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432B1 -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432B1
KR102102432B1 KR1020170105691A KR20170105691A KR102102432B1 KR 102102432 B1 KR102102432 B1 KR 102102432B1 KR 1020170105691 A KR1020170105691 A KR 1020170105691A KR 20170105691 A KR20170105691 A KR 20170105691A KR 102102432 B1 KR102102432 B1 KR 10210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ttachment
light source
traffic light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568A (ko
Inventor
황민선
Original Assignee
황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민선 filed Critical 황민선
Priority to KR1020170105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4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1/22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Abstract

본 개시는 운전자로 하여금 교통신호등의 신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신호등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를 공개한다.
본 개시의 신호등 지지 구조체는, 지주대, 지주대에 결합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며 신호등을 설치 가능한 부착대, 제어부를 포함하고, 부착대는 신호등의 신호와 연동하여 동일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A SUPPORT STRUCTURE OF TRAFFIC SIGNAL FOR IMPROVING VISIBILITY}
본 개시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인성 향상을 위해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호등 지지 구조체는 철제로 재질로 이루어져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 상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부착대로 구성되고, 상기 부착대에는 신호등이 설치된다.
신호등은 적색, 청색, 황색의 불빛으로 점멸되는 색깔에 의해 교통법규에 기재된 규칙에 운전자가 도로상을 운행하도록 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 전부터는 전구(bulb)를 대신하여 LED를 설치하여 시인성이 높아짐과 함께 에너지효율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신호등만으로는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신호지시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컨대, 도로 가에 세워진 전봇대나 가로수 등과 같이 신호등 주변이 복잡함으로 인해 신호등의 디스플레이에 지시되는 신호가 가려지는 상황 등이다. 특히, 한국은 곡선도로가 많은데, 이때 운전자는 멀리서 곡선도로에 의해 신호등이 가려져서 신호등의 존재 내지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며, 더러는 인명사고가 발생한다. 나아가, 어두운 밤 중에는 적색 신호가 차량의 전조등과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철제 재질의 부착대는 높은 중량으로 시공 난이도가 높고, 처짐 현상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를 위해 보강부재를 별도로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장기간에 걸친 부식 등에 의해 녹이 발생하여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운전자로 하여금 교통신호등의 신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신호등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더불어서 이동체가 멀리서도 신호의 잔여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호를 건너는 이동체의 불필요한 가속과 감속을 제어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출발 지연에 따른 교통정체를 해소하는데 두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파손 및 변형 위험성이 높은 부분을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고,각 부분애 대한 선택적인 교체 및 보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교체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세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PVC를 적용한 지주대의 경량화를 통해 기존 금속 철재의 사용을 줄이고,녹 발생 문제 및 처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네번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신호등 지지 구조체는,
지주대, 지주대에 결합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며 신호등을 설치 가능하며, 내부에 선광원이 구비된 부착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선광원은 설정된 구간에 빛을 발광시키는 광전달체 및 광전달체에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부착대는 신호등의 신호와 연동하여 동일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부착대는 광확산 소재의 광확산커버파이프로 커버를 이루고, 광확산커버파이프는 단면을 상하로 가로 지르며 확산커버파이프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중심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부착대에 타임라인 신호를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이동체로부터 응급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수신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응급신호에 의해 부착대는 응급신호를 발광한다.
상기 해결 수단에 따른 본 개시의 신호등 지지 구조체는,
첫번째, 운전자로 하여금 교통신호등의 신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신호등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두번째, 이동체가 멀리서도 신호의 잔여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호를 건너는 이동체의 불필요한 가속과 감속을 제어하여 에너지 낭비를 줄이고, 출발 지연에 따른 교통정체를 해소할 수 있다.
