각의 위사에 대한 동적 장력 조절은, 직조되는 재료의 전체적인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공통 랩핑 영역 내에 집중되는 위사 부분의 폭을 증가시키거나 혹은 감소시키는 조절 가능한 직물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로 돌아가면, 예시적인 띠 무늬 직조 시스템(184)의 상부도는, 경사의 제1 부분(188), 1차 중간 경사 영역(190), 경사의 제2 부분(192), 1차 중간 경사 영역(190)의 공통 실을 랩핑하도록 조합되는 제1 위사(196) 및 제2 위사(198)를 비롯한 제1 직조 세그먼트(194)를 갖춘 직물(186)을 포함한다. 직물(186)의 띠 무늬 직조 특징부를 계속 생성하는 동안, 제1 직조 세그먼트(194)에 이웃한 제2 직조 세그먼트(200)에 있어서, 제1 위사(204) 및 제2 위사(206)는 직조되어, 제1 직조 세그먼트(194)에서 랩핑되었던 동일한 1차 중간 경사 영역(190)을 랩핑하며, 예컨대 1차 중간 경사 영역(190)의 3개의 경사를 랩핑한다. 제2 직조 세그먼트(200)의 적어도 일부의 직조 도중에, 제1 위사(204)는 제1 캐리어를 통해 제1 부분(188)을 통해 운반될 수 있다[예컨대, 동일한 제1 캐리어가 제1 위사(196)를 운반함]. 추가적으로, 제1 캐리어는, 시작 위치, 예컨대 식서 에지 또는 교호하는 발단부로 복귀하기 이전에 1차 중간 경사 영역(190) 주위에서 제1 위사(204)를 랩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제2 캐리어는, 그 시작 위치로 복귀하기 이전에 1차 중간 경사 영역(190) 주위에서 제2 위사(206)를 랩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직물(186)을 따라 직조이 진행하는 동안, 제3 직조 세그먼트의 실이 1차 중간 경사 영역(190), 예컨대 2차 중간 경사 영역(214)과 상이한, 감소된 공통 경사 영역을 포함함에 따라, 공통 경사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띠 무늬 직조 시스템(184)은, 제3 직조 세그먼트(202)에 할당되는 다수의 경사, 예컨대 2개의 경사를 갖춘 2차 중간 경사 영역(214)를 랩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제3 직조 세그먼트(202)는 제2 직조 세그먼트(200)에 이웃하게 직조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위사(208)는 제1 캐리어를 통해 제3 부분(212)을 통해 운반될 수 있다[예컨대, 동일한 제1 캐리어가 제1 위사(196) 및 제1 위사(204)를 이동시킴]. 추가적으로, 제1 캐리어는, 시작 위치로 복귀하기 이전에 2차 중간 경사 영역(214) 주위에서 제1 위사(208)를 랩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위사(210)는 경사의 제4 부분(216)을 통해 직조될 수 있으며, 시작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제2 캐리어에 의해 2차 중간 경사 영역(214) 주위에 랩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물(186)은, 중간 경사 영역의 폭을 유지시키거나 혹은 변경시키는 직물 본체의 다수의 세그먼트를 따라 제1 위사 및 제2 위사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의 예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의 폭의 변화는, 3사(three-yarn)형 1차 중간 경사 영역(190)으로부터 2사(two-yarn)형 2차 중간 경사 영역(214)으로의 시프트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의 개수는 직물의 이웃하는 부분들 사이에서 동일하게 유지될 수도 있고, 폭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직물의 이웃하는 부분들 사이에서 변할 수도 있으며, 이웃하는 경사 부분(즉, 188, 192, 212, 및 216)의 폭의 대응하는 조절과 함께 직조될 수도 있다. 동적인 중간 경사 영역의 랩핑 도중에, 위사는 또한 시작점/원점으로 복귀하기 이전에 대향하는 위사 쌍이 랩핑하고 서로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예에 있어서, 위사 쌍의 상호 맞물림은 또한 가변적일 수 있으며, 예컨대 상호 맞물린 위사 쌍은 직조되는 재료를 따라 특정한 간격으로 나타나게 되고, 예컨대 위사의 쌍이 5개의 직조 열마다 상호 맞물리는 공통 랩핑 영역에서 나타나게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제1 캐리어는 제1 위사(196, 204, 및 208)를 가변적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캐리어는 제2 위사(198, 206, 및 210)를 가변적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때 띠 무늬 직조 시스템(184)은 1차 중간 경사 영역(190) 및 임의의 후속하는 중간 경사 영역 및/또는 제2 중간 경사 영역(214)의 시프트 폭을 발생시키며, 2차 중간 경사 영역(214)에 이웃하는 경사의 제3 부분(212) 및 제4 부분(216)의 폭의 대응하는 시프트를 발생시킨다.
계속해서 도 15를 참고하면, 제1 직조 세그먼트(194)의 직조 도중에, 제1 위사(196)는, 제2 캐리어를 통해 제2 부분(192)을 통하여 제2 위사(198)를 직조함과 동시에, 상기 직조 이전에, 또는 상기 직조 이후에, 제1 캐리어을 통해 제1 부분(188)을 통하여 직조될 수 있다. 직물(186)을 통한 직조의 순서에 기초하여, 제1 위사(196) 및 제2 위사(198)는 동시에 1차 중간 경사 영역(190) 주위에 랩핑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실이 다른 실 이전에 랩핑되는 상황에서 랩핑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1차 중간 경사 영역(190)의 랩핑은 또한, 1차 중간 경사 영역(190) 주위에 실이 랩핑되는 동안 또는 상기 랩핑 이전에 혹은 상기 랩핑 이후에, 각각의 실 원점으로의 복귀 이전에, 예컨대 직조되는 재료와 관련된 교호 위치에서의 또는 직물(186)의 식서 에지 상에서의 복귀 이전에, 제1 위사(196) 및 제2 위사(198)의 상호 맞물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으로 돌아가면, 예시적인 띠 무늬 직조 시스템(218)의 상부도는, 제1 부분(220), 1차 중간 경사 영역(222), 및 제2 부분(224)을 포함하는 경사를 갖춘 직물(219)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직조 세그먼트(226) 내에서의 직조 도중에, 일부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222)은 제1 위사(228) 및 제2 위사(230)의 교호하는 쌍에 의해 랩핑될 수 있다. 1차 중간 경사 영역(222)을 2차 중간 경사 영역(240)으로 시프트시킬 때, 제2 직조 세그먼트(232)는 직물(219)의 제3 부분(238) 및 제4 부분(242)를 통해 직조되는 제1 위사(234) 및 제2 위사(236)를 포함하도록 직조될 수 있다. 추가적인 띠 무늬 시프트는 제2 직조 세그먼트(232)와 제3 직조 세그먼트(244)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1차 중간 경사 영역(222)은 제1 위사(246) 및 제2 위사(248)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경사에서의 대응하는 시프트[즉, 제3 부분(238)으로부터 다시 제1 부분(220)으로의 변화 및 제4 부분(242)으로부터 다시 제2 부분(224)으로의 변화]를 포함한다.
도 16의 예에 있어서, 직물(219)의 일관된 치수를 유지하면서, 이웃하는 부분들의 제1 경사 및 제2 경사는, 직물(219) 전반에 걸쳐 이웃하는 중간 경사 영역의 크기에 따라 위사와 함께 직조되는 경사의 부분을 교호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통 경사 영역, 예컨대 단일 얀의 공통 경사 영역의 일관된 폭을 유지하면서, 도 16의 예에서 교호하는 실의 대향하는 쌍의 위사 방향에 관한 장력의 크기를 비롯하여, 직물(219)의 다수의 치수를 가로질러 장력의 크기가 유지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 있어서, 장력의 크기는, 직조부의 단일 열 또는 다수의 열 사이에서 중간 경사 영역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직조부의 단일 열 또는 다수의 열 사이에서 중간 경사 영역에서의 경사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또는 경사 영역 위치 및 경사 영역 폭 양자 모두의 조합을 조정함으로써, 직조되는 재료 내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물 내에서의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띠 무늬 직조 특징부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거나, 또는 재배치하면서도 전체적인 직물 내에서 생성되는 장력의 크기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도 17의 예시적인 띠 무늬 직조 시스템(250)을 참조하면, 직물(252)은 제1 부분(254), 1차 중간 경사 영역(256), 제2 부분(258), 그리고 제1 위사(262) 및 제2 위사(264)를 포함하는 제1 직조 세그먼트(260)를 포함한다. 제2 직조 세그먼트(272)에 있어서, 공통 경사 영역은, 제3 부분(266) 및 제4 부분(270)과 함께 2차 중간 경사 영역(268)을 제공하도록 시프트된다. 제3 직조 세그먼트(280)와 관련하여, 일부 양태에 있어서, 공통 경사 영역은 직물(252) 내에서 새로운 위치로 다시 시프트되며, [1차 중간 경사 영역(256) 및 2차 중간 경사 영역(268)에서의 2개의 경사에 비해] 하나의 공통 경사를 포함하도록 줄어들고, 이때 3차 중간 경사 영역(278)은 제3 부분(266) 및 2차 중간 영역(268)의 조합된 경사뿐만 아니라 제2 부분(258)의 경사에 이웃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감소된 3차 중간 경사 영역(278)은 제4 직조 세그먼트(288)에서 4차 중간 경사 영역(286)으로 다시 시프트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4 직조 세그먼트(28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254) 및 제4 부분(270)의 이웃한 경사는, 제1 얀(290) 및 제2 얀(292)의 직조 및 랩핑에 대응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 17의 다양한 예에 있어서, 제1 위사(262, 274, 282, 및 290)는 각각의 열의 중간 경사 영역의 대응하는 폭에 따라 직조되는 반면, 쌍을 이루는 제2 위사(264, 276, 284, 및 292)는, 중간 경사 영역이 크기 및 위치 면에서 변화하는 동안 직물(252)의 폭을 유지시키는 대응하는 변화를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은 직조되는 재료의 단일 열 또는 다수의 열을 따라 위치 