세번째, 파손 및 변형 위험성이 높은 부분을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고,각 부분에 대한 선택적인 교체 및 보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교체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네번째,PVC를 적용한 지주대의 경량화를 통해 기존 금속 철재의 사용을 줄이고,녹 발생 문제 및 처침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절개도 및 부착대의 단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지지 방법(A)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지지 방법(B)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측면발광광섬유의 측면 발광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광섬유다발과 광원집합체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원집합체와 광굴절렌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부착대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분리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와 지주대의 결합부의 분리사시도;
도 9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와 이동체의 무선통신 구성 및 제어부에 의한 지지체의 발광제어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시간별 타임라인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신호등과 연동되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및 시간별 타임라인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무선통신 구성과 응급 신호 수신에 따른 지지 구조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보강재 삽입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도 10의 II-II'단면도로서,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부착대 단면도; 및
도 15는 도 14의 다른 실시 예인, II-II'단면도로서, 제4실시예에 따른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부착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신호등'은 신호등 함체를 의미하는 것이며, 신호등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호등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신호등 지지 구조체'란 신호등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이지 '신호등'을 포함한 신호등 구조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주대(110)가 설치된다. 지주대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동바퀴를 구비할 수도 있고, 벽면에 지지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지주대가 지면에 지지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주대(110)의 상부으로는 부착대(120)가 측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제1실시예는 도 1을 통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지주와 수직하게 연장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지면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은 아니며, "
Figure 112017080766818-pat00001
"와 같이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와 필요에 따른 선택적 사항이다.
부착대(120)에는 신호등(S)가 설치되어 부착된다.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신호등(S)은 브라켓에 의해 부착대(120)에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착대(120)와 지주대(110)의 상부는 와이어(W)로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W)의 일단은 지주대(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부착대(120)에 결합되어 부착대(120)의 처짐 변형을 방지한다.
지주대(110)의 최상층에는 태양열 집열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실시예들은 종래의 신호등과 비교하여 사용 전력이 많을 수 있으므로,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장비를 더 구비하는 것이며, 이는 태양열 집열판, 태양광 패널이 되든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대(120)의 사시도와 부분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대(120)는 중심지지대(121)에 의해 중심이 지지되고, 중심지지대(121)는 광확산커버파이프(122)의 내부를 관통하여, 광확산커버파이프(122)를 지탱한다. 그리고 광확산커버파이프(122)의 내부로 광섬유다발(126)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심지지대(121)는 고강도 알루미늄 내지 알루미늄에 비견되는 높은 강도를 지닌 소재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지지대(121)는 약 12m 길이 혹은 그 이상 연장되고, 신호등(S)이 설치되므로, 이를 견딜정도의 강도가 확보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중심지지대(121)의 단면형상은 상하로 길고 폭이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커버파이프(122)는 내부에는 단면을 상하로 가로 지르며 광확산커버파이프(122)의 휨응력을 보강하도록 광학산커버파이프(122)의 상하를 지지하는 중심지지대(122a)가 구비된다.
광확산커버파이프(122)는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광확산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확산커버파이프(122)는 황변 방지를 위해 황변 방지 도장을 할 수 있으며, 황변 방지 도장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9116호에 공개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광확산커버파이프(123)의 단면형상은 '
Figure 112017080766818-pat00002
', '
Figure 112017080766818-pat00003
', '
Figure 112017080766818-pat00004
'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광확산커버파이프(123)의 내부에는 광섬유지지판(127)이 삽입되며, 광섬유지지판(127)에는 광섬유다발(126)이 지지된다. 광섬유다발(126)은 광원집합체(125)로부터 방출된 빛에너지를 전달한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지지 방법(A)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지지 방법(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A)를 참조하면, 광섬유가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짐에 따라, 부착대(120)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므로,
광섬유지지판(127)에 광섬유다발(126)을 고정함으로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광섬유지지판(127)은 지지훅(127a,b,c,d)를 구비하여, 광섬유를 지지한다. 도 3은 단부의 지지훅만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지지링 또는 지지훅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가감되는 설계변경사항이다.
도 3 (B)를 참조하면, 광섬유의 플렉시블한 성질을 극복하고 별도의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로서, 뜨개형으로 구비하여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광섬유다발(126)을 이루는 광섬유는 측면발광광섬유로서, 측면발광광섬유의 측면 발광 원리를 나타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광섬유로 입사한 빛(10)은 광섬유의 코어를 따라 전반사하여 광섬유의 최단부까지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코어의 바깥을 둘러싸는 클래딩을 (임의로) 훼손하는 경우 훼손된 부분에서 빛이 빠져나가 임의 위치에서 측면발광이 되는 원리이다.