면에서 시프트할 수 있고, 공통 경사 영역의 폭을 변화시키는, 예컨대 도 17의 예에서 중간 직조 영역을 시프트시키는 하나의 얀 및 2개의 얀인, 일관된 수의 및/또는 가변적인 수의 경사를 포함하도록 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고하면, 직물(304)의 제1 단부(296)에서의 경사 영역 전방 단부(298) 및 직물(304)의 제2 단부(300)에서의 경사 영역 장력 조절 메커니즘(302)을 갖는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294)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간 경사(42)와 관련하여 유지되는 장력의 크기는, 직물(304)의 본체를 따르는 일관된 직조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된 경사 영역 전방 단부(298)[즉, 직물(304)에 이미 직조된 중간 경사 영역의 일부]와 관련하여 경사 영역 장력 조절 메커니즘(302)을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9의 예에 있어서,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306)은 경사 영역 장력 조절 메커니즘(310)에 대향하는 경사 영역 전방 단부(308)를 포함한다. 고정된 경사 영역 전방 단부(308)와 관련하여 장력 조절 메커니즘(310)에 인가되는 장력의 크기를 이용하면, 직물(312)은 하나 이상의 일관된 재료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반면, 고정된 및/또는 동적인 중간 경사 영역 주위에 제1 위사 및 제2 위사 양자 모두를 랩핑하는 동안, 띠 무늬 직조 특징부, 예컨대 직물 장력, 촉감, 신장, 표면 특징, 띠 무늬 특징 등을 통합시킬 수 있다.
도 20에 있어서, 예시적인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재료(314)는, 직물(320) 전체에 걸쳐 변화하는 중간 경사 영역(344)과 함께 복수 개의 위사(316) 및 복수 개의 경사(342)를 갖는 확대된 직물(320)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344)은, 도 20에서의 예의 제1 단부(318)에서 시작하여, 직물(320)의 y 축을 따라 다수의 폭을 포함한다. 제1 중간 경사 영역(324)은, 제1 직조 세그먼트(322)에 복수의 제1 캐리어 위사 및 제2 캐리어 위사를 포함한다. 제1 경사 증가부(326) 및 제2 경사 증가부(328)에 의해 중간 경사 영역(324)의 폭이 변화된 이후에, 제2 직조 세그먼트(330)는, 이전의 중간 경사 영역(324)보다 많은 수의 경사를 커버(cover)하는 중간 경사 영역(332)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직물(320)을 따라 직조하는 동안, 제1 캐리어 위사 및 제2 캐리어 위사는 제1 직조 세그먼트(322) 내에서 제1 중간 경사 영역 주위에 랩핑되며, 제2 직조 세그먼트(330) 내에서 제2 중간 경사 영역 주위에 직조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중간 경사 영역(344)은 이중 랩핑 영역의 공통 폭을 유지하면서 직물과 관련하여 위치가 시프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의 제3 직조 세그먼트(338)는, 중간 경사 영역(344) 구조의 일부로서 제1 위사 및 제2 위사 양자 모두에 의해 현재 랩핑되어 있는 경사의 개수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제3 중간 경사 영역(34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사 시프트(334; warp shift)를 나타내는 제3 중간 경사 영역(340)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21로 돌아가면,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재료(348)의 사시도가 다양한 양태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직조되는 예시적인 재료(348)는 중간 경사 영역(360)[중간 경사 영역(360)의 경계 주위의 파선에 의해 식별됨]을 둘러싸며, 직조되는 재료(348)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위사(354)가 운반되는 상황에서 복수의 경사(352)를 갖는 제1 직조 세그먼트(366)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직조 세그먼트(364)는, 각각의 위사가 공통 중간 경사 영역(360)의 경사를 랩핑하고 위사 발단부로 복귀함에 따라, 직조되는 재료(348)의 단지 일부 상에서 작용하는 복수의 제1 위사(350) 및 제2 위사(35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위사(350)는, 제1 위사(350)의 시작 위치로 복귀하기 이전에 경사의 일부를 통해 직조된다. 또한 제2 위사(356)는, 제2 위사(356)에 관한 시작 위치로 복귀하기 이전에 경사의 일부를 통해 직조된다. 중간 경사 영역(360)에서 이중으로 랩핑되는 경사(352)의 개수 및/또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에 기초하여, 제2 직조 세그먼트(364)는, 직조되는 재료(348) 내에 강화된 통합 직조 영역(358) 및/또는 가변 직조 텍스쳐(woven texture)를 포함한다. 제3 직조 세그먼트(362)에 있어서, 경사(352)는, 제1 직조 세그먼트(366), 제2 직조 세그먼트(364), 및 제3 직조 세그먼트(362)의 구체적인 배치에 따라 위사의 제1 캐리어 및 제2 캐리어에 기초하여 가능하게 되고 구조 내에 내장되는 통합형 직조 영역(358)을 갖춘 직조 재료(348)를 제공하기 위해 위사(354)와 함께 직조된다.
도 22에 있어서, 이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재료(368)는, 주위의 직조 재료(372), 제1 중간 경사 영역(374), 및 제2 중간 경사 영역(378)을 갖춘 직물(37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직조되는 재료(372) 내의 통합형 직조 영역(358)은 띠 무늬 직조 재료(372)의 강화된 부분을 제공하여, 향상된 내구성, 두께, 가변적인 텍스쳐, 부피감이 있는 외관, 장식용 디자인, 보강된 구조, 외형을 갖춘 성형부, 및/또는 공통 경사 및 중합된 및/또는 상호 맞물린 위사를 갖춘 이중 랩핑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특징과 같은 특징을 추가시킨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다수의 위사는 재료 내의 특정 영역의 다양한 부분에 삽입될 수 있어서, 상기 재료를 가로질러 개별적인 중간 경사 영역의 패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3 직조 세그먼트(362)가 x 축을 가로질러 운반되는 위사를 포함하는 동안, 제2 직조 세그먼트(364)는 직조되는 재료(368)의 단일 열 내에 다수의 위사 삽입부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다수의 위사의 삽입은 직물(370) 내에서 다수의 중간 경사 영역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이하의 차트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련의 활성 위사의 삽입 및 비활성 위사의 삽입은, 일부 양태에 있어서, 도 22의 선택적인 띠 무늬 특징을 제공하도록 직물(370)의 x 축을 가로질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제1 위사(A)는 활성 직조 상태 “A” 및 활성 띠 무늬 직조 상태 “A”로 표시되는 반면, 제2 위사(B)는 활성 직조 상태 “B” 및 활성 띠 무늬 직조 상태 “B”로서 표시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제1 영역은 제2 열 내지 제5 열 내에서 2가지 활성 띠 무늬 직조 상태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비활성 얀은 소문자 지시자로 표시되며, 예컨대 비활성 직조 상태 “b”로 표시된다. 한 가지 예에 있어서, 얀의 비활성 직조 상태는, 재료를 가로질러 운반되지만 상위 셰드 또는 하위 셰드의 어느 얀과 함께 상호 직조되지는 않는 얀을 가리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위사(A)는 방향 지시자 “←”를 이용하여 원점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아래의 차트에 표시되어 있는 반면, 제2 위사(B)는 방향 지시자 “→”를 이용하여 원점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Figure 112018085243814-pct00001
일부 양태에 있어서, 활성 위사 및 비활성 위사는 직조되는 재료의 다수의 열을 가로질러 변할 수 있으며, 재료의 특정한 부분, 예컨대 착용 상태의 구성에 있어서 착용 상태의 신발의 상위 부분 또는 운동선수의 셔츠의 어깨 부분에 대응하는 띠 무늬 특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띠 무늬 특징은, 구체적인 구조 및/또는 시각적 효과를 위해 필요한 경우 활성의/결합된 위사 및 랩핑된 경사 영역을 이용하여, 의복의 특정한 부분을 목표로 할 수 있다. 동시에, 특정한 특징부에 대응하지 않는 이러한 위치는, 전체적인 직조부로부터 활성 얀을 생략할 수 있고 및/또는 전체적인 직조부로부터 특정 구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앞서의 예에 있어서, 열 1은 단지 활성 위사(A)만을 포함하는데, 왜냐하면 직조부의 제1 열 내에는 띠 무늬 특징이 없으며, 띠 무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위사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일단 2개의 영역이 열 2에 도입되면, 한 가지 예에 있어서, 위사(A)는 주위 경사 셰드를 가로질러, 활성 띠 무늬 특징부(“A”)를 통해, 뿐만 아니라 중간 영역(“A”)을 통해 직조되어, 얀(A)에 의한 제1 띠 무늬 특징부와 제2 띠 무늬 특징부 사이의 연결을 제공한다. 일단 2개의 경사 영역 사이를 브리징(bridging)하면, 활성 띠 무늬 특징 “A”는 시작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제2 띠 무늬 특징부와 직조된다.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제2 위사(B)는 주위의 경사 셰드(“B”)를 가로질러 활성이며, 활성 띠 무늬 특징부(“B”)를 통해 결합되는 반면, 나머지는 앞서의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띠 무늬 특징부와 제2 띠 무늬 특징부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비활성(“b”)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제2 위사 “b”는 플로팅(floating)되거나, 또는 중간 영역을 통해 운반되며, 이에 따라 제2 위사는 2개의 띠 무늬 특징부 사이에서 재료와 결합되지 않는다.
앞서의 차트에서는 직조되는 재료의 폭을 가로질러 활성 배치 및 비활성 배치를 나타내는, 2개의 위사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시되었지만,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에 추가적인 얀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활성 직조 상태 및 비활성 직조 상태인 영역들 사이에서 교호하는 제3 얀의 제3 캐리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양태에 있어서, 2개의 띠 무늬 특징부 사이의 천이 영역과 같은, 재료 전체에 걸친 특정 직조 특징부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위사가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이하의 차트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3 얀(C)은 활성 직조 상태 “C” 및 활성 띠 무늬 직조 상태 “C”로 표현된다. 또한, 제1 영역은 얀(A) 및 얀(C)의 활성 띠 무늬 직조 상태 양자 모두를 포함하며, 제2 영역은 얀(C) 및 얀(B)의 활성 띠 무늬 직조 상태를 포함한다.