도 5는 광섬유다발과 광원집합체의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섬유다발(126)은 광원집합체(125)에 연결되며, 도 5와 같이 각기의 광원(125a, 125b, 125c, 125d)에 각기의 광섬유다발(126a, 126b, 126c, 126d)가 연결된다. 도 5의 표현은 6개의 광원에 연결된 6개의 광섬유다발을 표현하였지만, 이는 도면상 표현을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125a, b, c, d)은 LED 또는 레이저광일 수 있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에 삽입되는 광원집합체와 광굴절렌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광원집합체는 레이저 광원 집합체(325)이고 레이저 광원 집합체(325)를 통해 방출된 레이저는 광굴절렌즈(326)을 통과하며 부착대(120)의 설정된 위치로 빛을 굴절시켜 도달시킨다. 실시예의 오목렌즈는 중심부의 레이저광(Bin)이 지주대(110)에서 가장 먼 부착대(120)의 단부로 방출되며, 오목렌즈의 단부의 레이저광(Bout)이 지주대(110)에서 가장 가가운 부착대(120)의 단부로 방출되도록 레이저광을 굴절시킨다.
따라서, 레이저 광원 집합체(325)의 빛을 조절함에 따라 부착대(120)에 도달하는 빛의 위치와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광굴절렌즈(326)는 외부환경(바람,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에 따라 내부에서 깨지거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외부 진동을 감쇄하여 광굴절렌즈(326)를 보호하는 완충부(32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대(120)를 연결하는 브라켓(130)의 사시도 및 브라켓 결합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부착대(120)는 12m이상 길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운반의 편의성 작업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분리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부착대(120)는 3단으로 분리되며, 도 4는 부착대(120)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분리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결합부는 브라켓(130)에 의해 결합된다.
브라켓(130)은 부착대(120)와 연장부착대(120')의 결합 부분에 설치되어 부착대(120)에 대해 연장부착대(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결합 부분을 보강한다. 브라켓(130)은 길이방향 양측이 각각 부착대(120)의 단부측 외주변과 연장부착대(120')의 단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커버부재(131,132)와,커버부재(131, 132)의 절개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쌍의 연장플랜지(133)와 커버부재(131, 132)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연장플랜지(133)를 서로 밀착시키는 결합볼트(134a) 및 결합너트(134b)를 포함한다.
브라켓(130)에는 와이어(W, 도 1 참조)의 단부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연결부(135)가 각각 구비된다. 와이어연결부(135)는 브라켓(130)에 마련된 한 쌍의 연장플랜지(133)가 내측에 진입할 수 있게 홈부가 마련되고 수평 방향으로 제1관통홀이 형성된 클램프(135a)와,클램프(135a)의 상부로 연장되어 와이어(W)를 체결할 수 있게 제2통과구멍이 형성된 고리부(135b)를 포함한다.
와이어연결부(41)는 결합볼트(134a) 및 결합너트(134b)에 의해 브라켓(1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부착대(120)는 연장될 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유리하므로, 연장부착대(120')는 부착대(120)와 비교하여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브라켓(130)의 커버부재(131, 132) 구역이 나뉘어 부착대(120)의 단부측 외주변과 결합되는 구역의 제1커버부(131) 및 연장부착대(120')의 단부측 외주면을 감싸는 구역의 제2커버부(132)로 이루어지고, 제2커버부(132)의 직경이 제1커버부(131)보다 작다.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부착대와 지주대의 결합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지주브라켓(140)은 지주(110)에 구비된 지주결합지지대(111)와 부착대(120)의 결합 부분에 설치된다. 지주브라켓(140)은 커버부재(141), 연장플랜지(143), 결합볼트(144a) 및 결합너트(144b) 를 포함한다. 브라켓(130)과 마찬가지로 지주결합지지대(111)의 단부측 외주변과 부착대(120)의 단부측 외주변을 감싸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어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다.
지주브라켓(140)은 브라켓(130)과 달리 외경이 동일한 원통구조를 적용했으나, 브라켓(130)과 같이 외경을 달리해도 무관하다. 한편 지주브라켓(140)이 반드시 수평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지주결합지지대(111)와 함께 설계에 따라 수직으로 구비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부착대(130)가 "
Figure 112017080766818-pat00005
"와 같이 곡선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와 이동체의 무선통신 구성 및 제어부에 의한 지지체의 발광제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교통 신호 주기가 입력된 데이터 메모리(154)와 타이머(153)에서 정보를 제공받아 부착대(130)의 광원(125)과 신호등(S)에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에에 구비된 무선통신수신기(160)에 정보를 제공받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시간별 타임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도 9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착대(130)의 광원(125)은 타임라인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타임라인이란, 신호의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카운트다운을 의미한다.
도 10의 (A)~(C)도면은, 각각 제1시간~제3시간에서의 광원(125)의 점등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부착대(130)의 광원(125)는 기본적으로 신호등(S)의 빛의 색과 연동하며 신호등에 적색 신호가 점등된 경우 광원(125)도 적색신호가 점등되고, 시간에 따라 타임라인이 작동한다.
타임라인은 선형으로 이루어져 숫자를 제공하는 시간과 달리 멀리서도 시간의 경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호를 건너는 이동체의 불필요한 가속과 감속이 제어된다.
도 11은 신호등과 연동되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및 시간별 타임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연장선상에 있는 설명이며, 도 11 (E)와 같이 신호등에 황색신호 점등시 부착대(130)의 광원(25)도 황색신호가 점등되고, 도 11 (F) 내지 (H)와 같이 신호등에 녹색신호 점등시 부착대(130)의 광원(125)도 녹색신호가 점등되며, 도 10과 마찬가지로 타임라인이 작동할 수 있으므로, 출발 시간을 예측하여 대기시 엔진소모를 감축할 뿐만 아니라, 출발 지연에 따른 교통정체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2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무선통신 구성과 응급 신호 수신에 따른 지지 구조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도 9과 함께 참조하면,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무선통신수신기(160)가 응급차 등 위급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통신송출기(1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신호에 따라 부착대(130)의 광원(125)을 제어하여 위급신호를 발생시킨다. 응급상황에서 신호등 앞에 차량이 빼곡히 있는 경우 응급차량은 부득이 중앙선을 넘을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발생하는 사고의 확율이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부착대(130)의 광원(125)은 제어부에 의해 신호등의 신호와 다른 색의 신호를 제공하고, 불빛을 번갈아 제공(적색<->녹색)하거나 깜빡거림(황색 깜빡임)으로써, 위급차량의 앞쪽 차량에 위급신호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상황을 인지시키고 길을 비킬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13은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보강재 삽입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I-I'단면도로서, 제3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부착대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제3실시예의 광확산커버파이프(222)는 중심부의 상하방향이 중심지지대(221)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광확산커버파이프(222)의 내측으로 광섬유지지판(126)에 의해 지지된 광섬유다발(127)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한편, 광확산커버파이프(222)의 내측으로 보강와이어(180)가 추가로 구비되어 지지되며, 보강와이어(180)는 부착대의 최 외측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중심지지대(222)의 내부를 관통하여 지주대(110) 내부로 삽입되며, 지주대(110)와 부착대(120)의 결합부에 구비된 도르레(181)에 결합되어 지주대(110)의 상부에 타단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에는 장력 조절 장치(182)가 구비되어, 장력이 감소되는 경우 조절할 수 있다.
보강와이어(180)은 탄소섬유로프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와이어(180)는 특히 인장강도가 높은 것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와이어(180)는 광확산커버파이프(222)의 내측 어느 곳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심지지대(221)의 내측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보강와이어(180)와 중심지지대(121)는 양자택일적 관계가 아닌, 필요에 따라 보강와이어(180)와 중심지지대(121)가 모두 선택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15는 도 14의 다른 실시 예인, II-II'단면도로서, 제4실시예에 따른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부착대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면,
광확산커버파이브(322)는 중심부의 상하방향이 중심지지대(321)에 의해 지지된다. 중심지지대(321)의 양측으로 스트럿(323)이 형성되는데, 제4실시예에는 상측 좌우 스트럿(323c, 323d)와 하측 좌우 스트럿(323a, 323b)으로 총 4개의 스트럿을 구비하지만,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측 좌우 스트럿(323c, 323d)과 광확산커버파이프(322)의 사이에 보강와이어(180)가 하나 이상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4실시예에는 좌측보강와이어(180a)와 우측보강와이어(18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심지지대(321)의 일측에 구비된 스트럿(323a, 323d)의 사이와 광확산커버파이프(322)의 내측으로 광섬유지지판(126)에 의해 지지된 광섬유다발(127)이 관통하여 구비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지주대 , 120: 부착대 ;
W: 와이어, S: 신호등;
121: 중심지지대;
122: 광확산커버파이프, 122a: 중심지지대;
125: 광원,
130: 브라켓, 140: 지주브라켓;
150: 제어부 160: 무선통신수신기;
170: 무선통신송출기, 180: 보강와이어.