Figure 112018085243814-pct00002
추가적인 양태에 있어서, 제1 발단부로부터의 제1 위사 및 제2 발단부로부터의 제2 위사는 직조되는 재료에서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중첩되어, 위치에 특정되는 띠 무늬 직조 특징부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 있어서, 제1 위사, 제2 위사, 및 제3 위사는, 재료 내에서 공유되는 열을 갖는 띠 무늬 특징부들 사이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띠 무늬 직조 재료를 제공하도록 직조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 있어서, 다수의 얀은 직조되는 재료의 특정 부분 내에서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및/또는 비활성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띠 무늬 직조 재료에 결합되는 다수의 얀을 유지하면서도 낭비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의 다수의 상이한 구성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가 가능하다. 본 기술의 실시예는 한정적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인 의도로 설명된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을 읽은 이후에 그리고 본 개시내용을 읽으면 본 개시내용의 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전술한 바를 실시하기 위한 대안적인 수단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완성될 수 있다. 특정한 특징부 및 하위 조합은 유용하며, 다른 특징부 및 하위 조합을 참고하지 않고도 채용될 수 있고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원에서 그리고 이하에 나열된 청구항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용어 “임의의 청구항” 또는 이러한 용어의 유사한 변형은, 해당 청구범위의 특징들이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도록 해석되게 하려는 의도이다. 예를 들면, 예시적인 청구항 4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임의의 청구항의 방법/장치를 지시할 수 있고, 이는 청구항 1 및 청구항 4의 특징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청구항 2 및 청구항 4의 요소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요소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의 요소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청구항 2,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요소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요소들이 조합될 수 있다는 것으로, 및/또는 다른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용어 “임의의 청구항” 또는 이러한 용어의 유사한 변형은 앞서 제시된 예의 일부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하나의 청구항” 또는 이러한 용어의 다른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띠 무늬 직조 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로서, 상기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1 측 상의 제1 캐리어로서, 상기 제1 캐리어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1 측으로부터의 제1 위사(weft yarn)를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캐리어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1 측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warp yarn)를 갖는 공통 경사 영역(common warp zone)으로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제1 셰드(shed)를 통해 제1 위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위사는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 주위에서 랩핑(wrapping)하고 상기 제1 캐리어에 의해 상기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측으로 되돌아오도록 구성되는, 제1 캐리어; 및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측에 대향되는 제2 측 상의 제2 캐리어로서, 상기 제2 캐리어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2 측으로부터의 제2 위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캐리어는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제2 측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까지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제2 셰드를 통해 제2 위사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위사는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 주위에서 랩핑하고 상기 제2 캐리어에 의해 상기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의 상기 제2 측으로 되돌아오도록 구성되는, 제2 캐리어
    를 포함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는 제1 레이피어(rapi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리어는 제2 레이피어를 포함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셰드는 복수의 제1 상위 경사 및 복수의 제1 하위 경사를 포함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셰드의 복수의 제1 상위 경사 및 복수의 제1 하위 경사는 제1 셰드 및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셰드는 복수의 제2 상위 경사 및 복수의 제2 하위 경사를 포함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셰드의 복수의 제2 상위 경사 및 복수의 제2 하위 경사는 제2 셰드 및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제1 위사 및 제2 위사는, 제1 위사 및 제2 위사가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 주위에서 랩핑할 때 서로에 대해 상호 맞물리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 무늬 직조 재료의 공통 경사 영역은, 공통 경사 영역 내의 중간 경사의 가변적인 개수에 기초하여, 특정 형상, 배향, 치수,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디바이스.
  11. 중간 직조 영역을 갖는 직조 재료를 생성하기 위한 띠 무늬 직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직조기(weaving loom) 상에서 복수의 제1 상위 경사 및 복수의 제1 하위 경사로부터 제1 셰드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직조기의 제1 측으로부터 제1 셰드 부분을 통해 상기 중간 직조 영역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로 제1 위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 주위에서 제1 위사를 랩핑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제1 상위 경사 및 복수의 제1 하위 경사는 중간 직조 영역의 제1 단부에 바로 이웃하는 것인 단계;
    제2 셰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1 상위 경사의 위치와 복수의 제1 하위 경사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셰드 부분을 통하여 직조기의 제1 측으로 제1 위사를 복귀시키는 단계;
    복수의 제2 상위 경사 및 복수의 제2 하위 경사로부터 제3 셰드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제2 상위 경사 및 상기 복수의 제2 하위 경사는 중간 직조 영역의 제2 단부에 바로 이웃하며, 상기 제1 단부는 중간 직조 영역의 제2 단부에 대향되는 것인 단계;
    상기 제3 셰드 부분을 통하여 직조기의 제2 측으로부터 제2 위사를 제공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 주위에서 제2 위사를 랩핑하는 단계;
    제4 셰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제2 상위 경사의 위치와 복수 개의 제2 하위 경사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
    상기 제4 셰드 부분을 통하여 직조기의 제2 측으로 제2 위사를 복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띠 무늬 직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조기의 제1 측은 직조기의 제2 측에 대향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 주위에서 제2 위사를 랩핑하는 단계는 제2 위사를 제1 위사와 상호 맞물리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직조 영역은, 교호하는 직조 열(woven row)에서 제1 위사 및 제2 위사에 의해 랩핑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로 이루어지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직조 열은, 제1 위사를 수용하는 제1 셰드 부분 및 제2 위사를 수용하는 제2 셰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방법.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상위 경사의 위치와 복수의 제1 하위 경사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는, 복수의 제1 상위 경사가 하위 경사가 되도록 하고 복수의 제1 하위 경사가 상위 경사가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복수의 제2 상위 경사의 위치와 복수의 제2 하위 경사의 위치를 교환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에 이웃한 제2 경사들을 교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방법.