Claims (11)

  1. 지주대;
    상기 지주대에 결합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며 신호등을 설치 가능하며, 내부에 선광원이 구비된 부착대;
    제어부;
    상기 지주대와 상기 부착대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도르레;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구비되는 장력조절장치; 및
    이동체로부터 응급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선광원은 설정된 구간에 빛을 발광시키는 광전달체와, 상기 광전달체에 각각 광원을 제공하는 광원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대는 신호등의 신호와 연동하여 동일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광원집합체는 레이저 광원 집합체이고, 상기 광전달체는 설정된 구간에 상기 레이저 광원을 전달하도록 상기 레이저 광원 집합체로부터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광원을 기 설정된 위치로 도달시키기 위해 광원을 굴절시키는 렌즈이며,
    상기 부착대는 광확산 소재의 광확산커버파이프로 커버를 이루고, 상기 광확산커버파이프는 단면을 상하로 가로 지르며 확산커버파이프의 상하부를 지지하는 중심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지지대 내부로 보강와이어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보강와이어는 상기 부착대의 최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도르레에 지지되며 상기 장력조절장치에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광확산커버파이프는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무선통신수신기에 수신된 응급신호에 의해 상기 부착대는 응급신호를 발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착대에 신호의 잔여시간을 나타내는 타임라인 신호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커버는 황변 방지 도장한 것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는 분리 형성되며,
    상기 분리 형성된 부분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20170105691A 2017-08-21 2017-08-21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210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91A KR102102432B1 (ko) 2017-08-21 2017-08-21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691A KR102102432B1 (ko) 2017-08-21 2017-08-21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68A KR20190020568A (ko) 2019-03-04
KR102102432B1 true KR102102432B1 (ko) 2020-04-20

Family

ID=6576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691A KR102102432B1 (ko) 2017-08-21 2017-08-21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846B1 (ko) * 2020-07-29 2021-12-03 (주)삼성티엔지 광 전달을 이용하는 신호 알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029B1 (ko)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185U (ko) * 1993-02-04 1994-09-24 조한영 교통 신호등의 작동시간 표시장치
KR101067379B1 (ko) * 2009-01-19 2011-09-2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20110049116A (ko) * 2009-11-04 2011-05-12 (주)엠아이티엔터프라이스 황변현상 방지용 도료, 이를 이용한 led교통신호등 커버 및 그 도장방법
KR20120075831A (ko) * 2010-12-29 2012-07-09 양홍영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용 발광 앵커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 시스템
KR101636942B1 (ko) * 2014-08-01 2016-07-06 조용성 차량 진출입로에서의 적정한 스티어링 유도를 위한 유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시스템
KR20170073437A (ko) * 2015-12-20 2017-06-28 안희태 광섬유 방식을 이용한 레이저 세이프 가드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029B1 (ko) * 2015-03-02 2015-11-06 황민선 신호등 설치용 가로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68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432B1 (ko)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1254484B1 (ko) 미관이 개선되는 신호등주용 아암
KR102102436B1 (ko)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구조가 구비된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2096012B1 (ko) 보강부재를 통하여 복수의 엘이디램프가 공간상에 지지되는 입체 조명시스템
KR200489234Y1 (ko) 주차장 설치용 캐노피
CN110130223A (zh) 一种景观照明拉索
TWM503454U (zh) 燈柱結構裝置
JP2008180022A (ja) ガードケーブルへの反射体取付構造及び反射体取付用金具
KR20110001050A (ko) 차량신호등 통합주
RU180084U1 (ru) Ресурсосберегающий гибри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KR101275284B1 (ko) 터널 내에 설치 가능한 광섬유 사용 대피유도용 조명장치
KR100934431B1 (ko) 건축용 보행자 유도등
KR20100101320A (ko) 교통신호등
CN210627495U (zh) 一种市政交通信号灯
KR101024195B1 (ko) 콘 구조체
CN205746596U (zh) 一种led护栏灯
JP2011049076A (ja) 照明灯装置
CN207750825U (zh) 一种隧道纵向视线诱导装置
CN209782406U (zh) 一种稳定悬挂的高光放led工矿灯
CN218095663U (zh) 一种安全吊挂的吊灯
KR102650625B1 (ko) 가로등 기능을 갖는 통신주 안전 캡
CN211450656U (zh) 一种防坠落路灯灯具
CN217423055U (zh) 一种黑板灯
CN210891253U (zh) 一种防坠落路灯灯具
CN209782413U (zh) 一种led悬吊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