  17. 띠 무늬 직조 재료로서,
    제1 위사와 상호 직조되는 복수의 제1 경사를 포함하는 제1 직조 부분;
    제2 위사와 상호 직조되는 복수의 제2 경사를 포함하는 제2 직조 부분;
    상기 제1 직조 부분과 상기 제2 직조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직조 영역으로서, 상기 제1 직조 부분은 상기 중간 직조 영역의 제1 측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직조 부분은, 상기 중간 직조 영역의 상기 제1 측에 대향하는 제2 측에 인접하며, 상기 중간 직조 영역은 하나 이상의 중간 경사와 상호 직조되는, 상기 제1 위사 및 상기 제2 위사, 모두를 포함하는 것인 중간 직조 영역
    을 포함하는 띠 무늬 직조 재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전체적인 재료 폭은, 제1 직조 부분을 가로지르는 제1 폭, 제2 직조 부분을 가로지르는 제2 폭, 및 중간 직조 영역을 가로지르는 제3 폭을 포함하는 것인 띠 무늬 직조 재료.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띠 무늬 직조 재료의 전체적인 재료 폭은, 중간 직조 영역의 동적인 폭에 대응하는, 제1 직조 부분 및 제2 직조 부분 중 하나 이상의 동적인 폭에 기초한 일정한 폭인 것인 띠 무늬 직조 재료.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사 및 상기 제2 위사는 중간 직조 영역에서 상호 맞물리는 것인 띠 무늬 직조 재료.
KR1020187024736A 2016-01-28 2017-01-26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 방법, 및 재료 KR102102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88173P 2016-01-28 2016-01-28
US62/288,173 2016-01-28
PCT/US2017/015132 WO2017132378A1 (en) 2016-01-28 2017-01-26 Multi-carrier, zonal weaving system, method, and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732A KR20180104732A (ko) 2018-09-21
KR102102739B1 true KR102102739B1 (ko) 2020-04-21

Family

ID=5796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736A KR102102739B1 (ko) 2016-01-28 2017-01-26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 방법, 및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45037B2 (ko)
EP (1) EP3408435B1 (ko)
KR (1) KR102102739B1 (ko)
CN (1) CN108884607B (ko)
MX (1) MX2018009223A (ko)
TW (1) TWI650456B (ko)
WO (1) WO2017132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0456B (zh) * 2016-01-28 2019-02-1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多梭子分區編織系統、方法及材料
KR102102435B1 (ko) * 2019-09-04 2020-04-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부착력을 향상시킨 텍스타일 그리드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6157A (ja) * 2011-07-12 2013-02-21 Nippon Filcon Co Ltd 工業用多層織物の接合用ルー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02964B1 (ko) * 1972-10-17 1975-03-28 Alsacienne Constr Meca
IT992532B (it) * 1973-05-04 1975-09-30 Doriguzzi Sas Dispositivo per l azionamento degli aghi portatrama nei telai tessili senza navetta
US4004617A (en) * 1974-11-26 1977-01-25 J. P. Stevens & Co., Inc. Method for forming a double catch thread narrow weave
GB1553575A (en) * 1976-07-21 1979-09-26 Tekdata Ltd Electrical conductor ribbon and the manufacture thereof
US4243076A (en) 1978-06-08 1981-01-06 Mallard Robert G Loom rapier drive mechanism
CH639710A5 (de) * 1979-11-08 1983-11-30 Textilm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webes, webmaschin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gewebe.
BE898963A (nl) 1984-02-21 1984-06-18 Wiele Nv Van De Twister voor weefmachines en weefmachines met dergelijke twister uitgerust
DE59207102D1 (de) 1991-07-24 1996-10-17 Rueti Ag Maschf Greiferwebmaschine mit auf Fadeneigenschaften einstellbarer Schusseintragsvorrichtung
CH682289A5 (en) * 1991-09-13 1993-08-31 Textilma Ag Narrow fabric production - uses weft threads to make a joint of two bands for a specified distance
DE4204014A1 (de) 1992-02-12 1993-08-19 Chemnitzer Webmasch Gmbh Schusseintragsvorrichtung an doppelteppichwebmaschinen
WO1996027701A1 (fr) 1995-03-08 1996-09-12 Toray Industries, Inc. Materiau tisse renforce et procede et appareil pour sa fabrication
ZA963715B (en) 1995-05-12 1996-11-20 Tensar Corp Bonded composite open mesh structural textiles
IT1276917B1 (it) 1995-10-12 1997-11-03 Somet Soc Mec Tessile Telaio verticale a doppi subbi
CN1079122C (zh) 1997-03-03 2002-02-13 比蒂姆股份公司 网格状织造的3d织物
KR100491512B1 (ko) 1997-03-03 2005-05-27 비팀 아베 3d 제직물 및 이의 제조 장치
SE520492C2 (sv) * 2000-03-06 2003-07-15 Biteam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textiltillverkning
US20050161104A1 (en) * 2002-06-17 2005-07-28 Erich Reiter Method of producing a woven webbing
DE10228066B4 (de) * 2002-06-17 2004-07-29 Berger, Johan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webten Gurtbandes
BE1016032A6 (nl) 2004-02-25 2006-01-10 Wiele Michel Van De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weven van poolweefsels met afstandhouder en dubbele houderelementen.
BE1016336A5 (nl) 2004-12-02 2006-08-01 Wiele Michel Van De Nv Werkwijze voor het weven van dubbelstukweefsels, weefsel geweven volgens een dergelijke werkwijze en dubbelstukweefmachine voorzien voor het uitvoeren van een dergelijke werkwijze.
PL1838909T3 (pl) 2005-01-17 2012-02-29 Tape Weaving Sweden Ab Materiał tkany zawierający taśmopodobną osnowę i wątek oraz urządzenie i sposób jego tkania
CA2594350C (en) 2005-01-17 2013-11-19 Tape Weaving Swede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weaving tape-like warp and weft and material thereof
BE1016883A3 (nl) 2005-12-06 2007-09-04 Wiele Michel Van De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poolweefsels met hoge dichtheid.
EP1900861B1 (en) 2006-09-05 2015-07-08 NV Michel van de Wiele Method for weaving a fabric and fabric woven according to such a method
CN202347194U (zh) 2011-10-27 2012-07-25 如皋市如兴纺织有限责任公司 一种剑杆织机
DE202012007416U1 (de) * 2012-08-03 2012-09-10 Nicolaus, Prof.Dr.Dipl.-Ing.mult. Wenzel Nadelbandgewebtes, mehrschüssiges, medizinischs Verbandsmaterial
KR102094952B1 (ko) * 2016-01-12 2020-03-3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다층 직조 요소
TWI650456B (zh) * 2016-01-28 2019-02-1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多梭子分區編織系統、方法及材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6157A (ja) * 2011-07-12 2013-02-21 Nippon Filcon Co Ltd 工業用多層織物の接合用ルー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45037B2 (en) 2018-12-04
MX2018009223A (es) 2018-09-10
TWI650456B (zh) 2019-02-11
CN108884607A (zh) 2018-11-23
CN108884607B (zh) 2020-11-10
EP3408435A1 (en) 2018-12-05
KR20180104732A (ko) 2018-09-21
EP3408435B1 (en) 2021-05-12
US20170218541A1 (en) 2017-08-03
WO2017132378A1 (en) 2017-08-03
TW201730394A (zh)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1727B (zh) 運動型內衣
EP3665320B1 (en) Multiple layer knitted components having multi-bed area
KR20150035530A (ko) 편평 다엽형 단면 섬유를 사용한 직물
TWI808924B (zh) 以高軔度紗加強的鞋類物件
TW201712177A (zh) 編織物及編織物之接合方法
KR102102739B1 (ko) 다중 캐리어식 띠 무늬 직조 시스템, 방법, 및 재료
CN109415855A (zh) 织物布料
US20130086726A1 (en) Clothing components and articles of clothing including fabric woven with a multi-layered region and a single-layered region, and methods of making such woven fabrics
US9027367B2 (en) Knitted velcro sleeve
US6823700B1 (en) Pile yarn processed warp knit fabric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fied warp knit fabrics by cutting portions
CN1059938C (zh) 罗纹组织的编织方法
EP3894619B1 (en) A method of making a knitted component with vertical inlay
CN109989166B (zh) 编织部件
CN201221040Y (zh) 干燥部织物和干燥部织物的接缝区
US7503192B1 (en) Corduroy fabric
US20230160114A1 (en) Warp knit component with weft inlays
KR102561228B1 (ko) 탄성이 우수한 입체삼중직물의 제조방법
CN108468135A (zh) 一种透气型帽衬及调节帽衬双向挺刮度的方法
CN112105769B (zh) 具有热学性质的针织部件
US20240044054A1 (en) Article comprising a knit element
EP2034062B1 (en) Corduroy fabric
WO2023096863A1 (en) Warp knit component with weft inlays
EP1233089A1 (en) Reinforced fabric
KR100904914B1 (ko) 골덴 직물
CA1120739A (en) Warp knit elastic tape construction for use as waistband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